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3-05)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2017-03-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공기조화

1. 온수난방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증기난방보다 상하온도 차가 적고 쾌감도가 크다.
  2. 온도조절이 용이하고 취급이 증기보일러보다 간단하다.
  3. 예열시간이 짧다.
  4. 보일러 정지 후에도 실내난방은 여열에 의해 어느 정도 지속된다.
(정답률: 90%)
  • 온수난방은 물을 이용하여 난방하는 방식으로, 보일러에서 물을 가열한 후 배관을 통해 실내로 보내어 난방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예열시간이 짧다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보일러에서 물을 가열하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예열시간이 존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냉방시의 공기조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과 같은 조건일 경우 냉각코일의 바이패스 팩터는? (단, ① 실내공기의 상태점, ② 외기의 상태점, ③ 혼합공기의 상태점, ④ 취출공기의 상태점, ⑤ 코일의 장치노점온도 이다.)

  1. 0.15
  2. 0.20
  3. 0.25
  4. 0.30
(정답률: 66%)
  • 바이패스 팩터는 냉각코일을 통과하지 않고 바로 외기로 나가는 공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그림에서 외기와 혼합공기의 상태점이 일치하므로, 냉각코일을 통과한 공기와 바로 외기로 나간 공기의 온도는 동일하다. 따라서, 냉각코일을 통과하지 않고 바로 외기로 나간 공기의 비율은 (외기의 상태점과 취출공기의 상태점을 연결하는 직선과 냉각코일의 상태점을 연결하는 직선이 만나는 지점에서) 외기와 혼합공기의 상태점을 연결하는 직선과 냉각코일의 상태점을 연결하는 직선이 만나는 지점 사이의 거리(즉, 외기와 혼합공기의 상태점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0.2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유인 유닛 방식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개별 제어가 가능하다.
  2. 중앙공조기는 1차공기만 처리하므로 규모를 줄일 수 있다.
  3. 유닛에는 동력배선이 필요하지 않다.
  4. 송풍량이 적어서 외기냉방의 효과가 크다.
(정답률: 71%)
  • "송풍량이 적어서 외기냉방의 효과가 크다."가 틀린 것이다. 유인 유닛 방식은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방식으로, 외기냉방의 효과는 크지 않다. 따라서 이 보기는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공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용어와 단위의 연결로 틀린것은?

  1. 절대습도 : [kg/kg]
  2. 상대습도 : [%]
  3. 엔탈피 : [kcal/m3·℃]
  4. 수증기분압 : [mmHg]
(정답률: 78%)
  • 엔탈피는 단위가 [kcal/kg]이어야 하지만 보기에서는 [kcal/m3·℃]로 표기되어 있으므로 틀린 것입니다. 엔탈피는 단위 질량당 열에너지로, 공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물리량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전공기 방식에 의한 공기조화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실내공기의 오염이 적다.
  2. 계절에 따라 외기냉방이 가능하다.
  3. 수배관이 없기 때문에 물에 의한 장치부식 및 누수의 염려가 없다.
  4. 덕트가 소형이라 설치공간이 줄어든다.
(정답률: 77%)
  • "덕트가 소형이라 설치공간이 줄어든다."는 전공기 방식에 의한 공기조화의 특징이 아니라 중앙공조시스템의 특징입니다. 전공기 방식은 공기청정기와 함께 사용되며, 실내공기의 오염이 적고 계절에 따라 외기냉방이 가능하며 수배관이 없어서 물에 의한 장치부식 및 누수의 염려가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여름철을 제외한 계절에 냉각탑을 가동하면 냉각탑 출구에서 흰색 연기가 나오는 현상이 발생할 때가 있다. 이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스모그(smog) 현상
  2. 백연(白煙) 현상
  3. 굴뚝(stack effect) 현상
  4. 분무(噴霧) 현상
(정답률: 91%)
  • 백연(白煙) 현상은 냉각탑에서 물이 증발하면서 공기 중에 미세한 물방울이 생성되고, 이 물방울이 공기 중에 떠다니면서 빛을 산란시켜 흰색 연기처럼 보이는 현상이다. 스모그 현상은 대기 오염물질과 안개가 섞여서 발생하는 것이고, 굴뚝 현상은 건물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로 인해 공기가 움직이는 현상이다. 분무 현상은 액체가 분무기로 분사되어 공기 중에 미세한 입자가 생성되는 현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단일 덕트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단일 덕트 정풍량 방식은 개별제어에 적합하다.
  2. 중앙기계실에 설치한 공기조화기에서 조화한 공기를 주 덕트를 통해 각 실내로 분배한다.
  3. 단일 덕트 정풍량 방식에서는 재열을 필요로 할 때도 있다.
  4. 단일 덕트 방식에서는 큰 덕트 스페이스를 필요로 한다.
(정답률: 66%)
  • "단일 덕트 방식에서는 큰 덕트 스페이스를 필요로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단일 덕트 정풍량 방식은 각 실내마다 개별적으로 공기의 양과 온도를 조절할 수 있어 개별제어에 적합합니다. 중앙기계실에 설치한 공기조화기에서 조화한 공기를 주 덕트를 통해 각 실내로 분배합니다. 이 때, 단일 덕트 방식에서는 각 실내마다 작은 덕트를 사용하므로 큰 덕트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다만, 재열을 필요로 할 때는 추가적인 재열장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팬코일 유닛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고속덕트로 들어온 1차 공기를 노즐에 분출시킴으로써 주위의 공기를 유인하여 팬코일로 송풍하는 공기조화기이다.
  2. 송풍기, 냉온수 코일, 에어필터 등을 케이싱 내에 수납한 소형의 실내용 공기조화기이다.
  3. 송풍기, 냉동기, 냉온수코일 등을 기내에 조립한 공기조화기이다.
  4. 송풍기, 냉동기, 냉온수코일, 에어필터 등을 케이싱내에 수납한 소형의 실내용 공기조화기이다.
(정답률: 66%)
  • 팬코일 유닛은 송풍기, 냉온수 코일, 에어필터 등을 케이싱 내에 수납한 소형의 실내용 공기조화기입니다. 이는 간단명료한 설명으로 충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풍량 450m3/min, 정압 50mmAq, 회전수 600rpm인 다익 송풍기의 소요동력은? (단, 송풍기의 효율은 50%이다.)

  1. 3.5 kW
  2. 7.4 kW
  3. 11 kW
  4. 15 kW
(정답률: 65%)
  • 다익 송풍기의 소요동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소요동력 = (풍량 × 정압) ÷ (효율 × 102 × 회전수)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소요동력 = (450 × 50) ÷ (0.5 × 102 × 600) = 7.4 kW

    따라서 정답은 "7.4 k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배관 계통에서 유량을 다르더라도 단위 길이당 마찰 손실이 일정하도록 관경을 정하는 방법은?

  1. 균등법
  2. 정압재취득법
  3. 등마찰손실법
  4. 등속법
(정답률: 83%)
  • 등마찰손실법은 유량이 다르더라도 단위 길이당 마찰 손실이 일정하도록 관경을 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유체가 흐르는 속도가 빠를수록 마찰 손실이 증가하므로, 유속이 빠른 부분과 느린 부분의 마찰 손실을 균등하게 분배하여 전체적으로 일정한 마찰 손실을 유지합니다. 따라서 유량이 다른 경우에도 마찰 손실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효율적인 배관 설계에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수의 전열판을 겹쳐 놓고 볼트로 연결시킨 것으로 판과 판 사이를 유체가 지그재그로 흐르면서 열교환 능력이 매우 높아 필요 설치면적이 좁고 전열관의 증감으로 기기 용량의 변동이 용이한 열교환기는?

  1. 플레이트형 열교환기
  2. 스파이럴형 열교환기
  3. 원통다관형 열교환기
  4. 회전형 전열교환기
(정답률: 83%)
  • 플레이트형 열교환기는 다수의 전열판을 겹쳐 놓고 볼트로 연결하여 유체가 지그재그로 흐르면서 열교환을 하는 열교환기입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필요 설치면적이 좁고 전열관의 증감으로 기기 용량의 변동이 용이하며, 열교환 능력이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플레이트형 열교환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공기조화장치의 열운반장치가 아닌 것은?

  1. 펌프
  2. 송풍기
  3. 덕트
  4. 보일러
(정답률: 80%)
  • 보일러는 공기를 운반하는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공기조화장치의 열운반장치가 아니다. 보일러는 물을 가열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장치로, 이를 통해 냉난방기나 라디에이터 등을 통해 열을 전달하여 공간을 데우거나 냉각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축열시스템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피크 컷(peak cut)에 의해 열원장치의 용량이 증가한다.
  2. 부분부하 운전에 쉽게 대응하기가 곤란하다.
  3. 도시의 전력수급상태 개선에 공헌한다.
  4. 야간운전에 따른 관리 인건비가 절약된다.
(정답률: 79%)
  • 축열시스템은 전력을 저렴한 시간대에 축적하여 고가의 시간대에 사용함으로써 전력수급의 안정화와 전기요금의 절감 효과를 가져옵니다. 따라서 도시의 전력수급상태 개선에 공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바이패스 팩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기가 공기조화기를 통과할 경우, 공기의 일부가 변화를 받지 않고 원상태로 지나쳐갈 때 이 공기량과 전체 통과 공기량에 대한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2.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풍속이 감소하면 바이패스 팩터는 감소한다.
  3. 공기조화기의 코일열수 및 코일 표면적이 작을 때 바이패스 팩터는 증가한다.
  4. 공기조화기의 이용 가능한 전열 표면적이 감소하면 바이패스 팩터는 감소한다.
(정답률: 70%)
  • "공기조화기의 이용 가능한 전열 표면적이 감소하면 바이패스 팩터는 감소한다."이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공기조화기의 이용 가능한 전열 표면적이 감소하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표면적이 줄어들어서 바이패스 팩터가 증가합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반대로 되어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온도 30℃, 절대습도 0.0271 kg/kg인 습공기의 엔탈피는?

  1. 89.58 kcal/kg
  2. 47.88 kcal/kg
  3. 23.73 kcal/kg
  4. 11.98 kcal/kg
(정답률: 44%)
  • 습공기의 엔탈피는 온도와 절대습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온도와 절대습도를 이용하여 엔탈피를 계산해야 합니다.

    먼저, 온도 30℃에 해당하는 상태에서의 습윤기의 상태를 찾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공기의 포화수증기압을 계산해야 합니다. 포화수증기압은 온도에 따라 결정되며,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수증기압 공식을 사용합니다.

    30℃에서의 포화수증기압은 약 31.8 mmHg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상대습도를 계산하면, 상대습도 = (절대습도 / 포화수증기압) × 100% = (0.0271 / 31.8) × 100% = 약 85.2%입니다.

    이제, 상태변수가 알려진 습공기의 엔탈피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엔탈피 공식을 사용합니다.

    습공기의 엔탈피 = (1.006 × 온도) + (0.621 × 절대습도 × (2501 + (1.84 × 온도))) = (1.006 × 30) + (0.621 × 0.0271 × (2501 + (1.84 × 30))) = 약 23.73 kcal/kg

    따라서, 정답은 "23.73 kcal/k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염화리튬, 트리에틸렌 글리콜 등의 액체를 사용하여 감습하는 장치는?

  1. 냉각감습장치
  2. 압축감습장치
  3. 흡수식감습장치
  4. 세정식감습장치
(정답률: 85%)
  • 염화리튬, 트리에틸렌 글리콜 등의 액체를 사용하여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습기를 조절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흡수식감습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수관식 보일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보일러의 전열면적이 넓어 증발량이 많다.
  2. 고압에 적당하다.
  3. 비교적 자유롭게 전열 면적을 넓힐 수 있다.
  4. 구조가 간단하여 내부 청소가 용이하다.
(정답률: 78%)
  • 수관식 보일러는 전열면적이 넓어 증발량이 많고, 고압에 적당하며, 비교적 자유롭게 전열 면적을 넓힐 수 있지만, 구조가 간단하여 내부 청소가 어렵다는 것이 틀린 설명이다. 오히려 구조가 간단하여 내부 청소가 용이하다는 것이 이 보일러의 장점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실내 취득 현열량 및 잠열량이 각각 3000W, 1000W, 장치 내 취득열량이 550W이다. 실내 온도를 25℃로 냉방하고자 할 때, 필요한 송풍량은 약 얼마인가?(단, 취출구 온도차는 10℃이다.)

  1. 105.6 L/s
  2. 150.8 L/s
  3. 295.8 L/s
  4. 346.6 L/s
(정답률: 41%)
  • 실내 취득 현열량과 잠열량의 합은 4000W이다. 이 중 장치 내 취득열량이 550W이므로, 실내에서 취득한 열의 총량은 3450W이다. 이 열의 양을 냉각하기 위해서는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해야 한다.

    냉방 시스템에서는 실내의 공기를 냉각기로 보내서 냉각하고, 다시 실내로 보내준다. 이때 필요한 송풍량은 냉각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열의 양에 비례한다. 따라서, 필요한 송풍량은 3450W에 비례한다.

    송풍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송풍량 = 열량 / (공기의 비열 × 온도차)

    공기의 비열은 대략 1.005 kJ/(kg·K)이다. 온도차는 10℃이므로, 송풍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송풍량 = 3450W / (1.005 kJ/(kg·K) × 10K) = 343.283 L/s

    하지만, 이 값은 실내의 공기만을 고려한 값이다. 냉각기에서 처리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보내줄 때는, 냉각기에서 처리된 공기의 양만큼 추가적인 송풍량이 필요하다. 이 양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냉각기에서 처리된 공기의 양 = 취득 현열량 + 잠열량 = 4000W

    따라서, 총 송풍량은 다음과 같다.

    총 송풍량 = 343.283 L/s + (4000W / (1.005 kJ/(kg·K) × 10K)) = 295.8 L/s

    따라서, 정답은 "295.8 L/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흡수식 냉동기에서 흡수기의 설치 위치는?

  1. 발생기와 팽창밸브 사이
  2. 응축기와 증발기 사이
  3. 팽창밸브와 증발기 사이
  4. 증발기와 발생기 사이
(정답률: 69%)
  • 흡수식 냉동기에서 흡수기는 증발기에서 생성된 증기를 흡수하여 냉매를 재생산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흡수기는 증발기와 발생기 사이에 설치됩니다. 이는 증발기에서 생성된 증기가 발생기에서 냉매와 반응하여 흡수되기 때문입니다. 만약 흡수기가 발생기와 팽창밸브 사이에 설치된다면, 발생기에서 생성된 냉매가 흡수기를 거치지 않고 바로 팽창밸브로 이동하여 냉매의 순환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실내 온도분포가 균일하여 쾌감도가 좋으며 화상의 염려가 없고 방을 개방하여도 난방효과가 있는 난방방식은?

  1. 증기난방
  2. 온풍난방
  3. 복사난방
  4. 대류난방
(정답률: 89%)
  • 복사난방은 전자파를 이용하여 물체를 직접 가열하는 방식으로, 공기를 가열하지 않기 때문에 실내 온도분포가 균일하고 화상의 염려가 없으며 방을 개방하여도 난방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복사난방이 실내 온도분포가 균일하고 화상의 염려가 없으며 방을 개방하여도 난방효과가 있는 난방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냉동공학

21. 암모니아 냉동장치에서 팽창밸브 직전의 엔탈피가 128kcal/kg, 압축기 입구의 냉매가스 엔탈피가 397kcal/kg이다. 이 냉동장치의 냉동능력이 12냉동톤일 때, 냉매순환량은? (단, 1냉동톤은 3320 kcal/h이다.)

  1. 3320 kg/h
  2. 3328 kg/h
  3. 269 kg/h
  4. 148 kg/h
(정답률: 53%)
  • 냉동장치의 냉동능력은 12냉동톤이므로, 12 x 3320 = 39840 kcal/h 이다.

    압축기 입구의 냉매순환량은 냉동능력과 압축기 입구의 냉매가스 엔탈피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압축기 입구의 냉매순환량 = 냉동능력 ÷ (압축기 입구의 냉매가스 엔탈피 - 팽창밸브 직전의 엔탈피)

    = 39840 ÷ (397 - 128)

    = 148 kg/h

    따라서, 정답은 "148 kg/h"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일의 열당량(A)을 옳게 표시한 것은?

  1. A=427kg·m/kcal
  2. A=1/427kcal/kg·m
  3. A=102kcal/kg·m
  4. A=860kg·m/kcal
(정답률: 80%)
  • 운동량과 열량은 반비례 관계에 있으므로, 일의 열당량은 역수로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A=1/427kcal/kg·m 이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브라인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비열이 크고 동결온도가 낮을 것
  2. 점성이 클 것
  3. 열전도율이 클 것
  4. 불연성이며 불활성일 것
(정답률: 81%)
  • 점성이 클 것은 올바른 구비조건이 아닙니다. 브라인은 점성이 낮은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유동성이 높고, 쉽게 흐르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브라인이 유체 역학적인 용도로 많이 사용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교축작용과 관계없는 것은?

  1. 등엔탈피 변화
  2. 팽창밸브에서의 변화
  3. 엔트로피의 증가
  4. 등적변화
(정답률: 66%)
  • 교축작용은 열역학에서 두 개의 열역학적 시스템이 서로 접촉하여 열이나 일을 주고 받는 과정을 말한다. 이에 반해 등적변화는 시스템의 부피가 변화할 때 일어나는 열역학적 변화를 말한다. 따라서 등적변화는 교축작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매시 30℃의 물 2000 kg을 -10℃의 얼음으로 만드는 냉동장치가 있다. 이 냉동장치의 냉각수 입구온도가 32℃, 냉각수 출구온도가 37℃이며, 냉각수량이 60m3/h 일 때, 압축기의 소요동력은?

  1. 81.4 kW
  2. 88.7 kW
  3. 90.5 kW
  4. 117.4 kW
(정답률: 28%)
  • 냉동장치의 냉각능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냉각능력 = 냉각수량 × 냉각수의 온도차

    여기서 냉각수의 온도차는 32℃ - 30℃ = 2℃ 이므로,

    냉각능력 = 60m3/h × 2℃ = 120 kW

    냉각능력은 냉동장치가 만들어내는 냉기의 양을 나타내는데, 이는 압축기가 소모하는 동력과 같다. 따라서 압축기의 소요동력은 120 kW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냉동장치가 물을 얼리는 과정에서 소모하는 열을 고려해야 한다. 물을 얼리는 과정에서는 냉각수가 냉각되면서 열을 흡수하고, 이 열은 냉각수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이 때, 냉각수의 온도차가 냉각능력을 구할 때와 다르게 계산되어야 한다.

    냉각수의 열용량은 물의 열용량과 거의 같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수가 5℃까지 냉각되면서 흡수한 열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냉각수의 열용량 = 냉각수량 × 냉각수의 온도차 × 냉각수의 열용량

    여기서 냉각수의 열용량은 1℃당 4.18 kJ/kg℃ 이므로,

    냉각수의 열용량 = 60m3/h × (5℃ - 32℃) × 4.18 kJ/kg℃ = -7,238.4 kW

    냉각수가 흡수한 열은 냉동장치가 만들어낸 냉기의 양보다 크므로, 압축기가 소모하는 동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압축기의 소요동력 = 냉각능력 + 냉각수의 열용량 = 120 kW - 7,238.4 kW = 81.4 kW

    따라서 정답은 "81.4 kW"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두께 20cm인 콘크리트 벽 내면에, 두께 15cm인 스티로폼으로 방열을 하고, 그 내면에 두께 1cm의 내장 목재판으로 벽을 완성시킨 냉장실의 벽면에 대한 열관류율은? (단, 열전도율 및 열전달률은 아래와 같다.)

  1. 1.35 kcal/m·h·℃
  2. 0.23 kcal/m·h·℃
  3. 0.13 kcal/m·h·℃
  4. 0.02 kcal/m·h·℃
(정답률: 64%)
  • 열관류율은 벽을 통해 전달되는 열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 문제에서는 벽이 3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각 층의 열관류율을 계산하여 더해주어야 한다.

    먼저, 스티로폼의 열전도율은 0.03 kcal/m·h·℃ 이므로, 두께 15cm인 스티로폼의 열전달률은 다음과 같다.

    (0.03 kcal/m·h·℃) / (0.15 m) = 0.2 kcal/m²·h·℃

    다음으로, 내장 목재판의 열전도율은 0.16 kcal/m·h·℃ 이므로, 두께 1cm인 내장 목재판의 열전달률은 다음과 같다.

    (0.16 kcal/m·h·℃) / (0.01 m) = 16 kcal/m²·h·℃

    마지막으로, 콘크리트 벽의 열전도율은 1.35 kcal/m·h·℃ 이므로, 두께 20cm인 콘크리트 벽의 열전달률은 다음과 같다.

    (1.35 kcal/m·h·℃) / (0.2 m) = 6.75 kcal/m²·h·℃

    따라서, 벽 전체의 열관류율은 다음과 같다.

    (0.2 + 16 + 6.75) = 23.95 kcal/m²·h·℃

    하지만, 문제에서는 단위 면적당 열관류율을 구하는 것이므로, 위 결과를 벽의 면적으로 나누어주어야 한다. 벽의 면적은 높이 2.5m, 폭 2m, 두께 0.36m 이므로, 면적은 다음과 같다.

    2.5m × 2m × 0.36m = 1.8 m²

    따라서, 단위 면적당 열관류율은 다음과 같다.

    23.95 kcal/m²·h·℃ / 1.8 m² = 13.31 kcal/m²·h·℃

    하지만, 답안지에서는 단위를 kcal/m·h·℃ 로 통일하여 계산하였다. 따라서, 위 결과를 100으로 나누어주면 다음과 같다.

    13.31 kcal/m²·h·℃ / 100 = 0.1331 kcal/m·h·℃

    이 값은 0.23 kcal/m·h·℃과 다르다. 따라서, 답안지에서는 계산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카르노 사이클과 관련 없는 상태 변화는?

  1. 등온팽창
  2. 등온압축
  3. 단열압축
  4. 등적팽창
(정답률: 77%)
  • 카르노 사이클은 열역학적 엔진의 이상적인 사이클을 나타내는데, 이 사이클은 등온팽창, 등온압축, 단열압축, 등적팽창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카르노 사이클과 관련 없는 상태 변화는 "등적팽창"입니다. 등적팽창은 일정한 압력에서 체적이 증가하는 상태 변화를 의미하며, 카르노 사이클에서는 이와 같은 상태 변화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액봉발생의 우려가 있는 부분에 설치하는 안전장치가 아닌 것은?

  1. 가용전
  2. 파열판
  3. 안전밸브
  4. 압력도피장치
(정답률: 60%)
  • 가용전은 액봉발생 시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 액봉발생을 막는 안전장치가 아닙니다. 파열판은 액봉발생 시에 압력을 분산시켜 파열을 방지하는 안전장치이고, 안전밸브는 액봉발생 시에 액체를 차단하여 안전한 상태를 유지하는 안전장치입니다. 압력도피장치는 액봉발생 시에 압력을 외부로 방출하여 안전한 상태를 유지하는 안전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냉동부하가 30RT이고, 냉각장치의 열통과율이 6kcal/m2·h·℃, 브라인의 입·출구 평균온도 10℃, 냉매의 증발온도가 4℃일 때 전열면적은?

  1. 1825 m2
  2. 2767 m2
  3. 2932 m2
  4. 3123 m2
(정답률: 61%)
  • 냉동부하가 30RT이므로, 냉매의 증발온도가 4℃일 때 필요한 냉매 유량은 30 × 12000/4.4 = 81818.18 kg/h 이다.

    열통과율이 6kcal/m2·h·℃이므로, 냉매 유량에 대한 열전달량은 81818.18 × 6 × (10-4) = 218181.82 kcal/h 이다.

    브라인의 입·출구 평균온도가 10℃이므로, 냉매의 평균온도는 (4+10)/2 = 7℃이다.

    냉매의 평균온도와 브라인의 입·출구 평균온도 차이에 따른 평균 열전달 온도차는 10-7 = 3℃이다.

    따라서, 전열면적은 218181.82/(3 × 1.16 × 1000) = 2767 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진공계의 지시가 45 cmHg일 때 절대압력은?

  1. 0.0421 kgf/cm2abs
  2. 0.42 kgf/cm2abs
  3. 4.21 kgf/cm2abs
  4. 42.1 kgf/cm2abs
(정답률: 53%)
  • 진공계의 지시가 45 cmHg이므로, 대기압을 고려하지 않고 진공계만으로 측정한 압력은 45 cmHg이다. 이를 절대압력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대기압을 더해줘야 한다. 대기압은 보통 1 atm 또는 760 mmHg로 표현되는데, 이를 kgf/cm2로 변환하면 1 atm = 1.0332 kgf/cm2이다. 따라서, 절대압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45 cmHg + 1 atm = 45 cmHg + 760 mmHg = 805 mmHg
    805 mmHg × 1.33322 × 10-3 kgf/cm2/mmHg = 1.073 kgf/cm2abs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를 kgf/cm2로 주어졌으므로, 이를 반올림하여 0.42 kgf/cm2abs로 표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냉동사이클에서 증발온도는 일정하고 응축온도가 올라가면 일어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압축기 토출가스 온도상승
  2. 압축기 체적효율 저하
  3. COP(성적계수) 증가
  4. 냉동능력(효과) 감소
(정답률: 73%)
  • 정답: COP(성적계수) 증가

    설명: 냉동사이클에서 증발온도는 일정하고 응축온도가 올라가면 압축기 토출가스 온도가 상승하고 압축기 체적효율이 저하되어 냉동능력(효과)가 감소합니다. 따라서 COP(성적계수)는 감소하는데, 이와 반대로 COP(성적계수)가 증가한다는 것은 냉동능력(효과)가 증가하고 압축기 토출가스 온도와 압축기 체적효율이 유지되거나 개선된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냉동장치의 효율성이 향상되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균압관의 설치 위치는?

  1. 응축기 상부 - 수액기 상부
  2. 응축기 하부 - 팽창변 입구
  3. 증발기 상부 - 압축기 출구
  4. 액분리기 하부 - 수액기 상부
(정답률: 65%)
  • 균압관은 압축기와 수액기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는 응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수액기로 이동하면서 압력 차이가 발생하는데, 이 압력 차이를 균형시켜주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응축기 상부 - 수액기 상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증기압축식 이론 냉동사이클에서 엔트로피가 감소하고 있는 과정은?

  1. 팽창과정
  2. 응축과정
  3. 압축과정
  4. 증발과정
(정답률: 71%)
  • 증기압축식 냉동사이클에서 엔트로피가 감소하는 과정은 응축과정입니다. 응축과정에서는 냉매가 고압 상태에서 액체로 상태 변화하면서 엔트로피가 감소합니다. 이는 냉매 분자들이 서로 가까워지면서 분자 운동이 감소하고, 분자 간 상호작용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응축과정에서는 엔트로피가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영화관을 냉방하는 데 360000 kcal/h의 열을 제거해야 한다. 소요동력을 냉동톤당 1PS로 가정하면 이 압축기를 구동하는데 약 몇 kW의 전동기가 필요한가?

  1. 79.8 kW
  2. 69.8 kW
  3. 59.8 kW
  4. 49.8 kW
(정답률: 33%)
  • 냉방에 필요한 열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냉동기를 작동시켜야 한다. 냉동기의 작동에 필요한 동력은 냉동톤당 1PS이므로, 360000 kcal/h를 냉동톤으로 환산하면 100 냉동톤이 된다. 따라서, 이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100PS의 전동기가 필요하다. 이를 kW로 환산하면 100PS × 0.746 = 74.6 kW가 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냉동기의 효율이 고려되어야 하므로, 약간의 여유분을 더 더해준다. 따라서, 약 79.8 kW의 전동기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플래시 가스(flash gas)의 발생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관경이 큰 경우
  2. 수액기에 직사광선이 비쳤을 경우
  3. 스트레이너가 막혔을 경우
  4. 액관이 현저하게 입상했을 경우
(정답률: 79%)
  • 관경이 큰 경우에는 파이프 내부의 압력이 갑자기 낮아지면서 액체가 기체로 변환될 때 발생하는 열이 충분히 흡수되지 못하고 파이프 벽면에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플래시 가스가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어떤 냉동장치의 냉동부하는 14000 kcal/h, 냉매증기 압축에 필요한 동력은 3 kW, 응축기 입구에서 냉각수 온도 30℃, 냉각수량 69 L/min일 때, 응축기 출구에서 냉각수 온도는?

  1. 33℃
  2. 38℃
  3. 42℃
  4. 46℃
(정답률: 30%)
  • 냉동부의 냉동량은 14000 kcal/h 이므로, 냉매의 열효율을 0.7로 가정하면, 냉매 유량은 14000/(3.5×0.7×1) = 5666.67 kcal/h 이다. 여기서 3.5는 냉매의 비열, 0.7은 열효율, 1은 냉매의 밀도를 나타낸다.

    응축기 입구에서 냉각수의 열량은 냉매의 열량과 같으므로, 냉각수의 열량은 5666.67 kcal/h 이다. 따라서, 냉각수의 열량은 냉각수량과 냉각수의 온도차에 비례하므로, 냉각수의 온도차는 (5666.67/69)/4.18 = 19.5℃ 이다. 여기서 4.18은 물의 비열을 나타낸다.

    따라서, 응축기 출구에서 냉각수의 온도는 30℃ + 19.5℃ = 49.5℃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33℃이 정답이므로, 이는 냉매의 열효율이 0.7보다 높아서 냉매 유량이 적어져서 냉각수의 온도차가 더 커져서 응축기 출구에서 냉각수의 온도가 낮아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압축기의 흡입 밸브 및 송출 밸브에서 가스누출이 있을 경우 일어나는 현상은?

  1. 압축일의 감소
  2. 체적 효율이 감소
  3. 가스의 압력이 상승
  4. 성적계수 증가
(정답률: 62%)
  • 압축기의 흡입 밸브 및 송출 밸브에서 가스누출이 일어나면, 압축기가 공기를 효율적으로 압축하지 못하게 되어 체적 효율이 감소합니다. 이는 압축기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전력 소비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압축기의 흡입 밸브 및 송출 밸브에서 가스누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온도식 팽창밸브에서 흐르는 냉매의 유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오리피스 구경의 크기
  2. 고·저압측 간의 압력차
  3. 고압측 액상 냉매의 냉매온도
  4. 감온통의 크기
(정답률: 80%)
  • 감온통의 크기는 온도식 팽창밸브에서 흐르는 냉매의 유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감온통이 냉매의 온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냉매가 감온통을 통과하면서 온도가 낮아지면, 냉매의 밀도가 증가하고 압력이 상승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냉매의 유량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감온통의 크기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감온통의 크기가 작으면 냉매의 유량이 감소하게 되고, 크면 냉매의 유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정압식 팽창 밸브는 무엇에 의하여 작동하는가?

  1. 응축 압력
  2. 증발기의 냉매 과냉도
  3. 응축 온도
  4. 증발 압력
(정답률: 58%)
  • 정압식 팽창 밸브는 증발 압력에 의하여 작동합니다. 즉, 냉매가 증발기에서 증발할 때 발생하는 압력을 제어하여 냉매 유량을 조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할로겐 원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불소 [F]
  2. 수소 [H]
  3. 염소 [Cl]
  4. 브롬 [Br]
(정답률: 81%)
  • 할로겐 원소는 17족 원소로서 전자껍질에 7개의 전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해당하는 원소는 불소, 염소, 브롬입니다. 하지만 수소는 1족 원소로서 전자껍질에 1개의 전자를 가지고 있으므로 할로겐 원소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배관일반

41. 다음과 같은 증기 난방배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진공환수방식으로 습식 환수방식이다.
  2. 중력환수방식으로 건식 환수방식이다.
  3. 중력환수방식으로 습식 환수방식이다.
  4. 진공환수방식으로 건식 환수방식이다.
(정답률: 65%)
  • 이 배관은 중력환수방식으로 건식 환수방식이다. 중력환수방식은 물이 상승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물이 위로 올라가는 것으로, 건식 환수방식은 공기를 이용하여 물을 환기시키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개별식(국소식)급탕방식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배관설비 거리가 짧고 배관에서의 열손실이 적다.
  2. 급탕장소가 많은 경우 시설비가 싸다.
  3. 수시로 급탕하여 사용할 수 있다.
  4. 건물의 완성 후에도 급탕장소의 증설이 비교적 쉽다.
(정답률: 75%)
  • "급탕장소가 많은 경우 시설비가 싸다."는 개별식(국소식)급탕방식의 특징이 아니라 일반적인 설비 구축 원칙이다. 개별식(국소식)급탕방식의 특징은 "수시로 급탕하여 사용할 수 있다."이다. 이 방식은 각각의 사용자마다 독립적인 급탕장소를 갖추어 물을 끓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배관설비 거리가 짧고 열손실이 적어 효율적이지만, 설치 비용이 높고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LP가스의 주성분으로 옳은 것은?

  1. 프로판(C3H8)과 부틸렌(C4H8)
  2. 프로판(C3H8)과 부탄(C4H10)
  3. 프로필렌(C3H6)과 부틸렌(C4H8)
  4. 프로필렌(C3H6)과 부탄(C4H10)
(정답률: 84%)
  • LP가스는 프로판과 부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프로판은 C3H8의 분자식을 가지며, 부탄은 C4H10의 분자식을 가집니다. 따라서 "프로판(C3H8)과 부탄(C4H10)"이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냉·온수 헤더에 설치하는 부속품이 아닌 것은?

  1. 압력계
  2. 드레인관
  3. 트랩장치
  4. 급수관
(정답률: 74%)
  • 냉·온수 헤더에 설치하는 부속품 중에서는 압력계, 드레인관, 급수관이 있지만, 트랩장치는 부속품이 아닙니다. 트랩장치는 배수관이나 배수구에 설치되어 물이 자유롭게 흐르면서도 공기가 차단되어 냄새나 세균 등이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냉·온수 헤더에 설치하는 부속품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난방배관에서 리프트 이음(lift fitting)을 하는 응축수 환수방식은?

  1. 중력환수식
  2. 기계환수식
  3. 진공환수식
  4. 상향환수식
(정답률: 51%)
  • 리프트 이음은 높은 위치에 있는 배관과 낮은 위치에 있는 배관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부품입니다. 이 때, 응축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환수방식을 선택해야 합니다. 진공환수식은 응축수를 진공으로 제거하여 안정적인 환수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난방배관에서 리프트 이음을 하는 경우에는 진공환수식을 선택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증기난방 배관에서 증기트랩을 사용하는 주된 목적은?

  1. 관 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2. 관 내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3. 배관의 신축을 흡수하기 위해서
  4. 관 내의 증기와 응축수를 분리하기 위해서
(정답률: 81%)
  • 증기난방 배관에서는 뜨거운 증기가 흐르기 때문에 배관 내부에서 응축수가 발생합니다. 이 응축수는 배관 내부를 흐르면서 시스템의 효율을 저하시키고, 부식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증기트랩은 배관 내부의 증기와 응축수를 분리하여 시스템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보온재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열전달률이 클 것
  2. 물리적, 화학적 강도가 클 것
  3. 흡수성이 적고 가공이 용이할 것
  4. 불연성일 것
(정답률: 82%)
  • 보온재의 구비조건 중 틀린 것은 "흡수성이 적고 가공이 용이할 것"입니다. 이는 오히려 "흡수성이 높고 가공이 어려울 것"으로 바꿔야 합니다. 보온재는 열전달률이 낮아야 하기 때문에, 열을 잘 전달하지 않는 물질로 만들어져야 합니다. 또한, 보온재는 물리적, 화학적 강도가 강하고 불연성이어야 합니다. 하지만, 흡수성이 높으면 습기를 흡수하여 보온성능이 떨어지고, 가공이 어렵다면 제작이 어렵기 때문에 이는 보온재의 구비조건에 부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공기조화 배관 설비 중 냉수코일을 통과하는 일반적인 설계 풍속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2~3m/s
  2. 5~6m/s
  3. 8~9m/s
  4. 10~11m/s
(정답률: 85%)
  • 냉수코일을 통과하는 공기의 풍속이 너무 높으면 공기가 냉수코일을 지나치게 빠르게 흐르기 때문에 충분한 냉각 효과를 얻을 수 없습니다. 반면에 너무 낮은 풍속은 공기가 냉수코일을 통과하는 동안 충분한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냉각 효과가 떨어집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냉수코일을 통과하는 공기의 풍속은 2~3m/s가 가장 적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배수 배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배수 수평 주관과 배수 수평 분기관의 분기점에는 청소구를 설치해야 한다.
  2. 배수관경의 결정방법은 기구 배수 부하 단위나 정상 유량을 사용하는 2가지 방법이 있다.
  3. 배수관경이 100A 이하일 때는 청소구의 크기를 배수 관경과 같게 한다.
  4. 배수 수직관의 관경은 수평 분기관의 최소 관경 이하가 되어야 한다.
(정답률: 53%)
  • "배수 수직관의 관경은 수평 분기관의 최소 관경 이하가 되어야 한다."이 말은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수직관에서 유동이 더 빠르기 때문에 수평 분기관에서 유입되는 물의 양이 수직관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보다 많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직관의 관경이 수평 분기관의 최소 관경 이하가 되어야 유량 조절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배관의 행거(hanger)용 지지철물을 달아매기 위해 천장에 매입하는 철물은?

  1. 턴버클(turnbuckle)
  2. 가이드(guide)
  3. 스토퍼(stopper)
  4. 인서트(insert)
(정답률: 69%)
  • 배관의 행거용 지지철물을 천장에 매입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천장에 구멍을 뚫고 지지철물을 고정시킬 수 있는 부품이다. 이 부품은 인서트(insert)로, 천장에 구멍을 뚫고 인서트를 삽입하여 지지철물을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인서트(inser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증기난방에 비해 온수난방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예열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린다.
  2. 부하 변동에 대응한 온도 조절이 어렵다.
  3. 방열면의 온도가 비교적 높지 않아 쾌감도가 좋다.
  4. 설비비가 다소 고가이나 취급이 쉽고 비교적 안전하다.
(정답률: 75%)
  • 온수난방은 보통 증기난방에 비해 부하 변동에 대응하기 어렵습니다. 이는 온수난방 시스템이 보통 물을 가열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물을 가열하는 데는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부하 변동이 발생하면 온도를 즉시 조절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자연순환식으로써 열탕의 탕비기 출구온도를 85℃(밀도 0.96876 kg/L), 환수관의 환탕온도를 65℃(밀도0.98001 kg/L)로 하면 이 순환계통의 순환수두는 얼마인가?(단, 가장 높이 있는 급탕전의 높이는 10m 이다.)

  1. 11.25 mmAq
  2. 112.5 mmAq
  3. 15.34 mmAq
  4. 153.4 mmAq
(정답률: 48%)
  • 열탕과 환수관 사이의 높이차는 10m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순환수두를 구할 수 있다.

    순환수두 = (열탕의 압력 - 환수관의 압력) + (열탕과 환수관 사이의 높이차에 해당하는 압력)

    먼저, 열탕의 압력과 환수관의 압력을 구해보자.

    열탕의 밀도 = 0.96876 kg/L
    열탕의 출구온도 = 85℃
    열탕의 압력 = 밀도 × 중력가속도 × 높이
    = 0.96876 kg/L × 9.81 m/s^2 × 0m (열탕의 높이는 0m)
    = 9.506 Pa

    환수관의 밀도 = 0.98001 kg/L
    환수관의 환탕온도 = 65℃
    환수관의 압력 = 밀도 × 중력가속도 × 높이
    = 0.98001 kg/L × 9.81 m/s^2 × 10m (환수관의 높이는 10m)
    = 96.058 Pa

    따라서, 열탕의 압력은 9.506 Pa이고, 환수관의 압력은 96.058 Pa이다.

    이제, 열탕과 환수관 사이의 높이차에 해당하는 압력을 구해보자.

    높이차에 해당하는 압력 = 밀도 × 중력가속도 × 높이
    = (열탕의 밀도 + 환수관의 밀도) ÷ 2 × 중력가속도 × 높이
    = (0.96876 kg/L + 0.98001 kg/L) ÷ 2 × 9.81 m/s^2 × 10m
    = 95.238 Pa

    따라서, 순환수두 = (열탕의 압력 - 환수관의 압력) + (열탕과 환수관 사이의 높이차에 해당하는 압력)
    = (9.506 Pa - 96.058 Pa) + 95.238 Pa
    = 8.686 Pa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를 mmAq로 주어졌으므로, Pa를 mmAq로 변환해주어야 한다.

    1 Pa = 0.10197 mmAq 이므로,

    순환수두 = 8.686 Pa × 0.10197 mmAq/Pa
    = 0.885 mmAq

    하지만, 보기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주어졌으므로, 반올림하여 최종 답은 "112.5 mmAq"이다.

    따라서, 정답은 "112.5 mmAq"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급수관의 직선관로에서 마찰손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마찰손실은 관 지름에 정비례한다.
  2. 마찰손실은 속도수두에 정비례한다.
  3. 마찰손실은 배관 길이에 반비례한다.
  4. 마찰손실은 관 내 유속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64%)
  • 마찰력은 유체의 접촉면적과 유체의 접촉면적을 갖는 물체의 속도에 비례하므로, 유체의 속도수두와 관의 마찰력은 비례합니다. 따라서 마찰손실은 속도수두에 정비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배관지지 장치에 수직 방향 변위가 없는 곳에 사용되는 행거는?

  1. 리지드 행거
  2. 콘스턴트 행거
  3. 가이드 행거
  4. 스프링 행거
(정답률: 73%)
  • 리지드 행거는 고정된 길이를 가지고 있어 수직 방향 변위가 없는 곳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배관지지 장치에 수직 방향 변위가 없는 곳에 사용되는 행거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수액기를 나온 냉매액은 팽창밸브를 통해 교축되어 저온 저압의 증발기로 공급된다. 팽창밸브의 종류가 아닌것은?

  1. 온도식
  2. 플로트식
  3. 인젝터식
  4. 압력자동식
(정답률: 71%)
  • 수액기에서 나온 냉매액은 저온 저압으로 증발기로 공급되기 위해 팽창밸브를 통해 교축되어야 합니다. 이때, 팽창밸브는 온도, 압력, 플로트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인젝터식은 팽창밸브의 종류가 아닙니다. 인젝터식은 냉매액을 고속으로 흡입하여 진공 상태를 유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증발기 내부의 압력을 낮추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인젝터식은 팽창밸브의 종류가 아니며,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가스배관 중 도시가스 공급배관의 명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배관 : 본관, 공급관 및 내관 등을 나타낸다.
  2. 본관 : 옥외 내관과 가스계량기에서 중간 밸브 사이에 이르는 배관을 나타낸다.
  3. 공급관 : 정압기에서 가스 사용자가 소유하거나 점유하고 있는 토지의 경계까지 이르는 배관을 나타낸다.
  4. 내관 : 가스 사용자가 소유하거나 점유하고 있는 토지의 경계에서 연소기까지 이르는 배관을 나타낸다.
(정답률: 68%)
  • 정답은 "배관 : 본관, 공급관 및 내관 등을 나타낸다."이다.

    본관은 옥외 내관과 가스계량기에서 중간 밸브 사이에 이르는 배관을 나타내는 것이 맞다.

    내관은 가스 사용자가 소유하거나 점유하고 있는 토지의 경계에서 연소기까지 이르는 배관을 나타내는 것이 맞다.

    공급관은 정압기에서 가스 사용자가 소유하거나 점유하고 있는 토지의 경계까지 이르는 배관을 나타내는 것이 맞다.

    따라서, "배관 : 본관, 공급관 및 내관 등을 나타낸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간단명료한 설명:

    - 본관: 가스계량기와 중간 밸브 사이의 배관
    - 내관: 토지 경계에서 연소기까지의 배관
    - 공급관: 정압기에서 토지 경계까지의 배관
    - 배관: 본관, 내관, 공급관 등 모든 배관을 나타냄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통기방식 중 각 기구의 트랩마다 통기관을 설치하여 안정도가 높고 자기 사이펀 작용에도 효과가 있으며 배수를 완전하게 할 수 있는 이상적인 통기 방식은?

  1. 각개 통기
  2. 루프 통기
  3. 신정 통기
  4. 회로 통기
(정답률: 72%)
  • 각개 통기 방식은 각각의 기구마다 통기관을 설치하여 각각의 기구가 독립적으로 통기되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각각의 기구가 독립적으로 통기되기 때문에 안정도가 높고 자기 사이펀 작용에도 효과가 있으며 배수를 완전하게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상적인 통기 방식으로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관 내에 분리된 증기나 공기를 배출하고 물의 팽창에 따른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은?

  1. 순환탱크
  2. 팽창탱크
  3. 옥상탱크
  4. 압력탱크
(정답률: 82%)
  • 팽창탱크는 물이 가열되어 팽창할 때 발생하는 압력을 조절하여 안전하게 배출하고, 물의 팽창에 따른 파손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물의 팽창에 따른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 이라는 힌트를 통해 정답이 "팽창탱크"임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냉각탑에서 냉각수는 수직 하향 방향이고 공기는 수평 하향 방향인 형식은?

  1. 평행류형
  2. 직교류형
  3. 혼합형
  4. 대향류형
(정답률: 78%)
  • 냉각탑에서 냉각수는 수직 하향 방향으로 내려가면서 열을 방출하고, 공기는 수평 하향 방향으로 냉각수와 반대 방향으로 흐르면서 열을 흡수합니다. 이러한 냉각 방식을 직교류형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주철관 이음방법이 아닌 것은?

  1. 플라스턴 이음
  2. 빅토릭 이음
  3. 타이튼 이음
  4. 플랜지 이음
(정답률: 55%)
  • 주철관 이음방법 중 "플라스턴 이음"은 플라스틱 파이프를 이어주는 방법으로, 주철관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플라스턴 이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기제어공학

61. 그림과 같은 블럭선도와 등가인 것은?

(정답률: 64%)
  • 블럭선도와 등가인은 전기회로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블럭선도는 전기회로의 구성요소를 블록으로 표현하고, 등가인은 전기회로의 각 부분이 전기적으로 동등한 것으로 간주하여 간단하게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은 블럭선도와 등가인 모두에서 같은 모양으로 표현되어 있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프로세스 제어나 자동 조정 등 목푯값이 시간에 대하여 변화하기 않는 제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추종제어
  2. 비율제어
  3. 정치제어
  4. 프로그램제어
(정답률: 71%)
  • 정치제어는 목푯값이 시간에 대하여 변화하지 않는 제어를 의미합니다. 이는 정해진 상태에서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제어에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공장에서 생산라인의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경우에는 정치제어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치제어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50Ω의 저항 4개를 이용하여 가장 큰 합성저항을 얻으면 몇 Ω인가?

  1. 75
  2. 150
  3. 200
  4. 400
(정답률: 81%)
  • 4개의 저항을 직렬로 연결하면 합성저항은 각 저항의 합과 같아진다. 따라서 50Ω x 4 = 200Ω 이므로, 가장 큰 합성저항은 200Ω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임피던스 강하가 4%인 어느 변압기가 운전 중 단락 되었다면 그 단락전류는 정격전류의 몇 배가 되는가?

  1. 10
  2. 20
  3. 25
  4. 30
(정답률: 61%)
  • 임피던스 강하가 4%이므로, 변압기의 단락전류는 정격전류의 25배가 된다. 이는 전압과 전류의 관계인 오므로, 임피던스 강하가 클수록 전류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4%의 강하는 전류를 25배로 증가시키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인 특성방정식의 근은?

  1. -1
  2. -3, 2
  3. -1, -3
  4. -1, -3, 2
(정답률: 63%)
  • 주어진 특성방정식은 x^3 - x^2 - 6x = 0 입니다. 이를 인수분해하면 x(x^2 - x - 6) = 0 이 됩니다. 따라서 근은 x = 0 또는 x^2 - x - 6 = 0 입니다. 후자의 방정식은 (x-3)(x+2) = 0 으로 인수분해할 수 있으므로, 근은 x = -2 또는 x = 3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 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피측정단자에 그림과 같이 결선하여 전압계로 e(V)라는 전압을 얻었을 때 피측정단자의 절연저항은 몇 M Ω인가? (단, Rm : 전압계 내부저항(Ω), V : 시험전압(V)이다.)

(정답률: 61%)
  • 피측정단자의 절연저항은 전압계 내부저항(Rm)과 시험전압(V)에 비례한다. 따라서 절연저항은 Rm/V로 계산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는 Rm과 V가 주어졌으므로 Rm/V를 계산하여 절연저항을 구할 수 있다.

    Rm/V = 1000 Ω / 10 V = 100 Ω/V

    전압계로 측정한 전압 e(V)는 피측정단자와 전압계 사이의 전압차이이므로, 피측정단자의 전압은 e(V)이다. 따라서 피측정단자의 전압과 전압계 내부저항(Rm) 사이의 전압차이는 V - e(V)이다. 이 전압차이에 따라 전압계 내부저항(Rm)에서 흐르는 전류는 (V - e(V)) / Rm이다. 이 전류가 피측정단자와 전압계 사이의 절연저항을 흐르면서 감소하므로, 절연저항은 (V - e(V)) / ((V - e(V)) / Rm) = Rm이다.

    따라서 절연저항은 1000 kΩ이다. (정답: "")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배리스터(Varistor)란?

  1. 비직선적인 전압 - 전류 특성을 갖는 2단자 반도체소자이다.
  2. 비직선적인 전압 - 전류 특성을 갖는 3단자 반도체소자이다.
  3. 비직선적인 전압 - 전류 특성을 갖는 4단자 반도체소자이다.
  4. 비직선적인 전압 - 전류 특성을 갖는 리액턴스소자이다.
(정답률: 69%)
  • 배리스터는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전류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비선형적인 특성을 갖는 2단자 반도체소자입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과전압 보호용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잔류 편차(off-set)를 발생하는 제어는?

  1. 미분 제어
  2. 적분 제어
  3. 비례 제어
  4. 비례 적분 미분 제어
(정답률: 68%)
  • 잔류 편차(off-set)는 제어 시스템에서 원하는 목표값과 실제 출력값의 차이가 남아있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 방법 중 하나가 비례 제어입니다. 비례 제어는 현재 편차에 비례하여 제어 입력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편차가 0이 되도록 제어합니다. 따라서 잔류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교류에서 실횻값과 최댓값의 관계는?

  1. 실횻값=최댓값/(√2)
  2. 실횻값=최댓값/(√3)
  3. 실횻값=최댓값/2
  4. 실횻값=최댓값/3
(정답률: 75%)
  • 교류에서 실횻값은 전압이나 전류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으로, 최댓값의 1/√2 만큼 작아진 값이다. 이는 사인파의 최댓값이 √2배가 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실횻값은 최댓값을 1/√2로 나눈 값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실횻값=최댓값/(√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직류발전기 전기자 반작용의 영향이 아닌 것은?

  1. 절연내력의 저하
  2. 자속의 크기 감소
  3. 유기기전력의 감소
  4. 자기 중성축의 이동
(정답률: 47%)
  • 직류발전기에서 절연내력의 저하는 전기자와의 상호작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절연내력은 전기적으로 차단하는 능력을 나타내며, 전기자와의 상호작용과는 관련이 있지만, 직류발전기 자체의 구조나 운전 조건 등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절연내력의 저하"가 직류발전기 전기자 반작용의 영향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콘덴서만의 회로에서 전압과 전류 사이의 위상관계는?

  1. 전압이 전류보다 90도 앞선다.
  2. 전압이 전류보다 90도 뒤진다.
  3. 전압이 전류보다 180도 앞선다.
  4. 전압이 전류보다 180도 뒤진다.
(정답률: 71%)
  • 콘덴서는 전기적으로 축적된 전하를 저장하는데, 이는 전압이 증가하면 콘덴서에 전하가 축적되고, 전압이 감소하면 콘덴서에서 전하가 방출되는 형태로 동작합니다. 따라서 전압이 전류보다 90도 뒤진다는 것은, 전류가 최대값을 가질 때 전압은 0이며, 전류가 0일 때 전압이 최대값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콘덴서가 전류의 흐름을 따라가지 못하고, 전류와 전압이 서로 90도 차이를 가지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그림과 같은 그래프에 해당하는 함수를 라플라스 변환하면?

  1. 1
  2. 1/s
  3. 1/(s+1)
  4. 1/(s2)
(정답률: 57%)
  • 그래프를 보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함수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함수는 라플라스 변환을 하면 분모가 s인 형태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그림과 같은 블록선도에서 전달함수 C/R는?

(정답률: 69%)
  • 전달함수 C/R은 입력신호가 출력신호로 변환되는 함수이다. 그림에서는 입력신호가 A, B, D 블록을 거쳐 출력신호로 변환되는데, 이때 D 블록은 입력신호를 그대로 출력신호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므로 C/R은 1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변압기 내부 고장 검출용 보호계전기는?

  1. 차동계전기
  2. 과전류계전기
  3. 역상계전기
  4. 부족전압계전기
(정답률: 71%)
  • 변압기 내부 고장 검출용 보호계전기는 차동계전기입니다. 이는 변압기의 입력과 출력 측의 전류를 비교하여 차동 전류를 감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내부 고장을 검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다른 보호계전기들은 과전류, 역상, 부족전압 등의 상황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변압기 내부 고장 검출에는 차동계전기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는 것은?

  1. 서미스터
  2. 노즐플래퍼
  3. 앰플리다인
  4. 트랜지스터
(정답률: 81%)
  • 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는 것은 서미스터입니다. 서미스터는 반도체 소자로, 온도가 변화함에 따라 전기 저항값이 변화합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온도 센서 등에 활용됩니다. 노즐플래퍼, 앰플리다인, 트랜지스터는 모두 서로 다른 종류의 전자소자이며, 온도에 따른 저항값 변화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되먹임 제어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입력과 출력을 비교하여 정정동작을 하는 방식
  2. 프로그램의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방식
  3. 외부에서 명령을 입력하는데 따라 제어되는 방식
  4.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어되는 방식
(정답률: 76%)
  • 되먹임 제어는 입력과 출력을 비교하여 정정동작을 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입력된 값과 출력된 값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정정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보드선도의 위상여유가 45°인 제어계의 계통은?

  1. 안정하다.
  2. 불안정하다.
  3. 무조건 불안정하다.
  4. 조건에 따른 안정을 유지한다.
(정답률: 60%)
  • 위상여유가 45°인 제어계의 계통은 조건에 따라 안정을 유지한다. 이는 보드선도의 위상여유가 충분히 크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계통의 안정성은 위상여유의 크기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위상여유가 충분히 큰 경우에는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직류전동기의 속도제어법으로 틀린 것은?

  1. 저항제어
  2. 계자제어
  3. 전압제어
  4. 주파수제어
(정답률: 64%)
  • 주파수제어는 직류전동기의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이 아니라, 교류전동기의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주파수제어는 직류전동기의 속도제어법으로는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다름 값을 나타내는 논리식은?

(정답률: 58%)
  • "" 이 논리식은 다름 값을 나타낸다.

    이유는 "" 는 AND 연산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개의 피연산자가 서로 다른 값을 가지고 있을 때만 참(True)을 반환하기 때문이다. 즉, 두 개의 피연산자가 같은 값을 가지고 있을 때는 거짓(False)을 반환하므로 다름 값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되먹임 제어계에서 ⓐ부분에 해당하는 것은?

  1. 조절부
  2. 조작부
  3. 검출부
  4. 목푯값
(정답률: 73%)
  • 이 그림은 되먹임 제어계의 구성요소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 부분은 검출부입니다. 검출부는 제어계의 출력값과 목푯값을 비교하여 오차를 검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오차 신호는 조절부에 전달되어 제어계의 출력값을 조절합니다. 따라서 검출부는 제어계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부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