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조사분석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3-02)

사회조사분석사 2급
(2014-03-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사방법론 I

1. 순수실험설계와 유사실험설계를 구분하는 기준은?

  1. 독립변수의 설정
  2. 비교집단의 설정
  3. 종속변수의 설정
  4. 실험대상 선정의 무작위화
(정답률: 67%)
  • 순수실험설계와 유사실험설계를 구분하는 기준은 실험대상 선정의 무작위화입니다. 이는 실험에서 대상을 선택할 때 우연에 따라 선택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실험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중요합니다. 독립변수의 설정, 비교집단의 설정, 종속변수의 설정은 모두 실험 설계의 중요한 요소이지만, 실험대상 선정의 무작위화는 실험의 핵심적인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사례연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례연구는 질적 조사방법으로 양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수집한 증거는 이용하지 않는다.
  2. 사례연구에서는 기존 문서의 분석이나 관찰 등과 같은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한다.
  3. 사례는 개인, 프로그램, 의사결정, 조직, 사건 등이 될 수 있다.
  4. 사례연구는 한 특정한 사례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것이다.
(정답률: 80%)
  • "사례연구는 질적 조사방법으로 양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수집한 증거는 이용하지 않는다."가 틀린 것이다. 사례연구는 질적 조사방법으로 주로 수행되지만, 양적인 방법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양적인 방법으로 수집한 증거도 이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비구조화(비표준화) 면접에 관한 옳은 설명을 모두 고른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A, B
  2. C, D
  3. A, B, C
  4. B, C, D
(정답률: 42%)
  • 비구조화(비표준화) 면접은 미리 정해진 질문이나 구조가 없는 면접 방식을 말한다. 이 방식은 지원자의 자유로운 발언을 유도하여 지원자의 개인적인 경험, 역량, 성격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A, B, C"가 정답이다. "A, B"는 비구조화 면접의 기본적인 형태를 나타내며, "C"는 "A, B"에 추가로 지원자의 경험과 역량 등을 파악하기 위한 질문이 포함된 형태이다. "D"는 "C"에 더해 지원자의 성격 등을 파악하기 위한 질문이 포함된 형태이지만, 비구조화 면접의 기본적인 형태를 벗어나기 때문에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관찰의 세부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관찰이 일어나는 상황이 실제상황인지 연구자가 만들어 놓은 인위적인 상황인지를 기준으로 자연적 관찰과 인위적 관찰로 구분한다.
  2. 피관찰자가 자신의 행동이 관찰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지 모르고 있는지를 기준으로 공개적 관찰과 비공개적 관찰로 구분한다.
  3. 표준관찰기록양식의 사전 결정 등 체계의 정도에 따라 체계적 관찰과 비체계적 관찰로 구분한다.
  4. 관찰에 사용하는 도구에 따라 직접관찰과 간접관찰로 구분한다.
(정답률: 82%)
  • "관찰에 사용하는 도구에 따라 직접관찰과 간접관찰로 구분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관찰의 세부 유형은 자연적 관찰과 인위적 관찰, 공개적 관찰과 비공개적 관찰, 체계적 관찰과 비체계적 관찰로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기술적(descriptive)조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현상에 대한 탐구와 명료화를 주목적으로 한다.
  2. 계획, 모니터링, 평가에 필요한 자료를 산출하기 위하여 자주 사용한다.
  3. 사회현상이 야기된 원인과 결과를 밝혀 정확히 기술하는 것이다.
  4. 행정실무자와 정책분석가들에게 가장 기본적인 조사도구이다.
(정답률: 47%)
  • 기술적 조사는 현상에 대한 탐구와 명료화를 주목적으로 하는 것이 맞으며, 계획, 모니터링, 평가에 필요한 자료를 산출하기 위해 자주 사용됩니다. 하지만 "사회현상이 야기된 원인과 결과를 밝혀 정확히 기술하는 것"은 원인-결과 분석과 같은 원인-결과적인 조사 방법을 의미하므로, 기술적 조사의 주요 목적은 아닙니다. 따라서, "사회현상이 야기된 원인과 결과를 밝혀 정확히 기술하는 것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가설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둘 이상의 변수들 간의 관계를 진술한다.
  2. 검증을 위해 마련된 것이다.
  3. 가설은 진실여부가 확인된 명제이다.
  4. 가설설정을 위하여 조작화가 필요하다.
(정답률: 75%)
  • 가설은 진실여부가 확인된 명제가 아니라, 검증을 위해 제시된 명제이다. 가설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검증되거나 기각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사례에 대한 타당도 저해요인에 기초한 비판 중 그 성격이 나머지와 다른 하나는?

  1. 가장 음주운전이 많은 시기는 연말이므로, 자연스럽게 예전의 상태로 돌아온 것뿐이다.
  2. 경찰이 2012년부터 새 음주측정기로 교체하였으므로, 이 감소는 음주측정기의 교체로 인한 것이다.
  3. 이 결과는 대전지역에서나 가능한 이야기이지, 다른 지역에서는 감소시키기 어려웠을 것이다.
  4. 2012년부터 주류세가 대폭 인사되었으므로, 음주가 줄어든 것이 음주운전 감소의 원인이다.
(정답률: 65%)
  • "이 결과는 대전지역에서나 가능한 이야기이지, 다른 지역에서는 감소시키기 어려웠을 것이다." 이 비판은 나머지 비판들과는 달리 지역적인 차이에 대한 이야기이다. 다른 지역에서는 음주운전 감소를 이루기 어려울 것이라는 것이 이 비판의 성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과학적 연구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과학적 연구는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목적으로 한다.
  2. 과학적 연구는 최소한의 정보로 최대한의 설명력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과학적 연구는 다른 연구자에 의해서도 검증이 가능해야 한다.
  4. 과학적 연구의 결과는 수정될 수 없는 것이어야 한다.
(정답률: 86%)
  • "과학적 연구의 결과는 수정될 수 없는 것이어야 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과학적 연구는 항상 새로운 정보와 데이터에 따라 수정될 수 있습니다. 과학적 연구는 항상 검증 가능하고 수정 가능한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탐색적 연구를 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횡단연구
  2. 유사실험설계
  3. 시계열연구
  4. 사례연구
(정답률: 65%)
  • 사례연구는 현상을 자세히 관찰하고 이해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으로, 탐색적 연구에 가장 적합합니다. 사례연구는 특정한 개인, 집단, 조직, 사건 등을 깊이 있게 조사하고 분석하여 이해하고자 하는 현상을 파악하는 데에 유용합니다. 따라서 탐색적 연구를 하기 위해서는 사례연구가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경험적 연구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참여관찰의 결과는 일반화의 가능성이 높다.
  2. 조사연구는 대규모의 모집단의 특성을 기술하는데 유용하다.
  3. 내용분석은 기록이 된 의사전달을 조사하는 것으로 제한되어 있다.
  4. 실험은 다른 변수들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정답률: 60%)
  • "참여관찰의 결과는 일반화의 가능성이 높다."가 틀린 것이다. 참여관찰은 특정한 그룹이나 상황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는 것으로, 그룹이나 상황이 다르면 결과도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일반화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과학적 조사의 절차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A → B → C → E → D
  2. A → C → B → E → D
  3. C → B → A → E → D
  4. C → A → B → E → D
(정답률: 74%)
  • 과학적 조사의 절차는 일반적으로 문제 정의, 가설 설정, 실험 설계, 데이터 수집, 결과 분석, 결론 도출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A → B → C → E → D"가 가장 적합한 답이다.

    첫 번째로 문제를 정의하고, 그에 대한 가설을 설정한 후, 실험을 설계하고 데이터를 수집한다. 그리고 이를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한다. 이러한 절차를 따르면 과학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A → B → C → E → D"가 가장 적합한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어떤 연구자가 한 도시의 성인 500명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인터넷 이용이 흡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인터넷 이용량이 많은 사람일수록 흡연양에도 유의미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인터넷 이용이 흡연을 야기한다는 인과적인 설명을 하는 경우 가장 문제가 되는 인과성의 요건은?

  1. 경험적 상관
  2. 허위적 상관
  3. 통계적 통제
  4. 시간적 순서
(정답률: 66%)
  • 정답: "허위적 상관"

    설명: 이 연구에서는 인터넷 이용량과 흡연양 간의 상관관계가 발견되었지만, 이는 인터넷 이용이 흡연을 유발한다는 인과적인 설명을 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이유는 인터넷 이용량과 흡연양 간의 상관관계가 허위적 상관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인터넷 이용량이 많은 사람들이 대부분 젊은 세대일 수 있으며, 이들이 흡연을 많이 한다는 것은 그들의 연령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외생변수를 통계적으로 통제하지 않고 인과적인 설명을 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통계적 통제와 시간적 순서 등의 인과성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관찰의 단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피관찰자가 관찰 사실을 아는 경우 조사반응성으로 인한 왜곡이 있을 수있다.
  2. 표현능력이 부족한 대상에게 적용이 어렵다.
  3. 연구대상의 특성상 관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4. 자료처리가 어렵다.
(정답률: 74%)
  • "연구대상의 특성상 관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는 관찰의 한계와 관련된 단점이지만, "표현능력이 부족한 대상에게 적용이 어렵다."는 관찰의 한계와는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표현능력이 부족한 대상에게 적용이 어렵다."는 관찰의 대상이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충분히 표현하지 못할 때, 관찰자가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질문지 작성 시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가능한 명확하고 쉬운 단어를 사용한다.
  2. 폐쇄형 질문에서는 가능한 응답을 모두 제시해야 한다.
  3. 하나의 문항에 두 가지 이상의 내용을 물어봐야 한다.
  4. 연구자 임의로 응답자에 대한 가정을 해서는 안 된다.
(정답률: 83%)
  • 하나의 문항에 두 가지 이상의 내용을 물어봐야 한다는 것은 응답자가 어떤 내용에 대해 대답해야 하는지 명확하지 않아 혼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각의 문항은 하나의 주제에 대해서만 물어보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은 어떤 형태의 연구에 해당하는가?

  1. 회상(recall)연구
  2. 패널(panel)연구
  3. 추세(trend)연구
  4. 코호트(cohort)연구
(정답률: 68%)
  • 이 그래프는 시간에 따른 변수의 변화를 보여주는 것으로, 특정 시간대에서의 값뿐만 아니라 시간의 경과에 따른 추세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이는 "추세(trend)연구"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이론의 기능을 모두 고른 것은?

  1. B, C
  2. A, B, D
  3. A, C, D
  4. A, B, C, D
(정답률: 85%)
  • 보기에서 A, B, C, D 모두 선택된 것은 이론의 기능을 나타내는 모든 항목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A는 이론이 현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나타내며, B는 예측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C는 새로운 증거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나타내며, D는 이론을 검증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A, B, C, D 모두 선택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우편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접근하기 편리하고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조사가 가능하다.
  2. 회수율이 낮으므로 서면 또는 전화로 협조를 구하는 것이 좋다.
  3. 응답 대상자 자신이 직접 응답했는지에 대한 통제가 어렵다.
  4. 응답자의 익명성을 보장하기 어렵다.
(정답률: 82%)
  • "응답자의 익명성을 보장하기 어렵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우편조사는 응답자의 개인정보를 수집하지 않으며, 응답자의 익명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응답 대상자 자신이 직접 응답했는지에 대한 통제가 어렵다는 것은 맞는 설명입니다. 이는 응답자가 다른 사람에게 응답을 부탁하거나, 응답을 대신해주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개방형 질문(open questions)을 이용하기에 적합하지 못한 경우는?

  1. 응답자들의 지식수준이 높아 면접자의 도움 없이 독자적으로 응답할 수 있는 경우
  2. 응답자에 대한 사전지식의 부족으로 응답을 예측할 수 없는 경우
  3. 특정 행동에 대한 동기조성과 같은 깊이 있는 내용을 다루고자 하는 경우
  4. 숙련된 전문 면접자보다 자원봉사자에 의존하여 면접을 실시하는 경우
(정답률: 82%)
  • 숙련된 전문 면접자보다 자원봉사자에 의존하여 면접을 실시하는 경우는 개방형 질문을 이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자원봉사자가 면접 기술이 부족하거나 응답자의 질문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단순한 예/아니오 질문이나 구체적인 사실에 대한 질문 등을 이용하는 것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설문지회수율을 높이는 방안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독촉편지를 보내거나 독촉전화를 한다.
  2. 겉표지에 설문내용의 중요성을 부각시켜 응답자가 인식하게 한다.
  3. 개인 신상에 민감한 질문들을 가능한 줄인다.
  4. 폐쇄형 질문의 수를 가능한 줄인다.
(정답률: 80%)
  • 응답자들은 폐쇄형 질문에 대답하기 어렵고 불편하다고 느낄 수 있기 때문에, 폐쇄형 질문의 수를 줄이면 응답자들이 설문지를 완료하기 쉬워지고 설문지 회수율이 높아질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설문지 회수율을 높이는 방안으로 효과적일 수 있지만, 폐쇄형 질문의 수를 줄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과학적 연구의 논리체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회과학 이론과 연구는 연역과 귀납의 방법을 통해 연결된다.
  2. 연역은 이론으로부터 기대 또는 가설을 이끌어내는 것이다.
  3. 귀납은 구체적인 관찰로부터 일반화로 나아가는 것이다.
  4. 귀납적 논리의 고전적인 예는 “모든 사람은 죽는다.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 따라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이다.
(정답률: 75%)
  • "귀납적 논리의 고전적인 예는 “모든 사람은 죽는다.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 따라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이 예시는 연역적 논리의 예시입니다. 연역적 논리는 일반적인 원리나 법칙으로부터 구체적인 사례를 이끌어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모든 사람은 죽는다"는 일반적인 원리에서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라는 구체적인 사례를 이끌어내어 "소크라테스는 죽는다"라는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 연역적 논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면접조사 시 비교적 인지수준이 낮은 응답자들이 면접자 생각이나 지시를 비판 없이 수용하여 응답하게 될 가능성이 높은 것은 어떤 효과 때문인가?

  1. 1차 정보 효과
  2. 응답순서 효과
  3. 동조효과
  4. 최근정보 효과
(정답률: 70%)
  • 동조효과는 다른 사람들의 의견이나 행동에 영향을 받아 자신의 의견이나 행동을 조정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면접자 생각이나 지시를 비판 없이 수용하는 응답자들은 면접자의 의견이나 행동을 따르는 것으로 보아, 동조효과가 작용하여 면접자의 의견이나 행동에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질문지 초안 완성 후 실시하는 사전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사전검사는 가설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한 조사이다.
  2. 사전검사는 본조사의 조상방법과 같아야 한다.
  3. 사전검사 결과는 본 조사에 포함시켜 분석하여야 한다.
  4. 사전검사 표본 수는 본조사와 비슷해야 한다.
(정답률: 68%)
  • 사전검사는 본조사를 수행하기 전에 가설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한 조사이다. 따라서 사전검사에서 수집한 자료는 본조사에 포함시켜 분석하여야 한다. 또한, 사전검사는 본조사의 조상방법과 같아야 하는데 이는 사전검사에서 사용하는 조사도구나 방법이 본조사와 일치해야 하며, 표본 수도 본조사와 비슷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참여관찰에서 윤리적인 문제를 겪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관찰자 유형은?

  1. 완전참여자
  2. 완전한 관찰자
  3. 참여자로서의 관찰자
  4. 관찰자로서의 참여자
(정답률: 77%)
  • 완전참여자는 참여와 관찰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관찰 대상과의 관계가 가장 밀접하고 개인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로 인해 개인적인 감정이나 편견이 관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윤리적인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완전참여자는 윤리적인 문제를 겪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관찰자 유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외생변수를 사전에 아는 경우, 외생변수가 실험대상이 되는 각 집단에 균등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선정하여 외생변수의 효과를 통제하는 방법은?

  1. 상쇄(counter balancing)
  2. 균형화(matching)
  3. 제거(elimination)
  4. 무작위화(randomization)
(정답률: 59%)
  • 외생변수가 실험대상에 균등하게 영향을 미치도록 하기 위해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선정할 때 외생변수와 관련된 요인들을 고려하여 집단을 구성해야 합니다. 이때, 외생변수와 관련된 요인들을 미리 파악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균형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을 균형화(matching)라고 합니다. 따라서, 균형화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내용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정한 기간 동안 진행되는 지속적 과정에 대한 분석이 용이하다.
  2. 분석대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점에서 비개입적 조사방법이다.
  3. 잠재적 내용을 분석대상으로 할 경우, 객관성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4. 양적 분석뿐만 아니라 질적 분석방법도 사용한다.
(정답률: 49%)
  • 잠재적 내용을 분석대상으로 할 경우, 객관성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이유는 잠재적 내용은 분석 대상자의 의식에 드러나지 않은 내면적인 것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주관적인 해석이나 왜곡이 없이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실험설계의 전제조건을 모두 고른 것은?

  1. A, B
  2. B, C
  3. A, C
  4. A, B, C
(정답률: 78%)
  • 실험설계의 전제조건은 다음과 같다.

    A. 무작위화(randomization)
    - 실험군과 대조군을 무작위로 배정하여 외생변수의 영향을 최소화한다.

    B. 대조군(control group)
    -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하여 실험 결과의 타당성을 높인다.

    C. 적절한 표본크기(sample size)
    - 충분한 표본크기를 확보하여 실험 결과의 신뢰성을 높인다.

    따라서 A, B, C 모두 실험설계의 전제조건이므로 정답은 "A, B, 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지역을 분석단위로 하여 자살률을 분석한 결과 가톨릭 신도의 비율이 높은 지역일수록 개신교 신도의 비율이 높은 지역에 비해 평균자살 건수가 많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가톨릭 신도들이 개신교 신도에 비해 자살을 저지를 성향이 높다고 해석할 경우 지적될 수 있는 문제는?

  1. 생태학적 오류(ecological fallacy)
  2. 개인주의적 오류(individualistic fallacy)
  3.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4. 체계적 오차(systematic error)
(정답률: 72%)
  • "생태학적 오류(ecological fallacy)"는 집단 수준의 데이터를 개인 수준의 특성으로 일반화하는 오류를 말한다. 즉, 가톨릭 신도들이 개신교 신도에 비해 자살을 저지를 성향이 높다는 결론은 지역 수준에서의 비교 결과이지 개인 수준에서의 비교 결과가 아니므로 생태학적 오류가 발생한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들의 특성과는 무관하게 지역적인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 문제는 "생태학적 오류(ecological fallacy)"로 지적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실험설계의 인과관계 분석을 위협하는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검사효과
  2. 사후검사
  3. 실험대상의 탈락
  4. 성숙 또는 시간의 경과
(정답률: 71%)
  • 인과관계 분석을 위협하는 요소들 중에서 "사후검사"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사후검사는 이미 실험이 끝난 후에 추가적으로 수행되는 검사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실험설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인과관계 분석을 위협하는 요소들 중에서는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사후실험설계(ex=post facto research design)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설의 실제적 가치 및 현실성을 높일 수 있다.
  2. 분석 및 해석에 있어 편파적이거나 근시안적 관점에서 벗어날 수 있다.
  3. 순수실험설계에 비하여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밝힐 수 있다.
  4. 조사의 과정 및 결과가 객관적이며 조사를 위해 투입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정답률: 70%)
  • "순수실험설계에 비하여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밝힐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사후실험설계는 이미 일어난 사건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기 때문에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밝히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사후실험설계는 인과관계를 명확히 밝히기 위한 실험설계보다는 가설의 실제적 가치 및 현실성을 높이는 데에 더욱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집단조사의 특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집단조사는 집단에 속한 조직을 연구하는 데에만 사용할 수 있다.
  2. 집단으로 조사되므로 주변사람이 응답자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3. 일반적으로 집단조사를 승인한 조직체나 단체에 유리한 쪽으로 응답할 가능성이 높다.
  4. 집단이 속한 조직으로부터 적절한 협조가 있으면,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있는 조사기법이다.
(정답률: 75%)
  • 정답은 "집단조사는 집단에 속한 조직을 연구하는 데에만 사용할 수 있다." 이다.

    집단조사는 특정 집단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사 방법이다. 따라서, 해당 집단에 속한 조직을 연구하는 데에만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조직이나 개인에 대한 조사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집단으로 조사되므로 주변사람이 응답자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고, 일반적으로 집단조사를 승인한 조직체나 단체에 유리한 쪽으로 응답할 가능성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집단이 속한 조직으로부터 적절한 협조가 있으면,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조사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사방법론 II

31. 확률표본추출방법만으로 짝지어진 것은?

  1. 집락표집, 계통표집, 편의표집, 할당표집
  2. 층화표집, 집락표집, 눈덩이표집, 할당표집
  3. 단순무작위표집, 계통표집, 유의표집, 할당표집
  4. 단순무작위표집, 계통표집, 층화표집, 집락표집
(정답률: 78%)
  • 단순무작위표집, 계통표집, 층화표집, 집락표집은 모두 확률표본추출방법으로, 각각의 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단순무작위표집: 모집단에서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모든 개체가 동일한 확률로 추출됩니다.
    - 계통표집: 모집단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개체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첫 번째 개체를 무작위로 선택한 후 일정한 간격으로 다음 개체를 선택합니다.
    - 층화표집: 모집단을 여러 개의 층으로 나눈 후 각 층에서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각 층에서 추출된 개체들은 모집단의 구성비와 유사한 비율을 가집니다.
    - 집락표집: 모집단을 작은 집단으로 나눈 후 일부 집단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그 안에서 개체를 추출하는 방법으로, 선택된 집단 안에서 추출된 개체들은 서로 비슷한 특성을 가집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단순무작위표집, 계통표집, 층화표집, 집락표집은 모두 확률표본추출방법으로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연구에서 선택된 개념을 실제 현상에서 측정이 가능하도록 관찰 가능한 형태로 표현한 것은?

  1. 개념적 정의(conceptual definition)
  2. 이론적 정의(theoretical definition)
  3. 조작적 정의(operational definition)
  4. 구성요소적 정의(constitutive definition)
(정답률: 68%)
  • 조작적 정의는 연구에서 선택된 개념을 실제 현상에서 측정 가능한 형태로 표현하는 것으로, 개념적 정의나 이론적 정의와는 달리 구체적인 측정 방법을 제시하여 연구자들이 일관된 방식으로 개념을 측정할 수 있도록 돕는다. 따라서 연구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개념이 모호하지 않고 명확하게 정의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조작적 정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재조사법
  2. 내용타당도
  3. 기준관련타당도
  4. 구성체타당도
(정답률: 69%)
  • 재조사법은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평가하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다른 세 가지 방법은 모두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재조사법은 다른 방법들과 달리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직접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측정도구를 두 번 이상 적용하여 얻은 결과를 비교하여 일관성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서스톤 척도(Thurston scal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처음 문장을 분류하는 평가자들의 성격에 따라 분포가 달라질 수 있다.
  2. 절차가 다른 척도보다 단순하고 문장이나 평가자의 수가 적어도 된다.
  3. 척도용으로 선정된 문장들이 평균값은 같으나 분산도가 다를 수 있다.
  4. 응답자의 점수가 같더라도 그가 선택하는 문항의 종류와 내용이 다를 수있다.
(정답률: 78%)
  • 서스톤 척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절차가 다른 척도보다 단순하고 문장이나 평가자의 수가 적어도 된다."이다. 서스톤 척도는 다른 척도와 비교하여 절차가 복잡하고 문장이나 평가자의 수가 많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4년제 대학교 대학생 집단을 학년과 성, 단과대학(인문사회, 자연, 예체능, 기타)로 구분하여 할당표집할 경우 할당표는 총 몇 개의 범 주로 구분되는가?

  1. 4
  2. 24
  3. 32
  4. 48
(정답률: 82%)
  • 학년은 1학년부터 4학년까지 총 4개의 범주가 있고, 성은 남성과 여성으로 2개의 범주가 있으며, 단과대학은 4개의 범주가 있다. 따라서 범주의 총 개수는 4 x 2 x 4 = 32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 )에 알맞은 것은?

  1. A – 동질적, B – 동질적
  2. A – 동질적, B – 이질적
  3. A – 이질적, B – 동질적
  4. A – 이질적, B – 이질적
(정답률: 73%)
  • 이 그림에서는 A와 B가 서로 다른 모양과 색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A와 B는 이질적입니다. 그러나 A 내부의 작은 사각형들은 모두 같은 모양과 색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A는 동질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지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단순지표로 측정하기 어려운 복합적인 개념을 측정할 수 있다.
  2. 경험적 현실세계와 추상적 개념세계를 조화시키고 일치시킨다.
  3. 변수에 대한 양적 측정치를 제공함으로써 정확성을 높여준다.
  4. 본래 의도한 속성을 정확히 측정하고 보다 일관성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 단일문항이 주로 활용된다.
(정답률: 53%)
  • "본래 의도한 속성을 정확히 측정하고 보다 일관성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 단일문항이 주로 활용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단일문항은 하나의 개념이나 속성을 측정하기 때문에 정확성과 일관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비체계적 오류를 줄이는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측정항목 수를 가능한 한 늘린다.
  2. 조사대상자 관심 없는 항목도 측정한다.
  3. 2회 이상 동일한 질문이나 유사한 질문을 한다.
  4. 조사대상자가 모르는 내용은 측정하지 않는다.
(정답률: 65%)
  • "조사대상자 관심 없는 항목도 측정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이는 비체계적 오류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조사대상자가 관심이 없는 항목을 측정하면 그 결과는 신뢰성이 떨어지고 유용성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측정항목은 가능한 한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2013년 11월30일을 기준으로 47,563,753명의 선거인 명부를 기준으로 우리나라 유권자 1,500명을 뽑아 투표율을 조사하려 한다. 표본으로 추출된 1,500명을 인구비례에 따라 각 지역별로 나누어 표본을 무작위로 추출했다면 이때 사용한 표본추출 방법은?

  1. 판단표본추출
  2. 편의표본추출
  3. 비례층화표본추출
  4. 다단계편의표본추출
(정답률: 80%)
  • 사전에 인구비례에 따라 각 지역별로 나누어진 층을 만들고, 각 층에서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이 비례층화표본추출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도 인구비례에 따라 각 지역별로 나누어진 층을 만들고, 각 층에서 무작위로 1,500명을 추출한 것이 비례층화표본추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표본추출을 위한 모집단의 구성요소나 표본추출단위가 수록된 목록은?

  1. 요소(element)
  2. 표집틀(sampling frame)
  3. 분석단위(unit of analysis)
  4. 표본추출분포(sampling distribution)
(정답률: 70%)
  • 표집틀은 모집단의 구성요소나 표본추출단위가 수록된 목록이다. 즉, 표본을 추출하기 위해 필요한 모집단의 모든 요소가 포함된 목록이며, 이를 기반으로 표본을 추출하게 된다. 따라서 표집틀은 표본추출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표집구간내에서 첫 번째 번호만 무작위로 뽑고 다음부터는 매 k번째 요소를 표본으로 선정하는 표집방법은?

  1. 단순무작위표집
  2. 계통표집
  3. 층화표집
  4. 집락표집
(정답률: 71%)
  • 이 표집방법은 매 k번째 요소를 선택하는 것으로, 이는 계통표집의 특징과 일치한다. 계통표집은 모집단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각 구간에서 하나의 요소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이 경우에는 첫 번째 요소를 무작위로 선택하고 그 이후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선택하기 때문에 계통표집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측정수준과 그 예가 서로 맞지 않는 것은?

  1. 등간측정 : 온도
  2. 비율측정 : 지능지수(IQ)
  3. 명목측정 : 주민등록번호
  4. 서열측정 : 학급석차(등수)
(정답률: 74%)
  • 비율측정은 절대적인 0점이 존재하며, 그 값의 비율이 의미가 있는 측정 방법이다. 하지만 지능지수(IQ)는 상대적인 개념으로, 0점이 의미가 없으며 비율을 계산할 수 없다. 따라서 측정수준과 그 예가 서로 맞지 않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연구자가 알고 있는 사람들로부터 소개받은 방법으로 면접대상자를 확보하는 표집방법은?

  1. 눈덩이표집
  2. 유의표집
  3. 층화표집
  4. 할당표집
(정답률: 74%)
  • 눈덩이표집은 연구자가 이미 알고 있는 일부 대상자를 통해 추가적인 대상자를 확보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초기 대상자들로부터 추천받은 다른 대상자들을 추가로 면접대상자로 선정하는 방식으로, 눈덩이가 굴러가듯이 대상자가 늘어나는 모습을 연상시킨다. 이 방법은 특정 집단에서 연구를 수행할 때 유용하며, 해당 집단 내에서 연구 대상자를 추천받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 대상자의 다양성을 보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척도의 신뢰도 측정방법인 반분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첫 번째 조사가 두 번째 조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 신뢰도가 낮을 경우 어떤 문항을 제거해야 할지 알 수 있다.
  3.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실제 값이 변화하는 것을 토제할 수 없다.
  4. 어떻게 반분하느냐에 따라 상관계수가 달라질 수 있다.
(정답률: 67%)
  • 반분법은 척도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하나의 척도를 두 부분으로 나누어 각 부분의 점수를 비교하여 상관계수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 때, 어떻게 반분하느냐에 따라 상관계수가 달라질 수 있는 이유는, 척도를 반분하는 기준이나 방법에 따라 각 부분의 점수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반분법을 사용할 때는 척도를 반분하는 방법을 명확히 정하고 일관성 있게 적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추출되는 표본이 모집단의 특성을 잘 대표할 수 있게 사전에 모집단의 특성을 나타내는 단위그룹별로 표본수를 배정하고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은?

  1. 누적표집
  2. 판단표집
  3. 임의표집
  4. 할당표집
(정답률: 75%)
  • 할당표집은 모집단을 단위그룹으로 나누고, 각 단위그룹에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모집단의 특성을 잘 대표할 수 있게끔 표본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할당표집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측정에서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반복해서 측정하였을 때 동일한 결과가 나오면 신뢰도가 높다.
  2.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의 속성을 정확하게 측정하였을 때 신뢰도가 높다.
  3. 반복해서 측정하였을 때 동일한 결과가 나오면 타당도가 높다.
  4. 신뢰도가 높은 측정은 반드시 타당도가 높다.
(정답률: 83%)
  • "반복해서 측정하였을 때 동일한 결과가 나오면 신뢰도가 높다."는 측정 도구가 일관성 있게 작동하고, 측정자의 주관적인 요소가 최소화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동일한 조건에서 반복 측정을 했을 때 결과가 일관되면 해당 측정 도구의 신뢰도가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표본의 크기를 결정하는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모집단의 동질성
  2. 조사비용의 한도
  3. 연구자의 수
  4. 조사가설의 내용
(정답률: 62%)
  • 표본의 크기를 결정하는 요소 중에서 "연구자의 수"는 표본의 크기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표본의 크기는 모집단의 동질성, 조사비용의 한도, 조사가설의 내용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연구자의 수"는 가장 거리가 먼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표집틀(sampling frame)이 모집단(population)보다 큰 경우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A병원 환자를 환자기록부를 이용해서 표집하는 경우
  2. A병원 환자를 병원 입구에서 임의로 표집하는 경우
  3. A병원 환자를 서울지역 휴대폰 가입자 명부를 이용해서 표집하는 경우
  4. A병원 환자를 무선적 전화걸기방법으로 표집하는 경우
(정답률: 45%)
  • A병원 환자를 무선적 전화걸기방법으로 표집하는 경우는 표집틀이 모집단보다 큰 경우이다. 이는 A병원 환자 중 무선전화를 사용하지 않는 환자들은 표본에서 제외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표본 추출 방법의 편향성을 야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명목척도 구성을 위한 측정범주들에 대한 기본 원칙이 아닌 것은?

  1. 배타성
  2. 포괄성
  3. 논리적 연관성
  4. 선택성
(정답률: 52%)
  • 선택성은 명목척도 구성을 위한 측정범주들에 대한 기본 원칙이 아니다. 명목척도 구성을 위한 측정범주들은 배타성, 포괄성, 논리적 연관성을 가져야 한다. 배타성은 각 측정범주가 서로 중복되지 않고 서로 배타적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포괄성은 모든 가능한 경우를 포함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논리적 연관성은 측정범주들이 서로 일관성 있게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표집오차(sampling error)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체 표본의 크기가 같다고 했을 때, 단순무작위표본추출법에서보다 층화표본추출법에서 표집오차가 작게 나타난다.
  2. 전체 표본의 크기가 같다고 했을 때, 단순무작위표본추출법에서보다 집락표본추출법에서 표집오차가 크게 나타난다.
  3. 단순무작위표본추출법에서 표집오차는 표본의 크기가 클수록 커진다.
  4. 단순무작위표본추출법에서 표집오차는 분산의 크기가 클수록 커진다.
(정답률: 64%)
  • "단순무작위표본추출법에서 표집오차는 표본의 크기가 클수록 커진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유는 표본의 크기가 커질수록 모집단에 대한 대표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표집오차가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단순무작위표본추출법에서 표본의 크기가 클수록 표집오차는 작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단순무작위표집법으로 표집할 때 표본크기를 50에서 100으로 늘렸다. 이때 나타나는 효과와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1. 아무런 효과가 없다.
  2. 추정치의 분산이 줄어든다.
  3. 모집단의 평균값이 커진다.
  4. 표본평균과 표본최빈값이 일치한다.
(정답률: 71%)
  • 표본크기가 증가하면 표본의 다양성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추정치의 분산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단순무작위표집법으로 표집할 때 표본크기를 50에서 100으로 늘리면 추정치의 분산이 줄어들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하나의 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두 개 이상의 다른 관련 자료를 수집하거나 측정하는 방법은?

  1. 재검사법
  2. 반구조화 면접법
  3. 소시오메트리(sociometry)
  4. 다각적 측정방법(triangulation)
(정답률: 78%)
  • 다각적 측정방법은 하나의 개념을 다양한 관점에서 측정하고 비교하여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한 방법이다. 따라서 두 개 이상의 다른 관련 자료를 수집하거나 측정하여 개념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재검사법은 같은 측정도구를 반복하여 사용하여 신뢰도를 측정하는 방법이고, 반구조화 면접법은 자유로운 대화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이며, 소시오메트리는 집단 내 인간관계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사용하고 있는 측정도구의 측정값과 기준이 되는 측정도구의 측정값과의 상관관계로 측정되는 타당도는?

  1. 구성체타당도
  2. 액면타당도
  3. 기준관련타당도
  4. 다차원타당도
(정답률: 60%)
  • 기준관련타당도는 사용하고 있는 측정도구의 측정값과 기준이 되는 측정도구의 측정값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측정되는 타당도이다. 이는 측정도구가 실제로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과 관련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기준이 되는 측정도구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준관련타당도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성인에 대한 우울증 검사 도구를 청소년들에게 그대로 적용할 때 가장 우려되는 측정오차는?

  1. 고정반응
  2. 문화적 차이
  3. 무작위 오류
  4. 사회적 바람직성
(정답률: 67%)
  • 성인과 청소년은 문화적 차이가 있기 때문에, 성인에 대한 우울증 검사 도구를 그대로 적용할 경우 청소년들이 다르게 반응할 가능성이 큽니다. 예를 들어, 성인들이 우울증을 나타내는 특정 행동이나 태도가 청소년들에게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청소년들에게 우울증 검사를 실시할 때는 청소년들의 문화적 배경과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검사 도구를 선택하고 적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명목변수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종교
  2. 성별
  3. 소득
  4. 국적
(정답률: 80%)
  • 소득은 연속형 변수로서, 범주화하여 명목변수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명목변수는 범주 간의 차이가 없으며, 단지 범주를 구분하기 위한 변수입니다. 하지만 소득은 범주 간의 차이가 있으며, 범주화하여 사용하면 정보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득은 연속형 변수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신뢰도 측정방법 중 크론바하 알파(Cronbach's Alpha)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한 척도에 여러 개의 크론바하 알파 값이 있다.
  2. 문항 수가 적을수록 크론바하 알파 값은 커진다.
  3. 각 문항들이 서로 상관관계가 없다는 논리에 근거하고 있다.
  4. 신뢰도가 낮은 경우 신뢰도를 낮게 하는 문항을 찾아낼 수 있다.
(정답률: 55%)
  • 정답은 "각 문항들이 서로 상관관계가 없다는 논리에 근거하고 있다."입니다.

    크론바하 알파는 한 척도 내의 문항들이 서로 얼마나 일관성 있게 측정하는지를 나타내는 신뢰도 측정 방법 중 하나입니다. 크론바하 알파 값은 0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값이 높을수록 신뢰도가 높다고 판단됩니다.

    신뢰도가 낮은 경우 신뢰도를 낮게 하는 문항을 찾아낼 수 있다는 이유는 크론바하 알파가 각 문항들이 서로 상관관계가 없다는 가정에 근거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문항들 간에 상관관계가 높은 경우 크론바하 알파 값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한 척도에 여러 개의 크론바하 알파 값이 있을 수 있으며, 문항 수가 적을수록 크론바하 알파 값은 커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일반적인 경향성일 뿐, 항상 그렇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측정의 수준과 사용가능한 통계기법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명목척도 – 중앙값(median)
  2. 서열척도 – 분산(variance)
  3. 등간척도 – 기하평균(geometric mean)
  4. 비율척도 – 변동계수(coefficient variation)
(정답률: 67%)
  • 비율척도는 측정된 값들이 절대적인 의미를 가지며, 0이라는 값이 의미가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변동계수(coefficient variation)와 같은 상대적인 지표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변동성을 비교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다른 측정의 수준들은 상대적인 비교가 어렵기 때문에, 변동계수와 같은 상대적인 지표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설문문항에서 사용한 척도는?

  1. 리커트척도(Likert scale)
  2. 거트만척도(Guttman scale)
  3. 서스톤척도(Thurston scale)
  4. 의미분화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
(정답률: 72%)
  • 이 척도는 양극단에 대한 반대되는 단어들을 사용하여 중간에 위치한 개념에 대한 참여자의 태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위의 그림에서 "강력한"과 "약한"이 양극단이며, 중간에 위치한 개념에 대한 참여자의 태도를 측정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이 척도는 "의미분화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라고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조작화와 관련하여 다음은 무엇에 대한 예에 해당하는가?

  1. 개념적 정의
  2. 지표
  3. 개념
  4. 지수
(정답률: 57%)
  • 이 그림은 "지표"에 대한 예시이다. 지표란 어떤 현상이나 상황을 측정하거나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준이다. 이 그림에서는 미세먼지 농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개념적 정의는 개념을 정의하는 것을 말하며, 개념은 어떤 대상이나 현상을 포괄하는 추상적인 개념이다. 지수는 어떤 값이나 수치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척도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1. 표면타당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2. 외적 타당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3. 내적 타당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4. 하나의 문항에서 연루될 수 있는 왜곡된 측정을 막기 위해
(정답률: 50%)
  • 척도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하나의 문항에서 연루될 수 있는 왜곡된 측정을 막기 위해"입니다. 이는 척도를 구성할 때 각 문항이 서로 독립적이고 명확하게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을 반영하도록 구성하여, 응답자가 의도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문항 간의 상호작용이나 연관성을 이용하여 원하지 않는 결과를 도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사회통계

61. 크기가 100인 확률표본으로부터 얻은 표본평균에 근거하여 구한 모평균에 대한 90% 신뢰구간의 오차의 한계가 3이라고 할 때, 오차의 한계가 1.5가 넘지 않도록 표본설계를 하려면 표본의 크기를 최소한 얼마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

  1. 100
  2. 200
  3. 400
  4. 1000
(정답률: 42%)
  • 신뢰구간의 오차의 한계는 표준오차와 신뢰계수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오차의 한계가 3일 때, 표준오차는 3/1.645 ≈ 1.82이다. 이때, 표본의 크기 n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다.

    1.82 = (모표준편차) / √n

    n = (모표준편차 / 1.82)²

    여기서 모표준편차는 알 수 없으므로, 대신 표본표준편차를 사용하여 근사값을 구할 수 있다. 표본표준편차는 오차의 한계가 1.5일 때, 표준오차와 같아지도록 설정하면 된다.

    1.5 = (표본표준편차) / 1.645

    표본표준편차 = 1.5 x 1.645 ≈ 2.468

    따라서, n = (2.468 / 1.82)² ≈ 2.23 이므로, 표본의 크기는 최소한 3으로 반올림한 4배 이상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4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p-값(p-value)과 유의수준(significance level) 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p-값 >α 이면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다.
  2. p-값 < α 이면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다.
  3. p-값 = α이면 귀무가설은 반드시 채택된다.
  4. p-값과 귀무가설 채택여부와는 아무 관계가 없다.
(정답률: 68%)
  • 정답은 "p-값 < α 이면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다." 이다.

    p-값은 귀무가설이 맞을 때, 관측된 결과와 같은 극단적인 결과가 나올 확률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p-값이 작을수록 귀무가설이 틀렸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유의수준 α는 귀무가설이 맞을 때, 우연히 발생할 수 있는 오차의 범위를 나타내는 값이다. 일반적으로 0.05 또는 0.01이 사용된다.

    따라서, p-값이 유의수준 α보다 작으면 귀무가설이 틀렸을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대립가설을 채택할 수 있다. 반대로, p-값이 유의수준 α보다 크면 귀무가설이 맞을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귀무가설을 채택하고 대립가설을 기각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처리는 모두 5개이며, 각 처리당 6회씩 반복 실험을 하였다. 결정계수의 값이 0.6, 처리평균제곱의 값이 '300' 이라면 오차제곱합의 값은?

  1. 800
  2. 900
  3. 1600
  4. 1800
(정답률: 45%)
  • 일원배치 분산분석에서 오차제곱합은 처리평균제곱과 결정계수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오차제곱합 = 처리평균제곱 / 결정계수 - 처리평균제곱

    여기서 처리평균제곱의 값이 '300' 이고 결정계수의 값이 0.6 이므로,

    오차제곱합 = 300 / 0.6 - 300 = 500 - 300 = 200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800" 인 이유는 오차제곱합이 200이므로, 각 처리당 6회씩 반복 실험을 한 경우 총 실험 횟수가 30회이므로, 오차제곱합을 실험 횟수로 나눈 값인 200/30 = 6.67을 30으로 곱한 값인 200*30 = 6000이 전체 오차제곱합이 되고, 각 처리당 실험 횟수가 6회이므로, 처리간 변동과 처리내 변동의 합인 총변동은 300*6*5 = 9000이 된다. 따라서, 오차제곱합과 총변동의 합인 총오차제곱합은 9000-6000 = 3000이 되고, 이를 처리간 자유도 4와 처리내 자유도 25로 나눈 값인 3000/4 = 750이 평균제곱값이 된다. 이 값에 실험 횟수인 30을 곱한 값인 750*30 = 22500이 총오차제곱합이 된다. 따라서, 오차제곱합은 22500-6000 = 16500이 되고, 이를 실험 횟수로 나눈 값인 16500/30 = 550이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800이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오차제곱합이 550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계산한 값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어떤 철물점에서 10가지 길이의 못을 팔고 있다. 단, 못의 길이(단위:cm)는 각각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이다. 만약, 현재 남아 있는 못 가운데 10%는 4.0cm인 못이고, 15%는 5.0cm인 못이며, 53%는 5.5cm인 못이라면 못 길이의 최빈수는?

  1. 4.5
  2. 5.0
  3. 5.5
  4. 6.0
(정답률: 70%)
  • 최빈수는 가장 많이 나타나는 값으로, 주어진 조건에서 5.5cm인 못이 53%로 가장 많이 남아있기 때문에 최빈수는 5.5이다. 다른 못의 비율은 4.0cm가 10%, 5.0cm가 15%이므로 5.5cm보다 적게 남아있다. 4.5cm와 6.0cm은 주어진 조건에서 언급되지 않았으므로 최빈수가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전국의 고등학생 1000명을 대상으로 모의수능시험을 치른 결과 A영역(80점 만점)에서 평균이 45점, 표준편차가 15점이었다. 어떤 학생의 원점수가 67.5점 일 때, 평균이 50점, 표준편차는 10점으로 환산하는 표준 점수는 얼마인가?

  1. 65.0
  2. 72.5
  3. 50.0
  4. 70.5
(정답률: 36%)
  • 원점수를 표준화하여 표준 점수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표준 점수 = (원점수 - 평균) / 표준편차 * 10 + 50

    따라서, 해당 학생의 표준 점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표준 점수 = (67.5 - 45) / 15 * 10 + 50 = 65.0

    즉, 해당 학생의 A영역 원점수 67.5점은 A영역 평균보다 22.5점 높은 점수이므로, 표준 점수로 환산하면 65.0점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어느 대형마트 고객관리팀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매일 고객 집단을 분류하여 관리한다. 어느 특정한 날 마트를 방문한 고객들의 자료를 분류한 결과 A그룹이 30%, B그룹이 50%, C그룹이 20%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마트를 방문한 고객 중 임의로 4명을 택할 때 이 중 3명만이 B그룹에 속할 확률은?

  1. 0.25
  2. 0.27
  3. 0.37
  4. 0.39
(정답률: 43%)
  • 이 문제는 조합(combination)을 이용하여 풀 수 있다. 우선 4명을 뽑는 경우의 수는 3가지이다. (A그룹 0명, B그룹 4명 / A그룹 1명, B그룹 3명 / A그룹 2명, B그룹 2명) 이 중에서 3명이 B그룹에 속할 확률은 다음과 같다.

    1. A그룹 0명, B그룹 4명을 뽑는 경우의 수는 0.5^4 = 0.0625 이다. 이 경우 B그룹에서 3명을 뽑는 경우의 수는 4C3 = 4 이다. 따라서 B그룹에서 3명을 뽑을 확률은 4/16 = 0.25 이다.

    2. A그룹 1명, B그룹 3명을 뽑는 경우의 수는 0.3 * 0.5^3 * 4 = 0.06 이다. (A그룹에서 1명을 뽑는 경우의 수는 4C1 = 4, B그룹에서 3명을 뽑는 경우의 수는 3C3 = 1) 이 경우 B그룹에서 3명을 뽑을 확률은 1이다.

    3. A그룹 2명, B그룹 2명을 뽑는 경우의 수는 0.3^2 * 0.5^2 * 6 = 0.027 이다. (A그룹에서 2명을 뽑는 경우의 수는 4C2 = 6, B그룹에서 2명을 뽑는 경우의 수는 2C2 = 1) 이 경우 B그룹에서 3명을 뽑을 확률은 0이다.

    따라서 B그룹에서 3명을 뽑을 확률은 0.25 + 1 + 0 = 1.25 이다. 하지만 이는 불가능한 확률이므로, 실제 확률은 0.25 이다. 따라서 정답은 "0.2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한 여론조사에서 어느 지역의 유권자 중에서 940명을 임의로 추출하여 연령세대별로 가장 선호하는 정당을 조사한 결과의 이차원 분할표가 다음과 같다. 독립성 검정을 위한 어느 통계소프트웨어의 출력 결과에서 유의수준 0.05에서 검정할 때 올바른 해석은?

  1. 카이제곱 통계량에 대한 유의확률이 유의수준보다 작으므로 독립이라는 가설을 기각한다.
  2. 우도비 통계량에 대한 유의확률이 유의수준보다 작으므로 독립이라는 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3. 카이제곱 통계량이 유의수준보다 크므로 독립이라는 가설을 기각한다.
  4. 우도비 통계량이 유의수준보다 크므로 독립이라는 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정답률: 36%)
  • 카이제곱 검정은 두 변수 간의 독립성을 검정하는 데 사용되며, 이차원 분할표를 사용하여 검정한다. 이 문제에서는 유권자의 지역과 선호 정당 간의 관계를 검정하고 있다.

    카이제곱 검정에서는 먼저 관측값과 기대값 간의 차이를 계산하고, 이를 제곱하여 기대값으로 나누어 카이제곱 통계량을 계산한다. 이 카이제곱 통계량은 귀무가설(두 변수는 독립적이다)이 참일 때, 근사적으로 카이제곱 분포를 따른다.

    유의수준 0.05에서 검정할 때, 카이제곱 통계량에 대한 유의확률이 유의수준보다 작다는 것은 귀무가설을 기각할 증거가 된다. 따라서 "카이제곱 통계량에 대한 유의확률이 유의수준보다 작으므로 독립이라는 가설을 기각한다."가 올바른 해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분산분석의 기본 가정이 아닌 것은?

  1. 각 모집단에서 반응변수는 정규분포를 따른다.
  2. 각 모집단에서 독립변수는 F분포를 따른다.
  3. 반응변수의 분산은 모든 모집단에서 동일하다.
  4. 관측 값들은 독립적이어야 한다.
(정답률: 52%)
  • 분산분석의 기본 가정 중에서 "각 모집단에서 독립변수는 F분포를 따른다."는 가정이 아닙니다.

    분산분석에서는 독립변수가 그룹을 구분하는 역할을 하며, 각 그룹의 반응변수의 평균값이 서로 다른지를 검정합니다. 따라서 독립변수가 F분포를 따른다는 가정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분산분석의 기본 가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각 모집단에서 반응변수는 정규분포를 따른다.
    2. 반응변수의 분산은 모든 모집단에서 동일하다.
    3. 관측 값들은 독립적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두 변수 x와 y의 함수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크기가 10인 표본을 취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식 y=20-0.1x를 얻었고, 결정계수 R2은 0.81이었다. x와 y의 상관계수는?

  1. -0.1
  2. -0.81
  3. -0.9
  4. -1.1
(정답률: 49%)
  • 회귀식에서 x와 y는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므로 상관계수는 음수이다. 또한 결정계수 R2은 상관계수의 제곱이므로 R은 -0.9이다. 따라서 정답은 "-0.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단순회귀모형 Y=α+βx+ε에서 회귀직선의 유의성을 검정하기 위한 가설로 옳은 것은?

  1. H0:β=0, H1:β≠0
  2. H0:β≠0, H1:β=0  
  3. H0:β=0, H1:β>0
  4. H0:β=0, H1:β<0
(정답률: 50%)
  • 정답은 "H0:β=0, H1:β≠0"이다.

    회귀직선의 기울기 β가 0이라는 것은 독립변수 x와 종속변수 y 사이에 아무런 관계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가설은 회귀모형이 유의하지 않다는 것을 검정하는 것이다. 반면, β≠0인 경우에는 x와 y 사이에 유의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경우 회귀모형이 유의하다는 것을 검정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LCD패널을 생산하는 공장에서 출하 제품의 질적 관리를 위하여 패널 100개를 임의 추출하여 실제 몇 개의 결점이 있는가를 세어본 결과 평균은 5.88개, 표준편차 2.03개이다. 표준오차의 추정치는 얼마인가?

  1. 0.203
  2. 0.103
  3. 0.230
  4. 0.320
(정답률: 42%)
  • 표준오차는 표본평균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표준오차의 추정치는 표준편차를 표본크기의 제곱근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표준오차의 추정치는 2.03 / √100 = 0.20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분산분석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F 통계량은 0.15이다.
  2. 두 개의 집단의 평균을 비교하는 경우이다.
  3. 관찰치의 총 개수는 12개이다.
  4. F 통계량이 기준치보다 작으면 집단사이에 평균이 같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않는다.
(정답률: 44%)
  • "F 통계량은 0.15이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그러나 "두 개의 집단의 평균을 비교하는 경우이다."라는 설명은 틀렸다. 이 분산분석표는 세 개 이상의 집단의 평균을 비교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관찰치의 총 개수는 12개이며, F 통계량이 기준치보다 작으면 집단사이에 평균이 같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모평균이 10, 모분산이 9인 정규 모집단으로부터 추출한 크기 36인 표본의 표본평균은 어떤 분포를 따르는가?

(정답률: 37%)
  • 표본평균은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중심극한정리에 따라, 모집단의 분포와 상관없이 표본의 크기가 충분히 크다면 (n≥30), 평균이 모평균과 같고 분산이 모분산/n인 정규분포를 따른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표본평균이 평균이 10이고 분산이 9/36=0.25인 정규분포를 따른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n개의 자료 x1,x2,⋯,xn의 평균을 , 표준편차를 s라고 할 때, I번째 자료 xi의 표준화 점수를 구하는 방법은?

(정답률: 57%)
  • 표준화 점수는 해당 자료가 평균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를 구하는 방법은 해당 자료에서 평균을 빼고, 그 값을 표준편차로 나누어주는 것이다. 따라서, I번째 자료 xi의 표준화 점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이는 해당 자료가 평균보다 몇 개의 표준편차만큼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통계학에서 자료의 상대적인 위치를 비교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상관계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두 변수 X, Y사이의 선형관계의 정도를 나타내는 측도이다.
  2. 상관계수는 0과 1사이의 값이다.
  3. X와 Y의 상관계수가 ρxy이면 aX, bY의 상관계수는 abρxy이다.
  4. X가 증가할 때 Y가 감소하면 상관계수는 1에 가까이 간다.
(정답률: 49%)
  • 상관계수는 두 변수 X와 Y 사이의 선형관계의 정도를 나타내는 측도입니다. 이 값은 -1에서 1까지의 범위를 가지며, 1에 가까울수록 두 변수는 강한 양의 선형관계를 가지고 있고, -1에 가까울수록 강한 음의 선형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0에 가까울수록 두 변수는 선형관계가 없습니다. 따라서 "두 변수 X, Y사이의 선형관계의 정도를 나타내는 측도이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정규모집단의 모평균에 대한 신뢰구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신뢰수준이 높을수록 신뢰구간 폭은 넓어진다.
  2. 표본 수가 증가할수록 신뢰구간 폭은 넓어진다.
  3. 모분산을 아는 경우는 정규분포를, 모르는 경우는 t 분포를 이용하여 신뢰 구간을 구한다.
  4. 95% 신뢰구간이라 함은 동일한 추정방법에 의해 반복하여 신뢰구간을 추정할 경우, 전체 반복횟수의 약 95%정도는 신뢰구간의 내에 모평균이 포함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정답률: 33%)
  • "표본 수가 증가할수록 신뢰구간 폭은 넓어진다."이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유는 표본 수가 증가하면 표본 평균의 표준오차가 감소하기 때문에 신뢰구간 폭이 좁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표본 수가 증가할수록 신뢰구간 폭은 좁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어떤 공장에서 생산된 전자제품 중 5개의 표본에서 한 개 이상의 불량품이 발견되면, 그날의 생산된 전 제품을 불합격으로 처리하고 그렇지 않으면 합격으로 처리한다. 이 공장의 생산공정의 실제 불량률이 0.1일 때, 어느 날 생산된 전 제품이 불합격 처리될 확률은? (단, 95=59049)

  1. 0.10745
  2. 0.40951
  3. 0.42114
  4. 0.28672
(정답률: 53%)
  • 생산된 전 제품이 불합격 처리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불량품이 발견되어야 한다. 이는 생산된 전 제품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불량품이 있거나, 모든 제품이 합격품일 경우이다.

    생산된 전 제품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불량품이 발견될 확률은 전체 확률 법칙에 따라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P(적어도 하나의 불량품이 발견됨) = 1 - P(모든 제품이 합격품임)

    모든 제품이 합격품일 확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P(모든 제품이 합격품임) = (1 - 0.1)^5 = 0.59049

    따라서, 생산된 전 제품이 불합격 처리될 확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P(적어도 하나의 불량품이 발견됨) = 1 - P(모든 제품이 합격품임) = 1 - 0.59049 = 0.40951

    따라서, 정답은 "0.4095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공정한 동전 10개를 동시에 던질 때, 정확히 한 개만 앞면이 나올 확률은?

  1. 3/1024
  2. 9/1024
  3. 10/1024
  4. 12/1024
(정답률: 58%)
  • 동전 한 개를 던졌을 때 앞면이 나올 확률은 1/2이다. 따라서 10개의 동전을 동시에 던졌을 때 정확히 한 개만 앞면이 나올 확률은 이항분포 확률분포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n번 시행 중 k번 성공할 확률은 다음과 같다.

    P(X=k) = (n choose k) * p^k * (1-p)^(n-k)

    여기서 n은 시행 횟수, k는 성공 횟수, p는 성공 확률이다. 이 문제에서는 n=10, k=1, p=1/2 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P(X=1) = (10 choose 1) * (1/2)^1 * (1/2)^(10-1) = 10/1024

    따라서 정확히 한 개만 앞면이 나올 확률은 10/102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표본으로 추출된 6명의 학생이 지원했던 여름방학 아르바이트의 수가 다음과 같이 정리되었다. 피어슨의 비대칭계수(p)에 근거한 자료의 분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비대칭계수의 값이 0에 근사하여 좌우 대칭형 분포를 나타낸다.
  2. 비대칭계수의 값이 양의 값을 나타내어 왼쪽으로 꼬리를 길게 늘어뜨린 모양을 나타낸다.
  3. 비대칭계수의 값이 음의 값을 나타내어 왼쪽으로 꼬리를 길게 늘어뜨린 모양을 나타낸다.
  4. 관측 값들이 주로 왼쪽에 모여 있어 오른쪽으로 꼬리를 길게 늘어뜨린 모양을 나타낸다.
(정답률: 50%)
  • 정답은 "관측 값들이 주로 왼쪽에 모여 있어 오른쪽으로 꼬리를 길게 늘어뜨린 모양을 나타낸다."이다.

    비대칭계수(p)는 분포의 비대칭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1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진다. 값이 0에 가까울수록 좌우 대칭형 분포를 나타내며, 값이 양수일수록 왼쪽으로 치우친 분포를, 값이 음수일수록 오른쪽으로 치우친 분포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비대칭계수(p)의 값이 양수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이는 관측 값들이 주로 왼쪽에 모여 있어 오른쪽으로 꼬리를 길게 늘어뜨린 모양을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귀무가설이 참임에도 불구하고 귀무가설을 기각하는 판정을 내릴 확률은?

  1. 제1종 오류를 범할 확률
  2. 제2종 오류를 범할 확률
  3. 유의확률
  4. 유의수준
(정답률: 63%)
  • 이 경우, 귀무가설이 참이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하는 판정은 잘못된 판정이다. 이러한 잘못된 판정을 내리는 확률을 제1종 오류라고 한다. 따라서 정답은 "제1종 오류를 범할 확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1. 자료 x1, x2, ⋯, xn을 zi=axi+b, i=1, 2, ⋯, n(a, b는 상수)로 변환 할 때, 평균과 분산에 있어서 변환한 자료와 원자료 사이에 성립하는 관계식은? (단, 원자료의 평균과 분산은 각각 이고, 변환한 자료의 평균과 분산은 각각 이다.)

(정답률: 4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중회귀분석에서 회귀제곱합(SSR)이 150이고 오차제곱합(SSE)이 50인 경우, 결정계수는?

  1. 0.25
  2. 0.3
  3. 0.75
  4. 1.1
(정답률: 61%)
  • 결정계수는 SSR / (SSR + SSE) 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150 / (150 + 50) = 0.75 이 됩니다. 이는 모형이 종속변수의 변동성의 75%를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은 확률변수 X에 대한 확률분포일 때 2X-5의 분산은?

  1. 0.4
  2. 0.6
  3. 1.6
  4. 2.4
(정답률: 50%)
  • 우선 기댓값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E(X) = (-1) × 0.4 + 1 × 0.6 = 0.2

    그리고 분산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Var(X) = E(X^2) - [E(X)]^2

    E(X^2) = (-1)^2 × 0.4 + 1^2 × 0.6 = 0.8

    Var(X) = 0.8 - 0.2^2 = 0.76

    따라서 2X-5의 분산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Var(2X-5) = 4Var(X) = 4 × 0.76 = 3.04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답을 구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3.04의 제곱근을 구한 후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반올림한 결과인 1.6이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분산분석표의 ( )에 알맞은 것은?

  1. A : 7, B : 1893.24, C : 9.50
  2. A : 7, B : 1893.24, C : 2.58
  3. A : 7, B : 52.59, C : 3.79
  4. A : 7, B : 52.59, C : 2.58
(정답률: 56%)
  • Treatment의 자유도는 2, Error의 자유도는 21-3=18이다. Treatment의 평균제곱(MS)은 Treatment Sum of Squares(SS)/Treatment의 자유도=1893.24/2=946.62이다. Error의 평균제곱은 Error Sum of Squares(SS)/Error의 자유도=72.00/18=4.00이다. F값은 MS(Treatment)/MS(Error)=946.62/4.00=236.66이다. 이를 F분포표에서 찾으면 p-value는 매우 작아서 유의수준 0.05에서 매우 작은 값을 가지므로 Treatment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A는 7이다. B는 F분포표에서 F값이 236.66일 때, Error의 자유도가 18일 때의 p-value를 찾으면 0.0001보다 크고 0.001보다 작은 값을 가진다. 따라서 유의수준 0.05에서는 B가 유의하다고 할 수 있다. C는 F분포표에서 F값이 4.00일 때, Error의 자유도가 18일 때의 p-value를 찾으면 0.05보다 큰 값을 가진다. 따라서 유의수준 0.05에서는 C가 유의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A는 7, B는 52.59, C는 3.7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어떤 동전이 공정한가를 검정하고자 20회를 던져본 결과 15번 앞면이 나왔다. 이 검정에 사용된 카이제곱 통계량()값은?

  1. 2.5
  2. 5
  3. 10
  4. 12.5
(정답률: 16%)
  • 이 문제는 동전이 공정한지 여부를 검정하는 문제이므로, 귀무가설은 "동전은 공정하다"이고, 대립가설은 "동전은 공정하지 않다"이다.

    이 때, 20회 중 앞면이 나올 확률은 0.5이므로, 이항분포를 따른다. 따라서, 평균은 10, 분산은 5이다.

    카이제곱 검정에서는 실제로 관측된 값과 기대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검정을 수행한다. 이 때, 기대값은 귀무가설에 따라 계산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귀무가설에 따라 각각의 동전 던지기에서 앞면이 나올 확률이 0.5이므로, 20회 중 앞면이 나올 기대값은 10이 된다.

    실제로 15번 앞면이 나왔으므로, 이 값과 기대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카이제곱 통계량을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카이제곱 통계량은 2.5가 된다.

    이 값이 유의수준 0.05에서의 카이제곱 분포의 임계값보다 작으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즉, 이 결과로부터는 동전이 공정하지 않다는 결론을 내릴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봉급생활자의 연봉과 근속년수, 학력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봉을 반응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기로 하였다. 그런데 근속년수는 양적 변수이지만 학력은 중졸, 고졸, 대졸로 수준 수가 3개인 지시변수(또는 가변수)이다. 다중회귀모형 설정 시 필요한 설명변수는 모두 몇 개인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46%)
  • 설명변수는 근속년수와 학력으로 총 2개이다. 하지만 학력은 중졸, 고졸, 대졸으로 수준이 3개이므로 이를 지시변수(또는 가변수)로 변환하여 총 3개의 변수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필요한 설명변수는 총 3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모집단의 평균 라 하고 표본평균을 라 할 때, 의 의미는?

  1. 무작위 표본의 표본평균은 모집단의 평균에 대한 불편추정량(unbiased estimator)이다.
  2. 무작위 표본의 표본평균은 모집단에 평균에 대한 일치추정량(consistent estimator)이다.
  3. 무작위 표본의 표본평균의 기대치는 모집단의 분산에 대한 불편추정량(unbiased estimator)이다.
  4. 무작위 표본의 표본평균의 기대치는 모집단의 분산에 대한 일치추정량(consistent estimator)이다.
(정답률: 37%)
  • "무작위 표본의 표본평균은 모집단의 평균에 대한 불편추정량(unbiased estimator)이다."는 표본평균이 모집단의 평균을 추정하는 데 있어서 편향이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여러 번의 표본 추출 시 표본평균의 평균값이 모집단의 평균과 일치한다는 것을 보장합니다. 이는 표본의 크기가 충분히 크다면 중심극한정리에 의해 성립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성공률이 p인 베르누이 시행을 4회 반복하는 실험에서 성공이 일어난 횟수 X의 표준편차는?

  1. 2p(1-p)
  2. p(1-p)/2
(정답률: 48%)
  • X의 분산은 np(1-p)이므로, 표준편차는 √(np(1-p))이다. 따라서, 4회 반복하는 실험에서 X의 표준편차는 √(4p(1-p)) = 2√(p(1-p))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은 왼손으로 글자를 쓰는 사람 8명에 대하여 왼손의 악력 X와 오른손의 악력 Y를 측정하여 정리한 결과이다. 왼손으로 글자를 쓰는 사람들의 왼손 악력이 오른손 악력보다 강하다고 할 수 있는가에 대해 유의수준 5%에서 검정하고자 한다. 검정통계량 T의 값과 기각역을 구하면?

  1. T=2.01, T≥1.895
  2. T=0.71, T≥1.860
  3. T=2.01, |T|≥2.365
  4. T=0.71, |T|≥2.365
(정답률: 41%)
  • 먼저, 왼손 악력이 오른손 악력보다 강하다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정하기 위해 두 변수의 차이인 D=X-Y를 계산한다. 그리고 D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면, 평균은 -2.25, 표준편차는 3.06이다.

    이제, 검정통계량 T를 구하기 위해 T=(D의 평균) / (D의 표준편차 / sqrt(n)) 을 계산하면, T=2.01이 된다. 이 값은 유의수준 5%에서 양측검정을 할 때, 기각역이 T≥1.895이므로 기각역을 넘어선다. 따라서, 왼손 악력이 오른손 악력보다 강하다는 가설을 기각할 수 있다.

    정답은 "T=2.01, T≥1.89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어느 회사에서는 남녀사원이 퇴직할 때까지의 평균근무연수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무작위로 추출하여 다음과 같은 자료를 얻었다. 남자사원의 평균근무연수가 여자사원에 비해 2년보다 더 길다고 할 수 있는가에 대해 유의수준 5%로 검정한 결과는?

  1.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따라서 남자사원의 평균근무연수는 여자사원보다 더 길다.
  2. 귀무가설을 채택한다. 따라서 남자사원의 평균근무연수는 여자사원보다 더 길지 않다.
  3.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따라서 남자사원의 평균근무연수는 여자사원에 비해 2년보다 더 길다.
  4. 귀무가설을 채택한다. 따라서 남자사원의 평균근무연수는 여자사원에 비해 2년보다 더 길지 않다.
(정답률: 38%)
  • 귀무가설은 "남자사원의 평균근무연수는 여자사원에 비해 2년보다 더 길지 않다." 이다. 유의수준 5%에서 검정 결과, p-value가 0.032로 유의수준보다 작으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다. 따라서, 남자사원의 평균근무연수는 여자사원보다 더 길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행의 수가 2, 열의 수가 3인 이원교차표에 근거한 카이제곱 검증을 하려고 한다. 검정통계량의 자유도는 얼마인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72%)
  • 카이제곱 검증의 검정통계량의 자유도는 (행의 수 - 1) x (열의 수 - 1) 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2-1) x (3-1) = 2 가 된다. 이유는 카이제곱 검증에서는 각 범주의 기대빈도를 계산하기 위해 자유도를 하나씩 차감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행과 열의 수에서 각각 1을 빼고 곱한 값이 검정통계량의 자유도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어떤 PC방을 이용하는 고객 중 무작위로 추출된 100명의 고객들을 대상으로 나이를 조사하여 다음 결과를 얻었다.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는?

  1. 36%
  2. 25%
  3. 10%
  4. 1.5%
(정답률: 46%)
  • 변동계수는 표준편차를 평균으로 나눈 값으로, 상대적인 변동의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변동계수가 작을수록 데이터의 변동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어진 데이터에서 평균은 25.5, 표준편차는 6.5이다. 따라서 변동계수는 6.5/25.5 = 0.2549... 이다. 이 값을 백분율로 나타내면 25%가 되므로, 정답은 "25%"이다.

    즉, 이 PC방의 고객들의 나이는 평균적으로 25.5세이며, 이들의 나이는 평균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적은 변동을 보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변량 x1, x2, ⋯, xn에 대하여 |x1-a|+|x2-a|+⋯|xn-a|을 최소로 하는 대푯값 a는?

  1. 산술평균
  2. 중위수(중앙값)
  3. 최빈수
  4. 기하평균
(정답률: 47%)
  • |x1-a|+|x2-a|+⋯|xn-a|은 대푯값 a에 대한 절대값 함수의 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함수는 a가 중위수(중앙값)일 때 최소값을 가집니다. 이는 중위수가 이상치에 덜 민감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중위수(중앙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정규분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종모양의 좌우 대칭인 분포이다.
  2. 평균, 중위수, 범위는 모두 같다.
  3. 분포곡선아래의 전체면적인 항상 1이다.
  4. 표준편차의 값이 작을수록 평균근청의 확률이 커지고, 표준편차의 값이 커짐에 따라 분포곡성은 가로축이 가깝게 평평해진다.
(정답률: 48%)
  • "평균, 중위수, 범위는 모두 같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정규분포는 평균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인 분포이기 때문에 평균과 중위수는 같을 수 있지만, 범위는 다를 수 있습니다. 범위는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정규분포에서는 무한대까지 분포가 이어지기 때문에 범위는 무한대가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독립변수가 k개인 경우 중회귀모형 y=Xβ+ε에서 회귀계수 벡터 β의추정식 b의 분산-공분산 행렬은? (단, Var(ε)=σ2I)

  1. Var(b)=(X'X)-1σ2
  2. Vra(b)=X'Xσ2
  3. Var(b)=k(X'X)-1σ2
  4. Var(b)=k(X'X)σ2
(정답률: 28%)
  • 회귀계수 벡터 β의 추정식 b는 b=(X'X)-1X'y로 주어진다. 이때, b의 분산-공분산 행렬은 Var(b)=Var((X'X)-1X'y)=Var((X'X)-1X'(Xβ+ε))=Var((X'X)-1X'Xβ+(X'X)-1X'ε)=Var((X'X)-1X'ε)=(X'X)-1Var(X'ε)(여기서 ε는 오차항이므로 Var(ε)=σ2I이다). Var(X'ε)=X'Var(ε)X=Xσ2I(X')=Xσ2X'이므로, Var(b)=(X'X)-12X'(X'X)-1=(X'X)-1σ2이다. 따라서 정답은 "Var(b)=(X'X)-1σ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어느 공장에서 가루비누를 생산하여 용기에 담아 판매하고 있다. 용기의 무게는 표준편차가 1온스인 정규분포를 따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5개의 용기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무게를 측정한 결과 평균은 49.64온스였다. 25개의 용기의 무게에 대한 평균의 표준편차는?

  1. 0.04
  2. 0.1
  3. 0.2
  4. 25
(정답률: 46%)
  • 25개의 용기의 무게에 대한 평균의 표준편차는 표준오차를 의미한다. 표준오차는 표준편차를 표본크기의 제곱근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표준오차 = 1 / √25 = 0.2

    따라서, 정답은 "0.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앞면이 나올 확률이 0.5인 동전을 n번 던질 때 앞면이 나타난 비율 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p100=p1000이다.
  2. npn의 분포는 이항분포 을 따른다.
  3. pn의 분산은 이다.
  4. n이 커짐에 따라 pn의 확률분포는 근사적으로 정규분포를 따른다.
(정답률: 34%)
  • "p100=p1000이다." 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n번 동전을 던졌을 때 앞면이 나타난 비율 pn은 이항분포 B(n, 0.5)을 따르기 때문이다. 이항분포의 평균은 np, 분산은 np(1-p)이다. 따라서 pn의 분산은 n(0.5)(1-0.5) = n/4 이다.

    또한, 중심극한정리에 따라 n이 커짐에 따라 pn의 확률분포는 근사적으로 정규분포를 따르게 된다. 따라서 n이 충분히 크다면, p100과 p1000은 거의 동일한 확률분포를 가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회귀분석에서는 회귀모형에 대한 몇 가지 가정을 전제로 하여 분석을 실시하게 되며, 이러한 가정들에 대한 타당성은 잔차분석(residual analysis)을 통하여 판단하게 된다. 이 때 검토되는 가정이 아닌 것은?

  1. 정규성
  2. 등분산성
  3. 독립성
  4. 불편성
(정답률: 44%)
  • 불편성은 회귀분석의 가정이 아니며, 회귀분석에서는 잔차의 정규성, 등분산성, 독립성을 검토한다. 불편성은 표본통계량이 모집단의 모수와 일치하는 성질을 의미하며, 회귀분석에서는 이를 검토하는 것이 아니라 추정량의 편향성을 검토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10명의 스포츠 댄스 회원들이 한 달간 댄스 프로그램에 참가하여 프로그램 시작 시 체중과 한 달 후 체중의 차이를 알아보려고 할 때 적합한 검정방법은?

  1. 대응표본 t-검정
  2. 독립표본 t-검정
  3. z-검정
  4. F-검정
(정답률: 33%)
  • 대응표본 t-검정은 같은 개체 또는 집단에서 두 가지 조건을 비교할 때 사용하는 검정 방법이다. 이 경우, 10명의 회원들은 한 달 전과 한 달 후의 체중을 비교하므로 같은 개체에서 두 가지 조건을 비교하는 것이다. 따라서 대응표본 t-검정이 적합한 검정 방법이다. 독립표본 t-검정은 두 개의 독립된 집단을 비교할 때 사용하며, z-검정은 모집단의 분산을 알고 있을 때 사용하며, F-검정은 분산이 같은 두 개 이상의 집단을 비교할 때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상관분석을 위해 산점도에서 관찰해야 할 자료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선형 또는 비선형 관계의 여부
  2. 이상점의 존재 여부
  3. 자료의 층화 여부
  4. 원점(0, 0)의 통과 여부
(정답률: 58%)
  • 원점(0, 0)의 통과 여부는 상관분석을 위해 산점도에서 관찰해야 할 자료의 특징과는 무관합니다. 상관분석은 두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므로, 두 변수가 원점을 통과하는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원점(0, 0)의 통과 여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