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정보봉사개론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6-15)

9급 지방직 공무원 정보봉사개론
(2019-06-15 기출문제)

목록

1. 의학 관련 분야 데이터베이스로 미국 국립의학도서관에서 제작한 정보원은?

  1. BIOSIS
  2. MEDLINE
  3. SCOPUS
  4. SSCI
(정답률: 100%)
  • 미국 국립의학도서관에서 제작한 정보원은 MEDLINE이다. MEDLINE은 의학 및 생명과학 분야의 학술 논문, 연구 보고서, 책 등의 인용문헌 데이터베이스로, 전 세계적으로 인용되는 학술지를 대상으로 수집하고 있다. 따라서 의학 분야에서 가장 권위있는 데이터베이스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라키비움
  2. 가상도서관
  3. 메이커 스페이스
  4. 인포메이션 코먼스
(정답률: 100%)
  • 위 그림은 메이커 스페이스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메이커 스페이스는 창작자들이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구현하고 제품을 만들 수 있는 공간입니다. 이 공간에서는 3D 프린터, 레이저 커터, 전자공학 도구 등 다양한 장비와 소프트웨어를 제공하여 창작자들이 자신의 아이디어를 실현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메이커 스페이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정보원을 생성과 가공의 방법에 따라 구분할 때, 3차 정보원에 해당하는 것은?

  1. 서지의 서지
  2. 초록
  3. 명감
  4. 백과사전
(정답률: 85%)
  • 3차 정보원은 기존의 정보를 종합, 분석, 해석하여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내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서지의 서지"가 3차 정보원에 해당합니다. "서지의 서지"는 책이나 논문 등의 참고문헌에서 인용된 자료들의 출처와 관련 정보를 종합하여 제공하는 것으로, 기존의 정보를 가공하여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정보서비스 평가기법에 대한 설명 중 방법이 다른 기법은?

  1. 광범위한 범위에 걸쳐 짧은 시간 내에 객관적인 조사가 가능하다.
  2. 특정 표본 또는 무작위 표출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의견을 수렴하는 방법이다.
  3. 모든 해답자에게 동일한 내용을 동일한 방식으로 질문함으로써 측정도구 변화에 따른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4. 해답자를 대면하여 구두질문을 함으로써 원하는 정보나 의견, 태도, 경험 등과 같은 필요한 사실을 알아내는 방법이다.
(정답률: 74%)
  • 정보서비스 평가기법 중에서 해답자를 대면하여 구두질문을 함으로써 원하는 정보나 의견, 태도, 경험 등과 같은 필요한 사실을 알아내는 방법은 인터뷰 기법이다. 다른 기법들은 설문조사, 관찰, 실험 등으로 방법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참고면담과정에서 사용하는 폐쇄형 질문에 해당하는 것만을 모두 고르면?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ㄷ, ㄹ
(정답률: 57%)
  • 참고면담과정에서는 상대방의 의견이나 생각을 자세히 들어보기 위해 폐쇄형 질문을 사용합니다. 폐쇄형 질문은 단답형으로 대답할 수 있는 질문으로, 예/아니오로 대답할 수 있는 질문입니다. 따라서 "ㄱ, ㄷ"이 정답인 이유는 이 보기에서 폐쇄형 질문에 해당하는 것은 "ㄱ, ㄷ" 두 가지뿐이기 때문입니다. "ㄱ, ㄷ"는 예/아니오로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이기 때문에 폐쇄형 질문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자동색인에 사용되는 방법은?

  1. K-means 기법
  2. 신경망 분류기
  3. 형태소 분석 기법
  4. 클러스터링 기법
(정답률: 70%)
  • 자동색인은 문서의 내용을 분석하여 색인어를 추출하는 작업입니다. 이때 형태소 분석 기법을 사용합니다. 형태소 분석 기법은 문장을 형태소 단위로 분해하여 각 형태소의 품사와 의미를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문서에서 중요한 단어를 추출하고, 이를 색인어로 사용하여 검색 시에 더 정확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전통적인 불리언논리 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질의어와 문헌 간 유사성을 계산하여 결과물을 유사성의 크기에 따라 순위화하는 모델이다.
  2. 각 용어에 대한 가중치는 질의 혹은 문헌에 있는 용어의 상대적 중요성에 해당된다.
  3. OR 연산자는 탐색문에 있는 둘 이상의 동의어나 관련어를 연결시키는 데 사용한다.
  4. 질의와 문헌 간 적합성 확률을 0%에서 100%까지 구분하여 적용하여 검색한다.
(정답률: 67%)
  • 전통적인 불리언논리 모델은 질의어와 문헌 간 유사성을 계산하여 결과물을 유사성의 크기에 따라 순위화하는 모델이다. 각 용어에 대한 가중치는 질의 혹은 문헌에 있는 용어의 상대적 중요성에 해당된다. OR 연산자는 탐색문에 있는 둘 이상의 동의어나 관련어를 연결시키는 데 사용한다. 따라서, OR 연산자는 검색어를 확장하여 더 많은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질의와 문헌 간 적합성 확률을 0%에서 100%까지 구분하여 적용하여 검색하는 것은 다른 모델인 확률적 검색 모델에서 사용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보기 1>의 ㉠~㉢에 들어갈 말을 <보기 2>의 ⓐ~ⓕ에서 바르게 연결한 것은? (순서대로 ㉠, ㉡, ㉢,)

  1. ⓐ, ⓑ, ⓒ
  2. ⓑ, ⓐ, ⓓ
  3. ⓐ, ⓑ, ⓔ
  4. ⓑ, ⓐ,ⓕ
(정답률: 72%)
  • ㉠: "예금주"와 "계좌번호"는 각각 어떤 정보를 나타내는가?
    ㉡: "계좌번호"와 "은행"은 어떤 관계를 가지는가?
    ㉢: "예금주"와 "은행"은 어떤 관계를 가지는가?

    ㉠: "예금주"는 계좌를 개설한 사람의 이름을 나타내고, "계좌번호"는 해당 계좌의 고유한 번호를 나타낸다.
    ㉡: "계좌번호"는 특정 은행에서 개설된 계좌를 식별하는 번호이다.
    ㉢: "예금주"와 "은행"은 계좌를 개설하고 운영하는 관계이다.

    따라서, "ⓑ, ⓐ,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도서관 학술정보 탐색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웹 스케일 디스커버리 서비스(시스템)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도서관 장서, 기관 리포지토리, 구독하는 저널 기사, 공개 아카이브 자료 등을 포함하는 통합 색인을 구축하여 단일 인터페이스에서 탐색 결과를 제공한다.
  2. 이용자가 요청한 질의어를 디지털장서를 소유하고 있는 내외부의 장서 시스템에 전달하여 해당 시스템에서 수행된 검색결과를 조합하여 제공한다.
  3. 도서관 소장목록 검색과 학술자원 검색을 분리하여 실시간으로 검색하는 메타탐색 방법을 사용한다.
  4. 메타데이터를 통합하지 않은 분산검색 방식을 사용한다.
(정답률: 50%)
  • 도서관 장서, 기관 리포지토리, 구독하는 저널 기사, 공개 아카이브 자료 등을 포함하는 통합 색인을 구축하여 단일 인터페이스에서 탐색 결과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온라인 정보자원의 이용 통계에 대한 기록과 교환을 용이하게 하여 사서와 출판업자, 정보중개자를 지원하는 기관은?

  1. DOI
  2. COUNTER
  3. OAI-PMH
  4. SSO
(정답률: 67%)
  • COUNTER는 온라인 정보자원의 이용 통계를 표준화하여 기록하고 교환하는 국제적인 기구이다. 이를 통해 사서와 출판업자, 정보중개자 등이 효율적으로 정보 자원을 관리하고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Digital Object Identifier, Open Archives Initiative Protocol for Metadata Harvesting, Single Sign-On의 약자로, 이들은 COUNTER와는 다른 기능과 목적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참고면담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의사언어는 표정, 동작, 자세 등을 포함한다.
  2. 가공적 행위(artifacts)는 사회적 기능을 갖고 있고 이용자의 선입견에 영향을 미친다.
  3. 감정이입은 이용자가 정서적으로 안정되어 질문표현을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4. 이용자 질문이 있을 만한 서비스 구역 주위를 걷는 것은 긍정적인 신체언어이다.
(정답률: 65%)
  • "의사언어는 표정, 동작, 자세 등을 포함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의사소통에서 언어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비언어적인 부분도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표정, 동작, 자세 등은 상대방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의사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시각장애인을 위한 특수자료 유형만을 모두 고르면?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94%)
  • 시각장애인을 위한 특수자료 유형은 점자, 음성, 대화형 등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ㄱ, ㄴ, ㄷ"은 모두 시각장애인이 접근할 수 있는 음성 자료 유형입니다. 따라서 이들을 모두 선택하는 것이 올바른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뉴스나 블로그와 같이 자주 갱신되는 정보를 이용자에게 쉽게 제공해 주기 위한 XML 기반의 서비스는?

  1. Z39.50
  2. Topic Maps
  3. RSS
  4. RFID
(정답률: 69%)
  • RSS는 XML 기반의 서비스로, 자주 갱신되는 정보를 쉽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웹사이트를 방문하지 않아도 최신 정보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RSS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지프의 제1법칙(Zipf's Law)을 적용할 때, ㉠~㉢에 들어갈 숫자를 바르게 연결한 것은? (단, 상수는 120이다) (순서대로 ㉠, ㉡, ㉢)

  1. 100, 80, 60
  2. 90, 60, 30
  3. 80, 40, 20
  4. 60, 40, 30
(정답률: 40%)
  • 지프의 제1법칙은 어떤 자연어에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단어가 상대적으로 그 빈도가 높은 순서로 등장하며, 그 빈도와 등장순서는 역수 관계에 있다는 법칙이다. 즉, 빈도가 가장 높은 단어의 등장순서를 1이라고 할 때, 빈도가 k번째로 높은 단어의 등장순서는 1/k이다.

    이 문제에서는 상수가 120이므로, 가장 빈번한 단어의 빈도는 120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100은 너무 크고, 80은 조금 크다. 60은 딱 맞으므로 가장 빈번한 단어의 등장순서는 1이 된다.

    두 번째로 빈번한 단어의 등장순서는 1/2이므로, 60의 절반인 30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90은 너무 크고, 40은 조금 작다. 60은 딱 맞으므로 두 번째로 빈번한 단어의 등장순서는 1/2가 된다.

    세 번째로 빈번한 단어의 등장순서는 1/3이므로, 60의 1/3인 20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80은 너무 크고, 40은 조금 작다. 30은 딱 맞으므로 세 번째로 빈번한 단어의 등장순서는 1/3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60, 40, 3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참고사서와 이용자의 의사소통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1. ㄱ, ㄴ
  2. ㄴ, ㄷ, ㄹ
  3. ㄱ, ㄴ, ㄷ, ㄹ
(정답률: 89%)
  • ㄱ. 참고사서와 이용자의 의사소통은 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 이는 참고사서가 이용자의 요청에 대해 정확하고 신속하게 대응하며, 이용자는 필요한 정보를 정확하게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ㄴ. 참고사서와 이용자의 의사소통은 양방향성을 가지며, 이용자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 이는 참고사서가 이용자의 요구사항을 충분히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ㄷ. 참고사서와 이용자의 의사소통은 비공개성을 보장해야 한다.
    - 이는 이용자의 개인정보와 같은 민감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적절한 보안절차를 수립해야 한다.

    ㄹ. 참고사서와 이용자의 의사소통은 상호 존중과 신뢰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이는 참고사서와 이용자 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상호 존중과 신뢰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도서관 정보리터러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정보리터러시 교육 이론이 처음 발표되었을 때, 공공도서관 사서들이 다른 관종의 사서들에 비해 정보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더욱 적극적이었다.
  2. 도서관 이용에 대한 교육으로, 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정보자료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3. 이용자에게 건물의 물리적 시설을 소개하고 이용자가 재방문하여 자원을 이용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데 목적이 있다.
  4. 이용자가 언제 정보가 필요한지를 알고, 필요한 정보를 식별하고, 평가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이다.
(정답률: 54%)
  • 정보리터러시는 이용자가 언제 정보가 필요한지를 알고, 필요한 정보를 식별하고, 평가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서지결합(bibliographic coupl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두 문헌의 서지결합 빈도가 높을수록 두 문헌은 주제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가질 가능성이 높다.
  2. 특정한 두 문헌의 서지결합 빈도는 시간이 지나면서 계속 증가한다.
  3. 두 문헌이 특정한 문헌을 동시에 인용하는 경우의 관계이다.
  4. 초기 문헌들을 인용하는 나중 문헌들을 연결하는 것이다.
(정답률: 60%)
  • "특정한 두 문헌의 서지결합 빈도는 시간이 지나면서 계속 증가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는 새로운 연구나 발견이 이루어질 때마다 해당 문헌을 인용하게 되어 서지결합 빈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Big6 Skills 모델의 기본 6단계 중 ㉠과 ㉡단계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 (순서대로 ㉠, ㉡)

  1. 소재 파악과 접근, 통합정리
  2. 정보검색전략, 소재 파악과 접근
  3. 소재 파악과 접근, 정보활용
  4. 정보활용, 통합정리
(정답률: 75%)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책의 제목과 작가명, 출판사, 출판년도 등의 정보이다. 이를 통해 책의 내용과 주제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소재 파악과 접근, 정보활용"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19세기 후반 미국에서 도서관 이용 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여 오늘날 도서관 이용 교육에 커다란 영향을 준 인물로만 묶은 것은?

  1. Charles Bunge, Otis Robinson
  2. Samuel Green, Michael Eisenberg
  3. Robert Taylor, Charles Bunge
  4. Samuel Green, Otis Robinson
(정답률: 58%)
  • 정답은 "Samuel Green, Otis Robinson"입니다. Samuel Green은 19세기 후반 미국에서 도서관 이용 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도서관 이용 교육에 대한 첫 번째 교과서를 쓴 인물입니다. Otis Robinson은 Green의 이론을 발전시켜 실제로 도서관 이용 교육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도서관 이용자들의 수준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따라서 이 두 인물은 오늘날 도서관 이용 교육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인물로 묶여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Karen Spärck Jones의 역문헌 빈도(inverse document frequency)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특정 단어가 출현한 문헌의 수이다.
  2. 한 문헌에 특정 단어가 출현한 횟수이다.
  3. 두 단어가 같은 문맥에 출현하면 이 단어들은 서로 관련이 있으며, 두 단어가 같은 문맥에 함께 출현하는 횟수가 많을수록 더 깊이 관련되어 있다.
  4. 문헌 빈도가 낮은 단어에 높은 중요도를 부여하는 것으로, 많은 문헌에 출현한 단어는 문헌들을 식별하는 능력이 낮다는 가설에 기초한다.
(정답률: 59%)
  • 문헌 빈도가 낮은 단어에 높은 중요도를 부여하는 것으로, 많은 문헌에 출현한 단어는 문헌들을 식별하는 능력이 낮다는 가설에 기초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