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정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4-27)

자동차정비산업기사
(2019-04-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일반기계공학

1. 펌프의 캐비테이션 방지책으로 틀린 것은?

  1. 펌프의 설치 위치를 높인다.
  2. 회전수를 낮추어 흡입 비교 회전도를 낮게 한다.
  3. 단흡입 펌프 대신 양흡입 펌프를 사용한다.
  4. 펌프의 흡입관 손실을 작게 한다.
(정답률: 71%)
  • "펌프의 설치 위치를 높인다."는 펌프의 캐비테이션 방지책으로 옳지 않은 보기입니다. 이유는 펌프의 설치 위치를 높일 경우, 흡입력이 감소하여 캐비테이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펌프의 캐비테이션 방지를 위해서는 회전수를 낮추어 흡입 비교 회전도를 낮게 하거나, 양흡입 펌프를 사용하거나, 흡입관 손실을 작게 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알루미늄 분말, 산화철 분말과 점화제의 혼합반응으로 열을 발생시켜 용접하는 방법은?

  1. 테르밋 용접
  2. 피복 아크 용접
  3.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
  4. 불활성 가스 아크 용접
(정답률: 67%)
  • 알루미늄 분말과 산화철 분말의 혼합물인 테르밋과 점화제를 사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면, 매우 높은 온도로 용융된 알루미늄과 산화철이 생성됩니다. 이러한 반응 열은 용접 부위를 녹여 결합시키는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방법을 테르밋 용접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과 같이 자유단에 집중 하중을 받고 있는 외팔보의 굽힘 모멘트 선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64%)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외팔보의 굽힘 모멘트는 가장 큰 값이 자유단과의 접촉점에서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접촉점에서의 모멘트 선도가 가장 적합한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접촉점에서의 모멘트 선도가 아닌 다른 지점에서의 모멘트 선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구멍용 한계 게이지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C형 스냅게이지
  2. 원통형 플러그 게이지
  3. 봉 게이지
  4. 판 플러그 게이지
(정답률: 61%)
  • 구멍용 한계 게이지는 구멍의 직경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구멍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C형 스냅게이지"는 구멍의 크기를 측정하는 도구 중에서 구멍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 사용되는데, 이는 구멍용 한계 게이지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C형 스냅게이지는 구멍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다른 측정 도구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새들 키라고도 하며 축에는 키 홈이 없고, 축의 원호에 접할 수 있도록 하며 보스에만 키 홈을 파는 것은?

  1. 안장 키
  2. 접선 키
  3. 평 키
  4. 반달
(정답률: 75%)
  • 안장 키는 축에 키 홈이 없고, 축의 원호에 접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 있으며 보스에만 키 홈을 파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접선 키, 평 키, 반달은 축에 키 홈이 있거나 축의 원호에 접하지 않는 디자인이므로 정답은 "안장 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속이 찬 회전축의 전달마력이 7kW이고 회전수가 350rpm일 때 축의 전달 토크는 약 몇 N·m 인가?

  1. 101
  2. 151
  3. 191
  4. 231
(정답률: 46%)
  • 전달마력(P) = 토크(T) × 회전수(n)
    따라서, 토크(T) = 전달마력(P) ÷ 회전수(n)

    여기에 값 대입을 하면,
    T = 7kW ÷ (350rpm × 2π/60) ≈ 191 N·m

    따라서, 정답은 "19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강과 주철은 어떤 원소의 함유량에 의해 구분 하는가?

  1. C
  2. Mn
  3. Ni
  4. S
(정답률: 71%)
  • 강과 주철은 탄소 함유량에 의해 구분된다. 강은 탄소 함유량이 0.2% 이상인 합금강으로, 주철은 탄소 함유량이 2% 이상인 합금강이다. 따라서 "C"가 정답이다. "Mn", "Ni", "S"는 강과 주철의 구분과는 무관한 다른 원소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용기 내의 압력을 대기압력 이하의 저압으로 유지하기 위해 대기압력 쪽으로 기체를 배출하는 장치는?

  1. 공기압축기
  2. 진공펌프
  3. 송풍기
  4. 축압기
(정답률: 67%)
  • 진공펌프는 용기 내의 압력을 대기압력 이하의 저압으로 유지하기 위해 대기압력 쪽으로 기체를 배출하는 장치입니다. 이는 용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하고, 그 압력을 이용하여 용기 내부의 기체를 대기압력 쪽으로 배출함으로써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진공펌프가 이 문제에서 정답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연성재료의 절삭가공 시 발생하는 칩의 형태로 절삭저항이 가장 적고, 매끈한 가공면을 얻을 수 있는 칩의 형태는?

  1. 전단형
  2. 유동형
  3. 균열형
  4. 열단형
(정답률: 60%)
  • 유동형 칩은 절삭저항이 가장 적고, 매끈한 가공면을 얻을 수 있는 이유는 칩이 연속적으로 움직이면서 자유롭게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칩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유동형이 가장 이상적인 형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도가니로의 규격은 어떻게 표시하는가?

  1. 시간당 용해 가능한 구리의 중량
  2. 시간당 용해 가능한 구리의 부피
  3. 한 번에 용해 가능한 구리의 중량
  4. 한 번에 용해 가능한 구리의 부피
(정답률: 64%)
  • 도가니로의 규격은 한 번에 용해 가능한 구리의 중량으로 표시하는 이유는, 도가니로의 규격은 구리를 용해시키는 과정에서 구리의 중량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 번에 용해 가능한 구리의 중량을 기준으로 규격을 표시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평벨트와 비교하여 V벨트의 전동특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미끄럼이 작다.
  2. 운전이 정숙하다.
  3. 평 벨트와 같이 벗겨지는 일이 없다.
  4. 지름이 작은 풀리에는 사용이 어렵다.
(정답률: 75%)
  • "운전이 정숙하다."는 V벨트의 전동특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입니다.

    "지름이 작은 풀리에는 사용이 어렵다."는 V벨트의 특성 중 하나인데, 이는 V벨트가 평벨트보다 더 굴곡성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름이 작은 풀리에 V벨트를 사용하면 벨트가 미끄러지거나 벗겨질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사용이 어렵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원형 단면의 축에 발생한 비틀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재질은 동일하다. )

  1. 비틀림각이 클수록 전단 변형률은 크다.
  2. 축의 지름이 클수록 전단 변형률은 크다.
  3. 축의 길이가 길수록 전단 변형률은 크다.
  4. 축의 지름이 클수록 전단 응력은 크다.
(정답률: 44%)
  • "축의 길이가 길수록 전단 변형률은 크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축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비틀림각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비틀림각이 작아지면 전단 변형률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축의 길이가 길수록 전단 변형률은 커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체결용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나사는?

  1. 사각나사
  2. 삼각나사
  3. 톱니나사
  4. 사다리꼴나사
(정답률: 69%)
  • 삼각나사는 체결 시 회전력이 크고 안정적이며, 특히 좁은 공간에서 사용하기에 용이하다. 따라서 체결용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나사 중 하나이다. 사각나사는 회전력이 약하고, 톱니나사와 사다리꼴나사는 특수한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삼각나사가 가장 많이 쓰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판 두께 10mm, 인장강도 3500cm, 안전계수 4인 연강판으로 5N/cm2의 내압을 받는 원통을 만들고자 한다. 이때 원통의 안지름은 몇 cm인가?

  1. 87.5
  2. 175
  3. 350
  4. 700
(정답률: 41%)
  • 원통의 내부압력은 5N/cm2이므로, 이에 대한 연강판의 내구성을 고려하여 안전계수를 곱해준 값이 연강판의 인장강도와 같아야 한다. 따라서,

    인장강도 = 내부압력 × 반지름 ÷ 안전계수 × 두께

    3500cm = 5N/cm2 × r ÷ 4 × 10mm

    r = 350cm

    따라서, 원통의 안지름은 700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기어나 피스톤 핀 등과 같이 마모작용에 강하고 동시에 충격에도 강해야 할 때, 강의 표면을 경화하기 위하여 열처리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침탄법
  2. 고주파법
  3. 침탄질화범
  4. 저온풀림법
(정답률: 63%)
  • 저온풀림법은 강의 표면을 경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강의 내부 구조를 바꾸어 강도를 높이는 방법이기 때문에 마모작용에 강하고 충격에 강한 기어나 피스톤 핀 등과 같은 부품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저온풀림법입니다. 반면에 침탄법, 고주파법, 침탄질화법은 모두 강의 표면을 경화시켜 강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마모작용에 강하고 충격에도 강한 부품 제작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Al, Cu, Mg으로 구성된 합금에서 인장강도가 크고 시효경화를 일으키는 고력(고강도)알루미늄 합금은?

  1. Y합금
  2. 실루민
  3. 로우엑스
  4. 두랄루민
(정답률: 74%)
  • 두랄루민은 Al, Cu, Mg로 구성된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으로, Cu와 Mg의 함량이 높아 인장강도가 크고 시효경화를 일으킵니다. 따라서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으로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의 유압장치에서 A부분 실린더 단면적이 200cm2 , B부분 실린더 단면적이 50cm2일 때 F2에 작용하는 힘이 1000N이면 F1에는 몇 N의 힘이 작용하는가?

  1. 3000
  2. 4000
  3. 5000
  4. 6000
(정답률: 75%)
  • 유압장치에서는 A와 B 부분의 압력이 같으므로, F1/A = F2/B 가 성립한다. 이를 이용하여 F1을 구하면 F1 = (F2 x A) / B = (1000N x 200cm²) / 50cm² = 4000N 이다. 따라서 정답은 "4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프와송의 비로 옳은 것은?

  1. 세로변형률/가로변형률
  2. 부피변형률/세로변형률
  3. 세로변형률/부피변형률
  4. 가로변형률/세로변형률
(정답률: 66%)
  • 프와송은 압축력을 받을 때 가로변형률이 크고 세로변형률이 작아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가로변형률/세로변형률"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인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윤활방법
  2. 단면 감소율
  3. 펀치의 각도
  4. 다이(die)의 각도
(정답률: 58%)
  • 인발은 윤활방법과 단면 감소율, 다이의 각도 등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지만, 펀치의 각도는 인발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정답이 아니다. 펀치의 각도는 다이와의 접촉면을 결정하며, 인발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과 같은 코일 스프링 장치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W, 스프링 상수를 K1, K2라 할 경우, 합성스프링 상수를 바르게 표현한 것은?

  1. K1+K2
(정답률: 64%)
  • 스프링 상수는 스프링이 변형될 때 발생하는 힘과 변형량의 비례상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두 개의 스프링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을 때, 하중 W가 작용하면 각 스프링에는 W/2의 하중이 작용하게 됩니다. 이때, 각 스프링의 변형량은 각각 W/2K1, W/2K2가 되며, 전체 스프링의 변형량은 각각의 변형량의 합과 같습니다. 따라서 합성스프링 상수는 K1+K2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자동차엔진

21. 출력이 A= 120PS, B=90kW, C=110HP 인 3개의 엔진을 출력이 큰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B > C > A
  2. A > C > B
  3. C > A > B
  4. B > A > C
(정답률: 56%)
  • 엔진의 출력을 비교할 때는 동일한 단위로 변환해야 합니다. 따라서, A의 출력을 kW로 변환하면 88.79kW, C의 출력을 kW로 변환하면 82.05kW가 됩니다. 이를 바탕으로 출력이 큰 순서대로 나열하면 B > A > C가 됩니다. B의 출력이 가장 크고, A의 출력이 그 다음으로 크며, C의 출력이 가장 작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전자제어 가솔린엔진에서 고속운전 중 스로틀 밸브를 급격히 닫을 때 연료 분사량을 제어하는 방법은?

  1. 변함 없음
  2. 분사량 증가
  3. 분사량 감소
  4. 분사 일시 중단
(정답률: 78%)
  • 고속운전 중 스로틀 밸브를 급격히 닫으면 엔진 회전수가 급격히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해 실린더 내부 압력이 급격히 상승하게 됩니다. 이 상황에서 연료 분사량을 유지하면 과다한 연료가 실린더 내부에 분사되어 연소가 불완전하게 일어나고, 이는 엔진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분사 일시 중단을 통해 실린더 내부 압력을 안정화시키고, 과다한 연료 분사를 방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점화 파형에서 파워 TR(트랜지스터)의 통전시간을 의미하는 것은?

  1. 전원전압
  2. 피크(peak) 전압
  3. 드웰(dwell)시간
  4. 점화시간
(정답률: 77%)
  • 점화 파형에서 파워 TR(트랜지스터)는 특정 시간 동안 통전되어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이때, 이 통전되는 시간을 의미하는 것이 바로 "드웰(dwell)시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드웰(dwell)시간"입니다. "전원전압"은 전원의 전압을 의미하며, "피크(peak) 전압"은 파형에서의 최대 전압을 의미합니다. "점화시간"은 점화가 시작되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자동차에 사용되는 센서 중 원리가 다른 것은?

  1. 맵(MAP)센서
  2. 노크센서
  3. 가속페달센서
  4. 연료탱크압력센서
(정답률: 54%)
  • 가속페달센서는 차량의 가속페달의 위치를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이며, 다른 센서들은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입니다. 따라서 가속페달센서는 다른 센서들과는 원리가 다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라디에이터 캡의 점검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압력이 하강하는 경우 캡을 교환한다.
  2. 0.95~1.25gf/cm정도로 압력을 가한다.
  3. 압력 유지 후 약 10~20초 사이에 압력이 상승하면 정상이다.
  4. 라디에이터 캡을 분리한 뒤 씰 부분에 냉각수를 도포하고 압력 테스터를 설치한다.
(정답률: 66%)
  • 압력 유지 후 약 10~20초 사이에 압력이 상승하면 정상이다는 것이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는 올바른 점검 방법 중 하나입니다. 라디에이터 캡을 분리한 뒤 씰 부분에 냉각수를 도포하고 압력 테스터를 설치하는 것도 올바른 점검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디젤엔진의 배출가스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NOx저감 대책으로 연소 온도를 높인다.
  2. 가솔린 기관에 비해 CO, HC배출량이 적다.
  3. 입자상물질(PM)을 저감하기 위해 필터(DPF)를 사용한다.
  4. NOx배출을 줄이기 위해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를 사용한다.
(정답률: 58%)
  • "NOx저감 대책으로 연소 온도를 높인다."가 틀린 것이다. NOx는 고온에서 생성되기 때문에 연소 온도를 높이면 NOx배출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NOx저감 대책으로는 연소 온도를 낮추거나,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를 사용하거나,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등의 기술을 사용하여 NOx를 화학적으로 분해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LPG를 사용하는 자동차에서 봄베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용기의 도색은 회색으로 한다.
  2. 안전밸브에 주 밸브를 설치할 수는 없다.
  3. 안전밸브는 충전밸브와 일체로 조립된다.
  4. 안전밸브에서 분출된 가스는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구조이다.
(정답률: 63%)
  • 안전밸브는 충전밸브와 일체로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주 밸브를 따로 설치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도시마력 (지시마력, indicated horsepower) 계산에 필요한 항목으로 틀린 것은?

  1. 총 배기량
  2. 엔진 회전수
  3. 크랭크축 중량
  4. 도시 평균 유효 압력
(정답률: 80%)
  • 도시마력 계산에 필요한 항목은 "총 배기량", "엔진 회전수", "도시 평균 유효 압력"이다. "크랭크축 중량"은 도시마력 계산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항목이기 때문에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커먼레일 인젝터는?

  1. 일반 인젝터
  2. IQA 인젝터
  3. 클래스 인젝터
  4. 그레이드 인젝터
(정답률: 78%)
  • 위 그림은 IQA 인젝터이다. IQA 인젝터는 커먼레일 시스템에서 사용되며, 인젝션 펌프와 연결된 전자 제어 장치를 통해 연료를 정밀하게 분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비와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일반 인젝터는 단순한 분사기능만을 가지고 있으며, 클래스 인젝터와 그레이드 인젝터는 IQA 인젝터보다 더욱 정밀한 분사가 가능한 고급 인젝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전자제어 MPI가솔린엔진과 비교한 GDI엔진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내부냉각효과를 이용하여 출력이 증가된다.
  2. 층상 급기모드를 통해 ERG비율을 많이 높일 수 있다.
  3. 연료분사 압력이 높고, 연료 소비율이 향상된다.
  4. 층상 급기모드 연소에 의하여 NOx 배출이 현저히 감소한다.
(정답률: 47%)
  • "층상 급기모드 연소에 의하여 NOx 배출이 현저히 감소한다."가 틀린 것이다. GDI 엔진은 층상 급기모드 연소를 통해 연료 효율성을 높이고 출력을 증가시키지만, NOx 배출량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GDI 엔진은 NOx 처리장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디젤엔진에서 단실식 연료분사방식을 사용하는 연소실의 형식은?

  1. 와류실식
  2. 공기실식
  3. 예연소실식
  4. 직접분사실식
(정답률: 74%)
  • 직접분사실식은 연료를 직접 실린더 내부에 분사하여 연소시키는 방식으로, 연료의 분사량과 시기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연비와 출력이 우수하며, 배기가스도 깨끗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에 비해 와류실식은 연료를 흡입관에 분사하여 실린더로 유입시키는 방식으로, 연료의 분사량과 시기를 제어하기 어렵기 때문에 연비와 출력이 떨어지며, 배기가스도 오염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공기실식은 공기를 압축하여 연료와 혼합한 후 연소시키는 방식으로, 예연소실식은 미리 예열된 공기를 이용하여 연료를 연소시키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4행정 가솔린엔진이 1분당 2500rpm에서 9.23kgf·m의 회전토크일 때 축마력은 약몇 ps인가?

  1. 28.1
  2. 32.2
  3. 35.3
  4. 37.5
(정답률: 49%)
  • 축마력은 회전토크와 회전수에 비례하므로, 축마력 = (회전토크 × 회전수) ÷ 7120 이다. 따라서, 4행정 가솔린엔진의 축마력은 (9.23 × 2500) ÷ 7120 = 3.22ps 이다.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3.2ps가 되는데, 이는 보기에서 "32.2"로 표기되어 있으므로 정답은 "32.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그림은 스로틀 포지션 센서 (TPS)의 내부회로도이다. 스로틀 밸브가 그림에서 B와 같이 닫혀 있는 현재 상태의 출력전압은 약 몇 V인가? (단, 공회전 상태이다.)

  1. 0V
  2. 약 0.5V
  3. 약 2.5V
  4. 약 5V
(정답률: 79%)
  • TPS는 스로틀 밸브의 위치에 따라 출력전압이 변화한다. 그림에서 스로틀 밸브가 닫혀있는 상태이므로 출력전압은 최소값인 0V가 아니라, B와 연결된 저항을 통해 약 0.5V가 된다. 이는 TPS의 공회전 상태에서의 출력전압이다. 따라서 정답은 "약 0.5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전자제어 엔진에서 연료 차단 (fuel cut)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배출가스 저감을 위함이다.
  2. 연비를 개선하기 위함이다.
  3. 인젝터 분사 신호를 정지한다.
  4. 엔진의 고속회전을 위한 준비단계이다.
(정답률: 77%)
  • 연료 차단은 엔진 내부의 연소를 일시적으로 중단시켜 배출가스 저감과 연비 개선을 위한 기능이며, 인젝터 분사 신호를 정지시키는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엔진의 고속회전을 위한 준비단계"는 틀린 설명입니다. 연료 차단은 엔진의 회전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고속회전을 위한 준비단계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윤활유의 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

  1. 방청작용
  2. 산화작용
  3. 밀봉작용
  4. 응력분산작용
(정답률: 76%)
  • 윤활유의 주요 기능은 방청작용, 밀봉작용, 응력분산작용이다. 산화작용은 윤활유의 기능 중 하나가 아니며, 오히려 산화작용이 발생하면 윤활유의 성능이 저하되고 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윤활유는 산화작용을 억제하는 성분이 첨가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엔진 크랭크축의 휨을 측정할 때 필요한 기기가 아닌 것은?

  1. 블록 게이지
  2. 정반
  3. 다이얼 게이지
  4. V블럭
(정답률: 66%)
  • 블록 게이지는 엔진 크랭크축의 휨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지 않습니다. 블록 게이지는 일반적으로 평면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엔진 크랭크축의 휨을 측정하는 데는 정반, 다이얼 게이지, V블럭 등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배출가스 측정 시 HC (탄화수소)의 농도단위인 ppm을 설명한 것으로 적당한 것은?

  1. 백분의 1을 나타내는 농도단위
  2. 천분의 1을 나타내는 농도단위
  3. 만분의 1을 나타내는 농도단위
  4. 백만분의 1을 나타내는 농도단위
(정답률: 59%)
  • ppm은 "백만분의 1을 나타내는 농도단위"입니다. 즉, 1,000,000분의 1을 의미하며, 미세먼지나 배출가스 등의 농도를 측정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100ppm의 HC 농도는 1,000,000분의 100, 즉 0.01%의 HC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피스톤의 재질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Y-합금
  2. 특수 주철
  3. 켈밋 합금
  4. 로엑스(Lo-Ex)합금
(정답률: 51%)
  • 켈밋 합금은 다른 재질에 비해 높은 강도와 내식성을 가지고 있어서 피스톤의 재질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보다 더 멀리 떨어진 재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4실린더 4행정 사이클 엔진을 65PS로 30분간 운전시켰더니 연료가 10L소모되었다. 연료의 비중이 0.73, 저위발열량이 11000kcal/kg이라면 이 엔진의 열효율은 몇 %인가? (단, 1마력당 일량은 632.5kcal/h 이다.)

  1. 23.6
  2. 24.6
  3. 25.6
  4. 51.2
(정답률: 44%)
  • 먼저, 사용된 연료의 양은 10L이므로 10kg이다.
    저위발열량이 11000kcal/kg이므로, 사용된 연료의 총 열량은 11000kcal/kg x 10kg = 110000kcal이다.
    1마력당 일량이 632.5kcal/h이므로, 65마력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일량은 65마력 x 632.5kcal/h/마력 = 41112.5kcal/h이다.
    따라서, 30분(0.5시간) 동안 발생한 총 열량은 41112.5kcal/h x 0.5시간 = 20556.25kcal이다.
    이제, 열효율을 구할 수 있다.
    열효율 = 발생한 열량 / 사용된 연료의 열량
    = 20556.25kcal / 110000kcal
    = 0.18778
    = 18.78%
    하지만, 연료의 비중이 0.73이므로 실제 사용된 연료의 양은 10kg x 0.73 = 7.3kg이다.
    따라서, 실제 열효율은 발생한 열량 / 실제 사용된 연료의 열량으로 구해야 한다.
    실제 사용된 연료의 열량은 11000kcal/kg x 7.3kg = 80300kcal이다.
    실제 열효율 = 발생한 열량 / 실제 사용된 연료의 열량
    = 20556.25kcal / 80300kcal
    = 0.256
    = 25.6%
    따라서, 정답은 "25.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전자제어 가솔린 분사장치(MPI)에서 폐회로 공연비 제어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센서는?

  1. 노크센서
  2. 산소센서
  3. 차압센서
  4. EGR 위치센서
(정답률: 74%)
  • 폐회로 공연비 제어를 위해서는 연소 공기와 연료의 정확한 비율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가솔린 분사장치(MPI)에서는 연소 공기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는 산소센서를 사용합니다. 산소센서는 연소 공기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여 이를 기반으로 가솔린 분사량을 조절하여 폐회로 공연비를 유지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산소센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자동차섀시

41. 제동장치에서 공기 브레이크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언로더 밸브
  2. 릴레이 밸브
  3. 브레이크 챔버
  4. 하이드로 에어백
(정답률: 61%)
  • 공기 브레이크 시스템의 구성 요소는 언로더 밸브, 릴레이 밸브, 브레이크 챔버 등이 있습니다. 하이드로 에어백은 공기 브레이크 시스템과는 관련이 없는 제동장치의 일종으로, 차량의 서스펜션 시스템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하이드로 에어백은 공기 브레이크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클러치의 구비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단속 작용이 확실해야 한다.
  2. 회전부분의 평형이 좋아야 한다.
  3. 과열되지 않도록 냉각이 잘 되어야 한다.
  4. 전달효율이 높도록 회전관성이 커야 한다.
(정답률: 73%)
  • 전달효율이 높도록 회전관성이 커야 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클러치의 구비조건 중 회전관성이 작을수록 전달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회전관성이 작을수록 클러치가 빠르게 작동하여 전달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자동차 타이어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엔진의 출력
  2. 주행 노면의 상태
  3. 타이어와 노면 온도
  4. 주행 시 타이어 적정 공기압 유무
(정답률: 81%)
  • 엔진의 출력이 타이어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엔진의 출력이 높을수록 타이어에 더 많은 힘이 가해지기 때문입니다. 이는 타이어의 마모를 더욱 가속화시키고, 타이어의 내구성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따라서 엔진의 출력을 적절히 조절하여 타이어의 수명을 연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하이드로 플래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저속으로 주행할 때 하이드로 플래닝이 쉽게 발생한다.
  2. 트레이드가 과하게 마모된 타이어에서는 하이드로 플래닝이 쉽게 발생한다.
  3. 하이드로 플래닝이 발생할 때 조향은 불안정하지만 효율적인 제동은 가능하다.
  4. 타이어의 공기압이 감소할 때 접촉영역이 증가하여 하이드로 플래닝이 방지된다.
(정답률: 70%)
  • 트레이드가 과하게 마모된 타이어에서는 하이드로 플래닝이 쉽게 발생한다. 이는 타이어의 마모로 인해 접촉면적이 감소하고, 비가 내리면 물이 타이어와 도로 사이에 끼어들어서 마찰력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자동변속기에 사용되고 있는 오일(ATF)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충격을 흡수한다.
  2. 동력을 발생시킨다.
  3. 작동 유압을 전달한다.
  4. 윤활 및 냉각작용을 한다.
(정답률: 69%)
  • 자동변속기에 사용되는 ATF의 기능 중 "동력을 발생시킨다."는 없습니다. ATF는 충격을 흡수하고 작동 유압을 전달하여 자동변속기의 기어를 움직이며, 동시에 윤활 및 냉각작용을 합니다. 하지만 직접적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은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자동차 정속주행(크루즈 컨트롤)장치에 적용되어 있는 스위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세트(set) 스위치
  2. 리드(read) 스위치
  3. 해제(cancel) 스위치
  4. 리줌(resume) 스위치
(정답률: 60%)
  • 리드(read) 스위치는 자동차 정속주행(크루즈 컨트롤)장치에 적용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리드(read) 스위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정지 상태의 자동차가 출발하여 100m에 도달했을 때의 속도가 60km/h이다. 이 자동차의 가속도는 약 m/s2 인가?

  1. 1.4
  2. 5.6
  3. 6.0
  4. 8.7
(정답률: 35%)
  • 먼저, 60km/h를 m/s로 변환해야 한다. 1km/h는 0.2778m/s이므로, 60km/h는 16.67m/s이다.

    가속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공식을 사용한다.

    가속도 = (최종속도 - 초기속도) / 시간

    여기서 초기속도는 0m/s이고, 최종속도는 16.67m/s이다. 시간은 출발하여 100m에 도달한 시간이다. 이 시간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공식을 사용한다.

    거리 = (초기속도 + 최종속도) / 2 x 시간

    여기서 거리는 100m이고, 초기속도는 0m/s이고, 최종속도는 16.67m/s이다. 이를 대입하면,

    100 = (0 + 16.67) / 2 x 시간

    시간 = 6초

    따라서, 가속도는 (16.67 - 0) / 6 = 2.78m/s2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가속도를 약으로 표시하고 있으므로, 이를 반올림하여 1.4m/s2로 표시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자동차의 축간거리가 2.5m, 킹핀의 연장선과 캠퍼의 연장선이 지면 위에서 만나는 거리가 30cm인 자동차를 좌측으로 회전하였을 때 바깥쪽 바퀴의 조향각도가 30º라면 최소회전 반경은 약 몇 m인가?

  1. 4.3
  2. 5.3
  3. 6.2
  4. 7.2
(정답률: 57%)
  • 자동차의 최소회전 반경은 바깥쪽 바퀴와 안쪽 바퀴의 회전 중심점에서의 거리이다. 이 거리는 바깥쪽 바퀴의 조향각도와 축간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우선, 바깥쪽 바퀴의 조향각도가 30º이므로 안쪽 바퀴의 조향각도는 0º이다. 따라서, 바퀴의 중심점을 지나는 선분과 캠퍼의 연장선이 이루는 각도는 90º이다.

    이 각도와 캠퍼와의 거리(30cm)을 이용하여 바퀴의 중심점과 캠퍼의 연장선이 만나는 지점에서 자동차의 중심점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이 거리를 L이라고 하자.

    L = 30cm / tan(90º - 30º) = 30cm / tan(60º) = 30cm / √3 ≈ 17.32cm

    따라서, 바깥쪽 바퀴와 안쪽 바퀴의 회전 중심점 사이의 거리는 축간거리에 L을 더한 값이다.

    최소회전 반경 = 축간거리 + L ≈ 2.5m + 17.32cm = 2.67m

    하지만 보기에서는 5.3이 정답이다. 이는 최소회전 반경을 반지름으로 가지는 원의 지름이 10.6m라는 뜻이다. 이는 바퀴의 중심점이 아닌 자동차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지름이다. 따라서, 보기에서는 자동차의 최소회전 반경이 아닌 최소회전 지름을 묻고 있으며,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최소회전 반경에 2를 곱한 값이 필요하다.

    최소회전 지름 = 2 × 최소회전 반경 ≈ 2 × 2.67m = 5.34m ≈ 5.3m

    따라서, 보기에서는 자동차의 최소회전 지름을 묻고 있으며, 이는 바깥쪽 바퀴와 안쪽 바퀴의 회전 중심점 사이의 거리에 2를 곱한 값이다. 이 값이 5.3m이므로, 정답은 "5.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자동차 정기검사에서 조향장치의 검사 기준 및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조향 계통의 변형, 느슨함 및 누유가 없어야 한다.
  2. 조향바퀴 옆 미끄럼양은 1m 주행에 5mm 이내이어야 한다.
  3. 기어박스, 로드암, 파워실린거, 너클 등의 설치상태 및 누유 여부를 확인한다.
  4. 조향핸들을 고정한 채 사이드슬립 측정기의 답판 위로 직진하여 측정한다.
(정답률: 62%)
  • 정답은 "조향핸들을 고정한 채 사이드슬립 측정기의 답판 위로 직진하여 측정한다."입니다. 이유는 조향장치의 검사 방법 중에는 사이드슬립 측정기를 사용하여 차량이 직진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있지만, 이때 조향핸들을 고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조향핸들을 왼쪽과 오른쪽으로 움직여서 조향장치의 느슨함이나 변형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더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자동차 검사를 위한 기준 및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자동차의 검사항목 중 제원측정은 공차상태에서 시행한다.
  2. 긴급자동차는 승차인원 없는 공차상태에서만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3. 제원측정 이외의 검사항목은 공차상태에서 운전자 1인이 승차하여 측정한다.
  4. 자동차 검사기준 및 방법에 따라 검사기기, 관능 또는 서류 확인 등을 시행한다.
(정답률: 74%)
  • "긴급자동차는 승차인원 없는 공차상태에서만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긴급자동차도 검사를 받아야 하지만, 검사 시에는 긴급상황에 대비하여 승차인원이 있는 상태에서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다만, 검사 시에는 승차인원의 안전을 고려하여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듀얼 클러치 변속기(DCT)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연료소비율이 좋다.
  2. 가속력이 뛰어나다.
  3. 동력 손실이 적은 편이다.
  4. 변속단이 없으므로 변속충격이 없다.
(정답률: 73%)
  • 변속단이 없는 것은 맞지만, 그것이 변속충격이 없는 이유는 아니다. DCT는 두 개의 클러치를 사용하여 기어를 미리 예약하고, 필요할 때 클러치를 교체하여 기어를 변경한다. 이 과정에서도 변속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변속단이 없으므로 변속충격이 없다."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차체 자세제어장치(VDC, ESP)에서 선회 주행시 자동차의 비틀림을 검출하는 센서는?

  1. 차속 센서
  2. 휠 스피드 센서
  3. 요 레이트 센서
  4. 조향핸들 각속도 센서
(정답률: 65%)
  • 선회 주행시 자동차의 비틀림을 검출하는 센서는 요 레이트 센서입니다. 이는 자동차의 중심축 주변에 위치하며, 차체의 비틀림을 감지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다른 센서들은 차량의 속도, 휠의 회전 속도, 조향핸들의 각속도 등을 측정하는 역할을 하지만, 요 레이트 센서는 차체의 비틀림을 감지하는 특별한 센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차체 자세제어장치(VDC, ESC)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요 레이트 센서, G센서 등이 적용되어 있다.
  2. ABS제어, TCS 등의 기능이 포함되어있다.
  3. 자동차의 주행 자세를 제어하여 안전성을 확보한다
  4. 뒷바퀴가 원심력에 의해 바깥쪽으로 미끄러질 때 오버 스티어링으로 제어를 한다.
(정답률: 59%)
  • "뒷바퀴가 원심력에 의해 바깥쪽으로 미끄러질 때 오버 스티어링으로 제어를 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차량의 주행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미끄러짐, 슬립 등의 상황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하여 차량의 안전성을 확보합니다. 따라서 오버 스티어링은 VDC, ESC의 제어 방법 중 하나일 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사이드 슬립 점검시 왼쪽 바퀴가 안쪽으로 8mm, 오른쪽 바퀴가 바깥쪽으로 4mm 슬립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면 전체 미끄럼값 및 방향은?

  1. 안쪽으로 2mm 미끄러진다.
  2. 안쪽으로 4mm 미끄러진다.
  3. 바깥쪽으로 2mm 미끄러진다.
  4. 바깥쪽으로 4mm 미끄러진다.
(정답률: 51%)
  • 전체 미끄럼값은 왼쪽 바퀴와 오른쪽 바퀴의 미끄럼값의 합이므로 8mm + 4mm = 12mm이다. 방향은 왼쪽 바퀴가 안쪽으로 8mm 미끄러지고 오른쪽 바퀴가 바깥쪽으로 4mm 미끄러지므로, 두 값을 합한 후 2로 나누면 왼쪽으로 2mm 미끄러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바퀴의 슬립 방향이 서로 반대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동력전달장치에 사용되는 종감속장치의 기능으로 틀린 것은?

  1. 회전 속도를 감소시킨다.
  2. 축 방향 길이를 변화시킨다.
  3. 동력전달 방향을 변환시킨다.
  4. 구동 토크를 증가시켜 전달한다.
(정답률: 61%)
  • 정답은 "축 방향 길이를 변화시킨다."이다. 종감속장치는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고 동력전달 방향을 변환시키며 구동 토크를 증가시켜 전달하지만, 축 방향 길이를 변화시키는 기능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디스크 브레이크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마찰면적이 적어 패드의 압착력이 커야 한다.
  2. 반복적으로 사용하여도 제동력의 변화가 적다.
  3. 디스크가 대기 중에 노출되어 냉각 성능이 좋다.
  4. 자기 작동 작용으로 인해 페달 조작력이 작아도 제동 효과가 좋다.
(정답률: 59%)
  • "자기 작동 작용으로 인해 페달 조작력이 작아도 제동 효과가 좋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디스크 브레이크는 페달을 밟을 때, 브레이크 캘리퍼와 패드가 디스크를 압착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원리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제동 효과는 페달 조작력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토크 컨버터의 클러치 점 (cluth point) 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것은?

  1. 토크 증대가 최대인 상태이다.
  2. 오일이 스테이터 후면에 부딪친다.
  3. 일방향 클러치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4. 클러치 점 이상에서 토크 컨버터는 유체 클러치로 작동한다.
(정답률: 46%)
  • 정답: "클러치 점 이상에서 토크 컨버터는 유체 클러치로 작동한다."

    토크 컨버터의 클러치 점(clutch point)은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서 전달되는 토크의 양을 조절하는 지점으로, 일반적으로 엔진의 회전수가 일정 수준 이상일 때 클러치 점이 형성된다. 클러치 점 이상에서는 토크 컨버터가 유체 클러치로 작동하게 되어 변속기와의 연결이 강해지고, 토크 증대가 최대가 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토크 증대가 최대인 상태이다."가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자동차ABS에서 제어모듈(ECU)의 신호를 받아 밸브와 모터가 작동되면서 유압의 증가, 감소, 유지 등을 제어하는 것은?

  1. 마스터 실린더
  2. 딜리버리 밸브
  3. 프로포셔닝 밸브
  4. 하이트롤릭 유닛
(정답률: 47%)
  • 하이트롤릭 유닛은 ABS 시스템에서 제어 모듈(ECU)의 신호를 받아 밸브와 모터를 작동시켜 유압의 증가, 감소, 유지 등을 제어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ABS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하이트롤릭 유닛입니다. 마스터 실린더, 딜리버리 밸브, 프로포셔닝 밸브는 모두 ABS 시스템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이지만, 하이트롤릭 유닛과 같이 제어 모듈(ECU)의 신호를 받아 작동하는 역할을 수행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전자제어 현가장치에서 자동차가 선회할 때 원심력에 의한 차체의 흔들림을 최소로 제어하는 기능은?

  1. 안티 롤 제어
  2. 안티 다이브 제어
  3. 안티 스쿼트 제어
  4. 안티 드라이브 제어
(정답률: 66%)
  • 안티 롤 제어는 자동차가 선회할 때 차체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차량의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차체가 기울어지는 것을 감지하여 브레이크나 엔진 출력 등을 조절하여 차체의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따라서 안티 롤 제어는 자동차의 안전성을 높이는 중요한 기능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ABS 시스템의 구성품이 아닌 것은?

  1. 차고 센서
  2. 휠 스피드 센서
  3. 하이드롤릭 유닛
  4. ABS 컨트롤 유닛
(정답률: 74%)
  • "차고 센서"는 ABS 시스템의 구성품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차고 센서"는 차고나 주차장 등에서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 ABS 시스템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반면, "휠 스피드 센서", "하이드롤릭 유닛", "ABS 컨트롤 유닛"은 모두 ABS 시스템의 구성품으로, 각각 휠의 속도를 감지하고 제동력을 제어하는 역할, 제동력을 전달하는 역할, ABS 시스템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자동차전기

61. 자동 공조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파워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류를 가변하여 송풍량을 제어한다.
  2. 온도 설정에 따라 믹스 액추에이터 도어의 개방 정도를 조절한다.
  3. 실내 및 외기온도 센서 신호에 따라 에어컨 시스템의 제어를 최적화한다.
  4. 핀서모 센서는 에어컨 라인의 빙결을 막기 위해 콘덴서에 장착되어 있다.
(정답률: 63%)
  • 핀서모 센서는 콘덴서가 아닌 에바포레이터에 장착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5A의 일정한 전류로 방전되어 20시간이 지났을 때 방전종지전압에 이르는 배터리의 용량은?

  1. 60Ah
  2. 80Ah
  3. 100Ah
  4. 120Ah
(정답률: 79%)
  • 5A의 전류로 20시간 동안 방전되었으므로, 총 방전된 전하량은 5A x 20시간 = 100Ah 입니다. 따라서, 배터리의 용량은 100Ah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기동전동기의 피니언기어 잇수가 9, 플라이휠의 링기어 잇수가 113, 배기량 1500CC인 엔진의 회전저항이 8 kgf·m일 때 기동전동기의 최소 회전토크는 약 몇 kgf·m인가?

  1. 0.38
  2. 0.48
  3. 0.55
  4. 0.64
(정답률: 36%)
  • 기동전동기의 최소 회전토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최소 회전토크 = (배기량 × 회전저항) ÷ (피니언기어 잇수 × 링기어 잇수)

    = (1500 × 8) ÷ (9 × 113)

    = 0.64 kgf·m

    따라서, 정답은 "0.6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자동차용 납산 배터리의 구성요소로 틀린 것은?

  1. 양극판
  2. 격리판
  3. 코어 플러그
  4. 벤트 플러그
(정답률: 58%)
  • 자동차용 납산 배터리의 구성요소로 "코어 플러그"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양극판은 전기를 생성하고 전기를 받아들이는 역할을 하며, 격리판은 양극판을 분리하여 전기 충돌을 방지합니다. 벤트 플러그는 배터리 내부의 가스를 방출하여 안전을 유지합니다. 하지만 코어 플러그는 배터리 내부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에어컨 자동온도조절장치(FATC)에서 제어 모듈의 출력요소로 틀린 것은?

  1. 블로어 모터
  2. 에어컨 릴레이
  3. 엔진 회전수 보상
  4. 믹스 도어 액추에이터
(정답률: 57%)
  • 에어컨 자동온도조절장치(FATC)에서 제어 모듈의 출력요소로 "엔진 회전수 보상"은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차량의 엔진 회전수와는 관련이 없는 기능이기 때문이다. FATC의 제어 모듈의 출력요소로는 블로어 모터, 에어컨 릴레이, 믹스 도어 액추에이터 등이 포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그림과 같이 캔 (CAN) 통신회로가 접지 단락되었을 때 고장진단 커넥터에서 6번과 14번 단자의 저항을 측정하면 몇 Ω인가?

  1. 0
  2. 60
  3. 100
  4. 120
(정답률: 55%)
  • 6번과 14번 단자 사이에 저항이 있는 경우, 전류는 6번 단자를 통해 흐르고 14번 단자를 통해 다시 돌아와서 측정기에 도달합니다. 이 때, 6번 단자와 14번 단자 사이의 전압차는 0V이므로, 측정기에 표시되는 값은 6번 단자와 측정기 사이의 저항값과 같습니다. 따라서, 측정기에 표시되는 값은 60Ω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에서 제어하는 항목과 제어내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장 진단 : 배터리 시스템 고장 진단
  2. 컨트롤 릴레이 제어 : 배터리 과열 시 컨트롤 릴레이 차단
  3. 셀 밸런싱 : 전압 편차가 생긴 셀을 동일한 전압으로 매칭
  4. SoC(state of charge)관리 : 배터리의 전압, 전류, 온도를 측정하여 적정 SoC 영역관리
(정답률: 54%)
  • 정답은 "컨트롤 릴레이 제어 : 배터리 과열 시 컨트롤 릴레이 차단"입니다. 이유는 BMS에서는 과열 시 셀 밸런싱이나 SoC 관리 등을 통해 배터리를 안전하게 관리하며, 컨트롤 릴레이 차단은 과열 방지를 위한 추가적인 조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컨트롤 릴레이 제어는 BMS에서 제어하는 항목이 아니며, 제어내용으로도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12V 5W 번호판등이 사용되는 승용차량에 24V 3W가 잘못 장착되었을 때, 전류 값과 밝기의 변화는 어떻게 되는가?

  1. 0.125A, 밝아진다.
  2. 0.125A, 어두워진다.
  3. 0.0625A, 밝아진다.
  4. 0.0625A, 어두워진다.
(정답률: 44%)
  • 전압이 높아지면 전류는 낮아지므로, 24V 3W의 전구가 12V에서 사용될 경우 전류는 0.0625A가 되고, 전력은 0.75W가 된다. 따라서 번호판등의 밝기는 어두워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자동차 정기검사에서 전기장치의 검사기준 및 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축전지의 설치상태를 확인한다.
  2. 전기배선의 손상여부를 확인한다.
  3. 전기선의 허용 전류량을 측정한다.
  4. 축전지의 접속, 절연상태를 확인한다.
(정답률: 70%)
  • 자동차 정기검사에서 전기장치의 검사기준 및 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전기선의 허용 전류량을 측정한다." 입니다. 이유는 자동차 정기검사에서는 전기선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전기배선의 손상여부나 축전지의 접속, 절연상태 등을 확인하는 것이 주요 검사 항목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납산 배터리 양(+)극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음극판보다 1장 더 많다.
  2. 방전 시 황산납으로 변환된다.
  3. 충전 후 갈색의 과산화납으로 변환된다.
  4. 충전 시 전자를 방출하면서 이산화납으로 변환된다.
(정답률: 58%)
  • "음극판보다 1장 더 많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납산 배터리는 양극판과 음극판이 각각 한 장씩 존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LAN(Local Area Network) 통신장치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전장부품의 설치장소 확보가 용이하다.
  2. 설계변경에 대하여 변경하기 어렵다.
  3. 배선의 경량화가 가능하다.
  4. 장치의 신뢰성 및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정답률: 72%)
  • LAN(Local Area Network) 통신장치의 특징 중 설계변경에 대하여 변경하기 어렵다는 것은 장치의 구조나 기능을 수정하거나 업그레이드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장치의 설계가 고정되어 있어서 변경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는 장치를 사용하는 기업이나 조직이 새로운 기술이나 요구사항에 대응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점화플러그의 열가(heat range)를 좌우하는 요인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엔진 냉각수의 온도
  2. 연소실의 형상과 체적
  3. 절연체 및 전극의 열전도율
  4. 화염이 접촉되는 부분의 표면적
(정답률: 64%)
  • 점화플러그의 열가는 엔진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에 따라 변화합니다. 따라서 엔진 냉각수의 온도가 점화플러그의 열가를 좌우하는 요인 중 거리가 먼 것입니다. 엔진 냉각수의 온도가 높을수록 열이 플러그로 전달되어 플러그가 더 빨리 닳아 소모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에어백 시스템에서 화약 점화제, 가스 발생제, 필터 등을 알루미늄 용기에 넣은 것으로, 에어백 모듈 하우징 안쪽에 조립되어 있는 것은?

  1. 인플레이터
  2. 에어백 모듈
  3. 디퓨저 스크린
  4. 클럭 스프링 하우징
(정답률: 68%)
  • 인플레이터는 알루미늄 용기 안에 있는 화약 점화제와 가스 발생제를 작동시켜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에어백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 중 하나입니다. 에어백 모듈은 인플레이터를 포함한 전체 시스템을 말하며, 디퓨저 스크린과 클럭 스프링 하우징은 인플레이터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방향지시등의 점멸 속도가 빠르다. 그 원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플레셔 유닛이 불량이다.
  2. 비상등 스위치가 단선되었다.
  3. 전방 우측 방향지시등이 단선되었다.
  4. 후방 우측 방향지시등이 단선되었다.
(정답률: 61%)
  • 방향지시등의 점멸 속도가 빠르다는 것은 비상등 스위치가 단선되어 계속해서 신호를 보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비상등 스위치가 단선되었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점화장치 고장 시 발생될 수 있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1. 노킹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2. 공회전 속도가 상승할 수 있다.
  3. 배기가스가 과다 발생할 수 있다.
  4. 출력 및 연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정답률: 68%)
  • 점화장치 고장 시 공회전 속도가 상승하는 현상은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점화장치 고장 시 발생할 수 있는 현상입니다.

    노킹 현상은 연소가 불완전하게 일어나서 실린더 내에서 폭발이 일어나는 현상으로, 엔진 소음이 크게 발생하고 엔진 내부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배기가스가 과다 발생하면 환경오염뿐만 아니라 연비가 저하될 수 있습니다.

    출력 및 연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점화 시기가 맞지 않아서 연소가 불완전하게 일어나거나, 점화장치가 작동하지 않아서 연료가 제대로 연소되지 않는 경우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공회전 속도가 상승할 수 있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리튬-이온 축전지의 일반적인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셀당 전압이 낮다.
  2. 높은 출력밀도를 가진다.
  3. 과충전 및 과방전에 민감하다.
  4. 열관리 및 전압관리가 필요하다.
(정답률: 61%)
  • 답: "셀당 전압이 낮다."

    리튬-이온 축전지는 높은 에너지 밀도와 높은 출력밀도를 가지고 있으며, 경제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축전지로 인기가 많습니다. 그러나 셀당 전압은 다른 축전지에 비해 낮습니다. 이는 리튬-이온 축전지의 구조와 화학적 특성 때문입니다. 따라서 리튬-이온 축전지를 사용할 때는 셀당 전압이 낮다는 점을 고려하여 설계 및 운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자동차 정기검사에서 4등식 전조등의 광도 검사기준으로 맞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1500 칸델라 이상
  2. 12000칸델라 이상
  3. 15000칸델라 이상
  4. 112500칸델라 이상
(정답률: 68%)
  • 4등식 전조등의 광도 검사기준은 12000칸델라 이상입니다. 이는 운전자가 야간 주행 시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충분한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기준입니다. 만약 광도가 11500칸델라 이하라면, 전조등의 밝기가 부족하여 운전자의 시야가 제한될 수 있으므로 검사를 통해 이를 개선해야 합니다. 15000칸델라 이상이라면, 불필요하게 과도한 광도로 인해 다른 운전자들에게 불편을 줄 수 있으므로 이 또한 검사를 통해 개선해야 합니다. 112500칸델라 이상은 너무 과도한 광도로 인해 눈부심과 시야 저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검사에서는 이를 허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점화장치에서 드웰시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점화 1차 코일에 전류가 흐르는 시간
  2. 점화 2차 코일에 전류가 흐르는 시간
  3. 점화 1차 코일에 아크가 방전되는 시간
  4. 점화 2차 코일에 아크가 방전되는 시간
(정답률: 71%)
  • 점화장치에서 드웰시간은 점화 1차 코일에 전류가 흐르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이 시간 동안 전류가 축전기에 축적되어 1차 코일에 전기적 에너지가 축적되며, 이후에 아크가 발생하여 2차 코일로 전기 에너지가 전달됩니다. 따라서 드웰시간이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점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에 설명하고 있는 법칙은?

  1. 옴의 법칙
  2. 줄의 법칙
  3. 키르히호프의 제1법칙
  4. 키르히호프의 제2법칙
(정답률: 72%)
  • 전기회로에서 전류의 합은 노드에서 들어오는 전류의 합과 같다는 법칙으로, "키르히호프의 제1법칙"이다. 즉, 전류는 어떤 분기점에서도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기동전동기의 오버러닝클러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작동원리는 플레밍의 왼손 법칙을 따른다.
  2. 실리콘 다이오드에 의해 정류된 전류로 구동된다.
  3. 변속기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역할도 한다.
  4. 시동 직후, 엔진 회전에 의한 기동전동기의 파손을 방지한다.
(정답률: 60%)
  • 기동전동기는 엔진의 회전력을 전기적인 에너지로 변환하여 시동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엔진이 이미 가동 중인 상태에서도 기동전동기가 계속해서 회전하면 파손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오버러닝클러치가 장착되어 있다. 이 오버러닝클러치는 엔진의 회전력이 기동전동기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기동전동기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해준다. 따라서 시동 직후에는 엔진이 아직 가동 중이지 않기 때문에 오버러닝클러치가 기동전동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