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정보봉사개론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6-21)

9급 지방직 공무원 정보봉사개론
(2014-06-21 기출문제)

목록

1. 이용자에 대한 참고사서의 인적 협조를 반대했던 인물은?

  1. Samuel S. Green
  2. Charles A. Cutter
  3. William F. Poole
  4. Melvil Dewey
(정답률: 알수없음)
  • Charles A. Cutter는 개인의 독립성과 개인정보 보호를 중요시하며, 이용자에 대한 참고사서의 인적 협조를 반대했습니다. 그는 도서관이 이용자의 독서 기록을 수집하고 공유하는 것이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정보서비스의 평가 유형 중 공개조사법(obtrusive test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사서들이 평가받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어 실제 정보서비스 상황과 큰 차이가 발생할 수도 있다.
  2. 자연스러운 업무 상황에서 사서를 평가하므로 정보서비스 평가 결과를 신뢰할 수 있다.
  3. 사전에 면밀한 계획을 세워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대리 이용자의 교육 등에 비용이 많이 든다.
  4. 윤리적인 문제로 평가 자체에 대한 부정적 반응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윤리적인 문제로 평가 자체에 대한 부정적 반응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있다."입니다. 공개조사법은 자연스러운 업무 상황에서 사서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사서들이 평가받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어 실제 정보서비스 상황과 큰 차이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사전에 면밀한 계획을 세워야 하므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됩니다. 하지만 가장 큰 문제는 평가 자체에 대한 부정적 반응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평가 대상자들이 자신의 업무 능력이나 성과를 공개적으로 평가받는 것에 대해 불안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기술에 해당하는 것은?

  1. Metadata
  2. Creative Commons License
  3. Greenstone
  4. Digital Fingerprinting
(정답률: 알수없음)
  •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기술 중에서, 디지털 지문 기술인 Digital Fingerprinting은 콘텐츠의 고유한 식별자를 생성하여 불법 복제나 유포를 감지하고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Digital Fingerprinting이 저작권 보호 기술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정보이용행태 모형 중 Brenda Dervin이 제시한 의미형성이론의 핵심 개념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은?

  1. 의도-상황-선택
  2. 탐색-선택-이용
  3. 형성-탐색-선택
  4. 상황-격차-이용
(정답률: 알수없음)
  • Brenda Dervin의 의미형성이론에서 핵심 개념은 상황-격차-이용입니다. 이 이론은 정보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개인이 정보를 받아들이는 상황과 그 상황에서 겪는 문제 또는 격차를 이해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정보를 선택하고 이용하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따라서, 이론의 핵심 개념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은 "상황-격차-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시소러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불용어를 포함하여 문헌의 주제와 관련된 용어의 상호관계를 보여 준다.
  2. 색인 작성 시 적절한 색인어를 선택ㆍ통제하거나 검색 시 적절한 검색어의 선택과 확장이나 축소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3. 분류표, 주제명표목표와 더불어 색인어휘를 제공하는 통제어휘집의 일종이다.
  4. UF는 비우선어를 제시해 주며, BT 및 NT는 상하위 개념의 용어를 제시해 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소러스는 불용어를 포함하여 문헌의 주제와 관련된 용어의 상호관계를 보여주는 것이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현대적 정보검색 방법 개발에 기여한 Mortimer Taube가 창안한 것은?

  1. 조합색인
  2. SDI 서비스
  3. 자동색인 알고리즘
  4. 적합성 피드백 기법
(정답률: 알수없음)
  • Mortimer Taube가 개발한 조합색인은 검색어와 문서의 특정 단어들을 조합하여 인덱스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이전의 단순한 키워드 검색 방식보다 더 정확한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현대적 정보검색 방법의 발전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표와 같이 전체 문헌을 네 개의 집단으로 구분하였을 때 검색효율의 값[%]은? (단, 검색효율은 “재현율+배제율-1”이다.)

  1. -27.5
  2. 35
  3. 47.5
  4. 62.5
(정답률: 알수없음)
  • 검색효율은 “재현율+배제율-1”이므로, 각 집단의 재현율과 배제율을 계산하여 더하고 1을 빼면 된다.

    집단 A의 재현율 = 80%, 배제율 = 20%
    집단 B의 재현율 = 60%, 배제율 = 40%
    집단 C의 재현율 = 40%, 배제율 = 60%
    집단 D의 재현율 = 20%, 배제율 = 80%

    따라서, 검색효율 = (80% + 20%) + (60% + 40%) + (40% + 60%) + (20% + 80%) - 1 = 62.5%

    정답은 6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에 제시된 정보검색 모델에서 ‘용어가중치’를 사용하는 모델로만 구성된 것은?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ㄴ, ㄹ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ㄱ, ㄹ"입니다. 이 모델은 '용어가중치'를 사용하는 모델로만 구성되어 있습니다. 즉, 검색어와 문서의 단어들 간의 중요도를 판단하여 가중치를 부여하고, 이를 기반으로 검색 결과를 도출합니다. 따라서 '용어가중치'를 사용하는 모델로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ㄱ, ㄹ"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정보검색에서 재현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색인어보다 자연어를 사용한다.
  2. 가능한 한 많은 유의어를 포함시킨다.
  3. AND 연산자를 가능한 한 적게 사용한다.
  4. 서명필드에서 탐색용어를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서명필드는 작성자나 발행기관 등의 정보를 담고 있는 필드이기 때문에 검색용어로 사용할 경우 검색 결과가 제한될 가능성이 높아서 재현율을 높이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서명필드에서 탐색용어를 사용한다."는 옳지 않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LibQUAL+ 척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웹 기반 이용자 조사를 통해 도서관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을 측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2. 도서관 장서 평가만을 위해 개발되어 도서관 장서의 물리적 제공과 접근성을 측정하도록 하고 있다.
  3. 개별 도서관의 이용자 조사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다.
  4. 다수의 도서관이 공유할 수 있는 비교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도서관 장서 평가만을 위해 개발되어 도서관 장서의 물리적 제공과 접근성을 측정하도록 하고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LibQUAL+ 척도는 도서관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을 측정하는 것이 목적이며, 이용자 조사를 통해 개별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을 평가하고, 다수의 도서관이 공유할 수 있는 비교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글이 설명하는 것에 해당하는 것은?

  1. taxonomy
  2. folksonomy
  3. ontology
  4. thesaurus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글은 정보 검색에서 사용되는 분류 체계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ontology"는 개념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체계를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분류 체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정보서비스 평가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제성 평가는 비용 대 효과성, 생산성을 측정하는 것이다.
  2. 자원 평가는 자료, 이용자, 시설의 양과 질을 측정하는 것이다.
  3. 서비스과정 평가는 제공된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4. 서비스의 성과 및 산출물 평가는 제공된 해답 또는 정보의 질과 관련된 문제를 측정하는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자원 평가는 자료, 이용자, 시설의 양과 질을 측정하는 것이다."가 아닌 "서비스과정 평가는 제공된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는 것이다."이다. 서비스과정 평가는 제공된 서비스의 과정과 절차를 평가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서비스의 개선점을 찾아내고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IPL(Internet Public Librar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995년 미시간 대학 문헌정보학 대학원의 프로젝트로 출발하였다.
  2. MeL(Michigan eLibrary)과 Online Reference Collection 등과 함께 대표적인 온라인 가상참고서가이다.
  3. 대학생들 이상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전문적인 내용의 정보원을 제공한다.
  4. 현재는 IPL2의 이름으로 주제별 정보원, 뉴스ㆍ잡지 정보원 등 몇 개의 카테고리로 나누어 서비스하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IPL(Internet Public Librar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대학생들 이상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전문적인 내용의 정보원을 제공한다."이다. IPL은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가상 도서관으로, 전문적인 내용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정보도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정보안내서비스(Information&Referral Servic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참고도구로 비책자형 자원파일보다는 책자형 참고자료에 의존하는 서비스이다.
  2. 지역사회의 주민들과 그들의 요구에 맞는 사회봉사기관과 연결시켜 주기도 한다.
  3. 이용자에게 적절한 자료와 정보를 수록한 최신 지역정보파일을 갖고 있어야 한다.
  4. 도나휴는 사회적 혜택을 받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건강, 주거 등 생존에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라고 정의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참고도구로 비책자형 자원파일보다는 책자형 참고자료에 의존하는 서비스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정보안내서비스는 비책자형 자원파일과 책자형 참고자료 모두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OSI 7계층 참조 모델의 계층 구조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물리계층-데이터링크계층-네트워크계층-트랜스포트계층-표현계층-세션계층-응용계층
  2. 물리계층-네트워크계층-데이터링크계층-트랜스포트계층-세션계층-표현계층-응용계층
  3. 물리계층-네트워크계층-데이터링크계층-트랜스포트계층-표현계층-세션계층-응용계층
  4. 물리계층-데이터링크계층-네트워크계층-트랜스포트계층-세션계층-표현계층-응용계층
(정답률: 알수없음)
  • OSI 7계층 참조 모델의 계층 구조는 물리계층, 데이터링크계층, 네트워크계층, 트랜스포트계층, 세션계층, 표현계층, 응용계층 순서로 나열됩니다. 이는 데이터 통신 과정에서 하드웨어적인 전송부터 응용 프로그램까지의 과정을 담당하는 계층들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입니다. 물리계층은 전기적, 기계적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데이터링크계층은 물리적인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합니다. 네트워크계층은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트랜스포트계층은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하고 흐름을 제어합니다. 세션계층은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표현계층은 데이터의 형식을 변환하고 암호화, 복호화를 수행합니다. 마지막으로 응용계층은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과 상호작용하며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가상참고서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바일 기술과 인터넷 접근이 가능한 곳이면 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2. 일반참고정보원에서부터 주제분야의 참고정보원에 이르기까지 망라적으로 수록하고 있다.
  3. 웹 정보의 특성상 정보의 신뢰성과 객관성이 결여될 수 있다.
  4. 이용자가 참고사서에게 질문하지 않고도 스스로 접근하여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웹 정보의 특성상 정보의 신뢰성과 객관성이 결여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인터넷에는 누구나 정보를 올릴 수 있기 때문에, 정보의 출처와 신뢰성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정보의 주체가 다양하기 때문에 주관적인 의견이 섞일 수 있어 객관성도 결여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디지털 도서관의 통합검색 유형 중 메타 통합 검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통합검색 대상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개별 메타데이터를 수집하여 통합 메타데이터로 구축한 후 검색한다.
  2. 대표적인 표준이나 요소기술로 Z39.50, SRU, Web Services, Web/CGI, OpenAPI 등이 있다.
  3. 검색과정 자체는 매우 단순하지만, 다양한 포맷의 메타데이터를 통합하는 작업이 복잡하고 어려울 수 있다.
  4. 대표적 기법은 OAI-PMH라는 메타데이터 수확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대표적 기법은 OAI-PMH라는 메타데이터 수확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이다."이다.

    설명: 메타 통합 검색은 통합검색 대상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개별 메타데이터를 수집하여 통합 메타데이터로 구축한 후 검색하는 방식이다. 대표적인 표준이나 요소기술로 Z39.50, SRU, Web Services, Web/CGI, OpenAPI 등이 있다. 검색과정 자체는 매우 단순하지만, 다양한 포맷의 메타데이터를 통합하는 작업이 복잡하고 어려울 수 있다. OAI-PMH는 메타데이터를 수집하는 프로토콜이지만, 메타 통합 검색의 대표적인 기법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도서관 이용자교육의 질적인 평가를 위한 근거 자료가 될 수 없는 것은?

  1. 이용자 대상 개방형 설문
  2. 이용자 관찰
  3. 도서관 이용 빈도
  4. 심층 면담
(정답률: 알수없음)
  • 도서관 이용 빈도는 도서관 이용자교육의 질적인 평가를 위한 근거 자료가 될 수 없습니다. 이는 도서관 이용 빈도가 도서관 이용자의 학습 성취도나 학습 만족도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용자 대상 개방형 설문, 이용자 관찰, 심층 면담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도서관 이용자교육의 질적인 평가를 수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Eisenberg와 Berkowitz의 Big6 모형에서 핵심 전략과 하위 절차의 연결로 옳은 것은?

  1. 탐색전략 수립-정보원의 활용 정도를 평가해 최선의 정보원 선정
  2. 정보의 식별과 접근-최종 과제물 작성
  3. 정보이용-문제 해결에 필요한 정보 확인
  4. 통합-적합한 정보원으로부터 필요한 정보 추출
(정답률: 알수없음)
  • 탐색전략 수립은 정보를 찾기 위한 계획을 세우는 것이며, 이 과정에서 정보원의 활용 정도를 평가하여 최선의 정보원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후속 절차에서 필요한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탐색전략 수립은 하위 절차인 정보의 식별과 접근, 정보이용, 통합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자동 색인어 선정을 위한 통계적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문헌에서 사용된 단어의 출현빈도를 계산하여 각 단어의 중요도를 측정한 후 특정 기준치에 의거하여 색인어를 선정하는 방법이다.
  2. 통계적 기법 중 하나인 단어빈도 방법에 의하면 고빈도와 저빈도의 단어는 색인어로 적합하지 않고 중간빈도 단어가 주제어로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3. S. Jones는 전체 문헌 집단에서 특정 단어의 출현빈도가 높을수록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통계적 기법을 제안하였다.
  4. S. P. Harter가 제시한 2-포아송 분포모형은 각 문헌이 질문에 대한 답으로 적합할 확률과 부적합할 확률을 산출하여 적합할 확률이 큰 문헌을 먼저 출력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S. Jones는 전체 문헌 집단에서 특정 단어의 출현빈도가 높을수록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통계적 기법을 제안하였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 S. Jones는 "문헌에서 사용된 단어의 출현빈도를 계산하여 각 단어의 중요도를 측정한 후 특정 기준치에 의거하여 색인어를 선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