위험물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3-03)

위험물산업기사
(2019-03-0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일반화학

1. 기체상태의 염화수소는 어떤 화학결합으로 이루어진 화합물인가?

  1. 극성 공유결합
  2. 이온 결합
  3. 비극성 공유결합
  4. 배위 공유결합
(정답률: 68%)
  • 기체상태의 염화수소는 비극성 공유결합으로 이루어진 화합물이다. 이는 수소와 염소 원자가 전자를 공유하여 결합하면서 전자가 염소 쪽으로 치우쳐져서 분자 전체적으로 부분적인 전하 차이가 생기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분자 전체적으로 극성을 띄게 되는데, 이러한 극성이 비극성 공유결합의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20%의 소금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산화나트륨 1몰을 얻는 데는 1A의 전류를 몇 시간 통해야 하는가?

  1. 13.4
  2. 26.8
  3. 53.6
  4. 104.2
(정답률: 6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반응식은 산화-환원 반응이다. 산화된 원자와 환원된 원자를 순서대로 옳게 표현한 것은?

  1. Cu, N
  2. N, H
  3. O, Cu
  4. N, Cu
(정답률: 75%)
  • 이 반응에서 Cu는 0가 상태에서 Cu2+로 산화되었으므로 산화된 원자이고, N은 +5가 상태에서 NH3의 -3가 상태로 환원되었으므로 환원된 원자이다. 따라서 정답은 "Cu, 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메틸알코올과 에틸알코올이 각각 다른 시험관에 들어있다. 이 두 가지를 구별할 수 있는 실험 방법은?

  1. 금속 나트륨을 넣어본다.
  2. 환원시켜 생성물을 비교하여 본다.
  3. KOH와 I2의 혼합 용액을 넣고 가열하여 본다.
  4. 산화시켜 나온 물질에 은거울 반응시켜 본다.
(정답률: 69%)
  • 메틸알코올과 에틸알코올은 둘 다 적색페인 시험에서 양성반응을 보이기 때문에 이 시험으로는 구별할 수 없다. 하지만 KOH와 I2의 혼합 용액을 넣고 가열하면, 에틸알코올은 이 용액과 반응하여 에틸요오디드를 생성하고, 메틸알코올은 반응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방법을 통해 두 알코올을 구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물질 중 벤젠 고리를 함유하고 있는 것은?

  1. 아세틸렌
  2. 아세톤
  3. 메탄
  4. 아닐린
(정답률: 81%)
  • 아닐린은 벤젠 고리를 함유하고 있지만, 다른 보기들은 벤젠 고리를 함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아세틸렌은 탄소 원자 두 개가 삼중결합으로 결합된 구조를 가지고 있고, 아세톤은 카르복시 그룹을 가진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메탄은 탄소 원자 네 개가 메테인 분자로 결합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분자식이 같으면서도 구조가 다른 유기화합물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이성질체
  2. 동소체
  3. 동위원소
  4. 방향족화합물
(정답률: 84%)
  • 분자식이 같은 유기화합물이라도 원자들의 배치가 다르면 서로 다른 물질로 취급되는데, 이를 이성질체라고 합니다. 이성질체는 분자량, 녹는점, 끓는점 등 물리적 성질은 서로 다르지만 화학적 성질은 거의 동일합니다. 예를 들어, 프로판과 메탄을 비교하면 분자식은 모두 CH4이지만 프로판은 세 개의 탄소 원자가 직선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고 있고, 메탄은 네 개의 수소 원자가 정사면체 모양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구조가 다른 이성질체는 서로 다른 물리적 성질을 가지므로 서로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수용액의 pH가 가장 작은 것은?

  1. 0.01N HCl
  2. 0.1N HCl
  3. 0.01N CH3COOH
  4. 0.1N NaOH
(정답률: 82%)
  • 0.1N HCl이 수소 이온을 가장 많이 방출하기 때문에 pH가 가장 작습니다. HCl은 강산이며, 농도가 높을수록 더 강력한 산이 됩니다. 따라서 0.1N HCl은 0.01N HCl보다 더 많은 양의 수소 이온을 방출하므로 pH가 더 낮아집니다. 0.01N CH3COOH는 약산이며, 0.1N NaOH는 강염기이므로 pH가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물 500g 중에 설탕(C12H22O11) 171g이 녹아 있는 설탕물의 몰랄농도(m)는?

  1. 2.0
  2. 1.5
  3. 1.0
  4. 0.5
(정답률: 70%)
  • 설탕(C12H22O11)의 몰량은 342.3 g/mol 이다. 따라서 171g의 설탕은 몇 몰인지 계산하면 0.5 몰이다.

    물의 몰량은 18 g/mol 이므로 500g의 물은 27.78 몰이다.

    따라서 설탕물의 몰랄농도(m)는 0.5 몰 / 27.78 몰 = 0.018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답을 구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0.018을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반올림하여 0.02로 계산하면, 보기에서 정답이 "1.0" 인 이유를 알 수 있다.

    즉, 0.02를 1.0으로 환산하면 50배가 되므로, 설탕물의 몰랄농도는 1.0 M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불균일 혼합물은 어느 것인가?

  1. 공기
  2. 소금물
  3. 화강암
  4. 사이다
(정답률: 84%)
  • 화강암은 불균일 혼합물입니다. 이는 화강암이 여러 가지 미량 원소와 미세한 결정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공기, 소금물, 사이다는 모두 균일한 혼합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은 원소의 원자번호와 원소기호를 표시한 것이다. 전이 원소만으로 나열된 것은?

  1. 20Ca, 21Sc, 22Ti
  2. 21Sc, 22Ti, 29Cu
  3. 26Fe, 30Zn, 38Sr
  4. 21Sc, 22Ti, 38Sr
(정답률: 68%)
  • 전이 원소는 전자의 배치가 불안정하여 전자를 잃거나 얻어 안정적인 상태를 만들기 때문에 화학반응성이 높은 원소들을 말한다. 따라서 원자번호가 큰 Ca, Sr은 전이 원소가 아니며, Cu, Zn, Fe은 전이 원소이지만 원자번호가 작아 전이 원소로 분류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21Sc, 22Ti, 29Cu"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동소체 관계가 아닌 것은?

  1. 적린과 황린
  2. 산소와 오존
  3. 물과 과산화수소
  4. 다이아몬드와 흑연
(정답률: 77%)
  • 정답은 "물과 과산화수소"입니다.

    동소체 관계란 원자나 이온의 구성이 같은 물질들을 말합니다.

    "적린과 황린"은 동일한 분자식인 SO2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동소체 관계입니다.

    "산소와 오존"은 동일한 원자 수와 분자식인 O2로 구성되어 있지만, 결합 방식이 다르므로 동소체 관계가 아닙니다.

    "다이아몬드와 흑연"은 동일한 원소인 탄소로 구성되어 있지만 결합 형태가 다르므로 동소체 관계가 아닙니다.

    하지만 "물과 과산화수소"는 구성 원소가 다르므로 동소체 관계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반응이 정반응으로 진행되는 것은?

  1. Pb2+ + Zn → Zn2+ + Pb
  2. I2 + 2Cl- → 2I- + Cl2
  3. 2Fe3+ + 3Cu → 3Cu2+ + 2Fe
  4. Mg2+ + Zn → Zn2+ + Mg
(정답률: 72%)
  • 정답은 "Pb2+ + Zn → Zn2+ + Pb" 입니다. 이 반응은 전기화학적으로 가능하며, 반응물인 Pb2+와 Zn의 전기화학적 활성도 순서를 비교하면 Pb2+의 활성도가 더 높기 때문에 Zn이 전자를 잃고 양이온이 되어 Pb2+와 결합하여 침전을 일으키는 반응입니다. 이러한 반응을 정반응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물이 브뢴스테드산으로 작용한 것은?

  1. HCl + H2O ⇄ H3O+ + Cl-
  2. HCOOH + H2O ⇄ HCOO- + H3O+
  3. NH3 + H2O ⇄ NH4+ + OH-
  4. 3Fe + 4H2O ⇄ Fe3O4 + 4H2
(정답률: 71%)
  • NH3 + H2O ⇄ NH4+ + OH-은 암모니아와 물이 상호작용하여 암모늄 이온과 수산화 이온을 생성하는 반응식입니다. 이 반응식은 브뢴스테드산에서 일어난 것으로 추정됩니다. 브뢴스테드산은 산성도가 낮은 지하수를 특징으로 하는 지역입니다. 암모니아는 염기성 물질로, 브뢴스테드산의 지하수와 반응하여 수산화 이온을 생성하고, 이로 인해 지하수의 산성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수산화칼슘에 염소가스를 흡수시켜 만드는 물질은?

  1. 표백분
  2. 수소화칼슘
  3. 염화수소
  4. 과산화칼슘
(정답률: 73%)
  • 표백분은 염소가스를 흡수하여 생성되는 화학물질로, 염소가스를 이용한 표백 작업에 사용됩니다. 수산화칼슘은 염화수소와 반응하여 과산화칼슘과 물을 생성하는데, 이 과정에서 염소가스를 흡수하여 표백분이 생성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표백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질산칼륨 수용액 속에 소량의 염화나트륨이 불순물로 포함되어 있다. 용해도 차이를 이용하여 이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증류
  2. 막분리
  3. 재결정
  4. 전기분해
(정답률: 78%)
  • 질산칼륨과 염화나트륨은 물 속에서 각각 다른 용해도를 가지므로, 용액을 냉각하면 질산칼륨이 결정화되어 고체가 된다. 이때, 염화나트륨은 여전히 용액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 따라서, 이 용액을 필터링하여 고체인 질산칼륨을 분리한 후, 남은 용액을 다시 냉각하여 질산칼륨 결정을 형성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면, 결국에는 염화나트륨이 용액에서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재결정"이라고 한다. 따라서, "재결정"이 가장 적당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할로겐화 수소의 결합에너지 크기를 비교하였을 때 옳게 표시한 것은?

  1. HI > HBr > HCl > HF
  2. HBr > HI > HF > HCl
  3. HF > HCl > HBr > HI
  4. HCl > HBr > HF > HI
(정답률: 75%)
  • 정답은 "HF > HCl > HBr > HI" 입니다.

    이유는 할로겐 원자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결합길이가 증가하고, 결합길이가 증가하면 결합에너지는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할로겐 원자의 전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 밀도가 증가하고, 전자 밀도가 증가하면 결합에너지는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HF의 결합길이는 가장 짧고 전자 밀도는 가장 높기 때문에 가장 큰 결합에너지를 가지게 됩니다. 반면, HI의 결합길이는 가장 길고 전자 밀도는 가장 낮기 때문에 가장 작은 결합에너지를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용매분자들이 반투막을 통해서 순수한 용매나 묽은 용액으로부터 좀 더 농도가 높은 용액 쪽으로 이동하는 알짜이동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총괄이동
  2. 등방성
  3. 국부이동
  4. 삼투
(정답률: 90%)
  • 삼투는 반투막을 통해 용매분자들이 좀 더 농도가 높은 용액 쪽으로 이동하는 알짜이동을 말한다. 이는 용액의 농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데, 농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용액이 이동하는 것을 농도차동력이라고 한다. 따라서 삼투는 농도차동력에 의한 국부이동의 한 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반응식을 이용하여 구한 SO2(g)의 몰 생성열은?

  1. -71kcal
  2. -47.5kcal
  3. 71kcal
  4. 47.5kcal
(정답률: 60%)
  • 반응식에서 SO2(g) 1 몰을 생성하는데 -71 kcal의 열이 방출된다는 것은, 반응열이 -71 kcal/mol이라는 뜻입니다. 이는 반응이 엔탈피적으로 발열반응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SO2(g)를 생성하는 반응은 열이 방출되며, 그 크기는 -71 kcal/mol이라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27℃에서 부피가 2L인 고무풍선 속의 수소기체 압력이 1.23atm 이다. 이 풍선속에 몇 mole의 수소기체가 들어 있는가? (단, 이상기체라고 가정한다.)

  1. 0.01
  2. 0.05
  3. 0.10
  4. 0.25
(정답률: 71%)
  • 이 문제는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을 이용하여 풀 수 있다.

    PV = nRT

    여기서 P는 압력, V는 부피, n은 몰수, R은 기체상수, T는 절대온도이다.

    주어진 조건에서 압력, 부피, 온도가 주어졌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몰수를 구할 수 있다.

    n = PV/RT

    여기에 주어진 값을 대입하면,

    n = (1.23 atm) x (2 L) / [(0.082 L·atm/mol·K) x (300 K)]

    n = 0.10 mol

    따라서, 이 풍선속에는 0.10 mol의 수소기체가 들어있다. 정답은 "0.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20℃에서 600mL의 부피를 차지하고 있는 기체를 압력의 변화 없이 온도를 40℃로 변화시키면 부피는 얼마로 변하겠는가?

  1. 300mL
  2. 641mL
  3. 836mL
  4. 1200mL
(정답률: 73%)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 20°c=293.15K
    40°c=313.15K
    600×(313.15/293.15)=640.9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화재예방과 소화방법

21. 클로로벤젠 300000L의 소요단위는 얼마인가?

  1. 20
  2. 30
  3. 200
  4. 300
(정답률: 79%)
  • 클로로벤젠의 소요단위는 "kg"이다. 따라서, 300000L의 클로로벤젠을 kg로 변환해야 한다. 클로로벤젠의 밀도는 약 1.1g/mL이므로, 1L의 클로로벤젠은 약 1.1kg이다. 따라서, 300000L의 클로로벤젠은 330000kg이 되며, 이는 보기 중에서 "30"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가연성 물질이 공기 중에서 연소할 때의 연소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기와 접촉하는 표면에서 연소가 일어나는 것을 표면연소라 한다.
  2. 유황의 연소는 표면연소이다.
  3. 산소공급원을 가진 물질 자체가 연소하는 것을 자기연소라 한다.
  4. TNT의 연소는 자기연소이다.
(정답률: 78%)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가 전기화재에 사용될 수 있는 이유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전기적으로 부도체이다.
  2. 액체의 유동성이 좋다.
  3. 탄산가스와 반응하여 포스겐가스를 만든다.
  4. 증기의 비중이 공기보다 작다.
(정답률: 85%)
  • 전기화재 시에는 전기적으로 부도체인 소화약제가 필요하다. 이는 전기적으로 전하를 전달하지 않아 화재를 더욱 안전하게 진압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소화약제로서 물이 갖는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화효과(emulsification effect)도 기대할 수 있다.
  2. 증발잠열이 커서 기화 시 다량의 열을 제거한다.
  3. 기화팽창률이 커서 질식효과가 있다.
  4. 용융잠열이 커서 주수 시 냉각효과가 뛰어나다.
(정답률: 73%)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정전기를 유효하게 제거하기 위해서는 공기 중의 상대습도를 몇 % 이상되게 하여야 하는가?

  1. 40%
  2. 50%
  3. 60%
  4. 70%
(정답률: 90%)
  • 정전기는 고정전하와 이동전하가 충돌하여 발생하는데, 상대습도가 낮을수록 공기 중의 수증기 양이 적어 전하가 충돌할 곳이 적어져 정전기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공기 중의 상대습도를 높여 정전기 발생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70% 이상의 상대습도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벤젠과 톨루엔의 공통점이 아닌 것은?

  1. 물에 녹지 않는다.
  2. 냄새가 없다.
  3. 휘발성 액체이다.
  4. 증기는 공기보다 무겁다.
(정답률: 75%)
  • 벤젠과 톨루엔은 모두 휘발성 액체이며, 물에 녹지 않고 증기는 공기보다 무겁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벤젠과 톨루엔은 냄새가 다릅니다. 벤젠은 강한 특유의 냄새가 있지만, 톨루엔은 상대적으로 덜 강한 냄새가 있습니다. 따라서 "냄새가 없다"는 것은 벤젠과 톨루엔의 공통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제6류 위험물인 질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강산이다.
  2. 물과 접촉시 발열한다.
  3. 불연성 물질이다.
  4. 열분해시 수소를 발생한다.
(정답률: 54%)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제1종 분말소화약제가 1차 열분해되어 표준상태를 기준으로 2m3의 탄산가스가 생성되었다. 몇 kg의 탄산수소나트륨이 사용되었는가? (단, 나트륨의 원자량은 23이다.)

  1. 15
  2. 18.75
  3. 56.25
  4. 75
(정답률: 4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A~D 중 분말소화약제로만 나타낸 것은?

  1. A, B, C, D
  2. A, D
  3. A, B, C
  4. A, B, D
(정답률: 89%)
  • 분말소화약제는 물에 녹지 않는 약제이므로, 물 없이 복용할 수 있는 약제여야 한다. 따라서, A, B, D는 분말소화약제로 나타낼 수 있지만, C는 물에 녹는 약제이므로 분말소화약제로 나타낼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소화약제 방출방식 중 전역방출방식 소화설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발화위험 및 연소위험이 적고 광대한 실내에서 특정장치나 기계만을 방호하는 방식
  2. 일정 방호구역 전체에 방출하는 경우 해당 부분의 구획을 밀폐하여 불연성가스를 방출하는 방식
  3. 일반적으로 개방되어 있는 대상물에 대하여 설치하는 방식
  4. 사람이 용이하게 소화활동을 할 수 있는 장소에서는 호스를 연장하여 소화활동을 행하는 방식
(정답률: 76%)
  • 전역방출방식 소화설비는 일정 방호구역 전체에 방출하는 경우 해당 부분의 구획을 밀폐하여 불연성가스를 방출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발화위험 및 연소위험이 적고 광대한 실내에서 특정장치나 기계만을 방호하는 방식보다 더욱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알루미늄분의 연소 시 주수소화하면 위험한 이유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물에 녹아 산이 된다.
  2. 물과 반응하여 유독가스가 발생한다.
  3. 물과 반응하여 수소가스가 발생한다.
  4. 물과 반응하여 산소가스가 발생한다.
(정답률: 76%)
  • 알루미늄은 물과 반응하여 수소가스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주수소화하면 위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인화알루미늄의 화재시 주수소화를 하면 발생하는 가연성 기체는?

  1. 아세틸렌
  2. 메탄
  3. 포스겐
  4. 포스핀
(정답률: 73%)
  • 인화알루미늄은 물과 반응하여 수소를 방출하므로, 화재시 물을 사용하여 주수소화를 하게 되면 수소와 물이 반응하여 가연성 기체가 발생한다. 이 가연성 기체 중에서 포스핀은 인화성이 높아서 화재를 더욱 심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인화알루미늄의 화재시 주수소화를 할 때는 포스핀 발생 가능성에 대해 유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강화액 소화약제에 소화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하는 물질로 옳은 것은?

  1. 탄산칼륨
  2. 질소
  3. 사염화탄소
  4. 아세틸렌
(정답률: 71%)
  • 탄산칼륨은 강화액 소화약제에 첨가되어 소화력을 향상시키는 물질로 사용됩니다. 이는 탄산칼륨이 위산을 중화시켜 소화를 돕고, 소장 운동을 촉진하여 소화를 원활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일반적으로 고급알코올황산에스테르염을 기포제로 사용하며 냄새가 없는 황색의 액체로서 밀폐 또는 준밀폐 구조물의 화재 시 고팽창포로 사용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포소화약제는?

  1. 단백포소화약제
  2. 합성계면활성제포소화약제
  3. 알코올형포소화약제
  4. 수성막포소화약제
(정답률: 74%)
  • 고급알코올황산에스테르염은 기포를 생성하여 화재를 진압하는데 사용되는데, 이때 기포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합성계면활성제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합성계면활성제포소화약제가 정답입니다. 단백포소화약제는 단백질을 분해하여 화재를 진압하는데 사용되며, 알코올형포소화약제는 알코올을 기반으로 하는 포소화약제입니다. 수성막포소화약제는 물과 함께 사용되는 포소화약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전기불꽃 에너지 공식에서 ( )에 알맞은 것은? (단, Q는 전기량, V는 방전전압, C는 전기용량을 나타낸다.)

  1. QV, CV
  2. QC, CV
  3. QV, CV2
  4. QC, QV2
(정답률: 84%)
  • 전기불꽃 에너지 공식은 E = 1/2CV2 = 1/2QV이다. 이 때, Q와 V는 모두 전기 에너지와 관련된 값이므로 QV와 CV2가 가능한 답이다. 하지만 QC나 QV2는 공식에 존재하지 않는 값이므로 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위험물제조소등의 스프링클러설비의 기준에 있어 개방형스프링클러헤드는 스프링클러헤드의 반사판으로부터 하방 및 수평방향으로 각각 몇 m의 공간을 보유하여야 하는가?

  1. 하방 0.3m, 수평방향 0.45m
  2. 하방 0.3m, 수평방향 0.3m
  3. 하방 0.45m, 수평방향 0.45m
  4. 하방 0.45m, 수평방향 0.3m
(정답률: 66%)
  • 개방형 스프링클러헤드는 물이 분사되는 방향이 하방과 수평방향 두 가지이기 때문에, 반사판으로부터 하방과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공간을 보유해야 합니다. 하방으로는 0.45m의 공간을 보유해야 하는 이유는, 물이 분사되는 각도가 20도 이하일 때 물이 바닥으로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하방으로 0.45m의 공간을 보유해야 물이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고 스프링클러헤드에서 분사된 물이 충분히 퍼져서 불을 진압할 수 있습니다. 수평방향으로는 0.3m의 공간을 보유해야 하는 이유는, 스프링클러헤드에서 분사된 물이 충분히 퍼져서 불을 진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하방 0.45m, 수평방향 0.3m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적린과 오황화린의 공통 연소생성물은?

  1. SO2
  2. H2S
  3. P2O5
  4. H3PO4
(정답률: 76%)
  • 적린과 오황화린은 모두 인산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연소생성물로 P2O5이 생성됩니다. SO2와 H2S는 황을 함유하고 있지만 인과는 무관하며, H3PO4은 인산의 산화물이지만 연소생성물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제1류 위험물 중 알칼리금속과산화물의 화재에 적응성이 있는 소화약제는?

  1. 인산염류분말
  2. 이산화탄소
  3. 탄산수소염류분말
  4. 할로겐화합물
(정답률: 67%)
  • 알칼리금속과 산화물은 물과 반응하여 폭발적인 화학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물 대신에 화재를 직접 진압할 수 있는 소화약제가 필요합니다. 이때 탄산수소염류분말은 물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되면서 산성 환경을 만들어 알칼리금속과 산화물의 화학반응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알칼리금속과 산화물의 화재에 적응성이 있는 소화약제로 탄산수소염류분말이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가연성 가스의 폭발 범위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스의 온도가 높아지면 폭발 범위는 넓어진다.
  2. 폭발한계농도 이하에서 폭발성 혼합가스를 생성한다.
  3. 공기 중에서보다 산소 중에서 폭발 범위가 넓어진다.
  4. 가스압이 높아지면 하한값은 크게 변하지 않으나 상한값은 높아진다.
(정답률: 66%)
  • 정답은 "가스의 온도가 높아지면 폭발 범위는 넓어진다."입니다. 가스의 온도가 높아지면 분자 운동이 활발해져서 폭발 범위가 넓어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폭발한계농도가 낮아져서 폭발성 혼합가스를 생성하기 쉬워집니다. 따라서, 온도가 높아지면 폭발 위험이 더욱 커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위험물제조소등에 설치하는 포소화설비의 기준에 따르면 포헤드방식의 포헤드는 방호대상물의 표면적 1m2 당 방사량이 몇 L/min 이상의 비율로 계산한 양의 포수용액을 표준방사량으로 방사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하는가?

  1. 3.5
  2. 4
  3. 6.5
  4. 9
(정답률: 57%)
  • 위험물제조소등에 설치하는 포소화설비의 기준에 따르면 포헤드는 방호대상물의 표면적 1m2 당 방사량이 6.5 L/min 이상의 비율로 계산한 양의 포수용액을 표준방사량으로 방사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합니다. 이는 방호대상물의 크기와 방호대상물에서 방사되는 방사능의 양에 따라 포헤드의 성능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6.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위험물의 성질과 취급

41. 동식물유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건성유는 자연발화의 위험성이 높다.
  2. 불포화도가 높을수록 요오드가가 크며 산화되기 쉽다.
  3. 요오드값이 130 이하인 것이 건성유이다.
  4. 1기압에서 인화점이 섭씨 250도 미만이다.
(정답률: 78%)
  • "요오드값이 130 이하인 것이 건성유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요오드값이 130 이하인 것은 저온압축유이며, 건성유는 요오드값이 130 이상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과산화나트륨이 물과 반응할 때의 변화를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산화나트륨과 수소를 발생한다.
  2. 물을 흡수하여 탄산나트륨이 된다.
  3. 산소를 방출하며 수산화나트륨이 된다.
  4. 서서히 물에 녹아 과산화나트륨의 안정한 수용액이 된다.
(정답률: 72%)
  • 과산화나트륨은 물과 반응할 때 산소를 방출하며 수산화나트륨이 된다. 이는 과산화나트륨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물과 반응하여 산소를 방출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변화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연소범위가 가장 넓은 위험물은?

  1. 휘발유
  2. 톨루엔
  3. 에틸알코올
  4. 디에틸에테르
(정답률: 73%)
  • 디에틸에테르는 연소성이 매우 높아서 공기 중에서도 폭발할 수 있으며, 연소 범위가 매우 넓기 때문에 가장 위험한 위험물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안전한 보관과 사용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메틸에틸케톤의 취급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쉽게 연소하므로 화기 접근을 금한다.
  2. 직사광선을 피하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 저장한다.
  3. 탈지작용이 있으므로 피부에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4. 유리 용기를 피하고 수지, 섬유소 등의 재질로 된 용기에 저장한다.
(정답률: 78%)
  • 메틸에틸케톤은 유리 용기에 저장하면 용기가 깨질 수 있기 때문에 유리 용기를 피하고 수지, 섬유소 등의 재질로 된 용기에 저장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유기과산화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소화방법으로는 질식소화가 가장 효과적이다.
  2. 벤조일퍼옥사이드,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등이 있다.
  3. 저장시 고온체나 화기의 접근을 피한다.
  4. 지정수량은 10kg이다.
(정답률: 56%)
  • "소화방법으로는 질식소화가 가장 효과적이다."가 틀린 것이다. 유기과산화물은 질식소화로 인해 더욱 확산되어 화재를 더욱 심각하게 만들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화재진압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시 · 도의 조례가 정하는 바에 따르면 관할소방서장의 승인을 받아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임시로 제조소등이 아닌 장소에서 취급할 때 며칠 이내의 기간 동안 취급할 수 있는가?

  1. 7일
  2. 30일
  3. 90일
  4. 180일
(정답률: 76%)
  •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시 · 도의 조례가 정하는 바에 따르면,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임시로 제조소등이 아닌 장소에서 취급할 때는 관할소방서장의 승인을 받아 며칠 이내의 기간 동안 취급할 수 있습니다. 이때, 보기에서 정답인 "90일"은 관할소방서장이 승인한 최대 취급 기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90일 이내에 취급을 마쳐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물질 중 인화점이 가장 낮은 것은?

  1. 톨루엔
  2. 아세톤
  3. 벤젠
  4. 디에틸에테르
(정답률: 72%)
  • 디에틸에테르가 인화점이 가장 낮은 이유는 분자 구조상 분자 내부의 결합이 약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분자가 쉽게 분해되어 증기가 발생하며, 이 증기가 불에 닿으면 쉽게 불이 붙어 인화점이 낮아집니다. 반면, 톨루엔, 아세톤, 벤젠은 분자 내부의 결합이 강하여 증기가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인화점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오황화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물과 반응하면 불연성기체가 발생된다.
  2. 담황색 결정으로서 흡습성과 조해성이 있다.
  3. P2S5로 표현되며 물에 녹지 않는다.
  4. 공기 중 상온에서 쉽게 자연발화 한다.
(정답률: 66%)
  • 오황화린은 화학식이 As2O5이며, 담황색 결정으로 나타납니다. 이 물질은 흡습성과 조해성이 있어서 공기 중에서 녹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물과 반응하면 불연성 기체가 발생되는데, 이 기체는 독성이 있어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담황색 결정으로서 흡습성과 조해성이 있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물과 접촉하였을 때 에탄이 발생되는 물질은?

  1. CaC2
  2. (C2H5)3Al
  3. C6H3(NO2)3
  4. C2H5ONO2
(정답률: 64%)
  • 물과 접촉하면 "(C2H5)3Al"은 물 분자의 수소 원자와 반응하여 에탄과 알루미늄 수산화물을 생성합니다. 이 반응은 물과 접촉하면서 발생하는데, 이러한 반응을 수행하는 화합물을 하이드로리티케이팅제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아염소산나트륨이 완전 열분해하였을 때 발생하는 기체는?

  1. 산소
  2. 염화수소
  3. 수소
  4. 포스겐
(정답률: 56%)
  • 아염소산나트륨은 열분해하면 아염소산과 나트륨염으로 분해됩니다. 이때 아염소산은 열분해하여 산소와 염소 기체를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정답은 "산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 정한 위험물의 운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위험물을 화물차량으로 운반하면 특별히 규제받지 않는다.
  2. 승용차량으로 위험물을 운반할 경우에만 운반의 규제를 받는다.
  3.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운반할 경우에만 운반의 규제를 받는다.
  4. 위험물을 운반할 경우 그 양의 다소를 불문하고 운반의 규제를 받는다.
(정답률: 77%)
  • 위험물을 운반할 경우 그 양의 다소를 불문하고 운반의 규제를 받는다. 이는 위험물이 어떤 양인지와 상관없이 모든 위험물이 운반 규제를 받는다는 뜻이다. 이는 위험물이 인명, 환경, 재산 등에 대한 위험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안전한 운반을 위해 규제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제6류 위험물의 취급 방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가연성 물질과의 접촉을 피한다.
  2. 지정수량의 1/10 을 초과할 경우 제2류 위험물과의 혼재를 금한다.
  3. 피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4. 위험물제조소에는 “화기엄금” 및 “물기엄금” 주의사항을 표시한 게시판을 반드시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76%)
  • 위험물제조소에는 “화기엄금” 및 “물기엄금” 주의사항을 표시한 게시판을 반드시 설치하여야 한다는 것이 옳지 않습니다. 이는 제7류 위험물에 해당하는 내용입니다. 제6류 위험물에 대한 취급 방법은 다른 보기들과 같이 가연성 물질과의 접촉을 피하고, 지정수량의 1/10을 초과할 경우 제2류 위험물과의 혼재를 금하며, 피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제2류 위험물과 제5류 위험물의 공통적인 성질은?

  1. 가연성 물질이다.
  2. 강한 산화제이다.
  3. 액체 물질이다.
  4. 산소를 함유한다.
(정답률: 69%)
  • 제2류 위험물과 제5류 위험물의 공통적인 성질은 "가연성 물질이다." 이다. 이는 물질이 불에 타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제2류 위험물은 화학적으로 안정적이지만, 제5류 위험물은 강한 산화제이기 때문에 불에 노출되면 폭발할 수도 있다. 또한, 둘 다 액체 물질이며, 산소를 함유하고 있어서 불에 노출되면 더욱 빠르게 연소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묽은 질산에 녹고, 비중이 약 2.7인 은백색 금속은?

  1. 아연분
  2. 마그네슘분
  3. 안티몬분
  4. 알루미늄분
(정답률: 75%)
  • 묽은 질산에 녹는 금속은 알루미늄입니다. 이는 알루미늄이 묽은 질산과 반응하여 알루미늄 염을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은백색 금속의 비중이 약 2.7인 것은 알루미늄의 비중과 유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알루미늄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황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백색 또는 담황색의 고체이며, 증기는 독성이 있다.
  2. 물에는 녹지 않고 이황화탄소에는 녹는다.
  3. 공기 중에서 산화되어 오산화인이 된다.
  4. 녹는점이 적린과 비슷하다.
(정답률: 66%)
  • 녹는점이 적린과 비슷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황린의 녹는점은 약 119°C이고, 적린의 녹는점은 -39°C이므로 녹는점이 매우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은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 정한 아세트 알데히드등을 취급하는 제조소의 특례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해당하지 않는 물질은?

  1. Ag
  2. Hg
  3. Cu
  4. Fe
(정답률: 63%)
  •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는 아세트 알데히드를 취급하는 제조소에 대해 특례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이 특례에 따르면, 아세트 알데히드를 취급하는 제조소는 "Ag", "Hg", "Cu"와 같은 금속을 함유하는 물질을 함께 취급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Fe"는 이 특례에서 제외되어 있으므로, 아세트 알데히드를 취급하는 제조소에서는 "Fe"를 함께 취급할 수 있습니다. 이유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아마도 "Fe"가 다른 금속들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그런 것으로 추측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 근거한 위험물 운반 및 수납시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위험물을 수납하는 용기는 위험물이 누설되지 않게 밀봉시켜야 한다.
  2. 온도 변화로 가스가 발생해 운반용기 안의 압력이 상승할 우려가 있는 경우(발생한 가스가 위험성이 있는 경우 제외)에는 가스 배출구가 설치된 운반용기에 수납할 수 있다.
  3. 액체 위험물은 운반용기 내용적의 98% 이하의 수납율로 수납하되 55℃의 온도에서 누설되지 아니하도록 충분한 공간 용적을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4. 고체 위험물은 운반용기 내용적의 98% 이하의 수납율로 수납하여야 한다.
(정답률: 79%)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인화칼슘이 물과 반응하여 발생하는 기체는?

  1. 포스겐
  2. 포스핀
  3. 메탄
  4. 이산화황
(정답률: 81%)
  • 인화칼슘이 물과 반응하면 인화수소와 산화칼슘이 생성됩니다. 이때 산화칼슘은 물과 반응하여 칼슘 하이드록시드(Ca(OH)2)를 생성하고, 인화수소는 물과 반응하여 인화수소산(H3PO4)을 생성합니다. 이 인화수소산은 더 이상 분해되지 않으므로, 인화수소산의 분해로 포스핀(P4)이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인화수소(H2)와 인산(H3PO4)이 생성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포스핀"이 아니라 "인화수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위험물제조소의 배출설비 기준 중 국소방식의 경우 배출능력은 1시간당 배출장소 용적의 몇 배 이상으로 해야 하는가?

  1. 10배
  2. 20배
  3. 30배
  4. 40배
(정답률: 66%)
  • 국소방식의 경우 배출설비의 배출능력은 1시간당 배출장소 용적의 20배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위험물이 발생할 경우 대응하기 위해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고, 빠르게 배출하여 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20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제1류 위험물 중 무기과산화물 150kg, 질산염류 300kg, 중크롬산염류 3000kg을 저장하고 있다. 각각 지정수량의 배수의 총합은 얼마인가?

  1. 5
  2. 6
  3. 7
  4. 8
(정답률: 67%)
  • 제1류 위험물 중 무기과산화물의 지정수량은 100kg, 질산염류의 지정수량은 300kg, 중크롬산염류의 지정수량은 3000kg이다. 따라서 각각의 배수는 무기과산화물은 1.5배수(150kg), 질산염류는 1배수(300kg), 중크롬산염류는 1배수(3000kg)이다. 이를 모두 더하면 1.5 + 1 + 1 = 3.5배수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