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조사분석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8-08)

사회조사분석사 2급
(2004-08-0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사방법론 I

1. 척도구성의 통계적 기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개별문항과 척도간의 상관분석
  2. 개별문항들에 대한 요인분석
  3. 개별문항에 대한 평균값과 표준편차의 산출
  4. 문항별 기준변수와의 상관관계 분석
(정답률: 44%)
  • 개별문항에 대한 평균값과 표준편차의 산출은 척도구성의 통계적 기법으로 옳지 않습니다. 이는 개별문항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구하는 것으로, 척도의 신뢰도나 타당도를 평가하는 데는 유용하지 않습니다. 대신, 개별문항과 척도간의 상관분석, 개별문항들에 대한 요인분석, 문항별 기준변수와의 상관관계 분석 등이 척도구성의 통계적 기법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측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조작화 과정
  2. 측정대상자나 대상물 자체를 측정하는 것
  3. 질적 속성을 양적 속성으로 전환하는 작업
  4. 추상적· 이론적 세계와 경험적 세계를 연결시켜 주는 수단
(정답률: 48%)
  • "측정대상자나 대상물 자체를 측정하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측정은 대상자나 대상물의 양적 속성을 측정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조작화 과정과 질적 속성을 양적 속성으로 전환하는 작업 등이 필요합니다. 측정은 추상적· 이론적 세계와 경험적 세계를 연결시켜 주는 수단이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분석단위의 선택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경험적 연구문헌을 검토할 경우 그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단위를 정확히 파악하여야 그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2. 적절한 분석단위의 선정은 연구의 질을 결정한다.
  3. 분석단위로 조직이 포함될 수 있다.
  4. 분석단위 선정의 환원주의적 오류란 연구 결과 얻은 결론을 다른 수준의 분석 단위에 적용시키 오류를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경험적 연구문헌을 검토할 경우 그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단위를 정확히 파악하여야 그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적절한 분석단위의 선정은 연구의 질을 결정한다.", "분석단위로 조직이 포함될 수 있다."는 모두 분석단위의 선택과 관련이 있는 내용이지만, "분석단위 선정의 환원주의적 오류란 연구 결과 얻은 결론을 다른 수준의 분석 단위에 적용시키 오류를 말한다."는 분석단위의 선택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다. 이는 연구 결과의 적용과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면접원을 사용하는 조사 중 면접원에 의해 발생하는 편차(bias)가 가장 클 것으로 추정되는 것은?

  1. 전화 인터뷰조사
  2. 심층 인터뷰 조사
  3. 구조화된 질문지 사용 인터뷰
  4. 집단 면접조사
(정답률: 79%)
  • 심층 인터뷰 조사는 면접자와 면접원 간의 대화가 자유롭고 개인적인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면접원의 주관적인 인식이나 선입견이 조사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면접원에 의해 발생하는 편차가 가장 클 것으로 추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중 연구하려고 하는 문제의 핵심적인 요소들을 분명히 알지 못할 때 질문지 작성의 전단계에서 실시하는 비지시적 방식의 조사는?

  1. 사전검사(pretest)
  2. 예비조사(pilot study)
  3. 본조사(main survey)
  4. 사례조사(case study)
(정답률: 알수없음)
  • 예비조사(pilot study)는 연구하려는 문제의 핵심적인 요소들을 분명히 알지 못할 때, 질문지 작성의 전단계에서 실시하는 비지시적 방식의 조사이다. 이는 작성된 질문지를 일부 대상자들에게 시험적으로 적용하여 문항의 이해도나 문항의 유효성 등을 검증하고 수정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를 통해 본조사(main survey)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사전에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으며,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일 수 있다. 사전검사(pretest)는 질문지의 문항들을 대상자들에게 시험적으로 적용하여 문항의 이해도나 문항의 유효성 등을 검증하는 과정이며, 예비조사와 유사하지만 보다 협소한 범위에서 실시된다. 사례조사(case study)는 특정한 사례나 현상을 깊이 있게 조사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면접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우편조사에 비해서 응답률이 높다.
  2. 무응답 문항을 줄일 수 있다.
  3. 면접자에 의한 편의(bias)가 발생할 수 있다.
  4. 전화조사에 비해 조사자에 대한 감독이 용이하다.
(정답률: 61%)
  • "면접자에 의한 편의(bias)가 발생할 수 있다."가 틀린 것이다. 면접조사는 조사자와 응답자가 대면하여 진행되기 때문에 응답자의 신뢰도가 높아지고 무응답 문항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면접자의 주관적인 인식이나 태도 등이 응답자의 응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편의가 발생할 수 있다. 전화조사에 비해 조사자에 대한 감독이 용이한 이유는 면접조사에서는 조사자가 직접 응답자와 대면하여 진행되기 때문에 조사자의 행동이나 응대 방식 등을 쉽게 감시하고 조절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한 조사연구기관에서는 최근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등장하고 있는 어떤 문제에 대한 여론주도층의 의견을 청취하고자 하였다. 이 경우 자료수집방법으로서 가장 적합한 것은?

  1. 대면적 면접조사
  2. 우편조사
  3. 전화조사
  4. On-Line 조사
(정답률: 0%)
  • 여론주도층은 대개 사회적인 영향력이 큰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대면적 면접조사나 전화조사는 어려울 수 있다. 또한 On-Line 조사는 인터넷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연령층에게는 접근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우편조사가 가장 적합한 자료수집 방법이다. 우편조사는 응답자의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며, 응답자의 응답을 자세히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응답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점도 우편조사의 장점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거트만(Guttman) 척도에서 응답자수가 400명, 문항수가 20개, 응답의 오차수가 80 이라면 이때의 재생계수는?

  1. 0.99
  2. 0.92
  3. 0.48
  4. 0.88
(정답률: 알수없음)
  • 재생계수는 응답의 오차수를 문항수로 나눈 값의 제곱근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80을 20으로 나눈 값인 4의 제곱근인 2를 구한 후, 이를 400에서 빼고 다시 400으로 나누어 1에서 빼줍니다. 이렇게 계산하면 재생계수는 0.99가 됩니다. 이는 응답자들이 문항에 대해 일관성 있게 응답했다는 것을 나타내며, 높을수록 신뢰도가 높은 척도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기술적(descriptive) 조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술적 조사는 현상에 대한 탐구와 명료화를 주목적으로 한다.
  2. 기술적 조사는 계획, 모니터링, 평가에 필요한 자료를 산출하기 위하여 자주 사용된다.
  3. 기술적 조사는 사회현상이 야기된 원인과 결과를 밝혀 정확히 기술하는 것이다.
  4. 기술적 조사는 행정실무자와 정책분석가들에게 가장 기본적인 조사도구이다.
(정답률: 47%)
  • 기술적 조사는 사회현상이 야기된 원인과 결과를 밝혀 정확히 기술하는 것이 아니라, 현상에 대한 탐구와 명료화를 주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기술적 조사는 사회현상이 야기된 원인과 결과를 밝혀 정확히 기술하는 것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580개 초등학교 모집단에서 5개 학교를 임의표집하였다. 선택된 학교마다 2개씩의 학급을 임의선택하고, 또 선택된 학급마다 5명씩의 학생들의 임의선택하여 학생들이 학원에 다니는지 조사하였다. 이 표집방법은?

  1. 단순임의표집
  2. 층화표집
  3. 집락표집
  4. 계통표집
(정답률: 39%)
  • 이 표집방법은 "집락표집"이다. 이유는 선택된 학교와 학급이 모두 집단(집락)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학생들도 선택된 학급 내에서 무작위로 추출되었기 때문에 이 역시 집락표집의 특징을 갖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의미분화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언어의 의미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응답자의 태도를 측정하는 데 적당하지 않다.
  2. 평가(evaluation)적 차원, 활동(activity)적 차원, 역동(potency)적 차원 등 다차원적 척도이다.
  3. 대립적인 형용사 쌍을 이용해서 측정한다.
  4. 의미적 공간에 어떤 대상을 위치시킬 수 있다는 이론적 가정을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언어의 의미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응답자의 태도를 측정하는 데 적당하지 않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의미분화척도는 언어의 의미를 측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응답자의 태도를 측정하는 데에도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비례층화표본표집의 특징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각층의 인구를 하나의 소규모 모집단으로 간주하고, 각층의 모집단 인구규모에 비례하여 표집한다.
  2. 지역 또는 연령분포에 따라 조사대상인구를 저울질한다.
  3. 각 층별로 표집은 하되 무작위로 조사대상자를 선정한다.
  4. 각층의 모집단인구에 연령에 따라 각기 상이한 표본 표집률을 적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각층의 모집단인구에 연령에 따라 각기 상이한 표본 표집률을 적용하는 이유는 각 층의 중요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연령대별로 조사를 할 때, 20대와 60대의 중요도가 같다고 볼 수 없습니다. 따라서, 각 연령대별로 모집단 인구규모에 비례하여 표본을 추출하여 중요도에 따라 적절한 비율로 조사를 진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예시된 설문 문항은 어떤 종류의 척도에 속하는가?

  1. 서스톤척도(Thurstone Scale)
  2. 리커트척도(Likert Scale)
  3. 거트만척도(Guttman Scale)
  4. 의미분화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
(정답률: 36%)
  • 예시된 설문 문항은 각 단어에 대해 양 끝단에 위치한 어휘들을 사용하여 중간의 의미를 분화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의미분화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에 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측정의 타당성(validity)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동일한 대상의 속성을 반복적으로 측정할 때 동일한 측정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정도를 말한다.
  2. 측정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액면타당성(face validity), 내용타당성(content validity), 성타당성(construct validity) 등이 있다.
  3. 일반적으로 측정의 타당성을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일은 측정의 신뢰성(reliability)을 검증하는 것보다 어렵다.
  4. 측정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에 대하여 적절한 조작적 정의(operationaldefinition)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동일한 대상의 속성을 반복적으로 측정할 때 동일한 측정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정도를 말한다."는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우편조사시 취지문이나 질문지 표지에 반드시 포함되지 않아도 되는 사항은?

  1. 조사기관
  2. 조사목적
  3. 표본수
  4. 비밀유지보장
(정답률: 알수없음)
  • 우편조사시 취지문이나 질문지 표지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은 조사기관, 조사목적, 비밀유지보장입니다. 그러나 표본수는 우편조사의 취지나 목적을 이해하는 데는 필요하지만, 질문지나 취지문에 반드시 포함되지 않아도 되는 정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표본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의 상황에서 제대로 된 인과관계 추리를 위해 특히 고려되어야 할 인과관계 요소는?

  1. 공변성
  2. 시간적 우선성
  3. 외생 변수의 통제
  4. 외부 사건의 통제
(정답률: 55%)
  • 외생 변수의 통제는 다른 변수들이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외부 요인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 그래프에서 A와 B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외생 변수의 통제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그래프에서 A와 B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다고 가정하면, C가 증가함에 따라 A와 B 모두 증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와 같은 외부 요인을 제어하지 않으면 A와 B 사이의 인과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면접조사시 면접원의 훈련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치 못한 것은?

  1. 면접의 일반적인 지침과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2. 그 면접조사가 전반적으로 무엇을 연구하려는 것인지 를 가장 먼저 설명한다.
  3. 면접조사에 사용되는 질문지의 문항을 면접자 스스로 하나씩 잘 읽어보고 의문사항을 연구조사자에게 물어 보도록 한다.
  4. 연구조사자는 개개 면접자에게 20회 정도의 면접을 배정하고 면접을 마쳤을 때 면접원에게 질문지를 갖고 오도록 하여, 검토하고 나서 추가로 면접을 배정한다.
(정답률: 20%)
  • "연구조사자는 개개 면접자에게 20회 정도의 면접을 배정하고 면접을 마쳤을 때 면접원에게 질문지를 갖고 오도록 하여, 검토하고 나서 추가로 면접을 배정한다."가 적절치 못한 것이다. 이는 면접원이 질문지를 검토하고 추가 면접을 배정하는 것으로, 면접자의 능력과 역량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면접원의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면접조사에는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 면접원과 연구조사자가 함께 질문지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내용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하기에 부적절한 연구주제는?

  1. 알코올이 운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2. 한국 전래 동화에서 다루었던 주제 분석
  3. 유명작가의 문체분석
  4. 정신분열자의 언어 사용 분석
(정답률: 알수없음)
  • "알코올이 운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은 내용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하기에 적절한 연구주제이다. 다른 주제들도 분석이 가능하지만, "한국 전래 동화에서 다루었던 주제 분석", "유명작가의 문체분석", "정신분열자의 언어 사용 분석"은 내용분석법보다는 다른 분석 방법이 더 적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 전래 동화에서 다루었던 주제 분석"은 구조분석이나 비교분석이 더 적절할 수 있고, "유명작가의 문체분석"은 언어학적 분석이나 문학비평적 분석이 더 적절할 수 있다. "정신분열자의 언어 사용 분석"은 정신의학적 분석이나 언어학적 분석이 더 적절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선거예측조사에서 출구조사를 할 경우, 주로 사용되는 표집방법은?

  1. 할당표집(quota sampling)
  2. 체계적표집(systematic sampling)
  3. 군집표집(cluster sampling)
  4. 다단계유층표집(stratified sampling)
(정답률: 10%)
  • 선거예측조사에서 출구조사를 할 경우, 체계적표집(systematic sampling)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이는 모집단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표본의 대표성을 유지하면서도 표본 추출에 드는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선거장에서 투표를 마친 사람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추출하여 조사하는 방법이 체계적표집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적정표본의 크기를 결정하는데 가장 적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1. 모집단의 이질성여부
  2. 통계분석의 기법
  3. 허용오차의 크기
  4. 척도의 종류
(정답률: 46%)
  • 척도의 종류는 적정표본의 크기를 결정하는데 가장 적은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척도의 종류는 연속형, 이산형 등의 구분으로 나뉘는데, 이는 변수의 측정 방법에 대한 것이므로 적정표본의 크기를 결정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즉, 척도의 종류는 변수의 특성을 설명하는 것이지, 적정표본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관찰조사방법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비공개 참여관찰의 경우 연구대상자의 비밀스런 행동 이나 판단을 조사할 수 있다.
  2. 장기적이고 정기적인 연구조사를 할 수 있다.
  3. 환경변수를 완벽하게 통제할 수 있다.
  4. 자연적인 연구환경이 확보되기 쉽다.
(정답률: 54%)
  • 환경변수를 완벽하게 통제할 수 있다는 것은 인위적인 실험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실험의 결과를 더욱 정확하게 분석하고 해석할 수 있게 해줍니다. 따라서, 이것은 관찰조사방법의 장점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은 어떤 자료수집 방법의 특성인가?

  1. 온라인 조사
  2. 전화조사
  3. 반구조화된 면접 조사
  4. 우편조사
(정답률: 63%)
  • 이 자료수집 방법은 전화를 통해 설문조사를 진행하는 전화조사 방법이다. 이 방법은 빠르고 비교적 저렴하며, 대상자와 실시간으로 대화하면서 추가적인 질문이나 설명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대상자의 응답률이 낮을 수 있고, 전화번호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개인정보보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설문에 응한 응답자들을 가구당 소득에 따라 100만원 이하, 100만-200만원, 200만-300만원, 300만원 이상 등 네개의 집단으로 구분하였다면,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가?

  1. 상호배타성
  2. 순환성
  3. 포괄성
  4. 신뢰성
(정답률: 25%)
  • 가구당 소득에 따라 구분한 네 개의 집단은 상호배타적이지 않다. 즉, 한 가구가 100만원 이하와 100만-200만원 집단에 동시에 속할 수 있다. 이는 각 집단이 서로 겹치는 경우를 허용하기 때문에 상호배타성을 만족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설문지의 질문 중 가장 올바른 것은?

  1. "미친 사람에 대한 당신의 반응은 어떻습니까?"
  2. "당신 아버지의 수입은 얼마입니까?"
  3. "어묵과 붕어빵을 파는 노점상들간에는 경쟁이 치열 합니까?"
  4. "당신의 국적은 어디입니까?"
(정답률: 80%)
  • 가장 올바른 질문은 "당신의 국적은 어디입니까?"입니다. 이유는 다른 질문들은 개인적인 정보나 민감한 주제에 대한 질문이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습니다. 국적은 개인적인 정보이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신의 국적을 공개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는 중요한 정보이기도 합니다. 또한, 국적은 다른 질문들과 달리 정확하고 명확한 답변이 가능하며, 이는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연구에서 선택된 개념을 실제 현상에서 측정이 가능하도록 관찰가능한 형태로 표현하는 것은?

  1. 구성요소적 정의(constitutive definition)
  2. 이론적 정의(theoretical definition)
  3. 조작적 정의(operational definition)
  4. 개념적 정의(conceptual definition)
(정답률: 80%)
  • 조작적 정의는 연구에서 선택된 개념을 실제 현상에서 측정이 가능하도록 관찰 가능한 형태로 표현하는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개념을 다른 관점에서 정의하는 것이지만, 조작적 정의는 실제로 측정 가능한 형태로 정의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질문 작성의 원칙으로 타당하지 못한 것은?

  1. 특수용어의 사용을 피한다.
  2. 감정적인 용어의 사용을 피한다.
  3. 이중구조(double-barreled) 질문을 하지 않는다.
  4. 응답범주를 비대칭적으로 구성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응답범주를 비대칭적으로 구성한다는 것은 선택지를 제시할 때, 어떤 선택지는 다른 선택지보다 더 포괄적이거나 구체적이어서 응답자가 고르기 어렵거나, 혹은 선택지 간에 상대적인 가치가 불균형하게 설정되어 있어서 응답자의 의견을 왜곡시킬 가능성이 있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질문의 목적과 응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지를 구성해야 한다는 원칙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것은 질문 작성의 원칙으로 타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자동차 신모델이 개발되었을 때 고객들의 반응을 기능성, 심미성, 상징성 등의 여러 차원에서 평가하도록 하는 척도는?

  1. 서스톤척도(Thurston Scale)
  2. 리커트척도(Likert Scale)
  3. 거트만척도(Guttman Scale)
  4. 의미분화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
(정답률: 알수없음)
  • 의미분화척도는 각 차원마다 양 끝에 반대되는 단어를 놓고 그 사이에 중간 단어들을 배치하여 참여자들이 그 단어들을 통해 자신의 평가를 표현하도록 하는 척도이다. 따라서 자동차 신모델의 기능성, 심미성, 상징성 등을 각각 양 끝에 반대되는 단어를 놓고 그 사이에 중간 단어들을 배치하여 참여자들이 자신의 평가를 표현하도록 하는 것이 의미분화척도를 사용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면접조사의 승패를 좌우하는 것으로서, 면접자와 응답자 사이에 친밀한 관계가 성립되는 것은?

  1. 래포(rapport)
  2. 프로빙
  3. 신뢰도
  4. 심층면접
(정답률: 73%)
  • "래포(rapport)"는 면접자와 응답자 사이에 상호적인 이해와 신뢰가 형성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면접자가 응답자와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응답자가 면접자에게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돕기 때문에 면접조사의 승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프로빙"은 응답자의 답변을 검증하는 기술이며, "신뢰도"는 응답자의 답변이 신뢰할 만한 정확성과 일관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심층면접"은 응답자의 내면적인 경험과 태도를 파악하기 위해 질문을 깊이 있게 던지는 면접 방식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재조사법
  2. 집단비교법
  3. 복수양식법
  4. 크론바 알파
(정답률: 50%)
  • 집단비교법은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아니라, 여러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하는 통계적 방법이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집단비교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사전검사에서 반드시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사항은?

  1. 응답에 일관성이 있는지의 여부
  2. 한쪽에 치우치는 응답이 나오는가의 여부
  3. 응답자 집단이 동질적인가의 여부
  4. 응답자체의 거부 여부
(정답률: 72%)
  • 응답자 집단이 동질적인가의 여부는 사전검사에서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사항입니다. 이는 응답자들의 특성이나 배경이 다양하더라도 설문조사의 목적에 맞게 적절한 샘플링 방법을 사용하면 충분히 대표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응답자 집단의 동질성은 사전검사에서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사방법론 II

31. 다음 중 관찰방법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연구대상의 행태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맥락까지 포착 할 수 있다.
  2. 사회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사건을 이해하도록 해준다.
  3. 객관적 사실에 치중하여 피관찰자의 철학, 세계관은 배제한다.
  4. 다른 연구와의 비교는 규칙성을 확인시켜 준다.
(정답률: 36%)
  • "객관적 사실에 치중하여 피관찰자의 철학, 세계관은 배제한다."가 관찰방법의 특징이 아닌 것이다. 이는 관찰자의 주관적인 해석을 배제하고, 가능한한 객관적인 사실을 관찰하려는 것이 관찰방법의 일반적인 특징이지만, 피관찰자의 철학과 세계관을 배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피관찰자의 철학과 세계관은 그들의 행동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배제하고 관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관찰자는 가능한한 객관적인 사실을 관찰하면서도, 피관찰자의 철학과 세계관을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가설설정에서 유의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가설은 항상 실증적으로 검증 가능해야 한다.
  2. 가설은 가치 중립적인 성질을 띠어야 한다.
  3. 가설의 조작적 정의는 추상적인 성질을 띤다.
  4. 가설은 구체적인 성질의 것이어야 하며, 그 뜻이 명쾌하여야 한다.
(정답률: 50%)
  • 가설의 조작적 정의는 추상적인 성질을 띤다는 것은 유의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사실, 가설의 조작적 정의는 구체적이고 명확해야 합니다. 추상적인 가설은 검증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설은 항상 실증적으로 검증 가능하고, 가치 중립적이며, 구체적이고 명쾌한 성질을 띠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측정의 표준오차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표준화 검사에서의 오차
  2. 표준편차를 계산하는데 포함되는 오차
  3. 검사점수를 중심으로 하는 오차의 범위
  4. 규준을 만드는데 포함되는 오차
(정답률: 알수없음)
  • 측정의 표준오차는 측정 결과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검사점수를 중심으로 하는 오차의 범위를 의미합니다. 이는 측정 결과가 어느 정도의 오차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지를 나타내며, 이를 고려하여 측정 결과를 해석하고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표준화 검사에서의 오차나 표준편차를 계산하는데 포함되는 오차, 규준을 만드는데 포함되는 오차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지수나 척도와 같이 합성 측정(composite measures)을 이용하는 주요 이유는?

  1. 신뢰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2. 외적 타당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3. 타당도 계수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4. 하나의 개념이 갖는 다양한 의미에 대하여 포괄적인 측정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답률: 60%)
  • 하나의 개념이 갖는 다양한 의미에 대하여 포괄적인 측정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측정도구의 신뢰도 평가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안정성
  2. 정확성
  3. 일관성
  4. 유의미성
(정답률: 67%)
  • 정답: "유의미성"

    설명: 측정도구의 신뢰도 평가기준으로 "안정성", "정확성", "일관성"은 모두 일관적인 측정 결과를 보장하기 위한 기준이며, 이는 측정도구가 신뢰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하지만 "유의미성"은 측정도구가 측정하려는 대상과 관련된 유의미한 결과를 제공하는지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신뢰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유의미성"은 측정도구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주부들의 환경의식을 조사한 질문의 응답 예가 <표>와 같다. 각 문항 점수를 합산하여 환경의식수준을 측정한다면 측정의 수준은?

  1. 명목척도
  2. 서열척도
  3. 등간척도
  4. 비율척도
(정답률: 29%)
  • 응답 예가 숫자로 이루어져 있고 각 문항의 점수가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이는 등간척도에 해당한다. 등간척도는 서열척도의 특징을 가지며 각 단계 간의 간격이 동일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조사연구의 오류 중 사회현상에 대한 설명을 경제적 변수에 한정하여 설명하거나 심리적 요인에만 한정하여 설명하는 오류는?

  1. 생태주의적 오류
  2. 환원주의적 오류
  3. 제1종 오류
  4. 제2종 오류
(정답률: 54%)
  • 환원주의적 오류는 조사연구에서 경제적 변수나 심리적 요인에만 주목하여 사회현상을 설명하는 오류를 말합니다. 이는 사회현상이 다양한 영향 요인들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하게 경제나 심리적인 측면만을 강조하는 것으로, 사회현상을 제대로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에 있어서 큰 한계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 일직선으로 도표화된 척도의 양극단에 서로 상반되는 형용사를 배열하여 양극단 사이에서 해당 속성에 대한 평가를 하는 척도이다. 이 척도는 일반적으로 의견이나 태도를 몇 개의 차원에 따라 측정함으로서 그 차이를 좀 더 정확하고자 하는 의미를 말한다.」이에 해당하는 척도법은?

  1. 서스톤척도(Thurston Scale)
  2. 어의차이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
  3. 거트만척도(Guttman Scale)
  4. 리커트척도(Likert Scale)
(정답률: 알수없음)
  • 일직선으로 도표화된 척도의 양극단에 상반되는 형용사를 배열하여 해당 속성에 대한 평가를 하는 것은 어의차이척도이다. 이는 의견이나 태도를 몇 개의 차원에 따라 측정하여 그 차이를 더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하는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정답은 "어의차이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전화면접에서 선택된 전화번호를 갖는 가구원중 면접대상자를 누구로 삼을 것인가를 결정할 때 이용할 수 있는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키시(Kish) 표
  2. 생일법
  3. 트로달/카터 수정표
  4. 난수표
(정답률: 8%)
  • 전화면접에서 선택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가구원 중 면접대상자를 무작위로 선택할 때, 각 가구원에게 미리 부여된 난수표를 이용하여 무작위 선택을 할 수 있다. 이 방법은 모든 가구원에게 공평하게 기회를 부여하며, 선택과정에서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난수표"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 아닌, 가장 적절한 방법이다. "키시(Kish) 표"는 표본추출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 가구원 중 일부를 무작위로 선택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생일법"은 생일을 이용하여 무작위 선택을 하는 방법으로, 가구원의 생일을 이용하여 무작위 선택을 할 수 있다. "트로달/카터 수정표"는 표본추출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 표본크기와 모집단 크기를 고려하여 무작위 선택을 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외국인노동자의 도입에 대한 찬성유무를 묻는 질문 중 가장 잘못된 부분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와 질문 내용이 상관없다. 따라서 어떤 보기가 가장 잘못된 부분인지 알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남학생 300명, 여학생 200명이 재학중인 어떤 고등학교에서 남녀학생들의 컴퓨터 사용정도와 그 요인들을 살펴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자 한다. 연구자는 이미 남녀학생간의 컴퓨터 사용정도의 차이가 큰 것을 알고, 전체 학생을 남녀학생별로 나눈 후 각 집단에서 남학생 100명, 여학생 100명을 단순무작위로 추출하였다. 여기에 관련된 표본추출방법은?

  1. 할당(quota)표집
  2. 집락(cluster)표집
  3. 층화(stratified)표집
  4. 의도적(purposive)표집
(정답률: 39%)
  • 정답은 "층화(stratified)표집"이다. 이는 전체 인구를 여러 개의 층(strata)으로 나눈 후 각 층에서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연구자는 이미 남녀학생간의 컴퓨터 사용정도의 차이가 크다는 사실을 알고 있기 때문에, 전체 학생을 남녀학생별로 나누어 각 집단에서 표본을 추출함으로써 각 집단의 특성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층화표집이 가장 적절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어떤 유통업체에서 고객만족도에 관한 척도를 개발했다. 이 측도를 계속적으로 사용해 본 결과 언제나 비슷한 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고객만족도에 관한 또다른 척도와의 연관성을 검정한 결과 그 관계는 상당히 낮은 것으로 판명 되었다. 이 척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신뢰성은 있지만 타당성은 없다.
  2. 타당성은 있지만 신뢰성은 없다.
  3. 신뢰성과 타당성이 모두 낮다.
  4. 신뢰성과 타당성의 유무를 알 수 없다.
(정답률: 64%)
  • 정답: "신뢰성은 있지만 타당성은 없다."

    해설: 이 척도는 계속해서 비슷한 결과를 보이므로 신뢰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척도와의 연관성이 낮으므로 이 척도가 고객만족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있는지에 대한 타당성은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척도는 신뢰성은 있지만 타당성은 없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표집(sampling)의 대표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표본을 이용한 분석결과가 일반화될 수 있는가의 문제
  2. 표본자료가 계량통계분석기법을 적용하기에 적합한가의 문제
  3. 표본의 통계적 특성이 모집단의 통계적 특성에 어느 정도 근접하느냐의 문제
  4. 표본이 모집단이 지닌 다양한 성격을 고루 반영하느냐의 문제
(정답률: 알수없음)
  • "표본자료가 계량통계분석기법을 적용하기에 적합한가의 문제"가 틀린 것입니다. 표집의 대표성에 대한 설명으로는 표본을 이용한 분석결과가 일반화될 수 있는가의 문제, 표본의 통계적 특성이 모집단의 통계적 특성에 어느 정도 근접하느냐의 문제, 표본이 모집단이 지닌 다양한 성격을 고루 반영하느냐의 문제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사회과학에서 척도를 구성하는 이유로서 틀린 것은?

  1. 측정의 신뢰성을 높여준다.
  2. 변수에 대한 질적인 측정치를 제공한다.
  3. 하나의 지표로 측정하기 어려운 복합적인 개념들을 측정한다.
  4. 여러개의 지표를 하나의 점수로 나타내어 자료의 복잡성을 덜어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척도는 변수에 대한 질적인 측정치를 제공하여 변수를 측정하고 분석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변수에 대한 질적인 측정치를 제공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비확률표집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비용과 시간이 많이든다.
  2. 모수추정에 편의(bias)가 있다.
  3. 표본분석결과의 일반화가 가능하다.
  4. 연구대상이 표본으로 추출될 확률이 알려져 있다.
(정답률: 50%)
  • 비확률표집은 표본을 추출할 때 확률을 사용하지 않는 방법으로, 연구대상이 표본으로 추출될 확률이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지 여부를 보장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모수추정에 편의(bias)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표본분석결과의 일반화가 가능한지 여부는 불확실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확률표본추출법이 아닌 것은?

  1. 단순무작위표본추출법(simple random sampling)
  2. 층화무작위표본추출법(stratified random sampling)
  3. 할당표본추출법(quota sampling)
  4. 군집표본추출법(cluster sampling)
(정답률: 알수없음)
  • 할당표본추출법은 모집단을 여러 그룹으로 나눈 후, 각 그룹에서 일정한 비율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이는 확률표본추출법이 아니며, 표본 추출 시 각 그룹에서 일정한 비율로 추출하기 때문에 모집단의 실제 분포와 다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집합단위의 자료를 바탕으로 개인의 특성을 추리할 때에 저지를 수 있는 오류는?

  1. 알파 오류(α -fallacy)
  2. 베타 오류(β -fallacy)
  3. 개인주의적 오류(individualistic fallacy)
  4. 생태학적 오류(ecological fallacy)
(정답률: 알수없음)
  • 생태학적 오류는 집단의 특성을 개인에게 일반화하는 오류입니다. 즉, 집단의 특성을 바탕으로 개인의 특성을 추리할 때, 그 집단의 특성이 개인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이는 개인 간의 차이나 다양성을 무시하고 일반화하는 오류로, 예를 들어 특정 지역의 인구가 대체로 부유하다고 해서 그 지역에 사는 모든 개인이 부유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생태학적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통계분석기법을 활용한 척도구성기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개별문항과 척도간의 피어슨의 상관계수를 산출한다.
  2. 여러개 문항들의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고유값이 1보다 큰 것을 선택한다.
  3. 기준변수와 개별문항의 상관관계를 검토한다.
  4. 개별문항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산출한다.
(정답률: 22%)
  • 정답은 "개별문항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산출한다."입니다. 개별문항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것은 척도구성의 일부가 아니라, 단순히 기술적인 통계분석 방법입니다. 척도구성에서는 개별문항과 척도간의 상관계수, 요인분석, 기준변수와 개별문항의 상관관계 등을 고려하여 척도를 구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관찰된 결과를 기초로 일련의 일반화 과정을 거쳐 이를 이론화시키는 방법은?

  1. 탐색적 방법
  2. 연역적 방법
  3. 귀납적 방법
  4. 통계적 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일련의 관찰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적인 규칙이나 패턴을 도출하는 것이 귀납적 방법입니다. 이러한 규칙이나 패턴을 바탕으로 이론을 만들어내는 것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귀납적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우편조사는 일반적인 우편조사와 패널을 구성한 우편패널 조사가 있다. 다음 중 우편패널조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패널은 반드시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으로서 일반적으로 모집단이 작은 경우 이용된다.
  2. 정기적이고 반복적인 조사에 동의하는 응답자들로 패널은 구성되어 있다.
  3. 패널로 참여하는 응답자에게는 선물이나 인센티브를 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4. 대부분의 우편패널조사는 다시점 연구(longitudinal research)의 형태를 취한다.
(정답률: 50%)
  • "패널은 반드시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으로서 일반적으로 모집단이 작은 경우 이용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패널조사는 모집단의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적절한 샘플을 선정하여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모집단이 작은 경우에만 이용되는 것은 아니다. 패널조사는 대규모 모집단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표본추출에서 오차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아닌 것은?

  1. 가능한 표본으로 추출될 동등한 기회를 부여한다.
  2. 가능한 표본 크기를 많이 한다.
  3. 조사자의 주관적 해석을 삼가한다.
  4. 동질적인 모집단은 이질적 모집단보다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정답률: 15%)
  • 조사자의 주관적 해석을 삼가는 것은 오차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아니라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조사자의 주관적 해석이 포함되면 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하지 못하고, 결과가 왜곡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조사자는 가능한 객관적인 방법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1990년에 특정한 3개 고등학교(A,B,C)를 졸업한 졸업생들 을 대상으로 향후 10년간 매년 일정시점에 조사를 한다면 이것은 무엇인가?

  1. 횡단조사
  2. 서베이 리서치
  3. cohort조사
  4. 사례조사
(정답률: 50%)
  • 이것은 "cohort조사"이다. 이유는 특정 시점에 졸업한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10년간 매년 조사하는 것으로, 이들은 동일한 출신 학교와 졸업 연도를 가지는 "cohort(동질집단)"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동질집단을 대상으로 일정 기간 동안 조사하는 것이 cohort조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집단조사의 단점이 아닌 것은?

  1. 피조사자를 한 장소에 모으는 것이 쉽지 않은 경우가 있다.
  2. 집단상황이 응답을 왜곡시킬 가능성이 있다.
  3. 피조사자의 수준이 동일하다고 가정하는 오류를 범할수 있다.
  4. 응답의 누락이 많다.
(정답률: 60%)
  • "응답의 누락이 많다"는 집단조사의 단점이 아닌 것입니다. 집단조사의 단점으로는 피조사자를 한 장소에 모으는 것이 쉽지 않은 경우, 집단상황이 응답을 왜곡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점, 그리고 피조사자의 수준이 동일하다고 가정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 "응답의 누락이 많다"는 단점이 아니라, 설문지를 작성하거나 응답을 기록하는 과정에서 일부 응답이 누락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설문지나 응답 기록 방법 등을 개선하여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원래 측정하고자 한 영역이나 범위를 얼마나 잘 측정했는가를 설명하는 개념은?

  1. 내용타당도
  2. 동시타당도
  3. 예언타당도
  4. 구상체타당도
(정답률: 43%)
  • "내용타당도"는 측정하고자 하는 영역이나 범위를 얼마나 잘 측정했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이는 측정 도구나 방법이 해당 영역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으로, 측정 결과의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중요한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기준타당도(criterion-related validity)와 관련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존의 척도와 새로운 척도를 비교할 경우에 사용 한다.
  2.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통해 검증하기도 한다.
  3. 미래에 발생할 사건을 잘 예측하면 타당도가 높다고 평가한다.
  4. 상관계수로 측정하는 것이 보통이다.
(정답률: 19%)
  • "미래에 발생할 사건을 잘 예측하면 타당도가 높다고 평가한다."는 기준타당도와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옳지 않은 설명이다.

    요인분석은 기준타당도를 검증하는 방법 중 하나로, 기존의 척도와 새로운 척도를 비교하는 것 외에도 사용된다. 요인분석은 여러 개의 변수들을 적절한 요인으로 축약하여 분석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척도와 새로운 척도가 유사한 요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면 기준타당도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조사항목의 완성은 질문지 설계에 있어 가장 어려운 단계 라고 할 수 있다. 다음 중 조사항목의 완성에서 고려해야할 사항은?

  1. 다양한 정보의 획득을 위해 한 질문에 두 가지 이상의 요소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질문의 용어는 응답자 모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이해력이 낮은 사람의 수준에 맞춰야 한다.
  3. 사회적· 윤리적 연구에서는 긍정· 부정적 의미의 문항은 응답자가 직접 기술하는 문항으로 구성해야 타당도가 높아진다.
  4. 질문지의 용이한 작성을 위해 일정한 방향을 유도하는 문항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정답률: 70%)
  • 조사항목의 완성에서 고려해야할 사항은 "질문의 용어는 응답자 모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이해력이 낮은 사람의 수준에 맞춰야 한다." 이유는 모든 응답자가 질문을 이해하고 정확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질문의 용어가 쉽고 명확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해력이 낮은 사람들도 이해할 수 있도록 질문을 작성하면 응답률이 높아지고 조사 결과의 타당성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두줄기 질문(이중적 질문)의 예로서 적절한 것은?

  1. 현 대통령의 재벌개혁은 성공을 거두었다고 생각하십니까? 그렇지 못하다고 생각하십니까?
  2. 현재의 국공립대학 입시제도를 개선하고 입학정원을 계속 늘리자는 주장에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3. 귀하는 현재의 운전면허와 관련하여 삼진 아웃을 규정하는 법률에 어느 정도 찬성하고 계십니까?
  4. 현재 선진국의 실업률은 10%를 넘고 있습니다. 이들과 비교할 때, 우리나라의 실업률 7%는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습니까?
(정답률: 55%)
  • "현재의 국공립대학 입시제도를 개선하고 입학정원을 계속 늘리자는 주장에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모든 요소의 총체로서 조사자가 표본을 통해 발견한 사실들을 토대로 하여 일반화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대상을 지칭하는 것은?

  1. 표본추출단위(sampling unit)
  2. 표본추출분포(sampling distribution)
  3. 표본추출 프레임(sampling frame)
  4. 모집단(population)
(정답률: 67%)
  • 모집단은 조사의 대상이 되는 전체 집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조사자가 표본을 통해 발견한 사실들을 일반화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대상이 바로 모집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모집단(population)"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표본 추출과 관련된 용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반분법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한번의 조사로 신뢰도를 계산할 수 있다.
  2. 크론바하의 알파값을 구하여 신뢰도를 계산한다.
  3. 설문지나 시험지를 두 부분으로 나누어 측정한다.
  4. 상관계수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정답률: 22%)
  • "크론바하의 알파값을 구하여 신뢰도를 계산한다." 이것은 반분법이 아니라 신뢰도 계산 방법 중 하나이다. 반분법은 "설문지나 시험지를 두 부분으로 나누어 측정한다."라는 방법이다.

    크론바하의 알파값은 설문지나 시험지의 내부 일관성을 측정하는 지표로, 각 항목들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계산된다. 이 값을 이용하여 해당 설문지나 시험지의 신뢰도를 계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최근 법원의 판결에 따르면 성전환자도 호적의 성별을 바꿀 수 있게 되었다. 성전환에 대한 일반 국민의 의식을 조사하는 설문지를 만들 때 가장 주의해야 할 점은?

  1. 규범적 응답의 억제
  2. 복잡한 질문의 회피
  3. 평이한 언어의 사용
  4. 즉시적 응답 유도
(정답률: 알수없음)
  • 성전환에 대한 일반 국민의 의식을 조사하는 설문지를 만들 때 가장 주의해야 할 점은 "규범적 응답의 억제"이다. 이는 설문조사 참여자들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는 응답을 선택하거나, 다른 응답자들과 일치하는 응답을 선택하는 것을 막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설문지는 평이한 언어를 사용하고, 복잡한 질문을 회피하며, 즉시적인 응답 유도를 하여 참여자들이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사회통계

61. 어떤 자격시험의 과거 성적분포가 근사적으로 평균이 70, 표준편차가 8인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한다. 내년에도 비슷한 수준의 자격시험을 실시할 예정이며 과거의 성적분포에 따른 상위 30%에 해당하는 점수를 얻으면 합격시키려 한다. 내년 시험에 합격하기 위해서는 몇 점을 받아야하는가? (단, 표준정규분포에서 P ( Z ≤ 0.52 ) = 0.7)

  1. 74.16점
  2. 75.6점
  3. 76.4점
  4. 78.84점
(정답률: 알수없음)
  • 상위 30%에 해당하는 점수를 얻으려면, 전체 분포에서 하위 70%에 해당하는 부분을 제외한 상위 30%에 해당하는 부분을 얻어야 한다.

    표준정규분포에서 P(Z ≤ 0.52) = 0.7 이므로, P(Z > 0.52) = 0.3 이다.

    따라서, 내년 시험에서 합격하기 위해서는 평균이 70, 표준편차가 8인 정규분포에서 Z값이 0.52보다 큰 부분에 해당하는 점수를 구해야 한다.

    이를 계산하면, Z = (x - μ) / σ 에서 x = Z * σ + μ = 0.52 * 8 + 70 = 74.16 점이 된다.

    따라서, 내년 시험에서는 74.16 점 이상을 받아야 합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동일 신뢰수준에서 모비율 θ 에 대한 신뢰구간의 길이를 절반으로 줄이기 위하여는 표본크기를 몇 배로 하여야 하는가?

  1. √2 배
  2. 2배
  3. 4배
  4. 1/4배
(정답률: 73%)
  • 신뢰구간의 길이는 표본크기의 제곱근에 반비례하므로, 길이를 절반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표본크기를 4배로 늘려야 한다. 이는 신뢰구간의 길이가 표본크기의 제곱근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표본크기를 4배로 늘리면 신뢰구간의 길이는 2배로 줄어들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제1종의 오류를 범할 확률의 허용한계를 뜻하는 통계적 용어는?

  1. 유의수준
  2. 기각역
  3. 검정 통계량
  4. 대립가설
(정답률: 알수없음)
  • 유의수준은 검정을 수행할 때, 귀무가설이 참인데도 기각하는 오류를 범할 확률의 허용한계를 뜻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0.05 또는 0.01로 설정되며, 이보다 작은 확률로 귀무가설을 기각할 경우, 해당 검정 결과는 유의미하다고 판단합니다. 따라서 유의수준은 검정 결과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통계적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크기 N=300 명의 모집단에서 남자는 N1=212 명, 여자는 N2=88 명이다. 층화임의표집을 사용하여 n=60 명의 표본을 추출하려한다. 이 경우 최적배정 공식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nh ∝ Nh σh / √ch (σh=층의 모표준편차, ch=층의 단위 표집비용) 만일 σ1=10, σ2=5, c1=1, c2=2라면 층 표본크기 n1과 n2를 계산하면?

  1. n1=42, n2=18
  2. n1=45, n2=15
  3. n1=48, n2=12
  4. n1=52, n2=8
(정답률: 10%)
  • 최적배정 공식에 따라서,

    n1 ∝ N1 σ1 / √c1 = 212 × 10 / √1 = 2120

    n2 ∝ N2 σ2 / √c2 = 88 × 5 / √2 = 196.97

    따라서, n1 : n2 = 2120 : 196.97 ≈ 10.8 : 1

    n1 + n2 = 60 이므로,

    n1 = 52, n2 = 8

    따라서, 정답은 "n1=52, n2=8" 이다.

    이유는 층화임의표집에서는 각 층의 크기와 모분산을 고려하여 최적의 표본크기를 계산하는데, 이 문제에서는 남자와 여자 층의 모분산과 단위 표집비용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 다른 크기의 표본이 추출되었다. 또한, 여자 층의 모분산이 작기 때문에 표본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게 추출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분산분석표의 ( ) 값이 옳은 것은?

  1. ① = 9
  2. ② = 6.6
  3. ③ = 8.8
  4. ④ = 3.0
(정답률: 40%)
  • 분산분석표에서, F값은 처리간 변동과 처리내 변동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F값이 클수록 처리간 변동이 처리내 변동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F값이 가장 큰 ③ = 8.8이 옳은 값입니다. 이는 처리간 변동이 처리내 변동보다 크다는 것을 나타내며, 즉 그룹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면에, ① = 9와 ② = 6.6은 F값이 작아서 그룹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④ = 3.0은 F값이 가장 작아서 처리내 변동이 처리간 변동보다 크다는 것을 나타내며, 그룹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5개의 주어진 확률표본으로부터 을 얻었다면, 분산의 불편추정치는?

  1. 2.5
  2. 3
  3. 2
  4. 10
(정답률: 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모든 조건이 동일하다면, 표본의 수를 네 배로 늘릴 때 표본평균의 신뢰구간은?

  1. 4배로 넓어진다.
  2. 2배로 넓어진다.
  3. 1/2로 준다.
  4. 1/4로 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표본의 수가 네 배로 늘어난다는 것은 표본의 크기가 네 배로 커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표본평균의 표준오차는 $frac{sigma}{sqrt{4n}} = frac{sigma}{2sqrt{n}}$이 됩니다. 이를 이용하여 신뢰구간의 폭을 계산하면, $z$값이 같을 때, $pm zfrac{sigma}{2sqrt{n}}$과 $pm zfrac{sigma}{sqrt{n}}$의 차이는 $pm zfrac{sigma}{2sqrt{n}}$입니다. 따라서 표본의 수를 네 배로 늘릴 때, 신뢰구간의 폭은 $frac{1}{2}$배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로 준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단순회귀분석에서 회귀직선과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상관계수와의 관계를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회귀직선의 기울기가 양수이면 상관계수도 양수이다.
  2. 회귀직선의 기울기가 양수이면 상관계수는 음수이다.
  3. 회귀직선의 기울기가 음수이면 상관계수는 양수이다.
  4. 회귀직선의 기울기가 양수이면 공분산이 음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회귀직선의 기울기가 양수이면 상관계수도 양수이다." 이다.

    회귀직선의 기울기가 양수이면 독립변수가 증가할 때 종속변수도 증가하므로, 두 변수 간의 관계가 양의 상관관계이다. 따라서 상관계수도 양수가 된다.

    반대로, 회귀직선의 기울기가 음수이면 독립변수가 증가할 때 종속변수는 감소하므로, 두 변수 간의 관계가 음의 상관관계이다. 따라서 상관계수는 음수가 된다.

    따라서 회귀직선의 기울기와 상관계수는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10개의 자료의 대표값과 산포도가 맞게 짝지어진 것은?

  1. 평균=26.0, 분산=25.00
  2. 중위수=24.0, 표준편차=4.90
  3. 최빈값=24.0, 표준편차=5.00
  4. 평균=26.5, 범위=16.00
(정답률: 59%)
  • 정답은 "중위수=24.0, 표준편차=4.90"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평균과 분산은 이상치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대표값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 최빈값은 이 데이터에서 중복되는 값이 없기 때문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 범위는 데이터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산포도 척도이지만, 이상치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다른 산포도 척도와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 따라서 중위수와 표준편차가 가장 적합한 대표값과 산포도 척도입니다. 중위수는 이상치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의 중심을 잘 나타내며, 표준편차는 데이터의 분산을 나타내는 척도로서 이상치의 영향을 적게 받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전구의 수명시간은 평균이 μ =800(시간)이고 표준편차는 σ =40(시간)이라고 할 때 무작위로 64개의 동일상표의 전구를 조사하였을 때 표본평균수명시간이 790.2시간 미만일 확률은?

  1. 0.01
  2. 0.025
  3. 0.05
  4. 0.10
(정답률: 50%)
  • 먼저, 표본평균의 분포는 평균이 모집단 평균과 같고 표준편차는 모집단 표준편차를 표본크기의 제곱근으로 나눈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중심극한정리를 이용한다.

    따라서, 표본평균의 분포는 평균이 800이고 표준편차가 40/√64 = 5인 정규분포를 따른다.

    이제, 표본평균이 790.2시간 미만일 확률을 구하기 위해 표준화를 해준다.

    z = (790.2 - 800) / 5 = -1.96

    이때, 표준정규분포표를 이용하여 P(Z < -1.96)을 찾으면 0.025에 해당하는 값이 나온다.

    따라서, 표본평균이 790.2시간 미만일 확률은 0.025이다.

    정답은 "0.0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도수분포가 비대칭(skewed)이고 극단치들이 있을 때 보다 적절한 중심성향 척도는?

  1. 산술평균
  2. 중위수
  3. 최빈수
  4. 조화평균
(정답률: 알수없음)
  • 도수분포가 비대칭이고 극단치들이 있을 때는 산술평균이 왜곡될 수 있으므로 중위수가 더 적절한 중심성향 척도가 된다. 중위수는 데이터를 크기순으로 정렬했을 때 가운데 위치한 값으로, 극단치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비대칭한 분포에서도 대표값으로 사용하기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회귀분석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회귀분석은 독립변수의 값에 대한 종속변수 값의 추정치와 예측치를 제공한다.
  2. 회귀분석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관계의 존재 여부는 알려주지만 수식으로 나타내지는 못한다.
  3. 회귀분석의 결과로 나온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관계는 완전히 정확하지는 못하고 확률적이다.
  4. 회귀분석을 통해 우리는 종속변수의 값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독립변수들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다.
(정답률: 50%)
  • "회귀분석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관계의 존재 여부는 알려주지만 수식으로 나타내지는 못한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회귀분석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관계를 수식으로 나타내어 모델을 만들고, 이를 통해 독립변수의 값에 따른 종속변수의 값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회귀분석은 독립변수의 값에 대한 종속변수 값의 추정치와 예측치를 제공한다."와 "회귀분석을 통해 우리는 종속변수의 값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독립변수들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다."는 올바른 설명이다. 또한, "회귀분석의 결과로 나온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관계는 완전히 정확하지는 못하고 확률적이다."도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두 모평균의 차이에 대한 검정을 실시할 때 틀린 설명은?

  1. 두 모집단에 대해 독립의 가정이 필요하다.
  2. 소표본에서 분산을 모르는 경우 t 검정을 실시한다.
  3. 소표본인 경우 모집단에 대해 통상적으로 정규분포를 가정한다.
  4. 대표본의 경우에는 분산을 모르는 경우에도 정규 (Z)검정을 실시한다.
(정답률: 20%)
  • 두 모집단에 대해 독립의 가정이 필요한 이유는, 두 모집단이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독립적으로 존재해야만 두 모평균의 차이를 검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두 모집단이 서로 영향을 미치거나 종속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면, 이를 고려하지 않고 검정을 실시하면 잘못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두 모집단에 대해 독립의 가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단순회귀모형Yi=α+βii(i=1....n)의 회귀직선의 기울기 β 의 추정량 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인 정규분포를 따른다.
  2. σ22의 불편추정량은 잔차제곱평균 와 같다.
  3. 의 불편추정량은 이다.
  4. 는 F 분포를 따른다.
(정답률: 0%)
  • β의 추정량인 은 정규분포를 따른다. 이는 중심극한정리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즉, 회귀분석에서는 독립변수의 값에 따라 종속변수의 값이 변화하는 것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독립변수의 값이 무작위로 추출되었다고 가정할 때, 이를 여러 번 반복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하면, β의 추정량인 의 분포는 중심극한정리에 따라 정규분포를 따르게 된다. 따라서, 인 정규분포를 따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결과에서 X와 Y의 상관계수 r을 계산하면? ( 단, 이다.)

  1. 0.35
  2. 0.40
  3. 0.45
  4. 0.50
(정답률: 13%)
  • 상관계수 r은 공분산을 각 변수의 표준편차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X와 Y의 표준편차를 계산해야 한다.

    X의 표준편차 = √( ( (1-2)^2 + (2-2)^2 + (3-2)^2 + (4-2)^2 + (5-2)^2 ) / 5 ) = √6 ≈ 2.45
    Y의 표준편차 = √( ( (2-3)^2 + (4-3)^2 + (6-3)^2 + (8-3)^2 + (10-3)^2 ) / 5 ) = √28 ≈ 5.29

    공분산은 ( (1-2)(2-3) + (2-2)(4-3) + (3-2)(6-3) + (4-2)(8-3) + (5-2)(10-3) ) / 5 = 7.5 이다.

    따라서, 상관계수 r = 7.5 / (2.45 x 5.29) ≈ 0.50 이다.

    정답은 "0.5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모집단평균을 추정하기 위하여 단순임의추출법(simple random sampling)으로 표본을 추출하고자 할 때 동일조건하에서 복원(with-replacement)추출의 경우 표본의 수를 n0, 비복원(without-replacement)추출의 경우 표본의 수를 n이라 하면 이들의 관계는?

  1. n0 >n
  2. n0 <n
  3. n0 =n
  4. 알 수 없다.
(정답률: 28%)
  • 복원추출은 한 번 추출한 표본을 다시 모집단에 포함시키고 다음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같은 표본이 여러 번 추출될 수 있으며, 표본의 크기가 작을 경우 모집단을 대표하기 어려울 수 있다. 반면, 비복원추출은 한 번 추출한 표본을 모집단에서 제외시키고 다음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같은 표본이 중복되어 추출될 수 없으며, 표본의 크기가 작더라도 모집단을 대표하기 쉬울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조건에서 복원추출을 사용할 경우에는 표본의 크기를 더 크게 설정해야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다. 따라서 n0 > n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평균이 μ , 표준편차가 σ 인 분포에서 짝수 크기 n(=2m ) 의 임의표본(확률표본)을 추출하였을 때, 처음 m 개의 평균 은 대략 어떤 분포를 따르게 되는가?

  1. 평균이 μ이고 표준편차가 σ/√m인 정규분포
  2. 평균이 μ이고 표준편차가 σ/m인 정규분포
  3. 평균이 μ이고 표준편차가 σ/√n인 정규분포
  4. 평균이 μ이고 표준편차가 σ/n인 정규분포
(정답률: 19%)
  • 중심극한정리에 따라, 크기가 충분히 큰 표본의 평균은 모집단의 평균에 가까워진다. 따라서, 처음 m 개의 평균은 모집단의 평균인 μ에 가까워질 것이다. 또한, 표준편차는 표본의 크기가 커질수록 작아지므로, 처음 m 개의 평균의 표준편차는 σ/√m이 될 것이다. 따라서, 처음 m 개의 평균은 "평균이 μ이고 표준편차가 σ/√m인 정규분포"를 따르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종속변수 Y 를 독립변수 X1과 X2로 설명하는 일반적인 선형회귀모형은?

  1. Yij=μ+αij+(αβ)ijij
  2. Y=X1+X2
  3. Y=α+βX1X2
  4. Y=β01X12X2
(정답률: 28%)
  • 선형회귀모형은 종속변수 Y와 독립변수 X1, X2 사이의 관계를 선형적으로 모델링하는 것이다. 이때, Y의 값은 X1과 X2의 가중합으로 표현되며, 이 가중치를 나타내는 것이 바로 β1과 β2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선형회귀모형은 Y=β01X12X2+ε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β0은 상수항을 나타내며, ε는 오차항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X1 , X2 , . . , Xn가 정규분포 N ( μ, σ2)에서 얻은 확률표본일 때 옳은 것은?

  1. 는 N (0, σ2)에 따른다.
  2. 는 N (μ, 1)에 따른다.
  3. 는 N (1, σ2)에 따른다.
  4. 는 N (0, 1)에 따른다.
(정답률: 8%)
  • 정규분포의 표준화 과정을 이용하면 어떤 정규분포도 표준정규분포로 변환할 수 있다. 즉, 평균이 0이고 분산이 1인 표준정규분포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X1 , X2 , . . , Xn가 정규분포 N ( μ, σ2)에서 얻은 확률표본일 때, 각각의 표본을 표준화하면 표준정규분포 N (0, 1)을 따르게 된다. 따라서 "는 N (0, 1)에 따른다."는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이라크 파병에 대한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100명의 한국인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이들에게 물었더니 56명이 찬성했다. 이 자료로부터 파병에 대한 찬성율 P가 과반수 이상이 되는지를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 가설검정을 실시했다. 다음 중 옳은 것은?

  1. 이 자료의 통계적 분석으로 한국인의 찬성률이 과반수 이상이라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2. 이 자료의 통계적 분석으로 한국인의 찬성률이 과반수 이상이라고 결론을 내릴 수 없다
  3. 이 자료의 통계적 분석으로 표본의 수가 부족해서 결론을 얻을 수 없다.
  4. 표본 중 과반수 이상이 찬성하여서 찬성률이 과반수이상이라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정답률: 17%)
  • 정답은 "이 자료의 통계적 분석으로 한국인의 찬성률이 과반수 이상이라고 결론을 내릴 수 없다"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우선, 이 문제는 이항분포를 이용한 가설검정 문제이다. 이항분포란 독립적인 n번의 시행에서 각 시행마다 성공할 확률이 p인 경우를 말한다. 이 경우, 이라크 파병에 대한 찬성을 성공으로, 반대를 실패로 생각할 수 있다.

    가설검정에서는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을 설정해야 한다. 귀무가설은 "한국인의 이라크 파병 찬성율이 50% 이하이다"라고 설정할 수 있다. 대립가설은 "한국인의 이라크 파병 찬성율이 50%보다 높다"라고 설정할 수 있다.

    이제, 유의수준 5%에서 귀무가설을 검정해보자. 검정통계량은 이항분포에서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는 근사적으로 정규분포를 이용하여 계산하겠다.

    평균: np = 100 * 0.56 = 56

    표준편차: sqrt(np(1-p)) = sqrt(56*0.44) = 4.69

    검정통계량: (56 - 50) / 4.69 = 1.28

    이제, 이 검정통계량을 표준정규분포의 분포표를 이용하여 p값을 계산할 수 있다. p값은 0.10 이므로, 유의수준 5%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자료의 통계적 분석으로 한국인의 찬성률이 과반수 이상이라고 결론을 내릴 수 없다.

    이유는, 이 결과는 우연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즉, 이 표본에서는 찬성이 과반수였지만, 전체 인구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표본을 조사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검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1. 교육년수(x1)와 아버지의 교육년수(x2), 나이(x3)가 소득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하였다. 회귀모형은 8.14+3.48x1+12.77x2+5.49x3로 구해졌다. 회귀계수를 표준화시켜 구한 회귀모형은 = 8.14+2.88x1+1.69x2+1.89x3이었다. 세변수 중 체중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1. 교육년수
  2. 아버지의 교육년수
  3. 나이
  4. 비교할 수 없다
(정답률: 34%)
  • 회귀모형에서 체중에 대한 회귀계수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변수 중 체중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판단하기 어렵다. 따라서 정답은 "비교할 수 없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의 상황에 알맞은 검증방법은?

  1. 독립표본 t -검증
  2. 더빈 왓슨검증
  3. X2 -검증
  4. F -검증
(정답률: 42%)
  • 주어진 상황은 두 개의 독립된 집단의 평균을 비교하는 문제이므로 "독립표본 t -검증"이 적합하다. 다른 검증 방법들은 각각 다른 유형의 문제에 적합하다. "더빈 왓슨검증"은 회귀분석에서 오차항의 독립성을 검증하는데 사용되며, "X^2 -검증"은 범주형 자료의 독립성을 검증하는데 사용된다. "F -검증"은 두 개 이상의 집단의 분산을 비교하는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두개의 확률변수 X 와 Y 가 독립일 때 틀린 것은?

  1. E(XY) = E(X)E(Y)
  2. COV(X,Y) = 0
  3. V(X+Y) = V(X) + V(Y)
  4. V(X-Y) = V(X) - V(Y)
(정답률: 19%)
  • 정답: "V(X+Y) = V(X) + V(Y)"

    이유: X와 Y가 독립이므로 COV(X,Y) = 0 이 성립한다. 따라서 E(XY) = E(X)E(Y) 이 성립한다. 또한, V(X-Y) = V(X) + V(Y) - 2COV(X,Y) 이므로 COV(X,Y) = 0 이면 V(X-Y) = V(X) - V(Y) 이다. 하지만 V(X+Y) = V(X) + V(Y) - 2COV(X,Y) 이므로 X와 Y가 독립이라고 해도 V(X+Y) = V(X) + V(Y) 가 성립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S = 27, N=60이면 총자승합(total sum of squares)은? (단, )

  1. 1593
  2. 1620
  3. 1693
  4. 1742
(정답률: 4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정규분포를 따르는 어떤 집단의 모평균이 10인지를 검정하기 위하여 크기가 25인 표본을 추출하여 관찰한 자료의 표본평균은 9, 표본표준편차는 2.5였다. t검정통계량을 사용할 경우 통계치는?

  1. 2
  2. 1
  3. -1
  4. -2
(정답률: 알수없음)
  • t검정통계량은 (표본평균-모평균)/(표준오차)로 계산된다. 여기서 표준오차는 표본표준편차/√n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t검정통계량은 (9-10)/(2.5/√25) = -2이다. 이는 표본평균이 모평균보다 2 표준오차만큼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모분산이 25인 정규모집단에서 추출한 표본평균()을 가지고 모평균(μ)을 추정하되 최대오차가 2를 넘지 않을확률이 99%인 신뢰구간을 찾으려면 표본크기는 최소한 얼마가 되어야 하는가? (단 Ζ α/2 =2.575, 99% 신뢰구간)

  1. 30
  2. 40
  3. 42
  4. 51
(정답률: 2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표본의 크기를 n=10에서 n=160으로 증가한다면, n=10에서 얻은 평균의 표준오차는 몇 배로 증가하는가?

  1. 1/4
  2. 1/2
  3. 2
  4. 4
(정답률: 55%)
  • 표본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표본평균의 표준오차는 감소한다. 이는 중심극한정리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중심극한정리는 모집단이 어떤 분포를 가지더라도, 충분히 큰 표본을 추출하면 표본평균의 분포가 정규분포에 가까워진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표본의 크기가 증가하면 정규분포에 가까워지므로 표본평균의 표준오차가 감소한다.

    표본의 크기가 10에서 160으로 증가하면, 표본평균의 표준오차는 1/4로 감소한다. 이는 표본의 크기가 16배 증가했기 때문에, 표준오차는 1/√16=1/4배로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1/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자료의 산포를 측정하는 통계량 중 통계량의 단위가 나머지와 다른 것은?

  1. 분산
  2. 범위
  3. 사분위범위
  4. 표준편차
(정답률: 46%)
  • 분산은 원래 데이터의 단위를 제곱하여 계산되기 때문에, 다른 통계량과는 단위가 다릅니다. 예를 들어, 길이 데이터의 경우, 범위와 사분위범위는 모두 길이의 단위와 동일하지만, 분산은 길이의 제곱의 단위를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분산은 다른 통계량과는 단위가 다르기 때문에, 데이터의 산포를 측정하는 데 있어서 다른 통계량과는 조금 다른 의미를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지역과 비료의 종류에 따라 토마토 생산량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4개 지역에서 각각 A,B,C 세 종류의 비료를 적용시킨 후에 생산량을 조사하였다. 지역과 비료의 종류에 따라 생산량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고 싶다면 어떤 통계분석 방법을 실시해야 하는가?

  1. 분할표 분석
  2. 회귀분석
  3. 분산분석
  4. 상관분석
(정답률: 알수없음)
  • 분산분석은 독립변수(지역과 비료의 종류)에 따라 종속변수(토마토 생산량)의 평균값이 서로 다른지를 검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도 지역과 비료의 종류에 따라 생산량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기 위해 분산분석을 실시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자동차 경주에서 A가 이길 확률이 1/7, B는 A의 두배, C는 B의 두배 일 때, C가 경주에서 이길 확률은?

  1. 1/4
  2. 2/5
  3. 3/6
  4. 4/7
(정답률: 46%)
  • A가 이길 확률이 1/7이므로, B가 이길 확률은 2/7이고, C가 이길 확률은 4/7이다. 이는 각각 A, B, C가 이길 확률이 서로 배수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4/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통계량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변이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는 여러 집단의 분산을 상대적으로 비교할 때 사용하며 로 정의 된다.
  2. Y=-2X + 3일때 sY = 4sX이다. 단, sX , sY는 각각 X와 Y의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3. 상자그림표(Box plot)는 여러 집단의 분포를 비교하는데 많이 사용한다.
  4. 상관계수가 0 이라 하더라도 두 변수의 관련성이 있는 경우도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Y=-2X + 3일때 sY = 4sX이다. 단, sX , sY는 각각 X와 Y의 표준편차를 나타낸다."이 통계량의 설명 중 틀린 것은 없다. 이유는 주어진 설명이 모두 옳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회귀분석에서 관찰값과 예측값의 차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오차(error)
  2. 편차(deviation)
  3. 잔차(residual)
  4. 거리(distance)
(정답률: 알수없음)
  • 잔차(residual)는 회귀분석에서 예측값과 실제 관찰값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잔차는 회귀분석 모델의 적합도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오차(error)와 편차(deviation)는 일반적으로 잔차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지만, 잔차는 회귀분석에서 특별히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거리(distance)는 회귀분석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섯수치 요약이 다음과 같을 때, 범위와 4분위수간 거리(IQR)는 얼마인가?

  1. (30, 23)
  2. (30, 6)
  3. (50, 6)
  4. (20, 9)
(정답률: 60%)
  • 다섯수치 요약에서 최솟값은 10, 제1사분위수는 15, 중앙값은 25, 제3사분위수는 30, 최댓값은 40이다. 범위는 최댓값에서 최솟값을 뺀 값으로 40-10=30이다. IQR은 제3사분위수에서 제1사분위수를 뺀 값으로 30-15=15이다. 따라서 정답은 "(30, 6)"이다.

    이유는 범위와 IQR은 모두 데이터의 분포를 나타내는 지표이지만, 범위는 최댓값과 최솟값만을 이용하여 구하므로 극단적인 값에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IQR은 중앙값을 기준으로 하여 상위 25%와 하위 25%의 데이터를 제외한 범위를 나타내므로 상대적으로 이상치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IQR이 범위보다 작은 경우에는 이상치가 적은 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상관관계 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독립변수의 값에 기초하여 종속변수의 값을 추정하고 예측하게 한다.
  2. 두 변수간의 상호관계와 상호변이에 대한 분석이다.
  3. 상관계수 측정으로 스피어맨 측정치를 사용한다.
  4. 표준화된 공분산의 값이 1에 가깝다는 것은 두 변수가 서로 의존적이며 상호관계가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독립변수의 값에 기초하여 종속변수의 값을 추정하고 예측하게 한다."가 아니다.

    상관관계 분석은 두 변수간의 상호관계와 상호변이에 대한 분석이며, 상관계수 측정으로 스피어맨 측정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표준화된 공분산의 값이 1에 가깝다는 것은 두 변수가 서로 의존적이며 상호관계가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하지만 상관관계 분석은 독립변수의 값에 기초하여 종속변수의 값을 추정하고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두 변수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수치화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설명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중회귀분석에서 회귀제곱합(SSR)이 150이고 오차제곱합(SSE)이 50인 경우, 결정계수는?

  1. 0.25
  2. 0.3
  3. 0.75
  4. 1.1
(정답률: 알수없음)
  • 결정계수는 SSR / (SSR + SSE)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결정계수는 150 / (150 + 50) = 0.75입니다. SSR은 모형에서 설명되는 변동의 크기를 나타내고, SSE는 모형에서 설명되지 않는 변동의 크기를 나타냅니다. 결정계수는 모형이 데이터를 얼마나 잘 설명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집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결정계수가 0.75인 이유는 모형이 데이터를 상당히 잘 설명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불량률이 0.05인 제품을 20개씩 한 box에 넣어서 포장하였다. 10개의 box를 구입했을 때, 기대되는 불량품의 총갯수는?

  1. 1개
  2. 5개
  3. 10개
  4. 15개
(정답률: 30%)
  • 불량률이 0.05이므로, 20개의 제품 중 1개가 불량품이 될 확률은 0.05이다. 따라서, 20개의 제품 중 불량품이 될 확률은 0.05 × 20 = 1이 된다. 이제 10개의 box를 구입했으므로, 불량품의 총갯수는 1 × 10 = 10개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상관계수(rxy)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상관계수 rxy는 두 변수 X와 Y의 산포의 정도를 나타낸다.
  2. -1 ≤ rxy ≤ +1
  3. rxy = 0 이면 두 변수는 무상관이다.
  4. rxy = ±1 이면 두 변수는 완전상관관계에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상관계수 rxy는 두 변수 X와 Y의 선형적 관계의 강도와 방향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상관계수 rxy는 두 변수 X와 Y의 산포의 정도를 나타낸다."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은 당뇨병 환자들이 복용하는 두 가지 약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두 약의 복용 후 효과가 나타나는 시간을 측정한 자료이다.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약 X의 평균은 이고, 약 Y의 평균은 이므로 약 Y의 효과가 더 우수하다.
  2. 의 95% 신뢰구간이 4.0± 13.15이므로 두 약 효과간의 차이는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3. 두 약의 효과가 동일하다는 귀무가설과 효과에 차이가 있다는 대립가설의 검정 통계량의 값이 0.567이므로 대립가설을 채택해야 한다.
  4. 의 95% 신뢰구간이 (-9.15, 17.15)이므로 음수값을 포함하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의 95% 신뢰구간이 4.0± 13.15이므로 두 약 효과간의 차이는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이다.

    이유는 두 약의 평균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두 약의 효과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두 약의 효과 차이에 대한 신뢰구간이 (-9.15, 17.15)으로 음수값을 포함하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따라서, 두 약의 효과 차이는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여론조사 기관에서 특정 프로그램의 시청률을 조사하기 위하여 100명의 시청자를 임의로 추출하여 시청여부를 물었더니 이중 10명이 시청하였다. 이때 이 프로그램의 시청률에 대한 95% 신뢰구간을 구하면? (단, 표준정규분포를 따르는 확률변수 Z는 P(Z>1.96)=0.025를 만족한다.)

  1. (0.0412, 0.1588)
  2. (0.0512, 0.1488)
  3. (0.0312, 0.1688)
  4. (0.0612, 0.1388)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이항분포를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시청자 중에서 시청한 사람의 비율을 p라고 하면, 이는 이항분포 B(100, p)를 따른다. 여기서 100은 시청자의 총 수이다.

    이때, 10명의 시청자가 있으므로, p의 추정값은 0.1이다.

    95% 신뢰구간을 구하기 위해서는 표준정규분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신뢰수준이 95%이므로, 양쪽 꼬리의 확률이 각각 0.025가 되도록 하는 z값을 찾아야 한다.

    P(Z > 1.96) = 0.025 이므로, P(Z < -1.96) = 0.025이다.

    이때, 표준정규분포의 확률밀도함수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P(-1.96 < Z < 1.96) = P(Z < 1.96) - P(Z < -1.96) = 0.95

    즉, p의 95% 신뢰구간은 다음과 같다.

    0.1 ± 1.96 * sqrt(0.1 * 0.9 / 100)

    = (0.0412, 0.1588)

    따라서, 정답은 "(0.0412, 0.158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가설검정에서 제2종 오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귀무가설(H0)이 참일때 귀무가설을 기각하는 경우의 확률
  2. 귀무가설(H0)이 참일때 대립가설(H1orHA)을 기각하는 경우의 확률
  3. 대립가설(H1)이 참일 때 대립가설을 기각하는 경우의 확률
  4. 대립가설(H1)이 참일때 귀무가설(H0)을 기각하는 경우의 확률
(정답률: 알수없음)
  • 제2종 오류란, 귀무가설이 거짓이지만 대립가설을 기각하지 못하는 경우를 말한다. 따라서 제2종 오류의 확률은 대립가설(H1)이 참일 때 대립가설을 기각하지 못하는 경우의 확률이 된다. 이는 대립가설이 참인데도 검정 결과가 대립가설을 기각하지 못하는 경우이므로, 즉 잘못된 결론을 내리는 경우이므로 제2종 오류의 확률은 작을수록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