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9-03)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2016-09-03 기출문제)

목록

1. 우리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현대 국어의 표준어에서는 소리의 길이에 따라서 의미를 변별할 수 있다.
  2. 우리말의 자음 체계에서 '비음'과 '유음'의 분류는 조음(調音) 위치에 따른 것이다.
  3. '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 입안에 가시가 돋는다.'는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이다.
  4. 우리말 품사 중 감탄사는 활용하지 않는데 대답할 때 쓰는 '예, 아니요'가 그 예이다.
(정답률: 66%)
  • 우리말의 자음 체계에서 '비음'과 '유음'의 분류는 조음(調音) 위치에 따른 것이 맞다. 비음은 입술이나 혀끝 등으로 공기 흐름을 막아서 발음하는 자음이고, 유음은 공기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발음하는 자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괄호 속에 들어갈 수 있는 예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흙내(명사)
  2. 저녁내(부사)
  3. 끝내(부사)
  4. 막내(명사)
(정답률: 78%)
  • 이 그림은 땅에서 나오는 냄새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냄새를 "흙내"라고 표현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흙내(명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단어의 로마자 표기나 외래어 표기가 바르지 않은 것은?

  1. 수락산 ⇒ Suraksan
  2. 오죽헌 ⇒ Ojukheon
  3. ambulance ⇒ 앰뷸란스
  4. 毛澤東 ⇒ 마오쩌둥
(정답률: 82%)
  • "毛澤東"은 한자 표기이므로 외래어 표기가 아닌 것이다. "ambulance"는 영어 단어이므로 로마자 표기가 맞지만, "앰뷸란스"는 외래어 표기가 맞다. 외래어 표기는 해당 언어의 발음에 맞게 표기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문장을 한글 맞춤법에 따라 바르게 수정한 것은?

  1. 희노애락을∨함께∨하며∨가족같이∨지내던∨친구가∨한번∨놀러오라고∨연락을∨했다.
  2. 희로애락을∨함께∨하며∨가족∨같이∨지내던∨친구가∨한∨번∨놀러오라고∨연락을∨했다.
  3. 희노애락을∨함께하며∨가족∨같이∨지내던∨친구가∨한∨번∨놀러∨오라고∨연락을∨했다.
  4. 희로애락을∨함께하며∨가족같이∨지내던∨친구가∨한번∨놀러∨오라고∨연락을∨했다.
(정답률: 59%)
  • "희로애락을 함께하며 가족같이 지내던 친구가 한번 놀러 오라고 연락을 했다."
    정답은 1번입니다. "희로애락"은 "희노애락"으로 고쳐야 하고, "가족같이"와 "한번" 사이에는 "∨"가 들어가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밑줄 친 차자 표기의 방식이 다른 하나는?

(정답률: 34%)
  • 정답은 "㉡"입니다.

    "㉠"는 한자를 한글로 표기한 것이고, "㉢"와 "㉣"은 한글을 한자로 표기한 것입니다.

    하지만 "㉡"은 한글을 영어로 표기한 것입니다. 따라서 다른 방식으로 표기되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간단하게 설명하면, "㉠", "㉢", "㉣"은 모두 한글 또는 한자로 표기되어 있지만, "㉡"은 영어로 표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에는 주격 조사와 만나 형태가 변한 명사가 포함되어 있다.
  2. ㉡은 소리 나는 대로 적는 당시의 표기법에는 어긋난다.
  3. ㉢에는 현대 국어의 명사 '가물'의 옛 형태가 포함되어 있다.
  4. ㉣에서 조사가 생략되었다면 '내'의 형태로 쓰였을 것이다.
(정답률: 16%)
  • ㉢에는 현대 국어의 명사 '가물'의 옛 형태가 포함되어 있다는 설명이 바르지 않다. 실제로 ㉢에는 "가물"이 아니라 "가물이"라는 단어가 포함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한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한글은 창제 당시 28개의 기본자 중 17개가 자음자였으며 모음자 중 4개는 이중모음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2. 한글은 소리 문자이지만 일본의 '가나'와 다른 음소 문자로서 개별 글자가 하나의 음소에 모두 일대일로 대응된다.
  3. 남한과 북한에서 사용하는 한글 자모 명칭은 같지만 사전에 올릴 때에 사용하는 한글 자모 순서는 일부 차이가 있다.
  4. 'ㄱ<ㅋ<ㄲ'과 같이 소리의 세기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제자 과정에서 가획의 원리가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정답률: 23%)
  • 한글은 창제 당시 28개의 기본자 중 17개가 자음자였으며 모음자 중 4개는 이중모음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문장에서 밑줄 친 단어의 쓰임이 올바른 것은?

  1. 이런 날씨에 비를 맞추니 멀쩡한 사람도 병이 나지.
  2. 너라면 아마도 그 문제의 정답을 맞출 수 있었을 텐데.
  3. 우리 선수는 마지막 화살까지도 10점 과녁에 맞췄다.
  4. 그는 그녀와의 약속 시간을 제대로 맞춘 적이 없었다.
(정답률: 69%)
  • "그는 그녀와의 약속 시간을 제대로 맞춘 적이 없었다."의 쓰임은 "시간을 정확히 맞추다"로 올바르게 사용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문장의 표현이 가장 적절한 것은?

  1. 그러지 말고, 좋은 사람 있으면 소개시켜 줘.
  2. 선생님, 제 말씀부터 좀 들어 봐 주시면 좋겠습니다.
  3. 정성이 이 정도라면 여간한 성의라고밖에 할 수 없네요.
  4. 선생님, 선생님께 훈장이 추서됐으니 수여식에 참석하시래요.
(정답률: 54%)
  • "선생님, 제 말씀부터 좀 들어 봐 주시면 좋겠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문장에서 '-었-/-았-/-였-'의 문법적 기능이 밑줄 친 예와 가장 유사한 것은?

  1. 모두가 기다리던 그가 밤늦게 공항에 도착하였다.
  2. 윤희는 예쁜 파란색 모자를 사고서는 방금 떠났다.
  3. 그 사람은 자신의 아버지와 달리 정말로 잘생겼다.
  4. 결국 곧 진실이 드러날 테니 이제 우리는 다 죽었다.
(정답률: 75%)
  • '-었-/-았-/-였-'은 과거 시제의 어미이다. 따라서 이 문장에서는 "그 사람은 자신의 아버지와 달리 과거에 잘생겼다"라는 뜻이 된다.

    해설: 주어인 "그 사람"과 동사인 "잘생겼다" 사이에 "과거에"라는 시간적 의미를 나타내는 부사가 끼어져 있으며, "자신의 아버지와 달리"는 그 사람과 그의 아버지를 대조시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표기할 때 적절한 것은?(순서대로 ㉠, ㉡, ㉢)

  1. 發揮, 排他的, 一刻
  2. 撥揮, 排他的, 一覺
  3. 發揮, 俳他的, 一刻
  4. 撥揮, 俳他的, 一覺
(정답률: 44%)
  • ㉠: 發揮 - 이미지를 발휘하다는 뜻으로, 이 문장에서는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라는 뜻입니다.
    ㉡: 排他的 - 배타적인, 제외하는 뜻으로, 이 문장에서는 다른 생각이나 의견을 제외하고 집중하라는 뜻입니다.
    ㉢: 一刻 - 한 순간, 잠깐의 뜻으로, 이 문장에서는 시간을 아끼고 빠르게 대처하라는 뜻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단어의 문맥적 의미를 설명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 어찌할 바를 몰라 이리저리 머뭇거리다.
  2. ㉡: 곤충의 한 종류로 남의 것을 뜯어먹고 사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3. ㉢: 얼굴에 우묵한 마맛자국이 생긴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이다.
  4. ㉣: 여러 가지 농기구를 파는 작은 가게를 일컫는다.
(정답률: 62%)
  • 단어는 "농기구"이며, 문맥에서 "여러 가지 농기구를 파는 작은 가게를 일컫는다."는 정답인데, 이유를 최대한 간단명료하게 설명하면 이미 문맥에서 "농기구"와 "파는 가게"라는 단서가 주어졌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 여러 가지 농기구를 파는 작은 가게를 일컫는다."가 적절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속담의 뜻풀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기둥 치면 들보가 운다:전혀 관계가 없는 일에 억울하게 배상을 하게 된다.
  2. 게도 구멍이 크면 죽는다:분수에 지나치면 도리어 화를 당하게 된다.
  3. 토끼 덫에 여우 걸린다:처음 계획했던 것보다 의외로 더 큰 이익을 얻게 된다.
  4. 소경이 개천 나무란다:자기의 과실은 생각지 않고 상대만 원망한다.
(정답률: 80%)
  • "토끼 덫에 여우 걸린다:처음 계획했던 것보다 의외로 더 큰 이익을 얻게 된다."는 속담의 뜻풀이로 적절하지 않다. 이 속담은 예상치 못한 결과로 이익을 얻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예상치 못한 결과로 손해를 보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이 작품의 주제를 연군지정(戀君之情)이라 할 때, 각 단락에 나타난 중심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14번 공통지문 문제)

  1. (가) - 자신의 정성을 임금에게 전하고자 함.
  2. (나) - 임금의 건강을 염려하고 임금을 그리워 함.
  3. (다) - 자신과 임금이 영원히 함께 있고 싶어 함.
  4. (라) - 임금에게 자신의 충성심을 알리고자 함.
(정답률: 50%)
  • (가) - 자신의 정성을 임금에게 전하고자 함.
    (나) - 임금의 건강을 염려하고 임금을 그리워 함.
    (라) - 임금에게 자신의 충성심을 알리고자 함.

    정답: (다)

    이 작품의 주인공인 연군은 자신과 임금이 영원히 함께 있고 싶어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작품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주제인 연군의 임금에 대한 사랑과 충성심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시어를 풀이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16번 공통지문 문제)

  1. ㉠: 가죽신의 밑창
  2. ㉡: 아버지의 사촌 형제
  3. ㉢: 새 사돈
  4. ㉣: 딸려 붙었던 것이 다 떨어지고 몸뚱이만 남은 물건
(정답률: 50%)
  • 시어란 죽은 사람의 남편 또는 아내를 뜻합니다. 따라서 "㉡: 아버지의 사촌 형제"는 시어를 풀이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가)∼(라)에 나타난 상황을 한자 성어로 표현할 때 적절하지 않은 것은?(18번 공통지문 문제)

  1. (가) - 表裏不同
  2. (나) - 命在頃刻
  3. (다) - 巧言令色
  4. (라) - 櫛風沐雨
(정답률: 37%)
  • 정답은 (가) - 表裏不同이다. 이유는 (가)의 뜻인 "양면이 다르다"는 상황을 나타내는 표현이지만, 한자 성어로는 "양면이 다르다"보다는 "양면이 모두 같지 않다"는 의미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라) - 櫛風沐雨는 "바람을 빗고 비를 씻는다"는 상황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밑줄 친 부분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아버지에 대한 사람들의 왜곡된 시선에 대해 반감을 가지고 있다.
  2. ㉡:인간이 인간답게 살아가는 세상에 대한 희망을 보여 준다.
  3. ㉢:삶의 터전을 빼앗기리라는 것을 예상하지 못했다.
  4. ㉣:난쟁이 가족의 어려운 삶의 형편을 보여 준다.
(정답률: 70%)
  • ㉡은 이야기에서 희망을 보여주는 부분이므로, "인간이 인간답게 살아가는 세상에 대한 희망을 보여 준다."라는 설명이 적절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