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조사분석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8-11)

사회조사분석사 2급
(2002-08-1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사방법론 I

1. 다음 중에서 사회조사의 결과를 이용하여 추정된 단순회귀모형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데 고려하여야 할 요인이 아닌 것은?

  1. 예측값의 표준오차
  2. 결정계수(決定係數)
  3. 회귀계수
  4. 가중평균값
(정답률: 46%)
  • 가중평균값은 회귀모형의 평가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통계량이기 때문에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가중평균값은 각 데이터의 가중치를 고려하여 계산된 평균값으로, 회귀모형의 평가와는 관련이 없는 다른 분야에서 사용되는 통계량이다. 따라서 회귀모형의 평가를 위해서는 예측값의 표준오차, 결정계수, 회귀계수 등을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사회과학에서 척도를 사용하는 이유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어렵고 복합적인 개념을 하나의 지표로 측정가능
  2. 변수에 대한 양적 측정치를 제공함으로 통계적 조작 가능
  3. 여러개의 지표를 하나의 점수로 나타내어 자료를 단순화 함
  4. 척도는 양적인 속성을 질적인 계열로도 전환 가능
(정답률: 65%)
  • 척도는 양적인 속성을 질적인 계열로도 전환 가능한 이유는 측정 대상의 속성이 양적인 경우에는 수치로 측정이 가능하지만, 질적인 경우에는 수치로 측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척도를 사용하여 질적인 속성도 수치화하여 측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사례조사연구의 특징은 무엇을 주요한 목적으로 생각 하는가?

  1. 명제나 가설의 검증
  2. 연구대상에 대한 기술과 탐구
  3. 분석단위의 파악
  4. 연구결과에 대한 일반화
(정답률: 60%)
  • 사례조사연구의 주요 목적은 연구대상에 대한 기술과 탐구입니다. 이는 사례조사연구가 특정한 개별 사례를 깊이 있게 탐구하고 분석하는 방법론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구대상에 대한 기술과 탐구를 통해 해당 사례의 특징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사례조사연구의 주요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캠프벨과 스탠리(Campbell & Stanley)가 언급한 외적타당도의 저해요인이 아닌 것은?

  1. 실험 처치와 피험자 편견의 상호작용효과
  2. 실험적 배치의 반동효과
  3. 여러번 실험처치 할 경우 간섭효과
  4. 측정치의 극단치가 평균으로 이동하는 효과
(정답률: 40%)
  • 측정치의 극단치가 평균으로 이동하는 효과는 외적타당도를 저해하는 요인 중 하나로, 이는 측정 대상의 극단적인 결과가 나올 확률이 높아질수록 평균값이 해당 방향으로 편향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학생들의 시험 점수 중에서 한 명의 학생이 매우 높은 점수를 받았을 경우, 이 학생의 점수가 평균값을 높게 만들어서 전체적인 결과를 왜곡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극단치는 분석에서 제외하거나 보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사전검사(시험조사;pretest)의 목적으로 가장 타당하지 않은 것은?

  1. 설문지의 확정
  2. 실제조사관리의 사전점검
  3. 사후조사결과와 비교
  4. 조사업무량의 조정
(정답률: 54%)
  • 사전검사의 목적은 실제 조사를 시작하기 전에 설문지나 조사 방법 등을 사전에 점검하여 문제가 있는 부분을 수정하고 개선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사전검사의 결과는 사후조사결과와 비교하여 문제가 있는 부분을 파악하고 개선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사후조사결과와 비교"가 가장 타당한 목적입니다. "설문지의 확정"은 사전검사의 목적 중 하나이지만, 가장 타당하지 않은 목적입니다. "실제조사관리의 사전점검"과 "조사업무량의 조정"은 사전검사의 목적 중 하나이며, 타당한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질문지의 문항배열과 관련하여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시작하는 질문은 가벼운 것으로 한다.
  2. 질문은 논리적인 순서로 배열하는 것이 좋다.
  3. 사생활에 관한 것이나 민감한 질문은 가급적 뒤로 돌린다.
  4. 특수한 것을 먼저 질문하고 일반적인 것은 뒤로 돌리는 것이 좋다.
(정답률: 69%)
  • "특수한 것을 먼저 질문하고 일반적인 것은 뒤로 돌리는 것이 좋다."가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특수한 질문이 일반적인 질문보다 더 중요하거나 우선적으로 답변이 필요한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질문의 순서는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조정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어떤 회사의 기획실 직원이 그 회사 사원들의 직업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몇가지의 설문문항들을 작성하여 그의 동료 직원들에게 보여서 그가 측정하려고 하는바를 빠짐없이 모두 다 포함시켰는지를 확인한다면, 다음 중 가장 적절한 설명은?

  1. 신뢰도를 확보하는 일이다.
  2. 내용타당도를 확보하는 일이다.
  3. 기준관련타당도를 확보하는 일이다.
  4. 내적신뢰도를 확보하는 일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직원이 작성한 설문문항들이 그 회사 사원들의 직업만족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내용타당도를 확보하는 일"이다. 즉, 설문문항들이 측정하려는 대상과 관련된 내용을 충분히 담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면접조사에서 응답내용의 신빙성을 저해하는 최근정보효과 (recency effect)를 정확하게 설명하고 있는 것은?

  1. 최근정보효과는 주로 질문지(questionnaire)를 사용하는 사회조사에서 보다는 조사표(interview schedule)를 사용하는 면접조사에서 자주 발생한다.
  2. 무학이나 저학력 응답자들은 아무리 최근에 입수한 주요한 정보와 직결된 내용일지라도 어려운 질문 내용은 잘 이해 할 수 없어 조사의 실효성을 감소시킨다.
  3. 무학이나 저학력 응답자들은 면접 직전에 면접자로부터 접하게 된 면접자의 생각이나 조언을 거의 무비판적으로 따라서 응답하는 경향이 짙다.
  4. 무학이나 저학력 응답자들은 제일 먼저 들었던 응답내용을 그 다음에 들은 응답내용에 비해 훨씬 정확하게 기억하게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최근정보효과는 응답자가 최근에 받은 정보에 더 많은 가중치를 두어 이전에 받은 정보를 무시하거나 잊어버리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면접조사에서 더 자주 발생하는데, 이는 질문지를 사용하는 사회조사에서는 응답자가 질문을 한 번에 받아들이고 답변을 작성하기 때문에 최근정보효과가 덜 발생하기 때문이다. 반면, 면접조사에서는 응답자가 질문을 듣고 바로 답변을 해야 하기 때문에 최근에 들은 정보에 더 많은 가중치를 두게 되고, 이전에 들은 정보를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의 질문방식은 어디에 속하는가?

  1. 이분형 질문(dichotomous questions)
  2. 평정형 질문(rating questions)
  3. 서열형 질문(ranking questions)
  4. 해당자 질문(contingency questions)
(정답률: 50%)
  • 이 질문방식은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 사용되며, 대상에 대한 평가를 숫자나 척도로 표현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평정형 질문(rating questions)"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내용분석의 중요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

  1. 내용분석은 메시지를 그 분석 대상으로 한다.
  2. 내용분석은 문헌연구의 일종이다.
  3. 내용분석은 양적분석 방법만 사용한다.
  4. 내용분석은 메시지의 현재적 내용뿐만 아니라 잠재적 내용도 그 분석 대상으로 하고 있다.
(정답률: 90%)
  • "내용분석은 양적분석 방법만 사용한다."는 거리가 먼 것이다. 내용분석은 양적분석 방법 뿐만 아니라 질적분석 방법도 사용한다. 내용분석에서는 양적분석 방법으로는 단어 빈도수, 문장 길이 등을 분석하고, 질적분석 방법으로는 내용의 의미, 감성, 표현 방식 등을 분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측정의 수준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통계기법이 달라지는데 다음 중 측정의 수준과 사용 가능한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를 잘 못 짝지은 것은?

  1. 명목 수준 - 중간값(median)
  2. 서열 수준 - 범위(range)
  3. 등간 수준 - 최빈값(mode)
  4. 비율 수준 -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정답률: 60%)
  • 정답은 "명목 수준 - 중간값(median)"이다.

    명목 수준은 변수의 값이 구분되는 것으로 순서나 크기의 개념이 없다. 따라서 중간값(median)과 같은 순서나 크기를 고려하는 기술통계는 사용할 수 없다.

    서열 수준은 변수의 값이 순서를 가지지만 간격이 일정하지 않다. 범위(range)는 변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기술통계로서 서열 수준에서 사용할 수 있다.

    등간 수준은 변수의 값이 순서를 가지고 간격이 일정하다. 최빈값(mode)은 변수의 값 중에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값을 나타내는 기술통계로서 등간 수준에서 사용할 수 있다.

    비율 수준은 변수의 값이 순서를 가지고 간격이 일정하며 절대적인 영점(zero point)이 존재한다.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는 변수의 값들이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퍼져있는지를 나타내는 기술통계로서 비율 수준에서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통제집단 사후측정 실험설계가 통제집단 사전사후측정 실험설계보다 좋은 점은?

  1. 무작위 추출과 관련된 문제를 피할 수 있다.
  2. 무작위 할당과 관련된 문제를 피할 수 있다.
  3. 측정 반응성(measurement reactivity)과 관련된 문제를 피할 수 있다.
  4. 무작위 추출 및 무작위 할당과 관련된 문제를 모두피할 수 있다.
(정답률: 67%)
  • 통제집단 사전사후측정 실험설계에서는 사전 측정과 사후 측정 사이에 시간적 간격이 있기 때문에 참가자들이 실험에 참여하고 있다는 인식이 줄어들어 측정 반응성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즉, 실험에 참여하는 것이 측정되는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관찰조사의 장점이 아 닌 것은?

  1. 현재상태를 가장 생생하게 기록할 수 있다.
  2. 자기보고(Self-reporting)를 하기 어려운 경우에 이용이 가능하다.
  3. 피조사자의 태도에 관계없이 조사가 가능하다.
  4. 조사자가 직접 관찰하게 되므로 관찰의 신뢰성과 타당성이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조사자가 직접 관찰하게 되므로 관찰의 신뢰성과 타당성이 높다는 것은 다른 보기들과 달리 관찰조사의 가장 큰 장점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조사자가 직접 상황을 관찰하고 기록하기 때문에 현재 상태를 가장 생생하게 기록할 수 있으며, 자기보고가 어려운 경우에도 이용이 가능하며, 피조사자의 태도에 관계없이 조사가 가능하다는 것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비확률표본추출(nonprobability sampling)의 방법은?

  1. 단순무작위표본추출(simple random sampling)
  2. 할당표본추출(quota sampling)
  3. 계통표본추출(systematic sampling)
  4. 층화표본추출(stratified sampling)
(정답률: 93%)
  • 비확률표본추출의 방법은 다양하지만, 할당표본추출은 그 중 하나입니다. 할당표본추출은 모집단을 여러 그룹으로 나눈 후, 각 그룹에서 일정한 비율로 샘플을 추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모집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샘플을 추출할 수 있으며, 특정 그룹의 비율을 높이거나 낮출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확률표본추출의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할당표본추출(quota sampling)의 단점은?

  1. 무작위표본추출보다 비용이 많이 든다.
  2. 일반화가 어렵고 표본오차가 커질 가능성이 높다.
  3. 신속한 결과를 원할 때 사용이 불가능하다.
  4. 각 집단을 적절히 대표하게 하는 층화의 효과가 없다.
(정답률: 28%)
  • 할당표본추출은 각 집단을 적절히 대표하게 하는 층화의 효과가 없으며, 특정 집단의 비율을 고려하여 표본을 추출하기 때문에 일반화가 어렵고 표본오차가 커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무작위표본추출보다는 비용이 많이 들지만,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무작위표본추출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할당표본추출은 신속한 결과를 원할 때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설문지의 표지문(cover letter)에 포함될 내용으로 적합하지 않 은 것은?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중요성
  3. 연구의 예상결과
  4. 연구의 주관기관
(정답률: 91%)
  • 설문지의 표지문에 포함될 내용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연구의 예상결과"입니다. 이는 설문조사의 결과를 예측하는 것이기 때문에, 설문조사를 실시하기 전에는 알 수 없는 내용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설문조사의 목적, 중요성, 주관기관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에서 틀 린 내용은?

  1. 정부의 교육 정책에 대한 지지도는 서열척도(ordinal scale)나 비율척도(ratio scale)로 측정해 볼 수 있다.
  2. IQ는 등간척도(interval scale)로 측정하는 것이다.
  3. 좋아하는 정당을 선택하라는 질문은 명목척도(nominal scale)로 측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4. 가구당 소득은 비율척도(ratio scale)로 측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정답률: 37%)
  • "IQ는 등간척도(interval scale)로 측정하는 것이다."가 틀린 내용이다. IQ는 비율척도(ratio scale)로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등간척도(interval scale)로 측정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중소기업 사장들의 중국계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친숙도를 조사하려고 한다. 어떤 척도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가?

  1. 소시오메트리
  2. 평정척도법
  3. 보가더스 척도법
  4. Q-기법
(정답률: 알수없음)
  • 보가더스 척도법은 대상에 대한 친숙도를 측정하는데 적합한 척도법으로, 대상에 대한 평가자의 감정적인 반응을 측정하여 수치화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중소기업 사장들의 중국계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친숙도를 측정하는데 적합한 척도법이다. 다른 보기들은 다른 종류의 척도법이므로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표본틀(sampling frame)을 평가하는 주요요소가 아닌 것은?

  1. 포괄성(comprehensiveness)
  2. 추출확률(probability of selection)
  3. 효율성(efficiency)
  4. 안정성(stability)
(정답률: 42%)
  • 안정성은 표본틀의 평가 요소 중 하나이지만, 다른 요소들과는 달리 표본틀의 변화에 따른 안정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즉, 표본틀이 변화하더라도 추출된 표본의 특성이 변하지 않는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안정성은 표본 추출 전에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추출 후에 평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조사자가 소수의 응답자 집단에게 특정 주제에 대하여 토론케 한 다음 필요한 정보를 알아내는 자료수집방법은?

  1. 현지조사법(field survey)
  2. 비지시적 면접(nondirective interview)
  3. 표적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
  4. 델파이 서베이(delphi survey)
(정답률: 60%)
  • 표적집단면접은 소수의 응답자 집단에게 특정 주제에 대해 집단적으로 토론을 하도록 유도하여 그들의 의견을 수집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 방법은 특정 주제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수집하고, 집단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의견을 발전시키는 데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 계통표본추출(Systematic sampling)의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A지역인구를 5명씩, B지역인구를 역시 5명씩 표집한다.
  2. 주소록에 등재된 이름을 등재순서에 따라 매 5번째 이름마다 표집한다.
  3. 출석부에 기재된 학생 50명중 5번부터 35번까지 모두 표집한다.
  4. 신장에 따라서 순서대로 등재되어 있는 징병대상 청년들을 10명씩 표집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소록에 등재된 이름을 등재순서에 따라 매 5번째 이름마다 표집한다.는 일정한 간격으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추출하므로 표본이 전체 모집단을 대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각 문항이 척도상의 어디에 위치할 것인가를 평가자들로 하여금 판단케 한 다음 조사자가 이를 바탕으로 하여 적절한 문항들을 선정하여 척도를 구성하는 방법은?

  1. 서스톤척도(Thurston scale)
  2. 리커트척도(Likert scale)
  3. 거트만척도(Guttman scale)
  4. 의미분화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
(정답률: 43%)
  • 서스톤척도는 각 문항이 척도상의 어디에 위치할 것인가를 평가자들로 하여금 판단하게 한 다음, 그 결과를 바탕으로 조사자가 적절한 문항들을 선정하여 척도를 구성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평가자들이 각 문항의 위치를 직접 판단하므로 주관적인 요소가 크게 작용할 수 있지만, 척도의 유효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서스톤척도(Thurston scale)"이다. 다른 보기들은 서로 다른 방법으로 척도를 구성하는 방법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실험실내(laboratory) 실험방법과 비교하여 현지(field) 실험방법이 가지는 장점은?

  1. 내적 타당성(Internal validity)
  2. 외적 타당성(External validity)
  3. 개념 타당성(Construct validity)
  4. 신뢰성(reliability)
(정답률: 60%)
  • 현지 실험방법은 실험 대상이 실제로 존재하는 환경에서 실험을 진행하기 때문에 실험 결과를 일반화할 수 있는 외적 타당성이 높습니다. 즉, 실험 결과가 현실 세계에서도 유효하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반면, 실험실 내 실험방법은 실험 대상을 인위적으로 조작하고 제어하기 때문에 실험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현직 대통령에 대한 인기도를 0점에서 100점까지의 값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도록 했다.(높은 수치일수록 높은 지지) 갑은 30점을 준 반면 을은 60점을 주었다. 갑과 을의 평가에 대해 다음 중 적절한 것은?

  1. 을은 갑보다 2배만큼 현직 대통령을 더욱 더 지지한다.
  2. 갑이 을보다 2배만큼 현직 대통령을 더욱 더 지지한다.
  3. 을이 더 지지하지만 그 차이가 2배라고 할 수 없다.
  4. 갑과 을의 평가를 비교할 수 없다.
(정답률: 70%)
  • 정답은 "을이 더 지지하지만 그 차이가 2배라고 할 수 없다." 이다. 이유는 갑이 30점을 주고 을이 60점을 준 것으로 보아, 을이 갑보다 더 높은 지지를 받았지만 그 차이가 2배가 아니기 때문이다. 2배 차이라면 을은 60점 대신 90점 이상을 줬을 것이다. 따라서, 을이 갑보다 더 높은 지지를 받았지만 그 차이는 2배가 아니라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은 연구의 모형에 관한 여러 진술들이다. 이 중 적합한 것은?

  1. 연역적 방법은 탐색적 연구에, 귀납적 방법은 가설 검정에 주로 사용한다.
  2. 연역적 방법은 우선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정리· 분석하여 일반적인 유형을 찾아내고 이것으로부터 잠정적인 결론에 도달하는 것이다.
  3. 귀납적 방법은 이론으로부터 가설을 설정하고 가설의 내용을 현실세계에서 관찰한 다음, 관찰에서 얻는 자료가 어느 정도 가설에 부합되는가를 판단하여 가설의 채택여부를 결정짓는 방법이다.
  4. 실제 연구과정에서는 연역적 방법과 귀납적 방법이 엄밀히 구분된다기보다는 상호보완적인 하나의 고리를 이루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실제 연구과정에서는 연역적 방법과 귀납적 방법이 엄밀히 구분된다기보다는 상호보완적인 하나의 고리를 이루고 있다."이다. 이유는 실제 연구과정에서는 연역적 방법과 귀납적 방법이 서로 상호보완적으로 사용되며, 연구의 목적과 문제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두 방법은 엄밀히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보완적인 하나의 고리를 이루고 있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의 특성을 가진 연구방법은?

  1. 참여관찰(participant observation)
  2. 실험(experiment)
  3. 내용분석(contents analysis)
  4. 조사연구(survey research)
(정답률: 70%)
  • 위 그림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실험군에는 독립변인(예: 새로운 약물)을 적용하고 대조군에는 그렇지 않은 상황을 만들어 비교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인과관계를 파악하기에 적합하며, 실험군과 대조군을 무작위로 배정하여 외부요인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실험(experimen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의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일반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는 면접설문조사보다 비용이 적게 들고 시간이 덜 걸린다.
  2.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는 익명성이 보장되기 때문에 면접설문조사보다 민감한 쟁점을 다루는데 유리하다.
  3.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는 면접설문조사보다 복잡한 쟁점을 다루는데 더 효과적이다.
  4. 면접설문조사에서는 면접원이 질문에 대한 대답 외에도 중요한 관찰을 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된 설명은 없다.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는 면접설문조사보다 비용과 시간이 적게 들고, 익명성이 보장되어 민감한 쟁점을 다루는데 유리하며, 면접설문조사에서는 질문에 대한 대답 외에도 중요한 관찰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는 복잡한 쟁점을 다루는데 더 효과적이다는 이유는 설문지를 미리 만들어 놓고 대상자들이 직접 작성하기 때문에 면접설문조사보다 더 많은 정보를 수집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가 모두 명목척도(nominal scale)일 경우에 적합한 통계기법은?

  1. 카이자승
  2. 분산분석
  3. 회귀분석
  4. 군집분석
(정답률: 알수없음)
  •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가 모두 명목척도일 경우, 적합한 통계기법은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이다. 카이제곱 검정은 두 변수 간의 관련성을 검정하는데 사용되며, 명목척도 변수 간의 관련성을 검정하는 데 적합하다. 따라서, "카이자승"이 정답이다. 분산분석은 연속형 독립변수와 명목척도 종속변수 간의 관련성을 검정하는데 사용되며, 회귀분석은 연속형 독립변수와 연속형 종속변수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는데 사용된다. 군집분석은 비슷한 특성을 가진 개체들을 그룹으로 묶는 분석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한 변수(X)가 다른 변수(Y)에 시간적으로나 이론적으로 선행하면서 그 변수(X)의 변화가 다른 변수(Y)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때 그 변수(X)는 무엇인가?

  1. 종속변수
  2. 내생변수
  3. 독립변수
  4. 피설명변수
(정답률: 80%)
  • 정답은 "독립변수"이다. 독립변수는 다른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시간적이나 이론적으로 선행하면서 다른 변수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반해 종속변수는 독립변수에 영향을 받는 변수이며, 내생변수는 연구자가 조작할 수 없는 변수를 의미하며, 피설명변수는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변수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경험적 연구를 위한 작업가설의 요건으로 틀린 것은?

  1. 명료해야 한다.
  2. 연구자의 주관이 분명해야 한다.
  3. 특정화되어 있어야 한다.
  4. 검정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정답률: 50%)
  • 연구자의 주관이 분명해야 한다는 요건은 틀린 것입니다. 작업가설은 연구자의 주관이 아닌, 이론적 배경과 이전 연구 결과 등을 기반으로 구체적이고 검증 가능한 가설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연구자의 주관이 들어간 가설은 과학적으로 타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사방법론 II

31. 어떤 연구가 부적절한 표본틀(Sampling frame)을 사용하여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면, 그 연구결과는?

  1. 대표성을 결여하게 된다.
  2. 이론적인 적절성이 결여된다.
  3. 정확한 가설을 설정하기 어렵다.
  4. 정확한 측정을 어렵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부적절한 표본틀을 사용하면 해당 모집단의 대표성을 반영하지 못하므로, 연구결과도 대표성을 결여하게 된다. 즉, 연구결과가 해당 모집단 전체에 대한 일반화가 어려워지며, 이론적인 적절성이 결여되고, 정확한 가설 설정과 측정이 어려워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부자(父子)간 계층이동 연구시 가장 적절한 질문은?

  1. 귀하 아버지께서 하시는 일은 무엇입니까?
  2. 귀하 아버지의 직업은 무엇입니까?
  3. 귀하 아버지의 직업과 소득은?
  4. 귀하가 16세 때 아버지의 직업은 무엇이었습니까?
(정답률: 39%)
  • 정답은 "귀하가 16세 때 아버지의 직업은 무엇이었습니까?"입니다. 이유는 부자(父子)간 계층이동 연구에서는 부모의 직업이 자녀의 사회적 지위와 경제적 지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자녀가 어떤 시기에 부모의 직업과 소득에 대해 인식하게 되는지를 파악해야 합니다. 따라서 자녀가 16세 때 아버지의 직업을 묻는 것이 가장 적절한 질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단순무작위표본추출(simple random sampling)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단순무작위표본추출의 경우, 연구자는 모집단(population) 내의 요소(element)들이 표본으로 선택될 확률을 알 수 있다.
  2. 단순무작위표본추출의 경우, 표본오차(sampling error)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3. 단순무작위표본추출의 경우, 표본의 크기(sample size)는 중요하지 않다.
  4. 단순무작위표본추출은 확률표본추출(probability sampling)의 대표적인 방법 중의 하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단순무작위표본추출의 경우, 표본의 크기(sample size)는 중요하지 않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단순무작위표본추출에서도 표본의 크기는 중요하며, 표본의 크기가 작을 경우 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표본의 크기는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스피어만-브라운(Spearman-Brown) 공식은 어느 경우에 주로 사용되는가?

  1. 동형검사 신뢰도 추정
  2. 반분신뢰도로 전체 신뢰도 추정
  3. 범위의 축소로 인한 예언타당도에 대한 교정
  4. Kuder-Richardson 신뢰도 추정
(정답률: 47%)
  • 스피어만-브라운 공식은 반분신뢰도로 전체 신뢰도를 추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특히 테스트나 설문지의 길이가 짧을 때, 전체 신뢰도를 측정하기 어려운 경우에 유용합니다. 이 공식은 테스트나 설문지의 길이를 늘리는 것으로 전체 신뢰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집락표본추출(cluster sampling)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확률표본추출(Probability sampling)의 하나로서, 표본오차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2. 완전한 표본틀(sampling frame)이 없는 경우에도 사용 가능하며, 비교적 비용이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전국 규모의 조사에 많이 사용된다.
  3. 집락내에서는 동질성이 크고 집락간에는 이질성이 크도록 집락을 설정하면, 표본오차(sampling error)와 조사 비용을 동시에 줄일 수 있다.
  4. 조사자의 필요에 따라서는 집락을 2개 이상의 단계에서 설정할 수도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집락내에서는 동질성이 크고 집락간에는 이질성이 크도록 집락을 설정하면, 표본오차(sampling error)와 조사 비용을 동시에 줄일 수 있다."는 올바른 설명이다. 집락표본추출은 대상 모집단을 작은 집단으로 나누어 각 집단에서 일부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표본오차를 줄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 달리 틀린 설명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응답자의 교육수준(학력)에 따라 응답편향(bias)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자료수집방법은?

  1. 면접조사
  2. 전화조사
  3. 우편조사
  4. 집단조사
(정답률: 알수없음)
  • 응답자의 교육수준에 따라 응답편향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자료수집방법은 "우편조사"입니다. 이는 우편조사는 응답자가 질문지를 받아서 직접 작성하기 때문에 응답자의 교육수준에 따라서 응답 내용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우편조사는 응답률이 낮아서 대표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응답편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국민의식조사의 질문은 어떤 점에 문제가 있는가?

  1. 간결성
  2. 명확성
  3. 상호배제성
  4. 포괄성
(정답률: 67%)
  • 상호배제성은 각 질문이 서로 중복되지 않고, 서로 배타적인 관계에 있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즉, 한 질문에 대한 답변이 다른 질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이 원칙을 지키지 않으면 국민의 의견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실험설계(experimental design)의 인과관계 분석을 위협하는 요소들이 아 닌 것은?

  1. 검사효과(testing effects)
  2. 사후검사(post-test)
  3. 성숙(maturation) 또는 시간의 경과
  4. 실험대상의 탈락
(정답률: 70%)
  • 사후검사는 실험설계의 인과관계 분석을 위협하는 요소 중 하나가 아니다. 이는 실험 집단과 대조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하고, 실험 결과를 검증하는 과정으로 실험의 유효성을 높이는 데에 도움을 준다. 따라서 사후검사는 실험설계의 유효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내적타당도와 외적타당도를 저해하는 대부분의 요소들을 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용성이 매우 높은 실험설계는?

  1. 고전적 실험
  2. 솔로몬 4집단설계
  3. 통제집단 후 비교설계
  4. 통제집단 전후 비교설계
(정답률: 57%)
  • 솔로몬 4집단설계는 실험 전에 미리 두 개의 집단을 만들어 내적타당도와 외적타당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 방법은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을 각각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 전에 두 집단 모두에게 전처리를 하고, 그 후에 실험 집단에만 실험 처리를 하여 결과를 비교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실험 전에 두 집단 모두에게 전처리를 하기 때문에 내적타당도를 향상시키고,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을 각각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 전에 두 집단 모두에게 전처리를 하기 때문에 외적타당도를 향상시킨다. 따라서 내적타당도와 외적타당도를 향상시키는 대부분의 요소들을 통제할 수 있어 효용성이 매우 높은 실험설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보다 동질적인 층으로부터는 비교적 적은 수의 표본을 뽑고, 다소 이질적인 층으로부터는 보다 많은 표본을 뽑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최소 규모의 표본으로 정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추출방법은?

  1. 비례배분(proportional allocation)
  2. 최적분배(optimum allocation)
  3. 데밍분배(deming allocation)
  4. 네이만분배(neyman allocation)
(정답률: 알수없음)
  • 네이만분배는 모집단을 동질적인 층과 이질적인 층으로 나누어 각 층에서 적절한 비율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동질적인 층에서는 적은 수의 표본을 뽑아도 정확성을 유지할 수 있고, 이질적인 층에서는 보다 많은 표본을 뽑아 정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최소 규모의 표본으로도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네이만분배는 효율적인 표본 추출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대면적 면접조사(face-to-face interview)가 지니는 장점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응답률이 높다.
  2. 조사 경비를 줄일 수 있다.
  3. 신뢰성 있는 응답을 얻을 수 있다.
  4. 문항에 대한 답변 이외의 정보도 얻을 수 있다.
(정답률: 86%)
  • 대면적 면접조사는 조사자가 직접 응답자와 대면하여 질문을 하고 답변을 받는 방식이기 때문에 조사 경비를 줄일 수 있다. 이는 인터넷이나 우편 등의 비대면 방식에 비해 조사자의 이동 비용, 인력 비용 등이 적게 들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틀 린 것은?

  1. 신뢰도는 타당성의 충분조건이다.
  2. 측정오차는 체계적오차(systematic error)와 무작위 오차(random error)로 나눌 수 있다.
  3. 체계적오차는 타당성과 관련되어 있다.
  4. 무작위오차는 신뢰도와 관련되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틀린 것은 "신뢰도는 타당성의 충분조건이다." 이다. 신뢰도와 타당성은 서로 다른 개념이며, 서로 독립적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신뢰도는 측정 도구의 일관성과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타당성은 측정 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신뢰도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타당성이 높은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개념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일반적 합의
  2. 정확한 정의
  3. 가치 중립성
  4. 경험적 준거틀
(정답률: 알수없음)
  • 개념의 구성요소는 "일반적 합의", "정확한 정의", "경험적 준거틀"이다. "가치 중립성"은 개념의 구성요소가 아니며, 개념의 정의나 해석에 있어서 개인의 가치관이나 선호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 중립적인 입장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사회조사에서 비확률표본추출(nonprobability sampling)이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1. 표본추출오차가 작게 나타난다.
  2. 모집단에 대한 추정이 용이하다.
  3. 표본설계가 용이하고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4. 모집단 본래의 특성과 일정량 이상은 차이가 나지 않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정답률: 39%)
  • 비확률표본추출은 모집단에서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표본추출오차가 크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표본설계가 용이하고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표본설계가 용이하고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각 대학교의 졸업생들을 중심으로 취업률을 조사하였을 때 척도의 수준으로 맞는 것은?

  1. 수학적 계산이 불가능하다.
  2. 덧셈과 뺄셈만이 가능하다.
  3. 곱셈과 나눗셈만이 가능하다.
  4.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모두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모두 가능하다."가 정답이다. 취업률은 백분율로 나타내기 때문에 수학적 계산이 가능하며, 덧셈과 뺄셈으로는 전년도 대비 상승 또는 하락한 취업률을 비교할 수 있고, 곱셈과 나눗셈으로는 취업률의 증감률을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사칙연산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명목척도(nominal scale)의 논리적 특성은 한 범주 내에 있는 모든 대상이 등가성(equivalence)을 지니고 있다는점이다. 이러한 등가성에 대한 기호적 표현이 아닌 것은?

  1. A=A
  2. A=B 이면 B=A이다.
  3. A>B 이면 B는 A보다 크지 않다.
  4. A=B이고, B=C이면 A=C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A>B 이면 B는 A보다 크지 않다."는 명목척도의 논리적 특성과 맞지 않는다.

    설명: 명목척도는 범주(category)를 구분하는 데 사용되며, 범주 간에는 순서나 크기의 개념이 없다. 따라서 "A>B"와 같은 부등호 기호는 명목척도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A>B"는 순서척도(ordinal scale)나 등간척도(interval scale)에서 사용되는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사회경제적 지위를 측정하기 위해 응답자의 직업, 소득 및 교육수준을 지표로 사용하는 경우에 척도의 타당도 (validity)를 평가하는 방법은?

  1. 구성체타당도(construct validity)
  2. 표면타당도(face validity)
  3. 기준관련타당도(criterion-related validity)
  4.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정답률: 50%)
  • 사회경제적 지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지표들은 실제로 사회경제적 지위와 관련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이를 위해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외부적인 지표가 필요한데, 이를 기준관련타당도(criterion-related validity)라고 한다. 따라서, 사회경제적 지위를 측정하는 척도의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이 척도가 실제로 사회경제적 지위와 관련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기준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척도의 타당도를 평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4년제 대학교 대학생집단을 학년과 성, 계열별(인문계, 자연계, 예체능계)로 구분하여 할당표본추출을 할 경우 할당표는 총 몇 개의 범주로 구분되어지는가?

  1. 3개
  2. 5개
  3. 12개
  4. 24개
(정답률: 알수없음)
  • 할당표본추출에서는 각 범주에 대한 샘플링 비율이 동일해야 하므로, 학년, 성, 계열별로 각각 구분하여 할당표를 만들면 총 4개의 범주가 생기게 된다. 각 범주마다 3가지, 2가지, 3가지의 선택지가 있으므로, 총 3 x 2 x 3 = 18가지의 조합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 조합은 학년, 성, 계열별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이 조합의 개수를 4로 곱해주면 총 72가지의 조합이 가능하다. 이 중에서도 각 범주마다 샘플링 비율이 동일해야 하므로, 72를 3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24개의 범주로 나누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24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온라인(on-line)조사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모집단의 대표성
  2. 조사의 신속성
  3. 조사비용의 경제성
  4. 분석의 용이성
(정답률: 69%)
  • 온라인 조사의 장점 중 "모집단의 대표성"은 아닙니다. 이는 온라인 조사에서 표본 추출 방법이 적절하지 않거나, 응답률이 낮아서 모집단을 대표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온라인 조사를 할 때는 표본 추출과 응답률을 고려하여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에 예시된 척도는 무슨 척도인가?

  1. 서스톤척도(Thurston scale)
  2. 리커트척도(Likert scale)
  3. 거트만척도(Guttman scale)
  4. 의미분화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척도는 양 끝단에 반대되는 의미를 가진 단어들을 놓고 그 사이에 중간 단어들을 배치하여 참여자들이 그 단어들 사이에서 자신의 견해를 표현하도록 하는 척도이다. 예를 들어, 위의 그림에서 "불만족"과 "만족"이 양 끝단에 위치하고, "보통"이 중간에 위치하며, 참여자들은 이 세 단어 사이에서 자신의 느낌을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의미분화척도는 참여자들의 태도, 인식, 감정 등을 측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신뢰도의 구체적 평가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재조사법(test-retest method)
  2. 사전조사법(pretest method)
  3. 반분법(split-halves method)
  4. 내적 일치도법(internal consistency method)
(정답률: 알수없음)
  • 사전조사법은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적절하지 않은 방법입니다. 이유는 사전조사법은 동일한 문항을 두 번 이상 측정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는 방법으로, 이 방법은 테스트를 수행하기 전에 사전조사를 실시하므로 테스트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전조사법은 테스트의 신뢰도를 평가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광범위한 개인의 감정이나 생활경험을 알아보고자 할 경우 많이 활용하는 조사방법은?

  1. 집중면접(focused interview)
  2. 임상면접(clinical interview)
  3. 비지시적 면접(nondirective interview)
  4. 구조적 면접(structured interview)
(정답률: 24%)
  • 임상면접은 개인의 감정이나 생활경험을 광범위하게 알아보기 위해 사용되는 조사방법으로, 전문가가 질문을 통해 개인의 경험, 생각, 감정 등을 자세히 파악하고 분석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보다 더 광범위하고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폐쇄형 질문(closed-ended questions)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응답자에게 창의적인 자기표현의 기회를 줄 수 있다.
  2. 질문에 대한 대답이 표준화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가 가능하다.
  3. 밝히기를 주저하거나 사생활과 관련되는 민감한 주제에 보다 적합하다.
  4. 부호화(coding)와 분석이 용이하여 시간과 경비를 절약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응답자에게 창의적인 자기표현의 기회를 줄 수 있다."

    폐쇄형 질문은 선택지가 제공되어 있거나 예/아니오로 대답할 수 있는 질문으로, 응답자는 주어진 선택지나 예/아니오로 대답해야 한다. 따라서 응답자에게 창의적인 자기표현의 기회를 제공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은 참여관찰(Participant observation)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려고 할 때 조사자가 취할 수 있는 태도이다. 이 중 가장 객관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것은?

  1. 완전한 참여자
  2. 관찰자로서의 참여자
  3. 참여자로서의 관찰자
  4. 완전한 관찰자
(정답률: 50%)
  • 정답: "완전한 참여자"

    설명: "완전한 참여자"는 조사자가 연구 대상 그룹에 완전히 녹아들어 그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조사자가 대상 그룹의 문화와 가치관을 이해하고, 그들의 관점에서 세상을 바라볼 수 있게 해준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조사자가 대상 그룹의 일원이 되어 객관성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조사자는 가능한 한 "관찰자로서의 참여자"나 "참여자로서의 관찰자"로서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방법은 조사자가 대상 그룹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도 그들의 생활을 관찰하고, 자료를 수집할 수 있게 해준다. "완전한 관찰자"는 대상 그룹과 접촉하지 않고, 관찰만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객관성을 유지하기는 쉽지만, 대상 그룹의 문화와 가치관을 이해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각 용어의 설명이 맞게 짝지어진 것은?

  1. 표면타당도(face validity): 모집단의 특성이 수많은 질문문항과 지표를 통해서 과연 얼마나 모집단의 특성을 잘 대표해 주고 있는가를 말한다.
  2.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특정의 기호를 이루고 있는 이론 구성이 과연 타당한가에 대한 내용이다.
  3. 기준관련타당도(criterion-related validity): 경험적 타당도 또는 예시적 타당도라고도 한다.
  4. 구성타당도(construct validity): 지표의 타당도가 단순한 연구자의 주관에 따라 확보된 경우를 말한다.
(정답률: 47%)
  • - 표면타당도: 모집단의 특성을 대표하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것
    - 내용타당도: 이론적으로 구성된 기호가 타당한지 여부를 평가하는 것
    - 기준관련타당도: 다른 기준과의 관련성을 평가하여 타당성을 판단하는 것
    - 구성타당도: 지표의 타당성이 연구자의 주관에 따라 확보된 경우를 평가하는 것

    기준관련타당도는 다른 기준과의 관련성을 평가하여 타당성을 판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특정 직무에서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해당 직무와 관련된 다른 지표와의 관련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는 경험적 타당도 또는 예시적 타당도라고도 불리며, 실제로 해당 지표가 특정한 결과를 예측하는 데 유용한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질적조사방법과 양적조사방법의 차이점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양적방법은 관찰자로부터 독립된 객관적 현상이 존재한다고 보는데 비하여 질적방법은 그렇지 않다.
  2. 양적방법은 현상의 결과적 측면에 주력한다면 질적방법은 현상의 과정적 측면을 이해하려 주력한다.
  3. 양적방법은 조사절차가 유연하고 객관적이지만 질적방법은 그렇지 못하다.
  4. 양적방법은 일반화(generalization)를 위해 노력하지만 질적방법은 그렇지 않다.
(정답률: 알수없음)
  • "양적방법은 조사절차가 유연하고 객관적이지만 질적방법은 그렇지 못하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양적방법과 질적방법 모두 조사절차가 유연하고 객관적일 수 있습니다. 이는 연구자의 선택과 연구 대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표본추출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모집단의 구성요소나 표본추출단계별로 표본추출단위(sampling unit)가 수록된 목록이 필요하다. 이러한 목록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표본틀(sampling frame)
  2. 표본추출분포(sampling distribution)
  3. 요소(element)
  4. 분석단위(unit of analysis)
(정답률: 60%)
  • 표본틀은 모집단의 구성요소나 표본추출단계별로 표본추출단위가 수록된 목록을 말한다. 따라서 표본추출을 위해서는 표본틀이 필요하다. "표본추출분포"는 표본통계량이 가질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을 나타내는 분포를 말하며, "요소"는 조사 대상이 되는 개체나 사람 등을 말하며, "분석단위"는 조사 대상을 분석하기 위한 최소한의 단위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대개 소집단에서의 사람들 사이의 상호관계, 상호작용, 의사소통, 리더쉽, 사회적 지위, 집단구조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활용되는 것은?

  1. Q-기법
  2. 어의(語義)차별법
  3. 소시오메트리
  4. 조합(組合)비교법
(정답률: 알수없음)
  • 소시오메트리는 소집단에서의 사람들 사이의 상호관계, 상호작용, 의사소통, 리더쉽, 사회적 지위, 집단구조 등을 분석하여 이를 그래프나 네트워크 형태로 시각화하는 분석 방법입니다. 따라서 소시오메트리는 소집단에서의 인간관계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에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자료정선과정(data cleaning)에서 오류가 발견되었을 경우, 이를 해결할 방법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결측값으로 처리한다.
  2. 전체 사례를 삭제한다.
  3. 질문지의 응답을 다시 확인한다.
  4. 정해진 추정원칙에 따라 추정치를 삽입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해진 추정원칙에 따라 추정치를 삽입하는 것은 오류를 해결하는 가장 적절한 방법이 아닙니다. 이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추정치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다른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오류가 발견되었을 경우에는 질문지의 응답을 다시 확인하거나, 다른 데이터 소스를 활용하여 오류를 수정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등간척도(interval scale)의 특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등급이나 순위가 명시되고, 상호배제성, 비연속적 성격을 가진다.
  2. 등거리구간과 의미있는 제로기점이 명시된다.
  3. 의미있는 제로기점이 명시되고 비연속적 성격을 가진다.
  4. 상호배제성을 가지고, 등급이나 순위, 그리고 등거리 구간이 명시된다.
(정답률: 80%)
  • 등간척도는 숫자 간의 등거리 구간이 명시되며, 상호배제성을 가지고 있어 각 숫자는 서로 중복되지 않는다. 또한 등급이나 순위를 명시할 수 있어 비교 분석이 가능하다. 하지만 비연속적 성격을 가지며, 의미있는 제로기점은 없다. 따라서 "상호배제성을 가지고, 등급이나 순위, 그리고 등거리 구간이 명시된다."가 가장 적합한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사회통계

61. 관측값 12개를 갖고 수행한 단순회귀분석에서 회귀직선의 유의성 검정을 위해 작성된 분산분석표가 다음과 같다. 이 표에서 ①, ②, ③의 값으로 맞는 것은?

  1. ① = 10, ② = 22, ③ = 3
  2. ① = 10, ② = 220, ③ = 3.67
  3. ① = 11, ② = 20, ③ = 3.3
  4. ① = 11, ② = 220, ③ = 0.3
(정답률: 14%)
  • 답: ① = 10, ② = 22, ③ = 3

    분산분석표에서 ①은 회귀제곱합(SSR)이고, ②는 잔차제곱합(SSE)이다. SSR은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대해 설명하는 변동을 나타내고, SSE는 회귀직선으로부터의 잔차에 대한 변동을 나타낸다. 따라서 SSR이 클수록 회귀직선이 데이터를 잘 설명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SSE가 작을수록 회귀직선으로부터의 잔차가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③은 결정계수(R-squared)이다. 결정계수는 회귀직선이 전체 데이터의 변동 중 얼마나 설명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진다. 따라서 ③이 클수록 회귀직선이 데이터를 잘 설명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①이 크고 ②가 작으며, ③가 1에 가까울수록 회귀직선이 데이터를 잘 설명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정답은 "① = 10, ② = 22, ③ =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행이 2, 열이 3으로 된 이원교차표를 보고 카이제곱 검증을 하려고 한다. 자유도는 얼마인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알수없음)
  • 이원교차표의 자유도는 (행의 개수 - 1) x (열의 개수 - 1) 이므로, 위의 이원교차표의 자유도는 (2-1) x (3-1) = 2 이다. 이유는 이원교차표에서 행과 열의 합이 각각 3이므로, 자유도는 (2-1) x (3-1) = 2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은 어느 회사의 신입사원 영어시험 점수의 도수분포표이다. 세 번째 계급의 누적상대도수는?

  1. 0.35
  2. 0.28
  3. 0.26
  4. 0.63
(정답률: 36%)
  • 세 번째 계급의 상대도수는 0.26이다. 누적상대도수는 해당 계급의 상대도수와 그 이전 계급들의 상대도수의 합이므로, 첫 번째 계급의 상대도수 0.35와 두 번째 계급의 상대도수 0.28을 더한 값인 0.63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6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어느 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키, 몸무게, 혈액형, 월평균 용돈 등 4개의 변수에 대한 관측값을 얻었다. 이들변수 중 관측값들을 대표하는 측도로 최빈값(mode)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것은?

  1. 몸무게
  2. 혈액형
  3. 월평균 용돈
(정답률: 알수없음)
  • 최빈값은 데이터에서 가장 자주 나타나는 값으로, 이 경우 "혈액형"이 가장 적절한 대표값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혈액형이 이산적인 값이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즉, 키와 몸무게는 연속적인 값이므로 최빈값을 구하는 것이 의미가 없을 수 있고, 월평균 용돈은 각 학생마다 차이가 크기 때문에 대표값으로 사용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혈액형"이 가장 적절한 대표값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중회귀분석에서 회귀계수에 대한 검정과 결정계수가 아래와 같다. 틀린 것은?

  1. 설명변수는 Head와 Neck이다.
  2. 회귀계수 중 가장 의미가 없는 변수는 절편과 Neck이다.
  3. 위 중회귀모형은 89.1% 자료와 적합한다.
  4. 회귀방정식에서 다른 요인을 고정시키고 Neck이 한단위 증가하면 반응값은 19.112가 증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위 중회귀모형은 89.1% 자료와 적합한다."이다.

    회귀분석에서 결정계수는 모형의 적합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모형이 데이터를 얼마나 잘 설명하는지를 나타낸다. 결정계수는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1에 가까울수록 모형이 데이터를 잘 설명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결정계수가 0.891이라는 것은 이 모형이 데이터를 상당히 잘 설명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회귀분석에서는 변수의 중요도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회귀계수 검정은 각 변수의 중요도를 검증하는 것으로, p-value가 작을수록 해당 변수가 반응값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Neck 변수의 회귀계수의 p-value가 0.05보다 크므로 Neck 변수가 반응값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절편은 모든 변수가 0일 때의 반응값을 나타내는 값으로, 변수의 중요도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므로 가장 의미가 없는 변수 중 하나이다.

    따라서 "회귀계수 중 가장 의미가 없는 변수는 절편과 Neck이다."라는 설명이 맞다. 또한 "설명변수는 Head와 Neck이다."와 "회귀방정식에서 다른 요인을 고정시키고 Neck이 한단위 증가하면 반응값은 19.112가 증가한다."도 모두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은 처리(treatment)의 각 수준별 반복수이다. 오차 변동의 자유도는?

  1. 13
  2. 14
  3. 15
  4. 16
(정답률: 알수없음)
  • 처리의 각 수준별 반복수의 합은 60이다. 이는 자료의 총 개수와 같다. 따라서 오차 변동의 자유도는 총 개수에서 처리 수준의 개수를 뺀 값이므로 60-4=56이다. 그러나 각 처리 수준별로 반복수가 다르므로, 처리 수준의 개수에서 1을 뺀 값이 추가적인 오차 변동의 자유도를 제공한다. 따라서 56-3=53이다. 그러나 이 자료는 블록화(blocking)된 자료이므로, 블록(block)의 개수만큼 추가적인 오차 변동의 자유도를 제공한다. 블록의 개수는 2이므로, 53+2=55이다. 따라서 정답은 55에서 처리 수준의 개수인 4를 뺀 1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독립인 정규 모집단 N ( μ1, σ1), N ( μ2, σ2)으로부터 추출한 크기, n1, n2인 표본의 평균을 X , Y라 할 때, 균은?

  1. μ1-2μ2
(정답률: 2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I(≥2)개의 처리를 비교하기 위하여 J(≥2)개의 블록에서 각 처리가 1회씩 실험되었다. 처리 i · 블록 j (i=1,… ,I j=1,… ,J)에서 얻은 연속형 반응을 yij 라고 할 때, 이 자료에 대한 통계적 모형으로 가장 유용한 것은?

  1. yij = μ + εij , εij 族 N (0,σ2) 이며 서로 독립
  2. yij = μ + αi + εij , εij 族 N (0,σ2) 이며 서로 독립
  3. yij = μ + βj + εij , εij 族 N (0,σ2) 이며 서로 독립
  4. yij = μ + αi + βj + εij , εij 族 N (0,σ2) 이며 서로 독립
(정답률: 알수없음)
  • 처리와 블록의 효과를 모두 고려해야 하므로 yij = μ + αi + βj + εij 모형이 가장 적합하다. 여기서 αi는 처리 i의 효과, βj는 블록 j의 효과, εij는 오차항으로 각각 정규분포를 따르며 서로 독립이다. 이 모형은 처리와 블록의 효과를 분리하여 추정할 수 있으며, 실험 설계에 따라 처리와 블록을 교차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은 단순선형회귀모형을 추정해서 얻은 잔차(ei)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단, 모형은 Yi01Xii 이다.)

  1. ∑ei=0
  2. ∑ei = ∑Xi ei
(정답률: 19%)
  • "" 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잔차의 합은 항상 0이 아닐 수 있다. 잔차의 합이 0이 되는 경우는 회귀선이 데이터 포인트들의 중심을 지나는 경우뿐이다. 따라서, ""는 일반적으로 참이 아닐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한 회사에서 생산되는 제품이 불량품일 확률은 서로 독립적으로 0.01임을 안다. 그 회사는 1 상자에 10개씩 포장해서 판매를 하는데 만일 1 상자에 불량품이 2개 이상이면 돈을 환불해 준다. 판매된 상자가 반품될 비율은 얼마 인가?

  1. 약 0.6%
  2. 약 0.4%
  3. 약 0.2%
  4. 약 0.08%
(정답률: 20%)
  • 1 상자에 불량품이 2개 이상일 확률은 1 - (1 상자에 불량품이 0개 또는 1개일 확률)이다.

    1 상자에 불량품이 0개일 확률은 (0.99)^10 ≈ 0.9048
    1 상자에 불량품이 1개일 확률은 10C1 x (0.99)^9 x (0.01)^1 ≈ 0.0908

    따라서 1 상자에 불량품이 2개 이상일 확률은 1 - (0.9048 + 0.0908) ≈ 0.0044 이다.

    따라서 상자가 반품될 확률은 모든 상자가 불량품일 경우를 제외하면 0.0044 이상이다. 모든 상자가 불량품일 경우의 확률은 (0.01)^10 ≈ 0.0000000001 이므로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자가 반품될 비율은 약 0.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X族N(0,1)이고 일때 T 분포와 F 분포를 옳게 표시한 것은?

(정답률: 0%)
  • 정답은 ""이다.

    T 분포는 표본의 크기가 작을 때, 모집단의 분산을 모르는 경우에 사용되며, 정규분포를 따르는 모집단에서 추출된 표본의 평균에 대한 검정에 사용된다. 따라서, X가 정규분포를 따르므로 T 분포를 사용할 수 있다.

    F 분포는 두 개 이상의 정규분포를 따르는 모집단에서 추출된 두 개 이상의 표본의 분산 비율에 대한 검정에 사용된다. 따라서, X가 정규분포를 따르므로 F 분포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X가 표준정규분포를 따르므로, T 분포와 F 분포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기록에 의하면 어느 백화점 매장에서 물품을 구입 후 25%의 고객이 신용카드로 결제한다는게 알려져 있다. 오늘 40명의 고객이 이 매장에서 물건을 구입하였을 때, 몇 명의 고객이 신용카드로 결제하였을 것이라 기대되는가?

  1. 5명
  2. 8명
  3. 10명
  4. 20명
(정답률: 알수없음)
  • 25%의 고객이 신용카드로 결제한다는 것은 100명 중 25명이 신용카드로 결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40명의 고객 중에서도 25%가 신용카드로 결제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40 x 0.25 = 10명의 고객이 신용카드로 결제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정답은 "10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은 중심극한의 정리(Central limit theorem)의 정의다. ( )속에 들어갈 말을 차례대로 쓰면?

  1. n, μ , σ2, 표준정규
  2. , μ , σ2/n, 정규
  3. σ2, , μ , 표준정규
  4. n, μ , σ2/n, 정규,
(정답률: 54%)
  • 중심극한의 정리는 모집단에서 크기가 n인 표본을 무작위로 추출할 때, 표본평균의 분포가 n이 충분히 크다면 근사적으로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n, μ, σ2/n, 정규)가 정답이다.

    - n: 표본의 크기가 커질수록 정규분포에 근사화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중요한 요소이다.
    - μ: 모집단의 평균을 나타내는 모수이다.
    - σ2/n: 모집단의 분산을 나타내는 모수인 σ2를 표본의 크기 n으로 나눈 값이다. 이 값이 작을수록 표본평균의 분산이 작아지기 때문에 정규분포에 근사화되는데 도움이 된다.
    - 정규: 표본평균의 분포가 근사적으로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표 A>와 <표 B>에서 행과 열의 독립성 가설을 검증(검정)하고자 한다. <표 A>에서의 카이제곱 통계량을 , p-값(유의확률)을 pA 이라고 하고 <표 B>에서의 카이제곱 통계량을 , p-값(유의확률)을 pB 라고 하자. 다음 중 맞는 것은?

(정답률: 20%)
  • 표 A와 표 B에서의 카이제곱 검정은 각각의 표에서 행과 열이 독립적인지 여부를 검증하는 것이다. 따라서, 두 검정 결과의 p-값이 모두 유의수준보다 작으면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즉 행과 열이 독립적이지 않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이유는 두 검정 결과의 p-값이 모두 유의수준보다 작으므로, 행과 열이 독립적이지 않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단순회귀분석을 위하여 수집한 자료 10개에 대하여 다음의 요약된 값을 얻었다. 최소제곱법에 의하여 추정된 회귀직선은?

(정답률: 23%)
  • 주어진 자료를 이용하여 회귀직선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최소제곱법을 사용한다. 최소제곱법은 주어진 자료를 이용하여 회귀직선의 기울기와 y절편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추정된 회귀직선은 주어진 자료의 분포를 가장 잘 설명하는 직선이 된다.

    따라서, 주어진 자료를 이용하여 최소제곱법을 적용하면 추정된 회귀직선은 y = 0.7x + 3.6 이 된다. 이는 보기 중에서 "" 이 정답이 된다.

    이유는 주어진 자료를 이용하여 최소제곱법을 적용하면, 추정된 회귀직선이 y = 0.7x + 3.6 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 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Y의 X에 대한 회귀직선식이 이라 한다. Y의 표준편차는 5, X의 표준편차가 3이라 할 때 Y와 X의 상관계수는?

  1. 0.6
  2. 1
  3. 0.8
  4. 0.5
(정답률: 알수없음)
  • 상관계수는 공분산을 각 변수의 표준편차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상관계수 = 공분산 / (Y의 표준편차 * X의 표준편차) 이다.

    공분산은 회귀직선식에서 X와 Y의 편차를 곱한 값의 평균이므로,

    공분산 = (1/5) * [(10-8*2)*(20-15*3) + (15-8*3)*(25-15*4) + (20-8*4)*(30-15*5) + (25-8*5)*(35-15*6) + (30-8*6)*(40-15*7)] = 50

    따라서, 상관계수 = 50 / (5*3) = 0.6 이다.

    즉, Y와 X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X가 증가할 때 Y도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어느 지역의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250(만원)이고, 분산은 25(만원)이라고 한다. 이 지역에서 50가구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구한 표본평균을 X라고 할 때, 다음 중 근사적으로 확률 P(a嗾嗾b)를 가장 크게하는 a, b 값은?

  1. a=245, b=255
  2. a=240, b=250
  3. a=250, b=260
  4. a=248, b=258
(정답률: 50%)
  • 중심극한정리에 따라, 표본평균 X는 평균이 250이고 분산이 1/50(=0.02)인 정규분포를 따른다. 따라서,

    P(a嗾嗾b) = P((a-250)/sqrt(0.02) < (X-250)/sqrt(0.02) < (b-250)/sqrt(0.02))

    여기서 (X-250)/sqrt(0.02)는 평균이 0이고 분산이 1인 표준정규분포를 따르므로,

    P(a嗾嗾b) = P((a-250)/sqrt(0.02) < Z < (b-250)/sqrt(0.02))

    여기서 Z는 표준정규분포를 따르는 확률변수이다. 따라서,

    P(a嗾嗾b) = F((b-250)/sqrt(0.02)) - F((a-250)/sqrt(0.02))

    여기서 F는 표준정규분포의 누적분포함수이다. 이때, F(0) = 0.5 이므로,

    P(a嗾嗾b) = F((b-250)/sqrt(0.02)) - F((a-250)/sqrt(0.02)) = 2F((b-250)/sqrt(0.02)) - 1 - (2F((a-250)/sqrt(0.02)) - 1) = 2F((b-250)/sqrt(0.02)) - 2F((a-250)/sqrt(0.02))

    따라서, P(a嗾嗾b)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F((b-250)/sqrt(0.02))와 F((a-250)/sqrt(0.02))를 최대화하고 최소화해야 한다. F는 대칭함수이므로, F(x)가 최대가 되는 x는 0이다. 따라서,

    F((b-250)/sqrt(0.02)) = F((a-250)/sqrt(0.02)) = 0.5

    이 되어야 한다. 이를 풀면,

    (b-250)/sqrt(0.02) = 0, a-250)/sqrt(0.02) = 0

    즉,

    a = 245, b = 255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a=245, b=25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은 가설검정에 관한 설명이다. 옳은 것은?

  1. 검정통계량은 확률변수이다.
  2. 대립가설은 사전에 알고 있는 값이다.
  3. 유의수준 α 를 작게할수록 좋은 검정법이다.
  4. 가설이 틀렸을 때 틀렸다고 판정할 확률을 유의수준이라 한다.
(정답률: 10%)
  • "검정통계량은 확률변수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검정통계량은 샘플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산되는 값으로, 이 값은 확률변수로서 분포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가설검정에서는 검정통계량의 분포를 이용하여 가설을 검정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회귀분석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가정이 아닌 것은?

  1. 독립성(independence)
  2. 불편성(unbiasedness)
  3. 정규성(normality)
  4. 등분산성(homoscedasticity)
(정답률: 알수없음)
  • 불편성은 회귀분석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가정이 아니며, 이는 회귀분석에서 추정된 모수가 실제 모수와 일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불편성은 회귀분석 결과의 정확성을 평가하는 지표 중 하나이지만, 회귀분석을 수행하는데 필수적인 가정은 아닙니다. 반면에 독립성, 정규성, 등분산성은 회귀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가정으로, 이들 가정이 만족되지 않으면 회귀분석 결과의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부산시가 전국도시에 비해 주택보급율과 도로율 중 어떤 것이 더 열악한가를 파악하려고 한다. 무엇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가?

  1. 표준편차
  2. 변동계수
  3. 평균
  4. 표준점수(Z점수)
(정답률: 20%)
  • 표준점수(Z점수)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주택보급율과 도로율을 각각의 평균과 표준편차로 변환하여 비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방법은 각각의 변수의 단위나 척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상대적인 위치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 분석에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1. 이항분포의 정규근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표본의 크기가 충분히 큰 경우에 적용된다.
  2. 이항분포에서 성공확률이 1/2 에 가까울수록 정확도가 뛰어나다.
  3. 연속성 수정을 실시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항상 정확하다.
  4. 연속성 수정시 고려되는 상수값은 1 또는 -1 이다.
(정답률: 25%)
  • "연속성 수정시 고려되는 상수값은 1 또는 -1 이다." 가 틀린 것이다. 연속성 수정시 고려되는 상수값은 0.5이다. 이는 이항분포의 확률질량함수가 이산형이지만 정규분포의 확률밀도함수는 연속형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결합확률밀도함수의 상관계수는 얼마인가?

  1. 0
  2. -1
  3. 1
  4. 1/2
(정답률: 알수없음)
  • 상관계수는 공분산을 각 변수의 표준편차의 곱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상관계수가 0이 되기 위해서는 공분산이 0이 되면 된다.

    공분산은 E[(X-E[X])(Y-E[Y])]로 정의되는데, 결합확률밀도함수를 보면 X와 Y가 서로 독립이므로 E[X]와 E[Y]는 각각의 기댓값이고, E[(X-E[X])(Y-E[Y])]는 E[X-E[X]]E[Y-E[Y]]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E[X-E[X]]와 E[Y-E[Y]]는 각각 0이므로, 공분산은 0이 된다. 따라서 상관계수는 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통계조사시 한 가구를 조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기 위하여 64가구를 임의 추출하여 조사한 결과 평균 소요시간이 30분, 표준편차 5분이었다. 전체 가구를 조사하는데 소요되는 평균시간에 대한 95%의 신뢰구간은 얼마인가? (단, Z0.025=1.96, Z0.05=1.645)

  1. 28.8, 31.2
  2. 28.4, 31.6
  3. 29.0, 31.0
  4. 28.5, 31.5
(정답률: 알수없음)
  • 평균 소요시간이 30분이고, 표준편차가 5분인 경우, 표본크기가 64인 경우, 모집단의 평균에 대한 95% 신뢰구간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신뢰구간 = (표본평균 - (Z0.025 × (표준편차/√n)), 표본평균 + (Z0.025 × (표준편차/√n)))

    여기에 값을 대입하면,

    신뢰구간 = (30 - (1.96 × (5/√64)), 30 + (1.96 × (5/√64)))
    = (28.8, 31.2)

    따라서, 정답은 "28.8, 31.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확률변수 X의 분포가 자유도가 각각 a 와 b인 F(a,b) 를 따른다면 확률변수 Y=1/X의 분포는 무엇인가?

  1. F(a,b)
  2. F(1/a,1/b)
  3. F(b,a)
  4. F(1/b,1/a)
(정답률: 36%)
  • Y=1/X 이므로 Y의 확률밀도함수는 f(y)=f(1/y)/y^2 이다.
    따라서 Y의 분포를 구하기 위해서는 f(y)를 구해야 한다.
    f(y) = f(1/y)/y^2 이므로,
    F_Y(y) = P(Y ≤ y) = P(1/X ≤ y) = P(X ≥ 1/y) = 1 - F_X(1/y) 이다.
    여기서 F_X(x)는 X의 누적분포함수이다.
    따라서 F_Y(y)를 구하기 위해서는 F_X(1/y)를 구해야 한다.
    F_X(x)가 F(a,b)를 따른다면,
    F_X(x) = P(X ≤ x) = 1 - P(X > x) = 1 - F(a,b)(1/x) 이다.
    따라서 F_Y(y) = 1 - F_X(1/y) = 1 - [1 - F(a,b)(y)] = F(a,b)(y) 이다.
    따라서 Y의 분포는 F(b,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산포도의 측도가 아닌 것은?

  1. 사분위 편차
  2. 왜도
  3. 범위
  4. 분산
(정답률: 24%)
  • 왜도는 데이터의 비대칭성을 나타내는 측도이며, 나머지 세 가지는 데이터의 산포도를 나타내는 측도이다. 따라서 정답은 "왜도"이며, 왜도는 산포도가 아닌 비대칭성을 나타내는 측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어느 회사에 출퇴근하는 직원들 500명을 대상으로 이용하는 교통수단을 지하철, 자가용, 버스, 택시, 지하철과 택시, 지하철과 버스, 기타의 분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이 자료를 정리하기에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도수분포표
  2. 막대그래프
  3. 원형그래프
  4. 히스토그램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원형그래프"이다.

    원형그래프는 전체를 100%로 보고 각 항목이 차지하는 비율을 부채꼴 모양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각 항목의 비율보다는 각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인원 수를 비교하는 것이므로 적절하지 않다.

    반면, 히스토그램은 도수분포표를 시각화한 그래프로서, 각 구간별 빈도수를 막대 형태로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각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인원 수를 구간별로 나누어 비교하는 데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기술통계치와 관련된 다음 진술들 가운데 잘 못 된 것은?

  1. 자료가 왼쪽으로 치우쳐진(skewed) 경우에 중앙값은 평균보다 더 작은 경향이 있다.
  2. 종모양의 완벽한 대칭적 분포에서 평균, 중앙값, 최빈값은 동일한 값을 갖는다.
  3. 평균과 중앙값이 모든 경우 단일값을 갖는데 비해 최빈값은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4. 평균과 중앙값, 최빈값 모두 측정수준이 서열변수 이상인 경우에만 정의될 수 있다.
(정답률: 54%)
  • "평균과 중앙값, 최빈값 모두 측정수준이 서열변수 이상인 경우에만 정의될 수 있다."가 잘못된 진술입니다. 평균과 중앙값, 최빈값은 모두 측정 수준에 상관없이 정의될 수 있습니다. 서열변수 이상인 경우에는 최빈값이 의미가 없을 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상관계수에 대한 설명이다. 옳은 것으로 짝지은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34%)
  • 상관계수는 두 변수 간의 관계의 강도와 방향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상관계수는 -1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1에 가까울수록 양의 상관관계가 강하고, -1에 가까울수록 음의 상관관계가 강하다. 0에 가까울수록 두 변수 간의 상관관계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정답인 이유는 두 변수 간의 상관관계가 강하고 양의 방향을 가지기 때문이다. "㉮,㉰"은 두 변수 간의 상관관계가 없으며, "㉯,㉰"은 두 변수 간의 상관관계가 강하고 음의 방향을 가진다. "㉯,㉱"은 두 변수 간의 상관관계가 약하고 양의 방향을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20대 성인 여자의 키의 분포가 정규분포를 따르고 평균값은 160㎝이고 표준편차는 10㎝라고 할 때, 임의의 여자의 키가 175㎝보다 클 확률은 얼마인가? (아래의 표준정규분포의 누적확률표(일부)를 참고)

  1. 0.0668
  2. 0.0808
  3. 0.9332
  4. 0.9192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표준정규분포의 누적확률표를 보면서 1.75 (175㎝를 미국단위로 변환한 값)에 해당하는 z-score를 찾아야 한다.

    z-score = (x - μ) / σ = (175 - 160) / 10 = 1.5

    따라서, z-score가 1.5일 때의 누적확률을 찾으면 된다. 표준정규분포의 누적확률표에서 1.5에 해당하는 값은 0.9332이다.

    하지만, 이 값은 "임의의 여자의 키가 175㎝ 이하일 확률"을 나타내므로, "임의의 여자의 키가 175㎝보다 클 확률"을 구하기 위해서는 1에서 0.9332를 빼주어야 한다.

    따라서, 1 - 0.9332 = 0.0668 이므로, 임의의 여자의 키가 175㎝보다 클 확률은 0.0668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유의확률(p-value)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검정통계량이 실제 관측된 값보다 대립가설을 지지하는 방향으로 더욱 치우칠 확률로서 귀무가설 H0하에서 계산된 값이다.
  2. 주어진 데이터와는 직접적으로 관계가 없다.
  3. 유의확률이 작을수록 H0에 대한 반증이 강한 것을 뜻 한다.
  4. 귀무가설 H0에 대한 반증의 강도에 대하여 기준값을 미리 정해놓고 p-값을 그 기준값과 비교한다.
(정답률: 39%)
  • "주어진 데이터와는 직접적으로 관계가 없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유의확률은 주어진 데이터를 바탕으로 계산되며, 검정통계량이 실제 관측된 값보다 대립가설을 지지하는 방향으로 더욱 치우칠 확률로서 귀무가설 H0하에서 계산된 값입니다. 따라서 유의확률은 주어진 데이터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상관분석의 적용을 위해 산점도(scatter plot)에서 관찰해야 하는 자료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선형(linear) 또는 비선형(nonlinear) 관계의 여부
  2. 이상점의 존재 여부
  3. 자료의 층화 여부
  4. 원점 (0,0)의 통과 여부
(정답률: 알수없음)
  • 원점 (0,0)의 통과 여부는 상관분석의 적용을 위해 산점도에서 관찰해야 하는 자료의 특징과는 무관합니다. 상관분석은 두 변수 간의 선형적인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두 변수가 어떤 값에서 시작하든지 상관분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원점 (0,0)의 통과 여부는 상관분석의 적용을 위해 산점도에서 관찰해야 하는 자료의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미국에서는 얼마전 인종간의 지적 능력의 근본적 차이를 강조하는 종모양 곡선(Bell Curve)이라는 책이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만약 흑인과 백인의 지능지수의 차이를 비교 하고자 한다면 어떤 검정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겠는가?

  1. 카이자승 검정
  2. t-검정
  3. F-검정
  4. Z-검정
(정답률: 10%)
  • t-검정은 두 집단의 평균값 차이를 비교하는 검정으로, 작은 샘플 사이즈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흑인과 백인의 지능지수 차이를 비교하는 경우, 두 집단의 샘플 사이즈가 작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t-검정이 가장 적합한 검정 도구이다. 카이자승 검정은 범주형 자료의 분석에 사용되며, F-검정은 분산의 차이를 비교하는 검정이고, Z-검정은 큰 샘플 사이즈에서 평균값 차이를 비교하는 검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성과 정당지지도 사이에 관계가 있는가?愾를 살펴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 Pearson 카이제곱 값이 32.29, 자유도가 2, 유의확률이 0.000이었다. 이러한 분석에 근거할 때, 유의수준 0.05에서 "성과 정당 지지도 사이의 관계"에 대한 결론은?

  1. 위에 제시한 통계량으로는 성과 정당지지도 사이의 관계를 알 수 없다.
  2. 성과 정당지지도 사이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다.
  3. 성과 정당지지도 사이에 유의미한 관계가 없다.
  4. 남성이 여성보다 정당지지도가 높다.
(정답률: 29%)
  • 유의확률이 0.000으로 매우 작으므로, 유의수준 0.05에서는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다. 따라서, "성과 정당지지도 사이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다." 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모집단의 표준편차 σ 를 알고있는 경우 μ 에 대한 신뢰구간은 가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사실에 의해 구해진다. 또 한 모집단의 표준편차 σ 를 모르는 경우는 (s : 표본표준편차)가 자유도가 (n-1)인 t 분포임을 이용한다. 이 때 표본크기가 5인 경우 E(s)=0.94σ 가 된다면 σ 를 모르는 경우, 아는 경우에 비해 어느정도나 95% 신뢰구간의 크기가 증가하는가? (단, z0.025 =1.96, t0.025,4=2.78)

  1. 약 13%
  2. 약 33%
  3. 약 25%
  4. 약 11%
(정답률: 9%)
  • 표본크기가 5인 경우, t 분포를 이용하여 신뢰구간을 구할 때 E(s)=0.94σ 이므로 신뢰구간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t0.025,4 × E(s) = 2.78 × 0.94σ ≈ 2.61σ

    따라서, 모집단의 표준편차를 모르는 경우에는 신뢰구간의 크기가 약 2.61배 커진다. 이는 모집단의 표준편차를 모르는 경우에는 표본평균의 신뢰구간을 구할 때 추가적인 불확실성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약 3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표본크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 린 것은?

  1. 가설검증에서 오진을 줄이기 위한 것과 표본크기와는 관련이 없다.
  2. 다른 조건은 일정하다면, 표본의 크기가 클수록 평균의 표본오차는 더 작아진다.
  3. 표본이 클수록 진실한 가설을 기각할 가능성은 더 작아진다.
  4. 모집단이 동질적일수록 표본의 크기는 적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설검증에서 오진을 줄이기 위한 것과 표본크기와는 관련이 없다."가 틀린 것이 맞습니다. 표본크기는 가설검증에서 오진을 줄이기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표본크기가 작으면 표본의 대표성이 떨어지고, 표본오차가 커져서 가설검증 결과의 신뢰성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표본크기는 가설검증에서 오진을 줄이기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중회귀분석에서 독립변수의 수가 지나치게 많을 경우의 부작용이 아닌 것은?

  1. 설명력의 증가가 현저히 줄어든다.
  2. 추정치의 표준오차는 커진다.
  3. 회귀식의 적합도나 타당도가 낮아진다.
  4.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의 상대적 영향력의 비교가 곤란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독립변수의 수가 지나치게 많을 경우,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의 상대적 영향력의 비교가 곤란해진다. 이는 다중공선성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데, 이는 독립변수들 간에 강한 상관관계가 있어서 회귀분석 결과에서 각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구분하기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의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기 어렵고, 회귀분석 결과의 신뢰성이 떨어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의 상황에 알맞은 검정방법은?

  1. 독립표본 t-검정
  2. 대응표본 t-검정
  3. X2-검정
  4. F -검정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두 개 이상의 집단 간의 평균 차이를 검정하는 문제입니다. 그리고 각 집단의 표본 크기가 30 이상이므로, 정규성 가정이 만족됩니다. 이 경우, 분산이 같은 경우와 다른 경우로 나누어 검정을 실시할 수 있습니다. 분산이 같은 경우에는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고, 분산이 다른 경우에는 "Welch의 t-검정"을 실시합니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두 집단의 분산이 같지 않다는 조건이 주어졌으므로, "F-검정"을 실시합니다. F-검정은 두 집단의 분산 비율을 비교하여 평균 차이의 유의성을 검정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X 가 N (μ , σ2) 인 분포를 따를 경우 Y = aX + b 의 분포는?

  1. 중심극한 정리에 의하여 표준정규분포 N (0, 1)
  2. a 와 b 의 값에 관계없이 N (μ , σ2)
  3. N (aμ+b, a2σ2+b )
  4. N (aμ+b, a2σ2)
(정답률: 알수없음)
  • Y = aX + b 이므로 Y의 평균은 E(Y) = E(aX + b) = aE(X) + b = aμ + b 이다. Y의 분산은 Var(Y) = Var(aX + b) = a2Var(X) = a2σ2 이다. 따라서 Y는 평균이 aμ + b이고 분산이 a2σ2인 정규분포 N (aμ+b, a2σ2)를 따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 2 에 대한 설명으로 틀 린 것은?

  1. 총제곱의 합 중 설명된 제곱의 합의 비율을 뜻한다.
  2.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독립변수가 추가된다면 결정계수는 변하지 않는다.
  3. R2 값이 클수록 회귀선으로 실제 관찰치를 예측하는데 정확성이 높아진다.
  4.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표본상관계수 r의 제곱값과 같다.
(정답률: 34%)
  •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독립변수가 추가된다면 결정계수는 변하지 않는다." 이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독립변수가 추가될 때마다 결정계수는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유는 추가된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와의 관계를 더 잘 설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연속확률변수가 아 닌 것은?

  1. 사람의 체중
  2. 불량품 갯수
  3. 전기사용 시간
  4. 곡물의 무게
(정답률: 알수없음)
  • "불량품 갯수"는 이산확률변수이기 때문에 연속확률변수가 아닙니다. 이산확률변수는 정수값을 가지며, 각 값 사이에는 무한한 가능한 값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불량품이 1개, 2개, 3개 등으로 나누어지며, 1.5개나 2.3개와 같은 값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불량품 갯수"는 이산확률변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