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참고면담 과정 중 사서가 질문자의 입장에서 질문의 발생 배경을 알아내기 위한 것으로 더빈(Brenda Dervin)의 의미형성이론(sense-making theory)에 근거한 질유형은?
2. 컴퓨터 공학 관련 학술지와 학술회의자료를 제공하는 전자정보원은?
3.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서비스는?
4. 특정 영역의 객체에 대한 고유의 식별자(identifier)가 아닌 것은?
5. 참고정보원의 평가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 메타데이터 스키마(스킴)와 대상의 연결이 옳은 것은?
7. 정보서비스의 평가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8. 디지털 도서관 운영 체제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 여러 개의 문헌이 공통 인용문헌을 하나 이상 갖고 있을 때 이 문헌들이 주제적으로 서로 관련 있다고 보는 기법은?
10. 다음 특징을 갖는 자동색인기법은?
11. 이용자교육의 유형 중 서비스 현장교육(point-of-use instruc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2. 이용자가 제시한 질문의 유형과 참고정보원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3. 정보공유공간(information common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4. 원문의 가공 방법에 따라 정보원을 구분할 때 2차 자료로만 묶인 것은?
15. 주요 인용색인 중 과학기술 분야, 사회과학 분야, 인문학 분야의 인용색인이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
16. 디지털 도서관 운영을 위한 표준과 적용 영역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7. 정보검색 방법 중 브라우징 검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8. SRW/SRU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9. 「대한민국 국가서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 사용자와 웹 사이트를 연결해 주는 정보로 클라이언트가 나중에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려고 할 때 클라이언트의 신분을 알 수 있게 해 주는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