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가공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3-30)

기계가공기능장
(2008-03-3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다음 공유압 회로에 대한 용어로 옳은 것은?

  1. 미터 인 회로
  2. 미터 아웃 회로
  3. 블리드 오프 회로
  4. 오어 회로
(정답률: 61%)
  • 공유압 회로에서 미터 인(Meter In) 회로는 유압 유량을 측정하는 미터(Meter)가 회로의 진입부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회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미터 인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기능에 따른 유압 제어 밸브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방향제어밸브
  2. 회로지시밸브
  3. 압력제어밸브
  4. 유량제어밸브
(정답률: 75%)
  • 회로지시밸브는 유압 회로의 흐름을 표시하거나 회로의 특정 부분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진단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밸브이며, 기능에 따른 유압 제어 밸브의 종류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회로지시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은 유압장치의 각 기구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오일 필터는 회로에 공급되는 유압유 내에 함유되어 있는 불순물을 여과한다.
  2. 릴리프 밸브는 회로의 최고압력을 제한하는 밸브로서 회로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3. 어큐뮬레이터는 밸브의 개폐등에 의한 충격압력을 흡수하며 맥동압을 제거한다.
  4. 무부하 밸브는 어큐뮬레이터의 브릿지를 조정한다.
(정답률: 53%)
  • "무부하 밸브는 어큐뮬레이터의 브릿지를 조정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무부하 밸브는 유압모터나 실린더와 같은 하중이 없는 상태에서 유압유의 유입을 차단하여 유압장치의 작동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어큐뮬레이터의 브릿지를 조정하는 역할은 브릿지 밸브가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공기의 공급량(체적 유량)이 일정할 때, 지름 6mm인 공압 호스를 지름 10mm로 바꾸었다면 공기의 속도는 처음 속도의 몇 배로 되는가? (단, 공기는 비압축성이고 흐름은 정상류이다.)

  1. 0.36배
  2. 2.78배
  3. 0.65배
  4. 1.67배
(정답률: 28%)
  • 체적 유량은 일정하므로, 속도와 지름은 반비례 관계에 있다. 따라서 지름이 6mm에서 10mm로 커졌을 때, 속도는 6/10 = 0.6배가 된다. 하지만, 흐름이 정상이므로 베르누이 방정식에 따라 압력이 감소하면서 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압력 변화에 대한 정보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단순히 지름의 변화에 따른 속도의 변화만 고려하면, 속도는 처음 속도의 0.6배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0.36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유압 실린더의 호칭에 표시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호칭 압력
  2. 스트로크 길이
  3. 튜브 안지름
  4. 실린더 외경
(정답률: 46%)
  • 실린더 외경은 유압 실린더의 크기와 형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호칭 압력, 스트로크 길이, 튜브 안지름은 유압 실린더의 성능과 사용 가능한 범위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호칭에 표시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실린더 외경은 호칭에 표시하지 않아도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치공구의 사용에 따른 장·단점으로 틀린 것은?

  1. 작업의 숙련도 요구가 감소한다.
  2. 가공 정밀도 향상으로 불량품을 방지한다.
  3. 가공시간을 단축하게 하여 제조비용을 절감 할 수 있다.
  4. 호환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일체형 단일제품 제작에만 사용한다.
(정답률: 75%)
  • "호환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일체형 단일제품 제작에만 사용한다."는 치공구의 단점이다. 이는 치공구를 사용하여 가공한 제품이 다른 치공구나 기계와 호환되지 않아서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는 데 제약이 생긴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일체형 단일제품 제작에만 사용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지그의 손익분기점(N)의 계산식으로 옳은 것은? (단, Y:지그 제작 비용, y:1시간당 가공 비용 H:지그를 사용하지 않을 때 1개당 가공 시간 Hj:지그를 사용할 때 1개당 가공 시간)

(정답률: 57%)
  • 지그의 손익분기점(N)의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N = Y / (Hj - H)

    이유는 손익분기점이란 매출액과 총 비용이 같아지는 지점을 말하는데, 이 때 매출액은 가공 시간에 비례하므로 Hj - H 시간당 매출액이 됩니다. 총 비용은 지그 제작 비용 Y와 가공 비용 y를 곱한 값인데, 이 때 가공 시간은 (Hj - H) 시간이므로 Y + y(Hj - H)가 됩니다. 따라서 손익분기점을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매출액 = 총 비용
    Hj - H = Y + y(Hj - H)
    Hj = Y / (Hj - H) + y
    N = Y / (Hj - H)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형판 지그(template jig)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레이아웃 템플레이트 지그
  2. 평판 템플레이트 지그
  3. 앵거스 템플레이트 지그
  4. 원판 템플레이트 지그
(정답률: 56%)
  • 앵거스 템플레이트 지그는 형판 지그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앵거스 템플레이트 지그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판 지그가 아니며, 특정한 용도를 가진 지그입니다. 다른 세 가지 형판 지그는 모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태의 지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한계 게이지 재료에 요구되는 성질로 틀린 것은?

  1. 열팽창 계수가 클 것
  2. 내마무성이 좋을 것
  3. 변형이 적을 것
  4. 정밀 다듬질이 가능할 것
(정답률: 78%)
  • 한계 게이지 재료에 요구되는 성질 중 "열팽창 계수가 클 것"은 틀린 것입니다. 한계 게이지는 변형이 적어야 하고 정밀 다듬질이 가능해야 하므로 내마모성이 좋아야 합니다. 그러나 열팽창 계수가 클수록 온도 변화에 따른 길이 변화가 크기 때문에 정밀 다듬질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한계 게이지 재료에 요구되는 성질 중 "열팽창 계수가 작을 것"이 맞는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편측공차 을 동등양측공차로 옳게 변환한 것은?

  1. 5.255 ± 0.005
  2. 5.255 ± 0.010
  3. 5.260 ± 0.005
  4. 5.260 ± 0.010
(정답률: 56%)
  • 편측공차는 어떤 값의 측정 결과가 그 값으로부터 일정한 양만큼 벗어날 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이고, 동등양측공차는 어떤 값의 측정 결과가 그 값으로부터 일정한 양만큼 벗어날 가능성이 양쪽으로 동일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편측공차를 동등양측공차로 변환하려면 편측공차의 절반을 동등양측공차로 설정해주면 됩니다. 즉, "5.255 ± 0.005"가 정답입니다.

    예를 들어, 만약 어떤 값의 편측공차가 "5.255 + 0.010"이라면, 이를 동등양측공차로 변환하면 "5.255 ± 0.005"가 됩니다. 이는 원래 값에서 양쪽으로 0.005만큼 벗어날 가능성이 동일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사인바에 의한 각도측정시 45°이상의 각도 측정에서 큰 오차가 발생하는 가장 타장한 이유는?

  1. 각도설정 오차함수가 탄젠트 함수로 되므로 45°이상에서는 심한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2. 측정시 사인바를 설치할 때 자세에 의한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3. 사인바의 롤러 중심거리가 짧으므로 45°이상에서 균형이 맞지 않기 때문이다.
  4. 사인바의 측정면의 정밀도가 45°이상에서 저하되기 때문이다.
(정답률: 65%)
  • 각도설정 오차함수가 탄젠트 함수로 되어 있기 때문에 45° 이상에서는 탄젠트 함수의 특성상 오차가 크게 발생하게 됩니다. 탄젠트 함수는 90°와 가까워질수록 값이 급격하게 증가하기 때문에, 45° 이상에서는 작은 오차도 큰 각도 오차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의 치수공차 표시에서 최대허용치수는?

  1. 70.03
  2. 70.05
  3. 69.98
  4. 69.05
(정답률: 68%)
  • 치수공차란 제품의 치수가 어느 정도의 오차 범위 내에서 허용되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중 최대허용치수는 제품의 치수가 허용되는 최대 범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최대허용치수가 "70.05"인 이유는 해당 제품의 치수가 70.05 이하일 경우에는 허용 범위 내에 있으며, 70.06 이상일 경우에는 오차 범위를 벗어나 불량품으로 판정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다른 보기들은 최대허용치수보다 작은 값들이므로, 해당 제품의 치수가 허용 범위 내에 있을 가능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70.0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KS 규격에 따른 스퍼기어 및 헬리컬기어의 측정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피치
  2. 잇줄
  3. 이형
  4. 유효지름
(정답률: 65%)
  • 스퍼기어와 헬리컬기어의 측정 요소는 피치, 잇줄, 이형입니다. 유효지름은 기어의 크기를 나타내는 요소 중 하나이지만, KS 규격에서는 측정 요소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유효지름은 기어의 효율과 관련이 있으며, 기어의 토크 전달 능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수나사 골지름을 측정하려고 한다. 다음 중 계산식으로 옳은 것은? (단, M : 나사의 바깥지름, H : 나사산의 높이임)

  1. 수나사 골지름 = M-2H
  2. 수나사 골지름 = M-4H
  3. 수나사 골지름 = M+2H
  4. 수나사 골지름 = M+4H
(정답률: 80%)
  • 수나사 골지름은 나사의 바깥지름에서 나사산의 높이의 두 배를 뺀 값이다. 따라서 "수나사 골지름 = M-2H"가 옳다. M은 바깥지름이므로 나사산의 높이인 H를 두 번 빼면 골지름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표면거칠기 측정기가 옳게 나열 된 것은?

  1. 삼선식, 촉침식
  2. 촉침식, 광파간섭식
  3. 광파간섭식, 스키드식
  4. 정적검출식, 촉침식
(정답률: 73%)
  • 표면거칠기 측정기는 촉침식과 광파간섭식으로 나뉩니다.

    - 촉침식: 측정기의 촉감 부분을 측정 대상에 대고 압력을 가해 표면의 거칠기를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 광파간섭식: 레이저 광선을 측정 대상에 비추어 반사되는 광선의 각도와 진폭을 측정하여 표면의 거칠기를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촉침식, 광파간섭식"이 옳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머시닝센터에서 가공물의 고정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자동적으로 공작물을 교환하는 장치는?

  1. APT
  2. ATP
  3. ATC
  4. APC
(정답률: 55%)
  • APC는 Automatic Pallet Changer의 약자로, 자동 팔레트 교환기를 의미합니다. 이 장치는 머시닝센터에서 가공물의 고정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자동으로 공작물을 교환하여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APC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1500rpm으로 회전하는 스핀들에서 2회전 드웰(dwell)을 주려고 할 때 정지시간은?

  1. 0.05초
  2. 0.08초
  3. 1.2초
  4. 1.5초
(정답률: 66%)
  • 드웰(dwell)은 스핀들이 회전하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2회전 드웰을 주려면 스핀들이 회전하는 속도인 1500rpm을 고려해야 합니다.

    1회전에 걸리는 시간은 1분(60초)을 1500으로 나눈 값이므로, 1회전에 걸리는 시간은 0.04초입니다. 따라서 2회전 드웰을 주려면 2회전에 걸리는 시간인 0.08초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0.08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편판 디스플레이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플라즈마 가스 방출형
  2. 래스터 스캔 형
  3. 액정형
  4. 전자 발광판형
(정답률: 62%)
  • 래스터 스캔 형은 편판 디스플레이의 종류가 아닙니다. 이유는 래스터 스캔 형은 CRT (Cathode Ray Tube) 모니터에서 사용되는 기술로,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현재 사용되는 편판 디스플레이의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CNC 공작기계에서 제어의 3가지 방식이 아닌 것은?

  1. 위치결정제어
  2. 서버기구제어
  3. 윤곽절삭제어
  4. 직선절삭제어
(정답률: 91%)
  • 위치결정제어, 윤곽절삭제어, 직선절삭제어는 모두 CNC 공작기계에서 사용되는 제어 방식입니다. 하지만 서버기구제어는 CNC 공작기계에서 사용되는 제어 방식이 아닙니다. 서버기구제어는 서버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제어 방식으로, CNC 공작기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솔리드 모델링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은선 제거가 가능하다.
  2. 불(Boolean) 연산(합, 차, 적)에 의하여 복잡한 형상 표현이 어렵다.
  3. 형상을 절단하여 단면도 작성이 용이하다.
  4. 물리적 성질의 계산이 가능하다.
(정답률: 85%)
  • 솔리드 모델링은 물체의 형상을 3차원으로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이며, 불(Boolean) 연산(합, 차, 적)을 통해 여러 개의 기본 도형을 조합하여 복잡한 형상을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불(Boolean) 연산(합, 차, 적)에 의하여 복잡한 형상 표현이 어렵다."는 솔리드 모델링의 특징이 아닙니다. 이유는 불 연산을 통해 복잡한 형상을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다음 중 공압 시스템에서 수분에 의한 고장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밸브의 고착
  2. 갑작스런 압력강하
  3. 부식작용에 의한 손상
  4. 에멀션화에 의한 밸브 오동작
(정답률: 77%)
  • 공압 시스템에서 수분은 부식작용에 의한 손상과 에멀션화에 의한 밸브 오동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갑작스런 압력강하는 시스템 내부의 고압 부분에서 발생하는 문제로, 수분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갑작스런 압력강하는 수분에 의한 고장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자동화 시스템에서 컴퓨터 통합 시스템을 지칭하는 것은?

  1. CAD
  2. CIM
  3. MRP
  4. FMC
(정답률: 55%)
  • 정답: CIM

    CIM은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의 약자로, 컴퓨터를 통해 제조 공정을 자동화하고 통합하는 시스템을 지칭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제조 공정 자동화와 관련된 용어이지만, CIM은 이를 더욱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통합하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물리량의 변화를 기본 전기회로의 전원과 같이 스스로 전위차를 줄 수 있는 기전력의 값으로 표현되는 센서는?

  1. 서미스터
  2. CdS
  3. 열전쌍
  4. 바이메탈
(정답률: 52%)
  • 물리량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열전자력을 이용하여 스스로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센서가 열전쌍입니다. 다른 센서들은 외부 전원이 필요하지만, 열전쌍은 스스로 전위차를 발생시키므로 외부 전원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릴레이 제어와 비교한 PLC 제어의 특징에 해당되는 것은?

  1. 제어의 변경을 프로그램 변경만으로 가능하다.
  2. 접점 마모/융착 등의 접촉 불량으로 신뢰성이 낮다.
  3. 제어반의 크기가 크다.
  4. 정기 점검 및 보수를 필요로 하며 고장부위 발견이 어렵다.
(정답률: 83%)
  • "제어의 변경을 프로그램 변경만으로 가능하다."는 PLC 제어의 특징이다. 이는 PLC 제어에서는 제어 프로그램을 수정하면 제어 방식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릴레이 제어와 달리 전체 회로를 다시 설계하거나 재배선할 필요가 없어 효율적인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그림과 같은 기호로 표현되며, 조작 후에 손을 떼면 접점은 그대로 유지되지만 조작부분은 본래의 상태로 복귀되는 스위치는?

  1. 복귀형 스위치
  2. 근접 스위치
  3. 잔류형 스위치
  4. 리미트 스위치
(정답률: 58%)
  • 이 스위치는 조작 후에 손을 떼어도 접점이 유지되므로 "잔류형 스위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의 가공이 모두 가능한 공작기계는?

  1. 드릴링머신
  2. 플레이너
  3. 호빙머신
  4. 연삭기
(정답률: 78%)
  • 이 공작기계는 회전하는 드릴을 이용하여 구멍을 뚫는 작업인 드릴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드릴링머신"이 가능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가공 작업을 수행하는 기계이지만, 드릴링 작업은 이 기계에서도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KS규격에 따른 절삭공구의 재료가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STC3 - 합금 공구강
  2. SM45C - 탄소 공구강
  3. SKH10 - 고속도 공구강
  4. SS330 - 스프링 공구강
(정답률: 48%)
  • KS규격에 따른 절삭공구는 고속도로의 회전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내구성과 내열성이 뛰어난 고속도 공구강(SKH10)으로 만들어져야 합니다. 따라서 SKH10이 올바른 선택입니다. STC3은 내식성이 뛰어나지만 고속절삭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SM45C는 탄소 함량이 높아 내마모성이 떨어지며, SS330은 스프링용으로 적합하지만 고속절삭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밀링머신의 부속품 및 부속장치가 아닌 것은?

  1. 아버
  2. 밀링바이스
  3. 회전테이블
  4. 심압대
(정답률: 94%)
  • 심압대는 밀링머신의 부속품 및 부속장치가 아닙니다. 심압대는 주로 선반이나 드릴링 머신과 같은 다른 기계와 함께 사용되며, 작업물을 고정하고 회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밀링머신에서는 회전테이블이나 밀링바이스 등이 작업물을 고정하고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심압대는 밀링머신의 부속품 및 부속장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주철을 가공하기 위한 드릴의 선단 각도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20°
  2. 90°
  3. 140°
  4. 165°
(정답률: 72%)
  • 주철은 경도가 높아서 가공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가공 시에는 강력한 압력과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드릴의 선단에 큰 부담을 줍니다. 이에 따라 주철 가공에는 선단 각도가 큰 드릴이 적합합니다. 90°는 가공에 적합한 선단 각도 중에서도 가장 큰 각도이므로, 주철 가공에 가장 적합한 드릴의 선단 각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래핑(lapping)의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

  1. 정밀도가 높은 제품을 가공할 수 있다.
  2. 가공면의 내마모성이 증대된다.
  3. 가공이 복잡하여 소량생산에만 적용 가능하다.
  4. 가공면은 윤활성이 좋다.
(정답률: 83%)
  • 가공이 복잡하여 소량생산에만 적용 가능하다는 것은 래핑 기술이 가공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대량 생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소량 생산에 적용되며, 정밀도가 높은 제품을 가공할 수 있고 가공면의 내마모성이 증대되며 윤활성이 좋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절삭 가공에서 절삭률을 나타내는 것은?

  1. 절삭속도 × 절삭면적
  2. 절삭깊이 × 이송
  3. 절삭속도 × 절삭깊이 × 칩단면적
  4. 이송 × 매분회전수
(정답률: 69%)
  • 정답은 "절삭속도 × 절삭면적"입니다.

    절삭속도는 단위 시간당 자재를 절단하는 속도를 의미하며, 절삭면적은 자재를 절단하는 칼날의 면적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절삭속도와 절삭면적을 곱하면 단위 시간당 절삭되는 자재의 양을 나타내는 절삭률을 구할 수 있습니다. 즉, 절삭속도와 절삭면적은 절삭률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전해연마의 일반적인 작업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전기 화학적 작용으로 공작물의 미소 돌기를 용출시켜 광택면을 얻는 가공법이다.
  2. 열로 인한 가공변질층이 발생하지 않는다.
  3. 전해액으로 황상, 인산 등 점성이 있는 것이 사용되며 점성을 낮추기 위해 글리세린, 젤라틴 등의 유기물을 첨가 하기도 한다.
  4. 복잡한 형상의 제품도 가공이 가능하다.
(정답률: 66%)
  • 전해액으로 황산, 인산 등 점성이 있는 것이 사용되며 점성을 낮추기 위해 글리세린, 젤라틴 등의 유기물을 첨가 하기도 한다는 것이 틀린 것입니다. 전해연마에서는 전해액으로 전기 화학적 작용을 이용하여 공작물의 표면을 용출시켜 광택면을 얻는 가공법입니다. 또한, 전해연마는 열로 인한 가공변질층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복잡한 형상의 제품도 가공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연삭하려는 부품의 형상으로 연삭숫돌의 모양을 만드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로딩
  2. 글레이징
  3. 트루잉
  4. 채터링
(정답률: 86%)
  • 연삭숫돌의 모양을 만드는 것을 트루잉이라고 합니다. 이는 연삭할 부품의 형상과 연삭숫돌의 모양을 일치시켜 부품을 정확하게 연삭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로딩은 연삭숫돌에 부품이 끼어서 생기는 문제, 글레이징은 연삭숫돌 표면이 매끄러워져 연삭능력이 떨어지는 문제, 채터링은 연삭숫돌과 부품 사이에서 생기는 진동으로 인해 부품 표면이 불규칙하게 연삭되는 문제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절삭 공구에 작용하는 절삭 저항의 3분력 중 주분력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절삭 공구의 축 방향으로 평행한 분력을 말한다.
  2. 주절삭력이라고도 하며, 절삭 저항의 3분력 중에서 가장 크다.
  3. 절삭 작업에 있어 배분력에서 횡분력을 뺀 절삭값을 말한다.
  4. 공구의 이송 방향과 반대로 작용하는 것을 말하며, 절삭 저항의 3분력 중에서 가장 작다.
(정답률: 84%)
  • 주절삭력은 절삭 공구의 축 방향으로 평행한 분력 중 가장 큰 것을 말합니다. 이는 절삭 작업에서 가장 중요한 분력으로, 절삭 저항의 3분력 중에서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절삭력은 절삭 공구의 성능과 효율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절삭속도가 100m/min, 날 수가 10개, 지름이 100mm인 커터로 1날 당 이송을 0.4mm로 하여 공작물을 가공할 경우 테이블의 이송속도는 약 몇 mm/min인가?

  1. 1020
  2. 1273
  3. 1421
  4. 1635
(정답률: 76%)
  • 커터의 지름이 100mm 이므로 둘레는 314mm 입니다. 따라서 1회전에 가공되는 길이는 314mm 입니다.

    커터의 절삭속도가 100m/min 이므로 1초당 가공되는 길이는 100/60 = 1.67m/s 입니다.

    이송속도가 0.4mm 이므로 1초당 이송되는 길이는 0.4/1000 = 0.0004m/s 입니다.

    따라서 1초당 가공되는 길이와 이송되는 길이의 합이 1.67 + 0.0004 = 1.6704m/s 가 됩니다.

    이제 이 값을 테이블의 이송속도로 변환해야 합니다.

    테이블의 이송속도는 1분당 이송되는 길이로 표시되므로, 1초당 이송되는 길이를 60으로 곱해줍니다.

    1.6704 x 60 = 100.224m/min

    하지만 이 값은 소수점 이하가 있으므로 반올림하여 정수로 표시합니다.

    따라서 테이블의 이송속도는 약 1273mm/min 입니다.

    정답은 "1273"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 에너지로 변환시켜 가공하는 방법으로, 취성이 큰 유리, 세라믹, 다이아몬드, 수정, 천연 보석, 인조보석, 반도체 등에 눈금, 무늬, 문자, 구멍, 절단등의 가공작업을 가장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은?

  1. 버니싱 가공
  2. 워터 젯 가공
  3. 초음파 가공
  4. 화학연마
(정답률: 83%)
  • 초음파 가공은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 에너지로 변환시켜 가공하는 방법으로, 진동 주파수가 높아서 고밀도의 물질도 가공할 수 있고, 작업물에 미세한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정밀하고 깨끗한 가공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유리, 세라믹, 다이아몬드, 수정, 천연 보석, 인조보석, 반도체 등의 가공작업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슈퍼피니싱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가공액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비눗물
  2. 피마자 기름
  3. 순수한 물
  4. 석유
(정답률: 47%)
  • 슈퍼피니싱은 고정밀 가공 기술로, 표면의 거칠기를 줄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를 위해서는 가공액이 필요한데, 석유는 높은 윤활성과 안정성을 가지고 있어 슈퍼피니싱에 적합한 가공액입니다. 비눗물은 거품이 생겨 가공 효과가 떨어지고, 피마자 기름은 안정성이 낮아 가공 중에 변질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순수한 물은 윤활성이 낮아 가공 효과가 떨어지며, 안정성도 낮아 가공 중에 부패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석유가 슈퍼피니싱에 가장 적합한 일반적인 가공액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액체호닝(liquid honing)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피닝(peening) 효과가 있다.
  2. 형상이 복잡한 것도 쉽게 가공할 수 있다.
  3. 다듬질면의 진직도가 매우 우수하다.
  4. 공작물 표면의 산화막을 제거하기 쉽다.
(정답률: 77%)
  • 액체호닝의 일반적인 특징 중에서 틀린 것은 "다듬질면의 진직도가 매우 우수하다." 입니다. 액체호닝은 고속 회전하는 노즐에서 액체와 세라믹 비드를 혼합하여 공작물 표면을 갈아내는 방식으로 가공을 합니다. 이 때 세라믹 비드의 크기와 혼합 비율에 따라 다듬질면의 진직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액체호닝으로 가공한 다듬질면의 진직도가 매우 우수하다는 것은 보장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심압대를 편위시켜 그림과 같은 테이퍼를 가공할 때 심압대의 편위량은 몇 mm인가?

  1. 6
  2. 10
  3. 12
  4. 20
(정답률: 62%)
  • 테이퍼의 크기는 20mm에서 10mm로 감소하므로, 심압대의 편위량은 (20-10)/2 = 10mm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주철과 같이 메진 재료를 저속으로 절삭할 때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칩의 형태는?

  1. 열단형
  2. 경작형
  3. 균열형
  4. 유동형
(정답률: 65%)
  • 주철과 같은 메진 재료는 비교적 연성이 낮아 저속으로 절삭할 때 칩이 발생합니다. 이때 발생하는 칩의 형태는 균열형입니다. 이는 재료 내부에서 마찰력과 압력이 작용하여 칩이 균열을 일으키며 분리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다음 중 공작기계의 절삭속도를 표시하는 식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 여기서 d=선반바이트 지름[mm], n=주축 회전속도[rpm]
  2. , 여기서 d=엔드밀의 지름[mm], n=엔드밀 회전속도[rpm]
  3. , 여기서 d=드릴의 지름[mm], n=주축 회전속도[rpm]
  4. , 여기서 d=밀링커터 지름[mm], n=커터 회전속도[rpm]
(정답률: 68%)
  • ", 여기서 d=드릴의 지름[mm], n=주축 회전속도[rpm]"은 공작기계의 절단속도를 나타내는 식이 아닙니다. 이 식은 드릴의 회전속도를 계산하는 식입니다. 절단속도는 자유주도, 공구반지름, 회전속도 등을 고려하여 계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절삭유제의 요구성질로 옳지 않은 것은?

  1. 냉각작용이 클 것
  2. 칩의 세척작용이 좋을 것
  3. 인화점이 낮을 것
  4. 기계표면을 녹슬지 않게 할 것
(정답률: 90%)
  • 인화점이 낮을 것은 절삭유가 불에 타는 온도가 낮아서 안전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올바른 선택은 "인화점이 낮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선반에서 맨드릴을 사용하는 가장 큰 목적은?

  1. 돌기가 있고 센터 작업이 곤란하기 때문에
  2. 가늘고 긴 가공물의 작업을 위하여
  3. 내, 외경이 동심이 되도록 가공하기 위하여
  4. 척킹이 곤란하기 때문에
(정답률: 73%)
  • 맨드릴은 회전하는 축을 중심으로 가공물을 고정하여 가공하는 도구입니다. 내, 외경이 동심이 되도록 가공하기 위해서는 가공물을 정확하게 중심에 위치시켜야 합니다. 이때 맨드릴을 사용하면 회전하는 축을 중심으로 가공물을 고정하여 내, 외경이 동심이 되도록 가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선반에서 맨드릴을 사용하는 가장 큰 목적은 내, 외경이 동심이 되도록 가공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정밀 가공법 중 연삭 입자를 사용하는 것은?

  1. 처음파 가공
  2. 전해연마
  3. 숏피닝
  4. 방전가공
(정답률: 33%)
  • 연삭은 처음파 가공법에서 사용됩니다. 연삭은 회전하는 연삭 도구를 이용하여 물체의 표면을 깎아내는 가공법으로, 처음파 가공법에서는 연삭을 통해 원하는 모양과 크기로 물체를 가공합니다. 전해연마는 액체를 이용한 가공법, 숏피닝은 레이저를 이용한 가공법, 방전가공은 전기 방전을 이용한 가공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KS규격에 따라 니형 수직 밀링머신의 정적 정밀도를 검사할 때, 주축 끝 외면의 흔들림에 대한 허용값은?

  1. 0.01mm
  2. 0.03mm
  3. 0.05mm
  4. 0.07mm
(정답률: 49%)
  • 주축 끝 외면의 흔들림은 수직 밀링머신의 정적 정밀도 중 하나로, 주축이 회전할 때 주축 끝이 얼마나 흔들리는지를 나타냅니다. KS규격에서는 이 값의 허용 범위를 0.01mm로 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수직 밀링머신의 정확한 가공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정밀도를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 값보다 큰 흔들림이 발생하면 가공 과정에서 정확도가 떨어지게 되므로, 이 값을 넘지 않도록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센터리스 연삭기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연삭 할 때 공작물의 이송 속도는 약 몇 m/min인가?

  1. 2.78
  2. 3.56
  3. 4.19
  4. 5.47
(정답률: 35%)
  • 센터리스 연삭기에서 이송 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이송 속도 = 회전 속도 × 연삭 지름 × π

    회전 속도는 1800 rpm 이므로, 연삭 지름을 구해야 합니다.

    연삭 지름은 작업품의 직경에서 연삭량의 2배를 더한 값입니다.

    작업품의 직경은 30mm 이므로, 연삭량은 0.5mm 이므로 연삭 지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삭 지름 = 30 + (0.5 × 2) = 31mm

    따라서, 이송 속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송 속도 = 1800 × 31 × π ≈ 5470 mm/min ≈ 5.47 m/min

    따라서, 정답은 "5.47"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절삭 공구의 사용에 있어서 공구 인선의 마모 또는 파손현상이 아닌 것은?

  1. 플랭크(flank) 마모
  2. 버(burr)
  3. 치핑(chipping)
  4. 크레이터(creater) 마모
(정답률: 81%)
  • 버(burr)는 절삭 공구의 사용 중에 생기는 작은 날카로운 부분을 말합니다. 따라서 버(burr)는 절삭 공구의 사용에 있어서 공구 인선의 마모나 파손현상이 아닌 것입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모두 절삭 공구의 사용 중에 발생하는 마모나 파손현상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강의 표면에 친화력이 강한 금속(Zn, Cr, Si등)을 부착시키는 동시에 확산시켜 내식성이나 경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종류를 포함하는 것은?

  1. 숏피닝
  2. 질화법
  3. 침탄법
  4. 금속침투법
(정답률: 71%)
  • 강의 표면에 친화력이 강한 금속을 부착시키는 방법 중에서, 금속을 강제로 표면에 침투시켜 내식성이나 경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금속침투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문쯔메탈(muntz metal)이라고 하며 고온가공이 용이하고 열간 단조품, 볼트, 너트, 대포의 탄피 등에 사용되는 구리 합금은?

  1. 6:4 황동
  2. 7:3 황동
  3. 인청동
  4. 연청동
(정답률: 52%)
  • 문쯔메탈은 구리와 아연, 그리고 황으로 이루어진 합금입니다. 그 중에서도 6:4 황동은 구리와 황이 6:4 비율로 섞인 합금으로, 고온에서의 가공이 쉽고 내식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대포의 탄피나 열간 단조품, 볼트, 너트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풀림(annealing)의 목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절삭 및 소성가공에서 생긴 내부 응력의 제거
  2. 열처리로 인하여 연화된 재료의 경화
  3. 단조, 주조에서 경화된 재료의 연화
  4. 기계적 성질 개선을 위해 탄화물을 구상화
(정답률: 46%)
  • 풀림(annealing)의 목적은 절삭 및 소성가공에서 생긴 내부 응력의 제거, 단조, 주조에서 경화된 재료의 연화, 기계적 성질 개선을 위해 탄화물을 구상화입니다. 따라서, "열처리로 인하여 연화된 재료의 경화"는 풀림(annealing)의 목적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재료의 인장시험으로 알 수 없는 것은?

  1. 탄성계수
  2. 항복강도
  3. 비례한도
  4. 피로한도
(정답률: 82%)
  • 재료의 인장시험으로는 탄성계수, 항복강도, 비례한도 등의 물성을 알 수 있지만, 피로한도는 알 수 없습니다. 이는 피로한도는 재료의 지속적인 변형과 파괴에 대한 내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인장시험에서는 시험 시간이 짧기 때문에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스테인리스강은 산업 전반에 걸쳐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다음 중 KS규격에 따른 냉간 압연·스테인리스강판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페라이트계
  2. 소르바이트계
  3. 오스테나이트계
  4. 석출경화계
(정답률: 38%)
  • 정답인 "소르바이트계"는 KS규격에 따른 냉간 압연·스테인리스강판의 종류가 아닙니다. 이는 스테인리스강의 성질 중 하나인 결정구조에 따른 분류로, 소르바이트계는 스테인리스강 중에서도 탄소 함량이 높아서 가공이 용이하고 강도가 높은 편입니다. 그러나 스테인리스강판의 종류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0.86%C 이하의 아공석강에서 탄소함유량이 많아지면, 일반적으로 그 성질이 감소하는 성질은?

  1. 경도
  2. 인장강도
  3. 연신율
  4. 항복점
(정답률: 65%)
  • 탄소함유량이 많아지면 강도는 증가하지만, 연신율은 감소합니다. 이는 탄소가 강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동시에 결정 구조를 변화시켜 연신율을 감소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탄소함유량이 많아질수록 연신율은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알루미늄의 비중과 용융점이 맞는 것은?

  1. 비중 : 3.4, 용융점 : 760도
  2. 비중 : 2.7, 용융점 : 660도
  3. 비중 : 2.1, 용융점 : 560도
  4. 비중 : 1.5, 용융점 : 360도
(정답률: 82%)
  • 알루미늄은 비중이 2.7이며, 이는 물과 거의 같은 비중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알루미늄의 용융점은 660도로 비교적 낮은 편에 속합니다. 따라서, "비중 : 2.7, 용융점 : 660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모든 작업을 기본동작으로 분해하고, 각 기본 동작에 대하여 성질과 조건에 따라 미리 정해 놓은 시간치를 적용하여 정미 시간을 산정하는 방법은?

  1. PTS법
  2. WS법
  3. 스톱워치법
  4. 실적자료법
(정답률: 74%)
  • PTS법은 작업을 기본동작으로 분해하고, 각 기본 동작에 대하여 성질과 조건에 따라 미리 정해 놓은 시간치를 적용하여 정미 시간을 산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작업의 세부적인 내용을 파악하고, 각 동작의 시간을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어서 정확한 작업시간 산정에 유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PTS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로트로부터 시료를 샘플링해서 조사하고, 그 결과를 로트의 판정기준과 대조하여 그 로트의 합격, 불합격을 판정하는 검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샘플링검사
  2. 전수검사
  3. 공정검사
  4. 품질검사
(정답률: 80%)
  • 로트로부터 시료를 샘플링하여 조사하는 것이 특징이기 때문에 "샘플링검사"라고 부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검사의 대상이나 방법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이지만, "샘플링검사"는 특정한 검사 방법을 가리키는 구체적인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일정 통제를 할 때 1일당 그 작업을 단축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의 증가를 의미하는 것은?

  1. 비용구배(Cost slope)
  2. 정상소요시간(Normal duration time)
  3. 비용견적(Cost estimation)
  4. 총비용(Total Cost)
(정답률: 78%)
  • 비용구배는 작업 일정을 단축하는 데 필요한 추가 비용을 의미합니다. 즉, 작업 기간을 단축하면 비용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비용구배는 작업 일정과 비용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c 관리도에서 k=20인 군의 총부적합(결점)수 합계는 58이었다. 이 관리도의 UCL, LCL을 구하면 약 얼마인가?

  1. UCL = 6.92, LCL = 0
  2. UCL = 4.90, LCL = 고려하지 않음
  3. UCL = 6.92, LCL = 고려하지 않음
  4. UCL = 8.01, LCL = 고려하지 않음
(정답률: 49%)
  • c 관리도에서 k=20이므로, 한 개의 표본당 부적합(결점)수의 평균은 58/20 = 2.9이다. 이를 이용하여 중앙선을 구하면, c 관리도의 중앙선은 2.9이 된다.

    UCL과 LCL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UCL = 중앙선 + 3*표준편차
    LCL = 중앙선 - 3*표준편차

    하지만 c 관리도에서는 표준편차 대신 평균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따라서, UCL과 LCL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UCL = 중앙선 + 3*sqrt(중앙선/k)
    LCL = 중앙선 - 3*sqrt(중앙선/k)

    여기서 k=20, 중앙선=2.9을 대입하면,

    UCL = 8.01
    LCL = 고려하지 않음

    따라서, 정답은 "UCL = 8.01, LCL = 고려하지 않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데이터를 그 내용이나 원인 등 분류 항목별로 나누어 크기의 순서대로 나열하여 나타낸 그림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히스토그램(histogram)
  2. 파레토도(pareto diagram)
  3. 특성요인도(causes and effects diagram)
  4. 체크시트(check sheet)
(정답률: 37%)
  • 정답: 파레토도(pareto diagram)

    설명: 파레토도는 데이터를 그 내용이나 원인 등 분류 항목별로 나누어 크기의 순서대로 나열하여 나타낸 그림입니다. 이 그림은 80:20 법칙을 기반으로 하며, 문제의 대부분은 소수의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파레토도는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며, 어떤 문제가 가장 중요한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일반적으로 품질코스트 가운데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코스트는?

  1. 평가코스트
  2. 실패코스트
  3. 예방코스트
  4. 검사코스트
(정답률: 82%)
  • 일반적으로 제품 또는 서비스의 품질이 나쁘면 고객으로부터 불만을 받게 되고, 이는 기업에 큰 손실을 초래합니다. 이러한 손실을 실패코스트라고 합니다. 실패코스트는 제품 불량으로 인한 재작업, 교체, 보상 등의 비용과 고객의 신뢰도 하락으로 인한 매출 감소 등의 비용으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기업은 제품 불량을 최소화하고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예방코스트와 검사코스트를 투자하여 실패코스트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