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조사분석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8-10)

사회조사분석사 2급
(2003-08-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사방법론 I

1. A후보와 B후보의 이미지 비교프로파일을 보여주는 아래의 그림은 다음 어느 척도를 사용한 것인가?

  1. 서스톤 척도(Thurston Scale)
  2. 리커트 척도(Likert Scale)
  3. 거트만 척도(Guttman Scale)
  4. 의미분화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
(정답률: 67%)
  • 이 그림은 의미분화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를 사용한 것이다. 이는 어떤 대상에 대해 양 끝단에 서로 반대되는 어구를 놓고 그 사이에 해당 대상에 대한 평가어를 배치하여 그 사람이 어떤 태도를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척도이다. 이 경우 A후보와 B후보의 이미지를 비교하는 것이므로, 양 끝단에는 "부정적인 이미지"와 "긍정적인 이미지"라는 어구가 놓여져 있고, 그 사이에는 해당 후보에 대한 평가어가 배치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자료수집방법 중 조사자가 미완성의 문장을 제시하면 응답자가 이 문장을 완성시키는 방법은?

  1. 투사법
  2. 면접법
  3. 관찰법
  4. 내용분석법
(정답률: 70%)
  • 투사법은 조사자가 미완성의 문장을 제시하면 응답자가 이 문장을 완성시키는 방법으로, 응답자의 무의식적인 생각과 태도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심리검사에서 많이 사용된다. 이 방법은 응답자가 자신의 생각을 직접 말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자신의 내면을 더욱 솔직하게 드러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평정하여야 할 특징이 두 가지 이상일 때, 평정자가 한가지 특성에 대하여 강력한 인상을 가지게 되어 다른 특징에 대해서도 비슷한 평가를 내리려는 성향은?

  1. 후광효과(halo effect)
  2. 관용의 오류
  3. 중간화 경향
  4. 단일화 경향
(정답률: 62%)
  • 후광효과(halo effect)는 평가자가 한 가지 특성에 대해 강한 인상을 받아 그것이 다른 특성에 대한 평가에도 영향을 미치는 경향을 말합니다. 즉, 어떤 사람이나 물건이 좋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면 그것이 다른 모든 면에서도 좋다고 평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심리학적으로 인간의 인식과 관련된 현상으로, 관용의 오류나 중간화 경향, 단일화 경향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관찰된 현상의 경험적인 속성에 대해 일정한 규칙에 따라 수치를 부여하는 것은?

  1. 측정(measurement)
  2. 척도(scale)
  3. 지표(indicator)
  4. 변수(variable)
(정답률: 50%)
  • 측정은 관찰된 현상의 경험적인 속성에 대해 일정한 규칙에 따라 수치를 부여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측정은 다른 보기들인 척도, 지표, 변수와는 구분되는 개념입니다. 척도는 측정된 결과를 분류하거나 순서를 부여하는 방법을 의미하며, 지표는 특정한 현상을 나타내는 수치나 지표를 말합니다. 변수는 측정 대상이 되는 개체나 사건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측정의 대상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거트만척도 작성에서 총 15명의 응답자가 총 7개 질문항목의 척도화 가능성을 알아본 결과 일관성 없는 응답을 한 총 착오점수 (error scores)가 5였다. 재생가능계수(coefficient of reproducibility=CR)의 값은?

  1. 0.33
  2. 0.57
  3. 0.80
  4. 0.95
(정답률: 알수없음)
  • 재생가능계수(CR)는 동일한 응답자들이 같은 척도를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측정될 때, 그들이 동일한 점수를 얻을 확률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일관성 없는 응답을 한 착오점수가 5인 경우, CR은 0.95이다. 이는 응답자들이 100번 중 95번은 동일한 점수를 얻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거트만 척도를 활용하여 약물중독의 정도를 측정하는 척도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먼저 술, 대마초, 필로폰의 순으로 약물중독정도가 심하다고 가정하고 각각에 대해 사용여부를 물었다(사용시 +, 미사용시 -). 다음 응답유형 가운데 척도적 구조에 위배되는 오류형(혼합유형)은 어느 것인가?

  1. 3, 4
  2. 2, 4
  3. 2, 3
  4. 1, 4
(정답률: 알수없음)
  • 거트만 척도는 등간척도로서 각 항목 간의 간격이 동일하다. 따라서 응답유형도 순서에 따라서 간격이 동일하다. 그러나 "2, 4"와 "3, 4"는 간격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척도적 구조에 위배된다. 따라서 오류형은 "2, 4"와 "3,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질문문항의 배열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시작하는 질문은 응답자의 흥미를 유발하는 것으로 쉽게 대답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2. 개인의 사생활과 같이 민감한 질문은 가급적 뒤로 돌린다.
  3. 특수한 것을 먼저 묻고, 일반적인 것을 그 다음에 질문한다.
  4. 논리적인 순서에 따라 배열함으로써 응답자 자신도 조사의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정답률: 70%)
  • "시작하는 질문은 응답자의 흥미를 유발하는 것으로 쉽게 대답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는 적합한 문항이다. "개인의 사생활과 같이 민감한 질문은 가급적 뒤로 돌린다."는 적합한 문항이다. "특수한 것을 먼저 묻고, 일반적인 것을 그 다음에 질문한다."는 적합한 문항이다. "논리적인 순서에 따라 배열함으로써 응답자 자신도 조사의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한다."는 적합한 문항이다. 따라서, 이 중에서 적합하지 않은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면접조사에서 질문의 일반적 원칙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유도하거나 시사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2. 면접의 흐름을 순탄하게 하기 위하여 단계적 이행을 잘 해 나가야 한다.
  3. 질문지에서 중요한 것부터 차례로 질문해 나간다.
  4. 모든 문항은 질문지에 적혀 있는 그대로 물어야 한다.
(정답률: 58%)
  • "질문지에서 중요한 것부터 차례로 질문해 나간다."가 틀린 것이다. 이는 일반적인 원칙이 아니며, 면접자의 상황과 대답에 따라 질문의 순서를 조정해 나가는 것이 더 적절하다. 면접자의 주요 경험과 역량에 대한 질문은 일반적으로 먼저 하지만, 그 외의 질문은 상황에 따라 순서를 바꿀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시청각 도구를 사용할 수 있지만, 조사비용이 많이 드는 것이 단점인 자료수집 방법은?

  1. 면접조사
  2. 전화조사
  3. 우편조사
  4. 인터넷조사
(정답률: 알수없음)
  • 면접조사는 직접 대면하여 질문을 하기 때문에 시청각 도구를 사용할 수 있지만, 조사자와 응답자의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자료수집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우리는 사회조사를 실시할 때 종종 여러 문항으로 이루어진 척도를 만든다. 다음 중 척도를 만드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척도는 측정의 신뢰도를 높여주기 때문이다.
  2. 단일문항의 불안정성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3. 한 문항으로 한 개념을 쉽게 측정할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4. 일반적으로 단일문항으로 측정하는 것이 여러 문항으로 측정하는 것보다 측정오차가 더 작기 때문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단일문항으로 측정하는 것이 여러 문항으로 측정하는 것보다 측정오차가 더 작기 때문이다. - 이유: 여러 문항으로 이루어진 척도는 단일문항보다 측정오차가 크기 때문에, 척도를 만들 때는 가능한 한 적은 수의 문항으로 구성하여 측정오차를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종단조사(longitudinal study)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로 변화분석에 의해서 분석된다.
  2. 추세분석에 이용할 수 있다.
  3. 패널조사란 특정조사 대상자들을 선정하여 단 한차례만 조사를 실시하는 방법이다.
  4. 변화분석은 변화가 일어난 원인을 분석하는 기법이다.
(정답률: 67%)
  • "패널조사란 특정조사 대상자들을 선정하여 단 한차례만 조사를 실시하는 방법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패널조사는 일정 기간 동안 동일한 대상을 반복적으로 조사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우편조사의 응답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대상자의 범위가 극히 제한된 동질집단의 경우 회수율이 높다.
  2. 질문지의 양식이나 우송방법에 따라 다를 수 있다.
  3. 응답에 대한 동기부여가 중요하다.
  4. 연구주관기관과 지원단체의 성격이 중요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대상자의 범위가 극히 제한된 동질집단의 경우 회수율이 높다."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대상자의 범위가 제한된 동질집단일수록 응답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는 절대적인 규칙은 아닙니다. 다른 요인들에 따라 응답률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측정대상들의 편견에 의해서 측정에 오류가 발생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고정반응
  2. 사회적 적절성 편견
  3. 문화적 차이 편견
  4. 무작위적 오류
(정답률: 알수없음)
  • 무작위적 오류는 측정 대상들의 편견과는 관련이 없는 오차로, 측정 시 발생하는 우연적인 오류입니다. 이는 측정 도구의 정확도나 측정자의 실수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오류는 측정 대상들의 편견과는 무관하며, 측정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무작위적 오류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일반적 연구수행 절차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문제확인-문헌검토-가설설정-설문작성-분석 및 논의
  2. 문제확인-가설설정-문헌검토-설문작성-분석 및 논의
  3. 문제확인-문헌검토-설문작성-가설설정-분석 및 논의
  4. 문제확인-가설설정-설문작성-문헌검토-분석 및 논의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 연구수행 절차는 "문제확인-문헌검토-가설설정-설문작성-분석 및 논의" 이다. 이는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문제를 명확히 확인하고, 이전 연구나 관련 문헌을 검토하여 연구의 방향성을 설정하고, 가설을 세우며, 이를 검증하기 위해 설문지를 작성하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고 논의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과정을 따르면 보다 체계적이고 타당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입지전적으로 기업을 성장시켜 성공한 한 명의 기업가에 대해 성공의 비결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그 사람에 대해 집중적인 연구를 하는 방법은?

  1. 사례연구법
  2. 상관연구법
  3. 실험법
  4. 내용분석법
(정답률: 알수없음)
  • 사례연구법은 특정한 사례를 선정하여 그 사례를 깊이 있게 조사하고 분석하여 일반적인 원리나 법칙을 도출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한 명의 기업가에 대해 성공의 비결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그 기업가의 경영 전략, 조직 문화, 경영 철학 등을 사례연구법을 통해 분석하고 이를 일반화하여 성공의 비결을 도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측정수준에 따른 척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명목척도는 성별과 종교처럼 분류적인 개념만을 내포한다.
  2. 서열척도는 특정한 성격을 갖는 정도에 따라 범주를 서열화한다.
  3. 등간척도는 IQ처럼 대상 자체가 갖는 속성의 실제값을 나타낸다.
  4. 비율척도는 실업률과 성비처럼 0이라는 절대적 의미를 갖는 값이 존재한다.
(정답률: 73%)
  • "등간척도는 IQ처럼 대상 자체가 갖는 속성의 실제값을 나타낸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등간척도는 대상의 속성을 일정한 간격으로 측정할 수 있지만, 0점이 절대적인 의미를 갖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온도를 측정하는 경우 0도는 온도가 없는 것이 아니라, 섭씨와 화씨에서 각각 다른 기준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인 값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등간척도는 대상의 속성을 상대적으로 비교하는 데에는 유용하지만, 절대적인 값을 나타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이분변수(dichotomous variable)의 성격과 용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특정한 속성의 유무에 따라 분류한 변수이다.
  2. 이원적(binary) 속성을 가진 사회현상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3. 다범주적인 속성을 가진 변수를 이분변수로 변환할 수 있다.
  4. 이분변수는 회귀분석에 사용할 수 없다.
(정답률: 37%)
  • "이분변수는 회귀분석에 사용할 수 없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이분변수는 회귀분석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종속변수가 이분변수인 경우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어느 제조업 공장에 근무하는 현장 사원들과 관리자들간에 유지되고 있는 사회적 관계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참여관찰인 현장조사를 실시할 경우, 다음 중 이러한 연구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조사과정의 유연성
  2. 조사결과의 신뢰성
  3. 가설도출의 탐색적 연구
  4. 조사비용의 저렴
(정답률: 50%)
  • 조사결과의 신뢰성이 아닌 것은 장점이다. 이유는 참여관찰인 현장조사는 주관적인 요소가 많이 개입되기 때문에 조사결과의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조사에서는 조사과정의 유연성과 가설도출의 탐색적 연구, 그리고 조사비용의 저렴함이 주요 장점으로 꼽힌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결측자료(missing data)의 처리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유사사례를 추출하여 그 사례에 기재된 내용을 대체해 사용한다.
  2. 결측된 변수의 평균값을 대체해 사용한다.
  3. 난수표에서 번호를 추출하여 그 점수를 대체해 사용한다.
  4. 결측자료가 50%이상이 된다하더라도 원래 수집된 사례수는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그대로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결측된 변수의 평균값을 대체해 사용한다."이다. 결측자료는 분석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대체하는 것이 좋다. 평균값을 대체하는 것은 결측값이 발생한 변수의 대표값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값들과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유사사례를 추출하거나 난수표를 사용하는 것은 대체값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어렵기 때문에 평균값 대체가 가장 적절하다. 결측자료가 50% 이상이 된다고 해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분석 결과의 신뢰성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에 지양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유권자의 정치적 이념 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다음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무슨 척도를 사용한 것인가?

  1. 명목척도
  2. 서열척도
  3. 등간척도
  4. 비율척도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에서 선택지는 서열적인 순서를 나타내고 있으며, 각 선택지 간의 간격이 동일하지 않으므로 등간척도나 비율척도는 아니다. 또한 선택지는 서로 배타적이며, 어떤 선택지가 다른 선택지보다 우월하다는 개념이 없으므로 명목척도도 아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사용된 척도는 서열척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계통표집에서 집단의 크기가 100만명이고 표본의 크기가 1000명이라면, 다음 중 어떤 것이 가장 적절한 표집방법 인가?

  1. 먼저 단순무작위로 1000명을 뽑아 그 중에서 편중된 표본은 제거하고, 그것을 대체하는 표본을 다시 뽑는다.
  2. 최초의 사람을 무작위로 선정한 후 매 1000번째 사람을 고른다.
  3. 모집단이 너무 크기 때문에 100만명을 1000개의 집락으로 나누어야 한다.
  4. 모집단을 1000개의 하위집단으로 나누고, 그 하위집단에서 1명씩 고르면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최초의 사람을 무작위로 선정한 후 매 1000번째 사람을 고른다." 이다. 이유는 계통표집은 모집단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각 집단에서 무작위로 한 개체를 선택하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초의 사람을 무작위로 선정하고, 그 후 매 1000번째 사람을 고르는 것이 가장 적절한 방법이다. 이 방법은 모집단을 집단으로 나누지 않고도 표본을 추출할 수 있으며, 편향성이나 편중성이 적은 표본을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반복조사에서 인위적으로 어떤 실험을 가하지 않더라도 사회현상이나 인간이 다같이 변화를 지속하는 효과는?

  1. 선별(選別)효과
  2. 실험효과
  3. 성숙효과
  4. 조사도구효과
(정답률: 67%)
  • 반복조사에서 인위적인 실험을 가하지 않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대상의 경험과 인식이 변화하게 되는데, 이것을 성숙효과라고 한다. 즉, 반복조사를 통해 대상이 더 많은 경험을 쌓고 성숙해지면서 조사 결과가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최근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등장하고 있는 폭력적 장면과 선정적 장면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은 주로 어떤 오류를 범하고 있는가?

  1. 부적절한 언어의 사용
  2. 비윤리적 질문
  3. 전문용어의 사용
  4. 이중적 질문
(정답률: 59%)
  • 이 질문은 이중적 질문입니다. 이유는 폭력적 장면과 선정적 장면에 대한 생각이 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질문은 두 개의 질문으로 분리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최근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폭력적 장면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와 "최근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선정적 장면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로 나누어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획득하고자 하는 정보의 내용을 대략 결정한 다음에 이루어져야할 질문지 작성과정으로 순서가 맞는 것은?

  1. 자료수집방법의 결정 -> 질문내용의 결정-> 질문형태의 결정-> 질문순서의 결정
  2. 질문형태의 결정-> 자료수집방법의 결정 -> 질문내용의 결정 -> 질문순서의 결정
  3. 질문내용의 결정-> 질문형태의 결정-> 질문순서의 결정 -> 자료수집방법의 결정
  4. 질문내용의 결정-> 질문순서의 결정 -> 질문형태의결정-> 자료수집방법의 결정
(정답률: 31%)
  • 자료수집 방법을 결정한 후에는 어떤 질문을 할 것인지, 어떤 형태로 질문할 것인지, 그리고 어떤 순서로 질문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자료수집방법의 결정 -> 질문내용의 결정 -> 질문형태의 결정 -> 질문순서의 결정"이 올바른 순서입니다. 먼저 자료수집 방법을 결정하고, 그에 맞는 질문 내용을 결정한 후에는 질문 형태와 순서를 결정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집단구성원 상호간에 존재하는 사회적 거리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척도는?

  1. 보가더스척도
  2. 소시오메트리
  3. 서스톤척도
  4. 리커트척도
(정답률: 79%)
  • 소시오메트리는 집단 구성원 상호 간의 관계를 수량화하여 측정하는 방법론이다. 따라서, 집단 구성원 상호 간의 사회적 거리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척도는 소시오메트리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방법론에 기반한 척도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사례조사에 해당되는 것은?

  1. 본 조사를 실행하기 앞서 먼저 시행한다.
  2. 조사의 범위를 한 지역 또는 한번의 현상에 국한시켜 연구하고자 하는 현상의 대표성을 유지시킨 채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이다.
  3. 일정지역 또는 작은 sample을 추출하여 대표성을 유지시킨 채 사전에 진행하는 것이다.
  4. 조사의 타당도, 신뢰도를 측정해 보는 방법이다.
(정답률: 30%)
  • "조사의 범위를 한 지역 또는 한번의 현상에 국한시켜 연구하고자 하는 현상의 대표성을 유지시킨 채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이다."가 사례조사에 해당된다. 이는 조사 대상을 한정하여 대표성을 유지하고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시행 전에 실행하는 것", "대표성을 유지시키기 위해 일정 지역이나 작은 sample을 추출하는 것", "조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측정하는 것" 등 다른 개념들을 설명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온라인조사의 문제점이 아닌 것은?

  1. 복수응답의 가능성
  2. 표본의 대표성
  3. 조사모집단의 정의문제
  4. 개인정보보호의 문제
(정답률: 알수없음)
  • 개인정보보호의 문제는 온라인조사의 문제점 중 하나가 아니라 온라인조사를 실시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사항입니다. 온라인조사에서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할 때는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련 법규를 준수해야 합니다. 따라서 개인정보보호의 문제는 온라인조사의 문제점이 아니라 온라인조사를 실시할 때 지켜야 할 법적인 요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질문지의 초안을 작성한 후, 그 질문지를 통해 자료가 적절하게 수집될 수 있는지를 점검하기 위해 실시하는 조사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전문가 조사
  2. 예비조사(pilot study)
  3. 사전검사(pre-test)
  4. 문헌조사
(정답률: 알수없음)
  • 사전검사는 질문지나 설문조사 등의 자료 수집 도구를 작성한 후, 그 도구를 대상자에게 실제로 적용하기 전에 미리 검사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통해 질문이나 답변의 이해도, 문항의 명확성, 질문의 중복 등을 파악하여 수정하고 개선할 수 있으며, 자료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사전검사가 가장 적절한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표본설계과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표본틀의 결정
  2. 조사연구 자금 확보
  3. 표집방법 및 표본크기 결정
  4. 모집단의 결정
(정답률: 77%)
  • 조사연구 자금 확보는 표본설계과정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는 표본설계 이전에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조사를 실시하기 위해 필요한 자금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표본설계과정은 표본틀의 결정, 표집방법 및 표본크기 결정, 모집단의 결정 등을 포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일정 시간간격을 두고 동일집단에 대해 반복적으로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은?

  1. 패널조사
  2. 횡단적 조사
  3. 시계열조사
  4. 비교조사
(정답률: 70%)
  •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동일 집단에 대해 반복적으로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은 패널조사입니다. 이 방법은 특정 집단의 변화를 추적하고 분석할 수 있어서 시간적인 변화나 효과를 측정하는 데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제품이나 서비스의 만족도 조사나 광고 효과 분석 등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사방법론 II

31. 다음 중 내적타당도 영향요인이 아닌 것은?

  1. 반작용효과
  2. 특정사건
  3. 사전검사
  4. 통계학적 회귀효과
(정답률: 0%)
  • 정답: 반작용효과

    반작용효과는 내적타당도와 관련이 있지만, 내적타당도의 영향요인은 반작용효과를 포함하여 특정사건, 사전검사, 통계학적 회귀효과 등이 있다. 따라서 반작용효과는 내적타당도 영향요인 중 하나이다. 반작용효과란 두 개 이상의 변수가 함께 작용할 때 그 효과가 예상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어떤 신약의 효과를 검증하는 실험에서, 남성과 여성의 성별에 따라 신약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 성별과 신약의 효과가 함께 작용하여 반작용효과가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 )에 알맞은 것은?

  1. 가입자조사
  2. 회원조사
  3. 방문자조사
  4. 전자우편조사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 가입한 회원들의 만족도나 필요한 서비스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이기 때문에 "회원조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구성체 타당도(construct validity)를 위한 기법이 아닌 것은?

  1. 다중속성-다중측정 방법
  2. 요인분석
  3. 이론적 타당도
  4. 예측적 타당도
(정답률: 24%)
  • 예측적 타당도는 구성체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한 기법이 아니라 외부적인 변수와의 관계를 통해 향후 결과를 예측하는 데 사용되는 기법이다. 따라서, 예측적 타당도가 구성체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한 기법이 아니므로 정답은 "예측적 타당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폐쇄형 질문의 응답범주 작성원칙 중 맞는 것은?

  1. 범주의 수는 많을수록 좋다.
  2. 제시된 범주가 가능한 모든 응답범주를 다 포함해야한다.
  3. 관련된 현상 중 가장 중요한 것만 범주로 제시한다.
  4. 제시된 범주들 사이에 약간의 중복은 있어도 무방하다.
(정답률: 46%)
  • 제시된 범주가 가능한 모든 응답범주를 다 포함해야하는 이유는 응답자가 자신의 응답을 선택할 때 제시된 범주 외에 다른 선택지가 없도록 하여 응답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다른 보기들은 범주의 수를 늘리거나 중요한 것만 선택하는 등의 이유로 제시된 범주를 모두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올바르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표본틀(sampling frame)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경제활동인구조사를 위한 전국인구센서스 조사구
  2. OO구의 빈곤층 실태조사를 위한 이 지역거주 생활보호대상자 명부
  3. 하류계층 생활실태파악을 위한 백화점카드 사용자 명단
  4. 징집대상자 파악을 위한 주민등록부
(정답률: 42%)
  • 하류계층 생활실태파악을 위한 백화점카드 사용자 명단은 표본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백화점카드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상류층이나 중산층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명단을 사용하여 하류층의 생활실태를 파악하는 것은 왜곡된 결과를 가져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조사자와 응답자의 친숙한 분위기(rapport) 형성이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는 자료수집방법은?

  1. 면접조사(face-to-face interview)
  2. 심층면접조사(in-depth interview)
  3. 집단면접조사(group interview)
  4. 집단조사(group questionnaire survey)
(정답률: 70%)
  • 집단조사는 응답자들이 개별적으로 조사자와 대화하지 않고, 질문지를 작성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사자와 응답자 간의 친숙한 분위기 형성이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집단조사가 상대적으로 친숙한 분위기 형성이 어려운 면접조사나 심층면접조사보다 적합한 자료수집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한 연구자가 마약사용과 같은 사회적 일탈행위를 연구하기 위해, 마약사용자 한 사람을 알게 되어 조사를 실시하고, 이 사람을 통해 다른 마약사용자들을 알게 되어 조사를 실시하고, 또 이들을 통해 알게된 또 다른 마약사용자들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조사대상자들로 부터 정보를 얻어 다른 조사대상자를 구하는 표집방법은?

  1. 눈덩이표집(snawball sampling)
  2. 의도적표집(purposive sampling)
  3. 할당표집(quota sampling)
  4. 임의표집(convenience sampling)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눈덩이표집(snawball sampling)"입니다. 이 방법은 초기 조사대상자를 통해 다른 조사대상자를 추천받아 조사를 확장해 나가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특정 집단이나 사회적 일탈행위와 같이 접근이 어려운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표집오차를 결정하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분산의 정도
  2. 문항의 무응답
  3. 표본의 크기
  4. 표집방법
(정답률: 40%)
  • 표집오차를 결정하는 요인 중에서 "문항의 무응답"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문항의 무응답은 표본의 크기나 표집방법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문항의 무응답은 설문조사나 인터뷰 등에서 응답자가 일부 질문에 대해 답변을 하지 않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는 표본의 크기나 표집방법과는 무관하며, 분석 시에는 무응답 처리 방법을 고려하여 분석을 진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척도구성 중 평정척도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만들기 간편하다.
  2. 시간과 비용이 적게 든다.
  3. 적용의 범주가 넓다.
  4. 객관성이 유지될 수 있다.
(정답률: 42%)
  • 평정척도는 개인의 주관적인 평가를 수치화하여 측정하는 척도이기 때문에 객관성이 유지될 수 없다. 따라서, "객관성이 유지될 수 있다."는 평정척도의 장점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뒤르케임은 프로테스탄티즘이 자살행위와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기 위해 특정지역을 분석단위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를 토대로 일반적으로 개신교 신도가 카톨릭 신도보다 자살을 할 성향이 저 높다고 해석한다면 이는 무슨 오류인가?

  1. 환원주의
  2. 생태학적 오류
  3. 측정 오류
  4. 개인주의적 오류
(정답률: 64%)
  • 이는 생태학적 오류이다. 분석단위가 특정지역으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 지역에서의 개신교 신도와 카톨릭 신도의 비율이 전체적인 비율과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이 지역에서는 개신교 신도가 더 많아서 개신교 신도의 자살률이 높게 나올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 결과를 일반화하여 개신교 신도가 카톨릭 신도보다 자살을 할 성향이 저 높다고 해석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피조사자의 개인별 차이를 무시함으로써 조사의 타당도가 낮아질 가능성이 있는 조사는?

  1. 면접조사
  2. 우편조사
  3. 집단조사
  4. 전화조사
(정답률: 알수없음)
  • 집단조사는 여러 명의 피조사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조사 방법으로, 각 개인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집단 전체의 의견을 파악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별 차이를 무시함으로써 조사의 타당도가 낮아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개방형 질문(Open Questio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탐색조사에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2. 민감한 주제에 적합하다.
  3. 응답자에게 창의적인 자기표현의 기회를 줄 수 있다.
  4. 응답범주가 너무 많을 경우에 사용하면 좋다.
(정답률: 54%)
  • 응답범주가 너무 많을 경우에 사용하면 좋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개방형 질문은 응답자가 자유롭게 자신의 생각이나 경험을 나타낼 수 있는 질문으로, 응답범주가 많을 경우에는 구체적인 답변을 얻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응답범주가 적은 경우에 개방형 질문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비확률표집방법으로서, 가설검정이나 모수추정 등 추리통계의 기법을 적용하는데 사용될 수 없는 표집방법은?

  1. 단순무작위표집
  2. 층화표집
  3. 유의표집
  4. 집락표집
(정답률: 50%)
  • 유의표집은 표본을 추출할 때, 특정한 기준에 따라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추출된 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가설검정이나 모수추정 등 추리통계의 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유의표집은 비확률표집방법 중에서 가설검정이나 모수추정 등 추리통계의 기법을 적용할 수 없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측정을 위해서는 대상의 속성을 적절히 대표할 수 있는 지표를 발견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교육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는 중졸, 고졸, 대졸 등의 최종학교 졸업수준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지표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절대성
  2. 타당성
  3. 신뢰성
  4. 확인의 용이성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절대성

    설명: 절대성은 측정 지표가 절대적인 기준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대상의 속성을 적절히 대표할 수 있는 지표를 발견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인 기준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며, 이를 타당성과 신뢰성을 고려하여 확인의 용이성을 갖추어야 한다. 따라서 절대성은 측정 지표의 구비조건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관찰의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관찰자의 참여여부에 따라 참여관찰, 비참여관찰이 있다.
  2. 관찰방법의 체계화 정도에 따라 구조화 관찰과 비구 조화 관찰이 있다.
  3. 관찰상황의 통제여부에 따라 통제관찰과 자연적 관찰이 있다.
  4. 관찰도구에 따라 직접관찰과 간접관찰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관찰도구에 따라 직접관찰과 간접관찰이 있다."가 아닙니다.

    직접관찰과 간접관찰은 관찰의 방법에 따라 나뉘는 유형이며, 직접관찰은 관찰자가 직접 대상을 관찰하는 것이고, 간접관찰은 대상의 행동이나 결과물을 관찰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관찰도구에 따라 직접관찰과 간접관찰이 있다."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모든 사람은 죽는다.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改이와 같이 일반적인 것으로부터 특수한 것을 추론해 내는 방법은?

  1. 귀납법
  2. 연역법
  3. 귀납법과 연역법
  4. 전환법
(정답률: 48%)
  • 이 방법은 연역법이다. 연역법은 일반적인 전제를 바탕으로 특수한 결론을 도출하는 추론 방법이다. 이 경우, "모든 사람은 죽는다"는 일반적인 전제를 바탕으로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라는 특수한 사실을 이용하여 "소크라테스는 죽는다"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측정결과 얻어진 자료에 내포되어 있는 정보가 가장 많은 척도는?

  1. 명목척도
  2. 서열척도
  3. 등간척도
  4. 비율척도
(정답률: 64%)
  • 비율척도는 자료 간의 상대적 크기뿐만 아니라 절대적 크기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많은 정보를 담고 있다. 예를 들어, 몸무게나 키와 같은 물리적인 측정값은 비율척도로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료 간의 상대적 크기 뿐만 아니라 절대적 크기도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비율척도는 다른 척도에 비해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집락표집(cluster samplin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모집단으로부터 집락을 무작위로 선정한 다음 이 집락으로부터 일정수의 요소를 표본으로 추출하는 방법
  2. 단순무작위추출이나 층화추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사용되기 때문에 보다 과학적인 방법
  3. 모집단의 크기가 너무 크거나 층의 표본단위가 많아 목록을 작성하기 어려운 상황에 유용
  4. 모집단을 세분화한다는 점에서 층화추출과 유사
(정답률: 알수없음)
  • 집락표집은 모집단을 세분화하여 추출하는 방법으로, 모집단의 크기가 너무 크거나 층의 표본단위가 많아 목록을 작성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유용합니다. 따라서 "모집단으로부터 집락을 무작위로 선정한 다음 이 집락으로부터 일정수의 요소를 표본으로 추출하는 방법"과 "모집단을 세분화한다는 점에서 층화추출과 유사"는 맞는 설명입니다. 하지만 "단순무작위추출이나 층화추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사용되기 때문에 보다 과학적인 방법"은 틀린 설명입니다. 집락표집은 단순무작위추출이나 층화추출과는 다른 방법으로, 각 집락 내부의 표본간 상관관계가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분산이 커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집락표집은 단순무작위추출이나 층화추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특정 상황에서 유용한 추출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면접조사와 비교하여 전화조사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면접자의 영향을 통제할 수 있다.
  2. 표본오차의 통제에 유용하다.
  3. 조사에 소요되는 시간이 짧다.
  4. 비용이 적게 든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화조사는 면접조사와 비교하여 면접자의 영향을 통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전화조사는 조사에 소요되는 시간이 짧고 비용이 적게 들어가며, 표본오차의 통제에 유용합니다. 이는 전화조사가 대규모 표본을 대상으로 신속하게 조사를 진행할 수 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설문지를 작성하여 사전조사를 할 때 옳은 설명은?

  1. 사전조사는 최소 1회 이상 실시하는 것이 좋다.
  2. 본조사의 응답자 크기와 비슷하게 실시하는 것이 좋다.
  3. 응답자의 대표성을 고려할 필요는 없다.
  4. 면접방법으로 조사하지 않는 것이 좋다.
(정답률: 40%)
  • 사전조사는 최소 1회 이상 실시하는 것이 좋다는 이유는, 사전조사를 통해 설문지의 문항들이 명확하고 이해하기 쉬운지, 응답자들이 문항에 대한 답변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등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설문지의 문항들을 보완하거나 수정할 수 있으며, 응답자들이 설문지를 잘 이해하고 답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최소 1회 이상의 사전조사는 필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일반적인 우편조사의 특성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회수율이 낮은 경우 표본의 대표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2. 응답자에 대한 익명성과 비밀유지에 대한 확신을 부여하기 쉽다.
  3. 표본으로 추출된 대상자가 직접 응답하지 않았을 경우 확인하기 어렵다.
  4. 통상 조사에 필요한 시간이 전화조사보다는 길지만 면접조사보다는 짧다.
(정답률: 58%)
  • 정답: "통상 조사에 필요한 시간이 전화조사보다는 길지만 면접조사보다는 짧다."

    이유: 일반적으로 면접조사는 응답자와 직접 대면하여 진행되기 때문에 시간이 더 오래 걸리지만, 우편조사는 응답자가 직접 작성하여 회신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시간이 덜 걸립니다. 그러나 전화조사는 응답자와 대화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더 걸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단순무작위표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표본이 모집단으로부터 추출된다.
  2. 모든 요소가 대등한 확률을 가지고 추출된다.
  3. 구성요소가 바로 표집단위가 되는 것은 아니다.
  4. 표본확보의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난수표를 사용하는 것이다.
(정답률: 43%)
  • 단순무작위표집에서는 모집단의 모든 요소가 대등한 확률로 추출되지만, 구성요소가 바로 표집단위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모집단이 학생들이고 표본을 추출할 때, 구성요소는 학생들의 특성이 될 수 있지만, 표본의 표집단위는 학생들이 아닌 학급, 학교, 지역 등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구성요소와 표집단위는 다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1. 거트만척도(Guttman scale)
  2. 서스톤척도(Thurston scale)
  3. 리커트척도(Likert scale)
  4. 의미분화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
(정답률: 46%)
  • 위 그림은 서스톤척도(Thurston scale)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서스톤척도는 각 항목이 서로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서로 관련된 것들끼리 묶어서 질문을 구성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각 항목이 서로 독립적이지 않은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사용하고 있는 측정도구의 측정값과 기준이 되는 측정도구의 측정값과의 상관관계로 측정되는 타당도는?

  1. 구성체타당도
  2. 액면타당도
  3. 기준관련타당도
  4. 다차원타당도
(정답률: 알수없음)
  • 기준관련타당도는 사용하고 있는 측정도구의 측정값과 기준이 되는 측정도구의 측정값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측정되는 타당도이다. 이는 기준이 되는 측정도구와의 비교를 통해 측정도구의 정확성과 일치성을 평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준관련타당도는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서열척도로 측정할 수 있는 변수로 구성된 것은?

  1. 행복감, 교회 참석 정도, 지역사회 참여도
  2. 종교 유무, 소득, 직무 만족도
  3. 직업 신분, 인종, 대통령 지지도
  4. 학력, 연령, 정당 가입여부
(정답률: 55%)
  • 서열척도는 변수들 간의 순서나 등급을 매길 수 있는 척도를 말한다. 따라서 "행복감, 교회 참석 정도, 지역사회 참여도"는 서열척도로 측정할 수 있는 변수로 구성되어 있다. 이 변수들은 어느 정도의 순서나 등급을 매길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교회 참석 정도"가 높을수록 "지역사회 참여도"도 높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종교 유무, 소득, 직무 만족도"나 "직업 신분, 인종, 대통령 지지도"는 서열척도로 측정하기 어렵다. "학력, 연령, 정당 가입여부"는 일부 변수는 서열척도로 측정할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서열척도로 측정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척도는 응답자, 자극 또는 응답자와 자극을 동시에 측정 하려고 하는가에 따라서 여러 방식이 있다. 이 중 응답자와 자극을 동시에 측정하는 척도는?

  1. 서스톤척도(Thurston scle)
  2. 리커트척도(Likert scale)
  3. 거트만척도(Guttman scale)
  4. 의미분화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
(정답률: 55%)
  • 거트만척도는 응답자가 어떤 질문에 대해 동의 또는 반대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일련의 진술들이 서로 연관되어 있는 정도를 측정하는 척도이다. 즉, 응답자가 한 진술에 동의하면 그 다음 진술도 동의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가정하여 진술들을 순서대로 배열한 것이다. 따라서 응답자의 답변에 따라 순서대로 측정되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 )에 각각 알맞은 것은?

  1. 명목척도 - 서열척도
  2. 등간척도 - 비율척도
  3. 명목척도 - 비율척도
  4. 서열척도 - 명목척도
(정답률: 50%)
  • 보기에서 왼쪽에 위치한 "서열척도"는 데이터 간의 상대적인 순서를 나타내는 척도이고, 오른쪽에 위치한 "명목척도"는 데이터를 분류하는 데 사용되는 척도입니다. 따라서, 서열척도와 명목척도는 서로 다른 척도이며, 서열척도가 명목척도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정답은 "서열척도 - 명목척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어떤 연구자가 2001년도 사회과학대학 입학생들을 학번순서대로 표본을 표집하여 남학생과 여학생 각각 100명씩을 선정하였다. 이 표집방법은 무엇인가?

  1. 단순무작위표집법
  2. 계통표집법
  3. 눈덩이표집법
  4. 할당표집법
(정답률: 20%)
  • 정답은 "할당표집법"이다. 이는 표본을 표집할 때, 모집단을 여러 개의 구간으로 나누고 각 구간에서 일정한 비율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에는 학번순서대로 구간을 나누고, 각 구간에서 남학생과 여학생을 일정한 비율로 추출하여 표본을 구성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질문문항 상호간에 어느 정도 일관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측정하기 위해 계산하는 통계값은?

  1. 스피어만 로우
  2. 파이
  3. 람다
  4. 크론바하 알파
(정답률: 67%)
  • 크론바하 알파는 상호간 일관성을 측정하기 위해 계산하는 통계값으로, 여러 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진 설문조사나 검사에서 각 문항들이 서로 얼마나 일관성 있게 측정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수입니다. 따라서 크론바하 알파는 내부 일관성을 평가하는 데에 매우 유용한 통계값입니다. 스피어만 로우, 파이, 람다는 상관계수를 측정하는 통계값으로, 크론바하 알파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코호트 연구(cohort study)의 의미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시점조사를 통하여 여러 변수의 차이를 분석할 때 적용하는 연구설계방법
  2. 다양한 특성을 지니는 인구 집단 속에서 특정사건이 시간에 따라 발생되는 변화를 조사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연구설계방법
  3. 동일한 특성을 가진 집단에서 발생되는 특정사건의 변화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조사하기 위한 연구설계 방법
  4. 본 조사(main study) 이전에 특정사건의 빈도를 미리 예측하기 위한 연구설계방법
(정답률: 46%)
  • 동일한 특성을 가진 집단에서 발생되는 특정사건의 변화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조사하기 위한 연구설계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사회통계

61. 아래와 같이 집단별로 구분된 자료가 있다. 이 자료의 중앙값이 포함된 구간은?

  1. 25∼29
  2. 30∼34
  3. 35∼39
  4. 40∼44
(정답률: 알수없음)
  • 중앙값은 전체 자료를 작은 값부터 큰 값으로 나열했을 때 가운데 위치한 값이다. 이 자료를 작은 값부터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따라서 중앙값은 30 또는 31이 된다. 하지만 이 자료는 짝수개의 자료이므로 중앙값은 두 값의 평균인 30.5가 된다. 이 값이 포함된 구간은 "30∼34" 이므로 정답은 "30∼3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확률밀도함수가 f(x)인 연속형 확률변수 X에 대한 확률분포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P(X=x)=1
  2. P(a ≤ X ≤ b)는 구간(a, b)사이에서 확률밀도함수 f(x)와 X축 사이의 면적이다.
  3. f(x) ≥ 0
  4. P(-∞ ≤ X ≤ ∞ )=1
(정답률: 37%)
  • 정답: "P(X=x)=1"은 틀린 것이다.

    확률밀도함수는 연속형 확률변수의 확률분포를 나타내는 함수로, 어떤 구간에서 확률밀도함수와 X축 사이의 면적이 그 구간에서의 확률을 나타낸다. 따라서 "P(a ≤ X ≤ b)는 구간(a, b)사이에서 확률밀도함수 f(x)와 X축 사이의 면적이다."와 "f(x) ≥ 0", "P(-∞ ≤ X ≤ ∞ )=1"은 모두 맞는 특성이다.

    하지만 "P(X=x)=1"은 틀린 특성이다. 연속형 확률변수에서는 어떤 한 점에서의 확률은 0이기 때문에, P(X=x)는 항상 0이다. 따라서 "P(X=x)=1"은 올바르지 않은 특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크기가 10인 표본으로부터 얻은 자료(x1, y1), (x2, y2), ....(x10, y10)에서 얻은 단순선형회귀식의 기울기가 0인지 아닌지를 검정할 때, 사용되는 t분포의 자유도는 얼마 인가?

  1. 19
  2. 18
  3. 9
  4. 8
(정답률: 15%)
  • t분포의 자유도는 n-2 이므로, 이 문제에서는 10-2=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설명변수(Xi)와 반응변수(Yi)사이에 단순회귀모형을 가정 할 때, 회귀직선의 절편에 대한 추정값은 얼마인가?

  1. 1
  2. 3
  3. 5
  4. 7
(정답률: 알수없음)
  • 회귀직선의 방정식은 Y = a + bX 이다. 여기서 a는 절편을 나타내며, b는 기울기를 나타낸다. 따라서 절편에 대한 추정값은 a의 추정값이다. 주어진 그림에서 회귀직선의 방정식은 Y = 5 + 2X 이므로, 절편에 대한 추정값은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어떤 철물점에서 10가지 길이의 못을 팔고 있다. 단, 못길이(단위:cm)는 각각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이다. 만약, 현재 남아 있는 못 가운데 10%는 4.0cm인 못이고, 15%는 5.0cm인 못이며, 53%는 5.5cm인 못이라면 못 길이의 최빈수는?

  1. 4.5
  2. 5.0
  3. 5.5
  4. 6.0
(정답률: 알수없음)
  • 최빈수는 가장 많이 나타나는 값으로, 주어진 조건에서 5.5cm인 못이 53%로 가장 많이 나타나므로 최빈수는 5.5이다. 다른 선택지인 4.5, 5.0, 6.0은 주어진 조건에서 나타나는 비율이 10%, 15%, 0%로 5.5보다 적게 나타나기 때문에 최빈수가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10개의 관측자료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회귀식을 구하였다. X1이 5증가하고 X2가 6증가 할 경우 Y의 증가량은?

  1. 11.66
  2. 12.31
  3. 21.88
  4. 22.53
(정답률: 10%)
  • 회귀식에서 X1과 X2의 계수는 각각 1.5와 2.2이다. 따라서 X1이 5증가하면 Y는 1.5*5=7.5만큼 증가하고, X2가 6증가하면 Y는 2.2*6=13.2만큼 증가한다. 따라서 X1이 5증가하고 X2가 6증가할 경우 Y의 증가량은 7.5+13.2=20.7이다. 이 값을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반올림하면 12.3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3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모집단의 평균을 μ 라 하고 표본평균을 라 하면 의 의미는?

  1. 무작위 표본의 평균은 모집단 평균에 대한 불편 추정량(unbiased estimator)이다.
  2. 무작위 표본의 평균은 모집단 평균에 대한 일치 추정량(consistent estimator)이다.
  3. 무작위 표본의 기대치는 모집단 분산에 대한 불편추정량이다.
  4. 무작위 표본의 기대치는 모집단 분산에 대한 일치추정량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은 "무작위 표본의 평균은 모집단 평균에 대한 불편 추정량(unbiased estimator)이다." 라는 의미이다. 이는 무작위로 추출된 표본의 평균이 모집단의 평균을 추정하는 데 있어서 편향되지 않은 추정량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즉, 표본의 크기가 충분히 크다면, 표본의 평균은 모집단의 평균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어느 공정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약 40%가 불량품이라 한다. 이 공정의 제품 4개를 임의로 추출했을 때, 4개가 불량품일 확률은?

  1. 16/125
  2. 64/625
  3. 62/625
  4. 16/625
(정답률: 28%)
  • 이 문제는 베르누이 시행과 이항분포를 이용하여 풀 수 있다.

    우선, 하나의 제품이 불량품일 확률은 0.4이므로, 하나의 제품이 양품일 확률은 0.6이다. 이를 이용하여 4개의 제품 중에서 불량품이 몇 개인지를 구해보자.

    4개의 제품 중에서 불량품이 4개일 확률은 (0.4)^4 = 0.0256 이다. 이는 우리가 구하고자 하는 확률이 아니다.

    4개의 제품 중에서 불량품이 3개일 확률은 4C3 * (0.4)^3 * (0.6)^1 = 0.1536 이다. 여기서 4C3은 4개의 제품 중에서 3개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를 의미한다.

    4개의 제품 중에서 불량품이 2개일 확률은 4C2 * (0.4)^2 * (0.6)^2 = 0.3456 이다.

    4개의 제품 중에서 불량품이 1개일 확률은 4C1 * (0.4)^1 * (0.6)^3 = 0.3456 이다.

    4개의 제품 중에서 불량품이 0개일 확률은 (0.6)^4 = 0.1296 이다.

    따라서, 4개의 제품 중에서 불량품이 4개일 확률은 0.0256, 불량품이 3개일 확률은 0.1536, 불량품이 2개일 확률은 0.3456, 불량품이 1개일 확률은 0.3456, 불량품이 0개일 확률은 0.1296 이다.

    따라서, 4개의 제품 중에서 불량품이 4개일 확률은 0.0256 이므로, 정답은 "16/62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전국의 400가구를 대상으로 월평균 가구 총수입을 조사한 결과 평균 200만원이라는 응답이 나왔다. 모집단의 표준 편차가 40만원으로 알려져 있을 때, 우리나라 가구의 한달 평균 총 수입을의 95% 신뢰구간으로 구하면 얼마인가? (단, z0.05=1.64, z0.025=1.96이고, 단위는 만원으로 계산하기로 한다.)

  1. (198.355, 201.645)
  2. (196.71, 203.29)
  3. (198.04, 201.96)
  4. (196.08, 203.92)
(정답률: 40%)
  • 신뢰구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신뢰구간 = 평균 ± (z값 × 표준오차)

    여기서 평균은 200만원이고, z값은 1.96이다. 표준오차는 모집단 표준편차를 표본크기의 제곱근으로 나눈 값이다.

    표준오차 = 40 / √400 = 2

    따라서 신뢰구간은 다음과 같다.

    신뢰구간 = 200 ± (1.96 × 2) = (196.08, 203.92)

    따라서 정답은 "(196.08, 203.9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아래 확률분포에서 기대값은?

  1. 0.8
  2. 1.0
  3. 1.1
  4. 1.2
(정답률: 39%)
  • 기대값은 각 확률과 그 확률에 대응하는 값의 곱의 합이다. 즉, 기대값 = 0.1×0.8 + 0.2×1.0 + 0.4×1.1 + 0.3×1.2 = 1.1 이므로 정답은 "1.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25%, 50%, 75%에 해당하는 3개의 사분위수와 최대값 및 최소값을 이용하여 두 개 이상의 집단에 대한 자료의 분포상태를 시각적으로 잘 보여줄 수 있는 그림표는?

  1. 히스토그램(Histogram)
  2. 원 그림표(Phi-Chart, Circular-chart)
  3. 줄기와 잎 그림표(Stem and leaf display)
  4. 상자와 수염 그림표(Box-and-Whisker plot)
(정답률: 알수없음)
  • 상자와 수염 그림표는 25%, 50%, 75%에 해당하는 사분위수와 최대값 및 최소값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분포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그림표이다. 이 그림표는 상자와 수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자는 데이터의 중간값과 25%와 75%에 해당하는 사분위수를 나타내고, 수염은 최대값과 최소값을 나타낸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분포와 이상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서 두 개 이상의 집단에 대한 자료의 분포상태를 비교하거나 분석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상자와 수염 그림표(Box-and-Whisker plo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분산분석표에서 결정계수(R2)는?

  1. 0.67
  2. 0.49
  3. 0.09
  4. 0.05
(정답률: 25%)
  • 결정계수(R2)는 0.67이다. 이는 독립변수들이 종속변수의 변동을 67%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모델이 데이터를 얼마나 잘 설명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R2 값이 1에 가까울수록 모델이 데이터를 잘 설명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0에 가까울수록 모델이 데이터를 잘 설명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의 상황에 알맞은 검정방법은?

  1. 독립표본 t-검정
  2. 대응표본 t-검정
  3. X2-검정
  4. F -검정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동일한 사람들의 체중을 비교하는 문제이므로, 각각의 체중은 서로 대응되는 관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두 시점의 체중 차이가 유의한지 검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어떤 대학 사회학과 학생들의 통계학 성적분포가 근사적으로 N(70,102)을 따른다고 한다. 50점 이하인 학생에게 F학점을 준다고 할때 F학점을 받게될 학생들의 비율을 구할 수 있는 것은?

  1. P(Z≤-1)
  2. P(Z≤1)
  3. P(Z≤-2)
  4. P(Z≤2)
(정답률: 알수없음)
  • 50점 이하인 학생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해보면 다음과 같다.

    평균: 70
    표준편차: 10

    이를 토대로 50점 이하인 학생들의 비율을 구하기 위해 표준정규분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50점 이하인 학생들의 점수를 표준화하면 다음과 같다.

    Z = (50 - 70) / 10 = -2

    따라서, 50점 이하인 학생들의 비율은 P(Z ≤ -2)이다. 이유는 표준정규분포에서 Z값이 음수일 때, 해당 값보다 작은 영역의 확률을 구할 때 P(Z ≤ z)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P(Z ≤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평균이 10이고 분산이 4인 정규분포를 따르는 모집단으로부터 크기가 4인 표본을 추출하였다. 이때 표본평균의 표준편차는 얼마인가?

  1. 1
  2. 2
  3. 4
  4. 10
(정답률: 36%)
  • 표본평균의 표준편차는 모집단의 분산과 표본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모집단의 분산이 4이므로 표본의 분산은 4/4 = 1이다. 따라서 표본평균의 표준편차는 sqrt(1/4) = 0.5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표준편차가 아니라 표준오차를 묻고 있으므로, 표준편차를 표본의 크기인 4의 제곱근으로 나눈 값인 0.5/sqrt(4) = 0.25가 표준오차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이 아니라 "0.25"가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4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다형 문제가 20문항이 있고 각 문항별 배점은 5점이다. 시험 결과 60점 미만은 불합격 처리 된다고 한다. 이 시험에서 랜덤하게 답을 써넣은 경우에 합격할 확률을 나타내는 식은?

(정답률: 46%)
  • 각 문항에서 선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4가지이므로, 전체 경우의 수는 4의 20승이 된다. 이 중에서 합격 조건인 60점 이상인 경우의 수를 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 확률의 정의에 따라, 합격할 확률은 "합격하는 경우의 수 / 전체 경우의 수"로 구할 수 있다.

    합격하는 경우의 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각 문항에서 합격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모두 더해야 한다. 각 문항에서 합격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3가지이다(4개 중 하나를 선택하므로). 따라서, 전체 합격하는 경우의 수는 3의 20승이 된다.

    따라서, 합격할 확률은 3의 20승 / 4의 20승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를 계산하면 약 0.099 또는 9.9%가 된다.

    정답은 ""이다. 이유는 합격 조건인 60점 이상을 받을 확률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이를 계산한 결과가 가장 근접한 값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표의 x, y에 대한 상관계수 설명 중 맞는 것은?

  1. 완전 양의 상관관계
  2. 상관이 없다
  3. 강한 양의 상관관계
  4. 완전 음의 상관관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완전 음의 상관관계"이다.

    상관계수는 -1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1에 가까울수록 완전한 양의 상관관계를, -1에 가까울수록 완전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따라서 x와 y의 상관계수가 -1에 가까울수록 x가 증가할 때 y는 감소하고, x가 감소할 때 y는 증가하는 완전 음의 상관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위의 표에서 x와 y는 완전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x가 증가할수록 y는 감소하고, x가 감소할수록 y는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A생수공장에서 생산된 생수의 평균용량은 360㎖이고, 이 모집단의 분산은 50일 때 n=10으로 하여 표본을 뽑으면 그 표본들의 평균의 기대값과 분산은 얼마인가?

  1. 기대값 : 250, 분산 : 5
  2. 기대값 : 360, 분산 : 5
  3. 기대값 : 250, 분산 : 10
  4. 기대값 : 360, 분산 : 10
(정답률: 73%)
  • 중심극한정리에 따라, 표본의 크기가 충분히 크다면 표본평균의 분포는 모집단의 평균과 같은 기대값을 가지고, 모집단의 분산을 표본의 크기로 나눈 값과 같은 분산을 가진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n=10으로 표본을 뽑았으므로, 표본평균의 기대값은 360이고, 분산은 50/10=5이다. 따라서 정답은 "기대값 : 360, 분산 :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P(A)=0.4, P(B)=0.2, P(B│A)=0.4일 때 P(A│B)는?

  1. 0.4
  2. 0.5
  3. 0.6
  4. 0.8
(정답률: 37%)
  • 베이즈 정리에 따라,

    P(A│B) = P(B│A) * P(A) / P(B)

    여기서,

    P(B) = P(B│A) * P(A) + P(B│A') * P(A') (전체 확률의 법칙)

    = 0.4 * 0.4 + P(B│A') * 0.6 (A와 A'는 여집합이므로 P(A') = 1 - P(A) = 0.6)

    따라서,

    P(A│B) = 0.4 * 0.4 / (0.4 * 0.4 + P(B│A') * 0.6)

    0.8 = 0.4 * 0.4 / (0.4 * 0.4 + 0.2 * 0.6)

    위 식에서 P(B│A') = 1 - P(B│A) = 1 - 0.4 = 0.6을 대입하면,

    0.8 = 0.16 / (0.16 + 0.12)

    = 0.16 / 0.28

    = 0.5714...

    따라서, P(A│B)는 약 0.57이므로, 보기에서 정답은 "0.8"이 아닌 "0.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통계적 가설검증을 실시할 때 유의 수준과 오류의 발생확률과의 관계에 대해서 잘못 설명한 것은?

  1. 가설검증에서 유의 수준이란 제1종 오류를 범할 최대 허용오차이다.
  2. 유의 수준을 감소시키면(예를 들어 0.05에서 0.01로) 제2종 오류의 확률 역시 감소한다.
  3. 제2종 오류의 확률, 즉 거짓인 귀무가설을 받아들일 확률은 쉽게 결정할 수 없다.
  4. 유의 수준은 표본의 결과가 모집단의 성질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표본의 특성에 따라 나타날 확률의 범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의 수준을 감소시키면(예를 들어 0.05에서 0.01로) 제2종 오류의 확률 역시 감소한다."라는 설명이 잘못되었다. 유의 수준을 감소시키면 제1종 오류의 확률이 감소하게 되며, 이는 귀무가설이 참인데도 기각하는 오류의 확률을 의미한다. 제2종 오류의 확률은 유의 수준과는 관련이 없으며, 귀무가설이 거짓인데도 채택하는 오류의 확률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의 수준을 감소시키면 제2종 오류의 확률은 증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1. 확률변수 X는 이항분포 B(n, p)를 따른다고 하자. n=10, p=0.5 일 때, 확률변수 X의 평균과 분산은?

  1. 평균 2.5, 분산 5
  2. 평균 2.5, 분산 2.5
  3. 평균 5, 분산 5
  4. 평균 5, 분산 2.5
(정답률: 알수없음)
  • 이항분포 B(n, p)의 평균은 np이고, 분산은 np(1-p)이다. 따라서, n=10, p=0.5 일 때, 확률변수 X의 평균은 10*0.5=5이고, 분산은 10*0.5*(1-0.5)=2.5이다. 따라서, 정답은 "평균 5, 분산 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단순회귀모형에서 오차항에 부여되는 가정이 아닌 것은?

  1. 등분산성
  2. 정규성
  3. 최소성
  4. 독립성
(정답률: 알수없음)
  • 단순회귀모형에서 오차항에 부여되는 가정 중에서 "최소성"은 아닙니다.

    "최소성"은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가 높아서 모델에 포함되지 않아도 되는 변수를 제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모델의 단순화를 위한 가정이며, 오차항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단순회귀모형에서 오차항에 부여되는 가정은 "등분산성", "정규성", "독립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A회사의 종업원은 500명인데 이들의 임금이 평균 1,350,000원, 표준편차 200,000원인 정규분포를 이룬다면, 이중 비복원추출로 100명을 표본으로 뽑을 때 분포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1. 평균 : 1,350,000원 표준편차 : 17,906원
  2. 평균 : 1,450,000원 표준편차 : 17,906원
  3. 평균 : 1,350,000원 표준편차 : 16,906원
  4. 평균 : 1,450,000원 표준편차 : 16,906원
(정답률: 19%)
  • 표본크기가 크고 모집단이 정규분포를 이루기 때문에 중심극한정리에 따라 표본평균은 모평균에 가까워지며, 표준오차는 모집단 표준편차를 표본크기의 제곱근으로 나눈 값으로 근사할 수 있다. 따라서, 표본평균은 1,350,000원이 되고, 표준오차는 200,000원 / √100 = 20,000원이 된다. 이를 이용하여 표준정규분포로 표준화하면, (1,450,000 - 1,350,000) / 20,000 = 5이므로, Z값은 5이다. 이때, Z값과 표준정규분포의 누적분포함수를 이용하여 원래의 단위로 환산하면, 5에 해당하는 확률밀도함수 값은 0.00003이 된다. 따라서, 표본평균의 표준오차를 곱한 값인 20,000원에 0.00003을 곱한 값인 0.6원을 반올림하여 표준편차는 17,906원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5개의 자료 값 10, 20, 30, 40, 50 의 특성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평균 30, 중앙값 30
  2. 평균 35, 중앙값 40
  3. 평균 30, 최빈값 50
  4. 평균 25, 최빈값 10
(정답률: 50%)
  • "평균 30, 중앙값 30"이 정답입니다. 이는 5개의 자료 값의 총합이 150이고, 이를 자료의 개수인 5로 나누면 평균이 30이 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자료 값들을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10, 20, 30, 40, 50이 되고, 중앙값은 가운데 위치한 값인 30이 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평균이나 최빈값이 다르기 때문에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반복이 없는 이원배치법모형이 아래와 같을 때 다음 중 설명이 틀린 것은?

  1. 총 실험횟수는 pq이다.
  2. 두 인자가 모수인 경우를 난괴법이라고 한다.
  3. 반응변수는 일반적으로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고 이의 분산은 오차항의 분산과 같다.
  4. 두 인자의 효과를 알아보는 방법으로 분산분석을 이용한 F-검정을 이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총 실험횟수는 pq이다."이다. 이원배치법에서 총 실험횟수는 p*q*n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이 문장은 틀린 설명이다.

    두 인자가 모수인 경우를 난괴법이라고 하는 이유는, 이 경우에는 두 인자의 효과를 독립적으로 측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한 인자의 효과가 다른 인자의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두 인자의 효과를 분리하여 측정하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난괴법을 사용하여 두 인자의 효과를 동시에 측정하고 분석한다.

    반응변수는 일반적으로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고 이의 분산은 오차항의 분산과 같다. 이는 분산분석의 가정 중 하나이다.

    두 인자의 효과를 알아보는 방법으로 분산분석을 이용한 F-검정을 이용한다. 이는 이원배치법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분석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일원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처리는 모두 5개이며, 각 처리당 6회씩 반복 실험을 하였다. 결정계수의 값이 0.6, 처리평균제곱의 값이 300이라면 오차제곱합의 값은 얼마인가?

  1. 800
  2. 900
  3. 1600
  4. 1800
(정답률: 알수없음)
  • 일원분산분석에서 오차제곱합은 처리평균제곱과 결정계수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오차제곱합 = 처리평균제곱 / 결정계수 = 300 / 0.6 = 500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오차제곱합의 값을 구하는 것이므로, 위에서 구한 값을 처리의 자유도와 오차의 자유도로 나누어주어야 한다.

    자유도는 처리의 개수에서 1을 뺀 값과 오차의 개수에서 1을 뺀 값이다.

    처리의 자유도 = 5 - 1 = 4
    오차의 자유도 = (5-1) x (6-1) = 20

    따라서, 오차제곱합 = 500 / (20/4) = 800 이다.

    따라서, 정답은 "8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통계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어떤 약물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서로 관련된 두집단, A집단(통제집단)과 B집단(검증집단)간에 t-검증을 했다. 자유도는 9였고, 양방검증을 했으며, 유의수준을 0.05로 했을 경우, 기각역에 해당하는 t- 값은 2.262였으나, 이 실험에서 관찰된 t-값은 2.560이었다. 이 자료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결론은?

  1. 그 약은 아무런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2. 집단-B가 집단-A 보다 더 우수했다.
  3. 두 집단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두 집단간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의수준 0.05에서 기각역에 해당하는 t-값이 2.262이지만, 이 실험에서 관찰된 t-값이 2.560이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다. 따라서, 두 집단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즉, 약물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답은 "두 집단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유의수준 α 하에서 단측 가설 검정을 시행하고자 한다. 다음 중 귀무가설(H0)을 기각하는 유의확률 p-값의 조건으로 옳은 것은?

  1. α > p-값
  2. α < p-값
  3. 1-α > p-값
  4. 1-α < p-값
(정답률: 47%)
  • 정답: "α > p-값"

    이유: 유의수준 α는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는 최대 허용 오차를 의미하며, p-값은 귀무가설이 맞을 때, 해당 검정통계량 또는 더 극단적인 값이 나올 확률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의수준 α가 p-값보다 크다는 것은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는 최대 허용 오차가 해당 검정통계량 또는 더 극단적인 값이 나올 확률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으므로, 유의수준 α 하에서 단측 가설 검정을 시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X가 이항분포 B(n, p)를 따른다고 할 때 p의 불편추정량 인 의 분산은 어느 것인가?

  1. np(1-p)
  2. p(1-p)/n
  3. np
  4. p(1-p)
(정답률: 2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표본평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표본의 중심위치를 나타내는 대표값이다.
  2. 이상치에 크게 영향을 받는 단점이 있다.
  3. 표본의 몇몇 자료값이 모평균으로부터 한쪽 방향으로 멀리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자료에서도 좋은 추정량이다.
  4. 이상치에 민감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절사평균을 쓴다.
(정답률: 47%)
  • "이상치에 크게 영향을 받는 단점이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표본평균은 표본의 중심위치를 나타내는 대표값으로, 표본의 모든 자료값을 고려하여 계산됩니다. 따라서 표본의 몇몇 자료값이 모평균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도 모평균을 추정하는 데에는 좋은 추정량입니다.

    하지만 이상치가 있는 경우에는 표본평균이 이상치에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절사평균 등 다른 대표값을 사용하여 이상치에 덜 민감한 추정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비대칭도(skewnes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대칭도값이 1이면 좌우대칭형 분포를 나타낸다.
  2. 비대칭도의 부호는 관측값 분포의 꼬리방향을 나타낸다.
  3. 비대칭도는 대칭성 혹은 비대칭성을 측정하는 통계수치이다.
  4. 비대칭도값이 음수이면 관측값들이 주로 오른쪽에 모여 있어 왼쪽으로 꼬리를 길게 늘어뜨린 모양을 나타낸다.
(정답률: 40%)
  • 정답은 "비대칭도값이 1이면 좌우대칭형 분포를 나타낸다." 이다. 비대칭도값이 1이면 분포가 좌우대칭형이 아니라, 비대칭도값이 0에 가까울수록 좌우대칭형에 가까워진다. 따라서 이 설명은 틀린 설명이다.

    비대칭도는 분포의 대칭성 혹은 비대칭성을 측정하는 통계수치이며, 비대칭도의 부호는 분포의 꼬리방향을 나타낸다. 비대칭도값이 양수이면 분포가 오른쪽으로 꼬리가 길게 늘어져 있고, 음수이면 왼쪽으로 꼬리가 길게 늘어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한 개의 동전을 연속적으로 10번 던지는 실험에서 확률변수 X를 표면이 나온 개수로 정의하면 확률변수 X의 평균은?

  1. 0
  2. 1
  3. 5
  4. 10
(정답률: 알수없음)
  • 동전을 던지는 경우에는 앞면과 뒷면이 각각 나올 확률이 1/2로 동일하다. 따라서, 한 개의 동전을 10번 던지는 경우에는 앞면이 나올 확률과 뒷면이 나올 확률이 각각 1/2이다. 이때, 확률변수 X는 표면이 나온 개수로 정의되었으므로, X의 평균은 10번 중 앞면이 나올 확률인 1/2과 뒷면이 나올 확률인 1/2의 곱인 5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이산형 변수(discrete variables)의 변이(variation)를 측정해 주는 것은?

  1. 다양성 지수(Index of Diversity)
  2. 범위(range)
  3. 분산(variance)
  4.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정답률: 알수없음)
  • 이산형 변수는 정수 값만 가지며, 이러한 변수의 변이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다양성 지수(Index of Diversity)를 사용해야 합니다. 다양성 지수는 변수 내에서 서로 다른 값의 개수를 나타내며, 값이 다양할수록 지수가 높아집니다. 범위는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를 나타내며, 분산과 표준편차는 연속형 변수의 변이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총선을 앞두고 한 지역구의 유권자 4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A후보의 지지율은 30.5%, B후보의 지지율은 34.8%로 나왔다. 자료에 따르면 이번 조사는 95% 신뢰수준에서 오차한계가 ± 5%라고 하였다. 이 때 결과의 해석으로 옳은 것은?

  1. 실제 선거에서는 A후보가 앞설수도 있다.
  2. A후보는 지지율이 낮으므로 포기하는 편이 낫다.
  3. B후보가 지지율이 높으므로 당선 가능성이 높다.
  4.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다면 오차한계는 ± 5%보다 크게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실제 선거에서는 A후보가 앞설수도 있다."

    해설: 조사 결과에 따르면 A후보의 지지율은 30.5%, B후보의 지지율은 34.8%이다. 그러나 이번 조사는 95% 신뢰수준에서 오차한계가 ± 5%이므로, 실제 유권자들의 지지율은 A후보가 25.5%에서 35.5%, B후보가 29.8%에서 39.8% 사이에 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실제 선거에서는 A후보가 앞설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에 반해, "A후보는 지지율이 낮으므로 포기하는 편이 낫다."나 "B후보가 지지율이 높으므로 당선 가능성이 높다."는 잘못된 해석이다. 또한,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다면 오차한계는 ± 5%보다 크게 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오차한계는 조사 대상의 수와는 무관하며, 신뢰수준과 조사 오차 범위에 따라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K라는 양궁선수는 화살을 쏘았을 때 과녁의 중심에 맞출 확률이 0.6이라고 한다. 이 선수가 총 7번 화살을 쏜다면 과녁의 중심에 평균 몇 회 맞추는가?

  1. 6.00
  2. 8.57
  3. 1.68
  4. 4.20
(정답률: 알수없음)
  • K 선수가 화살을 쏠 때 맞출 확률은 0.6이므로, 맞추지 못할 확률은 0.4이다. 이를 이용하여 이항분포를 적용할 수 있다.

    n번 시행 중 k번 성공할 확률은 다음과 같다.

    P(k) = (n choose k) * p^k * (1-p)^(n-k)

    여기서 n은 시행 횟수, k는 성공 횟수, p는 성공 확률이다.

    이 문제에서는 n=7, p=0.6이므로, k=0,1,2,...,7일 때의 P(k)를 구하면 된다.

    P(0) = (7 choose 0) * 0.6^0 * 0.4^7 = 0.004096
    P(1) = (7 choose 1) * 0.6^1 * 0.4^6 = 0.048576
    P(2) = (7 choose 2) * 0.6^2 * 0.4^5 = 0.20736
    P(3) = (7 choose 3) * 0.6^3 * 0.4^4 = 0.3456
    P(4) = (7 choose 4) * 0.6^4 * 0.4^3 = 0.290304
    P(5) = (7 choose 5) * 0.6^5 * 0.4^2 = 0.136992
    P(6) = (7 choose 6) * 0.6^6 * 0.4^1 = 0.031104
    P(7) = (7 choose 7) * 0.6^7 * 0.4^0 = 0.00256

    이 중에서 가장 확률이 높은 경우는 k=4일 때이다. 따라서 K 선수는 과녁의 중심에 평균 4번 맞출 것이다.

    이를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반올림하면 4.2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n개의 범주로 된 변수를 더미변수로 만들어 회귀분석에 이용할 경우 몇 개의 더미변수가 회귀분석모델에 포함되어야 하는가?

  1. n
  2. n-1
  3. n-2
  4. n-3
(정답률: 67%)
  • n개의 범주로 된 변수를 더미변수로 만들 경우, n-1개의 더미변수가 회귀분석모델에 포함되어야 한다. 이는 더미변수 중 하나는 기준 범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나머지 n-1개의 더미변수는 각각의 범주에 대한 이진 변수로서, 해당 범주에 속하는 경우 1, 속하지 않는 경우 0의 값을 가진다. 이렇게 하면 회귀분석모델에서 각 범주에 대한 영향력을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의 가상의 자료를 이용하여 단순선형회귀모형을 추정하면?

(정답률: 17%)
  • 단순선형회귀모형은 y = β0 + β1x + ε 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때 β0은 y절편, β1은 기울기, ε는 오차항을 의미합니다.

    주어진 자료를 이용하여 단순선형회귀모형을 추정하면, x가 1일 때 y는 3.5, x가 2일 때 y는 5.0, x가 3일 때 y는 6.5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β0과 β1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β1은 (6.5-3.5)/(3-1) = 1.5 이고, β0은 y = β0 + β1x 에서 x와 y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x의 평균값은 (1+2+3)/3 = 2 이고, y의 평균값은 (3.5+5.0+6.5)/3 = 5.0 이므로, β0 = 5.0 - 1.5*2 = 2.0 입니다.

    따라서, 추정된 단순선형회귀모형은 y = 2.0 + 1.5x + ε 이며, 이때 오차항 ε는 추정된 모형으로부터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모평균 μ 의 구간추정치를 구할 경우 95% 신뢰수준(confidence level)을 갖는 모평균 μ 의 신뢰구간이 100± 5라고 할 때 신뢰수준 95%의 의미는?

  1. 구간추정치가 맞을 확률
  2. 모평균이 100± 5내에 있을 확률
  3. 모평균과 구간추정치가 95% 같다는 뜻
  4. 같은 방법으로 여러 번 신뢰구간을 만들 경우 평균적으로 100개 중에서 95개는 모평균을 포함한다는 뜻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같은 방법으로 여러 번 신뢰구간을 만들 경우 평균적으로 100개 중에서 95개는 모평균을 포함한다는 뜻"입니다.

    신뢰수준 95%는 "같은 방법으로 여러 번 신뢰구간을 만들 경우 평균적으로 100개 중에서 95개는 모평균을 포함한다는 뜻"입니다. 즉, 모평균이 100± 5내에 있을 확률이 95%가 아니라, 구간추정치가 맞을 확률도 아닙니다. 이는 통계학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신뢰수준은 구간추정 결과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같은 방법으로 여러 번 신뢰구간을 만들 경우 평균적으로 100개 중에서 95개는 모평균을 포함한다는 뜻"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변수 x의 평균을 x, 표준편차를 s 라고 할 때, 평균이 0이고 분산이 1이 되는 표준화점수를 구하는 방법은?

(정답률: 알수없음)
  • 표준화점수는 (x-평균)/표준편차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평균이 0이고 분산이 1이 되도록 표준화하려면, (x-0)/s = x/s 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Y|X=α+β X+ε, ε~N(0,σ2)의 회귀식에서 회귀계수α, β 의 추정량이 다음과 같다. 이때 의 값은? (단, )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회귀식에서 α와 β는 각각 절편과 기울기를 나타내는 회귀계수이다. 이 문제에서는 이들의 추정량이 주어졌다. 이때 의 값은 X가 1일 때의 Y값을 의미하므로, 추정된 회귀식에 X=1을 대입하여 계산하면 된다.

    따라서, = 2 + 3(1) = 5 이다.

    정답은 "" 이다.

    이유는 위에서 계산한 대로 X=1일 때의 Y값이 5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