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화장치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7-17)

양화장치운전기능사
(2005-07-1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구분

1. 데릭(derrick)의 의장 중에서 유니언 퍼어쳐스식의 의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못한 것은?

  1. 이 방법은 2개의 붐(boom)을 한쌍으로한다.
  2. 하역속력이 빠른것이 장점이다.
  3. 중량물, 위험물, 파손하기 쉬운 화물하역에 적당하다.
  4. 윈치(winch)의 조종이 조화되지 않으면 화물의 흔들림이 생긴다.
(정답률: 85%)
  • 유니언 퍼어쳐스식의 의장은 중량물, 위험물, 파손하기 쉬운 화물하역에 적당하다는 설명이 옳은 것입니다. 이 방법은 두 개의 붐을 한 쌍으로 사용하여 화물을 안정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기 때문에 중량물이나 파손하기 쉬운 화물을 안전하게 하역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하역속력이 빠른 것이 장점이므로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윈치의 조종이 조화되지 않으면 화물의 흔들림이 생길 수 있으므로 조작에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음 중 토핑 리프트(topping lift)를 잘못 설명한 것은?

  1. 붐의 상부를 지지한다.
  2. 붐의 수평면과의 기울기를 바꿀 때 사용한다.
  3. 화물 및 붐 자체의 중량이 포함되어 큰 힘이 작용한다.
  4. 토핑 리프트 와이어 로프의 두께는 카고 와이어의 1/2정도이다.
(정답률: 70%)
  • 정답: "토핑 리프트 와이어 로프의 두께는 카고 와이어의 1/2정도이다."

    이유: 토핑 리프트는 붐의 상부를 지지하고 붐의 수평면과의 기울기를 바꿀 때 사용하는데, 이때 화물 및 붐 자체의 중량이 포함되어 큰 힘이 작용한다. 하지만 토핑 리프트 와이어 로프의 두께는 카고 와이어의 1/2정도로 작은 힘으로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이 보기는 잘못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하역작업용 집크레인, 하버크레인 혹은 주행크레인에서 Rail clamp(레일 크램프)에서 전기가 단전이 되면 어떤 현상이 발생되는가?

  1. 주행크레인에서 작업 중 횡행이 정지된다.
  2. 주행크레인에서 작업 중 주행이 정지된다.
  3. 주행크레인은 기복이 정지된다.
  4. 주행크레인에서 선회가 정지된다.
(정답률: 73%)
  • 주행크레인은 레일 위에서 움직이는 크레인으로, 레일 clamp는 레일을 고정하는 장치입니다. 만약 레일 clamp에서 전기가 단전이 되면 레일이 고정되지 않아 크레인이 레일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이 때, 주행 중인 경우 크레인은 레일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주행이 정지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주행크레인에서 작업 중 주행이 정지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에서 싱글 데릭이 아닌 것은?

  1. K. S. 방식
  2. 하이렌식 방식
  3. 톰슨 방식
  4. 메리드 폴 방식
(정답률: 61%)
  • 정답은 "메리드 폴 방식"입니다. 메리드 폴 방식은 싱글 데릭 방식 중 하나로, 데이터를 저장할 때 각 비트를 자기 자신의 반대 상태로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데이터를 읽을 때는 저장된 비트를 다시 자기 자신의 반대 상태로 바꾸어 읽어야 합니다. 이와 달리 K. S. 방식, 하이렌식 방식, 톰슨 방식은 모두 싱글 데릭 방식 중 하나로, 각 비트를 자기 자신의 상태 그대로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지브 크레인에서 걸어올리는 하중과 작업반경과의 관계에 의하여 전도할 위험이 있다. 이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형의 지브 크레인 등에 주로 설치된 안전 장치는?

  1. 레일 클램프
  2. 과부하 방지장치
  3. 일주 방지장치
  4. 사행 방지장치
(정답률: 89%)
  • 지브 크레인에서 걸어올리는 하중이 작업반경을 초과하면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대형의 지브 크레인 등에는 과부하 방지장치가 설치됩니다. 이 장치는 크레인이 정해진 하중을 초과하면 작동하여 크레인을 멈추게 하여 안전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과부하 방지장치가 지브 크레인에서 걸어올리는 하중과 작업반경과의 관계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는 안전 장치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지브 크레인의 신호 중 원칙적으로 오른손을 사용하는 경우는?

  1. 카고 와이어 감아 올리기/내리기
  2. 붐 또는 지브의 기복
  3. 매단 화물의 수평이동
  4. 붐 또는 지브의 선회
(정답률: 96%)
  • 카고 와이어 감아 올리기/내리기는 오른손으로 조작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이는 왼손으로 조작할 경우, 오른손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카고 와이어 감아 올리기/내리기는 오른손을 사용하여 조작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양화장치의 설명으로 옳지 못한 것은?

  1. 선박을 부두에 계류하기 위한 설비를 말한다.
  2. 화물을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장치이다.
  3. 선박에서는 데릭 또는 크레인식을 많이 사용한다.
  4. 선박에서의 크레인(crane)도 양화 장치로 볼 수 있다.
(정답률: 87%)
  • 선박에서의 크레인은 양화장치로 볼 수 없다. 양화장치는 선박을 부두에 계류하기 위한 설비를 말하는데, 크레인은 화물을 싣고 내리는데 사용되는 기계적 장치이다. 따라서, "선박에서의 크레인도 양화 장치로 볼 수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유니언 퍼어쳐스식 양화장치의 신호에서 그림과 같은 자세로 양팔을 비스듬이 아래로 펴고 천천히 손목을 흔든다. (손목을 내측으로 굽혔다 폈다 한다.) 무엇을 나타내는 신호인가?

  1. 1대의 윈치만으로 훅 천천히 내리기
  2. 1대의 윈치만으로 훅 천천히 올리기
  3. 2대의 윈치로 훅 천천히 내리기
  4. 2대의 윈치로 훅 천천히 올리기
(정답률: 88%)
  • 신호는 "2대의 윈치로 훅 천천히 내리기"를 나타냅니다. 손목을 내측으로 굽혀서 흔드는 동작은 윈치를 조작하는 손잡이를 비유한 것입니다. 양팔을 비스듬이 아래로 펴는 것은 윈치를 내리는 동작을 나타내며, 천천히 손목을 흔드는 것은 천천히 조작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이 신호는 2대의 윈치를 사용하여 훅을 천천히 내리라는 명령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증기 윈치 운전 전 스톱밸브를 조금 열어 워밍업(warming-up) 하는 이유는?

  1. 드레인을 배출시키기 위해
  2. 냉각된 상태를 따뜻하게 하기 위해
  3. 윈치를 급격히 회전하게 하기 위해
  4. 윈치의 회전속도 점검을 위해
(정답률: 53%)
  • 증기 윈치는 냉각된 상태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운전 전에는 스톱밸브를 조금 열어 워밍업을 해야 합니다. 이는 냉각된 상태를 따뜻하게 하여 윈치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과권방지 장치 중 리미트 스위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나사형 리미트 스위치는 드럼의 회전과 연동하여 과권을 방지한다.
  2. 추형 리미트 스위치는 훅의 상승에 의해 직접 작동한다.
  3. 추형 리미트 스위치는 작동위치의 오차가 적다.
  4. 캠형 리미트 스위치는 드럼에 관계 없이 훅의 상승에 의해 작동한다.
(정답률: 74%)
  • 캠형 리미트 스위치는 드럼에 관계 없이 훅의 상승에 의해 작동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캠형 리미트 스위치는 드럼의 회전과 연동하여 작동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증기 윈치의 결점으로 맞는 것은?

  1. 기름이 누설되기 쉽다.
  2. 진동과 소음이 크다.
  3. 역회전이 곤란하다.
  4. 스파크가 발생한다.
(정답률: 83%)
  • 증기 윈치는 작동 원리상 회전 부분에 기름이 필요하고, 이 기름이 누설되면 진동과 소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회전 부분이 민감하게 조정되어 있어 역회전이 어렵고, 가끔 스파크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선상의 교형 주행 크레인 메카니즘 중에서 크래브 트롤리 형식일 때 트롤리 프레임(trolley frame) 위에 설치되지 않는 장치는?

  1. 트롤리 와이어로프 클램프(trolley wire rope clamp)
  2. 호이스트 와이어로프 드럼 (hoist wire rope drum)
  3. 트롤리 모터(trolley motor)
  4. 트롤리 감속기(trolley reducer)
(정답률: 75%)
  • 크래브 트롤리 형식의 선상 교형 주행 크레인에서 트롤리 와이어로프 클램프는 트롤리 와이어로프를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트롤리 프레임 위에 설치되지 않는 장치 중에서 트롤리 와이어로프를 고정시켜주는 장치는 트롤리 와이어로프 클램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하역작업 속도가 빠른 데릭의 의장법은?

  1. 스윙붐 방식
  2. 슬루잉붐 방식
  3. 유니언 퍼어쳐스 방식
  4. 하우스풀 방식
(정답률: 90%)
  • 유니언 퍼어쳐스 방식은 두 개의 크레인을 하나의 작업장으로 연결하여 작업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두 개의 크레인이 동시에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속도가 빠르며, 물체를 안정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어 안전성도 높습니다. 따라서 하역작업 속도가 빠른 데릭의 의장법으로 유니언 퍼어쳐스 방식이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크레인 사용자가 피할 수 없는 사유로 정격하중을 초과하는 하중을 걸어 작업을 할때 취해야 하는 조치로서 가장 부적절한 것은?

  1. 반드시 신호수를 2인 이상 두어야 한다.
  2. 설계에 규정하는 하중시험을 실시하여 이상이 없음을 확인해야 한다.
  3. 작업을 지휘하는 사람을 지정하여 그 사람의 직접 지휘 하에 운전해야 한다.
  4. 초과하는 하중을 걸어 사용할 경우에는 그 결과를 기록하여 3년간 보존한다.
(정답률: 87%)
  • 가장 부적절한 것은 "반드시 신호수를 2인 이상 두어야 한다."입니다. 이유는 신호수를 2인 이상 두는 것은 안전을 위한 조치이지만, 정답에 제시된 상황에서는 이미 정격하중을 초과하는 하중을 걸어 작업을 해야하는 상황이므로, 신호수를 늘리는 것만으로는 안전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초과하는 하중을 걸어 사용할 경우에는 그 결과를 기록하여 3년간 보존한다."입니다. 이유는 이러한 기록을 통해, 추후에 비슷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대비하여 대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제어기가 전동기에 전달하는 제어명령이다. 아닌 것은?

  1. 역전
  2. 정지
  3. 속도
  4. 상승
(정답률: 78%)
  • "상승"은 전동기의 속도나 출력을 증가시키는 제어명령이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역전"은 전동기의 회전 방향을 바꾸는 제어명령, "정지"는 전동기를 정지시키는 제어명령, "속도"는 전동기의 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명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집 크레인(Jib crane)에서 그림과 같이 화물을 지브 전방에서 당기면 일어나는 현상은?

  1. 집이 일어서 버퍼(buffer)와 충돌한다.
  2. 러핑 와이어(Luffing wire)의 장력이 증가하여 절단 원인이 된다.
  3. 핸들의 조작이 되지 않는다.
  4. 선회 리미트 스위치가 작동한다.
(정답률: 78%)
  • 화물을 지브 전방에서 당기면 러핑 와이어(Luffing wire)의 길이가 줄어들어 장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크레인의 집이 일어나게 되는데, 만약 러핑 와이어의 장력이 너무 강하게 작용하면 집이 일어나는 동안 버퍼(buffer)와 충돌하여 절단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러핑 와이어의 장력이 증가하여 절단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전기윈치를 조작할 때 정전이 되었을 경우 조작레버의 위치는?

  1. 스톱 위치에 둔다.
  2. 올림의 위치에 둔다.
  3. 내림의 위치에 둔다.
  4. 정전시 그 상태로 둔다.
(정답률: 94%)
  • 전기윈치를 조작할 때 정전이 되었을 경우 조작레버의 위치는 "스톱 위치에 둔다."입니다. 이유는 정전이 발생하면 전기윈치가 갑작스럽게 멈추게 되는데, 이때 조작레버를 올림이나 내림 위치에 둔다면 윈치가 갑자기 움직이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스톱 위치에 둬서 윈치가 멈춘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크레인의 안전규칙을 나열한 것 중 가장 적절치 못한 것은?

  1. 크레인은 운전자 또는 작업자가 가장 보기 쉬운 곳에 정격하중을 표시하여야 한다.
  2. 과대 감김방지 장치는 충돌할 염려가 있는 두 물체의 간격이 0.25m 이상이 되도록 조정하여야 한다.
  3. 크레인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로드셀 같은 안전 장치를 부착한다.
  4. 후크 등 용구에 균열이 있으면 용접 수리하여 사용한다.
(정답률: 89%)
  • "후크 등 용구에 균열이 있으면 용접 수리하여 사용한다."가 가장 적절치 못한 것이다. 이유는 균열이 있는 용구는 강도가 약해져서 작업 중에 부서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교체해야 하며, 용접 수리는 일시적인 해결책일 뿐 안전하지 않다. 따라서 균열이 있는 용구는 교체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붐(Boom)의 아래쪽에 S.W.L 5t 15°가 표시되어 있다. 무엇을 나타내고 있는가?

  1. 5톤 이상의 화물을 달고 붐의 앙각을 15도 이상 하라는 의미이다.
  2. 5톤 이상의 화물을 15분간 취급해도 좋다는 의미이다.
  3. 안전 사용하중이 5톤이고 S.W.L이 15% 증가 된다는 의미이다.
  4. 제한하중이 5톤이고 붐의 앙각이 15도라는 의미이다.
(정답률: 94%)
  • 제한하중이 5톤이고 붐의 앙각이 15도라는 의미이다. S.W.L은 Safe Working Load의 약자로 안전 사용하중을 나타내는 용어이며, 15°는 붐의 앙각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붐이 15도 이하의 각도로 사용되어야 하며, 최대 적재 무게는 5톤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크레인의 브레이크 중 포스트 브레이크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전자브레이크, 전동유압 압상기 브레이크 등이 있다.
  2. 속도 제어용으로 주로 사용 된다.
  3. 일반적으로 전동기 축에 부착되어 있다.
  4. 브레이크륜에는 마찰에 강한 주철을 사용한다.
(정답률: 40%)
  • "브레이크륜에는 마찰에 강한 주철을 사용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속도 제어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이유는 크레인 작업 중에는 정확한 위치 조정이 필요한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포스트 브레이크는 작은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여 정밀한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도와줍니다. 또한, 크레인 작업 중에는 무게가 큰 물체를 들어올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브레이크가 강력해야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구분

21. 윈치(Winch)의 구비요건이 아닌 것은?

  1. 소정의 무게를 일정한 속도로 감아올릴 수 있을 것
  2. 회전속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
  3. 브레이크가 클 것
  4. 안전상 취급이 용이할 것
(정답률: 76%)
  • 윈치는 무게를 감아올리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소정의 무게를 일정한 속도로 감아올릴 수 있을 것"이 구비요건이 됩니다.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회전속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도 구비요건입니다. 하지만 브레이크가 클 필요는 없습니다. 윈치는 무게를 감아올리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무게가 무거워지면 자연스럽게 브레이크 효과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브레이크가 클 것"은 윈치의 구비요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그림은 컨테이너 하역설비중의 하나이다. 이 장비를 가리키는 용어는 어느 것인가?

  1. Transfer crane
  2. Straddle carrier
  3. Yard tractor
  4. Gantry crane
(정답률: 76%)
  • 이 그림은 Gantry crane으로, 그림에서 보이는 큰 기계가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이동시키는 장비이기 때문입니다. Transfer crane은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장비이지만, 이 장비는 크기가 작아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지는 않습니다. Straddle carrier는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이동시키는 장비이지만, 이 장비는 바퀴로 움직이며, 그림에서 보이는 것과는 다릅니다. Yard tractor는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차량이기 때문에, 이 장비와는 다릅니다. 따라서, 이 그림은 Gantry crane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대화에서 ( )에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I am afraid not
  2. Sure
  3. OK
  4. Of course
(정답률: 74%)
  • A: Can I borrow your car tonight?
    B: (Sure), but please be careful.

    정답은 "Sure"입니다. 대화에서 B가 자신의 차를 빌려줄 수 있다는 의사를 표현하고 있기 때문에 "Sure"은 적절한 대답입니다. "I am afraid not"는 부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어서, "No"나 "Sorry, I can't"와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전화 통화에서 "김 선생님을 바꿔주십시오"라고 할 때 사용하는 영문은 어느 것입니까?

  1. Would you connect Mr. Kim with me?
  2. I want to communicate with Mr. Kim.
  3. May I speak to Mr. Kim?
  4. May I call up Mr. Kim?
(정답률: 79%)
  • 정답은 "May I speak to Mr. Kim?"입니다. 이유는 "May I speak to ~?"는 전화통화에서 상대방과 대화를 나누고자 할 때 자주 사용되는 표현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Mr. Kim과 연결해주세요", "Mr. Kim과 소통하고 싶어요", "Mr. Kim에게 전화를 걸어도 될까요?"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May I speak to ~?"는 직접적으로 상대방과 대화를 나누고자 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 )안에 알맞는 단어는?

  1. Careful
  2. Watch
  3. Please
  4. Dangerous
(정답률: 64%)
  • 이미지에는 사람이 시계를 보며 주의 깊게 길을 건너는 모습이 나와 있습니다. 이에 따라 "Watch"가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의 화물취급주의 표시 중에서 "이쪽을 위로 하십시요"에 해당되는 뜻을 가진 것은?

  1. Keep dry
  2. Open here
  3. This side up
  4. Hand off
(정답률: 82%)
  • "This side up"은 해당 화물이 운반될 때 상자나 패키지의 어느 쪽이 위쪽으로 향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표시입니다. 따라서 이것이 "이쪽을 위로 하십시요"에 해당됩니다. "Keep dry"는 건조하게 보관하라는 뜻이고, "Open here"는 여기서 열어라는 뜻입니다. "Hand off"는 손으로 옮기지 말라는 뜻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의 대화에서 ( )안에 적합한 것은?

  1. How are you?
  2. Fine, thanks
  3. How do you do?
  4. What is the matter with you?
(정답률: 61%)
  • A: Hello, nice to meet you.
    B: (How do you do?)

    정답은 "How do you do?"입니다. 이유는 A가 인사를 하면 B는 인사에 대한 대답으로 "How do you do?"를 사용하는 것이 올바른 예절입니다. "How are you?"는 일상적인 인사말이지만, 이 경우에는 인사에 대한 대답으로는 부적절합니다. "Fine, thanks"는 "How are you?"에 대한 대답으로 사용됩니다. "What is the matter with you?"는 상대방이 불쾌한 상황에 처해있을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 )안에 넣을 알맞는 말은?

  1. it
  2. this
  3. that
  4. he
(정답률: 84%)
  • 이 그림에서는 남자의 모습이 그려져 있으므로, "he"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하역은 몇 시에 하려고 합니까를 영문으로 할 때 해당하는 표현은?

  1. How many hours will you discharge?
  2. Will you start discharging?
  3. How long does it take you to discharge?
  4. What time will you start discharging?
(정답률: 86%)
  • 정답은 "What time will you start discharging?"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How many hours will you discharge?"는 하역에 걸리는 시간을 묻는 것으로, 시간에 대한 정보를 묻는 것이 아니므로 오답입니다.
    - "Will you start discharging?"는 하역을 시작할 것인지 묻는 것으로, 시간에 대한 정보를 묻는 것이 아니므로 오답입니다.
    - "How long does it take you to discharge?"는 하역에 걸리는 시간을 묻는 것으로, 시간에 대한 정보를 묻는 것이 아니므로 오답입니다.
    - "What time will you start discharging?"는 하역을 시작할 시간에 대해 묻는 것으로, 정확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묻는 것이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물음의 대답으로 적당하지 않는 것은?

  1. Yes, we can.
  2. We have not decided yet.
  3. No, we can't.
  4. No, the cargo light is ready.
(정답률: 48%)
  • "We have not decided yet."은 질문과 관련이 없는 대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에서 포장 약기호를 C/-로 표시하는 것은?

  1. crate
  2. can
  3. case
  4. chest
(정답률: 85%)
  • "case"는 일반적으로 상자 형태의 포장물을 나타내는 용어이며, "crate"는 큰 나무 상자, "can"은 캔, "chest"는 큰 나무 상자 또는 금고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포장 약기호를 C/-로 표시하는 것은 "case"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와이어 로프 폐기한도를 정확하게 나타낸 것은?

  1. 공장에서 제조된지 5년 이상인 것
  2. 마모율이 표준 직경에서 10% 이상인 것
  3. 꼬임이 1/2이상 풀린 것
  4. 스플라이스가 되어 있지 않은 것
(정답률: 78%)
  • 와이어 로프는 사용 중에 마모가 발생하게 되는데, 마모율이 표준 직경에서 10% 이상인 경우에는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폐기해야 합니다. 따라서, "마모율이 표준 직경에서 10% 이상인 것"이 와이어 로프 폐기한도를 정확하게 나타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은 훅(hook)의 일반적인 특징을 기술한 것이다. 틀린 것은?

  1. 화물을 매달지 않은 상태에서 카고 폴을 자유로이 올리고 내릴 수 있는 자중이 있어야 한다.
  2. 훅의 마모자국 깊이가 2mm가 되면 그라인더로 평편하게 다듬질하여 사용한다.
  3. 장시간 사용할 때 응력의 변화로 가공 경화되므로 1년에 1번씩 뜨임(tempering) 후 사용한다.
  4. 훅에 사용되는 재료는 강도와 연성이 커야 된다.
(정답률: 70%)
  • 정답은 "장시간 사용할 때 응력의 변화로 가공 경화되므로 1년에 1번씩 뜨임(tempering) 후 사용한다."이다. 이유는 훅은 사용 중에 응력이 발생하여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 주기로 뜨임(tempering) 처리를 해주어야 한다. 이는 훅의 내구성과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훅의 특징으로 올바르게 기술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로프 결삭의 3요소가 아닌 것은?

  1. 주부(standing part)
  2. 노트(knot)
  3. 바이트(bight)
  4. 엔드(end)
(정답률: 75%)
  • 주부(standing part)는 로프의 중심 부분으로서 로프의 강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로프 결삭의 3요소인 노트(knot), 바이트(bight), 엔드(end)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로프의 당기는 방향이 광범위하게 변할 경우 특히 체인의 말단을 고착할 때 사용되는 것은?

  1. 아이 플레이트(Eye Plate)
  2. 링 플레이트(Ring Plate)
  3. 프리벤터 스테이 아이 플레이트
  4. 혼 크리이트(Horn Cleat)
(정답률: 48%)
  • 로프의 당기는 방향이 광범위하게 변할 경우, 링 플레이트는 체인의 말단을 고정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링 플레이트가 원형이며, 로프가 다양한 각도로 당겨지더라도 체인의 말단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링 플레이트가 이 문제에 가장 적합한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태클의 각부 명칭에서 폴(fall)을 당기는 부분의 명칭은?

  1. 고정줄
  2. 이동줄
  3. 당김줄
  4. 정박줄
(정답률: 91%)
  • 정답은 "당김줄"입니다.

    태클은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로, 여러 개의 로프가 교차하여 구성됩니다. 이 중에서도 폴(fall)을 당기는 부분은 "당김줄"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폴이 들어올리는 물체의 무게를 지탱하고, 태클의 힘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고정줄"은 태클의 한쪽 끝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동줄"은 태클을 움직이는 데 사용됩니다. "정박줄"은 배나 선박을 고정시키는 데 사용되는 로프를 일컫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블록의 크기와 로프에 대하여 설명 하였다. 잘못 설명한 것은?

  1. 목재블록의 크기는 셀(Shell)의 세로 길이를 mm로 표시한다.
  2. 강재 블록의 크기는 시이브(Sheave)의 직경을 mm로 표시한다.
  3. 시이브의 직경은 사용하는 와이어 로프 직경의 20배 이상이어야 한다.
  4. 벗겨지거나 슬립하지 않도록 와이어 로프의 원주 2/3이상이 시이브 홈에 접촉해야 한다.
(정답률: 49%)
  • 잘못 설명한 것은 "시이브의 직경은 사용하는 와이어 로프 직경의 20배 이상이어야 한다." 이다. 실제로는 시이브의 직경은 사용하는 와이어 로프 직경의 10배 이상이어야 하며, 이는 로프가 시이브에 충분히 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와이어 로프의 원주 2/3이상이 시이브 홈에 접촉해야 하는 이유는 로프가 시이브에 충분한 접촉력을 가지고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와이어 로프의 소선 종류에 따라 인장 강도가 가장 큰 것은?

  1. E종
  2. G종
  3. A종
  4. B종
(정답률: 79%)
  • B종은 소선의 직경이 가장 크기 때문에 인장 강도가 가장 큽니다. 다른 종류의 소선들은 직경이 작아 인장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스링용구 사용방법 중 양모, 원면, 압축고철, 원목 등의 화물 작업시 사용되는 것은?

  1. 네트달기
  2. 천평달기
  3. 상자달기
  4. 물어달기
(정답률: 62%)
  • "물어달기"는 화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 사용하는 스링용구 중 하나로, 양모, 원면, 압축고철, 원목 등의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리는 작업에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화물을 담는 상자나 물건을 보호하는 천을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며, "네트달기"는 작은 물건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조합 활차(tackle)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화물의 권상속도를 빠르게 할 때 사용한다.
  2. 작은 힘으로 몇 배의 무거운 화물을 올릴 때 사용한다.
  3. 힘은 이득을 보지만 일의 양은 그만큼 늘어난다.
  4. 동활차(runner sheave)의 수에 따라 힘이 절감된다.
(정답률: 64%)
  • "화물의 권상속도를 빠르게 할 때 사용한다." 이 항목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조합 활차는 작은 힘으로 몇 배의 무거운 화물을 올리는 데 사용되며, 이를 통해 화물의 권상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화물의 권상속도를 빠르게 할 때 사용한다."라는 설명은 올바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구분

41. 와이어 로프를 사용하는 시이브의 직경은 로프의 직경보다 약 몇배 이상이어야 하는가?

  1. 5배
  2. 10배
  3. 20배
  4. 40배
(정답률: 85%)
  • 와이어 로프는 일반적으로 강철로 만들어져 있으며, 강철의 인장강도는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로프와 같은 물질로 만든 시이브보다 더 많은 하중을 견딜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와이어 로프의 직경은 시이브의 직경보다 약 20배 이상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100W의 전구를 1일간 켜두었을때의 전력량은 얼마인가?

  1. 1 kwh
  2. 2.4 kwh
  3. 5 kwh
  4. 4.8 kwh
(정답률: 91%)
  • 전력은 시간에 따른 에너지 사용량을 나타내는데, 단위는 와트-시(W·h)이다. 1일은 24시간이므로, 100W의 전구를 1일간 켜두면 전력량은 100W × 24h = 2400W·h = 2.4kWh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4 kw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내연기관의 플라이휠이 하는 역할이 아닌 것은?

  1. 기관의 시동을 어렵게 한다.
  2. 밸브조정에 편리하다.
  3. 저속회전을 가능케 한다.
  4. 부하변동시 발생하는 회전변동을 조절한다.
(정답률: 91%)
  • 플라이휠은 회전운동의 관성을 이용하여 엔진의 회전을 안정화시키고, 부하 변동에 따른 회전 변동을 조절하여 엔진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기관의 시동을 어렵게 한다."는 올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전기회로의 삼요소가 바르게 되어 있는 것은?

  1. 전력, 부하, 도선
  2. 전원, 전력, 도선
  3. 도선, 전원, 부하
  4. 도선, 전원, 전류
(정답률: 57%)
  • 전기회로에서 전기 에너지는 전원에서 도선을 통해 부하로 전달됩니다. 따라서 전원과 도선은 전기회로의 기본 요소이며, 부하는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거나 변환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도선, 전원, 부하"가 올바른 삼요소의 조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윈치용 원동기로 사용되는 4행정 디젤기관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잘못된 것은?

  1. 흡입 행정시에는 실린더 내에 공기와 연료를 동시에 흡입한다.
  2. 압축비는 약 15 - 20 : 1 이다.
  3. 압축시 온도는 약 500℃ 이다.
  4. 크랭크 축이 2회전할 때 1번 폭발한다.
(정답률: 85%)
  • "흡입 행정시에는 실린더 내에 공기와 연료를 동시에 흡입한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디젤 엔진은 고압 상태에서 연료를 분사하여 자체적으로 발열하면서 작동하는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흡입 행정시에는 공기만을 흡입하고, 압축 행정에서 연료를 분사합니다. 이후 연소 행정에서 분사된 연료가 발열하여 작동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내연기관의 윈치에서 기관이 흡기 및 배기밸브의 양 밸브가 닫혀진 상태로 진행되는 행정은?

  1. 흡입
  2. 압축
  3. 폭발, 흡입
  4. 배기
(정답률: 93%)
  • 내연기관에서는 피스톤이 상하운동을 하면서 실린더 내부의 공기를 압축하고, 이 압축된 공기에 연료를 혼합하여 폭발시켜서 엔진을 구동합니다. 따라서 윈치에서 기관이 흡기 및 배기밸브의 양 밸브가 닫혀진 상태로 진행되는 행정은 압축 단계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유압밸브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유량 제어 밸브
  2. 압력 제어 밸브
  3. 속도 제어 밸브
  4. 방향 전환 밸브
(정답률: 58%)
  • 유압밸브는 유체의 유량, 압력, 방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속도 제어 밸브는 유체의 속도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유체가 흐르는 속도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유압밸브의 종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도체에 흐르는 전류는 ( )에 비례하고, ( )에 반비례 한다. ( )안에 알맞는 내용은?

  1. 전력, 저항
  2. 저항, 전압
  3. 저항, 전력
  4. 전압, 저항
(정답률: 61%)
  • 전류는 오므로 전력과는 관련이 있지만, 이 문제에서 빈칸에 들어갈 내용은 "전압, 저항"입니다. 전압은 전기 회로에서 전류를 유도하는 원인이 되는 전기적인 차이를 의미하며, 저항은 전류의 흐름을 제한하는 성질을 가진 물질의 특성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전류는 전압에 비례하고 저항에 반비례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오일의 온도변화에 대한 점도의 변화정도를 표시하는 것은?

  1. 절대 지수
  2. 점도 지수
  3. 공업 지수
  4. 점성 계수
(정답률: 82%)
  • 오일의 온도변화에 따라 점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은 "점도 지수"입니다. 이는 오일의 온도변화에 따른 점도의 변화정도를 표시하는데, 점도 지수가 높을수록 오일의 점도 변화가 적고 안정적이며, 점도 지수가 낮을수록 오일의 점도 변화가 크고 불안정합니다. 따라서 점도 지수는 오일의 품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그림과 같은 전기 회로에서 전류를 3초동안 흘렸을 때 8Ω의 저항에서 발생하는 열 에너지는 몇 주울 [J] 인가?

  1. 66[J]
  2. 76[J]
  3. 86[J]
  4. 96[J]
(정답률: 66%)
  • 전류(I) = 전압(V) / 저항(R) 이므로, I = 12V / 6Ω = 2A
    전력(P) = 전압(V) x 전류(I) 이므로, P = 12V x 2A = 24W
    시간(t) = 3초 이므로, 열 에너지(Q) = 전력(P) x 시간(t) = 24W x 3초 = 72J
    하지만, 이 전기 회로에서는 8Ω의 저항이 발열하므로, 이 저항에서 발생하는 열 에너지는 전체 열 에너지의 일부분이다.
    8Ω의 저항에서 발생하는 전력(P') = 전류(I) x 전류(I) x 저항(R) = 2A x 2A x 8Ω = 32W
    따라서, 8Ω의 저항에서 발생하는 열 에너지(Q') = 전력(P') x 시간(t) = 32W x 3초 = 96J
    따라서, 정답은 "96[J]"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화물에 스링걸이를 하고 양화장치를 사용하여 들어올리기전 확인해야하는 사항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1. 스링의 적격품 사용상태
  2. 주변작업자 대피상태
  3. 선창내 화물 배치상태
  4. 클립체결 적정여부
(정답률: 90%)
  • 화물에 스링걸이를 하고 양화장치를 사용하여 들어올리기전 확인해야하는 사항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주변작업자 대피상태입니다. 이는 화물을 들어올리는 작업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나 위험 상황이 발생할 경우, 주변에 있는 작업자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해야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업 전에는 반드시 주변 작업자들의 대피상태를 확인하고, 안전한 작업을 진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정상인의 맥박은 1분 동안에 몇 회 정도인가?

  1. 30∼50
  2. 48∼52
  3. 58∼62
  4. 68∼72
(정답률: 91%)
  • 정상인의 맥박은 1분 동안에 평균적으로 60~100회 정도이지만, 대부분은 68~72회 정도입니다. 이는 심장이 적절한 수준으로 일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이 범위를 벗어나면 심장 질환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68~72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탱커의 안전상 작업복으로 가장 적합한 옷감은?

  1. 합성섬유
  2. 혼방
(정답률: 92%)
  • 탱커의 안전상 작업복으로 가장 적합한 옷감은 "면"입니다. 이는 면이 통기성이 좋아 땀을 흡수하고 증발시켜 건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면은 내구성이 높아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며, 화재 발생 시 불이 붙어도 빠르게 꺼지는 안전한 소재입니다. 합성섬유나 혼방 소재는 화재 발생 시 녹아 피부에 심각한 화상을 입힐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떨어집니다. 모는 통기성이 좋지 않아 땀을 흡수하지 못하고 냄새가 발생할 수 있으며, 내구성도 낮아 피부 자극이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에서 반복하중에 대한 설명이 맞는 것은?

  1. 하중이 걸리는 방향은 같은 것이나 그 크기가 시간적으로 변하는 것
  2. 상이나 하대에 놓아둔 화물
  3. 아주 짧은 시간에 급격히 걸리는 하중
  4. 하중이 걸리는 방향과 크기가 번갈아 변화하는 것
(정답률: 79%)
  • "하중이 걸리는 방향은 같은 것이나 그 크기가 시간적으로 변하는 것"은 맞는 설명입니다. 이는 일정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이 있을 때, 그 크기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물체를 들어올리는 경우에는 일정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이지만, 들어올리는 동안에는 그 크기가 변화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그림과 같은 망치형 크레인의 카운터웨이터 중량의 최대치로서 옳은 것은? (단, 지브의 중량은 무시)

  1. 3t
  2. 5t
  3. 7.5t
  4. 10t
(정답률: 87%)
  • 카운터웨이터는 크레인이 물체를 들어올리는 동안 크레인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무게입니다. 이 크레인은 20t의 물체를 들어올릴 수 있으며, 그림에서 보이는 카운터웨이터의 무게는 10t입니다. 따라서, 크레인이 들어올릴 수 있는 최대 무게는 20t + 10t = 30t입니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지브의 무게를 무시하라고 했으므로, 실제로는 20t + 7.5t = 27.5t까지 들어올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카운터웨이터 중량의 최대치는 7.5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방향이 서로 직각이고, 크기가 각각 6N, 8N인 두 힘이 한 물체에 작용하고 있다. 두 힘의 합력은 얼마인가?

  1. 10N
  2. 12N
  3. 16N
  4. 14N
(정답률: 96%)
  • 두 힘의 방향이 직각이므로, 두 힘의 합력은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6N)^2 + (8N)^2 = √(36N^2 + 64N^2) = √(100N^2) = 10N

    따라서, 두 힘의 합력은 10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크레인의 빠른 선회작업시 화물이 멀리 벗어나려고한다. 이때 작용하는 힘은?

  1. 작용과 반작용
  2. 전자력
  3. 원심력
  4. 관성력
(정답률: 89%)
  • 크레인이 빠르게 선회하면, 화물은 크레인과 함께 회전하려는 관성력에 의해 움직이려고 하지만, 크레인의 힘으로 인해 중심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이때 작용하는 힘은 원심력입니다. 원심력은 회전하는 물체가 중심에서 벗어나려는 힘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원심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전기 윈치로 하역 작업 중 전기 스파크에 의하여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사용할 수 있는 소화기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분무형의 물
  2. 탄산가스
  3. 분말 소화기
  4. 포말 소화기
(정답률: 76%)
  • 전기 스파크에 의한 화재는 전기적인 에너지가 원인이므로 물을 사용하면 전기적인 충격을 받을 수 있어 위험합니다. 따라서 분무형의 물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탄산가스, 분말 소화기, 포말 소화기는 전기 스파크에 의한 화재에 대해 사용할 수 있는 소화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화물을 목적장소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다음 사항에 주의해야 한다. 틀린 것은?

  1. 운반경로에는 작업원이나 다른 사람이 들어오지 못하게 한다.
  2. 일정한 신호를 정확히 한다.
  3. 신호수는 항상 운전자가 잘 보이는 위치에서 신호를 한다.
  4. 신호수의 신호 없이 양화기 운전을 할 수 있다.
(정답률: 96%)
  • 신호수의 신호 없이 양화기 운전을 할 수 있다는 것은 틀린 내용입니다. 화물 운반 중에는 신호수가 반드시 필요하며, 신호를 따르지 않으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양화기 운전자는 신호수의 지시에 따라 운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선박 승선 시 사용하는 승강사다리 밑에 설치하여야 하는 것은?

  1. 오염방지망
  2. 안전망
  3. 화물망
  4. 네트스링(net sling)
(정답률: 92%)
  • 선박 승선 시에는 높은 위치에서 내려오는 승강사다리를 사용하게 됩니다. 이때 안전을 위해 승강사다리 밑에는 안전망을 설치해야 합니다. 안전망은 만약 승강사다리를 사용하는 도중에 미끄러지거나 넘어져 추락할 경우를 대비하여 추락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승강사다리 사용 시 안전을 위해 반드시 안전망을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