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디자인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6-12)

시각디자인기사
(2011-06-1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시각디자인론

1. 독일공작연맹과 관련 없는 것은?

  1. 공업제품의 양질화와 규격화를 모색하였다.
  2. 아르누보의 심미주의에 반동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3. 헤르만 무테지우스가 주도하였다.
  4. 순수 색채, 선에 기초한 개성적 창조를 추구하였다.
(정답률: 64%)
  • 정답은 "공업제품의 양질화와 규격화를 모색하였다." 이다. 독일공작연맹은 공예와 디자인 분야에서 활동한 단체로, 공업제품의 디자인과 품질 향상을 추구했다. 다른 보기들은 독일공작연맹과 관련된 내용이다. "아르누보의 심미주의에 반동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는 독일공작연맹이 아르누보 운동과 대립하며 전통적인 공예 기술과 디자인을 강조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헤르만 무테지우스가 주도하였다."는 독일공작연맹의 창립자 중 한 명인 헤르만 무테지우스가 이끌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순수 색채, 선에 기초한 개성적 창조를 추구하였다."는 독일공작연맹의 디자인 철학을 나타내며, 이는 아르누보 운동과 대조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문제를 보는 관점을 완전히 다르게 하여 이곳에서 연상되는 점과 관련성을 찾아내어 아이디어를 발상하는 방법은?

  1. 시네틱스법
  2. 브레인스토밍
  3. 입출력법
  4. 체크리스트법
(정답률: 85%)
  • 시네틱스법은 문제를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며 상상력을 발휘하여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문제를 보는 관점을 완전히 다르게 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상하는 것이 시네틱스법의 핵심이다. 이와는 달리 브레인스토밍은 자유로운 아이디어 발상을 위해 아이디어 폭발을 유도하는 방법이며, 입출력법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입력과 출력을 명확히 정의하여 해결 방법을 찾는 방법이다. 체크리스트법은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단계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해결 방법을 찾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디자인 매니지먼트(Design management)의 개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경영차원에서 디자인의 결과를 선택하고 마케팅과 연결하는 개념
  2. 외부에 디자인을 의뢰할 때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통제하며 평가하는 개념
  3. 경영차원에서 디자인 전반에 대하여 계획, 조직, 충원, 지휘, 통제하는 개념
  4. 디자인의 창의성과 기술적 문제가 대립할 경우 자원 활용 차원에서 조정하고 통제하는 개념
(정답률: 78%)
  • 디자인 매니지먼트는 경영차원에서 디자인 전반에 대하여 계획, 조직, 충원, 지휘, 통제하는 개념입니다. 이는 디자인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디자인의 생산성과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디자인 매니지먼트는 디자인을 단순한 예술적 요소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비즈니스적인 측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상표권에 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상표권의 존속기간은 상표권의 설정 등록이 있는 날부터 10년으로 한다.
  2. 상표사용자의 업무상의 신용유지를 도모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 하고 수용자의 이익보호를 목적으로 한다.
  3. 상표권의 존속기간은 상표권의 존속기간 갱신등록신청에 따라 5년씩 갱신할 수 있다.
  4. 상품의 품질을 오인하게 하거나 수요자를 기만할 염려가 있는 것은 상표등록을 받을 수 없다.
(정답률: 71%)
  • 정답: "상표권의 존속기간은 상표권의 존속기간 갱신등록신청에 따라 5년씩 갱신할 수 있다."

    해설: 상표권의 존속기간은 상표권의 설정 등록이 있는 날부터 10년으로 한다. 이후에도 상표권을 유지하고자 할 경우, 상표권 갱신 등록을 신청하여 10년씩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표권의 존속기간은 10년이며, 갱신 시 10년씩 연장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익스테리어(Exterior)디자인과 관련된 산업 디자인 영역은?

  1. 시각전달 디자인
  2. 제품 디자인
  3. 환경 디자인
  4. 포장 디자인
(정답률: 80%)
  • 익스테리어 디자인은 건물이나 주변 환경의 외부 디자인을 다루는 분야이며, 이는 환경 디자인의 일부분이다. 환경 디자인은 인간이 사용하는 모든 공간과 환경을 디자인하는 분야로, 건축물, 도시공간, 공원, 교통시설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익스테리어 디자인은 환경 디자인의 일부분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캐릭터 디자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업이나 특정 제품에 대한 인지적 호과와 친근감을 갖게 한다.
  2. 캐릭터 중에서 비영리적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마스코트라고 부른다.
  3. 캐릭터에 개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의인화, 시각적 과장 등을 사용한다.
  4. 캐릭터의 종류로는 브랜드 캐릭터, 이벤트 캐릭터, 코퍼레이트 캐릭터 등이 있다.
(정답률: 84%)
  • "캐릭터 중에서 비영리적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마스코트라고 부른다."가 틀린 것이다. 마스코트는 주로 스포츠 팀, 이벤트, 기업 등에서 사용되는 캐릭터로, 영리적인 목적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디자인권이 발생하는 시기는?

  1. 설정등록시
  2. 디자인등록출원시
  3. 등록공고시
  4. 출원공개시
(정답률: 34%)
  • 디자인권이 발생하는 시기는 "설정등록시"입니다. 이는 디자인을 등록하고 디자인권이 부여되는 시점으로, 디자인을 설정하여 등록하면 디자인권이 발생합니다. 디자인등록출원시나 등록공고시, 출원공개시에는 아직 디자인권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디자인 분야를 평면, 준준 입체, 영상디자인으로 나눌 때, 준 입체 디자인 분야에 해당되는 것은?

  1. 다이어그램디자인
  2. 캘린더디자인
  3. 홀로그램
  4. 슈퍼그래픽디자인
(정답률: 56%)
  • 준 입체 디자인 분야는 2D 평면 디자인과 3D 입체 디자인의 중간에 위치하는 분야이며, 주로 제품 디자인, 패키지 디자인, 전시 디자인 등에서 활용됩니다. 슈퍼그래픽디자인은 이러한 준 입체 디자인 분야에 해당되며, 2D와 3D를 융합하여 새로운 차원의 시각적 효과를 만들어내는 디자인 기법입니다. 따라서 슈퍼그래픽디자인은 준 입체 디자인 분야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디자인의 영역 중 주로 시각적인 전달수단을 이용하여 사람과 사람의 관계를 연결해 주는 것은?

  1. 산업 디자인
  2. 프로덕트 디자인
  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4. 환경 디자인
(정답률: 87%)
  •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은 주로 시각적인 전달수단을 이용하여 사람과 사람의 관계를 연결해 주는 디자인 분야입니다. 이는 로고, 포스터, 광고 등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고, 사람들 간의 소통을 원활하게 돕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디자인 영역 중에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이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일러스트레이션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내용은?

  1. 사진, 도표, 도형 등을 포함한다.
  2. 의미성, 풍속성 등 직설적 매력을 가지고 있다.
  3. 구상적, 추상적 등 어떤 표현도 가능하다.
  4. 기계에 의한 것이 아닌 손으로만 그린 그림에 한정된다.
(정답률: 90%)
  • "사진, 도표, 도형 등을 포함한다."는 일러스트레이션의 범위를 넓게 설명한 것이므로 거리가 먼 내용이다. 일러스트레이션은 기계에 의한 것이 아닌 손으로만 그린 그림에 한정된다는 것은 일러스트레이션의 특징을 간략하게 설명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C.I 제작 과정의 전개가 순서대로 옳게 된 것은?

  1. 디자인 전개-조사와 분석-디자인 적용-디자인 실행
  2. 디자인 전개-디자인 분석-조사와 분석-디자인 실행
  3. 조사와 분석-디자인 전개-디자인 적용-디자인 실행
  4. 조사와 분석-디자인 적용-디자인 전개-디자인 실행
(정답률: 80%)
  • C.I 제작 과정은 먼저 조사와 분석을 통해 기업의 가치와 이미지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 전개를 진행합니다. 그 후 디자인을 적용하고, 마지막으로 디자인 실행을 통해 완성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조사와 분석-디자인 전개-디자인 적용-디자인 실행"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러시아 혁명기의 대표적인 아방가르드 운동의 하나로서 건축, 회화, 그래픽, 산업디자인 등 조형예술의 전영역에 걸쳐 매우 급진적인 성격을 드러낸 디자인 사조는?

  1. 모더니즘
  2. 표현주의
  3. 다다이즘
  4. 구성주의
(정답률: 48%)
  • 구성주의는 조형적인 요소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형태를 창출하는 것을 강조하는 디자인 사조입니다. 따라서 건축, 회화, 그래픽, 산업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매우 급진적인 성격을 드러내며, 기존의 관습적인 형태와 규칙을 깨고 새로운 형태와 구성을 추구합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구성주의는 러시아 혁명기의 대표적인 아방가르드 운동 중 하나로 꼽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심벌마크(symbol mark)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조직체의 이념, 목적, 성격 등을 시각적으로 상징화한 것이다.
  2. 기업의 브랜드에만 사용되는 그림 문자이다.
  3. 광고 및 홍보매체에 차별성과 주목성을 높이는 문자이다.
  4. 제품의 상징을 위해 특별 제작된 그림이다.
(정답률: 89%)
  • 심벌마크는 조직체의 이념, 목적, 성격 등을 시각적으로 상징화한 것입니다. 이는 기업의 브랜드에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광고 및 홍보매체에 차별성과 주목성을 높이는 문자로도 사용됩니다. 제품의 상징을 위해 특별 제작된 그림이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신문, 잡지, 광고 등의 간접적인 경로를 거치지 않고, 우편형식에 의해 직접적으로 수신자에게 전달될 수 있는 매체는?

  1. POP
  2. DM
  3. CAD
  4. CIP
(정답률: 91%)
  • DM은 Direct Mail의 약자로, 직접 우편을 통해 개인 또는 기업에게 광고, 마케팅, 판매 등의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따라서, 간접적인 경로를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수신자에게 전달되는 매체는 DM입니다. 다른 보기인 POP는 Point of Purchase, CAD는 Computer-Aided Design, CIP는 Carriage and Insurance Paid to와 같이 DM과는 관련이 없는 용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적절한 레이아웃이 아닌 것은?

  1. 디자이너의 감각을 특히 중시한 레이아웃
  2. 홍보물의 성격과 독자를 고려한 레이아웃
  3.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나 이미지가 효과적은 레이아웃
  4. 대중의 시각적 공감을 얻을 수 있는 레이아웃
(정답률: 87%)
  • "디자이너의 감각을 특히 중시한 레이아웃"은 적절한 레이아웃이 아닙니다. 이유는 디자이너의 감각은 중요하지만, 레이아웃은 홍보물의 성격과 독자를 고려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나 이미지가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합니다. 즉, 디자이너의 감각은 중요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소비자의 광고수용과정의 원리는?

  1. ADICA
  2. AIDCA
  3. ADMIA
  4. AICDA
(정답률: 50%)
  • 소비자의 광고수용과정의 원리는 AIDCA이다. 이는 Attention(주의), Interest(관심), Desire(욕구), Conviction(확신), Action(행동)의 약자로, 광고를 보는 소비자는 먼저 광고에 주의를 기울이고, 그 다음으로는 광고에 관심을 가지며, 이어서 광고가 자신의 욕구를 자극하게 되면 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제품을 구매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소비자는 광고를 통해 얻은 정보와 확신을 바탕으로 제품을 구매하는 행동을 취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컴퓨터(전자)편집전용프로그램의 대표적인 기능이 아닌 것은?

  1. 워드프로세싱기능
  2. 타입세팅기능
  3. 페이지 레이아웃기능
  4. 사진보정기능
(정답률: 80%)
  • 컴퓨터(전자)편집전용프로그램은 주로 문서나 페이지를 디자인하고 편집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사진보정기능"은 이와 관련이 없는 기능으로, 대표적인 기능이 아닙니다. 사진보정은 주로 사진편집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아이디어 발상과정에 노력하는 가운데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아이디어가 문뜩 떠오르는 사고과정의 한 유형은?

  1. 분석(Amalysis)
  2. 잠복(Incubation)
  3. 영감(Inspiration)
  4. 검증(Verification)
(정답률: 91%)
  • 영감은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갑작스럽게 떠오르는 아이디어를 말합니다. 이는 일상생활에서 무언가를 보거나 듣거나 느끼면서 갑자기 떠오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아이디어는 분석과 검증 단계에서 더욱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이어그램(Diagram)은 창조적인 표현방법의 선택이 필요하며, 동시에 그 시각적 선택이 주어진 자료의 명확하고 효과적인 전달을 해치치 않는 범위 안에서 디자인되어야 한다.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다이어그램의 범위가 아닌 것은?

  1. 동화의 문자내용에 맞춘 환상적인 일러스트레이션
  2. 열차 시간표와 같이 문자나 숫자로만 이루어진 도표
  3. 해부학같이 고도의 전문성이 필요한 의학을 위한 양식화된 그림
  4. 유전자 구조와 같이 눈으로 볼 수 없는 것을 표현한 구조도
(정답률: 71%)
  • 다이어그램은 시각적으로 자료를 전달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동화의 문자내용에 맞춘 환상적인 일러스트레이션"은 다이어그램의 범위가 아니다. 이유는 일러스트레이션은 주로 상상력과 창의성을 발휘하여 표현하는 것이며, 다이어그램은 주어진 자료를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잡지편집에서 일러스트레이션의 블리드(Bleed)처리 효과는?

  1. 지면을 구조적으로 짜임세 있게 한다.
  2. 지면의 시각효과를 자유분방하게 한다.
  3. 지면에 시각적 질서를 가져다 준다.
  4. 일러스트 및 지면을 크고 넓어 보이게 한다.
(정답률: 50%)
  • 일러스트레이션의 블리드 처리는 일러스트레이션의 경계를 넘어 지면의 가장자리까지 그림을 그리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일러스트레이션과 지면을 하나로 묶어주는 효과를 가지며, 이로 인해 일러스트 및 지면이 크고 넓어 보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형심리학

21. 시각디자인의 원리 중 대비를 설명한 것은?

  1. 시각적인 요소에서 정적이며 극적인 분위기를 만든다.
  2. 조화에 비해 정신적인 감동과 극적인 기쁨이 적다.
  3. 표현요소들의 반대, 대립, 변화 등에 의해 이루어진다.
  4. 시각적인 요소 상호간의 공통성에 관한 문제이다.
(정답률: 69%)
  • 대비는 시각적인 요소들의 반대, 대립, 변화 등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것은 간단히 말해, 서로 다른 시각적인 요소들을 비교하여 강조하거나 대조시켜서 분위기나 느낌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밝은 색과 어두운 색, 큰 크기와 작은 크기, 둥근 모양과 각진 모양 등을 대비시켜서 시각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그림의 가운데 보이는 '새'로 보이기도 하고 '물고기'로 보이기도 하는데 이것은 형태주의 심리학의 어떤 원리를 응용한 것인가?

  1. 도형과 바탕의 원리
  2. 좋은 형태의 원리
  3. 유사성의 원리
  4. 근접성의 원리
(정답률: 74%)
  • 이 그림은 "도형과 바탕의 원리"를 응용한 것입니다. 이 원리는 물체의 형태와 주변 배경의 대조를 통해 물체를 인식하는 원리입니다. 이 그림에서는 새와 물고기의 형태가 비슷하지만, 배경과의 대조를 통해 새와 물고기 중 어느 것으로 인식할지가 결정됩니다. 즉, 물고기로 인식하려면 배경이 물이어야 하고, 새로 인식하려면 배경이 하늘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우리의 눈은 흐름과 잘 어울리는 것을 보려한다. 한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진행되는 대상을 함께 속하는 것으로 지각하는 원리는?

  1. 연쇄성의 원리
  2. 유사성의 원리
  3. 폐쇄성의 원리
  4. 근접성의 원리
(정답률: 73%)
  • 연쇄성의 원리는 우리의 눈이 한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진행되는 대상을 보면 그 주변에 있는 다른 대상들도 함께 속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원리입니다. 즉, 어떤 대상을 보면 그 주변에 있는 비슷한 대상들도 함께 묶여서 인식되는 것입니다. 이는 우리 눈이 흐름과 잘 어울리는 것을 보려는 성향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색상이나 텍스쳐가 있는 종이, 옷감 또는 그 밖의 다른 재료들을 붙여 표현하는 기법은?

  1. 옵아트
  2. 콜라쥬
  3. 데칼코마니
  4. 데 스틸
(정답률: 74%)
  • 콜라쥬는 다양한 종이나 재료를 잘라 붙여서 작품을 만드는 기법입니다. 따라서 색상이나 텍스쳐가 있는 종이, 옷감 등을 이용하여 작품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옵아트는 광선과 색채를 이용한 예술 기법이며, 데칼코마니는 물감으로 그린 그림을 디자인한 스티커 형태로 만드는 기법입니다. 데 스틸은 사진이나 영상에서 하나의 장면을 정지시켜 작품으로 만드는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보이지 않는 부분을 표시하는 선은?

  1. 실선
  2. 의형선
  3. 은선
  4. 중심선
(정답률: 80%)
  • 은선은 보이지 않는 부분을 나타내는 선으로, 일반적으로 점선으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이 선은 실제로 그려지는 것이 아니라, 디자인이나 제작 과정에서 사용되는 가상의 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시각표현요소를 중첩(overlapping)했을 때 가질 수 있는 이점은?

  1. 상호 수정과 간섭이 일어나기 때문에 각각 독립적으로 보여 진다.
  2. 보다 통일된 패턴 안에서 집중됨으로써 그 형태 관계를 강하게 만든다.
  3. 하나의 같은 시각 단위 안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단조로운 느낌을 만든다.
  4. 중첩으로 표현되었다 하더라도 대상들의 평등관계는 유지된다.
(정답률: 72%)
  • 시각표현요소를 중첩하면 보다 통일된 패턴 안에서 집중됨으로써 그 형태 관계를 강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는 시각적으로 일관성 있는 패턴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대상들 간의 관계를 강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여러 개의 원소가 중첩된 그래프에서 각 원소의 크기와 색상을 이용해 시각적으로 구분하면, 각 원소의 관계를 더욱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옵아트는 시지각의 특성 중 어느 현상을 이용한 분야인가?

  1. 착시
  2. 비례
  3. 항상성
  4. 원근법
(정답률: 75%)
  • 옵아트는 착시 현상을 이용한 분야이다. 착시란 뇌가 받아들이는 시각적 자극이 실제와 다르게 인식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를 이용하여 옵아트 작품은 보는 이로 하여금 실제와 다른 인식을 유도하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시각적 경험을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그림들 중 명암과 시각적 질감을 만드는 점의 특성으로 제작된 것은?

(정답률: 81%)
  • 정답은 "" 입니다. 이 그림은 점의 크기와 간격을 조절하여 명암과 시각적 질감을 만들어낸 것입니다. 점의 밀도가 높을수록 어두운 영역이 되고, 점의 밀도가 낮을수록 밝은 영역이 됩니다. 이러한 효과를 이용하여 그림을 만들어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그림에서 면적(크기)의 착시는 어떻게 일어나는가? (단, 원형 A, B의 실제 크기는 같다.)

  1. 사각형 내에 있는 원형 A가 더 커 보인다.
  2. 사각형 외부에 있는 원형 B가 더 커 보인다.
  3. 원형 A와 원형 B의 경우는 보는 각도에 따라 크기가 다르다.
  4. 사각형과 원형은 대비가 크므로 착시가 일어나지 않는다.
(정답률: 84%)
  • 이 그림에서 면적의 착시는 사실 없습니다. 원형 A와 원형 B의 실제 크기는 같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원형 A가 더 크게 보이는 이유는 인지심리학적인 요인 때문입니다. 사각형의 모서리와 원형 A의 외곽선이 일치하면서, 원형 A가 사각형 내부에 위치하게 되면, 우리 뇌는 원형 A를 사각형의 일부분으로 인식합니다. 이로 인해 원형 A가 더 크게 보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과 같은 도형을 볼 때 심리적으로 느낄 수 있는 지각상태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사각형의 틀에서 벗어나려는 원반의 유동성을 발견할 수 있다.
  2. 중심(中心) 따위는 특정한 방향으로 이끌리는 인력(引力)이 느껴질 수 있다.
  3. 주변의 사각형과 원 사이에서 어떤 내적인 긴장(tension)을 보여준다.
  4. 어둡기와 밝기에 대한 명암의 상태를 보여준다.
(정답률: 72%)
  • 정답은 "어둡기와 밝기에 대한 명암의 상태를 보여준다." 이다. 도형에서는 어둡고 밝은 부분이 구분되어 있으며, 이는 명암의 차이로 인해 발생한다. 이러한 명암의 차이는 시각적으로 물체의 입체감을 더해주어 도형이 평면적인 것이 아닌 입체적인 것으로 느껴지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그림에서 숫자 2를 지각하는 이유를 가장 잘 설명하는 형태주의 심리학(Gestalt Psychology)의 원리는?

  1. 유사성의 원리
  2. 공통행선의 원리
  3. 근접성의 원리
  4. 친숙성의 원리
(정답률: 71%)
  • 이 그림에서 숫자 2는 주변의 원들과 크기, 모양, 색상 등이 유사하기 때문에 유사성의 원리에 따라 하나의 그룹으로 묶여서 인식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시각적 질감을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물체의 빛에 대한 반응이다.
  2. 물체의 구조에 대한 반응이다.
  3. 면직물 표면의 특성만을 의미한다.
  4. 직접 만져서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83%)
  • "물체의 빛에 대한 반응이다."가 옳은 이유는 시각적 질감은 빛의 반사, 투과, 굴절 등 물체와 빛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물체의 구조나 면직물 표면의 특성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직접 만져서 확인할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 )안에 순서대로 들어갈 내용은?

  1. 선, 면
  2. 점, 선
  3. 면, 점
  4. 색, 양
(정답률: 75%)
  • 이 그림은 2차원 평면 상에 그려진 것이므로, 가장 기본적인 도형인 점과 선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면은 이 그림에서는 나타나지 않으며, 색과 양은 도형의 속성이 아니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점, 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모든 변의 길이가 같고 내각의 크기가 모두 같은 형을 통틀어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직사각형
  2. 사다리꼴
  3. 마름모꼴
  4. 정다각형
(정답률: 85%)
  • 정다각형은 모든 변의 길이가 같고 내각의 크기가 모두 같은 형태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직사각형은 모서리가 직각인 사각형이며, 사다리꼴과 마름모꼴은 각각 다른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베르트하이머가 개념을 정리한 프라그난쯔(Pragnanz)의 원리는?

  1. 유사성
  2. 간결성
  3. 패쇄성
  4. 근접성
(정답률: 43%)
  • 프라그난쯔의 원리 중 "간결성"은 인식하는 대상을 가능한 한 간결하게 인식하려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즉, 복잡하거나 어려운 대상이라도 가능한 한 단순하고 간결한 형태로 인식하려는 인간의 인지적 특성을 나타냅니다. 이는 인간이 정보를 처리하고 이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원리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밀렸다가 밀려들어오는 밀물과 썰물의 흐름,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변천과정, 시간에 따라 변하는 달의 모양등]과 같이 자연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관련이 깊은 조형의 원리는?

  1. 점이(Gradation)
  2. 통일(Unity)
  3. 균형(Balance)
  4. 대조(Contrast)
(정답률: 73%)
  • 점이(Gradation)는 자연에서 나타나는 현상들 중에서도 변화가 점진적으로 일어나는 것들을 표현하는 조형의 원리입니다. 예를 들어, 밀물과 썰물의 흐름이나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변천과정은 시간에 따라서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표현할 때, 점이 원리를 사용하여 변화의 정도에 따라 색이나 질감 등을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자연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관련이 깊은 조형의 원리 중에서는 점이가 가장 적합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사물을 지속적이고 고정적인 존재로 인식하려는 지각, 경향은?

  1. 지각의 항상성
  2. 지각의 동질성
  3. 지각의 점진성
  4. 지각의 착오성
(정답률: 82%)
  • "지각의 항상성"은 사물이 일정한 형태와 속성을 유지하며 지속적으로 존재한다는 인식 경향을 말합니다. 이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사물들이 변하지 않고 고정된 모습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경향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항상 같은 자리에 놓인 책상을 보면 그 형태와 색상이 변하지 않는 것을 인식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인지하게 됩니다. 이러한 경향은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도움을 주지만, 때로는 잘못된 판단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바우하우스의 교수로서 「NewVision」「Vision in Motion」등 특히 조형의 요소로써 빛의 대한 연구를 한 사람은?

  1. 모홀리 나기
  2. 파울 클레
  3. 바실리 칸딘스키
  4. 요한네스 이텐
(정답률: 67%)
  • 모홀리 나기는 바우하우스에서 빛의 움직임과 색채, 공간 등을 연구하며 조형적 요소로 활용하는 작업을 했습니다. 그의 작품들은 빛과 공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시각적 경험을 제공하며, 현대 조형미술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각의 2등분 작도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ABC의 꼭지점 B를 중심으로 임의의 원호 F를 그린다.
  2. D와 E를 중심으로 원호의 교점 F를 구한다.
  3. B와 교점 F를 통과하는 직선을 그리면 ∠ABC는 2등분 된다.
  4. ∠ABF = ∠CBF = 1/2 ∠ABC 이다.
(정답률: 58%)
  • "∠ABC의 꼭지점 B를 중심으로 임의의 원호 F를 그린다."가 틀린 설명이 아니다. 이 작도법은 ∠ABC를 2등분하는 방법 중 하나로, 원호 F를 그리는 것은 ∠ABC의 꼭지점 B를 중심으로 하는 임의의 원호를 그리는 것이다. 이후에 D와 E를 중심으로 원호의 교점 F를 구하고, B와 교점 F를 통과하는 직선을 그리면 ∠ABC는 2등분된다. 마지막으로 ∠ABF = ∠CBF = 1/2 ∠ABC 이다는 것도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나뭇잎, 뿌리, 줄기, 열매 등 부분으로 보지 않고 나무라는 전체로 보는 것 즉, "전체는 부분의 합 이상이다" 라고 주장하는 학파는?

  1. 행동주의 심리학
  2. 인지주의 심리학
  3. 구성주의 심리학
  4. 행태주의(Gestalt) 심리학
(정답률: 60%)
  • 행태주의(Gestalt) 심리학은 전체는 부분의 합 이상이라는 개념을 중요하게 다루는 학파이다. 이 학파는 인간의 인식과 인지 과정에서 전체적인 패턴과 구조를 중요시하며, 이를 통해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고 설명한다. 따라서 나무라는 것을 보는 것이 아니라 나뭇잎, 뿌리, 줄기, 열매 등의 부분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나무라는 것을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광고학

41. 마케팅 믹스의 4P가 아닌 것은?

  1. Promotion
  2. Product
  3. Price
  4. Positioning
(정답률: 81%)
  • 마케팅 믹스의 4P는 Product, Price, Promotion, Place이다. Positioning은 마케팅 전략 중 하나로, 제품이나 브랜드를 소비자의 마음 속에서 특정한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Positioning은 4P 중 하나가 아니며, 별도의 마케팅 전략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아이 캐처 (eye catcher)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시청자들의 눈이 처음 가는 포인트
  2. 시선을 끌기 쉬운 캐릭터
  3. 시력을 약화시키는 혼란요소
  4. 사람의 얼굴에서의 눈
(정답률: 71%)
  • 시력을 약화시키는 혼란요소는 아이 캐처와 관련이 없는 것입니다. 아이 캐처는 시청자들의 눈이 처음 가는 포인트나 시선을 끌기 쉬운 캐릭터 등으로, 화면에서 주목받는 요소를 의미합니다. 하지만 시력을 약화시키는 혼란요소는 오히려 시청자들의 시선을 방해하고 집중력을 떨어뜨리는 요소로, 아이 캐처와는 전혀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퍼블리시티(Publicity)의 수단이 아닌 것은?

  1. 인센티브
  2. 뉴스 릴리스의 배포
  3. 기자회견
  4. 스페셜 이벤트
(정답률: 73%)
  • 인센티브는 고객이나 직원 등을 독려하기 위해 제공되는 보상이며, 퍼블리시티의 수단이 아닙니다. 반면, 뉴스 릴리스의 배포, 기자회견, 스페셜 이벤트는 모두 퍼블리시티의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마케팅(Marketing)의 정의는?

  1. 제품계획, 가격책정, 유통과 판매 등의 촉진과 상호 연관된 기업 활동
  2. 기업의 이익과 관계되는 영업활동의 중심 시장
  3. 제품판매만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기업 활동
  4. 시장 우위를 점유시키기 위한 시장 세분화와 판매 촉진 계획
(정답률: 70%)
  • 마케팅은 기업이 제품 또는 서비스를 고객에게 판매하기 위해 제품계획, 가격책정, 유통과 판매 등의 촉진과 상호 연관된 기업 활동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업의 이익과 관계되는 영업활동의 중심 시장을 파악하고, 시장 세분화와 판매 촉진 계획을 통해 시장 우위를 점유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제품계획, 가격책정, 유통과 판매 등의 촉진과 상호 연관된 기업 활동"이 마케팅의 정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인간의 에로티시즘적 감정을 기초를 두어 사용하는 소구방법은?

  1. 유머 소구
  2. 위협 소구
  3. 성적 소구
  4. 이성적 소구
(정답률: 78%)
  • 인간의 에로티시즘적 감정은 성적 욕구와 관련이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하는 소구방법이 성적 소구이다. 유머 소구는 웃음을 유발하여 상대방의 마음을 끌어들이는 방법이고, 위협 소구는 협박이나 위협을 통해 상대방을 제어하려는 방법이다. 이성적 소구는 상대방의 이성적인 면을 강조하여 끌어들이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광고주가 고객에 주는 노벨티(Novelty)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라이터
  2. 볼펜
  3. 카메라
  4. 경품
(정답률: 59%)
  • 라이터, 볼펜, 카메라는 광고주의 제품과 관련이 있어서 고객이 제품을 더 잘 알아볼 수 있도록 도와주는 노벨티이지만, 경품은 광고주의 제품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노벨티가 아니다. 경품은 고객의 참여를 유도하고 이벤트를 홍보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아이디어 발상법 가운데 전문가의 직관이나 통찰력을 이용한 미래 예측 방법은?

  1. 브레인스토밍법(Brainstorming Method)
  2. 매트릭스법(Matrix Method)
  3. 델파이법(Delphi Method)
  4. 인풑 아웃풑법(Input Output Method)
(정답률: 55%)
  • 델파이법은 전문가들의 직관이나 통찰력을 이용하여 미래를 예측하는 방법으로, 여러 전문가들이 익명으로 의견을 제시하고 이를 종합하여 예측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전문가들의 주관적인 의견을 고루 수렴하여 더욱 정확한 예측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이 방법이 다른 방법들보다 더욱 신뢰성이 높은 예측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인쇄광고에 여백을 강조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화면 가득히 문자가 들어서면 저항을 느낀다.
  2. 문자와 그림이 빈틈없이 만나면 답답한 느낌을 준다.
  3. 여백도 기능적 가치를 같는 공간이다.
  4. 여백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정답률: 84%)
  • "여백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는 이유는 여백이 많을수록 디자인이 깔끔하고 조화롭게 보이며, 글씨와 이미지가 더욱 돋보이기 때문이다. 또한, 여백은 디자인의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하며, 독자가 내용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시장을 세분화하는데 있어서 연령, 성별, 직업, 교육수준, 종교 등으로 분류되는 변수는?

  1. 지리적 변수
  2. 인구통계적 변수
  3. 사회심리적 변수
  4. 행동특성적 변수
(정답률: 69%)
  • 인구통계적 변수는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을 기반으로 시장을 세분화하는 변수이다. 이는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이 개인의 소비패턴, 구매력, 생활습관 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령, 성별, 직업, 교육수준, 종교 등은 인구통계적 변수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메슬로우(Maslow)의 욕구 중 가장 상위욕구에 해당되는 것은?

  1. 자기존중 욕구
  2. 생리적 욕구
  3. 자이실현 욕구
  4. 사회적 욕구
(정답률: 69%)
  • 메슬로우의 욕구 이론에서 가장 상위에 위치하는 것은 자이실현 욕구입니다. 이는 개인이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자신의 능력을 실현하고자 하는 욕구입니다. 이 욕구는 자기계발, 창의성, 자신의 역량을 발휘하는 것 등을 포함합니다. 이는 다른 욕구들이 충족된 후에 나타나는 욕구로, 개인이 자신의 삶에 대한 의미와 목적을 찾고자 할 때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광고주가 광고대행사에 기대하는 것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광고주 회사의 직원교육
  2. 매체의 확보와 관리
  3. 프리젠테이션 능력
  4. 광고계획의 입안
(정답률: 84%)
  • 광고주가 광고대행사에 기대하는 것은 주로 광고계획의 입안, 매체의 확보와 관리, 프리젠테이션 능력 등이지만, 광고주 회사의 직원교육은 광고대행사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어 거리가 먼 것이다. 광고주 회사의 직원교육은 광고주 회사 내부에서 진행되는 것이며, 광고대행사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할 때, 동일 상표의 상품을 습관적, 의식적으로 반복 구매하는 것은?

  1. 브랜드 셰어(brand share)
  2. 브랜드 정책(brand policy)
  3. 브랜드 로열티(brand loyalty)
  4. 브랜드 리더(brand leader)
(정답률: 69%)
  • 브랜드 로열티는 소비자가 동일한 상표의 상품을 습관적, 의식적으로 반복 구매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해당 브랜드에 대한 신뢰와 만족도가 높아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소비자는 다른 브랜드보다 해당 브랜드를 선호하게 됩니다. 따라서 브랜드 로열티는 브랜드의 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인쇄매체 광고 제작물의 구성요소 중 조형적 요소가 아닌 것은?

  1. 헤드라인
  2. 보더라인
  3. 로고타입
  4. 레이아웃
(정답률: 46%)
  • 조형적 요소는 시각적인 디자인 요소를 의미하는데, 헤드라인은 문장 형태의 텍스트 요소이므로 조형적 요소가 아니다. 보더라인은 경계선, 로고타입은 로고 디자인, 레이아웃은 전체적인 디자인 배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헤드라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광고의 순기능이 아닌 것은?

  1. 제품정보 제공기능
  2. 소비자 교육기능
  3. 구매충동 유발기능
  4. 상품구매 설득기능
(정답률: 50%)
  • 광고의 순기능이 아닌 것은 "구매충동 유발기능"입니다. 이는 소비자가 강제로 제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소비자의 자유로운 선택을 제한하고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따라서 광고의 윤리적인 측면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광고는 소비자에게 이익을 준다는 약속을 해야 하는데 이 약속이란 경쟁자에게 없는 것이어야 하며 강력해야 한다고 미국 광고회사의 로저 리브스(R. Reeves)가 주장한 광고 전략은?

  1. 브랜드 이미지 전략
  2. USP 전략
  3. AIIEE 전략
  4. 포지셔닝 전략
(정답률: 63%)
  • USP 전략은 광고에서 소비자에게 이익을 약속하는데, 이 약속은 경쟁자에게 없는 것이어야 하며 강력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는 광고를 통해 제품이나 서비스의 독특한 특징을 강조하고, 이를 통해 경쟁자와 차별화된 이점을 제공하는 전략입니다. 따라서 USP 전략은 경쟁자와 차별화된 이점을 강조하는 것으로, 다른 보기인 "브랜드 이미지 전략", "AIIEE 전략", "포지셔닝 전략"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매체효과 측정에서 GRP는 매체의 총 노출빈도를 말한다. ( )에 들어갈 내용은?

  1. 누적률
  2. 평균률
  3. 도달률
  4. 반복률
(정답률: 55%)
  • GRP는 Gross Rating Point의 약자로, 광고가 노출된 매체의 총 노출빈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매체효과 측정에서 GRP는 광고가 몇 번 노출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반면, "도달률"은 광고가 노출된 대상 중에서 실제로 광고를 본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GRP와는 다른 개념이며, 광고의 효과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동생이 라면을 먹고 싶다고 했다. 누나가 동의했다. 아빠는 태양라면이 좋겠다고 말했다. 엄마가 사왔다. 그날 저녁은 온 가족이 라면으로 저녁식사를 했다. 이때 누나의 역할은?

  1. 구매자, 소비자
  2. 영향력 행사자, 소비자
  3. 의사결정자, 소비자
  4. 제안자, 영향력 행사자
(정답률: 53%)
  • 누나는 동생의 요청에 동의하고, 아빠의 제안에도 동의하여 엄마가 라면을 사오도록 유도했다. 이로 인해 가족 모두가 라면으로 저녁식사를 하게 되었으므로, 누나는 영향력 행사자이자 소비자의 역할을 수행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 )안에 들어갈 알맞은 단어는?

  1. 척도
  2. 관여도
  3. 이해도
  4. 인지도
(정답률: 35%)
  • 이 그래프는 x축이 관여도, y축이 이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각 점은 설문조사 결과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그래프에서 정답은 "관여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AIDMA 원칙이 옳게 나열된 것은?

  1. Attention - Interest - Dimension - Mood - Action
  2. Attention - Interest - Desire - Memory - Action
  3. Attention - Innovation - Diemand - Memory - Action
  4. Attention - Image - Decision - Manner – Action
(정답률: 77%)
  • AIDMA 원칙은 광고나 마케팅에서 고객을 유치하고 구매로 이끄는 과정을 나타내는데, 이 중에서도 "Desire"는 고객이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욕구나 열망을 불러일으키는 단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Attention - Interest - Desire - Memory - Action"이 옳은 나열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광고 커뮤니케이션의 다섯 가지 요소는?

  1. 송신자, 매체, 시장, 소비자, 반응
  2. 송신자, 메시지, 매체, 수신자, 반응
  3. 송신자, 수신자, 제품, 시장, 반응
  4. 송신자, 제품, 메시지, 시장, 수신자
(정답률: 52%)
  • 광고 커뮤니케이션의 다섯 가지 요소는 송신자, 메시지, 매체, 수신자, 반응입니다. 이는 광고를 만드는 사람(송신자)이 광고 내용(메시지)을 선택하고, 이를 전달할 매체를 선택하며, 이를 받는 사람(수신자)이 광고에 대한 반응(반응)을 보이는 과정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다섯 가지 요소는 광고의 효과를 분석하고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색채학

61. 아파트 건축물의 색채기획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개인적인 기호에 의하지 않고 객관성이 있어야 한다.
  2. 주변 환경과 관계없이 독특한 디자인으로 색채조절을 한다.
  3. 전체적으로 질서가 있어야 하며 적당한 변화가 있어야 한다.
  4. 주거민을 위한 편안한 디자인이 되어야 한다.
(정답률: 85%)
  • 주변 환경과 관계없이 독특한 디자인으로 색채조절을 하는 것은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아파트 건축물은 그 자리에 있는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어야 하며, 이를 고려하지 않고 독특한 디자인으로만 색채를 조절하면 주변 환경과 어울리지 않아 불편한 느낌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적절한 색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KS산업표준에 있지 않은 표색계는?

  1. NCS 표색계
  2. 먼셀 표색계
  3. L*a*b*표색계
  4. X Y Z 표색계
(정답률: 50%)
  • KS산업표준에는 "NCS 표색계"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정답은 "NCS 표색계"입니다. KS산업표준에는 "먼셀 표색계", "L*a*b*표색계", "X Y Z 표색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색의 온도감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빨강, 노란색은 한색이다.
  2. 무채색에서 높은 명도의 색은 난색이다.
  3. 자주, 청록색은 중성색이다.
  4. 녹색은 중성색이고, 주황색은 난색이다.
(정답률: 71%)
  • 색의 온도감은 색의 명도와 채도에 따라 결정되며, 높은 명도와 채도를 가진 색은 따뜻한 느낌을 주고, 낮은 명도와 채도를 가진 색은 차가운 느낌을 준다. 녹색은 빨강과 파랑의 중간색으로 중성색에 해당하며, 주황색은 빨강과 노랑의 혼합색으로 난색에 해당한다. 따라서 "녹색은 중성색이고, 주황색은 난색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한국의 오방색과 방향의 연결로 옳은 것은?

  1. 청색 – 동
  2. 적색 - 서
  3. 황색 – 남
  4. 백색 - 북
(정답률: 79%)
  • 한국의 전통적인 오방색은 청, 적, 황, 백, 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 청색은 동쪽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는 동쪽의 색인 푸른색과 연관이 있으며, 동쪽은 새로움과 생명력을 상징하는 방향입니다. 따라서 "청색 - 동"이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오스트발트 색상환은 무엇을 기본으로 하여 만들어 졌는가?

  1. 먼셀의 5원색
  2. 뉴턴의 프리즘
  3. 헤링의 4원색
  4. 영,헬름흘츠의 3원색
(정답률: 70%)
  • 오스트발트 색상환은 헤링의 4원색을 기본으로 하여 만들어졌습니다. 헤링은 빨강, 노랑, 파랑, 검정 4가지 색을 기본 색상으로 보고, 이를 혼합하여 다양한 색상을 만들어낼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따라 오스트발트는 이 4가지 색을 기반으로 하여 색상환을 제작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정량적(定量的)색채 조화론으로 1944년에 발표되었으며, 고전적인 색채조화의 기하학적 공식화, 색채조화의 면적색채조화의 적용되는 심미도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1. 쉐브럴(M.E, Chevreul)의 조화론
  2. 져드(judd)의 조화론
  3. 그레이브스(M.Graves)의 조화론
  4. 문(P.Moon)과 스펜서(D.E.Spencer)의 조화론
(정답률: 73%)
  • 문(P.Moon)과 스펜서(D.E.Spencer)의 조화론은 정량적인 색채 조화론으로, 색채의 면적, 밝기, 채도 등을 고려하여 색채를 조화롭게 조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론적인 기하학적 공식화와 함께, 색채의 심미도를 고려한 적용 방법도 제시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무대 조명의 혼색방법과 관계가 깊은 것은?

  1. 병치가법혼색
  2. 동시가법혼색
  3. 계시가법혼색
  4. 평균가법혼색
(정답률: 53%)
  • 무대 조명에서 혼색은 여러 색상의 빛을 섞어서 원하는 색상을 만드는 기술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동시가법혼색은 빨강, 초록, 파랑 세 가지 기본색을 섞어서 모든 색상을 만들어내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빛의 삼원색 이론에 기반하며, 빨강, 초록, 파랑 세 가지 색상을 조합하면 인간 눈에 보이는 모든 색상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에 무대 조명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명소시에서 암쇠로 이행할 때 붉은 색은 어둡게 되고 녹색과 파랑은 상대적으로 밝게 보이는 현상은?

  1. 베졸드 현상
  2. 맥스웰 현상
  3. 스펙트럼 현상
  4. 푸르킨예 현상
(정답률: 74%)
  • 이러한 현상은 푸르킨예 현상이라고 불립니다. 이는 빛의 파장이 물질과 상호작용할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붉은색은 물질에 흡수되어 어둡게 보이고, 녹색과 파란색은 물질에 반사되어 상대적으로 밝게 보이는 것입니다. 이는 빛의 파장이 물질의 분자 구조와 상호작용하여 색상이 변하는 것으로 설명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영,헬름흘츠의 3원색설에 따라 녹색과 빨강의 시세포가 동시에 흥분할 때 생기는 색각은?

  1. 시안(cyan)
  2. 마젠타(magenta)
  3. 검정(black)
  4. 노랑(yellow)
(정답률: 56%)
  • 영,헬름흘츠의 3원색설에 따르면, 빨강, 초록, 파랑의 세 가지 색을 혼합하면 모든 색을 만들 수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녹색과 빨강의 시세포가 동시에 흥분할 때는 빨강과 초록이 혼합되어 노란색이 생기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노랑(yello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오스트발트의 조화 배열 중 등흑색 조화에 해당하는 색으로 연결된 것은?

  1. ie - ia – pc
  2. ea - ie - ni
  3. ge - le – pe
  4. pn - pg – pa
(정답률: 64%)
  • 오스트발트의 조화 배열은 색의 조화를 나타내는데, 등흑색 조화는 "ge - le – pe"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는 각각 회색, 연한 회색, 연한 분홍색으로 이어지는데, 이 색들은 서로 조화롭게 어우러져서 조화 배열에서 등흑색 조화를 이루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색각 항상성이란?

  1. 고명도의 색은 팽창해 보이고 저명도의 색은 수축되어 보이는 현상
  2. 빛의 자극이 제거된 후에도 계속해서 생기는 시감각
  3. 반사광의 공간분포에 의해서 생기는 물체 표면 지각의 속성
  4. 조명 및 관측조건이 변화해도 물체색이 별로 변화되어 보이지 않는 현상
(정답률: 75%)
  • 색각 항상성은 조명 및 관측조건이 변화해도 물체색이 별로 변화되어 보이지 않는 현상입니다. 즉, 빛의 강도나 색온도 등이 바뀌어도 물체의 색상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인간의 시각 시스템이 빛의 자극을 제거한 후에도 계속해서 생기는 시감각과 반사광의 공간분포에 의해서 생기는 물체 표면 지각의 속성 등이 작용하여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색입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색의 3속성을 3차원 공간에다 계통적으로 배열한 것이다.
  2. 오스트발트 표색계의 색입체는 타원과 같은 형태이다.
  3. 먼셀 표색계의 색입체는 나무의 형태를 닮아 color tree 라고 한다.
  4. 색입체의 중심축은 무채색 축이다.
(정답률: 59%)
  • "오스트발트 표색계의 색입체는 타원과 같은 형태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오스트발트 표색계의 색입체는 일반적으로 타원이 아닌, 구 또는 구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이를 "색공간"이라고도 합니다. 이는 색의 3속성을 3차원 공간에 배열한 것으로, 중심축은 무채색 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후기 인상파 화가인 쇠라(seurat)의 회화원리로 사용된 기법은?

  1. 색료혼합
  2. 보색혼합
  3. 회전혼합
  4. 병치혼합
(정답률: 66%)
  • 쇠라는 포인트리즘라는 화풍을 만들어낸 화가로, 작품에서 작은 점들을 여러 색상으로 나누어 그것들이 눈에 섞이는 현상을 이용하여 색상을 조합하는 "병치혼합" 기법을 사용했습니다. 이는 작은 점들이 눈에 섞이면서 색상이 조합되는 것으로, 색상의 밝기와 채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색감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상품 제작시 전달 색채계획의 첫 조건은?

  1. 쇼윈도의 이미지를 높인다.
  2. 상품의 가치를 시각에 돋보이게 한다.
  3. 상품의 모양을 생각한다.
  4. 점포의 분위기를 높인다.
(정답률: 62%)
  • 상품 제작시 전달 색채계획의 첫 조건은 "상품의 가치를 시각에 돋보이게 한다." 이다. 이는 상품을 더욱 눈에 띄게 만들어 소비자들이 더욱 관심을 가지고 구매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즉, 상품의 가치를 시각적으로 강조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고, 소비자들의 인지도와 인식도를 높이는 것이 목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현색계(color appearance system)와 관계있는 것은?

  1. 색광의 색
  2. 빛의 색
  3. 심리, 물리 색
  4. 물체의 색
(정답률: 53%)
  • 현색계는 물체의 색을 나타내는 시스템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색의 다른 측면을 나타내지만, 현색계는 물체가 어떤 색으로 보이는지를 나타내는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물체의 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비렌(Birren)의 색과 형의 연결로 틀린 것은?

  1. 빨강색 – 정사각형
  2. 노랑색 - 삼각형
  3. 파랑색 – 육각형
  4. 주황색 - 직사각형
(정답률: 64%)
  • 비렌의 색과 형의 연결은 일반적으로 색의 심리적 의미와 형태의 심리적 의미를 연결시킨 것이다. 그러나 파랑색과 육각형은 연결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정답은 "파랑색 – 육각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오스트발트 표색계의 색표기 방법인 '8pa' 중 'p'가 의미하는 것은?

  1. 색상기호
  2. 흑색량
  3. 백색량
  4. 순색량
(정답률: 48%)
  • 'p'는 백색량을 의미한다. 이는 해당 색상이 얼마나 밝거나 어두운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8pa'에서 '8'은 색상의 진하기(hue)를 나타내고, 'a'는 채도(saturation)를 나타낸다. 따라서 '8pa'는 색상의 진하기, 채도, 백색량을 모두 나타내는 오스트발트 표색계의 색표기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용도별 실내색채에 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한색계의 색채 공간은 정신적 활동에 적합하다.
  2. 병원 수술실에 가장 많이 쓰이는 색은 녹색이다.
  3. 공장에서 안전이 요구되는 부위에는 안전색채를 배색하는 것이 좋다.
  4. 사무실 벽은 순백색으로 배색한 것이 눈의 피로를 줄여서 좋다.
(정답률: 73%)
  • "병원 수술실에 가장 많이 쓰이는 색은 녹색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수술실에서는 청록색이나 파란색 등 차가운 색상이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환자의 안정감을 높이고,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사무실 벽은 순백색으로 배색한 것이 눈의 피로를 줄여서 좋은 이유는, 순백색은 빛을 잘 반사하여 밝고 깨끗한 느낌을 주기 때문입니다. 또한, 다양한 가구나 소품 등을 사용하는 사무실에서는 벽이 너무 강한 색감을 가지면 조화롭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중립적인 색상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눈의 피로를 줄이는 효과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빛에너지가 꽃에 부딪쳐 일어나는 표면색은?

  1. 물체색
  2. 공간색
  3. 간섭색
  4. 광원색
(정답률: 69%)
  • 빛이 꽃의 표면에 부딪치면 일부는 흡수되고 일부는 반사됩니다. 이 반사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와서 보이는 색깔이 바로 물체색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물체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먼셀의 색입체에서 중심부쪽으로 갈수록 나타나는 현상 중 옳은 것은?

  1. 명도는 중명도가 되며 채도는 낮아진다.
  2. 명도가 낮아지며 채도는 높아진다.
  3. 명도는 중명도가 되며 채도는 변화 없다.
  4. 명도는 변화가 없으며 채도는 중간이 된다.
(정답률: 62%)
  • 먼셀의 색입체에서 중심부쪽으로 갈수록 색의 진하기가 약해지면서 밝기가 중간 정도로 유지되므로 "명도는 중명도가 되며 채도는 낮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사진 및 인쇄제판론

81. 현상할 때 미노출 부분의 포그(fog)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하는 물질은?

  1. 현상촉진제
  2. 보항제
  3. 억제제
  4. 현상주약
(정답률: 58%)
  • 미노출 부분의 포그 현상은 필름의 표면에 물방울이 생기는 현상으로, 이는 습도가 높거나 온도 변화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필름 제조 과정에서 억제제를 첨가합니다. 억제제는 필름 표면에 물방울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여 포그 현상을 방지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억제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인간이 육안으로 느끼는 것과는 전혀 다른 시각적 효과를 얻고자 할 때 사용하며 700nm 이상의 장파장광에 주로 감광되는 필름은?

  1. 자외선 필름
  2. 팬크로매틱 필름
  3. 리스 필름
  4. 적외선 필름
(정답률: 67%)
  • 700nm 이상의 장파장광은 인간의 눈으로는 볼 수 없는 적외선 영역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적외선 필름은 이러한 적외선 영역에서 감광되어 인간이 보지 못하는 물체나 현상을 촬영하거나 감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밤에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는 적외선 필름을 사용하여 촬영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컬러사진용 확대기에 주로 사용하는 필터는?

  1. 다이크로익 필터
  2. PL 필터
  3. ND 필터
  4. 색온도변환 필터
(정답률: 48%)
  • 컬러사진용 확대기에서는 색감을 보정하고 광원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다이크로익 필터를 주로 사용합니다. 이 필터는 빛의 진행 방향에 따라 광원에서 반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여 색감을 보정하고, 노란색 빛을 제거하여 광원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초점거리가 50mm이고, 렌즈의 밝기가 1:2인 렌즈의 유효 구경은 얼마인가?

  1. 12.5mm
  2. 25mm
  3. 50mm
  4. 100mm
(정답률: 75%)
  • 유효 구경은 렌즈의 입체감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유효 구경은 렌즈의 초점거리와 밝기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초점거리가 50mm이고 밝기가 1:2인 렌즈를 다루고 있습니다. 밝기가 1:2인 렌즈는 렌즈의 최대 구경(피사계 실드)가 렌즈의 초점거리의 반인 25mm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5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인쇄의 4방식 중 인쇄판이 유연하므로 평면, 곡면 등에 인쇄가 가장 자유로운 방식은?

  1. 볼록판
  2. 오목판
  3. 평판
  4. 공판
(정답률: 48%)
  • 공판은 인쇄판이 유연하므로 평면, 곡면 등에 인쇄가 가장 자유로운 방식입니다. 이는 인쇄판이 평면이기 때문에 곡면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인쇄판의 유연성으로 인해 곡면에도 적용이 용이합니다. 따라서 공판이 평면, 곡면 등에 인쇄가 가장 자유로운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국판(A5) 책자의 크기로 옳은 것은?

  1. 74 × 105mm
  2. 105 × 148mm
  3. 148 × 210mm
  4. 210 × 297mm
(정답률: 80%)
  • 정답은 "148 × 210mm"이다. 이는 A5 용지의 크기이기 때문이다. A5 용지는 A0 용지를 절반으로 나눈 크기인데, A0 용지의 크기는 841 × 1189mm이다. 따라서 A5 용지의 크기는 210 × 148mm이 된다. 국판 책자는 A5 용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 크기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식물성 기름을 불완전 연소시켜 얻은 흑색 분말로서 검정잉크의 안료로 사용되는 것은?

  1. 카본블랙
  2. 티탄백
  3. 탄산칼슘
  4. 감청
(정답률: 70%)
  • 카본블랙은 식물성 기름을 불완전 연소시켜 얻은 흑색 분말로서, 검정잉크의 안료로 사용됩니다. 이는 카본블랙이 높은 흑도와 안정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티탄백, 탄산칼슘, 감청은 검정색을 표현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안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달리고 있는 자동차의 동감을 표현하기 위한 가장 적절한 촬영 기법은?

  1. BLUR
  2. RELIEF
  3. PANNING
  4. ZOOMING
(정답률: 82%)
  • 정답은 "PANNING"입니다. Panning은 카메라를 수평으로 움직여서 주체와 같은 속도로 따라가면서 촬영하는 기법으로, 주체는 선명하게 나타나고 배경은 흐릿하게 나타나므로 달리고 있는 자동차의 동감을 표현하기에 가장 적절한 기법입니다. BLUR은 흐릿하게 나타내는 기법이지만, 주체와 배경이 모두 흐릿하게 나타나므로 동감을 표현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RELIEF는 입체감을 나타내는 기법이며, 달리고 있는 자동차의 동감을 표현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ZOOMING은 확대/축소하는 기법으로, 달리고 있는 자동차의 동감을 표현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가이드 넘버가 24 이고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3m 라고 한다면 렌즈의 조리개 값은?

  1. f/가 5.6
  2. f/8
  3. f/11
  4. f/16
(정답률: 86%)
  • 조리개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조리개 값 = 렌즈의 초점거리 / 렌즈의 지름

    여기서 렌즈의 초점거리는 가이드 넘버와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곱한 값입니다.

    렌즈의 초점거리 = 가이드 넘버 x 피사체까지의 거리

    따라서 렌즈의 조리개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조리개 값 = (가이드 넘버 x 피사체까지의 거리) / 렌즈의 지름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렌즈의 지름이 주어지지 않았습니다. 대신 보기에서 조리개 값이 f/5.6, f/8, f/11, f/16 중 하나라고 주어졌습니다.

    이 중에서 렌즈의 지름이 가장 큰 값은 f/5.6 이고, 렌즈의 지름이 가장 작은 값은 f/16 입니다. 따라서 렌즈의 조리개 값은 f/8 이 됩니다.

    즉, f/8 이 정답인 이유는 렌즈의 지름이 가장 적절한 크기라서입니다. f/5.6 이나 f/11, f/16 은 렌즈의 지름이 너무 크거나 작아서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피사계 심도가 깊고 원근감이 과장되는 렌즈는?

  1. 망원렌즈
  2. 표준렌즈
  3. 광각렌즈
  4. 마이크로렌즈
(정답률: 53%)
  • 광각렌즈는 시야각이 넓어서 피사계 심도가 깊고 원근감이 과장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광각렌즈를 사용하면 넓은 공간을 담을 수 있고, 깊이감 있는 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표지를 속장보다 조금 크게 만들어 약간 튀어나오게 하며 사전류에 많이 사용되는 제책 방식은?

  1. 양장 제책
  2. 반양장 제책
  3. 호부장 제책
  4. 중철 제책
(정답률: 75%)
  • 양장 제책은 표지를 속장보다 조금 크게 만들어 약간 튀어나오게 하고, 내부 내지를 중철로 제본한 후에 표지 양면에 덮개를 붙여 제본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사전류에 많이 사용되며, 표지가 더 크고 튀어나와서 눈에 띄기 때문에 책의 인상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피사체의 위쪽 또는 뒤쪽에 높게 설치하는 라이트로서 피사체의 윤곽을 따라 강한 하이라이트를 내는 조명은?

  1. 역광
  2. 측광
  3. 사광
  4. 정면광
(정답률: 74%)
  • 역광은 피사체의 뒤쪽이나 위쪽에서 빛을 받아 앞면이 어둡게 비춰지는 상황에서, 뒤쪽이나 위쪽에서 높게 설치된 라이트로 피사체의 윤곽을 따라 강한 하이라이트를 내는 조명 기법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피사체의 형태와 입체감을 부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노광부족이나 현상부족으로 농도가 엷을 때나 콘트라스트가 저하된 네거티브 농도의 콘트라스트를 높이기 위한 사진처리 방법은?

  1. 보력
  2. 감력
  3. 토닝
  4. 조색
(정답률: 65%)
  • 보력은 네거티브 필름에서 밝은 부분을 더 밝게, 어두운 부분을 더 어둡게 만들어 콘트라스트를 높이는 사진처리 방법이다. 따라서 노광부족이나 현상부족으로 농도가 엷을 때나 콘트라스트가 저하된 네거티브 농도의 콘트라스트를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감력은 밝기와 색상을 조절하여 이미지의 감성을 표현하는 방법이고, 토닝은 이미지의 색조를 변화시켜 특정 분위기를 연출하는 방법이며, 조색은 색상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이미지의 색감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PS판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제판 처리가 신속, 간단하다.
  2. 암반응이 적고, 잔반응이 없다.
  3. 온, 습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4. 감광액의 두께가 불균일하다.
(정답률: 74%)
  • "감광액의 두께가 불균일하다."가 틀린 것이다. PS판은 감광액의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고화질의 인쇄물을 만들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인쇄의 5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원고
  2. 인쇄판
  3. 인쇄작업자
  4. 잉크
(정답률: 73%)
  • 인쇄의 5요소는 원고, 인쇄판, 잉크, 인쇄기, 인쇄지이며, 인쇄작업자는 이들을 다루고 조작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인력이므로 5요소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렌즈의 거리계를 무한대에 맞추었을 때 렌즈의 제 2주점으로부터 필름 면까지의 거리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화상원
  2. 초점거리
  3. F stop
  4. 피사계 심도
(정답률: 60%)
  • 초점거리는 렌즈의 무한대에서의 초점과 필름 면까지의 거리를 말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렌즈의 거리계를 무한대에 맞추었을 때, 렌즈의 제 2주점으로부터 필름 면까지의 거리를 초점거리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홀로그램(Hologram)은 주로 빛의 어떠한 현상을 이용한 입체 사진인가?

  1. 간섭
  2. 반사
  3. 편광
  4. 굴절
(정답률: 72%)
  • 홀로그램은 빛의 간섭 현상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입체 사진입니다. 빛이 서로 만나면서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데, 이 때 빛의 파장이 서로 합쳐져 새로운 빛이 만들어지는데 이를 간섭이라고 합니다. 이 간섭을 이용하여 빛의 파장과 진폭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다시 재생함으로써 입체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콘트라스트가 강한 인화를 얻기 위한 가장 옳은 방법은?

  1. 감감현상을 한다.
  2. 경조현상액을 사용한다.
  3. 2호 인화지를 사용한다.
  4. 현상액의 희석비율을 높인다.
(정답률: 58%)
  • 콘트라스트가 강한 인화를 얻기 위해서는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대비가 뚜렷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경조현상액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경조현상액은 인화지의 밝은 부분을 더 밝게, 어두운 부분을 더 어둡게 만들어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경조현상액을 사용하면 콘트라스트가 더욱 강해지고, 인화의 시각적 효과가 더욱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마름모꼴로 되어 있으며, 부드러운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인물 사진에 주로 사용되는 망점은?

  1. 체인 도트(Chain dot)
  2. 스퀘어 도트(Square dot)
  3. 라운드 도트(Roung dot)
  4. 레스피 도트(Respi dot)
(정답률: 48%)
  • 체인 도트는 작은 점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하여 만든 도트 방식으로, 마름모꼴의 형태를 가지며 부드러운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물 사진과 같이 부드러운 효과가 필요한 작업에 주로 사용됩니다. 스퀘어 도트는 정사각형 모양의 도트 방식이며, 라운드 도트는 원형 모양의 도트 방식입니다. 레스피 도트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작은 점들이 서로 겹치는 형태로 만들어진 도트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인쇄물 표면가공의 목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인쇄물에 광택을 준다.
  2. 잉크의 퇴색을 방지한다.
  3. 인쇄물의 내구성을 높인다.
  4. 재활용을 쉽게 한다.
(정답률: 79%)
  • 재활용을 쉽게 한다는 것은 인쇄물의 표면가공이 아니라, 인쇄물의 재활용 가능성을 고려한 디자인과 재질 선택 등의 요소에 해당한다. 따라서, "재활용을 쉽게 한다."는 인쇄물 표면가공의 목적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