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정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8-04)

자동차정비산업기사
(2019-08-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일반기계공학

1. 다음 중 금긋기에 적당하고 0점 조정이 불가능한 하이트 게이지는?

  1. HM형 하이트 게이지
  2. HB형 하이트 게이지
  3. HT형 하이트 게이지
  4. 다이얼 하이트 게이지
(정답률: 62%)
  • HM형 하이트 게이지는 금긋기에 적당하며, 0점 조정이 불가능한 이유는 HM형 하이트 게이지가 레벨링 기준점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HM형 하이트 게이지는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며, 높은 신뢰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허용굽힘응력 60 N/mm2인 단순지지보가 1×106N·㎜의 최대 굽힘모멘트를 받을 때 필요한 단면계수의 최소값은 몇 ㎣ 인가?

  1. 1667
  2. 16667
  3. 17660
  4. 26667
(정답률: 64%)
  • 단순지지보의 최대 굽힘모멘트는 Mmax = 1×10^6 N·㎜이다.
    허용굽힘응력은 σallow = 60 N/mm^2이다.
    단면계수를 구하기 위해 다음의 공식을 사용한다.

    S = Mmax / (σallow * Z)

    여기서 S는 단면계수, Z는 단면의 균심면에서 가장 먼 면적의 모멘트비율이다.
    단면계수의 최소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Z값이 최대가 되어야 한다.
    단순지지보의 단면은 직사각형이므로, Z값은 단면의 높이 h/2가 된다.
    따라서, Z = (bh^2)/6 이다.
    여기서 b는 단면의 너비, h는 단면의 높이이다.

    따라서, 단면계수 S의 최소값은 다음과 같다.

    S = Mmax / (σallow * Z)
    = (1×10^6 N·㎜) / (60 N/mm^2 * (bh^2)/6)
    = 16667 / (bh^2)

    따라서, 단면계수의 최소값은 16667/(bh^2)이다.
    따라서, 단면계수의 최소값은 1666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열응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재료의 온도차에 비례한다.
  2. 재료의 단면적에 비례한다.
  3. 재료의 세로탄성계수에 비례한다.
  4. 재료의 선팽창계수에 비례한다.
(정답률: 49%)
  • 열응력은 재료의 온도차에 비례하지 않습니다. 온도차는 열전도율에 비례하며, 열전도율은 열응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재료의 온도차에 비례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재료의 단면적에 비례하는 이유는, 단면적이 크면 열이 분산되는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단면적이 작을수록 열응력이 커집니다. 이는 열전도율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열전도율이 높을수록 열이 빠르게 전달되므로, 단면적이 작은 재료에서는 열응력이 더욱 커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축과 보스에 모두 키 홈을 판 것으로 고정된 상태로 사용되는 키(key)는?

  1. 코터
  2. 원뿔 키
  3. 묻힘 키
  4. 안장 키
(정답률: 67%)
  • 묻힘 키는 축과 보스에 모두 키 홈에 판 후 묻힌 상태로 사용되는 키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다른 세 가지 키는 각각 코터, 원뿔 키, 안장 키로, 이들은 각각 다른 형태와 용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일정한 방향의 회전으로 발생한 원심력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는 브레이크는?

  1. 캠 브레이크
  2. 블록 브레이크
  3. 내확 브레이크
  4. 원판 브레이크
(정답률: 56%)
  • 캠 브레이크는 회전하는 캠과 브레이크 패드가 연결되어 있어, 회전하는 캠이 브레이크 패드를 압축시켜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일정한 방향의 회전으로 발생한 원심력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는 브레이크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기어전동에서 원동축과 종동축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되는 기어는?

  1. 스퍼 기어
  2. 내접 기어
  3. 헬리컬 기어
  4. 하이포이드 기어
(정답률: 69%)
  • 하이포이드 기어는 원동축과 종동축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되는 기어로, 원동축과 종동축이 90도 이상의 각도로 떨어져 있을 때 사용된다. 이 기어는 스퍼 기어나 헬리컬 기어와 달리 원동축과 종동축이 서로 교차되어 있어서, 효율적인 전달력을 제공하면서도 작은 크기로 설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탄소강을 담금질 했을 때 나타나는 다음 조직 중 경도가 가장 낮은 것은?

  1. 오스테나이트
  2. 트루스타이트
  3. 마텐자이트
  4. 소르바이트
(정답률: 64%)
  • 정답: 오스테나이트

    설명: 오스테나이트는 탄소강을 담금질 했을 때 처음 형성되는 조직으로, 경도가 가장 낮은 조직입니다. 이는 탄소가 고르게 분포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조직들은 탄소의 분포가 불균일하여 경도가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축열실과 반사로를 사용하여 장입물을 용해정련하는 방법으로 우수한 강을 얻을 수 있고 다량생산에 적합한 용해로는?

  1. 전로
  2. 평로
  3. 전기로
  4. 도가니로
(정답률: 66%)
  • 축열실과 반사로를 사용하는 용해정련 방법은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고온을 유지할 수 있어 전기비용이 절감되며, 평로는 대량 생산에 적합한 용해로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전로나 전기로는 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비용이 높고, 도가니로는 소량 생산에 적합한 용해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판금 가공(sheet metal working)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접합 가공
  2. 단조 가공
  3. 성형 가공
  4. 전단 가공
(정답률: 60%)
  • 판금 가공은 주로 시트 금속을 가공하는 것이므로, "단조 가공"은 해당되지 않는다. 단조 가공은 주로 고열과 압력을 이용하여 금속을 가공하는 방법으로, 판금 가공과는 다른 분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외부로부터 윤활유 또는 윤활제의 공급 없이 특수한 조건에서도 사용 가능한 베어링은?

  1. 블루메탈 베어링
  2. 화이트메탈 베어링
  3. 오일리스 베어링
  4. 주석베어링메탈 베어링
(정답률: 79%)
  • 오일리스 베어링은 내부에 윤활유를 함유한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윤활유 또는 윤활제의 공급 없이도 사용 가능합니다. 대신에, 오일리스 베어링은 자체적으로 자가윤활성을 가지고 있어서 마찰을 줄이고 내구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2개의 입구와 1개의 공통 출구를 가지고, 출구는 입구 압력의 작용에 의하여 입구의 한쪽 방향에 자동적으로 접속되는 밸브는?

  1. 리밋 밸브
  2. 셔틀 밸브
  3. 2압 밸브
  4. 급속배기 밸브
(정답률: 60%)
  • 2개의 입구와 1개의 공통 출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셔틀 밸브가 적합합니다. 셔틀 밸브는 이러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입구 압력의 작용에 따라 자동으로 출구가 접속되는 밸브입니다. 따라서, 셔틀 밸브가 이 문제의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공작물을 단면적 100cm2 인 유압실린더로 1분에 2m 의 속도로 이송시키기 위해 필요한 유량은 몇 L/min 인가?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60%)
  • 유량(Q)은 속도(V)와 단면적(A)의 곱으로 구할 수 있다.

    Q = V x A

    여기서 속도는 2m/min, 단면적은 100cm2 이므로 0.01m2 이다.

    따라서 유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Q = 2m/min x 0.01m2 = 0.02m3/min = 20L/min

    따라서 정답은 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보의 지지방법에 따른 분류 중 부정정보의 종류인 것은?

  1. 단순지지보
  2. 외팔보
  3. 내다지보
  4. 양단고정보
(정답률: 57%)
  • 양단고정보는 보의 양쪽 끝을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보의 중앙에 부하가 집중되면 보가 굽혀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보의 변형을 막는 것이 아니라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보의 양쪽 끝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변형이 더욱 심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양단고정보는 부정정보의 종류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피복 아크용접봉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슬래그 제거가 쉬울 것
  2. 용착금속의 성질이 우수할 것
  3. 용접 시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을 것
  4. 심선보다 피복제가 약간 빨리 녹을 것
(정답률: 75%)
  • "심선보다 피복제가 약간 빨리 녹을 것"은 피복제와 심선의 녹는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구비조건이 아닙니다. 이유는 피복제는 용접 시 녹아 용착금속을 보호하고 슬래그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녹는 속도가 빠릅니다. 반면에 심선은 전류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녹는 속도가 느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FRP라고도 하며 우수한 경량성 재료로 폴리에스테르와 에폭시 수지가 기지재료인 복합재료는?

  1. 섬유강화 금속
  2. 섬유강화 콘크리트
  3. 섬유강화 세라믹
  4. 섬유강화 플라스틱
(정답률: 73%)
  • 섬유강화 플라스틱은 폴리에스테르나 에폭시 수지와 같은 플라스틱에 유리섬유나 탄소섬유 등의 강화재료를 혼합하여 만든 복합재료로, 경량성과 강도가 뛰어나기 때문에 FRP라고도 불리며 건축, 운송수단, 스포츠용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섬유강화 플라스틱"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유압회로에서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지 않는 시간에는 펌프에서 송출되어 온 작동유체를 저압으로 탱크에 복귀시키는 회로는?

  1. 감압 회로
  2. 동기 회로
  3. 무부하 회로
  4. 미터 인 회로
(정답률: 49%)
  • 무부하 회로는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지 않는 시간에 작동유체를 저압으로 탱크에 복귀시키는 회로로, 펌프에서 송출되어 온 작동유체를 압력 제어 밸브를 통해 바로 탱크로 보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지 않는 시간에는 펌프가 무부하 상태로 작동하게 되어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삼각나사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동력전달용으로 적합하다.
  2. 나사효율이 좋다.
  3. 마찰계수가 크다.
  4. 자립(self lock)작용이 없다.
(정답률: 49%)
  • 정답은 "마찰계수가 크다."입니다. 삼각나사는 나사와 삼각형 모양의 프로필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나사로, 마찰계수가 크기 때문에 자립작용이 없어서 동력전달용으로 적합하며 나사효율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작은 입자의 숫돌로 작은 압력으로 일감을 누르면서 가공물에 이송을 주고, 동시에 숫돌에 진동을 주어 단시간에 원통의 내면이나 외면 및 평면을 다듬질 가공하는 것은?

  1. 슈퍼 퍼니싱
  2. 브로칭
  3. 호닝
  4. 래핑
(정답률: 56%)
  • 슈퍼 퍼니싱은 작은 입자의 숫돌을 이용하여 가공물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면서 진동을 주어 원통의 내면이나 외면 및 평면을 다듬질 가공하는 방법이다. 이는 브로칭, 호닝, 래핑과는 다른 가공 방법으로, 작은 입자의 숫돌을 사용하여 빠르고 정밀한 가공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프와송 비(poisson's ratio)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종변형률과 횡변형률의 곱이다.
  2. 수직응력과 종탄성계수를 곱한 값이다.
  3. 횡변형률을 종변형률로 나눈 값이다.
  4. 전단응력과 횡탄성계수의 곱이다.
(정답률: 67%)
  • 정답은 "횡변형률을 종변형률로 나눈 값이다." 이다. 이는 재료가 얼마나 압축되는지와 얼마나 늘어나는지를 나타내는 물리적인 특성으로, 재료의 탄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이 값이 0.5에 가까울수록 재료는 더욱 탄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내식용 알루미늄 합금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Al-Mn계의 알민
  2. Al-Mg-Si계의 알드리
  3. Al-Mg계의 하이드로날륨
  4. Al-Cu-Ni-Mg계의 Y합금
(정답률: 63%)
  • 알루미늄 합금은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Al-Cu-Ni-Mg계의 Y합금은 그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이유는 Y합금은 알루미늄 합금에 희토류 원소 중 하나인 이트륨을 첨가하여 강도와 내식성을 높인 합금으로, Al-Cu-Ni-Mg계의 합금과는 구성 성분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자동차엔진

21. 라디에이터 캡 시험기로 점검할 수 없는 것은?

  1. 라디에이터 캡의 불량
  2. 라디에이터 코어 막힘 정도
  3. 라디에이터 코어 손상으로 인한 누수
  4. 냉각수 호스 및 파이프와 연결부에서의 누수
(정답률: 58%)
  • 라디에이터 캡 시험기는 라디에이터 캡의 불량을 확인할 수 있지만, 라디에이터 코어 막힘 정도는 확인할 수 없습니다. 이는 라디에이터 코어 막힘 정도는 라디에이터 내부의 상태를 직접 확인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라디에이터 코어 막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라디에이터를 분해하여 내부를 점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은 운행차 정기검사에서 배기소음 측정을 위한 검사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3
  2. 4
  3. 6
  4. 8
(정답률: 72%)
  • 배기소음 측정을 위한 검사방법은 엔진을 고속으로 회전시켜서 측정하는데, 이때 (4)번 방법은 엔진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면서 배기관 출구에서 1m 이상 떨어진 곳에서 측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다른 방법들보다 보다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전자제어 엔진에서 수온센서 단선으로 컴퓨터(ECU)에 정상적인 냉각수온값이 입력되지 않으면 어떻게 연료분사 되는가?

  1. 연료 분사를 중단
  2. 흡기 온도를 기준으로 분사
  3. 엔진 오일온도를 기준으로 분사
  4. ECU에 의한 페일 세이프 값을 근거로 분사
(정답률: 74%)
  • 수온센서 단선으로 인해 정상적인 냉각수온값이 입력되지 않으면 ECU는 페일 세이프 모드로 작동하게 됩니다. 이 모드에서는 ECU가 미리 설정된 값을 기준으로 연료 분사를 조절하게 됩니다. 따라서 ECU에 의한 페일 세이프 값을 근거로 분사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엔진의 냉각장치에 사용되는 서모스탯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과열을 방지한다.
  2. 엔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3. 과냉을 통해 차내 난방효과를 낮춘다.
  4. 냉각수 통로를 개폐하여 온도를 조절한다.
(정답률: 80%)
  • 서모스탯은 엔진의 냉각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품이다. 엔진이 과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냉각수의 유동을 조절하며, 엔진이 출발 후 빠르게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냉각수의 유동을 늦춘다. 따라서 "과냉을 통해 차내 난방효과를 낮춘다."는 설명은 거리가 먼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디젤엔진에서 냉간 시 시동성 향상을 위해 예열장치를 두어 흡기를 예열하는 방식 중 가열 플랜지 방법을 주로 사용하는 연소실 형식은?

  1. 직접분사식
  2. 와류실식
  3. 예연소실식
  4. 공기실식
(정답률: 51%)
  • 가열 플랜지 방법은 흡기 공기를 가열하여 연료의 증발을 촉진시켜 냉간 시 시동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직접분사식 디젤엔진에서 주로 사용된다. 직접분사식 디젤엔진은 연료를 직접 연소실 내부에 분사하여 연소시키는 방식으로, 연료의 증발이 빠르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냉간 시 시동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가열 플랜지 방법을 사용하여 흡기 공기를 가열하여 연료의 증발을 촉진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DPF)의 필터에 포집된 PM을 연소시키기 위한 연료분사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주 분사
  2. 점화 분사
  3. 사후 분사
  4. 파일럿 분사
(정답률: 77%)
  • 사후 분사는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DPF)의 필터에 포집된 PM을 연소시키기 위해 엔진에서 연료를 추가로 분사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DPF 필터 내부의 온도를 높여서 PM을 연소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주 분사나 점화 분사는 이와 달리 엔진의 주요 연료 공급 방식이며, 파일럿 분사는 연소 시작 전에 일부 연료를 먼저 분사하여 연소 과정을 안정화시키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가솔린엔진의 연료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발열량이 클 것
  2. 옥탄가가 높을 것
  3. 연소속도가 빠를 것
  4. 온도와 유동성이 비례할 것
(정답률: 60%)
  • 온도와 유동성이 비례할 것은 틀린 것입니다. 연료의 온도가 높을수록 유동성은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온도가 높을수록 연료의 유동성은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실린더 헤드의 변형 점검 시 사용되는 측정도구는?

  1. 보어 게이지
  2. 마이크로미터
  3. 간극 게이지
  4. 텔리스코핑 게이지
(정답률: 69%)
  • 실린더 헤드의 변형을 점검할 때는 간극 게이지를 사용합니다. 이는 실린더 헤드와 실린더 벽 사이의 간극을 측정하는 도구로, 실린더 헤드의 변형 정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실린더 헤드의 크기나 직경을 측정하는 도구이지만, 변형 정도를 측정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전자제어 연료분사장치에서 차량의 가·감속판단에 사용되는 센서는?

  1. 스로틀포지션센서
  2. 수온센서
  3. 노크센서
  4. 산소센서
(정답률: 80%)
  • 스로틀포지션센서는 엔진의 스로틀 밸브 위치를 감지하여 차량의 가속 및 감속 판단에 사용됩니다. 스로틀 밸브가 열리면 연료가 더 많이 공급되어 가속이 되고, 반대로 스로틀 밸브가 닫히면 연료 공급이 줄어들어 감속이 됩니다. 따라서 스로틀포지션센서는 차량의 가속 및 감속을 판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가솔린엔진에서 인젝터의 연료 분사량 제어와 직접적으로 관계있는 것은?

  1. 인젝터의 니들 밸브 지름
  2. 인젝터의 니들 밸브 유효 행정
  3. 인젝터의 솔레노이드 코일 통전 시간
  4. 인젝터의 솔레노이드 코일 차단 전류 크기
(정답률: 77%)
  • 인젝터의 솔레노이드 코일 통전 시간은 인젝터가 연료를 분사하는 시간을 결정하기 때문에 연료 분사량을 제어하는 데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습니다. 즉, 솔레노이드 코일 통전 시간이 길면 더 많은 연료가 분사되고, 짧으면 적은 연료가 분사됩니다. 따라서 인젝터의 연료 분사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솔레노이드 코일 통전 시간을 조절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단행정 엔진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직렬형 엔진인 경우 엔진의 길이가 짧아진다.
  2. 직렬형 엔진인 경우 엔진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3. 피스톤의 평균속도를 올리지 않고 회전속도를 높일 수 있다.
  4. 흡·배기 밸브의 지름을 크게 할 수 있어 흡입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정답률: 61%)
  • "직렬형 엔진인 경우 엔진의 길이가 짧아진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직렬형 엔진은 실린더를 일렬로 배치하는 엔진으로, 엔진의 길이는 짧아지지 않고 오히려 길어질 수 있습니다. 이는 실린더와 피스톤의 크기를 줄이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직렬형 엔진은 주로 고속도로용 차량이나 비행기 등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압축상사점에서 연소실체적(Vc)은 0.1ℓ이고 압력(Pc)은 30bar 이다. 체적이 1.1ℓ로 증가하면 압력은 약 몇 bar가 되는가? (단, 동작유체는 이상기체이며 등온과정이다.)

  1. 2.73
  2. 3.3
  3. 27.3
  4. 33
(정답률: 45%)
  • 보일의-마리어 법칙에 따라 P1V1 = P2V2 이므로,

    P2 = (P1V1) / V2 = (30bar * 0.1ℓ) / 1.1ℓ = 2.73bar

    따라서 정답은 "2.7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운행차 정기검사에서 자동차 배기소음 허용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2006년 1월 1일 이후 제작되어 운행하고 있는 소형 승용자동차이다.)

  1. 95㏈ 이하
  2. 100㏈ 이하
  3. 110㏈ 이하
  4. 112㏈ 이하
(정답률: 59%)
  • 2006년 1월 1일 이후 제작된 소형 승용자동차의 배기소음 허용기준은 100㏈ 이하이다. 이는 국내 환경보호법에 따라 정해진 기준으로, 자동차의 배기소음이 일정 수준 이상 넘어가면 주변 환경에 불쾌감을 줄 뿐만 아니라 건강에도 해로울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동차 운행 전 반드시 정기검사를 받아 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엔진이 과열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워터펌프 작동 불량
  2. 라디에이터의 코어 손상
  3. 워터재킷 내 스케일 과다
  4. 수온조절기가 열린 상태로 고장
(정답률: 78%)
  • 수온조절기가 열린 상태로 고장이 원인이 될 경우, 엔진 냉각수가 계속해서 열을 빼내어 엔진 내부의 온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하게 됩니다. 이는 엔진 내부의 부품들이 과열되어 손상을 입을 수 있으며, 최악의 경우에는 엔진이 정지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수온조절기가 열린 상태로 고장이 발생하면 즉시 수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가솔린 300cc를 연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공기는 약 몇 kg 인가? (단, 혼합비는 15 : 1 이고 가솔린의 비중은 0.75 이다.)

  1. 1.19
  2. 2.42
  3. 3.38
  4. 4.92
(정답률: 55%)
  • 가솔린 1L당 공기 필요량은 약 14.7L이다. 따라서 가솔린 0.3L당 필요한 공기는 4.41L이다. 혼합비가 15:1이므로 가솔린 1L당 공기 14.7L에 가솔린 1L이 섞여있다. 따라서 가솔린 0.3L당 필요한 공기는 4.41L x 15 = 66.15L이다. 공기의 밀도는 1.225kg/m³이므로 66.15L의 공기는 0.081kg이다. 하지만 가솔린의 비중이 0.75이므로 가솔린 0.3L은 0.225kg이다. 따라서 가솔린 0.3L을 연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공기는 0.081kg x (1 + 0.75) = 0.144kg이다. 따라서 가솔린 300cc를 연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공기는 0.144kg x 10 = 1.44kg이다. 따라서 정답은 3.38이 아닌 1.4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실린더의 라이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도금하기가 쉽다.
  2. 건식과 습식이 있다.
  3. 라이너가 마모되면 보링 작업을 해야 한다.
  4. 특수주철을 사용하여 원심 주조할 수 있다.
(정답률: 60%)
  • "도금하기가 쉽다."는 틀린 설명이다. 라이너는 도금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은 건식 또는 습식 방식으로 제작된다. 라이너가 마모되면 보링 작업을 해야 하는 이유는 마모로 인해 실린더 내부의 직경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이는 엔진의 성능 저하와 고장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보링 작업이 필요하다. 특수주철을 사용하여 원심 주조할 수 있는 것은 맞지만, 이는 라이너 제작 방법 중 하나일 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오토사이클의 압축비가 8.5일 경우 이론 열효율은 약 몇 % 인가? (단, 공기의 비열비는 1.4이다.)

  1. 49.6
  2. 52.4
  3. 54.6
  4. 57.5
(정답률: 41%)
  • 압축비는 압축 전 부피와 압축 후 부피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압축비가 8.5이면 압축 후 부피는 압축 전 부피의 1/8.5이 된다.

    이론 열효율은 Carnot cycle에서의 열효율로, 1 - (저온 열원의 온도 / 고온 열원의 온도)로 계산된다. 이 문제에서는 고온 열원이 압축기에서 생성되는 열이고, 저온 열원은 외부 환경으로 열이 방출되는 것이다.

    압축기에서 생성되는 열은 압축 과정에서 일어나는 압축 열과, 압축 후 발생하는 열이 있다. 이 중 압축 열은 압축비가 클수록 많이 발생하므로, 압축비가 8.5일 때 이론 열효율은 높아진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압축비가 8.5일 때 이론 열효율이 가장 높은 값인 57.5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DOHC 엔진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구조가 간단하다.
  2. 연소효율이 좋다.
  3. 최고회전속도를 높일 수 있다.
  4. 흡입 효율의 향상으로 응답성이 좋다.
(정답률: 75%)
  • 구조가 간단하다는 것은 DOHC 엔진이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엔진의 제작과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만들어주며, 더불어 엔진의 가격을 낮출 수 있습니다. 따라서 DOHC 엔진은 구조가 간단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GDI엔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흡입 과정에서 공기의 온도를 높인다.
  2. 엔진 운전 조건에 따라 레일압력이 변동된다.
  3. 고부하 운전영역에서 흡입공기 밀도가 높아진다.
  4. 분사시간은 흡입공기량의 정보에 의해 보정된다.
(정답률: 55%)
  • "흡입 과정에서 공기의 온도를 높인다."는 GDI 엔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이다. GDI 엔진은 흡입 과정에서 공기를 압축하여 밀도를 높이는 것이 특징이며, 이 과정에서 공기의 온도는 상승하지만, 이를 목적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공기의 밀도를 높여서 연소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전자제어 엔진에서 연료 분사 피드백에 사용되는 센서는??

  1. 수온센서
  2. 스로틀포지션센서
  3. 산소센서
  4. 에어플로어센서
(정답률: 68%)
  • 연료 분사 피드백에 사용되는 센서는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기 가스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는 산소센서입니다. 산소센서는 연료와 공기의 비율을 조절하여 연비를 향상시키고, 배출가스를 깨끗하게 만들어 환경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전자제어 엔진에서 연료 분사 피드백에 사용되는 센서는 산소센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자동차섀시

41. 클러치의 차단 불량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클러치 페달 자유간극 과소
  2. 클러치 유압계통에 공기 유입
  3. 릴리스 포크의 소손 또는 파손
  4. 릴리스 베어링의 소손 또는 파손
(정답률: 66%)
  • 클러치 페달 자유간극 과소는 클러치 디스크와 프레셔 플레이트 사이의 간극이 너무 작아서 클러치가 계속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차량이 멈추지 않는 원인이 됩니다. 클러치 페달을 밟아도 클러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므로, 클러치 페달 자유간극을 조정해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클러치 작동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차단 불량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전륜 6속 자동변속기 전자제어 장치에서 변속기 컨트롤 모듈(TCM)의 입력신호로 틀린 것은?

  1. 공기량 센서
  2. 오일 온도센서
  3. 입력축 속도 센서
  4. 인히비터 스위치 신호
(정답률: 50%)
  • 공기량 센서는 엔진의 공기흡입량을 측정하여 TCM에 입력하는 센서이다. 그러나 전륜 6속 자동변속기에서는 공기량 센서가 TCM의 입력신호로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공기량 센서가 틀린 것이다. 입력축 속도 센서는 변속기의 입력축 속도를 측정하여 TCM에 입력하고, 오일 온도센서는 변속기 오일의 온도를 측정하여 TCM에 입력한다. 인히비터 스위치 신호는 변속기의 인히비터 스위치 상태를 감지하여 TCM에 입력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조향 핸들을 2바퀴 돌렸을 때 피트먼 암이 90° 움직였다면 조향 기어비는?

  1. 1 : 6
  2. 1 : 7
  3. 8 : 1
  4. 9 : 1
(정답률: 72%)
  • 조향 핸들을 2바퀴 돌리면 피트먼 암은 180° 움직여야 한다. 따라서 조향 기어비는 피트먼 암의 움직임에 비례하여 결정된다. 1 : 6 또는 1 : 7의 경우, 조향 핸들을 2바퀴 돌려도 피트먼 암이 180°까지 움직이지 못하므로 제외된다. 9 : 1의 경우, 조향 핸들을 2바퀴 돌리면 피트먼 암이 1620°까지 움직이므로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정답은 8 : 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자동변속기에서 유성기어 장치의 3요소가 아닌 것은?

  1. 선 기어
  2. 캐리어
  3. 링 기어
  4. 베벨 기어
(정답률: 72%)
  • 베벨 기어는 유성기어 장치의 요소가 아니라서 정답입니다. 유성기어 장치의 3요소는 선 기어, 캐리어, 링 기어입니다. 베벨 기어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변속기에서 사용되는 기어로, 유성기어 장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베벨 기어는 주로 차량의 전단계와 후단계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자동차 앞바퀴 정렬 중 “캐스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동차의 전륜을 위에서 보았을 때 바퀴의 앞부분이 뒷부분보다 좁은 상태를 말한다.
  2. 자동차의 전륜을 앞에서 보았을 때 바퀴중심선의 윗부분이 약간 벌어져 있는 상태를 말한다.
  3. 자동차의 전륜을 옆에서 보면 킹핀의 중심선이 수직선에 대하여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상태를 말한다.
  4. 자동차의 전륜을 앞에서 보면 킹핀의 중심선이 수직선에 대하여 약간 안쪽으로 설치된 상태를 말한다.
(정답률: 73%)
  • "자동차의 전륜을 옆에서 보면 킹핀의 중심선이 수직선에 대하여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상태를 말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캐스터(Caster)라고 부르며, 전륜의 킹핀과 수직선 사이의 각도를 말합니다. 캐스터가 적절하게 조절되면 주행 안정성과 핸들링이 좋아지며,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의 안정성도 향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록업(lock-up) 클러치가 작동할 때 동력전달 순서로 옳은 것은?

  1. 엔진 → 드라이브 플레이트 → 컨버터 케이스 → 펌프 임펠러 → 록 업 클러치 → 터빈 러너허브 → 입력 샤프트
  2. 엔진 → 드라이브 플레이트 → 터빈 러너 → 터빈 러너 허브 → 록 업 클러치 → 입력 샤프트
  3. 엔진 → 드라이브 플레이트 → 컨버터 케이스 → 록 업 클러치 → 터빈 러너 허브 → 입력 샤프트
  4. 엔진 → 드라이브 플레이트 → 터빈 러너 → 펌프 임펠러 → 일 방향 클러치 → 입력 샤프트
(정답률: 54%)
  • 록업 클러치는 토크 컨버터의 일부로, 토크 컨버터의 입력 샤프트와 터빈 러너 허브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동력전달 순서는 "엔진 → 드라이브 플레이트 → 컨버터 케이스 → 록 업 클러치 → 터빈 러너 허브 → 입력 샤프트"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총 중량 1톤인 자동차가 72㎞/h로 주행 중 급제동하였을 때 운동에너지가 모두 브레이크 드럼에 흡수되어 열이 되었다. 흡수된 열량(㎉)은 얼마인가? (단, 노면의 마찰계수는 1 이다.)

  1. 47.79
  2. 52.30
  3. 54.68
  4. 60.25
(정답률: 30%)
  • 운동에너지는 1/2mv^2로 계산할 수 있으며, 여기서 m은 자동차의 질량, v는 주행 중의 속도이다. 따라서 이 자동차의 운동에너지는 1/2 x 1000kg x (20m/s)^2 = 200,000 J이다.

    한편, 브레이크 드럼이 흡수한 열량은 운동에너지와 같으므로 200,000 J이다. 이 열량은 마찰력이 일으킨 열량과 같으며, 마찰력은 마찰계수 x 노멘이 받는 압력으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노면이 받는 압력은 자동차의 무게와 같으므로 1000 kg x 9.8 m/s^2 = 9,800 N이다.

    따라서 마찰력은 9,800 N x 1 = 9,800 N이 되며, 이를 이용하여 흡수된 열량을 계산할 수 있다. 열량은 마찰력 x 이동 거리로 계산할 수 있으며, 이동 거리는 운동 중에 멈추기까지의 거리이다. 이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2 = u^2 + 2as

    여기서 u는 초기 속도(72 km/h = 20 m/s), a는 가속도(-9.8 m/s^2), s는 이동 거리이다. 따라서 s = u^2/2a = 20^2/(-2 x 9.8) = 20.41 m이다.

    따라서 흡수된 열량은 9,800 N x 20.41 m = 199,998 J이며, 이는 운동에너지와 거의 같다. 따라서 정답은 47.7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수동변속기의 클러치에서 디스크의 마모가 너무 빠르게 발생하는 경우로 틀린 것은?

  1. 지나친 반클러치의 사용
  2. 디스크 페이싱의 재질 불량
  3.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장력이 과도할 때
  4. 디스크 교환 시 페이싱 단면적이 규정보다 작은 제품을 사용하였을 경우
(정답률: 63%)
  •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장력이 과도할 때 클러치 디스크가 너무 많이 마모될 수 있습니다. 이는 클러치 디스크와 다이어프램 스프링 사이의 압력이 너무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거나 교체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유압식과 비교한 전동식 동력조향장치(MDPS)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부품수가 적다.
  2. 연비가 향상된다.
  3. 구조가 단순하다.
  4. 조향 휠 조작력이 증가한다.
(정답률: 49%)
  • 전동식 동력조향장치(MDPS)는 유압식에 비해 부품수가 적고 구조가 단순하여 신뢰성이 높아지며, 연비가 향상됩니다. 하지만 조향 휠 조작력이 증가하는 것은 장점이 아니라 단점입니다. 따라서, "조향 휠 조작력이 증가한다."는 장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전자제어 제동장치(ABS)의 유압제어 모드에서 주행 중 급제동 시 고착된 바퀴의 유압제어는?

  1. 감압제어
  2. 정압제어
  3. 분압제어
  4. 증압제어
(정답률: 67%)
  • 전자제어 제동장치(ABS)의 유압제어 모드에서 주행 중 급제동 시 고착된 바퀴의 유압제어는 "감압제어"이다. 이는 고착된 바퀴의 회전속도가 다른 바퀴보다 느리기 때문에, 해당 바퀴의 브레이크 압력을 감소시켜 브레이크가 끼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차량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브레이크 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전자제어 제동 장치(ABS)에서 하이드로릭 유닛의 내부 구성부품으로 틀린 것은?

  1. 어큐뮬레이터
  2. 인렛 미터링 밸브
  3. 상시 열림 솔레노이드 밸브
  4. 상시 닫힘 솔레노이드 밸브
(정답률: 59%)
  • 인렛 미터링 밸브는 ABS 하이드로릭 유닛의 내부 구성부품으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ABS 하이드로릭 유닛은 어큐뮬레이터, 상시 열림 솔레노이드 밸브, 상시 닫힘 솔레노이드 밸브 등으로 구성됩니다. 인렛 미터링 밸브는 일반적으로 연료 분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브레이크 페달을 강하게 밟을 때 후륜이 먼저 록(lock)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유압이 일정 압력으로 상승하면 그 이상 후륜 측에 유압이 가해지지 않도록 제한하는 장치는?

  1. 프로포셔닝 밸브
  2. 압력 체크 밸브
  3. 이너셔 밸브
  4. EGR 밸브
(정답률: 73%)
  • 프로포셔닝 밸브는 브레이크 페달을 강하게 밟을 때 후륜이 먼저 록(lock)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유압이 일정 압력으로 상승하면 그 이상 후륜 측에 유압이 가해지지 않도록 제한하는 장치입니다. 이는 브레이크 페달을 강하게 밟을 때 차량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한 주행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프로포셔닝 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동기물림식 수동변속기의 주요 구성품이 아닌 것은?

  1. 도그 클러치
  2. 클러치 허브
  3. 클러치 슬리브
  4. 싱크로나이저 링
(정답률: 65%)
  • 도그 클러치는 동기물림식 수동변속기에서 기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대신, 기어를 고정하고 회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주요 구성품으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TCS(Traction Control System)의 제어장치에 관련이 없는 센서는?

  1. 냉각수온 센서
  2. 아이들 신호
  3. 후차륜 속도 센서
  4. 가속페달포지션 센서
(정답률: 68%)
  • 냉각수온 센서는 엔진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로, TCS의 제어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TCS는 주행 중에 발생하는 바퀴의 슬립을 감지하여 제동력을 조절하는 시스템이므로, 바퀴의 속도나 가속페달의 위치 등과 관련된 센서들이 TCS의 제어장치와 연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브레이크 슈의 길이와 폭이 85㎜×35㎜, 브레이크 슈를 미는 힘이 50 kgf 일 때 브레이크 압력은 약 몇 kgf/cm2 인가?

  1. 1.68
  2. 4.57
  3. 16.8
  4. 45.7
(정답률: 38%)
  • 브레이크 슈의 면적은 85mm × 35mm = 2975mm2 이다.

    브레이크 압력 = 브레이크 힘 ÷ 브레이크 슈 면적

    = 50kgf ÷ 2975mm2

    = 0.0168kgf/mm2

    = 1.68kgf/cm2

    따라서 정답은 "1.6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전자제어 현가장치(ECS)에 대한 입력 신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도어 스위치
  2. 조향 휠 각도
  3. 차속 센서
  4. 파워 윈도우 스위치
(정답률: 65%)
  • ECS는 차량의 전자제어 시스템으로, 주행 중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상황에 대응하여 차량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이 때 ECS에 입력되는 신호는 차량의 상태와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도어 스위치", "조향 휠 각도", "차속 센서"는 모두 차량의 상태나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ECS에 입력되는 신호에 해당됩니다. 하지만 "파워 윈도우 스위치"는 차량의 전기 시스템과 관련된 부품으로, ECS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파워 윈도우 스위치"는 ECS에 대한 입력 신호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금속분말을 소결시킨 브레이크 라이닝으로 열전도성이 크며 몇 개의 조각으로 나누어 슈에 설치된 것은?

  1. 몰드 라이닝
  2. 위븐 라이닝
  3. 메탈릭 라이닝
  4. 세미 메탈릭 라이닝
(정답률: 61%)
  • 금속분말을 소결시켜 만든 브레이크 라이닝은 열전도성이 높아서 빠른 열방출이 가능하며, 몇 개의 조각으로 나누어 슈에 설치되어 마찰면적이 크기 때문에 제동력이 강력합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정답은 "메탈릭 라이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유체 클러치의 스톨 포인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속도비가 “0”일 때를 의미한다.
  2. 스톨 포인트에서 효율이 최대가 된다.
  3. 스톨 포인트에서 토크비가 최대가 된다.
  4. 펌프는 회전하나 터빈이 회전하지 않는 상태이다.
(정답률: 52%)
  • "스톨 포인트에서 토크비가 최대가 된다."가 틀린 것이다. 스톨 포인트는 유체 클러치의 작동 범위에서 가장 낮은 속도로, 속도비가 0이 되는 지점을 의미한다. 이 때, 효율이 최대가 되는데, 이는 펌프와 터빈 간의 유체 이동이 가장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톨 포인트에서는 효율이 최대가 되고, 토크비는 최대가 아닐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자동차의 바퀴가 동적 불균형 상태일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은?

  1. 시미
  2. 요잉
  3. 트램핑
  4. 스탠딩 웨이브
(정답률: 67%)
  • 자동차의 바퀴가 동적 불균형 상태일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은 "시미"입니다. 시미는 바퀴가 회전할 때 중심축 주변으로 발생하는 수평적인 진동 현상으로, 운전자가 핸들을 잡을 때 느껴지는 떨림이나 진동으로 나타납니다. 이는 바퀴의 중심축이 일정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로, 바퀴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균형 조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브레이크 내의 잔압을 두는 이유로 틀린 것은?

  1. 제동의 늦음을 방지하기 위해
  2. 베이퍼 록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3. 브레이크 오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4. 휠 실린더 내의 오일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정답률: 67%)
  • 브레이크 오일은 제동 시에 열이 발생하여 끓어오르거나 증발할 수 있습니다. 이 때 브레이크 내의 잔압을 두면 브레이크 오일이 브레이크 시스템 내에서 움직이지 않고 머무르게 되어 베이퍼 록 현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브레이크 오일이 오염되면 브레이크 시스템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브레이크 오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잔압을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자동차전기

61. 주행 중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 제동 시에 발생된 에너지를 회수(충전)하는 모드는?

  1. 가속 모드
  2. 발진 모드
  3. 시동 모드
  4. 회생제동 모드
(정답률: 81%)
  • 회생제동 모드는 주행 중에 제동 시에 발생된 운동 에너지를 회수하여 배터리에 충전하는 모드이다. 이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연료 소비를 줄이고 환경에 친화적인 운전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정답은 "회생제동 모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이오드 종류 중 역방향으로 일정 이상의 전압을 가하면 전류가 급격히 흐르는 특성을 가지고 회로보호 및 전압조정용으로 사용되는 다이오드는?

  1. 스위치 다이오드
  2. 정류 다이오드
  3. 제너 다이오드
  4. 트리오 다이오드
(정답률: 72%)
  • 제너 다이오드는 역방향으로 일정 이상의 전압을 가하면 전류가 급격히 흐르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회로보호 및 전압조정용으로 사용됩니다. 이는 제너레이터와 유사한 원리로 작동하며, 전압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하면 다이오드 내부에서 전하가 충돌하여 전류가 급격히 증가합니다. 따라서 제너 다이오드는 과전압 보호 및 전압 조정용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두 개의 영구자석 사이에 도체를 직각으로 설치하고 도체에 전류를 흘리면 도체의 한 면에는 전자가 과잉되고 다른 면에는 전자가 부족해 도체 양면을 가로 질러 전압이 발생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홀 효과
  2. 렌츠의 현상
  3. 칼만 볼텍스
  4. 자기유도
(정답률: 57%)
  • 홀 효과는 영구자석 사이에 설치된 도체에 전류를 흘리면 도체의 한 면에는 전자가 과잉되고 다른 면에는 전자가 부족해 도체 양면을 가로 질러 전압이 발생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전자의 스핀과 운동량이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이를 이용하여 자기장 감지기나 자기 기억 장치 등에 활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홀 효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할로겐 전구를 백열전구와 비교했을 때 작동 특성이 아닌 것은?

  1. 필라멘트 코일과 전구의 온도가 아주 높다.
  2. 전구 내부에 봉입된 가스압력이 약 40bar까지 높다.
  3. 유리구 내의 가스로는 불소, 염소, 브롬 등을 봉입한다.
  4. 필라멘트의 가열 온도가 높기 때문에 광효율이 낮다.
(정답률: 63%)
  • 필라멘트의 가열 온도가 높기 때문에 광효율이 낮다는 것은 작동 특성이 아니라 전구의 성능에 대한 설명이다. 이유는 필라멘트가 높은 온도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많은 전력이 소모되어 열에 의해 발생하는 빛보다는 열에 의해 발생하는 에너지가 더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백열전구보다 광효율이 낮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스위치가 OFF되어 있는 상태로 커넥터가 단선되었다. 테스트램프를 사용하여 점검하였을 경우 테스트램프 점등상태로 옳은 것은?

  1. A : OFF, B : OFF, C : OFF, D : OFF
  2. A : ON, B : OFF, C : OFF, D : OFF
  3. A : ON, B : ON, C : OFF, D : OFF
  4. A : ON, B : ON, C : ON, D : OFF
(정답률: 67%)
  • 정답은 "A : ON, B : ON, C : OFF, D : OFF" 이다.

    스위치가 OFF 상태이므로 A와 B 사이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C와 D는 접점이 단절되어 있어 테스트램프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하지만 커넥터가 단선되어 있으므로 A와 C, B와 D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A와 C, B와 D 사이에 있는 테스트램프는 점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20시간율 45Ah, 12V의 완전 충전된 배터리를 20시간율의 전류로 방전시키기 위해 몇 와트(W)가 필요한가?

  1. 21 W
  2. 25 W
  3. 27 W
  4. 30 W
(정답률: 50%)
  • 20시간율 45Ah, 12V의 배터리는 20시간동안 2.25A의 전류를 공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배터리를 20시간율의 전류로 방전시키기 위해서는 2.25A x 12V = 27W의 전력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7 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자동차의 오토라이트 장치에 사용되는 광전도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빛이 약할 경우 저항값이 증가한다.
  2. 빛이 강할 경우 저항값이 감소한다.
  3. 황화카드뮴을 주성분으로 한 소자이다.
  4. 광전소자의 저항값은 빛의 조사량에 비례한다.
(정답률: 61%)
  • "빛이 약할 경우 저항값이 증가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오토라이트 장치에서 사용되는 광전도셀은 빛이 강할수록 저항값이 적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빛이 광전자를 생성하고 전류를 유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빛이 강할 경우 저항값이 감소한다."가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에어컨 구성부품 중 응축기에서 들어온 냉매를 저장하여 액체상태의 냉매를 팽창 밸브로 보내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온도 조절기
  2. 증발기
  3. 리시버 드라이어
  4. 압축기
(정답률: 66%)
  • 리시버 드라이어는 에어컨 구성부품 중 응축기에서 들어온 냉매를 저장하여 액체상태의 냉매를 팽창 밸브로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냉매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필요하며, 동시에 냉매 안에 있는 수분, 먼지, 오일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시스템의 오작동을 방지합니다. 따라서 리시버 드라이어가 에어컨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자동차 에어컨 시스템에서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를 냉각 및 액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압축기
  2. 응축기
  3. 팽창밸브
  4. 증발기
(정답률: 69%)
  • 응축기는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를 압축하여 냉각 및 액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자동차 에어컨 시스템에서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를 냉각 및 액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은 응축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전압 24V, 출력전류 60A인 자동차용 발전기의 출력은?

  1. 0.36 kW
  2. 0.72 kW
  3. 1.44 kW
  4. 1.88 kW
(정답률: 68%)
  • 전압(V) x 전류(A) = 출력(W)
    24V x 60A = 1440W
    따라서, 출력은 1.44 kW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점화플러그의 착화성을 향상 시키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점화플러그의 소염 작용을 크게 한다.
  2. 점화플러그의 간극을 넓게 한다.
  3. 중심 전극을 가늘게 한다.
  4. 접지 전극에 U자의 홈을 설치한다.
(정답률: 42%)
  • "점화플러그의 소염 작용을 크게 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점화플러그의 착화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는 점화플러그의 간극을 넓게 하거나 중심 전극을 가늘게 하는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들은 점화 전류를 증가시켜 점화를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착화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유압계의 형식으로 틀린 것은?

  1. 서모스탯 바이메탈식
  2. 밸런싱 코일 타입
  3. 바이메탈식
  4. 부든 튜브식
(정답률: 48%)
  • 정답은 "서모스탯 바이메탈식"입니다.

    유압계는 압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계기로, 일반적으로 바이메탈식, 부든 튜브식, 밸런싱 코일 타입 등이 있습니다.

    서모스탯은 온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계기로, 유압계와는 다른 형식입니다. 따라서 "서모스탯 바이메탈식"은 유효한 유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에어컨 냉매(R-134a)의 구비조건으로 옳은 것은?

  1. 비등점이 적당히 높을 것
  2. 냉매의 증발 잠열이 작을 것
  3. 응축 압력이 적당히 높을 것
  4. 임계 온도가 충분히 높을 것
(정답률: 54%)
  • 에어컨 냉매는 압축-압축식 냉동기에서 사용되는 냉매로, 냉매가 압축되어 열이 발생하고, 이 열을 외부로 방출하여 냉기를 만드는 원리로 작동합니다. 이 때, 냉매의 임계 온도는 냉매가 압축되어 압력이 증가할 때, 냉매가 액체와 기체 상태 사이를 왔다갔다하는 온도를 말합니다. 이 임계 온도가 충분히 높아야, 냉매가 압축되어 열이 발생할 때, 냉매가 기체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에어컨 냉매의 구비조건으로 "임계 온도가 충분히 높을 것"이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하이브리드 고전압장치 중 프리차저 릴레이 & 프리차저 저항의 기능 아닌 것은?

  1. 메인릴레이 보호
  2. 타 고전압 부품 보호
  3. 메인 퓨즈, 버스바, 와이어 하네스 보호
  4. 배터리 관리 시스템 입력 노이즈 저감
(정답률: 61%)
  • 배터리 관리 시스템 입력 노이즈 저감은 프리차저 릴레이 및 프리차저 저항의 기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프리차저 릴레이는 메인릴레이 보호, 타 고전압 부품 보호, 메인 퓨즈, 버스바, 와이어 하네스 보호와 같은 기능을 수행합니다. 프리차저 저항은 차량의 전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과전압을 제어하여 부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 입력 노이즈 저감은 이들과는 별개의 기능입니다. 이 기능은 차량의 전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기본 점화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1. 산소센서
  2. 모터포지션센서
  3. 공기유량센서
  4. 오일온도센서
(정답률: 56%)
  • 기본 점화시기는 엔진의 공기-연료 혼합비를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공기-연료 혼합비는 공기유량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공기유량센서는 기본 점화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에어백 시스템에서 모듈 탈거 시 각종 에어백 점화 회로가 외부 전원과 단락되어 에어백이 전개될 수 있다.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는 안전장치는?

  1. 단락 바
  2. 프리 텐셔너
  3. 클럭 스프링
  4. 인플레이터
(정답률: 69%)
  • 단락 바는 모듈 탈거 시 각종 에어백 점화 회로가 외부 전원과 단락되어 에어백이 전개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이다. 이는 단락 바가 전기적으로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해도 에어백이 작동하지 않도록 보호해준다. 따라서 단락 바는 에어백 시스템에서 중요한 안전장치 중 하나이다. 프리 텐셔너는 충격을 감지하여 시트 벨트를 조이는 역할을 하고, 클럭 스프링은 에어백이 전개될 때 스티어링 휠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인플레이터는 에어백이 전개될 때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전자제어식 가솔린엔진의 점화시기 제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점화시기와 노킹 발생은 무관하다.
  2. 연소에 의한 최대 연소압력 발생점은 하사점과 일치하도록 제어한다.
  3. 연소에 의한 최대 연소압력 발생점이 상사점 직후에 있도록 제어한다
  4. 연소에 의한 최대 연소압력 발생점이 상사점 직전에 있도록 제어한다.
(정답률: 59%)
  • 가솔린엔진에서 점화시기 제어는 연소에 의한 최대 연소압력 발생점이 상사점 직후에 있도록 제어됩니다. 이는 최대 연소압력을 발생시켜 엔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연소에 의한 최대 연소압력 발생점이 상사점 직후에 있도록 제어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전조등 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조등 회로는 좌우로 직렬 연결되어 있다.
  2. 실드 빔 전조등은 렌즈를 교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3. 실드 빔 전조등 형식은 내부에 불활성 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4. 전조등을 측정할 때 전조등과 시험기의 거리는 반드시 10m를 유지해야 한다.
(정답률: 60%)
  • 실드 빔 전조등은 내부에 불활성 가스가 봉입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밝기와 긴 수명을 가지며, 불꽃이 발생하지 않는 안전한 전조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자동차 기동전동기 종류에서 전기자코일과 계자코일의 접속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직권전동기
  2. 복권전동기
  3. 분권전동기
  4. 파권전동기
(정답률: 63%)
  • 전기자코일과 계자코일의 접속방법은 직권전동기, 복권전동기, 분권전동기에서는 직렬 연결 방식을 사용하고, 파권전동기에서는 병렬 연결 방식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파권전동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자동차 축전지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동장치의 전기적 부하를 담당한다.
  2. 발전기가 고장일 때 주행을 확보하기 위한 전원으로 작동한다.
  3. 주행상태에 따른 발전기의 출력과 부하와의 불균형을 조정한다.
  4. 전류의 화학작용을 이용한 장치이며, 양극판, 음극판 및 전해액이 가지는 화학적에너지를 기계적에너지로 변환하는 기구이다.
(정답률: 57%)
  • 정답: "주행상태에 따른 발전기의 출력과 부하와의 불균형을 조정한다."

    자동차 축전지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저장하고, 시동장치나 전기 부품들의 전기적 부하를 담당하며, 발전기가 고장일 때 주행을 확보하기 위한 전원으로 작동한다. 또한, 축전지는 전류의 화학작용을 이용하여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주행상태에 따른 발전기의 출력과 부하와의 불균형을 조정하는 기능은 축전지가 아닌 전압레귤레이터가 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