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공무원(공개,경력) 국어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10-13)

소방공무원(공개,경력) 국어
(2018-10-13 기출문제)

목록

1. 다음 글의 내용이 나타내고 있는 언어의 특성으로 적절한

  1. 언어의 창조성
  2. 언어의 사회성
  3. 언어의 역사성
  4. 언어의 자의성
(정답률: 80%)
  • 이 글은 언어의 사회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사람들이 서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공통된 언어를 사용하며, 이 언어는 사회적으로 만들어지고 발전해왔기 때문이다. 또한, 이 글에서는 언어의 사용자들이 상황에 따라 언어를 다르게 사용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어, 언어의 사용은 사회적 맥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특성들은 언어의 사회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가)와 (나)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가)의 '백설'과 (나)의 '눈비'는 혼란스러운 시대 현실을 의미한다.
  2. (가)의 '독야청청'과 (나)의 '일편단심'은 삶의 태도 면에서 유사하다.
  3. (가)의 '낙락장송'과 (나)의 '야광명월'은 화자가 긍정적 으로 인식하는 대상이다.
  4. (가)의 '이 몸'과 (나)의 '님'은 화자가 변치 않는 절개를 다짐하고 있는 대상이다.
(정답률: 49%)
  • "(가)의 '백설'과 (나)의 '눈비'는 혼란스러운 시대 현실을 의미한다."는 설명과 관련이 없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가)와 (나)의 의미나 성격에 대한 설명이지만, 이 보기는 (가)와 (나)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한 설명이다. 따라서 적절하지 않은 보기는 "(가)의 '백설'과 (나)의 '눈비'는 혼란스러운 시대 현실을 의미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 중 순우리말인 것은?

(정답률: 76%)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은 한자어인 "금융"이고, "㉢"과 "㉣"은 영어어인 "ATM"과 "CD"이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은 순우리말인 "현금자동입출금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시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화자는 순수하고도 탈속적인 세계를 지향하고 있다.
  2. 유사한 통사 구조의 반복을 통해 주제를 강조하고 있다.
  3. 화자는 자신의 소망을 '산'이 자신에게 말하는 것처럼 표현하고 있다.
  4. 화자는 절제된 감정으로 '산'과의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려 하고 있다.
(정답률: 77%)
  • 화자는 순수하고도 탈속적인 세계를 지향하고 있다는 설명이 적절하지 않다. 이 시에서는 화자가 산과의 대화를 통해 자신의 소망을 표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화자의 감정과 열정이 묘사되고 있다. 따라서 화자는 절제된 감정으로 '산'과의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려 하고 있다는 설명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글의 내용 전개 방식으로 적절한 것은?

  1. 분류
  2. 서사
  3. 대조
  4. 인과
(정답률: 88%)
  • 이미지에서는 여러 가지 종류의 동물들이 나열되어 있으며, 이들을 각각 분류하는 문제이다. 따라서 정답은 "분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외래어 표기가 옳은 것은?

  1. cafe - 까페
  2. vision - 비젼
  3. jazz - 재즈
  4. supermarket - 수퍼마켓
(정답률: 76%)
  • "jazz - 재즈"가 옳은 표기인 이유는, 재즈가 원래 영어 단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영어 발음과 스펠링을 그대로 따라 적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높임법의 쓰임이 적절한 것은?

  1. 고객님이 주문하신 커피 나오셨습니다.
  2. 할아버지께서 네 방으로 오라고 하셨어.
  3. 지금부터 사장님의 말씀이 계시겠습니다.
  4. 어머니께서 제게 시간을 여쭈어 보셨어요.
(정답률: 86%)
  • 높임법은 상대방에 대한 존경과 예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할아버지께서 네 방으로 오라고 하셨어."가 적절한 높임법의 쓰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밑줄 친 부분의 품사가 다른 하나는?

  1. 신발을 신으니 발이 아프다.
  2. 과연 우리는 앞으로 어떻게 될까?
  3. 그는 해외로 출장을 자주 다닌다.
  4. 철수는 이번 시험을 위해 정말 열심히 공부했다.
(정답률: 77%)
  • ""는 명사이고 나머지는 부사이다.

    " 신발을 신으니 발이 아프다."는 새로운 신발을 처음 신어서 발이 아프다는 뜻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글의 ㉠에 해당하는 작품이 아닌 것은?

  1. 만분가
  2. 적벽가
  3. 심청가
  4. 춘향가
(정답률: 62%)
  • ㉠에 해당하는 작품은 "적벽산"이다. "만분가", "심청가", "춘향가"는 모두 한국 전래동화에서 유래한 가요이다. "만분가"는 '만분의 일'로 나누어진 사랑을 노래한 곡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인 것은?

  1.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2.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
  3.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4.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정답률: 77%)
  •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는 두 개의 문장이 대등하게 이어져 있기 때문에 정답이다. 이 문장은 낮과 밤에 따라 듣는 동물이 다르다는 것을 나타내며, 두 개의 문장은 서로 연관성이 있어서 대등하게 이어져 있다. 다른 보기들은 단순히 비유적인 표현이나 관용구일 뿐, 문장 간의 대등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한시의 형식적 갈래로 적절한 것은?

  1. 5언 절구
  2. 5언 율시
  3. 7언 절구
  4. 7언 율시
(정답률: 70%)
  • 이 한시는 7개의 음절로 이루어진 절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형식을 7언 절구라고 부릅니다. 다른 보기들은 5개의 음절로 이루어진 절구인 5언 절구와 5개의 음절로 이루어진 율시인 5언 율시, 그리고 7개의 음절로 이루어진 율시인 7언 율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상황에 어울리는 사자성어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마부위침(磨斧爲針)
  2. 설상가상(雪上加霜)
  3. 어부지리(漁夫之利)
  4. 상전벽해(桑田碧海)
(정답률: 70%)
  • 이 상황에서는 처음부터 잘못된 방법으로 일을 하고 있어서, 그것을 고치기 위해서는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는 뜻을 담고 있는 "마부위침(磨斧爲針)"이 가장 적절하다. 마부는 도끼를 갈 때 쓰는 돌로, 이를 이용해서 바늘을 만들겠다는 뜻으로, 처음부터 잘못된 것을 고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비유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음운의 축약'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되 + 어 → 돼
  2. 두 + 었다 → 뒀다
  3. 가 + 아서 → 가서
  4. 쓰 + 이어 → 씌어
(정답률: 76%)
  • 정답은 "두 + 었다 → 뒀다"입니다. 이유는 "두"와 "었다"가 각각 독립적인 단어이기 때문에 음운의 축약이 아니라 단순한 단어 결합입니다.

    반면에 "가 + 아서 → 가서"는 "아서"가 "어서"의 축약형이기 때문에 음운의 축약입니다. "되 + 어 → 돼"와 "쓰 + 이어 → 씌어"도 마찬가지로 음운의 축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문장을 형태소 단위로 나눌 때, 적절한 것은?

  1. 하늘이/ 맑고/ 푸르다
  2. 하늘/ 이/ 맑고/ 푸르다
  3. 하늘/ 이/ 맑고/ 푸르/ 다
  4. 하늘/ 이/ 맑/ 고/ 푸르/ 다
(정답률: 81%)
  • "하늘 이 맑고 푸르다"는 주어인 "하늘"과 동사인 "맑다"와 "푸르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하늘/ 이/ 맑/ 고/ 푸르/ 다"가 가장 적절한 형태소 분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자료를 바탕으로 보기의 문장을 작성하였다. 보기의 문장 중 띄어쓰기가 옳은 것끼리 묶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ㄷ, ㄹ
(정답률: 57%)
  • "ㄱ, ㄷ"는 모음 앞에서 오는 경우에는 "ㄱ"으로 발음되고 자음 앞에서 오는 경우에는 "ㄷ"으로 발음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강아지"에서는 "ㄱ"으로 발음되고, "독립"에서는 "ㄷ"으로 발음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윗글의 내용과 일치하는 것은?(16번 공통지문 문제)

  1. 공정 무역은 선진국의 대기업에서 시작되었다.
  2. 후진국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나아지고 있다.
  3. 우리나라에서는 공정 무역이 50여 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4. '착한 커피'나 '아름다운 커피'도 공정 무역 운동의 하나이다.
(정답률: 73%)
  • '착한 커피'나 '아름다운 커피'도 공정 무역 운동의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밑줄 친 고유어 '느낌'에 대한 유의어를 한자어로 바꾸었을 때,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나도 잘 알지, 그 느낌이 어떤 건지.
    → 기분(氣分)
  2. 그 책에 대한 느낌은 정말 신선한 충격이었어.
    → 소감(所感)
  3. 전학 가는 보람이를 배웅하는데 서운한 느낌이 들었다.
    → 감정(感情)
  4. 어딘지 모르게 그들의 행동에서 미심쩍은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 감회(感懷)
(정답률: 85%)
  • 정답은 "감정(感情)"이다. "감정"은 '느낌'과 유사한 의미를 가지지만, 한자어로 바꾸면 "感情"이 되는데, 이는 '감정적인 마음'을 뜻하므로 "느낌"과는 약간 다른 뉘앙스를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시의 표현상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반복을 통해 운율을 형성하고 있다.
  2. 시선의 이동에 따라 시상이 전개되고 있다.
  3. 색채 대비를 통해 풍경을 선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4. 직유를 통해 산봉우리를 친근감 있게 표현하고 있다.
(정답률: 59%)
  • "반복을 통해 운율을 형성하고 있다.", "시선의 이동에 따라 시상이 전개되고 있다.", "색채 대비를 통해 풍경을 선명하게 드러내고 있다."는 모두 이 시의 표현상 특징으로 적절한 내용이다. 따라서 정답은 "직유를 통해 산봉우리를 친근감 있게 표현하고 있다."가 아닌 다른 보기들이다.

    그러나, "직유를 통해 산봉우리를 친근감 있게 표현하고 있다."는 이 시에서 가장 중요한 표현상 특징 중 하나이다. 직유는 직접적이고 간결한 표현 방식으로, 이 시에서는 산봉우리를 묘사할 때 사용되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산봉우리를 더욱 생생하게 상상할 수 있으며, 이 시의 풍경을 더욱 친근하게 느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시의 ㉠∼㉣에서 역설적 표현이 사용된 것은?

(정답률: 79%)
  • 정답은 "㉣"입니다. 이 시에서 "봄바람이 불어오면"이라는 문장은 일반적으로는 즐거운 기분을 떠올리게 하지만, 이 시에서는 "봄바람이 불어오면"이라는 문장 다음에 "눈이 얼어붙는다"는 역설적인 표현이 사용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역설적인 표현은 시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