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게차유사(롤러,기중기등)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7-19)

지게차유사(롤러,기중기등)
(2015-07-19 기출문제)

목록

1. 냉각장치에서 라디에이터의 구비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공기의 흐름 저항이 클 것
  2. 단위 면적 당 방열량이 클 것
  3. 가볍고 작으며 강도가 클 것
  4. 냉각수의 흐름 저항이 적을 것
(정답률: 69%)
  • "공기의 흐름 저항이 클 것"이 틀린 것이다. 라디에이터는 열을 방출하기 위해 공기와 열교환을 하는데, 공기의 흐름 저항이 클수록 열교환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 저항이 낮을수록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공회전 상태의 기관에서 크랭크축의 회전과 관계없이 작동되는 기구는?

  1. 발전기
  2. 캠 샤프트
  3. 플라이 휠
  4. 스타트 모터
(정답률: 51%)
  • 스타트 모터는 크랭크축의 회전과 관계없이 작동되는 기구입니다. 이는 엔진을 가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초기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되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엔진이 공회전 상태일 때도 스타트 모터를 사용하여 엔진을 가동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4행정 사이클 기관의 윤활방식 중 피스톤과 피스톤 핀까지 윤활유를 압송하여 윤활 하는 방식은?

  1. 전 압력식
  2. 전 압송식
  3. 전 비산식
  4. 압송 비산식
(정답률: 71%)
  • 피스톤과 피스톤 핀까지 윤활유를 압송하여 윤활하는 방식은 "전 압송식"이다. 이 방식은 윤활유를 압력으로 밀어내어 피스톤과 피스톤 핀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윤활유의 공급이 안정적이고 효율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수랭식 냉각 방식에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방식이 아닌 것은?

  1. 자연 순환식
  2. 강제 순환식
  3. 진공 순환식
  4. 밀봉 압력식
(정답률: 47%)
  • 수랭식 냉각 방식에서는 냉각수를 자연적으로 순환시키는 자연 순환식과, 펌프를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순환시키는 강제 순환식, 그리고 냉각수를 밀봉된 공간에서 압력을 이용하여 순환시키는 밀봉 압력식이 있습니다. 하지만 진공 순환식은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방식이 아니라, 냉각기 내부의 진공을 이용하여 열을 방출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진공 순환식은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디젤기관 연료장치 내에 있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펌프는?

  1. 연료 펌프
  2. 공기 펌프
  3. 인젝션 펌프
  4. 프라이밍 펌프
(정답률: 72%)
  • 디젤기관 연료장치 내에는 공기가 존재하면 연료 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연료 펌프 이전에 프라이밍 펌프를 사용하여 공기를 배출합니다. 따라서 디젤기관 연료장치 내에 있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사용하는 펌프는 "프라이밍 펌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엔진 오일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응고점이 높을 것
  2. 비중과 점도가 적당할 것
  3. 인화점과 발화점이 높을 것
  4. 기포 발생과 카본 생성에 대한 저항력이 클 것
(정답률: 63%)
  • "응고점이 높을 것"이 틀린 구비조건이다. 엔진 오일의 응고점이 높을수록 낮은 온도에서도 오일이 유동성을 유지할 수 없어 엔진 부품에 충분한 윤활을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엔진 오일은 낮은 온도에서도 유동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적절한 응고점을 가져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디젤기관에서 직접 분사실식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연료소비량이 적다.
  2. 냉각손실이 적다.
  3. 연료계통의 연료누출 염려가 적다.
  4. 구조가 간단하여 열효율이 높다.
(정답률: 40%)
  • 직접 분사식 디젤기관은 연료를 직접 실린더 내부로 분사하기 때문에 연료계통의 연료누출 염려가 적습니다. 이는 간단한 구조로 인해 연료가 누출되는 가능성이 적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연료계통의 연료누출 염려가 적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엔진의 회전수를 나타낼 때 rpm이란?

  1. 시간당 엔진회전수
  2. 분당 엔진회전수
  3. 초당 엔진회전수
  4. 10분간 엔진회전수
(정답률: 82%)
  • rpm은 "분당 엔진회전수"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즉, 1분 동안 엔진이 회전한 횟수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는 엔진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고 비교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기관의 실린더 수가 많을 때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기관의 진동이 작다.
  2. 저속 회전이 용이하고, 큰 동력을 얻을 수 있다.
  3. 연료 소비가 적고 큰 동력을 얻을 수 있다.
  4. 가속이 원활하고 신속하다.
(정답률: 62%)
  • 기관의 실린더 수가 많을 때, 연료 소비가 적고 큰 동력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 아니다. 오히려 실린더 수가 많을수록 연료 소비가 많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연료 소비가 적고 큰 동력을 얻을 수 있다."가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팬벨트에 대한 점검과정이다.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팬벨트는 눌러(약 10kgf) 처짐이 약 13~20㎜ 저도로 한다.
  2. 팬벨트는 풀리의 밑 부부분에 접촉되어야 한다.
  3. 팬벨트의 조정은 발전기를 움직이면서 조정한다.
  4. 팬벨트가 너무 헐거우면 기관 과열의 원인이 된다.
(정답률: 55%)
  • "팬벨트는 눌러(약 10kgf) 처짐이 약 13~20㎜ 저도로 한다."는 적절한 점검 과정이다. 하지만 "팬벨트는 풀리의 밑 부부분에 접촉되어야 한다."는 잘못된 정보이다. 팬벨트는 풀리의 전체 부분에 접촉되어야 하며, 특히 풀리의 가장 넓은 부분에 접촉되어야 한다. 이는 팬벨트가 고르게 마찰하며, 효율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실린더 헤드 개스킷에 대한 구비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기밀 유지가 좋을 것
  2. 내열성과 내압성이 있을 것
  3. 복원성이 적을 것
  4. 강도가 적당할 것
(정답률: 81%)
  • 실린더 헤드 개스킷은 엔진 내부에서 열과 압력에 노출되는 부분으로, 내열성과 내압성이 있어야 합니다. 또한 강도가 적당해야 하며, 기밀 유지가 좋아야 합니다. 하지만 복원성이 적을 경우, 한 번 파손되면 다시 사용할 수 없으므로 신뢰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복원성이 적을 것이라는 조건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보기에서 피스톤과 실린더 벽 사이의 간극이 클 때 미치는 영향을 모두 나타낸 것은?

  1. a, b, c
  2. c, d
  3. b, c, d
  4. a, b, c, d
(정답률: 68%)
  • 피스톤과 실린더 벽 사이의 간극이 클 때는 압축 과정에서 압축비가 낮아지므로 엔진의 효율이 떨어지고 연료소모량이 증가합니다. 또한 연소가 부족해져서 엔진의 성능이 저하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피스톤과 실린더 벽 사이의 간극이 작을수록 엔진의 성능이 향상됩니다. 따라서 b, c, d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축전지 커버에 붙은 전해액을 세척하려 할 때 사용하는 중화제로 가장 좋은 것은?

  1. 증류수
  2. 비눗물
  3. 암모니아수
  4. 베이킹 소다수
(정답률: 59%)
  • 축전지 커버에 붙은 전해액은 산성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중화시키기 위해서는 알칼리성분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베이킹 소다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중화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축전지 커버에 붙은 전해액을 세척할 때는 베이킹 소다수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기동회로에서 전력공급 선의 전압강하는 얼마이면 정상인가?

  1. 0.2V 이하
  2. 1.0V 이하
  3. 10.5V 이하
  4. 9.5V 이하
(정답률: 48%)
  • 전력공급 선의 전압강하가 0.2V 이하이면 정상이다. 이는 전압강하가 너무 크면 회로의 동작이 불안정해지고, 전압강하가 너무 작으면 전력의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절한 전압강하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납산 축전지의 전해액을 만들 때 황산과 증류수의 혼합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조금씩 혼합하며 잘 저어서 냉각시킨다.
  2. 증류수에 황산을 부어 혼합한다.
  3. 전기가 잘 통하는 금속제 용기를 사용하여 혼합한다.
  4. 추운 지방인 경우 온도가 표준온도 일 때 비중이 1.280이 되게 측정하면서 작업을 끝낸다.
(정답률: 76%)
  • 정답은 "추운 지방인 경우 온도가 표준온도 일 때 비중이 1.280이 되게 측정하면서 작업을 끝낸다."입니다.

    전해액을 만들 때 전기가 잘 통하는 금속제 용기를 사용하는 이유는 전해질의 전기적인 특성을 이용하기 위해서입니다. 전해질은 이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기가 통하면 이온들이 이동하여 전기적인 전류를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전해액을 만들 때는 전기가 잘 통하는 용기를 사용하여 전해질의 전기적인 특성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직류 발전기와 비교했을 때 교류 발전기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전압 조정기만 필요하다.
  2. 크기가 크고 무겁다.
  3. 브러시 수명이 길다.
  4. 저속 발전 성능이 좋다.
(정답률: 51%)
  • 교류 발전기는 회전자와 스테이터의 구조가 복잡하고 크기가 크기 때문에 직류 발전기보다 크고 무겁습니다. 이는 회전자와 스테이터의 구조가 복잡하고, 회전자를 회전시키기 위한 자석장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자석도 크기가 크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좌·우측 전조등 회로의 연결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직렬 연결
  2. 단식 배선
  3. 병렬 연결
  4. 직·병렬 연결
(정답률: 72%)
  • 좌·우측 전조등 회로는 병렬 연결 방법으로 연결됩니다. 이는 전원 공급선이 각 전조등에 병렬로 연결되어 전류가 나누어져 각 전조등이 동시에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직렬 연결이나 단식 배선은 전류가 흐르는 경로가 하나뿐이기 때문에 한 전조등에 문제가 생기면 다른 전조등도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병렬 연결 방법이 가장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높은 방법입니다. 직·병렬 연결은 복잡한 회로 구성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전기가 이동하지 않고 물질에 정지하고 있는 전기는?

  1. 동전기
  2. 정전기
  3. 직류전기
  4. 교류전기
(정답률: 82%)
  • 정전기는 전기가 물질 내부에서 이동하지 않고 정지해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전하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로, 물질 표면에 전하가 머무르게 되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정전기는 두 물체 사이에서 전하가 분리되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토크 컨버트에서 회전력이 최대값이 될 때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토크 변환비
  2. 회전력
  3. 스톨 포인트
  4. 유체 충돌 손실비
(정답률: 53%)
  • 스톨 포인트는 비행기나 헬리콥터 등의 항공기가 공기 저항과 중력에 대항하여 공중에 떠 있는 상태에서, 회전력이 최대값이 되어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하강하게 되는 지점을 말합니다. 이는 항공기의 최대 상승 고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토크 컨버트에서 회전력이 최대값이 될 때 이를 스톨 포인트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톨 포인트"입니다. "토크 변환비"는 엔진의 출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용어이며, "유체 충돌 손실비"는 유체가 흐르는 파이프나 채널에서 발생하는 유체 충돌 손실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추진축의 각도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이음은?

  1. 자재 이음
  2. 슬립 이음
  3. 플랜지 이음
  4. 등속 이음
(정답률: 52%)
  • 추진축의 각도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이음은 자재 이음입니다. 자재 이음은 두 개의 부품을 연결하는 방법 중 하나로, 부품의 끝을 절단하여 서로 맞물리게 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여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타이어 롤러에서 전압은 무엇으로 조정하는가?

  1. 타이어의 자중
  2. 다짐속도와 밸러스트(Ballast)
  3. 밸러스트와 타이어 공기압
  4. 다짐속도와 타이어 공기압
(정답률: 48%)
  • 타이어 롤러에서 전압은 밸러스트와 타이어 공기압으로 조정됩니다. 이는 타이어의 접지면과 롤러의 접촉력을 조절하여 정확한 토크와 속도를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밸러스트는 무게를 추가하여 타이어의 접지면을 늘리고, 타이어 공기압은 타이어의 변형을 조절하여 접지면을 조절합니다. 이를 통해 정확한 토크와 속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무한궤도식 굴삭기의 하부 주행체를 구성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스프로킷
  2. 주행모터
  3. 트랙
  4. 리어액슬
(정답률: 63%)
  • 리어액슬은 무한궤도식 굴삭기의 하부 주행체를 구성하는 요소가 아닙니다. 이는 굴삭기의 전방 주행을 담당하는 트랙과 주행력을 제공하는 스프로킷, 그리고 주행 모터와 함께 작동하여 굴삭기를 움직이는 중요한 부품들입니다. 리어액슬은 굴삭기의 후방 지지를 담당하는 부품으로, 주행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앞바퀴 정렬 요소 중 캠버의 필요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앞차축의 휨을 적게 한다.
  2. 조향휠의 조작을 가볍게 한다.
  3. 조항 시 바퀴의 복원력이 발생한다.
  4. 토(Toe)와 관련성이 있다.
(정답률: 39%)
  • "조항 시 바퀴의 복원력이 발생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캠버는 앞바퀴의 수직 각도를 조절하여 앞차축의 휨을 적게 하고, 조향휠의 조작을 가볍게 하며, 토와 관련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캠버 조절로 인해 바퀴의 복원력이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트랙프레임 상부 롤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더블 플랜지형을 주로 사용한다.
  2. 트랙의 회전을 바르게 유지한다.
  3. 트랙이 밑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4. 전부 유동륜과 기동륜 사이에 1~2개가 설치된다.
(정답률: 43%)
  • 정답은 "더블 플랜지형을 주로 사용한다." 이다.

    이유는 트랙프레임 상부 롤러는 트랙의 회전을 바르게 유지하고, 트랙이 밑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데, 이때 더블 플랜지형이 주로 사용되는 이유는 더블 플랜지형이 더 많은 접촉면을 가지고 있어서 트랙의 부하를 분산시키고 안정적인 운전을 가능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또한, 전부 유동륜과 기동륜 사이에 1~2개가 설치된다는 것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계통내의 최대 압력을 설정함으로서 계통을 보호하는 밸브는?

  1. 릴리프 밸브
  2. 릴레이 밸브
  3. 리튜싱 밸브
  4. 리타더 밸브
(정답률: 85%)
  • 릴리프 밸브는 계통 내의 최대 압력을 설정하여, 압력이 너무 높아지면 밸브가 열리면서 과압을 방출시켜 계통을 보호하는 밸브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릴리프 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플라이휠과 압력판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변속기 압력축을 통해 변속기에 동력을 전달하는 것은?

  1. 압력판
  2. 클러치 디스크
  3. 릴리스 레버
  4. 릴리스 포크
(정답률: 69%)
  • 클러치 디스크는 플라이휠과 압력판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변속기 압력축을 통해 변속기에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클러치 디스크는 압력판과 함께 작동하여 엔진의 동력을 변속기로 전달하고, 릴리스 레버와 릴리스 포크를 이용하여 클러치 디스크와 압력판을 분리시켜 변속기의 기어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클러치 디스크는 변속기 작동에 필수적인 부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유압유의 구비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압축성이어야 한다.
  2. 점도지수가 커야 한다.
  3. 인화점 및 발화점이 높아야 한다.
  4. 체적 탄성계수가 작아야 한다.
(정답률: 47%)
  • 체적 탄성계수가 작아야 한다는 조건은 유압유가 압축될 때 부피 변화가 적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유압유가 압축되어도 유압장치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이 조건이 옳지 않다면 유압장치의 작동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아스팔트피니셔에서 노면에 살포된 혼합재를 다져주는 역할을 하는 장치는?

  1. 피더
  2. 스프레이팅 스크루
  3. 스크리드
  4. 댐퍼
(정답률: 48%)
  • 아스팔트피니셔에서 노면에 살포된 혼합재를 다져주는 역할을 하는 장치는 "스크리드"입니다. "댐퍼"는 아스팔트피니셔에서 사용되는 장비 중 하나이지만, 혼합재를 다져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피더"는 혼합재를 공급하는 장치이고, "스프레이팅 스크루"는 아스팔트를 분사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롤러의 다짐작업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소정의 접지 압력을 받을 수 있도록 부가하중을 증감한다.
  2. 다짐 작업 시 정지 시간은 길게 한다.
  3. 다짐 작업 시 급격한 조향은 하지 않는다.
  4. 1/2씩 중첩되게 다짐을 한다.
(정답률: 69%)
  • 다짐 작업 시 정지 시간을 길게 하는 것은 오히려 롤러의 안정성을 해치는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롤러의 다짐 작업은 일정한 속도와 각도로 연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정지 시간이 길어지면 이러한 연속성이 깨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짐 작업 시 정지 시간은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아스팔트피니셔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호퍼는 덤프트럭으로부터 혼합재를 받아들이는 것으로 호퍼의 전방에는 2개의 푸시롤러가 설치된다.
  2. 스크리드는 혼합재를 규정된 포장 폭에 맞춰 넓게 확산 시켜 주는 장치이다.
  3. 바이브레이터는 아스팔트 혼합재를 규정의 밀도가 되도록 눌러 다져주는 장치이다.
  4. 피더는 호퍼 내부의 혼합재를 스프레더 측으로 이송하는 장치이다.
(정답률: 30%)
  • 정답은 "스크리드는 혼합재를 규정된 포장 폭에 맞춰 넓게 확산 시켜 주는 장치이다."이다. 스크리드는 혼합재를 규정된 포장 폭에 맞춰 넓게 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포장할 지면에 혼합재를 균일하게 분배해주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건설기계관리법령상 건설기계조종사 면허를 받지 아니하고 건설기계를 조종한 자에 대한 벌칙은?

  1.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
  3.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
  4.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백만 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75%)
  • 건설기계관리법령에서는 건설기계를 조종하는 데에는 반드시 건설기계조종사 면허가 필요하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건설기계를 조종하는 데에 건설기계조종사 면허를 받지 않은 자는 위법행위를 저지른 것으로 간주됩니다. 이에 따라, 해당 법령에서는 건설기계를 조종하는 데에 건설기계조종사 면허를 받지 않은 자에 대해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건설기계관리법령상 기중기를 조종할 수 있는 면허는?

  1. 공기압축기 면허
  2. 모터그레이더 면허
  3. 기중기 면허
  4. 타워크레인 면허
(정답률: 87%)
  • 건설기계관리법령상 기중기를 조종할 수 있는 면허는 "기중기 면허"입니다. 이는 기중기가 건설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건설기계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중기를 조종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사람들만이 해당 기계를 운전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건설기계관리법령상 정기검사 유효기간이 다른 건설기계는?

  1. 덤프트럭
  2. 콘크리트믹스트럭
  3. 타워크레인
  4. 굴삭기(타이어식)
(정답률: 69%)
  • 건설기계관리법령상 정기검사 유효기간이 다른 건설기계는 타워크레인입니다. 이는 타워크레인이 다른 건설기계와 달리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수행하며, 안전사고 발생 시 큰 피해가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타워크레인은 다른 건설기계보다 더 자주 정기검사를 받아야 하며, 유효기간도 짧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건설기계관리법령상 건설기계 형식 신고를 하지 아니할 수 있는 사람은?

  1. 건설기계를 사용목적으로 제작하려는 자
  2. 건설기계를 사용목적으로 조립하려는 자
  3. 건설기계를 사용목적으로 수입하려는 자
  4. 건설기계를 연구개발 목적으로 제작하려는 자
(정답률: 75%)
  • 건설기계관리법령상 건설기계 형식 신고는 건설기계를 사용목적으로 제작, 조립, 수입하는 자에게 의무적으로 요구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건설기계를 사용목적으로 제작하려는 자, 조립하려는 자, 수입하려는 자는 모두 건설기계 형식 신고를 해야 합니다. 그러나 건설기계를 연구개발 목적으로 제작하려는 자는 건설기계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건설기계 형식 신고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건설기계관리법령상 자가용건설기계 등록 번호표의 도색으로 옳은 것은?

  1. 청색판에 백색문자
  2. 적색판에 흰색문자
  3. 백색판에 황색문자
  4. 녹색판에 흰색문자
(정답률: 77%)
  • 건설기계관리법령상 자가용건설기계 등록 번호표는 녹색판에 흰색문자로 도색되어야 합니다. 이는 교통법규상 특수한 운전조건에서도 번호판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녹색은 자연환경과 관련이 있으며, 흰색은 번호판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색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건설기계관리법령상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건설기계사업은?

  1. 건설기계정비업
  2. 건설기계제작업
  3. 건설기계매매업
  4. 건설기계폐기업
(정답률: 81%)
  • 이미 구매한 건설기계를 정비하고 수리하는 업종이 "건설기계정비업"이다. 그림에서 보이는 것은 건설기계를 수리하는 모습이므로 "건설기계정비업"이 해당된다. "건설기계제작업"은 건설기계를 제작하는 업종, "건설기계매매업"은 건설기계를 판매하는 업종, "건설기계폐기업"은 건설기계를 폐기하는 업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건설기계관리법령상 건설기계를 도로에 계속하여 방치하거나 정당한 사유 없이 타인의 토지에 방치한 자에 대한 벌칙은?

  1.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
  2.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
  3. 2백만 원 이하의 벌금
  4. 1백만 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65%)
  • 건설기계를 도로에 계속하여 방치하거나 타인의 토지에 정당한 사유 없이 방치하는 행위는 공공의 안전과 질서를 위협하는 위험한 행위이기 때문에 법령상 엄격한 처벌이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벌칙은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건설기계관리법령상 자동차 1종 대형 면허로 조종할 수 없는 건설기계는?

  1. 5톤 굴삭기
  2. 노상안정기
  3. 콘크리트펌프
  4. 아스팔트살포기
(정답률: 72%)
  • 건설기계관리법령상 자동차 1종 대형 면허로 조종할 수 없는 건설기계는 중량이 8톤 이상이거나 높이가 6m 이상인 기계입니다. 따라서 5톤 굴삭기는 중량이 5톤으로 8톤 이상이 아니므로 자동차 1종 대형 면허로 조종할 수 없는 건설기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건설기계관리법령상 미등록 건설기계의 임시운행 사유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등록신청을 하기 위하여 건설기계를 등록지로 운행하는 경우
  2. 등록신청 전에 건설기계 공사를 하기 위하여 임시로 사용하는 경우
  3. 수출을 하기 위하여 건설기계를 선적지로 운행하는 경우
  4. 신개발 건설기계를 시험·연구의 목적으로 운행하는 경우
(정답률: 79%)
  • 건설기계관리법령상 미등록 건설기계의 임시운행 사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등록신청 전에 건설기계 공사를 하기 위하여 임시로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이는 건설기계를 등록하기 전에 공사를 진행해야 하는 경우에 한하여 임시적으로 운행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등록신청을 하기 전이나 수출, 시험, 연구 등의 목적으로 운행하는 경우에 한하여 임시적으로 운행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건설기계관리법령상 건설기계에 대하여 실시하는 검사가 아닌 것은?

  1. 신규 등록검사
  2. 예비검사
  3. 구조변경검사
  4. 수시검사
(정답률: 70%)
  • 건설기계관리법령상 예비검사는 실시하지 않는다. 예비검사는 건설기계를 운전하기 전에 운전자가 스스로 체크하는 절차로, 법령상 검사로 인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비검사는 보기에서 제외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유압 작동유의 점도가 너무 높을 때 발생되는 현상은?

  1. 동력손실 증가
  2. 내부누설 증가
  3. 펌프효율 증가
  4. 내부마찰 감소
(정답률: 67%)
  • 유압 작동유의 점도가 너무 높을 때, 내부마찰이 증가하고 내부누설이 증가하여 유체의 움직임이 둔화되어 동력손실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동력손실 증가"가 정답입니다. 펌프효율은 오히려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유압장치의 오일탱크에서 펌프 흡입구의 설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펌프 흡입구는 반드시 탱크 가장 밑면에 설치한다.
  2. 펌프 흡입구는 스트레이너(오일 여과기)를 설치한다.
  3. 펌프 흡입구와 탱크로의 귀환구(복귀구) 사이에는 격리판(baffle plate)을 설치한다.
  4. 펌프 흡입구는 탱크로의 귀환구(복귀구)로부터 될 수 있는 한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한다.
(정답률: 49%)
  • "펌프 흡입구는 탱크로의 귀환구(복귀구)로부터 될 수 있는 한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펌프 흡입구는 오일을 흡입하는 위치이므로 탱크 가장 밑면에 설치하여 최대한 많은 양의 오일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격리판은 오일이 흐르는 방향을 제어하여 오일의 흐름을 안정화시키고 스트레이너는 오일 여과를 위해 설치됩니다. 따라서 "펌프 흡입구는 반드시 탱크 가장 밑면에 설치한다."가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유압 실린더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단동 실린더
  2. 복동 실린더
  3. 다단 실린더
  4. 회전 실린더
(정답률: 65%)
  • 유압 실린더는 선형 운동을 하는 실린더이기 때문에 회전 운동을 하는 회전 실린더는 유압 실린더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유압모터의 특징 중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소형으로 강력한 힘을 낼 수 있다.
  2. 과부하에 대해 안전하다.
  3. 정·역회전 변화가 불가능하다.
  4. 무단변속이 용이하다.
(정답률: 61%)
  • 유압모터는 유압력을 이용하여 회전 운동을 만들어내는 기계이다. 정·역회전 변화가 불가능한 이유는 유압모터가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유압모터는 유압력을 받아 회전하는데, 유압력의 방향이 바뀌면 회전 방향도 바뀌게 된다. 따라서 유압모터는 정·역회전을 자유롭게 변화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회로 내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밸브는?

  1. 교축 밸브
  2. 셔틀 밸브
  3. 감압 밸브
  4. 순차 밸브
(정답률: 60%)
  • 셔틀 밸브는 회로 내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밸브입니다. 이는 밸브 내부에 있는 셔틀이 이동하여 유체의 흐름 방향을 바꾸는 원리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셔틀 밸브는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데 적합한 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유압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제어밸브가 아닌 것은?

  1. 방향제어밸브
  2. 유량제어밸브
  3. 스프링제어밸브
  4. 압력제어밸브
(정답률: 76%)
  • 유압장치에서는 유체의 방향, 유량, 압력 등을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제어밸브가 사용됩니다. 그 중에서도 스프링제어밸브는 유압장치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스프링제어밸브는 일반적으로 가스나 액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며, 유압장치에서는 압력, 유량, 방향 등을 제어하기 위한 다른 종류의 제어밸브가 사용됩니다. 따라서, 스프링제어밸브는 유압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제어밸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릴리프 밸브에서 볼이 밸브의 시트를 때려 소음을 발생시키는 현상은?

  1. 채터링(chattering) 현상
  2. 베이퍼 록(vaper lock) 현상
  3. 페이드(fade) 현상
  4. 노킹(knock) 현상
(정답률: 67%)
  • 채터링(chattering) 현상은 볼이 밸브의 시트를 빠르게 열고 닫으면서 진동을 일으켜 소음을 발생시키는 현상입니다. 이는 밸브의 시트와 볼 사이에 공기가 갇혀서 압력이 변화하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기어식 유압펌프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구조가 간단하다.
  2. 유압 작동유의 오염에 비교적 강한 편이다.
  3. 플런저 펌프에 비해 효율이 떨어진다.
  4. 가변 용량형 펌프로 적당하다.
(정답률: 39%)
  • 기어식 유압펌프는 가변 용량형 펌프로 적당하지 않다. 이는 기어식 유압펌프가 고정된 용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용량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다른 유형의 가변 용량형 펌프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그림의 유압기호에서 “A”부분이 나타내는 것은?

  1. 오일 냉각기
  2. 스트레이너
  3. 가변용량 유압펌프
  4. 가변용량 유압모터
(정답률: 64%)
  • 그림의 유압기호에서 “A”는 유압 오일의 필터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스트레이너"가 정답인 이유는, 스트레이너는 유압 시스템에서 유체 내부에 있는 불순물을 걸러내는 필터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유압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다른 부품들을 나타내지만, 필터 역할을 하는 부품은 스트레이너 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오일의 압력이 낮아지는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유압펌프의 성능이 불량할 때
  2. 오일의 점도가 높아졌을 때
  3. 오일의 점도가 낮아졌을 때
  4. 계통 내에서 누설이 있을 때
(정답률: 61%)
  • 오일의 점도가 높아졌을 때는 유체의 저항이 증가하므로 오일의 압력이 낮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오일의 점도가 높아지는 것이 가장 거리가 먼 원인입니다. 유압펌프의 성능이 불량하거나 오일의 점도가 낮아졌을 때도 오일의 압력이 낮아질 수 있지만, 이들은 오일의 점도가 높아졌을 때보다는 덜 중요한 원인입니다. 또한 계통 내에서 누설이 있을 때도 오일의 압력이 낮아질 수 있지만, 이는 오일의 점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벨트 취급 시 안전에 대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벨트에 기름이 묻지 않도록 한다.
  2. 벨트의 적당한 유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3. 벨트 교환 시 회전이 완전히 멈춘 상태에서 한다.
  4. 벨트의 회전을 정지시킬 때 손으로 잡아 정지시킨다.
(정답률: 89%)
  • "벨트의 회전을 정지시킬 때 손으로 잡아 정지시킨다."가 틀린 이유는, 벨트가 회전 중일 때 손으로 벨트를 잡으면 손이 벨트에 끌려가서 다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벨트를 정지시키려면 벨트를 감싸는 다른 물체를 이용하거나, 전원을 차단하거나, 브레이크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ILO(국제노동기구)의 구분에 의한 근로 불능 상해의 종류 중 응급조치 상해는 며칠 간 치료를 받은 다음부터 정상작업에 임할 수 있는 정도의 상해를 의미하는가?

  1. 1일 미만
  2. 3~5일
  3. 10일 미만
  4. 2주 미만
(정답률: 57%)
  • 응급조치 상해는 일시적인 치료로 즉시 회복이 가능한 상해를 의미한다. 따라서 치료를 받은 다음 날부터 정상작업에 임할 수 있는 정도의 상해를 의미하며, 이는 1일 미만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보호구를 선택할 때의 유의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작업 행동에 방해되지 않을 것
  2. 사용 목적에 구애받지 않을 것
  3. 보후고 성능기준에 적합하고 보호 성능이 보장될 것
  4. 착용이 용이하고 크기 등 사용자에게 편리할 것
(정답률: 78%)
  • "사용 목적에 구애받지 않을 것"이 틀린 것은 아무리 보호구가 편리하고 보호 성능이 좋아도, 해당 작업에 적합하지 않으면 보호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호구를 선택할 때는 작업의 특성과 위험성을 고려하여 적합한 보호구를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가스용기가 발생기와 분리되어 있는 아세틸렌 용접장치의 안전기 설치 위치는?

  1. 발생기
  2. 가스용접기
  3. 발생기와 가스용기 사이
  4. 용접토치와 가스용기 사이
(정답률: 71%)
  • 안전기는 가스용기와 발생기 사이에 설치되어야 합니다. 이는 발생기에서 생성된 아세틸렌 가스가 가스용기로 이동하는 도중에 안전기가 가스의 흐름을 차단하여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가스용기와 용접토치 사이에는 안전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 위치에 안전기를 설치하면 가스가 용접토치로 직접 흐르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산업재해 조사의 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적절한 예방대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2. 작업능률 향상과 근로기강 확립을 위하여
  3. 재해 발생에 대한 통계를 작성하기 위하여
  4. 재해를 유발한 자의 책임추궁을 위하여
(정답률: 79%)
  • 산업재해 조사의 목적은 적절한 예방대책을 수립하기 위하여입니다. 이를 위해 재해 발생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여 미래에 재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표지의 종류 중 다음 그림에 해당하는 것은?

  1. 신화성물질경고
  2. 인화성물질경고
  3. 폭발성물질경고
  4. 급성독성물질경고
(정답률: 80%)
  • 정답은 "인화성물질경고"입니다. 그림에서는 불이 나는 화살표와 불꽃 모양이 그려져 있으며, 이는 해당 물질이 불에 타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러한 표지는 인화성물질을 다루는 장소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가열, 마찰, 충격 또는 다른 화학물질과의 접촉 등으로 인하여 산소나 산화재 등의 공급이 없더라도 폭발 등 격렬한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이 아닌 것은?

  1. 질산에스테르류
  2. 니트로 화합물
  3. 무기 화합물
  4. 니트로소 화합물
(정답률: 66%)
  • 정답은 "무기 화합물"입니다. 무기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가열, 마찰, 충격 또는 다른 화학물질과의 접촉 등으로 인하여 산소나 산화재 등의 공급이 없더라도 폭발 등 격렬한 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 적습니다. 이는 무기 화합물이 일반적으로 안정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반면, 질산에스테르류, 니트로 화합물, 니트로소 화합물 등은 산화성이 강하고 불안정하여 가열, 마찰, 충격 또는 다른 화학물질과의 접촉 등으로 인하여 폭발 등 격렬한 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기계설비의 위험성 중 접선물림점(tangential point)과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1. V벨트
  2. 커플링
  3. 체인벨트
  4. 기어와 랙
(정답률: 64%)
  • 접선물림점은 회전하는 두 개체가 서로 접촉하여 생기는 위험한 상황을 말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가장 적은 것은 커플링입니다. 커플링은 기계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부품으로, 회전하는 두 축을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커플링은 회전하는 두 개체를 접촉시키는 역할을 하지 않으므로 접선물림점과 관련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작업장에서 전기가 별도의 예고 없이 정전 되었을 경우 전기로 작동하던 기계·기구의 조치방법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즉시 스위치를 끈다.
  2. 안전을 위해 작업장을 미리 정리해 놓는다.
  3. 퓨즈의 단선 유·무를 검사한다.
  4. 전기가 들어오는 것을 알기 위해 스위치를 켜 둔다.
(정답률: 86%)
  • 전기가 들어오는 것을 알기 위해 스위치를 켜 둔다는 것은 위험한 행동입니다. 정전 상황에서는 전기가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스위치를 켜 놓는 것은 작업장 내의 전기 장비에 불필요한 충격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즉시 스위치를 끄는 것이 가장 적합한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연삭기의 안전한 사용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숫돌 측면 사용 제한
  2. 숫돌덮개 설치 후 작업
  3. 보안경과 방진마스크 사용
  4. 숫돌과 받침대 간격을 가능한 넓게 유지
(정답률: 76%)
  • "숫돌과 받침대 간격을 가능한 넓게 유지"가 틀린 것이다. 숫돌과 받침대 간격이 넓으면 연삭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안정성도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간격을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