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9-19)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2015-09-19 기출문제)

목록

1. 국어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국어는 '아름다운 고향'과 같이 수식어가 피수식어 앞에 오는 특징이 있다.
  2. 일반적으로 국어의 단모음은 'ㅣ, ㅔ, ㅐ, ㅏ, ㅓ, ㅗ, ㅜ, ㅡ, ㅚ, ㅟ' 열 개가 인정되고 있다.
  3. 국어는 단어 형성법이 발달되어'작은집, 벗어나다'등과 같은 파생어와'군소리, 날고기'등과 같은 합성어가 많다.
  4. 국어는 다른 언어에 비해 높임법이 상당히 발달되어 있는데, 크게 주체를 높이는 주체 높임법, 상대방을 높이는 상대 높임법, 문장의 객체를 높이는 객체 높임법으로 구분된다.
(정답률: 84%)
  • 정답: "일반적으로 국어의 단모음은 'ㅣ, ㅔ, ㅐ, ㅏ, ㅓ, ㅗ, ㅜ, ㅡ, ㅚ, ㅟ' 열 개가 인정되고 있다."

    설명: 국어는 단어 형성법이 발달되어 파생어와 합성어가 많다는 것은 맞는 설명이다. 국어는 수식어가 피수식어 앞에 오는 특징이 있으며, 높임법이 발달되어 있는 것도 맞는 설명이다. 하지만 국어의 단모음은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열 개가 인정되고 있으며, 'ㅔ, ㅐ, ㅚ, ㅟ'는 이중모음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국어의 단모음은 'ㅣ, ㅔ, ㅐ, ㅏ, ㅓ, ㅗ, ㅜ, ㅡ, ㅚ, ㅟ' 열 개가 인정되고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의 밑줄 친 부분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의 밑줄 친 부분에는 주어 '주원'이 생략되어 있다.
  2. ㈏에서는 밑줄 친 부분뿐 아니라 '그가 성실한'도 안긴문장이다.
  3. ㈐에서 밑줄 친 부분은 부사어 구실을 하고 있다.
  4. 위 문장에서 밑줄 친 부분은 모두 문장 속에 안긴문장이다.
(정답률: 75%)
  • "㈎의 밑줄 친 부분에는 주어 '주원'이 생략되어 있다."가 적절하지 않은 설명이다. 실제로는 주어가 생략된 것이 아니라 주어인 '주원이'가 이미 이전 문장에서 언급되어 있기 때문에 생략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문장의 의미가 가장 명확한 것은?

  1. 그가 걸음을 걷는 것이 이상하다.
  2. 어머니께서 사과와 귤을 두 개씩 주셨다.
  3. 커피 한 잔은 되지만 한 잔 이상 마시면 해롭습니다.
  4. 그 판매원은 웃으면서 들어오는 손님에게 인사를 건넸다.
(정답률: 67%)
  • 정답은 "어머니께서 사과와 귤을 두 개씩 주셨다."입니다. 이 문장은 주어, 동사, 목적어가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고, 무엇을 얼마나 받았는지도 명확하게 나와 있기 때문에 의미가 가장 명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 중 고친 띄어쓰기가 옳지 않은 것은?

  1. ㉠ 떠난지 – 떠난 지
  2. ㉡ 뜻한것 – 뜻한 것
  3. ㉢ 친구처럼 – 친구 처럼
  4. ㉣ 이룰수 – 이룰 수
(정답률: 96%)
  • ㉢ 친구처럼 – 친구 처럼이 옳은 띄어쓰기입니다. "처럼"은 보조사이므로 앞 단어와 함께 하나의 단어로 취급되어 띄어쓰기가 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의 의미 중 옳은 것은?(5번 공통지문 문제)

  1. ㉠ 마음을
  2. ㉡ 깊이 스며드는구나
  3. ㉢ 한 서린 병
  4. ㉣ 조그만
(정답률: 46%)
  • ㉣은 "조그만"을 뜻한다. 이는 다른 보기들과 달리 크기나 깊이와 관련이 없이 크기가 작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단어의 형성 방법이 서로 다른 것끼리 묶인 것은?

  1. 늦잠 – 밤낮
  2. 앞뒤 – 똥오줌
  3. 힘들다 – 앞서다
  4. 맛있다 – 힘차다
(정답률: 74%)
  • "늦잠 – 밤낮"은 둘 다 명사이지만, "늦잠"은 동사인 "늦다"와 명사인 "잠"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합성어이고, "밤낮"은 명사인 "밤"과 "낮"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합성어이기 때문에 형성 방법이 서로 다른 것끼리 묶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문장 부호의 용법 설명 중 옳은 것은?

  1. 쌍점은 앞말과 뒷말을 각각 띄어 써야 한다.
  2. '3 / 4 분기'에서 빗금의 띄어쓰기는 옳게 사용된 것이다.
  3. '나이[年齡]'에서고유어에대응하는한자어를보일때에는 대괄호를 사용한다.
  4. '2015.9.19'에서연월일을숫자로만쓸때에는마지막에 마침표를 찍지 않는다.
(정답률: 72%)
  • "'나이[年齡]'에서고유어에대응하는한자어를보일때에는 대괄호를 사용한다." 이유는 한자어를 보여주기 위해서이다. 대괄호 안에 있는 한자어는 해당 단어의 한자어임을 나타내며, 한자어를 알지 못하는 사람도 해당 단어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어법에 맞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6시가 안되서 일어났다.
  2. 어디를 가든지 자기 하기 나름이다.
  3. 지금부터 주례 선생님의 말씀이 계시겠습니다.
  4. 이 배는 사람이나 짐을 싣고 하루에 다섯 번씩 운행한다.
(정답률: 79%)
  • "어디를 가든지 자기 하기 나름이다."는 문장이 완전한 독립절이기 때문에 다른 문장들과는 관련이 없이 자체적으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문장들과는 문법적으로도 의미적으로도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의 문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의'떠나가고 있네.'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것을 표현한동작상 표현이다.
  2. ㈏는 명령문으로 주로'예쁘다, 귀엽다, 착하다'와 같은어휘들이 서술어로 사용된다.
  3. ㈐는 세 자리 서술어가 쓰인 문장으로 '철이에게'는 보어이다.
  4. ㈑를간접인용표현으로바꾸면'참재미있었다라고말할까?'가 된다.
(정답률: 69%)
  • ㈎의 '떠나가고 있네.'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현재진행형 표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괄호에 들어갈 한자어로 옳은 것은?

  1. 子規
  2. 細雨
  3. 陰雨
  4. 錦繡
(정답률: 45%)
  • 이 문제는 이미지로 제공된 시조에서 빈칸에 들어갈 한자어를 찾는 문제입니다. 이 시조는 "細雨慢慢春半生,陰雨瀟瀟夏將至,錦繡山河秋已深,(  )聲聲冬又至"로, 봄, 여름, 가을, 겨울의 각 계절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이 중 빈칸에 들어갈 한자어는 "子規"입니다. "子規"는 가을의 대표적인 새인 노자를 뜻하며, 가을의 도래를 알리는 새의 울음소리로 유명합니다. 따라서 "子規"가 빈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한시의 정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心心相印
  2. 敎外別傳
  3. 麥秀之嘆
  4. 戀戀不忘
(정답률: 17%)
  • 이 한시의 주요 내용은 사랑하는 사람을 잊지 않겠다는 결심입니다. "戀戀不忘"은 "사랑 잊지 않겠다"는 뜻으로, 이 한시의 주요 내용과 가장 일치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마음이 서로 통한다"("心心相印"), "교외에서 전해지는 이야기"("敎外別傳"), "맥주의 아쉬움"("麥秀之嘆") 등으로, 이 한시의 내용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밑줄 친 부분에 해당하는 어휘로 옳은 것은?

  1. 가납사니
  2. 간살쟁이
  3. 고삭부리
  4. 대갈마치
(정답률: 58%)
  • 이 그림은 대갈마치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대갈마치는 바닷속에 서식하는 작은 물고기 중 하나로, 몸길이가 10cm 정도이며 먹이 사냥을 위해 빠른 속도로 수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밑줄 친 속담 중 사용이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절에 간 색시처럼 남이 시키는 대로 살아야 하는 내 처지가 정말 싫다.
  2. 실없는 말이 송사 간다는데 무심하게 한 말이 큰 소동이 될 수도 있으니 말과 행동을 항상 조심해라.
  3. 우리 과장님 속으로는 딴마음이 있으면서 오늘도 점잖은 척 시치미를 떼고 계시네. 우리 과장님은 아니 먹은 최 보살 같아.
  4. 오늘 억지로 사람을 만나러 나갔는데 나온 사람이 몸은 왜소하고 얼굴은 생기도 없어서 꼭 씻은 배추 줄기처럼 많이 아파 보이더라.
(정답률: 43%)
  • "씻은 배추 줄기처럼 많이 아파 보이더라"가 가장 적절하지 않은 속담이다. 이 속담은 어떤 사람이 아픔이나 고통을 많이 겪어 보인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인데, 이 문장에서는 비유가 적절하지 않다. 씻은 배추 줄기는 깨끗하고 상쾌한 이미지를 떠올리게 되는데, 이와는 반대로 아픔이나 고통을 많이 겪어 보이는 사람을 비유하는 것이므로, 문맥상 적절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의 단어 표기가 옳은 것은?

(정답률: 59%)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와 "㉢"는 한자의 발음이 다르기 때문에 표기가 옳지 않습니다. "㉡"은 한자의 발음과 일치하는 표기이기 때문에 옳은 표기입니다. "㉣"은 한자의 발음과는 다르지만, 표기상으로는 허용되는 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 언어의 사회성
  2. ㈏ 언어의 자의성
  3. ㈐ 언어의 역사성
  4. ㈑ 언어의 창조성
(정답률: 76%)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처럼 언어는 개인의 내면에서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는 자의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 언어의 자의성"이 가장 적절한 주제입니다. "㈎ 언어의 사회성"은 언어가 사회적 상황에서 사용되는 것을 의미하며, "㈐ 언어의 역사성"은 언어의 역사와 변천사를 다루는 주제입니다. "㈑ 언어의 창조성"은 언어가 창조적인 측면을 다루는 주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 중에서 금강산에 대하여 표현한 것은?(17번 공통지문 문제)

  1. ㈎, ㈏, ㈑
  2. ㈎, ㈏, ㈒
  3. ㈎, ㈑, ㈒
  4. ㈎, ㈑, ㈓
(정답률: 63%)
  • 정답은 "㈎, ㈑, ㈒" 입니다.

    ㈎는 "금강산에 산다"라는 표현으로 금강산에 살고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는 "금강산도 식후경"이라는 표현으로 금강산도 식사 후에 보는 경치가 아름답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는 "금강산도 아름답지만 더 아름다운 것이 내 마음"이라는 표현으로 금강산이 아름답지만 그보다 더 내 마음에 아름다운 것이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세 가지 표현 모두 금강산에 대한 다양한 감정과 인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에대한설명으로가장적절하지 않은 것은?(19번 공통지문 문제)

  1. ㉠은 1, 2연의 내용을 의미하는 대용 표현이다.
  2. ㉡은'인격 또는 학식 따위가 높고 빼어나다'는 의미이다.
  3. ㉢은'함초롬'의 방언이다.
  4. ㉣은'애틋하게 그리운'을 나타낸다.
(정답률: 64%)
  • ㉡은 '높은' 또는 '우수한'을 의미하는 것이다. '인격 또는 학식 따위가 높고 빼어나다'는 의미는 그저 예시일 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