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국어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3-14)

9급 지방직 공무원 국어
(2015-03-14 기출문제)

목록

1. 밑줄 친 부분의 표준 발음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길을 떠나기 전에 뱃속을 든든하게 채워 두자.-[배쏙]
  2. 시를 읽다 보면 마음이 편안해진다.-[일따]
  3. 외래어를 표기할 때 받침에 ‘ㄷ’을 쓰지 않는다.-[디그슬]
  4. 우리는 금융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하였다.-[금늉]
(정답률: 63%)
  • "길을 떠나기 전에 뱃속을 든든하게 채워 두자.-[배쏙]"의 경우, "뱃속"의 발음이 옳지 않습니다. "ㅂ" 소리가 "ㅃ"으로 발음되어야 합니다.

    이유: "ㅂ" 소리는 받침이나 어말에서는 "ㅂ"으로 발음되지만, 어중에서는 "ㅃ"으로 발음됩니다. "뱃속"은 어중이므로 "ㅃ"으로 발음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밑줄 친 부분의 표기가 바르지 않은 것은?

  1. 그는 우표 수집에 있어서는 마니아 수준이다.
  2. 어머니께서 마늘쫑으로 담그신 장아찌를 먹고 싶다.
  3. 그녀는 새침데기처럼 나에게 한 마디 말도 하지 않았다.
  4. 그 제품에 대한 라이선스를 획득한 일은 우리에겐 행운이었다.
(정답률: 49%)
  • "새침데기"는 표기가 올바르지 않습니다. "새침떼기"가 올바른 표기입니다.

    어머니께서 마늘쫑으로 담그신 장아찌를 먹고 싶다는 문장은 간단명료하게 어머니께서 만든 마늘쫑 장아찌를 먹고 싶다는 뜻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어법에 맞는 문장은?

  1. 그는 당대 최고의 피아니스트인 김 교수에게 피아노를 사사했다.
  2. 주민들은 정부 당국에게 건의 사항을 전달했다.
  3. 인간은 현실을 지배하기도 하고 복종하기도 한다.
  4. 여러분 가정에 행운이 가득하기를 기원하는 것으로 치사에 갈음합니다.
(정답률: 47%)
  • "그는 당대 최고의 피아니스트인 김 교수에게 피아노를 사사했다."가 어법에 맞는 문장입니다. 이유는 주어인 "그"와 동사인 "사사했다"가 일치하며, 목적어인 "피아노"가 올바르게 사용되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김 교수가 최고의 피아니스트라는 정보가 명확하게 전달되어 문장의 의미가 명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표준 언어 예절에 어긋난 것은?

  1. 직장 상사의 아내를 ‘여사님’이라고 부른다.
  2. 직장 상사의 남편을 해당 직장 상사에게 ‘사부님’이라고 지칭한다.
  3. 직장 상사(과장)의 아내를 직장 동료에게 ‘과장님 부인’이라고 지칭한다.
  4. 직장 상사(과장)의 남편을 직장 동료에게 ‘과장님 바깥어른’이라고 지칭한다.
(정답률: 54%)
  • 정답은 "직장 상사의 남편을 해당 직장 상사에게 ‘사부님’이라고 지칭한다."입니다. 이는 표준 언어 예절에 어긋난 것입니다. 이유는 "사부님"은 가톨릭 교회에서 제사장을 지칭하는 호칭으로,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사용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대신에 "상사님의 남편"이나 "상사님의 배우자"와 같은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밑줄 친 부분을 잘못 고친 것은?

  1. 기여하고져 → 기여하고저
  2. 학교 당 → 학교당
  3. 1권 씩 → 1권씩
  4. 말씀드린바 → 말씀드린 바
(정답률: 55%)
  • "기여하고져"는 표준어가 아닌 사투리 표현이기 때문에 "기여하고저"로 고쳐야 합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올바르게 고쳐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글의 서술상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근거를 갖추어 주장을 펼치고 있다.
  2. 기존의 주장을 반박하는 방식으로 논지를 펼치고 있다.
  3. 용어의 정의를 통해서 논지에 대한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
  4. 예시와 열거 등의 설명 방법을 구사하여 주장의 설득력을 높이고 있다.
(정답률: 73%)
  • 글에서는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라는 문장을 통해 기존의 주장을 반박하는 방식으로 논지를 펼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존의 주장을 반박하는 방식으로 논지를 펼치고 있다."는 옳은 서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사형 제도 존폐 논란’을 문제 상황으로 삼고 있다.
  2. 필자의 주장은 ‘사형 제도는 폐지해야 한다.’이다.
  3. ㉠은 필자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 자료이다.
  4. ㉡은 사형 제도를 찬성하는 대중의 통념을 반박하는 자료이다.
(정답률: 77%)
  • 문제 상황은 ‘사형 제도 존폐 논란’이며, 필자의 주장은 ‘사형 제도는 폐지해야 한다.’이다. 따라서 ㉠은 필자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 자료이다. ㉡은 대중의 통념을 반박하는 자료이므로 이 문제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의 음운 규칙이 모두 나타나는 것은?

  1. 덮개[덥깨]
  2. 문고리[문꼬리]
  3. 꽃망울[꼰망울]
  4. 광한루[광할루]
(정답률: 80%)
  • 음운 규칙은 "ㄱ" 뒤에 오는 "ㅎ"이 "ㅋ"으로 변화하는 것입니다. "꽃망울"은 "ㄱ" 뒤에 "ㅎ"이 오므로 "꼰망울"로 발음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 규칙에 부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글을 통해 알 수 있는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지혜가 많은 사람이라고 해서 반드시 글을 쓰는 것은 아니다.
  2. 쓰는 문화가 발달한 사회라야 지혜의 르네상스가 펼쳐진다.
  3. 현대는 읽는 문화보다 보는 문화가 더 발달해 있다.
  4. 생각하는 사회는 읽는 문화가 아니라 보는 문화가 만든다.
(정답률: 89%)
  • 글을 쓰는 것과 지혜의 르네상스, 쓰는 문화의 발달과 관련된 내용은 모두 적절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생각하는 사회는 읽는 문화가 아니라 보는 문화가 만든다."는 이유에 대한 설명이 제공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는 적절하지 않은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글에서 ( ) 안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1. 勞心焦思
  2. 附和雷同
  3. 類類相從
  4. 面從腹背
(정답률: 38%)
  • 이 그림은 "勞心焦思"와 "附和雷同"을 비유적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勞心焦思"는 노력하고 열심히 생각하는 것을 의미하며, "附和雷同"는 다수의 의견에 따르거나 따라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그림에서는 두 사람이 노력하고 생각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한 사람은 자신의 생각을 추구하고 다른 사람은 다수의 의견에 따르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附和雷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문장의 의미를 고려할 때, 한자가 잘못 병기된 것은?

  1. 임신부가 진통(陣痛)을 시작하였다.
  2. 그 학자는 평생을 오로지 학문(學問)에만 정진하였다.
  3. 그의 취미는 음악 감상(感想)이다.
  4. 그는 자신의 추정(推定)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제시하지 못했다.
(정답률: 28%)
  • 정답은 "그의 취미는 음악 감상이다."입니다.

    감상은 한자로 "감상(感賞)"이 맞는 표기이지만, "감상(感想)"으로 잘못 표기된 것입니다. 감상은 느끼는 것을 말하며, 감상문학, 감상미술 등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반면 감상은 생각이나 느낌을 말하며, 주로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그의 취미는 음악 감상이다."라는 문장에서는 감상이 맞는 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밑줄 친 단어의 사용이 옳지 않은 것은?

  1. 이젠 집안을 아주 결딴을 내려고 하는군.
  2. 일이 꺼림칙하게 되어 가더니만 결국 사달이 났다.
  3. 그 총각은 폭넓은 교양과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재원이다.
  4. 교사는 학생의 잠재된 창의성이 계발되도록 충분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
(정답률: 58%)
  • "결딴"은 맞춤법이 틀린 단어이므로 사용이 옳지 않습니다.

    "결단"이 올바른 맞춤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이젠 집안을 아주 결딴을 내려고 하는군."입니다.

    그 총각은 폭넓은 교양과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재원이다는 문장은 문법적으로도 맞고, 맞춤법적으로도 맞으므로 사용이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밑줄 친 어휘의 쓰임이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ㄷ, ㄹ
(정답률: 52%)
  • 밑줄 친 어휘인 "평행선"과 "대각선"은 모두 기하학적인 용어로, "평행선"은 서로 같은 평면에서 서로 교차하지 않고 평행한 선을 의미하며, "대각선"은 사각형이나 직육면체 등에서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를 연결한 선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ㄷ, 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중의적인 문장이 아닌 것은?

  1. 아내들은 남편들보다 아이들을 더 사랑한다.
  2. 사랑하는 조국의 딸들이여!
  3. 그는 자기가 맡은 과제를 다 처리하지 못했다.
  4. 그것은 아무리 노력해도 소용없는 일이다.
(정답률: 68%)
  • 정답은 "그것은 아무리 노력해도 소용없는 일이다."입니다. 이 문장은 명확하게 주어(subject)와 동사(verb)가 나누어져 있으며, 주어와 동사가 명확하게 수식되어 있어서 중의적인 해석이 불가능합니다. 다른 문장들은 주어와 동사가 명확하지 않거나, 수식이 모호하여 중의적인 해석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에 대한 독자의 이해가 적절한 것은?

  1. ㉠:같은 처지의 존재이기에 화자에게 위안이 된다.
  2. ㉡:화자의 시선에는 ‘님’과의 재회에 대한 확신이 담겨 있다.
  3. ㉢:화자의 과거 회상을 촉발하는 구실을 한다.
  4. ㉣:‘님’에 대한 화자의 원망이 직접적으로 드러나 있다.
(정답률: 60%)
  • 이미지에서 화자는 "님"에게 대해 "또 다른 사람이 님을 만나면 어떨까"라는 말을 하면서 원망하는 듯한 표정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님’에 대한 화자의 원망이 직접적으로 드러나 있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공고문>의 ㉠~㉣에 대한 수정 의견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의미가 중복되므로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토지’로 표현하는 게 좋겠어.
  2. ㉡:문장 성분의 자연스러운 호응을 위해 ‘이곳을’을 ‘이곳에’로 수정하는 게 좋겠어.
  3. ㉢:맥락상 적절하지 못한 단어이므로 ‘저촉’으로 수정하는 게 좋겠어.
  4. ㉣:어법에 맞게 ‘삼가해 주시기’로 수정하는 게 좋겠어.
(정답률: 61%)
  • ㉣은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아니라 올바른 표현이므로 적절하지 않은 것입니다. "삼가해 주시기"는 정확한 표현이며 어법에도 맞습니다. 따라서 수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 중 내포적 의미가 다른 하나는?

(정답률: 56%)
  • 보기에서 "㉠"는 다른 세 개의 보기와 달리 내포적 의미가 없습니다. "㉡", "㉢", "㉣"은 각각 "학생", "교실", "교육"과 같은 내포적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는 그러한 의미가 없습니다. 따라서 "㉠"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과거 회상을 통하여 작중 인물 간의 갈등을 표출한다.
  2. 작중 인물의 말에서 사건의 비현실성이 드러난다.
  3. 설의법을 활용하여 내면의 심경을 토로하고 있다.
  4. 모녀 관계에 대한 부인의 자기 확신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정답률: 51%)
  • 작품에서 과거 회상을 통해 인물 간의 갈등을 표출하는 이유는 설명되어 있으며, 다른 보기들은 작품에서 다른 요소들을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모녀 관계에 대한 부인의 자기 확신이 분명하게 드러난다는 보기가 적절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 ) 안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1. 시시비비(是是非非)
  2. 염량세태(炎涼世態)
  3. 사면초가(四面楚歌)
  4. 조삼모사(朝三暮四)
(정답률: 60%)
  • 이 그림은 염량세태(炎涼世態)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염량세태란, 불안정한 상태에서 사람들이 서로 의심하고 불신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이 그림에서는 사람들이 서로 불신하고 의심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1. 독백과 대화를 혼용하여 이야기를 이끌어가고 있다.
  2. 서술자가 인물의 성격을 직접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3. 특정한 단어를 활용하여 시대적 배경을 나타내고 있다.
  4. 작가는 국민의 도덕성과 국가의 비도덕성을 대조하여 보여준다.
(정답률: 66%)
  • 해당 그림은 "나무"라는 단어를 통해 시대적 배경을 나타내고 있다. 나무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인간의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자연의 상징적인 대상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문장은 특정한 단어를 활용하여 시대적 배경을 나타내고 있다는 설명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