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3-19)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2016-03-19 기출문제)

목록

1. 밑줄 친 낱말의 차용 방식이 다른 것은?

  1. ㉠ : 弗矩內
  2. ㉡ : 入
  3. ㉢ : 可
  4. ㉣ : 羅
(정답률: 43%)
  • ㉡의 경우 한자에서 직접 가져온 것이 아니라 한자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일본어의 "入り"에서 차용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훈민정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가, 다
  2. 가, 나, 라
  3. 나, 라
  4. 나, 다, 마
(정답률: 67%)
  • 훈민정음은 1443년에 세종대왕이 만든 한글이다. 따라서 "가, 다"와 "가, 나, 라"는 틀린 설명이다. "나, 라"는 맞는 설명이지만, "나, 다, 마"는 틀린 설명이다. "나, 다, 마"는 훈민정음의 초성 중 하나인 "ㄴ, ㄷ, ㅁ"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ㄴ, ㄷ, ㅁ"의 순서를 기억하기 쉽게 만든 기억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음운 변동과 그 예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교체 : 부엌 [부억]
  2. 축약 : 붙여 [부쳐]
  3. 탈락 : 담가도 [담가도]
  4. 첨가 : 피어도 [피여도]
(정답률: 63%)
  • "탈락 : 담가도 [담가도]"는 음운 변동이 아니라 발음이 틀린 것이므로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축약 : 붙여 [부쳐]"는 두 개의 음운이 축약되어 하나의 음운으로 발음되는 것을 말한다. "붙여"는 "부"와 "여" 두 개의 음운이 합쳐진 것인데, 이 두 음운이 축약되어 "부쳐"라는 하나의 음운으로 발음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언어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언어의 자의성 : 언어 형식과 내용의 관계가 반드시 고정된 것이 아니다.
  2. 언어의 역사성 : 언어는 고정되어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의미나 형태가 변화하기도 한다.
  3. 언어의 사회성 : 언어 내용과 형식이 일단 한 사회 속에서 약속으로 굳어지면 아무나 마음대로 바꿀 수 없다.
  4. 언어의 분절성 : 음운, 단어, 문장, 담화 단위에 이르기까지 각 단위 혹은 단위 사이에 특정한 규칙이 존재한다.
(정답률: 85%)
  • 언어의 자의성에 대한 설명이 적절하지 않다. 언어의 형식과 내용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 간의 관계는 고정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언어의 자의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은 한자 성어이다. ( ) 안에 들어갈 한자가 모두 적절한 것은?

  1. 稅, 蜜, 蝦, 稼
  2. 勢, 密, 瑕, 柯
  3. 勢, 蜜, 蝦, 柯
  4. 稅, 密, 瑕, 稼
(정답률: 57%)
  • 이 성어는 "세상에는 세금과 같은 것이 있어도, 그것을 모두 모아 먹을 수 있는 꿀과 새우와 같은 것도 있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勢(세력)", "蜜(꿀)", "蝦(새우)", "柯(가지)"가 적절한 한자이다. "稅(세금)"과 "稼(농사)"는 이 성어의 의미와 맞지 않는다. "密(밀접한)", "瑕(흠)", "密(밀접한)"은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이 성어의 의미와는 조금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표준 발음법에 맞지 않은 것은?

  1. 맑다 [말따]
  2. 흙과 [흑꽈]
  3. 넓다 [널따]
  4. 밟다 [밥ː따]
(정답률: 93%)
  • "맑다 [말따]"가 표준 발음법에 맞지 않은 것입니다. "맑다"의 정확한 발음은 "막다"와 비슷하게 "막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문장의 의미가 가장 명확한 것은?

  1. 선생님이 보고 싶은 학생이 많다.
  2. 오늘도 나는 반장과 선생님을 찾아다녔다.
  3. 수많은 사람들의 노력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4. 아버지는 나를 좋아하는 것보다 신문을 더 좋아한다.
(정답률: 69%)
  • 아버지가 좋아하는 것 중에서 신문을 가장 좋아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이 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손자 '성규'는 자신의 입장을 내세워 협조를 부탁하고 있다.
  2. '민 노인'의 아들은 '민 노인'과의 관계보다 자신의 체면을 중시한다.
  3. '민 노인'은 아들과 며느리가 자신을 탐탁지 않게 여기는 것을 알고 있다.
  4. 손자 '성규'는 일이 끝난 후 받게 될 혜택을 제시하며'민 노인'을 설득하고 있다.
(정답률: 97%)
  • 이미 보기에서 정답이 제시되어 있으므로, 이 글에 대한 설명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적절한 한자만 쓰인 것은?

  1. 이 무기는 辭呈 거리가 너무 짧다. 신무기 개발과 補給이 時急하다.
  2. 사건을 造作한 것이 경찰에 의해 發覺되었다. 이는 권력을 지나치게 濫用한 결과다.
  3. 조선시대 의식주에 관한 資料가 필요하면 민속학 事典에 있는 정보를 수집해라. 그리고 고적을 答辭해라.
  4. 이번 事件에 대해 한국 정부는 有感의 뜻을 표했다. 이는 한국인의 소행으로 斷定할 근거가 없기 때문이다.
(정답률: 53%)
  • 사건을 造作한 것이 경찰에 의해 發覺되었다. 이는 권력을 지나치게 濫用한 결과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에서 외래어 표기가 알맞은 것끼리 짝지어진 것은?

  1. ㉠, ㉡
  2. ㉠, ㉣
  3. ㉡, ㉢
  4. ㉢, ㉣
(정답률: 87%)
  • "㉠"는 영어 단어 "mobile"의 발음을 따서 만든 우리말 표기이고, "㉣"은 영어 단어 "smart"의 발음을 따서 만든 우리말 표기이다. 따라서, 둘 다 외래어 표기가 알맞은 것끼리 짝지어진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이 글을 쓸 때 세운 글의 계획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계절 변화를 환기한 후 안부를 묻는다.
  2. 선생님께 편지의 용건을 명확하게 전달한다.
  3. 선생님께 드리는 글이므로 정중하고 공손하게 표현한다.
  4. 선생님께 지난 과거 일을 말씀드리며 실수한 일에 용서를 구한다.
(정답률: 100%)
  • "계절 변화를 환기한 후 안부를 묻는다."는 이 글의 계획과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밑줄 친 부분의 뜻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가멸다
  2. 슬겁다
  3. 몽따다
  4. 곰삭다
(정답률: 39%)
  • 이미지에서 보이는 글자들은 한글 자모음을 섞어서 쓴 것이다. "몽따다"는 한글 자모음을 섞어서 쓴 단어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밑줄 친 부분에 쓰인 높임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상황에 따라 격식체와 비격식체로 나뉜다.
  2. 목적어나 부사어가 지시하는 대상, 즉 주어의 행위가 미치는 대상을 높여 표현하는 높임법이다.
  3. 청자를 높이거나 낮추어 표현하는 높임법으로, 종결 어미에 의해 청자에 대한 높임이나 낮춤의 정도가 표현된다.
  4. 서술어의 어간에 선어말어미 '-(으)시'를 붙여 높임을 표현한다. '계시다', '잡수시다' 등 특수한 어휘를 통해 실현되기도 한다.
(정답률: 86%)
  • 주어의 행위가 미치는 대상을 높여 표현하는 높임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밑줄 친 부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14번 공통지문 문제)

  1. ㉠ 머리곰 : '멀리멀리'의 의미로서 시적 화자의 간절한 마음을 강조하고 있다.
  2. ㉡ 졈그ᄅᆞᆯ셰라 : '저물까 두렵다'의 의미로서 야간에 남편이 해를 입을까 걱정하는 시적 화자의 심리가 나타난다.
  3. ㉢ 믜리도 괴리도 없이 : '미워할 사람도 사랑할 사람도 없이'의 의미로서 고독한 운명을 수용하는 태도를 나타내고 있다.
  4. ㉣ 드로라 : '듣는가'의 의미로서 비록 홀로 있지만 사랑하는 임과 함께 신비로운 소리를 듣기를 바라는 시적 화자의 바람을 드러내고 있다.
(정답률: 85%)
  • ㉡ 졈그ᄅᆞᆯ셰라 : '저물까 두렵다'의 의미로서 야간에 남편이 해를 입을까 걱정하는 시적 화자의 심리가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띄어쓰기가 옳지 않은 것은?

  1. 그녀가 떠난 지 벌써 3년이 지났다. 내가 좋아하는 사람은 아직도 그녀뿐이다.
  2. 억울하면 법대로 해라. 그리고 궁금한 것은 스스로 책이나 컴퓨터로 찾아보아라.
  3. 우리는 어릴 망정 어떤 고난도 참아 냈다. 지금까지 애쓴 만큼 강팀들도 이길 수 있다.
  4. 철수는 일을 하다가 실수로 그릇을 깨뜨려 버렸다. 그러나 사장님에게 혼나기는커녕 수고했다고 칭찬까지 받았다.
(정답률: 87%)
  • 띄어쓰기가 옳지 않은 것은 "그리고 궁금한 것은 스스로 책이나 컴퓨터로 찾아보아라."이다. "그리고"와 "궁금한" 사이에는 조사 "것은"이 필요하다.

    우리는 어릴 망정 어떤 고난도 참아 냈다. 지금까지 애쓴 만큼 강팀들도 이길 수 있다. 이 문장은 "어릴 망치"와 "어떤 고난도" 사이에 "이"가 생략된 것이다. 또한 "애쓴 만큼"은 "애를 쓴 만큼"에서 "를"이 생략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문장의 구성이 다른 것은?

  1. 꽃이 피는 봄이 되었다.
  2. 재물을 보기를 돌같이 하라.
  3. 누나가 시험에 합격했음을 알렸다.
  4. 운동을 매일 하는데도 건강이 안 좋다.
(정답률: 70%)
  • "운동을 매일 하는데도 건강이 안 좋다."는 주어와 동사, 보어 등의 구성이 다른 문장들과 달리 부사절이 포함된 복합문이기 때문에 구성이 다르다. 이 문장은 "운동을 매일 하는데"라는 부사절과 "건강이 안 좋다"라는 독립절로 이루어져 있다. 이 부사절은 "운동을 하는"이라는 동작을 수식하고, 독립절은 그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데, 이 둘은 서로 연관되어 있지만 문장 구성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문장 중 밑줄 친 서술어의 자릿수가 다른 것은?

  1. 어제 만났던 그는 이제 선생님이 아니다.
  2. 군대에 가는 민수는 후배들에게 책을 주었다.
  3. 배가 많이 고팠던 철수는 라면을 맛있게 먹었다.
  4. 삶에 관심이 많은 학생들이 도서관에서 책을 읽는다.
(정답률: 88%)
  • "어제 만났던 그는 이제 선생님이 아니다."의 서술어는 2자리이고, 나머지 문장들의 서술어는 모두 1자리이다. 이유는 "아니다"가 "주었다", "먹었다", "읽는다"와 달리 2음절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은 한글맞춤법 제30항의 일부이다. ㉠과 ㉡에 들어갈 사이시옷 표기가 된 합성어의 예로 적절하게 짝지어진 것은?(순서대로 ㉠, ㉡)

  1. 귓병, 귓밥
  2. 냇가, 뱃길
  3. 자릿세, 전셋집
  4. 아랫집, 아랫방
(정답률: 65%)
  • ㉠에서는 "귓병, 귓밥"과 "아랫집, 아랫방"이 사이시옷 표기가 된 합성어의 예로 주어졌다. 이 중 "귓병, 귓밥"은 사이시옷 표기가 되지 않는다. 이유는 "귓병"이 명사이고 "귓밥"이 동사인데, 명사와 동사가 합쳐진 합성어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다. 반면에 "아랫집, 아랫방"은 모두 명사이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쓰는 것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의 뜻풀이에 해당하는 속담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 아는 것이 병이다.
  2. ㉡ 무는 호랑이는 뿔이 없다.
  3. ㉢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
  4. ㉣ 양지가 음지 되고 음지가 양지 된다.
(정답률: 53%)
  • ㉢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 - 이 속담은 "경험이 부족한 사람은 위험을 인식하지 못한다"는 뜻이지만, 다른 세 속담은 모두 "상황이 바뀌면 반대의 결과가 일어난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 양지가 음지 되고 음지가 양지 된다. - 이 속담은 "상황이 바뀌면 반대의 결과가 일어난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부자였다가 돈을 다 써서 가난해졌다면, 그 사람은 양지에서 음지로 변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반대로, 가난한 사람이 돈을 벌어서 부자가 되면, 음지에서 양지로 변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