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신공공서비스론(New Public Service)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 현대적 예산원칙과 거리가 먼 것은?
3. 토머스(K. Thomas)가 제시하고 있는 대인적 갈등관리 방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 다음에서 검증하고자 하는 선발시험의 효용성 기준은?
5. 현대 민주주의 국가에서 정부와 시민사회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6. 공공재와 행정서비스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7. 정책 델파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8. 정책네트워크의 유형 중 하위정부(sub-government) 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 실적주의의 주요 구성요소로 보기 어려운 것은?
10. 우리나라 자치재정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1. 위원회(committee) 조직의 장점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12. 예산을 성립시기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옳은 것은?
13. 다음과 같은 행정현실에서 가장 적합한 행정통제 방안은?
14. 지식관리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축하고 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방안과 거리가 먼 것은?
15. 다음에 제시된 문제해결방식이 의미하는 공무원 인사행정제도는?
16. 민간위탁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7. 정책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8. 우리나라 지방자치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9.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0. 성인지예산(gender budget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시장의 가격 메커니즘과 경쟁의 원리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것은 기업이나 시장 경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며, 이는 공공서비스 제공에 있어서는 적절하지 않은 방식이다. 대신에 신공공서비스론은 공익을 위해 협력하고 대화하는 공동체적인 구조와 공유된 리더십을 강조하며, 공익을 위한 대화와 담론을 통해 얻은 결과물을 중요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