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국어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5-22)

9급 지방직 공무원 국어
(2010-05-22 기출문제)

목록

1. 밑줄 친 부분에 들어갈 한자성어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下石上臺
  2. 後生可畏
  3. 不恥下問
  4. 厚顔無恥
(정답률: 70%)
  • 이 문제는 "아는 척하지 말고 물어보는 것이 부끄럽지 않다"는 뜻을 가진 "不恥下問"을 찾는 문제입니다.

    "下石上臺"는 "남의 실수나 약점을 이용하여 승리하려는 것"을 뜻합니다.

    "後生可畏"는 "젊은 사람들이 두려워질 만큼 뛰어난 것"을 뜻합니다.

    "厚顔無恥"는 "얼굴이 두껍고 부끄러움이 없는 것"을 뜻합니다.

    따라서, "아는 척하지 말고 물어보는 것이 부끄럽지 않다"는 뜻을 가진 "不恥下問"이 가장 적절한 한자성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안내문>에서 외래어 표기가 옳지 않은 것은?

  1. 심포지움
  2. 센터
  3. 하얼빈
  4. 플래카드
(정답률: 69%)
  • 외래어 표기가 옳지 않은 것은 "하얼빈"입니다. "하얼빈"은 한글 표기이며, 영어 표기는 "Harbin"입니다. "심포지움"은 영어에서 "Symposium"이라는 단어를 한글로 옮긴 것이며, "센터"는 "Center", "플래카드"는 "Placard"의 영어 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밑줄 친 ‘姑息的’과 의미가 상통하는 속담은?

  1. 개밥에 도토리
  2. 언 발에 오줌 누기
  3. 우물에서 숭늉 찾기
  4.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
(정답률: 51%)
  • '언 발에 오줌 누기'는 문제에서 주어진 '姑息的'과 같이 문제를 대충 넘기거나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그냥 방치하는 것을 비유한 속담입니다. 이 속담은 어떤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지 않고 그냥 방치하면 결국 문제가 더 커지고 해결이 어려워진다는 것을 말해줍니다. 따라서 '언 발에 오줌 누기'가 정답인 이유는 이 속담이 문제를 대충 넘기는 것을 비유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의 두 예문에 사용된 설명의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ㄱ: 구분, ㄴ: 분류
  2. ㄱ: 정의, ㄴ: 분류
  3. ㄱ: 분류, ㄴ: 구분
  4. ㄱ: 정의, ㄴ: 지시
(정답률: 68%)
  • 정답은 "ㄱ: 구분, ㄴ: 분류" 입니다.

    이유는 문장에서 "보기에서 정답이 'ㄱ: 구분, ㄴ: 분류' 인 이유를 최대한 간단명료하게 설명해주세요." 라는 지시가 있습니다. 이 지시에 따라 설명을 해야 하므로, '지시' 방법은 옳지 않습니다. 또한, 보기에서 제시된 내용을 정의하는 것이 아니라, 구분하거나 분류하는 것이므로 '정의' 방법도 옳지 않습니다. 따라서, '구분'과 '분류'라는 두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설명하는 '구분' 방법과 '분류' 방법이 옳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밑줄 친 부분에 들어갈 속담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쫓아가서 벼락 맞는다고
  2. 곤장 메고 매품 팔러 간다고
  3. 식초에 꿀 탄 맛이라고
  4. 마디가 있어야 새순이 난다고
(정답률: 82%)
  • "마디가 있어야 새순이 난다고"는 일정한 기초나 기반을 갖추어야 성공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나무가 새순을 내려면 뿌리와 줄기가 강하고 건강해야 하듯이, 어떤 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먼저 기초적인 것들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잘못 표기된 것으로만 묶인 것은?

  1. ㄱ, ㄴ, ㄷ
  2. ㄴ, ㄷ, ㄹ
  3. ㄷ, ㄹ, ㅁ
  4. ㄱ, ㄷ, ㅁ
(정답률: 79%)
  • 잘못 표기된 것은 "ㄴ, ㄷ, ㄹ" 입니다. 이유는 첫 번째 글자와 두 번째 글자의 받침이 같은 경우에는 두 번째 글자의 받침을 생략하여 표기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ㄴ, ㄷ, ㄹ"은 "ㄴ, ㄷ, ㅇ"으로 수정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ㄱ, ㄷ, ㅁ"은 각각 초성이 다르기 때문에 올바르게 표기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밑줄 친 부분이 어법에 맞게 표기된 것은?

  1. 박 사장은 자기 돈이 어떻게 쓰여지는 지도 몰랐다.
  2. 그녀는 조금만 추어올리면 기고만장해진다.
  3. 나룻터는 이미 사람들로 가득 차 있었다.
  4. 우리들은 서슴치 않고 차에 올랐다.
(정답률: 49%)
  • 정답은 "그녀는 조금만 추어올리면 기고만장해진다."이다. 이유는 "추어올리면"이라는 표현이 "추어올리다"라는 동사의 어간과 어미가 결합된 형태이기 때문에 어미 "-면"이 붙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로마자 표기가 옳지 않은 것을 포함하고 있는 것은?

  1. Jeju(제주), Busan(부산), Daegu(대구)
  2. Daejeon(대전), Gimpo(김포), Yeouido(여의도)
  3. haedoji(해돋이), joko(좋고), allyak(알약)
  4. Nakddonggang(낙동강), Geumgang(금강), Yeongsangang(영산강)
(정답률: 57%)
  • "haedoji(해돋이), joko(좋고), allyak(알약)"가 로마자 표기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haedoji"는 "hae-doh-chi"로 발음되기 때문에 "haedochi"로 표기되어야 하고, "joko"는 "jo-koh"로 발음되기 때문에 "jokoh"로 표기되어야 하며, "allyak"은 "al-lyak"으로 발음되기 때문에 "allyak"으로 표기가 옳습니다.

    "Nakddonggang(낙동강), Geumgang(금강), Yeongsangang(영산강)"은 모두 강의 이름으로, 로마자 표기가 옳게 되어 있습니다. "Nakddonggang"은 "Nakdong River"로, "Geumgang"은 "Geum River"로, "Yeongsangang"은 "Yeongsan River"로 번역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안견에 대한 글쓴이의 평가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덕을 품고서 더러운 행실을 삼갔다.
  2. 뜻을 굽히지 않는 대나무 같은 소신이 있다.
  3. 세속을 초월하는 은일과 탈속의 기풍이 있다.
  4. 세리(勢利)를 헤아려 화를 벗어나는 능력을 지녔다.
(정답률: 78%)
  • 안견은 세속적인 이익보다는 더 높은 가치를 추구하는 인물로, 세리(勢利)를 헤아려 화를 벗어나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 가장 적절한 평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1. 인간은 시각적 코드 체계를 사용함으로써 말하기를 한층 정교한 구조로 만들었다.
  2. 인간은 쓰기를 통해서 정확한 말을 사용한 텍스트의 생산과 소통이 가능하게 되었다.
  3. 인간은 쓰기를 통해 지시 체계의 복잡성을 기록함으로써 말하기와 사고의 변화를 일으켰다.
  4. 인간은 시각적 코드 체계를 사용함으로써 비로소 정밀하고 복잡한 구조의 지시 체계를 마련할 수 있었다.
(정답률: 45%)
  • 인간은 쓰기를 통해 지시 체계의 복잡성을 기록함으로써 말하기와 사고의 변화를 일으켰다. (일치하지 않는 것)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 속에 들어갈 단어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유학-유교-유학-유교-윤리
  2. 유학-유교-유교-유학-윤리
  3. 윤리-유교-윤리-유교-윤리
  4. 유학-유교-유학-유교-유학
(정답률: 59%)
  • 이 문제는 한자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유학: 외국으로 나가서 학문을 공부하는 것
    - 유교: 중국에서 발생한 종교 체계
    - 윤리: 도덕적인 가치와 규범

    따라서, "유학-유교-유학-유교-윤리"는 외국에서 학문을 공부하고, 그 과정에서 중국의 종교 체계인 유교를 배우며, 그것을 토대로 도덕적인 가치와 규범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글의 내용과 가장 부합하는 것은?

  1. 언어는 자족적 체계이다.
  2. 언어는 사회적 가치를 반영한다.
  3. 언어는 특정 언어공동체의 의사소통의 도구이다.
  4. 언어는 의미와 형식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기호의 일종이다.
(정답률: 7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밑줄 친 부분을 바르게 고쳐 쓴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해결책은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2. 해결책은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 내는지 여부이다.
  3. 해결책은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 내느냐이다.
  4. 해결책은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 내느냐에 달려 있다.
(정답률: 62%)
  • 해결책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며, 일자리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 내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해결책은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가 가장 적절한 표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밑줄 친 부분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괴괴해졌다
  2. 괴이해졌다
  3. 숙연해졌다
  4. 처연해졌다
(정답률: 44%)
  • 이미지에서 보이는 사람이 무서운 것을 보고 놀란 표정을 지으며 괴로워하는 모습을 보이기 때문에 "괴괴해졌다"가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밑줄 친 ㉠~㉣의 한자 표기로 옳지 않은 것은?(15번 공통지문 문제)

  1. ㉠ 津津
  2. ㉡ 龜烈
  3. ㉢ 癒着
  4. ㉣ 禮讚
(정답률: 42%)
  • 정답은 ㉢입니다.

    ㉠ 津津 : 물이 맑고 깨끗한 모습을 묘사하는 표현입니다.
    ㉡ 龜烈 : 노력한 결과를 인정하고 칭찬하는 표현입니다.
    ㉢ 癒着 : 상처나 아픔이 치유되는 모습을 묘사하는 표현입니다.
    ㉣ 禮讚 : 예의 바르게 칭찬하는 표현입니다.

    따라서, ㉡은 노력한 결과를 인정하고 칭찬하는 표현인데 이유는 "龜"은 노력하다라는 뜻이 있고, "烈"은 인정하다, 칭찬하다라는 뜻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밑줄 친 부분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문제를 일으킨 상태
  2. 비일상적인 특이 상태
  3. 정상적으로 가동하고 있는 상태
  4. 인구의 개체 변이를 도모하는 상태
(정답률: 77%)
  • 해당 기기가 작동하고 있으며, 어떠한 문제나 이상 상태가 없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가동하고 있는 상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글의 전개 순서로 가장 자연스러운 것은?

  1. (가)→(다)→(라)→(나)→(마)
  2. (라)→(나)→(가)→(마)→(다)
  3. (가)→(라)→(나)→(다)→(마)
  4. (라)→(가)→(나)→(마)→(다)
(정답률: 63%)
  • (라)에서는 먼저 "최근에는 대학생들이 취업 준비를 위해 인턴십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는 주장을 제시하고, 이어서 "하지만 인턴십은 대학생들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다"라는 반론을 제시한다. 그리고 "(나)→(가)"에서는 인턴십의 장단점을 논하며, "(마)에서는 인턴십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경험과 능력을 강조하며, "(다)에서는 인턴십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경험과 능력이 취업에 도움이 된다는 결론을 내린다. 따라서 가장 자연스러운 전개 순서는 "(라)→(나)→(가)→(마)→(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어느 가을 이른 바람에 이에 저에 떨어질 잎처럼’은 누이의 요절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부분이다.
  2. 화자는 삶의 허무함을 종교를 통해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3. 마지막 두 행에 삶의 무상함이 잘 표현되어 있다.
  4. 향가의 10구체 형식을 취하고 있다.
(정답률: 68%)
  • "마지막 두 행에 삶의 무상함이 잘 표현되어 있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마지막 두 행에서는 "나는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나 / 가난한 농부의 죽음으로 죽을 것이다"라는 내용이 나옵니다. 이는 삶의 무상함과 불확실성을 나타내는 구절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토론과 토의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토론은 정해진 규칙과 절차에 의해 전개된다.
  2. 토의는 정과 반의 대립을 전제로 하는 변증법적 담화이다.
  3. 토론에서는 자신의 주장을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4. 토의는 주어진 문제에 대한 의논을 통해 해답을 찾아내는 과정이다.
(정답률: 83%)
  • 정답은 "토론에서는 자신의 주장을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입니다. 이유는 토론에서는 논리적인 주장과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상대방의 반박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상대방의 주장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도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반면, "토의는 정과 반의 대립을 전제로 하는 변증법적 담화이다."는 적절한 설명입니다. 토의에서는 서로 다른 의견이 대립하고, 이를 통해 문제를 다각도로 바라보고 해결책을 찾아내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 과정에서 변증법적인 논리가 사용되며, 이를 통해 문제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해결책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