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식용작물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2-06-18)

9급 지방직 공무원 식용작물
(2022-06-18 기출문제)

목록

1. 메밀의 이형예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수술이 긴 꽃을 장주화라고 한다.
  2. 수술이 짧은 꽃을 단주화라고 한다.
  3. 장주화×단주화 조합은 수정이 잘된다.
  4. 장주화×장주화 조합은 수정이 잘된다.
(정답률: 74%)
  • 메밀의 이형예현상은 수술이 긴 꽃과 짧은 꽃이 혼합되어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현상은 꽃의 수술 길이에 따라서 꽃받침과 꽃잎의 형태가 달라지기 때문에 발생한다. 따라서, 장주화와 단주화를 조합하면 꽃의 형태가 다양해져서 수정이 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작물의 돌연변이 육종에 이용되는 인위적 유발원이 아닌 것은?

  1. 감마선(γ-ray)
  2. 중성자
  3. 근적외선
  4. Sodium azide(NaN3)
(정답률: 60%)
  • 근적외선은 작물의 돌연변이 육종에 이용되는 인위적 유발원이 아닙니다. 근적외선은 빛의 일종으로, 작물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만 유전자 변이를 유발하지는 않습니다. 반면, 감마선과 중성자, Sodium azide는 유전자 변이를 유발하는 인위적 유발원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벼 품종의 주요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내비성 품종은 질소 다비조건에서 도복과 병충해에 약하다.
  2. 수량이 높은 품종은 대체로 품질이 낮은 경향이 있다.
  3. 수수형 품종은 수중형 품종에 비해 이삭은 크지만 이삭 수는 적다.
  4. 조생종은 감온성에 비해 일반적으로 감광성이 크다.
(정답률: 65%)
  • 수량이 높은 품종은 대체로 품질이 낮은 경향이 있다. - 이는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수량을 우선시하는 경우, 품질에 대한 관리가 미흡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도정한 쌀을 일컫는 말은?

  1. 수도
  2. 조곡
  3. 정조
  4. 정곡
(정답률: 72%)
  • 도정한 쌀은 정곡이라고 부릅니다. "정곡"은 쌀을 도정하여 깨끗하게 정리한 상태를 말합니다. "수도"는 물을 뜻하며, "조곡"은 쌀을 담는 그릇을 뜻합니다. "정조"는 조선시대의 한 왕의 이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그림은 보리 잎의 구성이다. (가)~(라)의 명칭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정답률: 72%)
  • (가) : 잎자루
    (나) : 잎사귀
    (다) : 잎마디
    (라) : 잎뼈

    정답은 "①"이다. 보리 잎의 구성에서 (가)는 잎자루를, (나)는 잎사귀를, (다)는 잎마디를, (라)는 잎뼈를 나타낸다. 따라서, (가)와 (나)를 바르게 연결한 것이 "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콩과작물 중 다른 속(屬)에 속하는 작물은?

  1. 녹두
  2. 동부
  3. 강낭콩
(정답률: 57%)
  • 강낭콩은 콩과 속(屬)이 아닌, 라벤더과 속(屬)에 속하는 작물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광합성을 할 때 탄소를 고정하는 기작이 다른 것은?

  1. 담배
  2. 보리
  3. 옥수수
(정답률: 79%)
  • 옥수수는 C4 광합성을 수행하는 식물로, 일반적인 C3 광합성을 수행하는 식물들과는 달리 탄소 고정 기작이 다릅니다. C4 광합성은 CO2를 고정하는 데 있어서 C3 광합성보다 더 효율적이며, 이는 옥수수가 높은 생산성을 보이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작물육종 단계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가)→(나)→(다)→(라)→(마)
  2. (가)→(다)→(라)→(나)→(마)
  3. (가)→(라)→(나)→(마)→(다)
  4. (가)→(마)→(나)→(라)→(다)
(정답률: 72%)
  • 정답은 "(가)→(라)→(나)→(마)→(다)" 입니다.

    작물육종의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가) 선발: 원하는 특성을 가진 개체를 선택하여 번식시키는 단계입니다.
    (라) 교배: 선발된 개체들을 교배시켜 원하는 특성을 더욱 강화시키는 단계입니다.
    (나) 선택: 교배된 후손 중에서 원하는 특성을 가진 개체를 선택하여 번식시키는 단계입니다.
    (마) 시험: 선택된 후손들을 시험하여 원하는 특성을 가진 개체를 최종적으로 선발하는 단계입니다.
    (다) 생산: 최종적으로 선발된 개체들을 대량 생산하여 사용하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가)→(라)→(나)→(마)→(다)"가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벼의 조식재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확기의 조기화가 목적이 아니고, 다수확이 주된 목적이다.
  2. 분얼이 왕성한 시기에 저온기를 경과하여 영양생장기간의 연장으로 단위면적당 이삭 수 확보가 유리하다.
  3. 생육 기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시비량은 보통기 재배보다 감소할 수 있다.
  4. 일사량이 많은 최적 시기로 출수기를 변경시켜 줌으로 생리적으로 체내 탄수화물이 많게 되어 등숙비율이 높아진다.
(정답률: 63%)
  • 생육 기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시비량은 보통기 재배보다 감소할 수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벼의 조식재배는 생육 기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오히려 보통기 재배보다 더 많은 양의 비료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보리의 종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쌀보리는 유착 물질이 분비되어 성숙 후에 외부의 물리적 충격을 받아도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2. 바깥껍질과 안껍질에 싸여있는 영과(caryopsis)를 형성한다.
  3. 등 쪽 기부에 배(胚)가 있으며, 배 쪽에는 기부에서 정부로 길게 골이 있는데 이것을 종구라 한다.
  4. 내부 구조는 종피 안쪽에 호분층과 배, 배유로 이루어져 있다.
(정답률: 74%)
  • "쌀보리는 유착 물질이 분비되어 성숙 후에 외부의 물리적 충격을 받아도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라는 설명은 옳은 것이다. 이는 쌀보리의 외부에 있는 보호층이 강력하게 붙어있기 때문이다. 이 보호층은 쌀보리가 성장하면서 분비되는 유착 물질에 의해 형성되며, 외부의 충격이나 압력에도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에서 설명하는 옥수수 품종의 육종 방법은?

  1. 단교잡종
  2. 합성품종
  3. 복교잡종
  4. 방임수분품종
(정답률: 69%)
  • 옥수수 품종의 육종 방법 중 "단교잡종"은 부모 개체 중에서 특정한 성질을 가진 개체를 선택하여 교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면서도 원하는 성질을 빠르게 고정시킬 수 있어서 옥수수 품종 개량에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단교잡종"이 올바른 정답입니다. "합성품종"은 여러 개체를 교배하여 새로운 품종을 만드는 방법이며, "복교잡종"은 여러 개체를 교배하여 다양한 유전적 특성을 가진 개체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방임수분품종"은 특정한 성질을 가진 개체를 선택하여 교배하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옥수수 품종 육종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에서 설명하는 작물은?

  1. 수수
  2. 참깨
  3. 보리
  4. 옥수수
(정답률: 87%)
  • 그림에서 보이는 작물은 참깨이다. 이유는 참깨는 작은 씨앗이며, 그림에서 보이는 작물도 작은 씨앗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수, 보리, 옥수수는 참깨보다 큰 씨앗을 가지고 있으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땅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버지니아형이 스패니시형보다 적산온도와 평균기온이 높은 곳에서 재배하기에 알맞다.
  2. 수정과 동시에 자방병이 급속히 신장하여 씨방이 땅속으로 들어간다.
  3. 땅콩은 개화기간이 짧아 유효개화한계기 이전에 수확해야 한다.
  4. 햇빛은 결실과 자방병의 신장을 촉진하고, 습한 토양에서 빈 꼬투리가 많이 생성된다.
(정답률: 42%)
  • 땅콩은 버지니아형이 스패니시형보다 적산온도와 평균기온이 높은 곳에서 재배하기에 알맞다. 이는 땅콩이 따뜻한 기후를 선호하며, 버지니아형이 스패니시형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재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감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재배는 서늘한 기후에 알맞고 생육적온은 12~21°C이다.
  2. 주성분은 전분이며 보통 17~18% 함유되어 있지만 변이가 심하다.
  3. 가지과에 속하는 일년생식물이다.
  4. 줄기의 지하절에는 포복경이 발생하고, 그 끝이 비대하여 괴근을 형성한다.
(정답률: 47%)
  • 감자는 가지과에 속하는 일년생식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작물의 생리 작용과 빛의 파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과, 딸기 등의 과일 착색에는 자외선이나 자색광 파장이 효과적이다.
  2. 온실이나 하우스에서 자란 식물은 적외선 부근의 빛 부족으로 웃자라기 쉽다.
  3. 굴광현상은 440~480nm의 청색광이 가장 유효하다.
  4. Phytochrome은 적색광을 흡수하면 광발아성 종자의 발아를 촉진한다.
(정답률: 57%)
  • 옳지 않은 설명은 "온실이나 하우스에서 자란 식물은 적외선 부근의 빛 부족으로 웃자라기 쉽다." 이다. 온실이나 하우스에서는 일반적으로 적외선 부근의 빛도 충분히 공급되기 때문에 웃자라기 쉽지 않다. 오히려 높은 온도와 습도 등의 환경적 요인이 웃자라기를 유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벼 직파재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건답직파는 담수직파보다 잡초 발생이 많다.
  2. 담수직파는 건답직파에 비해 질소질 비료의 용탈이나 유실이 많다.
  3. 줄기가 가늘고 뿌리가 토양 표층에 많이 분포하여 도복이 증가한다.
  4. 담수직파재배 시 파종 후에 지나치게 깊게 관개하면 입모율이 저하되기 쉽다.
(정답률: 54%)
  • 담수직파는 건답직파에 비해 질소질 비료의 용탈이나 유실이 많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오히려 담수직파는 건답직파보다 비료 흡수율이 높아서 비료 효율이 더 좋습니다. 이유는 담수직파는 뿌리가 깊게 뻗어서 토양 속 깊은 곳의 비료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벼 특수재배양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조기재배는 감광성 품종을 보온육묘하는 중남부 및 산간고랭지 재배형이다.
  2. 조식재배는 조생 품종을 이용하는 평야지 2모작지대 재배형이다.
  3. 만기재배는 콩, 옥수수 등의 뒷그루로 늦게 이앙하는 중남부 평야지 재배형이다.
  4. 만식재배는 적기에 파종했으나, 물 부족이나 앞그루 수확이 늦어져 늦게 이앙하는 재배형이다.
(정답률: 67%)
  • 벼의 특수재배양식 중 만식재배는 적기에 파종했으나, 물 부족이나 앞그루 수확이 늦어져 늦게 이앙하는 재배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벼 뿌리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질소 시비량이 많아지면 1차근장이 길어진다.
  2. 재식밀도가 높아지면 깊게 뻗는 1차근의 비율이 감소한다.
  3. 상시담수에 비해 간단관수를 한 토양에서는 1차근수가 많다.
  4. 벼 뿌리는 밭 상태에서보다는 논 조건에서 보다 곧게 자란다.
(정답률: 44%)
  • "질소 시비량이 많아지면 1차근장이 길어진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질소는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특히 벼는 질소를 많이 필요로 한다. 따라서 질소가 많아지면 벼의 생장이 촉진되어 1차근장이 길어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고구마 재배에서 비료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질소 비료가 과다하면 지상부만 번성하고 지하부의 수량이 다소 감소한다.
  2. 칼리 비료가 부족하면 잎이 작아지고 농녹색으로 되며 광택이 나빠진다.
  3. 인산 비료는 고구마의 수량에 영향을 주지만 품질과는 무관하다.
  4. 미숙 퇴비나 낙엽, 생풀 등을 이식 전에 주면 활착이 좋다.
(정답률: 54%)
  • 질소는 식물의 생장에 중요한 영양소이지만, 과다하게 공급되면 지상부의 생장만 촉진되고 지하부의 생장은 저하됩니다. 이는 고구마의 경우 뿌리 부분이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지하부의 생장이 감소하면 수량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구마 재배에서는 적정량의 질소 비료 공급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맥류의 식물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2줄보리-3개의 작은 이삭 중 바깥쪽 2개는 퇴화하고 이삭줄기 양쪽으로 2줄의 종실이 있는 형태이다.
  2. 호밀-자가불임성이 높은 작물이며 내동성이 극히 강하다.
  3. 귀리-종실에 비타민A 함량이 높으며 수이삭이 암이삭보다 먼저 성숙하는 자웅동주이화식물이다.
  4. 밀-6배체가 일반적인 게놈형태이며 단백질의 함량에 따라 가공적성이 달라진다.
(정답률: 60%)
  • 귀리는 종실에 비타민A 함량이 높으며 수이삭이 암이삭보다 먼저 성숙하는 자웅동주이화식물이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귀리는 수이삭이 아닌 종실이 있고, 수이삭보다는 암이삭이 먼저 성숙하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