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국어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12-16)

9급 지방직 공무원 국어
(2017-12-16 기출문제)

목록

1. 밑줄 친 어휘의 표기가 옳은 것은?

  1. 과거에 대해서는 너무 괴념치 않는 것이 좋다.
  2. 필요한 부분만 책에서 발체해서 발표할 수 있다.
  3. 고집대로만 했다간 문화제 계획마저도 와훼될 판이다.
  4. 나는 설명서에서 그 기계의 제원을 꼼꼼히 확인하였다.
(정답률: 64%)
  • "제원"의 표기가 옳은 것입니다. "제원"은 기계나 장비 등의 성능이나 기술적인 사양을 나타내는 용어이며, 다른 어휘들과는 달리 맞춤법적으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호칭어와 지칭어의 사용이 적절한 것은?

  1. (남편의 형에게) 큰아빠, 전화 받으세요.
  2. (시부모에게 남편을) 오빠는 요즘 무척 바빠요.
  3. (남편의 누나에게) 형님, 어떤 것이 좋을까요?
  4. (다른 사람에게 자기 배우자를) 이쪽은 제 부인입니다.
(정답률: 71%)
  • 정답은 "(남편의 누나에게) 형님, 어떤 것이 좋을까요?"입니다. 이유는 호칭어와 지칭어가 적절하게 사용되었기 때문입니다. "형님"은 남성 형제 중에서 형을 지칭하는 호칭어이고, "누나"는 여성 형제 중에서 누나를 지칭하는 지칭어입니다. 따라서 남편의 누나에게 "형님"이라는 호칭어와 "어떤 것이 좋을까요?"라는 예의를 표시하는 문장이 적절하게 사용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글에서 ‘칸트’의 견해로 볼 수 없는 것은?

  1. 개인적 계몽을 모든 사람이 이룰 수 있는 것은 아니다.
  2. 대중 일반의 계몽을 위한 이성의 사용을 이성의 공적 사용이라 불렀다.
  3. 미성년 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스스로의 이성을 사용하려고 해야 한다.
  4. 개인적 계몽을 이룬 이들에게 자유가 주어진다면 독립에 대한 공포심에 빠지게 된다.
(정답률: 80%)
  • 칸트의 견해로 볼 수 없는 것은 없다. 모든 보기는 칸트의 견해를 나타내고 있다.

    "개인적 계몽을 이룬 이들에게 자유가 주어진다면 독립에 대한 공포심에 빠지게 된다."라는 견해는, 개인적 계몽을 이룬 사람들이 자유로워지면, 그들은 스스로의 판단에 따라 행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다른 사람들과 다르게 행동하게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독립에 대한 공포심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시에 대한 감상으로 적절한 것은?

  1. 계절의 순환을 통해 자연의 위대함을 자각하고 있군.
  2. 결별의 슬픔을 자신의 영혼이 성숙하는 계기로 삼고 있군.
  3. 이별을 받아들이지 않으려는 의지적 자세를 엿볼 수 있군.
  4. 흩어져 떨어지는 꽃잎을 통해 인생의 무상함을 강조하고 있군.
(정답률: 84%)
  • 이 시는 가을의 잎이 떨어지는 모습을 통해 이별의 슬픔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시인은 이 슬픔을 자신의 영혼이 성숙하는 계기로 삼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결별의 슬픔을 자신의 영혼이 성숙하는 계기로 삼고 있군."이 적절한 감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띄어쓰기가 옳은 것은?

  1. 일이 얽히고 설켜서 풀기가 어렵다.
  2. 나를 알아 주는 사람은 너 밖에 없다.
  3. 그는 고향을 등지고 정처 없이 떠돌아다녔다.
  4. 잃어버린 물건을 찾겠다는 생각은 속절 없는 짓이었다.
(정답률: 32%)
  • "그는 고향을 등지고 정처 없이 떠돌아다녔다."가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등지고"와 "정처 없이"는 각각 부사와 형용사로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등지고"는 동사 "등지다"의 어간인 "등지-"와 부사형 어미 "-고"가 결합한 것이고, "정처 없이"는 형용사 "정처없다"와 부사형 어미 "-이"가 결합한 것입니다. 따라서 띄어쓰기를 해주어야 합니다.

    간단명료한 이유는 각각의 표현이 부사와 형용사로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한자 성어의 뜻풀이로 옳지 않은 것은?

  1. 결초보은(結草報恩):죽은 뒤에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을 이르는 말.
  2. 방약무인(傍若無人):어떤 약으로도 치료할 수 없는 상태임.
  3. 절치부심(切齒腐心):몹시 분하여 이를 갈며 속을 썩임.
  4. 점입가경(漸入佳境):들어갈수록 점점 재미가 있음.
(정답률: 59%)
  • 방약무인(傍若無人):어떤 약으로도 치료할 수 없는 상태임. - 이는 방약무존(傍若無存)과 혼동된 것으로, 방약무인은 무례하고 건방진 태도를 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외래어 표기가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ㅁ
  2. ㄷ, ㄹ
  3. ㄱ, ㄴ, ㄹ
  4. ㄴ, ㄷ, ㅁ
(정답률: 62%)
  • 이미지에서 보이는 단어들은 모두 외래어이며, 올바른 표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ㄱ: 쇼핑
    - ㄴ: 레스토랑
    - ㄹ: 리뷰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쇼핑: 영어 단어인 "shopping"을 한글로 표기할 때는 "쇼핑"이 올바른 표기법입니다.
    - 레스토랑: 프랑스어 단어인 "restaurant"를 한글로 표기할 때는 "레스토랑"이 올바른 표기법입니다.
    - 리뷰: 영어 단어인 "review"를 한글로 표기할 때는 "리뷰"가 올바른 표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의 한자 병기가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35%)
  • 정답인 "㉢"는 한자 병기가 옳지 않습니다. "㉠"는 "心"과 "口"의 병기로 "마음을 말로 표현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고, "㉡"는 "手"와 "心"의 병기로 "손으로 마음을 표현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은 "目"과 "心"의 병기로 "눈으로 마음을 표현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는 "口"와 "手"의 병기로 "말과 손으로"라는 이상한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는 한자 병기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밑줄 친 말의 의미에 대응하는 단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이번 국경일에 국기를 집이 많았다.-揭載
  2. 차에 에어컨을 달고 싶지만 돈이 없다.-設置
  3. 오늘의 음식 값은 장부에 달아 두세요.-記錄
  4. 그는 어디에 가든 친구를 달고 다닌다.-帶同
(정답률: 33%)
  • 단 - 높이다, 걸치다, 매다와 대응하는 단어로 적절하지 않음. 이유는 "단 집"은 국기를 걸어놓은 집을 의미하는데, "높이다, 걸치다, 매다"와는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문맥에 따른 배열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나)-(라)-(가)-(다)-(마)
  2. (나)-(가)-(마)-(라)-(다)
  3. (다)-(마)-(라)-(나)-(가)
  4. (다)-(라)-(마)-(가)-(나)
(정답률: 63%)
  • 문장에서는 "먼저"와 "그리고"라는 단어가 사용되어 순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먼저"에 해당하는 (다)가 맨 앞에 오고, "그리고"에 해당하는 (마)와 (라)가 연이어 나오며, 그 뒤에 (나)와 (가)가 나오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따라서 정답은 "(다)-(마)-(라)-(나)-(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에 들어갈 말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순서대로 ㉠, ㉡, ㉢)

  1. 그리고, 그러면, 만약
  2. 그리고, 그렇지만, 만약
  3. 예를 들면, 그러면, 말하자면
  4. 예를 들면, 그렇지만, 말하자면
(정답률: 78%)
  • ㉠에서는 "예를 들면"이라는 표현으로 예시를 들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에서는 "그러면"이라는 표현으로 이전에 설명한 내용과 연결하여 이어가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에서는 "말하자면"이라는 표현으로 이전에 설명한 내용을 요약하고 정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예를 들면, 그러면, 말하자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의 고쳐 쓰기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은 글의 논리적인 흐름을 방해하고 있으므로 삭제한다.
  2. ㉡은 앞뒤 내용을 자연스럽게 연결해 주지 못하므로 ‘그러므로’로 바꾼다.
  3. ㉢은 어휘가 잘못 사용된 것이므로 ‘때문이다’로 고친다.
  4. ㉣은 서술어와 호응하지 않으므로 ‘황사가’로 고친다.
(정답률: 85%)
  • ㉡은 앞뒤 내용을 자연스럽게 연결해 주지 못하므로 ‘그러므로’로 바꾼다. 이유는 "그러므로"가 앞 문장의 내용과 뒤 문장의 내용을 논리적으로 잘 이어주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그리고"는 앞 문장과 뒤 문장이 서로 연관성이 없어서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글의 전개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1. 자신의 주장을 밝히고 이와 상반된 견해를 반박하고 있다.
  2. 상호 대립된 견해를 제시하고 자신의 입장을 밝히고 있다.
  3. 용어에 대한 개념 차이를 밝히며 자신의 주장을 펼치고 있다.
  4. 시대적 변천 양상을 살피면서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정답률: 78%)
  • 시대적 변천 양상을 살피면서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작품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1. 시적 대상과의 재회에 대한 소망을 담고 있다.
  2. 반어적 표현을 통해 화자의 정서를 부각하고 있다.
  3. 세속의 인연에 미련을 두지 않은 구도자의 자세를 드러내고 있다.
  4. 상황 인식-객관적 서경 묘사-종교적 기원의 3단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정답률: 67%)
  • 이 작품은 "반어적 표현을 통해 화자의 정서를 부각하고 있다."라는 설명이 더 적절합니다. 작품에서는 "눈물이 흐르지 않는다"는 반어적 표현을 사용하여 화자의 감정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시적 대상과의 재회에 대한 소망이나 세속의 인연에 대한 미련 등의 내용은 작품에서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았으며, 종교적 기원의 3단 구성도 확인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글을 참고할 때, <보기>에서 아이의 말에 대한 엄마의 말이 ‘반영하기’에 해당하는 것은?

  1. 너, 치과에 가기가 싫어서 그러지?
  2. 네가 치료보다 시험에 집중하고 싶구나.
  3. 내일 꼭 치과에 가야 하는지가 궁금했구나.
  4. 약속은 지켜야 하는 거니까 치과에 가야겠지.
(정답률: 84%)
  • 아이가 치과에 가기를 싫어한다는 말을 했고, 엄마는 그 이유를 추측하여 "네가 치료보다 시험에 집중하고 싶구나."라고 말했기 때문에 이는 아이의 말에 대한 엄마의 말이 '반영하기'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밑줄 친 부분에 해당하는 것은?

  1. 그는 수줍음이 많은 사람이다.
  2. 그는 죽음을 각오하고 일에 매달렸다.
  3. 태산이 높음을 사람들은 알지 못한다.
  4. 나라를 위해 젊음을 바친 사람이 애국자다.
(정답률: 38%)
  • 다른 보기들은 모두 어떤 개념에 대한 평가나 특징을 나타내고 있지만, "태산이 높음을 사람들은 알지 못한다."는 사실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것은 다른 보기들과는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과 ㉡은 모두 형님을 가리킨다.
  2. ㉠은 1인칭이고 ㉡은 2인칭이다.
  3. ㉡은 ㉠보다 높임 표현이다.
  4. ㉢은 ㉠과 달리 형님 이외의 다른 대상을 가리킬 수 있다.
(정답률: 71%)
  • "㉠은 나 자신을 가리키는 1인칭 대명사이고, ㉡은 상대방을 가리키는 2인칭 대명사이다."가 올바른 설명입니다. ㉠과 ㉡은 모두 형님을 가리키지만, 그것은 대명사가 가리키는 대상이 아니라 대명사를 사용하는 사람의 입장에 따라 달라지는 것입니다. ㉡은 ㉠보다 높임 표현이 아니며, ㉢은 ㉠과 ㉡ 모두 형님 이외의 다른 대상을 가리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1. ㉠과 달리 ㉡과 ㉢은 대상을 바라보는 관점의 다양성을 인정한다.
  2. ㉡과 달리 ㉠과 ㉢은 단일한 시간과 공간을 기준으로 대상을 파악한다.
  3. ㉢과 달리 ㉠과 ㉡은 대상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는 것이 회화의 목적이라 여긴다.
  4. ㉠, ㉡, ㉢은 모두 가까이 있는 대상은 크게, 멀리 있는 대상은 작게 표현하는 방식을 취한다.
(정답률: 65%)
  • ㉠은 대상을 크게 표현하는 방식을 취하고, ㉡과 ㉢은 대상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는 것이 회화의 목적이라 여기지만, ㉡과 ㉢은 대상을 바라보는 관점의 다양성을 인정한다. 따라서, ㉠과 달리 ㉡과 ㉢은 대상을 바라보는 관점의 다양성을 인정한다는 것이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글에서 알 수 있는 내용이 아닌 것은?

  1. ‘작은언니’는 최소의 자립 형식이다.
  2. ‘는, 을’은 체언 등에 붙어서만 쓰이므로 단어이다.
  3. ‘그루, 것’은 그 통사적 성격이 명사와 동일하다.
  4. ‘샛노랗다, 손목’은 복합어이다.
(정답률: 5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산업화 과정에서 소외된 ‘아버지’의 왜소함을 드러낸다.
  2. ㉡:가난한 도시 빈민의 힘겨운 삶을 전쟁에 비유한다.
  3. ㉢:맹목적이고 무리한 산업화의 위압적 분위기를 나타낸다.
  4. ㉣:주민들의 노력으로 삶이 개선될 것임을 암시한다.
(정답률: 80%)
  • 이미지에서 보이는 사람들이 함께 일하고 있는 모습과 함께, 주민들이 함께 노력하면 삶이 개선될 것임을 암시하는 이미지가 나타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