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국어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5-12)

9급 지방직 공무원 국어
(2012-05-12 기출문제)

목록

1.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으로 옳은 것은?

  1. 묵호 Muko
  2. 극락전 Geuknakjeon
  3. 경포대 Gyeongphodae
  4. 평창 Pyeongchang
(정답률: 68%)
  • 옳은 로마자 표기법은 "Pyeongchang"입니다. 이는 국제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표기된 것으로, "Py"는 "평"의 발음을 나타내고 "eong"은 "엉"의 발음을 나타냅니다. "chang"은 "창"의 발음을 나타내며, "Pyeongchang"은 국제적으로도 통용되는 표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밑줄 친 표현 중 올바르게 사용된 것은?

  1. 민주 사회는 자유와 평등을 지양(止揚)한다.
  2. 한 사람 때문에 모두가 도매급(都賣級)으로 욕을 먹었다.
  3. 그 회사는 사건의 진상을 호도(糊塗)하려고 한다.
  4. 우리 할아버지는 향년(享年) 80세이신데도 정정하시다.
(정답률: 44%)
  • "그 회사는 사건의 진상을 호도(糊塗)하려고 한다."가 올바르게 사용된 것입니다. 호도(糊塗)는 사실을 모호하게 하거나 뒤섞어 말하는 것을 뜻하는데, 이 문장에서는 그 회사가 사건의 진실을 모호하게 하려는 의도가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외래어 표기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이팅
  2. 슈퍼마켓
  3. 꼬냑
  4. 팸플릿
(정답률: 58%)
  • "꼬냑"은 올바른 외래어 표기법이 아닙니다. "꼬냑"은 프랑스어로 "코냑"이라는 지역 이름을 뜻하는데, 이를 영어식으로 발음한 것입니다. 올바른 표기는 "코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밑줄 친 단어를 어법에 맞게 사용한 것은?

  1. 아버지는 추위를 무릎쓰고 밖에 나가셨다.
  2. 외출하기 전에 어머니께서 내 방에 잠깐 들르셨다.
  3. 그가 미소를 얼굴로 서 있는 모습이 보였다.
  4. 내 능력 이상으로 크게 사업을 벌렸다가 실패하고 말았다.
(정답률: 56%)
  • "들르셨다"는 올바르게 사용되었습니다. "들르다"는 어디에 잠시 들러서 가는 것을 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접속어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왜냐하면-그리고-그러므로
  2. 그리고-왜냐하면-그러므로
  3. 그러므로-그리고-왜냐하면
  4. 왜냐하면-그러나-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답률: 84%)
  • 정답은 "왜냐하면-그리고-그러므로"입니다.

    이유는 문장의 구조와 의미적인 연결성을 고려해보면 됩니다. 첫 번째 문장에서는 "A와 B는 같은 종류의 동물이다"라는 사실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 문장에서는 "A는 물고기이고, B는 포유류이다"라는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세 번째 문장에서는 이전에 언급된 사실들을 종합하여 "따라서 A와 B는 서로 다른 종류의 동물이다"라는 결론을 내리고 있습니다.

    따라서, "왜냐하면"은 첫 번째 문장과 두 번째 문장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고, "그리고"는 두 번째 문장과 세 번째 문장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마지막으로 "그러므로"는 이전에 언급된 사실들을 종합하여 결론을 내리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밑줄 친 표현 중 잘못 사용된 것은?

  1. 고향 젓갈로 담가서 그런지, 이번 김치맛은 그야말로 고향의 맛이야!
  2. 한참 동안 감기를 앓았다더니, 네 눈이 정말 상큼해졌구나.
  3. 이사를 하게 되자, 매일 만나지 않고는 못 배기던 우리 사이가 조금씩 상기게 되었다.
  4. 날씨가 추워져서 수도꼭지를 잠궈 두었다.
(정답률: 65%)
  • 잘못 사용된 표현은 없습니다.

    해설: 모든 표현이 문법적으로 올바르게 사용되었으며, 문맥상으로도 이상한 점이 없습니다. "날씨가 추워져서 수도꼭지를 잠궈 두었다."는 추운 날씨에 수도꼭지가 얼어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도꼭지를 잠그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밑줄 친 표현을 바꿔 쓴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선거법 저촉(抵觸)(→해당) 여부를 검토하다.
  2. 국력 배양에 가일층(加一層)(→한층 더) 매진하다.
  3. 그들은 대절(貸切)(→전세) 버스 편으로 상경했다.
  4. 검찰에서는 악덕 상인들의 매점(買占)을(→사재기를) 단속하기로 했다.
(정답률: 65%)
  • "그들은 대절(貸切) 버스 편으로 상경했다."를 "그들은 전세 버스 편으로 상경했다."로 바꾸는 것이 적절하지 않습니다. "대절"은 "전세"와 비슷한 의미를 가지지만, "대절"은 일시적인 대여를 의미하는 반면 "전세"는 장기적인 대여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문맥에 따라 적절한 표현을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글의 내용에 부합되지 않는 것은?

  1. 인간은 유전자의 이익에 따라 행동한다.
  2. 인간은 때로 이타적인 행동을 하기도 하고, 다른 사람과 협력을 하기도 한다.
  3. ‘이기적인 유전자’ 혁명은 인간이 유전자 때문에 철저하게 이기적으로 행동한다고 주장한다.
  4. 유전자의 이익이라는 관점에서 인간의 이타적인 행동을 설명할 수 있다.
(정답률: 82%)
  • 인간은 유전자의 이익에 따라 행동한다는 주장은 부합되지 않는다. 인간은 때로 이타적인 행동을 하기도 하고, 다른 사람과 협력을 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밑줄 친 어휘 중 잘못 사용된 것은?

  1. 체로 술을 받친다.
  2. 요즘 영수는 수영에 흥미를 붙이고 있다.
  3. 이것으로 축사를 갈음합니다.
  4. 고무줄을 더 늘이면 끊어질 것이다.
(정답률: 48%)
  • "체로 술을 받친다"가 잘못 사용된 것입니다. "체로"는 명사이며, "체온으로"라는 뜻으로 사용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표현은 "체온으로 술을 받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글의 연결 순서로 가장 자연스러운 것은?

  1. (라)-(나)-(다)-(가)
  2. (다)-(나)-(라)-(가)
  3. (라)-(다)-(나)-(가)
  4. (다)-(가)-(라)-(나)
(정답률: 61%)
  • (다)에서 시작하여 (가)로 이어지는 것은 "먼저"라는 단서 때문입니다. 그리고 (가)에서 (라)로 이어지는 것은 "그 다음에"라는 단서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라)에서 (나)로 이어지는 것은 "마지막으로"라는 단서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장 자연스러운 연결 순서는 "(다)-(가)-(라)-(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밑줄 친 문장 가운데 어법에 맞는 것은?

(정답률: 71%)
  • 정답은 "㉡"입니다.

    "㉠"는 "to"와 "the"가 중복되어 사용되어 어법에 맞지 않습니다.

    "㉢"는 "to"와 "the"가 모두 생략되어 문장이 완전하지 않습니다.

    "㉣"은 "to"와 "the"가 모두 사용되었지만, "the" 뒤에 오는 명사가 복수형이 아니기 때문에 어법에 맞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정답입니다. "to"와 "the"가 모두 사용되었고, "the" 뒤에 오는 명사가 복수형으로 사용되어 어법에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글이 들어가야 할 부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글의 서론 부분
  2. 글의 결론 부분
  3. 글의 본론 부분
  4. 예를 드는 부분
(정답률: 78%)
  • 이미지 자체가 어떤 내용을 설명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해당 이미지가 어떤 글의 일부분인지를 알려주는 문제이다. 따라서, 이미지를 보고 해당하는 부분을 찾아야 하는데, 이 이미지는 글의 시작 부분에 해당하는 서론 부분이다. 따라서 정답은 "글의 서론 부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괄호 안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곡학아세(曲學阿世)
  2. 면종복배(面從腹背)
  3. 부화뇌동(附和雷同)
  4. 허장성세(虛張聲勢)
(정답률: 58%)
  • "면종복배(面從腹背)"는 얼굴과 배를 따라서 따르는 것을 뜻합니다. 즉, 얼굴에 대한 말과 배에 대한 말이 모두 일치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한 사람이 내적으로 생각하는 것과 외적으로 보이는 것이 일치해야 한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밑줄 친 용언의 활용형을 잘못 고친 것은?

  1. 아름다운 서울에서 살으렵니다.→살렵니다.
  2. 우리 부부는 둘 다 돈을 벌으므로 여유가 있습니다.→벌므로
  3. 그는 땀에 작업복을 갈아 입었다.→절은
  4. 모두 힘을 모아 차를 밀읍시다.→밉시다.
(정답률: 49%)
  • "그는 땀에 전 작업복을 갈아 입었다.→절은"이 잘못된 것입니다. "전"은 현재형이 아닌 과거형이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그는 땀에 전 작업복을 갈아 입었다."가 맞는 문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글의 중심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공격을 유발하게 되는 원인
  2. 분노가 야기하는 행동의 변화
  3. 탈리오 법칙의 정의와 실제 사례
  4. 동물과 인간의 분노 감정의 차이
(정답률: 75%)
  • 분노가 야기하는 행동의 변화에 대한 설명이 가장 중심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글의 내용과 관련된 속담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발 없는 말이 천 리 간다.
  2. 굴러 온 돌이 박힌 돌 뺀다.
  3.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4. 말은 해야 맛이고 고기는 씹어야 맛이다.
(정답률: 76%)
  • "굴러 온 돌이 박힌 돌 뺀다."는 과거에 이미 성공한 사람이 또 다시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속담입니다. 이는 이미 경험한 것을 바탕으로 더 나은 방법을 찾아내고, 실패했던 부분을 보완하여 성공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어법에 맞는 문장은?

  1. 두 집이 친하게 지낸 것은 최근의 일로써 그전에는 사이가 아주 나빴다.
  2. 홍 교수는 고려가요 ‘청산별곡’을 대칭구조로 파악해서는 안된다라고 강력히 주장하였다.
  3. 위에서 제시된 여러 근거를 종합해 보면 김 교수의 몽고에 대한 연구가 원 세조 등장 이후만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상당히 인위적이다.
  4. 그는 바깥 풍경이 잘 보이게 열심히 창문을 닦았다.
(정답률: 60%)
  • "그는 바깥 풍경이 잘 보이게 열심히 창문을 닦았다." 이 문장은 주어와 동사가 명확하게 일치하고, 문장 구조도 자연스럽기 때문에 어법에 맞는 문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괄호 안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전문성
  2. 자의성
  3. 정체성
  4. 보편성
(정답률: 70%)
  • 이미지에서 나타난 그림은 여러 가지 다양한 문화와 국적을 가진 사람들이 함께 모여 있는 모습입니다. 이러한 다양성과 함께 모여있는 모습이 보편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보편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을 하나의 단락으로 올바르게 완성하기 위해 나눈 의견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에는 ‘경계할 만한 대상’을 구체적으로 밝혀 줘야겠어.
  2. ㉣은 단락 전체의 내용에서 벗어나니까 삭제해야 되겠어.
  3. ㉥은 ㉠과 의미가 중복되니까 빼는 게 좋겠어.
  4. 백조가 저수지를 떠난 뒤의 풍경을 묘사한 문장을 하나 추가하는 게 좋겠어.
(정답률: 66%)
  • ㉣은 단락 전체의 내용에서 벗어나는 내용이므로 삭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글의 중심 생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신뢰의 중요성
  2. 부국강병의 가치
  3. 우민화 정책의 폐해
  4. 명분을 내세운 정치의 효과
(정답률: 77%)
  • 위 그림은 부국강병의 가치와 우민화 정책의 폐해를 비교하고 있다. 그러나 이 두 가지 요소 모두 신뢰의 중요성과 관련이 있다. 부국강병이란 국가의 안전을 위해 국민 모두가 군대에 입대하여 국방력을 강화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는 국민들이 정부와 군대에 대한 신뢰가 높을 때 가능한 것이다. 반면 우민화 정책은 국민들이 정부에 대한 신뢰를 상실하게 만들어 국가의 안전을 위협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이 그림은 신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