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정보봉사개론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6-27)

9급 지방직 공무원 정보봉사개론
(2015-06-27 기출문제)

목록

1. 메건 윈젯(Megan Winget)이 제시한 도서관, 기록관, 박물관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통합형수집기관은?

  1. 정보광장
  2. 라이브러리파크
  3. 스마트도서관
  4. 라키비움
(정답률: 알수없음)
  • 라키비움은 도서관, 기록관, 박물관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통합형 수집기관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정보관리, 도서관, 스마트기술 등에 초점을 둔 단일 기능의 시설이므로, 라키비움이 유일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문헌정보학 분야의 이론과 주창자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서지결합법(Citation Coupling)-무어스(Mooers)
  2. 최소노력의 법칙(Principle of Least Effort)-지프(Zipf)
  3. 인용집중의 법칙(Law of Concentration)-브래드포드(Bradford)
  4. 동시인용분석기법(Cocitation Analysis)-케슬러(Kessler)
(정답률: 알수없음)
  • 최소노력의 법칙은 자연어와 관련된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는 법칙으로, 언어 사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의미를 가장 적은 노력으로 전달하기 위해 자주 사용하는 단어나 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지프가 발견하였습니다. 이 법칙은 문헌정보학 분야에서도 적용되어, 문헌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나 주제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최소노력의 법칙과 지프는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밀접한 연관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정보원 중에서 1차정보로 옳지 않은 것은?

  1. 투고 전에 연구자에게 비공식적으로 배포된 출판전 배포기사
  2. 학습용으로 제작된 CD-ROM판 백과사전
  3. 레터(letter)를 전문으로 발행하는 레터지
  4. 편집 위원의 심사를 거쳐 수정 게재된 학술잡지 기사
(정답률: 알수없음)
  • 학습용으로 제작된 CD-ROM판 백과사전은 1차정보가 아닌 보조적인 참고자료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정보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단어 A를 이용한 정보탐색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을 때, 재현율 향상을 위한 재탐색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어 A를 절단하여 재탐색하였다.
  2. A OR B로 재탐색하였다. (단, 단어 B는 단어 A와 동의어이다)
  3. 다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재탐색하였다.
  4. WITH 연산자를 이용하여 재탐색하였다.
(정답률: 알수없음)
  • WITH 연산자는 이미 검색된 결과를 임시 테이블로 저장하고, 이를 다시 쿼리하여 추가적인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 방법은 단어 A를 이용한 정보탐색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을 때, 재현율 향상을 위한 재탐색 방법으로 옳은 것이다. 단어 A를 절단하거나, A OR B로 재탐색하는 방법은 검색어를 변경하는 것이므로, 재현율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다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재탐색하는 방법은 검색 대상을 변경하는 것이므로, 재현율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는 한계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대학이나 연구기관에서 생산한 학술정보를 공개적으로 수집ㆍ저장하여 학내외 이용자들에게 무료로 제공하는 디지털 아카이브는?

  1. 기관 리포지토리 (Institutional Repository)
  2. 가상참고서가 (Virtual Reference Shelves)
  3. 자원 파일 (Resources File)
  4. 패스파인더(Pathfinder)
(정답률: 알수없음)
  • 기관 리포지토리는 대학이나 연구기관에서 생산한 학술정보를 수집ㆍ저장하여 무료로 제공하는 디지털 아카이브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가상참고서, 자원 파일, 패스파인더 등과 같이 정보 검색을 위한 도구나 자료들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레틱(Rettig)의 커뮤니케이션 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용자가 사서에게 질문함으로써 커뮤니케이션이 시작된다.
  2. 질문과 피드백의 횟수가 늘어날수록 전달의 효용성이 증가한다.
  3. 의미적 소음은 피드백을 일으키는 요소로 작용한다.
  4. 바브렉(Vavrek)의 커뮤니케이션 모델 개발에 영향을 주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바브렉(Vavrek)의 커뮤니케이션 모델 개발에 영향을 주었다."는 옳은 설명이다. 레틱의 커뮤니케이션 모델은 이용자와 사서 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 모델로, 질문과 피드백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의미적 소음이 피드백을 일으키는 요소로 작용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이 모델은 바브렉의 커뮤니케이션 모델 개발에 영향을 주었으며, 바브렉은 이 모델을 보완하여 자신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그림이 의미하는 정보탐색 전략은? (단, 음영부분이 탐색결과이다)

  1. 최소 자료 패싯 우선 전략(lowest posting facet first)
  2. 인용문헌 확대 탐색 전략(citation pearl growing)
  3. 점진 분할 전략(successive fraction)
  4. 특정 패싯 우선 전략(most specific facet first)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점진 분할 전략을 나타낸다. 점진 분할 전략은 대상을 점점 더 작은 부분으로 나누어가며 탐색하는 전략으로, 처음에는 전체 대상을 대략적으로 분류하고, 그 다음에는 세부적인 분류로 나누어가며 탐색한다. 이 그림에서도 처음에는 대분류로 나누어진 후, 세부적인 분류로 나누어가며 탐색결과를 도출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디지털 정보서비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웹 폼(web-form) 방식은 질문내용 뿐만 아니라 이용자 정보도 파악할 수 있다.
  2. 화상회의시스템은 사서와 이용자가 음성이나 문자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대화가 이루어지며, 일대일 또는 일대 다수를 위한 서비스에 사용될 수 있다.
  3. ‘Qwidget’은 사서와 이용자가 동일한 웹 페이지를 공유하면서 상담할 수 있는 기술이다.
  4. ‘24/7 Reference’ 소프트웨어는 채팅정보서비스와 관련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Qwidget'은 사서와 이용자가 동일한 웹 페이지를 공유하면서 상담할 수 있는 기술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Qwidget은 사서와 이용자가 동일한 웹 페이지를 공유하는 것이 아니라, 사서가 상담을 위한 웹 페이지를 생성하고 이용자는 해당 페이지에 접속하여 상담을 받는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참고면담에서 비언어적 기법 중 신체언어의 적용사례로 옳은 것은?

  1. 참고사서는 면담시 이용자에게 친근감을 보이기 위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2. 참고사서는 이용자를 반기고, 그에게 관심을 기울이고 있음을 표정으로 나타내어야 한다.
  3. 참고사서는 억양이나 음색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이용자의 자유로운 질문표현을 유도해야 한다.
  4. 참고사서는 의복, 화장 등이 이용자와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참고사서는 이용자를 반기고, 그에게 관심을 기울이고 있음을 표정으로 나타내어야 한다."입니다. 이유는 이용자와의 상호작용에서 신체언어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참고사서는 이용자와의 관계를 친근하게 유지하고 이용자의 신뢰를 얻기 위해 적극적으로 표정과 제스처를 활용해야 합니다. 이는 이용자가 자신의 문제를 자유롭게 표현하고 참고사서와 소통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OCLC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아닌 것은?

  1. Gold Rush
  2. Dewey Services
  3. QuestionPoint
  4. WorldCat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Gold Rush"입니다. OCLC는 Dewey Services, QuestionPoint 및 WorldCat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Gold Rush"는 OCLC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클라우드 컴퓨팅
  2. 오픈소스
  3. 유비쿼터스 컴퓨팅
  4. 시멘틱 웹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은 클라우드 컴퓨팅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을 통해 서버, 스토리지, 애플리케이션 등의 컴퓨팅 자원을 제공하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컴퓨팅 자원을 제공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정보서비스의 평가기법이 아닌 것은?

  1. 문헌전달력 테스트법
  2. 공개적인 관찰법
  3. 사용성 평가법
  4. 비용분석법
(정답률: 알수없음)
  • 사용성 평가법은 정보서비스의 사용자들이 해당 서비스를 얼마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방법이며, 다른 세 가지 평가기법은 정보서비스의 효과성, 효율성, 경제성 등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사용성 평가법은 다른 세 가지 평가기법과는 구분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인용색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용색인은 선별된 학술지 문헌에 수록된 인용문헌과 피인용문헌의 서지정보를 수록하고 있다.
  2. ‘Web of Science’를 통해 SCI Expanded와 SSCI의 인용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3. 인용색인의 편집은 기계색인방법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인용색인의 효시는 1963년에 가필드(Garfield)가 출판한 SCI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인용색인의 효시는 1963년에 가필드(Garfield)가 출판한 SCI이다. - 이 설명이 옳지 않다.

    인용색인은 선별된 학술지 문헌에 수록된 인용문헌과 피인용문헌의 서지정보를 수록하고 있다. - 이 설명은 옳다.

    ‘Web of Science’를 통해 SCI Expanded와 SSCI의 인용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 이 설명은 옳다.

    인용색인의 편집은 기계색인방법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이 설명은 옳다.

    따라서, 정답은 "인용색인의 효시는 1963년에 가필드(Garfield)가 출판한 SCI이다." 이다.

    가필드는 1963년에 SCI(Science Citation Index)를 출판하여 인용색인의 개념을 처음 제시하였다. 이후 SCI는 Web of Science를 통해 제공되며, 인용색인의 편집은 기계색인방법에 적합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시소러스에서 계층관계를 표시하는 기호가 아닌 것은?

  1. NTP
  2. BTI
  3. SN
  4. TT
(정답률: 알수없음)
  • "SN"은 계층관계를 표시하는 기호가 아니라, 다른 의미를 가지는 용어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NTP"는 "BTI"의 상위어, "TT"는 "BTI"의 하위어이며, "BTI"는 계층관계를 나타내는 "Broader Term Indicator"의 약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에서 설명하는 정보서비스의 직접적 기능은?

  1. 정보중개서비스
  2. 서지정보 확인
  3. 상호대차서비스
  4. 참고정보원의 개발과 구성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정보서비스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직접적인 기능은 "서지정보 확인"입니다. 이는 도서관에 소장된 책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로, 도서의 제목, 저자, 출판사, 발행년도 등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독자는 원하는 책을 찾아 대출하거나 구매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정보활용능력(Information Literacy)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도일(Doyle)은 정보활용능력의 다양한 양상을 우산살로 설명하였다.
  2. 정보활용능력의 일반적인 평가기준은 적절성, 적시성, 권위, 적용범위, 정확성이다.
  3. Big6 모형은 정보문제 해결을 위한 처리과정 모형으로서 실제 학습상황에서 학생들의 연령에 따라 정보활용능력을 가르치는 방법이다.
  4. 평생학습과 독립적 학습은 정보활용능력을 위한 전제조건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활용능력은 정보를 찾고, 선택하고, 분석하고, 조직하고, 이해하고, 평가하며, 그것을 적용하는 능력을 말한다. Big6 모형은 정보문제 해결을 위한 처리과정 모형으로서 실제 학습상황에서 학생들의 연령에 따라 정보활용능력을 가르치는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Big6 모형은 정보문제 해결을 위한 처리과정 모형으로서 실제 학습상황에서 학생들의 연령에 따라 정보활용능력을 가르치는 방법이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디지털도서관 운영에 필요한 표준화 적용영역과 표준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④은 "자료 보호 및 보안"과 "ISO/IEC 27001"을 연결한 것인데, ISO/IEC 27001은 정보보호 관리 시스템(ISMS)에 대한 국제 표준으로, 디지털도서관 운영에 직접적으로 적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ㄱ ~ ㄹ의 설명과 참고정보원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ㄱ-Book Review Digest
  2. ㄴ-World Who's Who
  3. ㄷ-InterDok
  4. ㄹ-U.S. Gazetteer
(정답률: 70%)
  • 설명과 참고정보원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ㄹ-U.S. Gazetteer"이다. U.S. Gazetteer는 미국 지명사전으로, 지리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참고자료이지만, 다른 세 가지는 각각 책 리뷰, 인물 정보, 국제 문헌 정보를 제공하는 참고자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역문헌빈도(Inverse Document Frequency)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준치빈도를 정한 후 기준치빈도 이상 출현한 단어들을 색인어로 선정하는 것이다.
  2. 특정 단어가 각각의 문헌에 출현하는 빈도수이다.
  3. 어떤 용어를 포함하고 있는 집합 내의 문헌의 수에 의거하여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이다.
  4. 단어가 색인어로 부여되기 이전과 부여된 이후의 문헌간의 평균유사도 차이를 측정하는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역문헌빈도(Inverse Document Frequency)는 어떤 용어를 포함하고 있는 집합 내의 문헌의 수에 의거하여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이다. 이는 해당 용어가 전체 문헌에서 얼마나 흔하게 나타나는지를 고려하여, 흔하게 나타나는 용어일수록 가중치를 낮게 부여하고 드물게 나타나는 용어일수록 가중치를 높게 부여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통제어 색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용어에 대한 신뢰성이 높다.
  2. 정확률을 높이는데 유용하다.
  3. 발췌색인(extraction index)이라고도 한다.
  4. 새로운 개념에 대한 표현이 용이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통제어 색인은 특정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사전적으로 정리하여 표준 용어로 사용함으로써 용어에 대한 신뢰성이 높아지고, 이를 통해 정확률을 높이는 데 유용하며, 발췌색인(extraction index)이라고도 불리며, 새로운 개념에 대한 표현이 용이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