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범죄와 일탈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 범죄학 연구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 한국의 범죄현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4. 폭력적 범죄와 관련이 높다고 주장되는 염색체는?
5. 뒤르케임(Durkheim)의 아노미이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6. 지역사회 범죄예방활동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 미국 일부 주에서 삼진아웃제도(Three Strikes and You're Out)로 상습범죄자를 매우 무겁게 처벌하는 것은 다음 중 무엇과 가장 관련이 있는가?
8. <범죄, 수치심, 재통합(1989)>이란 저서에서 재통합적 수치심이론을 주장한 학자는?
9. 형벌 유형 중 재산형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0. 머튼(Merton)의 아노미이론에서 문화적 목표는 부인하면서 제도적 수단은 용인하는 중하층관료 등의 적응형태는?
11. 공식범죄통계는 다음 중 어떤 자료를 근거로 만들어지는가?
12. 개방시설 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3. 범죄자를 처벌함으로써 보통사람들의 범죄를 예방하는 것은?
14. 소년사건 사법절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1, 3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5. 범죄자를 사회의 다른 성원들로부터 격리시켜 사회를 보호하고자 하는 입장은?
16. 코헨과 펠슨(Cohen and Felson)의 일상행위이론에서 주장하는 범죄유발의 세 가지 요소가 아닌 것은?
17.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의 전략이 아닌 것은?
18. 고전주의 범죄학에 기초한 이론의 주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9. 폭력범죄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0. 피해자 없는 범죄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1. 어릴 때부터 형성된 개인의 안정적 성향이 범죄의 주요 원인이라고 주장하는 이론은?
22. “친구따라 강남간다”라는 속담과 관련되는 이론가는?
23. 살인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24. 합성약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25. 강간에 대한 유형 분류 중 성격이 다른 것은?
26. 화이트칼라 범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7. 지역사회의 해체적 특성에서 범죄원인을 찾는 거시이론가는?
28. 조직범죄의 일반적인 활동영역으로 볼 수 없는 것은?
29. 롬브로조(Lombroso)의 이론에서 선천적으로 타고난 범죄적 유전자에 의해 범죄를 하게 되는 유형은?
30. 증오범죄(hate crim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1. 은행처럼 꾸민 가짜 웹사이트를 개설하고 개인정보를 입력하도록 유도하여 금융사기를 일으키는 신종 범죄는?
32. 최근 범죄연구에서 크게 부각되는 발전(발달)이론은 범죄경력의 시작, 지속, 종료를 포함하여 범죄경력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시각을 제공한다. 다음 중 발전(발달)이론가에 속하지 않는 학자는?
33. 생활양식이론에 근거해 볼 때 생활패턴 상 범죄피해의 정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4. 허쉬(Hirschi)가 제시한 네 가지 유대요소 중에서 “부모님께서 실망하실까봐 비행을 망설이게 된다”는 것과 관련된 것은?
35. 아이젠크(Eysenck)가 제시한 성격 차원이 아닌 것은?
36. 전환처우(diversion)의 이론적 근거에 해당하는 것은?
37. 중화의 기술이 아닌 것은?
38. 피해자와 가해자 또는 지역사회 등 범죄사건 관련자들이 사건의 해결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피해자 또는 지역사회의 손실을 복구하고 관련 당사자들의 재통합을 추구하는 일체의 범죄대응 방식은?
39. 사형폐지론을 지지하는 논거와 거리가 먼 것은?
40. 레머트(Lemert)의 이차적 일탈(secondary deviance)에 해당하는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