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국어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6-21)

9급 지방직 공무원 국어
(2014-06-21 기출문제)

목록

1. 밑줄 친 ‘마’의 뜻이 다른 하나는?

  1. 이동풍
  2. 간산
  3. 천고
  4. 절차탁
(정답률: 71%)
  • 정답: 절차탁마

    설명:
    - 마이동풍: 마음이 자유롭고 흥분된 상태
    - 주마간산: 말을 타고 산을 넘다
    - 천고마비: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면서 일어나는 어지러움
    - 절차탁마: 복잡하고 번거로운 절차를 거쳐야 하는 일이나 사건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외래어 표기가 모두 맞는 것은?

  1. 리포트, 서비스, 워크숍, 콤플렉스
  2. 색소폰, 쥬스, 텔레비전, 판타지
  3. 심포지엄, 로케트, 앙케트, 타월
  4. 난센스, 리더십, 싸인, 파일
(정답률: 60%)
  • "리포트, 서비스, 워크숍, 콤플렉스"는 모두 영어 단어이며, 올바른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혀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밑줄 친 부분의 의미와 가장 가까운 것은?

  1. 욕이 입에 배어 큰일이다.
  2. 그는 속이 너무 배어 큰 인물은 못 된다.
  3. 갓난아이 몸에는 항상 젖내가 배어 있다.
  4. 이 책에는 아이에 대한 부모의 고민과 애정이 배어 있다.
(정답률: 86%)
  • "배어"는 무언가가 가득 차 있다는 뜻으로, 이 책에는 부모의 고민과 애정이 가득 담겨 있다는 뜻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밑줄 친 단어 중 명사를 모두 고른 것은?

  1. 만남, 한, 뿐
  2. 한, 뿐
  3. 한, 뿐, 보기
  4. 만남, 보기
(정답률: 57%)
  • "한"과 "뿐"은 모두 명사입니다. "만남"은 명사이지만, 문장에서는 "한"과 "뿐"과 함께 나와서 선택지에서 제외됩니다. "보기"는 동사나 명사가 될 수 있지만, 이 문장에서는 명사로 사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선택지에서 제외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한, 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예술’과 ‘기술’의 차이
  2. ‘예술’의 변천과 그 원인
  3. ‘예술’의 속성과 종류
  4. ‘예술’의 어원과 그 의미의 변화
(정답률: 8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형태소의 개수가 가장 많은 것은?

  1. 남겨진 적도 물리쳤겠네.
  2. 너를 위해서 땀을 흘렸어.
  3. 훔쳐 갔을 수도 있겠군요.
  4. 단팥죽이라도 가져와야지.
(정답률: 51%)
  • "남겨진 적도 물리쳤겠네."가 형태소의 개수가 가장 많은 것입니다. 이는 "남겨", "진", "적", "도", "물리", "치", "었", "겠", "네"로 총 9개의 형태소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6개, 5개, 4개의 형태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글의 전개 순서로 가장 자연스러운 것은?

  1. (가)-(다)-(나)-(라)
  2. (가)-(다)-(라)-(나)
  3. (다)-(라)-(가)-(나)
  4. (다)-(라)-(나)-(가)
(정답률: 62%)
  • (가)에서는 물고기가 물 속에서 살아가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며, (다)에서는 물고기의 특징과 종류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라)에서는 물고기의 생태계와 생태계의 변화에 대해 다루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나)에서는 인간과 물고기의 관계와 물고기를 보호하는 방법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자연스러운 전개 순서는 "(가)-(다)-(라)-(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은 연설문의 일부이다. 화자의 논지 전개 방식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문제 해결을 위한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2.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3. 문제 해결을 위한 기존의 방법과는 다른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4. 문제 해결을 위한 사례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있다.
(정답률: 81%)
  • 화자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방법에 대한 한계를 지적하고,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가 가장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글의 내용에 부합하지 않는 것은?

  1. 책 읽기는 별다른 훈련이나 노력 없이도 마음만 먹으면 가능한 일이다.
  2. 책을 쓰고 읽는 기능은 인간 뇌의 본래적 기능은 아니다.
  3. 책과 책 읽기는 인간의 기억, 사유, 상상 등과 관련된 능력을 키우는 데 상당히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4. 독서 문화는 특정 층위에서 사회적 주체들의 질적 차이를 유발한다.
(정답률: 76%)
  • 책과 책 읽기는 인간의 기억, 사유, 상상 등과 관련된 능력을 키우는 데 상당히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다른 보기들은 책 읽기와 관련된 내용을 설명하고 있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글의 중심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일을 시작하기 전에 먼저 사소한 일과 중요한 일을 구분하는 습관을 기르라.
  2. 한 번에 두 가지 이상의 일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훈련하라.
  3. 자신이 하는 일에 전적으로 주의를 집중하라.
  4. 과거나 미래가 주는 교훈에 귀를 기울이라.
(정답률: 80%)
  • 자신이 하는 일에 전적으로 주의를 집중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문장과 관련된 속담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
  2. 볶은 콩에 싹이 날까?
  3. 빛 좋은 개살구
  4. 뚝배기보다 장맛이 좋다.
(정답률: 88%)
  • 이 문장은 "빛이 좋은 개살구"라는 것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 속담은 보기에도 좋고 맛도 좋은 것을 비유하는 표현입니다. 개살구는 봄에 꽃을 피우며 노란색으로 빛나는데, 이러한 빛이 좋은 개살구를 보면 보기에도 좋고 맛도 좋을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사전 등재 순서에 맞게 배열된 것은?

  1. 두다, 뒤켠, 뒤뜰, 따뜻하다
  2. 냠냠, 네모, 넘기다, 늴리리
  3. 얇다, 앳되다, 여름, 에누리
  4. 괴롭다, 교실, 구름, 귀엽다
(정답률: 64%)
  • "괴롭다, 교실, 구름, 귀엽다"는 초성 기준으로 정렬하면 "ㄱ,ㄱ,ㄱ,ㄱ" 순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전 등재 순서에 맞게 배열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밑줄 친 단어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동아리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2. 사람들의 후원금이 방송국에 답지하고 있다.
  3. 빙산이 바다 위를 부상하는 것은 온난화 때문이다.
  4. 세입자에게 밀린 집세를 너무 자주 채근하지 마라.
(정답률: 55%)
  • "세입자에게 밀린 집세를 너무 자주 채근하지 마라."에서 '채근하다'는 표현이 적절하지 않습니다. '채권을 추심하다'라는 뜻으로, '채무자에게 돈을 받으려고 압류하거나 추심하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세입자에게 밀린 집세를 너무 자주 채권 추심하지 마라."로 수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빙산이 바다 위를 부상하는 것은 온난화로 인해 빙하가 녹아서 바다 위로 떠오르기 때문입니다. 빙산은 물에 떠 있을 때 물 위에 있는 부분이 작고, 물 아래에 있는 부분이 크기 때문에 바람이나 파도에 의해 뒤집히거나 뒤죽박죽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빙산이 바다 위를 부상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며, 해양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글의 괄호 안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전통은 서구 문화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
  2. 전통은 어떻게 계승되어 왔는가
  3. 전통은 앞으로 어떤 변화를 겪을 것인가
  4. 전통은 서구 문화와 어떤 차이가 있는가
(정답률: 46%)
  • 이유를 설명하는 것이므로 "전통은 어떻게 계승되어 왔는가"가 가장 적절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전통과 관련된 다른 주제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밑줄 친 단어의 표기가 옳은 것은?

  1. 어제 선생님을 뵜습니다.
  2. 오늘따라 피아노가 잘 안 쳐져요.
  3. 삼촌이 그러는데요, 민희가 무척 예뻐졌데요.
  4. 놀이터에서 놀고 있는 두 아이는 쌍둥이에요.
(정답률: 56%)
  • "쳐져요"가 맞습니다. 이유는 "잘 안 쳐져요"에서 "쳐져요"는 동사 "치다"의 현재진행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시조에 드러난 화자의 정서와 가장 가까운 것은?

  1. 서리지탄(黍離之歎)
  2. 만시지탄(晩時之歎)
  3. 망양지탄(亡羊之歎)
  4. 비육지탄(髀肉之歎)
(정답률: 39%)
  • 화자의 정서는 추억과 아쉬움이 뒤섞인 그리움입니다. "서리지탄"은 추억을 떠올리며 슬픔에 잠긴 모습을 보이는 시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만시지탄"은 저녁 시간의 아름다움에 대한 감탄을 담은 시이고, "망양지탄"은 어리석음으로 인한 후회와 자기 비판을 담은 시입니다. "비육지탄"은 체중 감량에 대한 불만과 자기 비하를 담은 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을 어법에 맞게 고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 ‘운동도 하고, 도시락도 먹던’으로 바꾸어 필요한 성분을 모두 갖춘다.
  2. ㉡: ‘희망을 잃지 않으셨다는 말씀은’으로 바꾸어 높임 표현을 바르게 한다.
  3. ㉢: ‘그것은 기악부 동아리에서 악기를 연주하는 일입니다.’로 바꾸어 주어와 서술어가 호응을 이루도록 한다.
  4. ㉣: ‘조심하다’는 명령형으로 쓰일 수 없으므로 해요체 ‘조심하세요’를 사용한다.
(정답률: 76%)
  • ㉠, ㉡, ㉢ 모두 어법에 맞게 고쳐졌으므로 적절하다. ㉣은 "조심하다"가 명령형으로 쓰일 수 없기 때문에 해요체 "조심하세요"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글에 대한 평가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은 정의의 형식을 갖추고 있으나 단락의 완결성을 해치므로 삭제하는 것이 좋다.
  2. ㉡에 제시된 두 예는 원래의 뜻으로 해석될 수 있으므로 다른 예로 바꾸어야 한다.
  3. ㉢은 앞 문장과의 연결이 부자연스러워 긴밀성을 해친다.
  4. ㉣은 전체 제시문의 주제와 관련이 없으므로 단락의 통일성을 해친다.
(정답률: 69%)
  • 해당 보기에서는 "㉣은 전체 제시문의 주제와 관련이 없으므로 단락의 통일성을 해친다."라는 이유가 가장 적절하다. 이유는 해당 보기가 전체 제시문의 주제와 관련이 없기 때문에, 다른 보기들과 달리 단락의 통일성을 해치게 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밑줄 친 부분이 표준 발음법에 맞지 않는 것은?

  1. 색연필[생년필] 사러 문방구에 갔다 올게요.
  2. 불볕더위[불볃더위]가 연일 기승을 부리고 있다.
  3. 너도 그렇게 차려입으니 옷맵시[온맵씨]가 난다.
  4. 서점 가는 길에 식용유[시굥뉴]도 좀 사 오너라.
(정답률: 68%)
  • "불볕더위[불볃더위]가 연일 기승을 부리고 있다."가 표준 발음법에 맞지 않는 것입니다. 이유는 "볕"과 "더위" 사이에 받침이 없기 때문에, "볃"이라는 발음이 나와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글의 괄호 안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강조(强調) ㉡위압적(威壓的) ㉢전망(展望)
  2. ㉠향유(享有) ㉡정략적(政略的) ㉢능력(能力)
  3. ㉠구축(構築) ㉡타협적(妥協的) ㉢필요(必要)
  4. ㉠행사(行使) ㉡당파적(黨派的) ㉢권고(勸告)
(정답률: 65%)
  • 이 문제는 주어진 보기 중에서 어떤 것이 "㉠구축(構築) ㉡타협적(妥協的) ㉢필요(必要)" 인 이유를 가장 간단명료하게 설명하는지를 묻는 문제입니다. 따라서 "㉠구축(構築) ㉡타협적(妥協的) ㉢필요(必要)"와 관련된 내용을 가장 잘 설명하는 보기를 선택해야 합니다.

    보기 중에서 "㉠구축(構築) ㉡타협적(妥協的) ㉢필요(必要)"와 관련된 내용을 가장 잘 설명하는 것은 "㉠강조(强調) ㉡위압적(威壓的) ㉢전망(展望)"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구축"은 어떤 것을 만들어 내는 것을 의미하며, "타협적"은 상대방과 타협하여 해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대방과 타협하여 해결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어떤 것을 구축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위압적"이나 "전망"과는 큰 연관성이 없어 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강조(强調) ㉡위압적(威壓的) ㉢전망(展望)"이 아니라 "㉠구축(構築) ㉡타협적(妥協的) ㉢필요(必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