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보 공유 공간(information commons)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 테일러(Robert S. Taylor)의 질문형성 단계 중 ‘의식적 요구’ 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 오픈 액세스(open access) 저널의 기본 개념으로 옳지 않은 것은?
4. 비주제 색인의 대상으로만 묶은 것은?
5. 도서관의 RFID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 A학술지에 수록된 논문의 수는 2016년에 총 100개, 2015년에 총 50개이다. 그리고 A학술지에 수록된 논문의 당해 연도 인용 횟수는 2016년에 총 50회, 2015년에 총 40회이다. 2016년 A학술지의 즉시성 지수(immediacy index)는?
7. 다음 표에서 부적합률(fallout ratio)에 대한 공식으로 옳은 것은?
8. 회색 문헌(grey literatur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 참고면담에서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0. 문헌정보학 분야의 이론과 주창자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1. 이차자료로만 묶은 것은?
12. 이용자가 하나 이상의 공공도서관에서 서비스를 제공 받고자 할 경우, 하나의 회원증으로 전국 참여도서관 어디서든 도서대출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서비스는?
13. 국립중앙도서관을 중심으로 구성된 전국 공공도서관의 소장 자료에 대한 통합 서지 데이터베이스로, 도서관 간 정보공유 및 상호협력을 위한 네트워크는?
14. 구글의 페이지랭크(PageRank)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5. 정보검색에서 색인을 통제어 색인과 자연어 색인으로 구분할 경우, 통제어 색인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6. Science Direc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7. 국내 도서관이 보유하고 있지 않은 해외 학술지 원문을 입수하려고 할 때, 원신청이 가능한 서비스는?
18. 디지털 도서관 환경에서 SDI(Selectiv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서비스의 설명에 해당하는 것만을 모두 고른 것은?
19. 서지 탐색 시 포괄적 정보원에서 구체적 정보원으로 탐색하는 방법(general-to-specific approach)은?
20. 참고서비스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과정을 ‘투입, 과정, 산출/결과’로 구분할 때, ‘산출/결과’에 해당하는 요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