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정보봉사개론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8-24)

9급 지방직 공무원 정보봉사개론
(2013-08-24 기출문제)

목록

1. 정보서비스의 기능 중에서 정보제공에 속하는 직접적인 활동내용이 아닌 것은?

  1. 정보중재
  2. 질문과 해답
  3. 데이터베이스 구축
  4. 정보중개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제공은 정보서비스의 핵심 기능 중 하나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정보제공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활동이 아닙니다.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저장하기 위한 기술적인 작업으로, 정보제공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정보서비스의 기능 중에서는 정보제공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도서관이 원격 이용자에게 사서와 주제전문가의 문헌정보, 인터넷정보원, 주제 분야에 관한 전문지식과 경험을 제공하는 서비스는?

  1. 독서상담서비스
  2. 디지털정보서비스
  3. 맞춤정보서비스
  4. 문헌배달서비스
(정답률: 알수없음)
  • 디지털정보서비스는 원격 이용자에게 사서와 주제전문가의 문헌정보, 인터넷정보원, 주제 분야에 관한 전문지식과 경험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이는 독서상담서비스나 맞춤정보서비스와는 달리 디지털적인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하며, 문헌배달서비스와는 달리 이용자가 직접 도서관에 방문하지 않아도 이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마치오니니(Marchionini)의 4가지 브라우징 전략 중 ㉠에 적합한 전략은?

  1. 관찰하기(observe)
  2. 훑어보기(scan)
  3. 항해하기(navigate)
  4. 모니터하기(monitor)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처럼 전체적인 내용을 대략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필요한 경우에는 "훑어보기(scan)" 전략이 적합합니다. "관찰하기"는 세부적인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는 것이 필요한 경우에 적합하며, "항해하기"는 목적지를 정하고 그에 맞게 이동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에 적합합니다. "모니터하기"는 변화나 업데이트된 정보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참고정보원 중 어린이 및 청소년을 위한 백과사전은?

  1. Compton's Encyclopedia
  2.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3. The Columbia Gazetteer of the World
  4. Biography and Genealogy Master Index
(정답률: 알수없음)
  • Compton's Encyclopedia는 어린이 및 청소년을 위한 백과사전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과 그림, 사진 등을 제공하여 학습에 도움을 주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정보의 내용에 따라 참고정보원의 유형을 분류할 때, 이차 참고정보원(서지정보원)에 해당하는 것만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이차 참고정보원(서지정보원)은 주로 도서나 기사 등의 출판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ㄱ, ㄴ"이 정답인 이유는, 도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도서관(ㄱ)"과 "출판사(ㄴ)"가 이차 참고정보원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ㄱ, ㄹ"은 일반적인 참고자료를 제공하는 "도서관(ㄱ)"과 "박물관(ㄹ)"이므로 이차 참고정보원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ㄴ, ㄷ"은 출판사(ㄴ)와 도서관(ㄷ)으로, 출판사는 이차 참고정보원에 해당하지만 도서관은 일반적인 참고자료를 제공하는 곳이므로 이차 참고정보원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ㄷ, ㄹ"은 도서관(ㄷ)과 박물관(ㄹ)으로, 이 둘은 모두 일반적인 참고자료를 제공하는 곳이므로 이차 참고정보원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전세계의 학술지를 대상으로 영향력 지수와 관련된 인용정보를 일 년 주기로 발행하여 학술지 평가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1. JCR
  2. Dialog
  3. OAIster
  4. Elsevier Science Direct
(정답률: 알수없음)
  • JCR은 Journal Citation Reports의 약자로, 전 세계의 학술지를 대상으로 영향력 지수와 관련된 인용정보를 일 년 주기로 발행하여 학술지 평가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JCR과는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대상 영역과 메타데이터 스키마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에이전트: vCard, FOAF
  2. 출판유통: XrML, ODRL
  3. 교육: LOM, GEM, SCORM
  4. 박물관, 미술관: VRA, CDWA, CCO
(정답률: 알수없음)
  • 출판유통과 관련된 메타데이터 스키마는 XrML과 ODRL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두 스키마는 대상 영역이 아닌, 디지털 권리 관리와 보안 분야에서 사용되는 스키마입니다. 따라서 출판유통과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정보안내서비스의 서비스 시행단계를 계획단계, 시행단계, 평가단계로 구분할 때, 시행단계 업무만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안내서비스의 서비스 시행단계에서 시행단계는 실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이므로, 이 단계에서 수행되는 업무들만을 모두 고르면 됩니다. 따라서 "ㄱ, ㄴ, ㄷ"이 정답입니다. "ㄱ"은 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ㄴ"은 고객 정보 등록 및 관리, "ㄷ"은 고객 문의 및 불만 처리와 같이 시행단계에서 필요한 주요 업무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ㄹ"은 계획 및 평가와 관련된 업무이므로, 시행단계에서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자연어 색인과 통제어휘 색인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연어를 색인어로 선택하면 통제어휘 사용에 비해 동형이의어 문제를 제거할 수 있다.
  2. 자연어를 색인어로 선택하면 통제어휘 사용에 비해 분류시스템의 호환성에 많은 문제가 발생한다.
  3. 통제어휘를 색인어로 선택하면 자연어 사용에 비해 동의어 문제를 제거할 수 있다.
  4. 통제어휘를 색인어로 선택하면 자연어 사용에 비해 정보표현과 검색의 정확성이 증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통제어휘를 색인어로 선택하면 자연어 사용에 비해 동의어 문제를 제거할 수 있다. 이는 통제어휘가 동의어를 허용하지 않고, 하나의 정해진 용어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검색 시 동의어로 인한 검색 오류를 줄일 수 있고, 검색 결과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 이용자 교육은?

  1. 특정자료 이용교육
  2. 도서관 이용지도
  3. 서비스 현장교육
  4. 오리엔테이션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은 새로운 환경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는 것으로, 새로 입사한 직원이나 학생 등이 처음 방문하는 곳에서 제공되는 교육이다. 따라서 이 그림은 "오리엔테이션"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참고사서가 이용자의 질문을 듣고 되물을 때, 응용할 수 있는 질문방법으로는 폐쇄적 질문, 개방적 질문, 중립적 질문이 있다. 일반적인 참고봉사 상황에서 가장 바람직한 질문의 진행방법은?

  1. 개방적 질문 → 폐방적 질문 → 폐쇄적 질문
  2. 중립적 질문 → 개방적 질문 → 폐쇄적 질문
  3. 폐쇄적 질문 → 중립적 질문 → 개방적 질문
  4. 개방적 질문 → 중립적 질문 → 폐쇄적 질문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인 참고봉사 상황에서는 이용자의 상황을 잘 이해하고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개방적 질문을 먼저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 후에 중립적 질문을 통해 더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마지막으로 폐쇄적 질문을 사용하여 최종적인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개방적 질문 → 중립적 질문 → 폐쇄적 질문"이 가장 바람직한 진행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검색어휘의 표현에 다양한 변형을 허용하고자 사용하는 어휘절단 연산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특정어휘에 적용되므로 이항 연산자이다.
  2. 주로 어휘의 변형이 많은 영어로 된 어휘에 많이 적용된다.
  3. 절단(truncation)은 와일드카드(wildcard) 또는 스테밍(stemming)이라고도 한다.
  4. 어휘의 적당한 부분을 절단하여야만 유용한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을 때 사용되지만, 너무 많이 절단하면 불필요한 검색결과를 얻게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특정어휘에 적용되므로 이항 연산자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어휘절단 연산자는 단항 연산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시각장애인과 독서장애인을 위한 매체로 국제적인 디지털 음성 표준 포맷은?

  1. RDF
  2. JPEG
  3. DAISY
  4. MPEG 7
(정답률: 알수없음)
  • DAISY는 "Digital Accessible Information System"의 약자로, 디지털 접근 가능한 정보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시각장애인과 독서장애인을 위한 매체로 사용되며, 텍스트, 음성, 이미지 등 다양한 형식의 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DAISY는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디지털 음성 표준 포맷으로, 접근성을 높이고 정보의 공유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DAISY가 시각장애인과 독서장애인을 위한 매체로 국제적인 디지털 음성 표준 포맷으로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RSS(Rich Site Summary) 서비스의 유형이 아닌 것은?

  1. 소급 자료의 탐색
  2. 도서관 블로그 구독
  3. 도서관 공지사항 구독
  4. 검색결과의 주기적 전달
(정답률: 알수없음)
  • RSS 서비스는 주로 새로운 정보나 업데이트된 내용을 구독자에게 주기적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소급 자료의 탐색"은 RSS 서비스의 유형이 아닙니다. "소급 자료의 탐색"은 도서관의 카탈로그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과거에 출판된 자료를 찾는 기능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정보서비스를 평가하는 방법은 상황에 따라 특정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그 요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술과 비용
  2. 목적과 범위
  3. 시간과 주체
  4. 목록과 표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목록과 표준

    설명: 기술과 비용, 목적과 범위, 시간과 주체는 모두 정보서비스를 평가하는데 중요한 요인이다. 하지만 목록과 표준은 평가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목록은 정보를 정리하고 구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지만, 정보서비스의 질을 평가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또한 표준은 정보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하지만, 평가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소셜 태깅(social tagg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최종이용자가 인터넷 상의 정보를 색인하는 수단의 하나이다.
  2. 폭소노미는 색인전문가에 의해 만들어진 태그로 구축된 택소노미이다.
  3. 태그구름은 태그빈도에 기초하여 사이트에서 만들어진 시각적 태그집성이다.
  4. 태깅은 정보표현의 새로운 방법으로서, 정보검색 분야를 확장시키는 혁신을 초래하였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폭소노미는 색인전문가에 의해 만들어진 태그로 구축된 택소노미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폭소노미는 최종 이용자들이 자유롭게 태그를 생성하고 공유하는 방식으로 구축된 태그 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정보서비스의 평가요소를 제시한 사람과 그의 주장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봅(Bopp)은 참고자원의 평가, 참고조사업무의 평가, 정보서비스의 평가 등 3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에서 필요한 평가요소를 제시하였다.
  2. 짜이찌(Zweizig)는 정보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 직접서비스, 참고집서, 타 기관과의 협력, 정보서비스 운영체계, 재정적 측면 등 6개 영역의 평가를 주장하였다.
  3. 휘틀래치(Wjhitlatch)는 담당자의 개인적인 성과, 장서개발, 새로운 기술과 정보서비스의 소개, 서비스와 직원평가, 운영능력 등 5가지의 요소에 대해 평가할 것을 주장하였다.
  4. 랑카스터(Lancaster)는 사실형질문의 답변에 대한 평가에 한정하여 특정기간 동안 접수된 참고질문의 총 건수, 해결을 시도한 참고질문 수, 참고사서가 해결한 참고질문 수, 해결된 참고질문의 정확률, 한 이용자당 평균 참고질문 처리시간 등 5가지 평가범주를 제시하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랑카스터(Lancaster)는 사실형질문의 답변에 대한 평가에 한정하여 특정기간 동안 접수된 참고질문의 총 건수, 해결을 시도한 참고질문 수, 참고사서가 해결한 참고질문 수, 해결된 참고질문의 정확률, 한 이용자당 평균 참고질문 처리시간 등 5가지 평가범주를 제시하고 있다."는 "랑카스터(Lancaster)"의 주장이지만, 문제에서는 "정보서비스의 평가요소를 제시한 사람과 그의 주장이 잘못 연결된 것은?"이라고 되어 있으므로,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없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정보검색시스템의 검색 성능을 평가하는 척도의 값이 1이 되는 것은?

  1. 잡음률+재현율
  2. 누락률+재현율
  3. 배제율+정확률
  4. 부적합률+재현율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검색시스템의 검색 성능을 평가하는 척도의 값이 1이 되기 위해서는 검색된 모든 문서가 관련성이 있는 문서이어야 하며, 누락된 관련성 있는 문서가 없어야 합니다. 따라서 검색 성능을 평가하는 척도의 값이 1이 되기 위해서는 누락률+재현율이 1이 되어야 합니다. 누락률은 관련성 있는 문서 중 검색되지 않은 문서의 비율을 나타내고, 재현율은 검색된 문서 중 관련성 있는 문서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누락률+재현율이 1이 되면 검색된 모든 관련성 있는 문서를 검색한 것이므로 검색 성능이 최적화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ISO 11620 ‘성과지표’의 속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타당성은 측정하고자 의도한 것을 측정하는 속성이다.
  2. 적절성은 도서관의 절차 및 근무환경의 적합성에 관한 속성이다.
  3. 신뢰성은 동일한 환경에서 사용될 때 동일한 결과의 산출여부에 관한 속성이다.
  4. 비교성은 문제점을 식별하고 가능한 행동을 취하는 데 도움이 되는 속성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옳지 않은 설명은 "적절성은 도서관의 절차 및 근무환경의 적합성에 관한 속성이다."입니다. 적절성은 조직의 목표와 전략에 부합하며, 조직의 역할과 책임을 수행하는 능력에 관한 속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소스코드가 공개된 상태로 공급되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OSS)가 아닌 것은?

  1. DSpace
  2. Fedora
  3. Greenstone
  4. Topic Maps
(정답률: 알수없음)
  • Topic Maps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가 아니라 표준화된 데이터 모델링 기술이기 때문에 소스코드가 공개되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와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