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공무원(공개,경력) 국어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4-06)

소방공무원(공개,경력) 국어
(2019-04-06 기출문제)

목록

1. 단어의 형성 방법이 다른 것은?

  1. 기와집
  2. 지우개
  3. 선생님
  4. 개살구
(정답률: 53%)
  • "기와집"은 한자어가 아닌 순우리말로 만들어진 단어이다. 나머지 단어들은 모두 한자어나 한자어와 결합하여 만들어진 단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ㄱ, 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ㄱ과 ㄴ 모두 명사절이 안겨 있다.
  2. ㄱ과 ㄴ 모두 안긴문장 속에 목적어가 있다.
  3. ㄱ과 달리 ㄴ에는 안긴문장 속에 관형어가 있다.
  4. ㄴ과 달리 ㄱ에는 안긴문장 속에 부사어가 있다.
(정답률: 41%)
  • "ㄱ과 ㄴ 모두 안긴문장 속에 목적어가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각각의 문장에서 "나는"과 "그녀를"가 목적어로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밑줄 친 단어의 표준 발음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름에는 달이 밝다. [박따]
  2. 마루에 등불이 켜져 있다. [등뿔]
  3. 음식이 앞마당에 차려져 있다. [암마당]
  4. 여기저기 다니며 막일이라도 하자. [마길]
(정답률: 71%)
  • "보름에는 달이 밝다. [박따]"가 옳지 않은 발음입니다. "밝다"는 "박따"가 아닌 "바다"와 비슷한 발음으로 발음되어야 합니다.

    "여기저기 다니며 막일이라도 하자. [마길]"의 경우, "막일"은 "막"과 "일"로 나누어 발음되어야 하지만, "마길"로 발음되어 있습니다. 이는 사투리 발음으로, 표준 발음에서는 "막일"로 발음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주체 높임이 실현되지 않은 문장은?

  1. 할머니는 시장에 가셨다.
  2. 선생님을 모시러 교무실에 갔다.
  3. 원래 어머니의 시력은 좋으셨다.
  4. 고향에 계신 할아버지를 그리워했다.
(정답률: 37%)
  • 선생님을 모시러 교무실에 갔다. - 주어인 "나"의 높임이 실현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선생님을 모시러 교무실에 가셨다."로 바꾸면 주어인 "나"의 높임이 실현된 문장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밑줄 친 어휘가 옳지 않은 것은?

  1. 그는 나에게도 손을 벌렸다.
  2. 자동차가 가로수에 부딪쳤다.
  3. 이따가 3시에 집 앞에서 만나자.
  4. 과녁을 맞춘 화살이 하나도 없다.
(정답률: 49%)
  • "이따가"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따가"는 구어체이며, 표준어로는 "나중에"나 "나중에 다시"와 같은 표현을 사용해야 한다. "과녁을 맞춘 화살이 하나도 없다"는 이유는 모든 화살이 과녁을 벗어나서 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보기>와 같이 발음할 때 적용되는 음운 변동 규칙이 아닌 것은?

  1. ㄴ 첨가
  2. 두음법칙
  3. 자음동화
  4. 음절의 끝소리 규칙
(정답률: 64%)
  • 보기 중 정답은 "음절의 끝소리 규칙"입니다.

    두음법칙은 'ㄱ, ㄷ, ㅂ' 뒤에 오는 'ㅇ'이나 'ㄴ'이 'ㄱ, ㄷ, ㅂ'을 따라서 발음되는 규칙입니다. 예를 들어 '강남'은 '강남'이 아니라 '강남'으로 발음됩니다.

    ㄴ 첨가는 'ㄹ' 뒤에 오는 'ㄴ'이나 'ㄹ' 자음 앞에 'ㄴ'이 추가되는 규칙입니다. 예를 들어 '설렁탕'은 '설렁탕'이 아니라 '설렁탕'으로 발음됩니다.

    자음동화는 'ㄱ, ㄷ, ㅂ' 뒤에 오는 'ㄴ'이나 'ㄹ'이 'ㄱ, ㄷ, ㅂ'과 같은 자음으로 변하는 규칙입니다. 예를 들어 '앞날'은 '안날'로 발음됩니다.

    따라서, 보기 중 두음법칙은 'ㄱ, ㄷ, ㅂ' 뒤에 오는 'ㅇ'이나 'ㄴ'이 'ㄱ, ㄷ, ㅂ'을 따라서 발음되는 규칙이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띄어쓰기가 틀린 문장은?

  1. 내가∨믿을∨것은∨오직∨성실함뿐이다.
  2. 그녀는∨사실을∨아는∨대로∨설명했다.
  3. 이∨약초는∨감기를∨낫게∨하는데∨쓰인다.
  4. 사람들은∨그를∨자기밖에∨모른다고∨놀렸다.
(정답률: 39%)
  • "이∨약초는∨감기를∨낫게∨하는데∨쓰인다."가 정답이다. 이유는 모든 단어 사이에 띄어쓰기가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글의 내용에 대한 이해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비극적 결함에 의해 파멸되어 가는 인간의 모습을 담은 것이 근대 비극이다.
  2. 아리스토텔레스는 그리스 비극이 모두 불행한 결말로 끝이 나야 하는 것으로 보았다.
  3. 그리스 시대 비극의 특징은 성격이나 상황의 문제로 인해 패배하는 인간의 모습을 보여 준다.
  4. 관객들은 비극을 통해 비범한 인간들의 운명에 대한 공포와 비애를 경험하면서 카타르시스에 이르게 된다.
(정답률: 56%)
  • 그리스 시대 비극의 특징은 성격이나 상황의 문제로 인해 패배하는 인간의 모습을 보여 준다. 이러한 비극적 결함에 의해 파멸되어 가는 인간의 모습을 담은 것이 근대 비극이며, 아리스토텔레스는 그리스 비극이 모두 불행한 결말로 끝이 나야 하는 것으로 보았다. 관객들은 이러한 비극을 통해 비범한 인간들의 운명에 대한 공포와 비애를 경험하면서 카타르시스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그리스 시대 비극의 특징은 성격이나 상황의 문제로 인해 패배하는 인간의 모습을 보여 준다."가 가장 적절한 이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보기>를 참고하여 ㉠∼㉣에 대해 설명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 : 태조 이성계가 조선 왕조를 창업한 사실과 관련지을 수 있다.
  2. ㉡ : 나라의 기초를 닦은 조선 왕조의 모습과 관련지을 수 있다.
  3. ㉢ : 조선의 땅이 외침으로 인해 피폐해진 현실과 관련 지을 수 있다.
  4. ㉣ : 신하들이 서로 다투고 시기하는 상황과 관련지을 수 있다.
(정답률: 50%)
  • ㉢의 설명이 적절하지 않다. 외침으로 인해 피폐해진 현실은 조선 시대의 일부이지만, 이것이 조선 왕조의 창업과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의 설명은 부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윗글의 내용 전개 방식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10번 공통지문 문제)

  1. 구체적 사례를 통해 개념 이해를 돕고 있다.
  2. 대상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3. 대상의 인과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고 있다.
  4. 특정 기술이 발달한 과정을 순서대로 제시하고 있다.
(정답률: 63%)
  • 보기에서는 대상의 특징을 설명할 때 대상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대상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가 가장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 : 농민들이 서로에게 느끼는 유대감을 보여 준다.
  2. ㉡ : 농민들이 겪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나타난다.
  3. ㉢ : 어려움을 극복한 농민들의 흥겨움이 드러난다.
  4. ㉣ : 농촌의 힘겨운 현실을 시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정답률: 63%)
  • ㉢은 옳은 설명이다. 그림에서 농민들이 수확한 작물을 가지고 춤을 추며 흥겨운 모습을 보이고 있으므로, 어려움을 극복한 농민들의 흥겨움이 드러나고 있다. 따라서 "㉢ : 어려움을 극복한 농민들의 흥겨움이 드러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가)에 드러나는 주제 의식과 관련된 사자성어로 적절한 것은?(13번 공통지문 문제)

  1. 敎學相長
  2. 安貧樂道
  3. 走馬看山
  4. 狐假虎威
(정답률: 48%)
  • "安貧樂道"는 가난하고 평범한 삶을 추구하며 즐거움을 느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이번 지문에서 다루는 주제인 소박하고 행복한 삶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작품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노동 현실에 대한 한과 비판이 드러나 있다.
  2. 대구법과 직유법 등의 표현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3. 4·4조의 운율과 언어 유희로 리듬감을 형성하고 있다.
  4. 화자의 상상력을 바탕으로 과장되게 표현한 부분이 나타나 있다.
(정답률: 57%)
  • "화자의 상상력을 바탕으로 과장되게 표현한 부분이 나타나 있다."는 적절하지 않은 설명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작품에서 사용된 표현 기법, 운율, 비판적 요소 등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 보기는 작품에서 사용된 표현이 과장되게 표현되었다는 것만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에서 알 수 있는 '나'의 이름은?

  1. 민애
  2. 진주
  3. 하은
  4. 정빈
(정답률: 64%)
  • 이미지에서 보이는 인물의 이름표에 "민애"라는 이름이 적혀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윗글에 드러난 설명 방식이 아닌 것은?(17번 공통지문 문제)

  1. 비교
  2. 예시
  3. 정의
  4. 인용
(정답률: 44%)
  • 정답은 "인용"입니다.

    "비교"는 두 가지 이상의 대상을 비교하여 차이점이나 공통점을 찾아내는 것을 말합니다.

    "예시"는 설명하고자 하는 대상을 구체적인 사례나 모형으로 보여주는 것을 말합니다.

    "정의"는 어떤 대상이나 개념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설명하는 것을 말합니다.

    "인용"은 다른 사람이나 자료에서 가져온 내용을 인용하여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윗글의 내용에 비춰 볼 때 ㉠∼㉣ 중 내포하는 의미가 나머지와 다른 것은?(19번 공통지문 문제)

(정답률: 54%)
  • 윗글의 내용에서 ㉠∼㉢는 모두 "어떤 사실이나 정보를 전달하는 것"에 대한 내용이지만, ㉡은 "어떤 행동이나 결정을 내리는 것"에 대한 내용이다. 따라서, ㉡은 나머지와 다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