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조사분석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5-25)

사회조사분석사 2급
(2014-05-2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사방법론 I

1. 양적연구와 질적 연구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양적연구는 연구대상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을 통하여 밝히는 연구이다.
  2. 질적 연구는 주관적ㆍ해석적 연구방법이다.
  3. 양적연구는 확인 지향적 또는 확증적 연구방법이다.
  4. 질적 연구는 강제적 측정과 통제된 측정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정답률: 69%)
  • "질적 연구는 강제적 측정과 통제된 측정을 이용하는 방법이다."는 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질적 연구는 주관적이고 해석적인 연구 방법으로, 강제적이거나 통제된 측정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질적 연구는 대개 인터뷰, 관찰, 참여 관찰 등을 통해 연구 대상의 경험, 태도, 행동 등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연구자의 주관적인 해석과 분석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반면 양적 연구는 통계적 분석을 통해 연구 대상의 관계를 확인하거나 확증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연구 대상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통제된 실험 디자인 등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사례에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표적인 내적타당도 저해요인은?

  1. 성숙효과(maturation)
  2. 외부사건(history)
  3. 검사효과(testing)
  4. 도구효과(instrumentation)
(정답률: 68%)
  • 이 사례에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표적인 내적타당도 저해요인은 "성숙효과(maturation)"입니다.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참가자들이 성숙하고 더 나은 결과를 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성숙효과는 연구 결과를 왜곡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연구 디자인에서 적절한 대조군을 사용하거나, 참가자들을 무작위로 배정하여 성숙효과를 균등하게 분산시키는 등의 대책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설문조사를 직접 실시하지 않고, 2차 자료를 사용할 때의 장점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1차 자료에 비해 신뢰도와 타당성이 보장된다.
  2. 설문조사를 시행하는 것보다 시간이 적게 든다.
  3. 설문조사를 시행하는 것보다 비용이 적게 든다.
  4. 누가 설문조사를 시행했느냐에 따라 최고 수준의 전문가들이 한 작업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정답률: 63%)
  • "1차 자료에 비해 신뢰도와 타당성이 보장된다."는 바르지 않은 것이다. 2차 자료는 이미 다른 사람이 수집한 자료를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자료의 신뢰도와 타당성은 원래 수집한 사람이나 조사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2차 자료를 사용할 때에도 출처와 조사 방법 등을 검토하여 신뢰도와 타당성을 확인해야 한다.

    "설문조사를 시행하는 것보다 시간이 적게 든다.", "설문조사를 시행하는 것보다 비용이 적게 든다.", "누가 설문조사를 시행했느냐에 따라 최고 수준의 전문가들이 한 작업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모두 2차 자료를 사용하는 장점으로서 옳은 것이다. 2차 자료를 사용하면 이미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절약되며, 전문가들이 수집한 자료를 사용할 경우 그들의 노하우와 경험을 활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질문지 작성원칙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질문은 간결하게 한다.
  2. 질문은 명확하게 한다.
  3. 응답자의 수준에 맞는 언어를 사용한다.
  4. 질문은 가치판단적이어야 한다.
(정답률: 77%)
  • "질문은 가치판단적이어야 한다."가 바르지 않은 것이다. 질문은 객관적이고 중립적이어야 하며, 가치판단은 응답자의 주관적인 견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질문은 가능한 한 객관적이고 중립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면접법의 장점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관찰을 병행할 수 있다.
  2. 신축성 있게 자료를 얻을 수 있다.
  3. 질문순서, 정보의 흐름을 통제할 수 있다.
  4. 익명성이 높아 솔직한 의견을 들을 수 있다.
(정답률: 75%)
  • 익명성이 높아 솔직한 의견을 들을 수 있다는 것은 면접법의 장점이 아니라 설문조사나 익명 설문조사의 장점이다. 면접법의 장점으로는 관찰을 병행할 수 있다, 신축성 있게 자료를 얻을 수 있다, 질문순서와 정보의 흐름을 통제할 수 있다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실험설계의 내적타당도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맞지 않은 것은?

  1. 특정사건의 영향
  2. 피실험자의 변화에 따른 영향
  3. 사전검사의 영향
  4. 반작용 효과
(정답률: 50%)
  • 반작용 효과는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상호작용이 실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실험설계의 내적타당도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약의 효과를 실험하기 위해 실험군과 대조군을 나누었을 때, 실험군에서는 약을 복용하고 대조군에서는 복용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합니다. 그러나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대조군에서도 약의 효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실험 결과를 해석하는 것이 어려워지며, 실험설계의 내적타당도가 저해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가설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가설은 검증될 수 있어야 한다.
  2. 가설은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어야 한다.
  3. 가설이 부인되었다면 반대되는 가설이 검증된 것이다.
  4. 가설은 변수로 구성되며, 그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어야 한다.
(정답률: 67%)
  • 가설이 부인되었다면 반대되는 가설이 검증된 것이 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가설이 부인되었다고 해서 그것의 반대되는 가설이 자동으로 검증되는 것은 아닙니다. 가설 검증은 실험적인 검증과 통계적 검증을 통해 이루어지며, 가설이 부정되었다면 그것의 대안으로 제시된 가설이 검증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관찰기법 분류에 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컴퓨터브랜드 선호도 조사를 위해 판매 매장과 비슷한 상황을 만들어 표본으로 선발된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을 선택하게 하여 행동을 관찰한다면 자연적 관찰이다.
  2. 응답자에게 자신이 관찰된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관찰하는 것은 공개적 관찰이다.
  3. 관찰할 내용이 미리 명확히 결정되어, 준비된 표준양식에 관찰 사실을 기록하는 것은 체계적 관찰이다.
  4.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PC방을 방문하여 이용 상황을 옆에서 직접 지켜본다면 직접관찰이다.
(정답률: 71%)
  • 정답: "컴퓨터브랜드 선호도 조사를 위해 판매 매장과 비슷한 상황을 만들어 표본으로 선발된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을 선택하게 하여 행동을 관찰한다면 자연적 관찰이다."

    해설: 자연적 관찰은 연구자가 행동을 강제하지 않고 자연적인 상황에서 관찰하는 것이다. 하지만 위의 예시는 연구자가 특정 상황을 만들어 행동을 유도하는 것이므로 자연적 관찰이 아니다. 따라서 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컴퓨터브랜드 선호도 조사를 위해 판매 매장과 비슷한 상황을 만들어 표본으로 선발된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을 선택하게 하여 행동을 관찰한다면 자연적 관찰이 아니다.

    응답자에게 자신이 관찰된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관찰하는 것은 공개적 관찰이다.

    관찰할 내용이 미리 명확히 결정되어, 준비된 표준양식에 관찰 사실을 기록하는 것은 체계적 관찰이다.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PC방을 방문하여 이용 상황을 옆에서 직접 지켜본다면 직접관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특정 연구대상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의견이나 태도가 변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조사기법으로 연구대상을 구성하는 동일한 단위집단에 대하여 상이한 시점에서 반복하여 조사하는 것은 무엇인가?

  1. 횡단조사
  2. 비교조사
  3. 패널조사
  4. 집단조사
(정답률: 72%)
  • 패널조사는 특정 연구대상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의견이나 태도가 변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조사기법으로, 연구대상을 구성하는 동일한 단위집단에 대하여 상이한 시점에서 반복하여 조사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패널조사는 시간적 변화를 파악하고자 할 때 유용한 조사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비행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 소년원 재소자를 중심으로”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분석단위는 무엇인가?

  1. 비행
  2. 결정요인
  3. 소년원
  4. 소년원 재소자
(정답률: 61%)
  • 분석단위는 "소년원 재소자"이다. 이는 논문 제목에서도 명시되어 있으며, 연구 대상이 소년원 재소자를 중심으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행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를 위해 소년원 재소자를 대상으로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설문지의 지시문에 들어갈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무엇인가?

  1. 연구목적
  2. 연구자 신분
  3. 응답자 특성
  4. 표집방법
(정답률: 53%)
  • 설문지의 지시문은 응답자들에게 어떤 정보를 수집하고자 하는지를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응답자 특성"입니다. 연구목적은 연구의 목표와 의도를 설명하고, 연구자 신분은 연구자의 신뢰성과 독립성을 보장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표집방법은 연구에서 사용된 데이터 수집 방법을 설명합니다. 반면에 응답자 특성은 설문조사에서 수집된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연구 결과를 해석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실증주의적 과학관에서 주장하는 과학적 지식의 특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무엇인가?

  1. 객관성(objectivity)
  2. 직관성(intuition)
  3. 재생가능성(reproducibility)
  4. 반증가능성(falsifiability)
(정답률: 61%)
  • 실증주의적 과학관에서는 과학적 지식은 객관적이고 재생가능하며 반증 가능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에 비해 직관성은 주관적인 경험과 느낌에 기반하여 형성되는 개인적인 지식이므로, 과학적 지식과는 거리가 멀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직관성은 과학적 지식의 검증과정에서 사용되지 않으며, 과학적 지식과는 별개의 개인적인 지식으로서 존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4가지 연구 가운데 시간적 범위가 다른 것은 무엇인가?

  1. 추이연구(trend studies)
  2. 동류집단연구(cohort studies)
  3. 패널연구(panel studies)
  4. 횡단적연구(cross-sectional studies)
(정답률: 69%)
  • 횡단적 연구(cross-sectional studies)는 특정 시점에서 여러 집단을 비교하는 연구이며, 다른 세 가지 연구는 시간적인 변화를 관찰하는 연구이기 때문에 시간적 범위가 다릅니다. 추이 연구는 시간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는 연구, 동류집단 연구는 특정 집단을 따라가며 시간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는 연구, 패널 연구는 동일한 집단을 일정 기간 동안 따라가며 시간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는 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연구결과 해석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오류 중 구체적인 개별 사례에 근거하여 거시적 사건을 설명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오류는 무엇인가?

  1. 생태학적 오류
  2. 개인주의적 오류
  3. 비표본 오류
  4. 체계적 오류
(정답률: 58%)
  • 개인주의적 오류는 개별 사례에 근거하여 일반적인 패턴을 설명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오류이다. 이는 특정한 개인의 경험, 성향, 편견 등이 연구 결과를 왜곡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거나 일반적인 패턴을 설명할 때는 개인주의적 오류를 피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가설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1. 지연 때문에 행정의 발전이 저해된다.
  2. 부모간의 불화가 소년범죄를 유발한다.
  3. 기업 경영은 근본적으로 인간이 결정한다.
  4. 도시 거주자들이 농어촌에 거주하는 사람들 보다 더 야당성향을 띤다.
(정답률: 73%)
  • "기업 경영은 근본적으로 인간이 결정한다." 가설이 적합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기업 경영은 인간의 의사결정에 따라 진행되며, 인간의 행동과 선택에 따라 기업의 성과가 결정된다. 따라서 "기업 경영은 근본적으로 인간이 결정한다."는 가설로서 적합하다.

    "지연 때문에 행정의 발전이 저해된다."는 원인과 결과 사이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설명하지 않으므로 가설로서 적합하지 않다.

    "부모간의 불화가 소년범죄를 유발한다."는 원인과 결과 사이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설명하고 있으므로 가설로서 적합하다.

    "도시 거주자들이 농어촌에 거주하는 사람들 보다 더 야당성향을 띤다."는 인과관계를 명확히 설명하지 않으므로 가설로서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관찰조사방법의 장점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비언어적 자료를 수집하는데 효과적이다.
  2. 장기적인 연구조사를 할 수 있다.
  3. 환경변수를 완벽하게 통제할 수 있다.
  4. 자연적인 연구 환경이 확보되기 쉽다.
(정답률: 61%)
  • 환경변수를 완벽하게 통제할 수 있다는 것은 인위적인 실험환경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실험의 변수를 제어하고, 결과를 일관성 있게 유지할 수 있어 연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는 관찰조사방법의 장점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과학적 연구에 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과학적 연구는 논리적 이론을 근거로 해서 진행된다.
  2. 과학적 연구는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목적으로 한다.
  3. 과학적 연구의 결과는 수정될 수 없는 것이어야 한다.
  4. 과학적 연구는 다른 연구자에 의해서도 검증이 가능해야 한다.
(정답률: 74%)
  • "과학적 연구의 결과는 수정될 수 없는 것이어야 한다."는 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과학적 연구는 새로운 증거나 정보가 발견될 때마다 수정될 수 있으며, 이는 과학의 발전과 진보를 이루는 중요한 과정이다. 따라서 과학적 연구의 결과는 수정될 수 있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우편조사의 응답률을 높이는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무엇인가?

  1. 응답 독촉은 단 한번 정중하게 한다.
  2. 공신력있는 기관을 연구 후원자로 밝힌다.
  3. 응답에 대한 적절한 보상(선물, 현금 등)을 한다.
  4. 우표를 직접 붙인 회수용 봉투를 우편 설문지와 함께 응답자에게 발송한다.
(정답률: 59%)
  • 응답 독촉은 단 한번 정중하게 한다는 것은 응답을 유도하기 위해 계속해서 독촉하는 것이 오히려 응답률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응답자들은 자신들의 시간과 노력을 들여서 설문지를 작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지나치게 많은 독촉은 부담스러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 번 정중하게 응답을 부탁하는 것이 좋습니다.

    공신력있는 기관을 연구 후원자로 밝힌다는 것은 응답자들이 설문지를 받았을 때, 해당 조사가 신뢰성이 높은 기관에서 진행된다는 것을 알리는 것입니다. 이는 응답자들이 설문지에 대한 신뢰도를 높여줄 수 있습니다.

    응답에 대한 적절한 보상(선물, 현금 등)을 한다는 것은 응답자들이 설문지 작성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리는 것입니다. 이는 응답자들이 설문지 작성에 대한 동기부여를 받을 수 있으며, 응답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우표를 직접 붙인 회수용 봉투를 우편 설문지와 함께 응답자에게 발송한다는 것은 응답자들이 설문지를 작성한 후, 우편으로 회신할 수 있는 봉투를 함께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는 응답자들이 설문지 작성 후, 회신하는 과정을 간편하게 만들어주며, 응답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응답 독촉은 단 한번 정중하게 한다."가 아닌 다른 보기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소수의 집단을 대상으로 특정주제에 대하여 자유롭게 토론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는 방법은?

  1. 집단조사법
  2. 표적집단면접법
  3. 대인면접법
  4. 사례조사법
(정답률: 73%)
  • 소수의 집단을 대상으로 자유로운 토론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표적집단면접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특정 주제에 대해 관심 있는 소수의 집단을 대상으로 면접을 진행하여 깊이 있는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집단조사법, 대인면접법, 사례조사법은 이와 다른 방법들이므로 정답은 표적집단면접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내용분석에 적합한 주제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유명작가의 문체 분석
  2. 알코올이 운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3. 한국 전래 동화에서 다루었던 주제 분석
  4. 1960년대 영국과 독일의 사회풍자 대중가요 가사 분석
(정답률: 66%)
  • "알코올이 운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은 내용분석에 적합한 주제이지만, 다른 주제들은 내용분석과는 관련이 없는 주제들이다. "유명작가의 문체 분석", "한국 전래 동화에서 다루었던 주제 분석", "1960년대 영국과 독일의 사회풍자 대중가요 가사 분석"은 문학적, 문화적, 역사적인 분석에 적합한 주제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각종 학술 연구지, 상업잡지, 통계 자료집 등과 경영학, 사회학, 심리학, 인류학을 포괄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출판되는 자료를 이용하는 조사방법은 무엇인가?

  1. 현지조사
  2. 패널조사
  3. 실험
  4. 문헌조사
(정답률: 74%)
  • 문헌조사는 이미 출판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조사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각종 학술 연구지, 상업잡지, 통계 자료집 등과 경영학, 사회학, 심리학, 인류학을 포괄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출판된 자료를 이용하여 조사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문헌조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내용은 무엇에 해당하는가?

  1. 선별적 관찰
  2. 과도한 일반화
  3. 자아가 개입된 이해
  4. 도박사의 논리
(정답률: 72%)
  • 과도한 일반화에 해당한다. 이유는 한 가지 사례를 근거로 모든 경우를 일반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이러한 현상이 모든 경우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상황에서 다른 결과를 보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지 않고 일반화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질문지를 작성할 때의 질문의 순서에 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첫 번째 질문은 가능한 한 쉽게 응답할 수 있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것이 좋다.
  2. 응답자의 연령이나 소득과 같이 개인적인 질문은 뒷부분에서 하는 것이 좋다.
  3. 산업에 관련된 질문 시, 특정품목에 대한 문항에서 산업 전체에 관련된 문항으로 배열하는 것이 좋다.
  4. 질문 간에 연상 작용을 일으켜 다음 응답에 영향을 미칠 경우에는 이러한 질문들 사이의 간격을 멀리 떨어뜨리는 것이 좋다.
(정답률: 72%)
  • "응답자의 연령이나 소득과 같이 개인적인 질문은 뒷부분에서 하는 것이 좋다." 이 설명이 바르지 않다. 개인적인 질문은 전체 질문 중 어디에 위치하든 상관없이 적절한 순서와 문맥에서 질문되어야 한다. 단, 개인적인 질문이 먼저 나오면 응답자가 방어적인 태도를 취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질문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일반적으로 질적 연구(Qualitative Rese arch)를 위해 많이 이용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1. 관찰조사
  2. 전화조사
  3. 질문지조사
  4. 실험조사
(정답률: 63%)
  • 일반적으로 질적 연구에서는 인간의 행동, 태도, 경험 등을 자연스럽게 관찰하는 관찰조사 방법이 많이 이용됩니다. 이는 연구 대상의 실제 행동을 직접 관찰하여 정확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관찰조사는 연구 대상의 행동을 간섭하지 않으므로 연구 결과의 신뢰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사화과학에서 조사연구를 실시하기에 적합한 주제가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지능지수와 학업성적은 상관성이 있는가?
  2. 기업복지의 수준과 노사분규의 빈도와의 관계는?
  3. 여성들은 직장에서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가?
  4. 개기일식은 왜 일어나는가?
(정답률: 73%)
  • "개기일식은 왜 일어나는가?"는 사화과학에서 조사연구를 실시하기에 적합한 주제가 아닙니다. 이유는 개기일식은 천문학적인 현상으로, 사회과학적인 요소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개기일식은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에 위치하여 태양광이 가려지는 현상입니다. 이는 지구, 달, 태양의 위치와 각도에 따라 발생하며, 정확한 예측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어떤 연구 도중에 위약효과(placebo effect)가 크게 나타났을 때, 이 연구에서 유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

  1. 연구대상자 수를 줄여야 한다.
  2. 사전조사와 본조사의 간격을 줄여야 한다.
  3.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지 말아야 한다.
  4. 연구대상자에게 피험자임을 인식시켜야 한다.
(정답률: 53%)
  • 위약효과가 크게 나타난 연구에서는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지 말아야 한다. 이는 위약효과가 연구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위약효과는 실제로 치료효과가 없는 약물이나 치료법을 받았을 때, 피험자가 실제로 치료를 받았다고 믿어서 생기는 효과이다. 따라서 위약효과가 크게 나타난 연구에서는 해당 치료법이나 약물의 실제 효과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일반화시키지 않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실험변수가 아니면서 결과변수에 영향을 주는 일종의 독립변수로서 최대한으로 그 영향이 제거되거나 상쇄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실험설계의 기본요소는?

  1. 조절변수
  2. 종속변수
  3. 외생변수
  4. 매개변수
(정답률: 54%)
  • 외생변수는 실험변수가 아니면서 결과변수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서, 실험설계에서 최대한 제어되어야 하는 변수입니다. 외생변수가 제어되지 않으면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실험의 신뢰성을 해치게 됩니다. 따라서 실험설계에서는 외생변수를 최대한 제어하거나 상쇄시키는 방법을 고민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면접조사에서 응답자에게 면접에 참여하고자 하는 동기를 부여하는 요인들 중 긍정적인 요인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무엇인가?

  1. 면접자를 돕고 싶은 이타적 충동
  2. 물질적 보상과 같은 혜택에 대한 기대
  3. 사생활 침해에 대한 오인과 자기방어 욕구
  4. 자신의 의견이나 식견을 표현하고 싶은 욕망
(정답률: 66%)
  • "사생활 침해에 대한 오인과 자기방어 욕구"는 면접에 참여하고자 하는 동기를 부여하는 요인 중 긍정적인 요인이 아닙니다. 이는 면접에 참여하면 자신의 개인정보나 사생활이 침해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나 걱정 때문에 면접에 참여하고 싶지 않은 욕구를 의미합니다. 이는 부정적인 요인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폐쇄형 질문에서 응답범주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가능한 모든 응답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2. 정확한 의미전달을 위해 범주의 내용을 일부 중복해야 한다.
  3. 응답범주를 설정할 단계에서는 분석기법을 고려하지 않는 것이 좋다.
  4. 중립적인 의견을 표시할 수 있는 범주를 반드시 포함시켜야 한다.
(정답률: 58%)
  • 폐쇄형 질문에서 응답범주와 관련된 설명으로 "가능한 모든 응답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가 옳은 것은, 이는 응답자가 자신의 의견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응답범주가 제한적이거나 누락된 경우, 응답자는 자신의 의견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능한 모든 응답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소득수준과 출산력의 관계를 알아볼 때, 모든 조사대상자의 소득수준과 출산자녀수 간의 관계를 살펴본 후 개별사례를 바탕으로 어떤 일반적 유형을 찾아내는 방법은 무엇인가?

  1. 연역적 방법
  2. 귀납적 방법
  3. 참여관찰법
  4. 질문지법
(정답률: 58%)
  • 귀납적 방법은 개별적인 사례를 바탕으로 일반적인 유형을 찾아내는 방법이다. 따라서 소득수준과 출산자녀수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일반적인 유형을 도출하는 것이 귀납적 방법이다. 이 방법은 연역적 방법과는 반대로 일반적인 원리나 법칙을 가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별적인 사례를 판단하는 방법과 구분된다. 참여관찰법과 질문지법은 조사 방법론에 관한 것으로, 이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사방법론 II

31. 표집오차(sampling error)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표본의 분산이 작을수록 표집오차는 작아진다.
  2. 표본의 크기가 클수록 표집오차는 작아진다.
  3. 표집오차란 통계량들이 모수 주위에 분산되어 있는 정도를 말한다.
  4. 표본의 크기가 같을 때 단순무작위 표집에서보다 집락표집에서 표집오차가 작다.
(정답률: 50%)
  • "표본의 크기가 같을 때 단순무작위 표집에서보다 집락표집에서 표집오차가 작다."는 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사실, 표본의 크기가 같을 때 단순무작위 표집과 집락표집 모두 표집오차의 크기는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잘못된 것입니다.

    표본의 분산이 작을수록 표집오차는 작아지는 것은 맞습니다. 즉, 표본의 값들이 모집단의 평균 주위에 모여있을수록 표본평균이 모집단 평균과 차이가 적어지기 때문에 표집오차가 작아집니다.

    표본의 크기가 클수록 표집오차는 작아지는 것도 맞습니다. 큰 표본을 사용하면 모집단의 다양한 특성을 더 잘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표본평균이 모집단 평균과 차이가 적어지고, 따라서 표집오차가 작아집니다.

    표집오차란 통계량들이 모수 주위에 분산되어 있는 정도를 말하는 것도 맞습니다. 즉, 표본에서 추출한 통계량(예: 표본평균)이 모집단의 실제 값(예: 모평균)과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표본추출방법에 대한 설명 중 바르지 않은 것은?

  1. 단순무작위표집을 하기 위해서는 모집단에 대한 명부를 표집틀로 가지고 있어야 한다.
  2. 모집단에 대한 명부가 일정한 주기성을 가지고 있을 때 이 주기성 때문에 편중된 표집을 할 위험이 있는 표집방법은 층화표집이다.
  3. 층화표집은 단순무작위추출에서 얻어진 표본보다 모집단을 더 잘 대표하기도 한다.
  4. 유의집단은 연구자가 주관적으로 판단하여, 모집단을 가장 잘 대표한다고 생각되는 사례들을 표본으로 선정한다.
(정답률: 60%)
  • "모집단에 대한 명부가 일정한 주기성을 가지고 있을 때 이 주기성 때문에 편중된 표집을 할 위험이 있는 표집방법은 층화표집이다."이 부분이 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층화표집은 모집단을 층으로 나누어 각 층에서 단순무작위추출을 하는 방법으로, 모집단에 대한 명부가 일정한 주기성을 가지고 있을 때도 층화표집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잘못된 것입니다.

    이유는 층화표집은 모집단을 층으로 나누어 각 층에서 단순무작위추출을 하는 방법으로, 모집단에 대한 명부가 일정한 주기성을 가지고 있을 때도 층화표집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층화표집은 모집단을 더 잘 대표할 수 있도록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청소년의 흡연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5명의 흡연 청소년을 면접한 후, 이들로부터 알고 있는 흡연 청소년을 각기 5명씩 소개받고, 소개받은 이들로부터 다시 각각 5명씩 소개받아 모두 155명을 면접 조사하는 표집방법은 무엇인가?

  1. 편의표집
  2. 유의표집
  3. 눈덩이표집
  4. 할당표집
(정답률: 72%)
  • 이 방법은 눈덩이표집이다. 눈덩이표집은 초기 표본을 뽑은 후, 해당 표본에서 추가적인 표본을 뽑는 방법으로, 초기 표본에서 소개받은 사람들을 다시 면접하여 추가적인 표본을 뽑는 것이 특징이다. 이 방법은 초기 표본에서 소개받은 사람들이 다른 흡연 청소년들을 소개해주는 과정에서 눈덩이처럼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표본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조사대상자가 표본으로 선정될 확률이 동일하지 않은 것은?

  1. 층화표집
  2. 집락표집
  3. 유의표집
  4. 단순무작위표집
(정답률: 67%)
  • 유의표집은 모집단에서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개체들을 우선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으로, 확률적으로 동일한 확률로 추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유의표집이 조사대상자가 표본으로 선정될 확률이 동일하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조작적 정의에 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주어진 단어가 이미 정립된 의미를 가진 다른 표현과 동의적일 때에 사용된다.
  2. 용어의 지시물을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관찰 가능한 개념의 구체화이다.
  3. 정의된 변수는 그것의 관찰과 측정의 단계가 분명히 밝혀져 있을 때 조작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4. 숫자로 측정될 수 있는 항목들을 추출해낸다.
(정답률: 52%)
  • "숫자로 측정될 수 있는 항목들을 추출해낸다."는 조작적 정의와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조작적 정의는 이미 정립된 의미를 가진 다른 표현과 동의적일 때에 사용되며, 용어의 지시물을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관찰 가능한 개념의 구체화이다. 또한, 정의된 변수는 그것의 관찰과 측정의 단계가 분명히 밝혀져 있을 때 조작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사화조사에서 개념의 재정의(reconcep tualization)가 필요한 이유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무엇인가?

  1. 사회조사에서 사용되는 개념은 일상생활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상투어와는 그 의미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2. 동일한 개념이라도 사회가 변함에 따라 그 원래의 뜻이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한 가지 개념이라도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의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많으므로, 이들 각기 다른 의미 중에서 어떤 특정의 의미를 조사연구 대상으로 삼을 것인가를 밝혀야 하기 때문이다.
  4. 개념과 개념 간의 상관관계가 아닌 인과관계를 밝혀야 하기 때문이다.
(정답률: 69%)
  • 사회조사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개념과는 다른 의미를 가지는 개념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이해하고 정의해야 합니다. 또한,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개념의 의미도 변할 수 있으므로, 이를 염두에 두고 개념을 재정의해야 합니다. 또한, 한 개념이 여러 의미를 가질 수 있으므로, 조사 대상으로 삼을 특정한 의미를 명확히 정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개념 간의 상관관계가 아닌 인과관계를 밝혀야 하는 이유는, 조사 결과를 토대로 정책을 수립하거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과관계를 파악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구성타당도(construct validity)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이론과 관련하여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한다.
  2. 구성타당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요인분석 등이 있다.
  3. 측정도구가 특정 준거와 어느 정도 관련성이 있는지를 나타내는 타당성이다.
  4. 측정값 자체보다 측정하고자 하는 속성에 초점을 맞춘 타당성이다.
(정답률: 31%)
  • "측정값 자체보다 측정하고자 하는 속성에 초점을 맞춘 타당성이다."는 내용이 바르지 않습니다. 구성타당도는 측정도구가 특정 준거와 어느 정도 관련성이 있는지를 나타내는 타당성입니다. 이론과 관련하여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며, 요인분석 등을 통해 구성타당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설명 중 바르지 않은 것은?

  1. 타당도가 있는 측정은 항상 신뢰도가 있다.
  2. 타당도가 신뢰도에 비해 확보하기가 용이하다.
  3. 타당도가 완전한 측정도구는 신뢰도도 완전하다.
  4. 신뢰도가 있는 측정은 타당도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정답률: 54%)
  • "타당도가 신뢰도에 비해 확보하기가 용이하다."는 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실제로는 타당도와 신뢰도는 서로 다른 개념이지만, 둘 다 측정 도구의 질을 평가하는 데 중요하다. 타당도는 측정 도구가 측정하려는 개념이나 현상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신뢰도는 측정 도구가 일관되게 측정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타당도와 신뢰도는 모두 측정 도구의 질을 평가하는 데 중요하지만, 둘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용이하다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잠재변수와 관찰변수에 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잠재변수란 직접 관찰이 불가능한 변수를 의미한다.
  2. 대학생의 성적을 평점평균으로 나타낸 것은 관찰변수에 해당한다.
  3. 하나의 잠재변수를 측정하기 위해 하나의 관찰변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지능, 태도, 직무만족도는 잠재변수에 해당한다.
(정답률: 56%)
  • "하나의 잠재변수를 측정하기 위해 하나의 관찰변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하나의 잠재변수는 여러 개의 관찰변수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관찰변수만으로는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 없다.

    예를 들어, 학생의 학업성취도라는 잠재변수는 성적, 출석률, 과제 제출 여부 등 여러 개의 관찰변수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관찰변수만으로는 학생의 학업성취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하나의 잠재변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관찰변수를 사용하여 ganzfeld 효과를 최소화하고,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판단표집(purposive sampling)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무엇인가?

  1. 목적표집이라고도 한다.
  2. 연구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한 표집이다.
  3. 계량적인 연구보다는 질적인 조사연구에 더욱 적절하다.
  4. 연구자가 모집단과 그 구성요소에 대한 풍부한 사전지식을 갖고 있어야 한다.
(정답률: 44%)
  • "연구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한 표집이다."와 "연구자가 모집단과 그 구성요소에 대한 풍부한 사전지식을 갖고 있어야 한다."는 판단표집의 특징을 설명하는 것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계량적인 연구보다는 질적인 조사연구에 더욱 적절하다."이다. 이는 판단표집이 모집단의 대표성을 보장하지 않기 때문에, 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경우에 한해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질적인 조사에서는 연구자가 특정한 특성을 가진 대상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할 때 판단표집을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은 어떤 척도의 특징인가?

  1. 리커트(Likert) 척도
  2. 서스톤(Thurstone) 척도
  3. 보가더스(Bogardus) 척도
  4. 오스굿(Osgood) 척도
(정답률: 68%)
  • 이 그림은 서스톤(Thurstone) 척도의 특징을 나타낸 것입니다. 서스톤 척도는 여러 개의 문항을 만들어 각 문항마다 다양한 정도의 특성을 나타내는 단어를 배치한 후, 이를 평가자들에게 제시하여 그들이 해당 특성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표현하도록 하는 척도입니다. 이때, 각 문항마다 배치된 단어들은 서로 독립적이며, 각 문항의 단어들은 서로 다른 정도의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평가자들은 단어들을 선택하여 자신의 견해를 표현합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서스톤 척도는 각 문항마다 다양한 정도의 특성을 나타내는 단어들을 사용하며, 이를 평가자들이 선택하여 자신의 견해를 표현하도록 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관찰된 현상의 경험적인 속성에 대해 일정한 규칙에 따라 수치를 부여하는 것은 무엇인가?

  1. 측정(measurement)
  2. 척도(scale)
  3. 지표(indicator)
  4. 변수(variable)
(정답률: 61%)
  • 측정은 관찰된 현상의 경험적인 속성에 대해 일정한 규칙에 따라 수치를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과정이며, 변수의 값을 정량화하여 비교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척도는 측정된 값들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구분하는 것을 말하며, 지표는 특정한 목적을 위해 선택된 척도에서 사용되는 측정 항목을 말한다. 변수는 측정 대상이 되는 개체나 사건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측정과 분석의 대상이 된다. 따라서, 측정은 데이터 수집과 분석의 기본이 되는 과정으로, 다른 용어들과 함께 사용되어 데이터를 정량화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A보험사에 가입한 고객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시행하려고 한다. 만약 A보험사에 최근 1년 동안 가입한 고객 명단을 표본틀로 사용하여 표본을 추출한다면 이 때의 표본틀 오류는 무엇인가?

  1. 모집단이 표본틀에 포함되는 경우
  2. 표본틀이 모집단 내에 포함되는 경우
  3. 모집단과 표본틀이 동일한 경우
  4. 모집단과 표본틀이 전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답률: 54%)
  • 정답: "표본틀이 모집단 내에 포함되는 경우"

    이유: 표본틀은 모집단의 일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만약 표본틀이 모집단 내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모집단의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적절한 표본을 추출할 수 없게 된다. 이는 표본 추출 과정에서 편향성을 유발하며, 추출된 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하지 못하게 되어 만족도 조사 결과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따라서 표본틀이 모집단 내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다른 표본틀을 사용하여 표본을 추출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3가지의 변수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영향을 미칠 때 사회적 통합을 무슨 변수라고 하는가?

  1. 외적변수
  2. 매개변수
  3. 구성변수
  4. 선행변수
(정답률: 65%)
  • 위 그림에서는 "외적변수"가 "매개변수"에 영향을 미치고, "매개변수"가 "구성변수"에 영향을 미치며, "구성변수"가 "선행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이다. 따라서, 이 중에서 "매개변수"는 다른 변수들 간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사회적 통합을 무슨 변수라고 하는가? 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매개변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표집 방법 중 표집오차의 추정이 확률적으로 가능한 것은 무엇인가?

  1. 할당표집
  2. 유의표집
  3. 눈덩이표집
  4. 단순무작위표집
(정답률: 67%)
  • 단순무작위표집이 표집오차의 추정이 확률적으로 가능한 방법이다. 이는 모집단의 모든 개체가 동일한 확률로 표본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표본의 특성은 모집단의 특성을 대표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할당표집, 유의표집, 눈덩이표집은 모집단의 특성을 대표할 가능성이 낮아 표집오차의 추정이 확률적으로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신뢰도에 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예측가능성을 가져야 한다.
  2. 신뢰도계수의 범위는 -1.00에서 +1.00 사이의 값을 갖는다.
  3.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일관된 측정치를 가져야 한다.
  4. 같은 개념을 측정하는 유사한 척도를 적용하여 측정하여도 같은 결과를 가져와야 한다.
(정답률: 54%)
  • 정답: "같은 개념을 측정하는 유사한 척도를 적용하여 측정하여도 같은 결과를 가져와야 한다."

    이유: 이 보기는 신뢰도에 대한 올바른 설명이다. 모든 측정 도구는 일정한 오차를 가지기 때문에, 신뢰도는 이러한 오차를 최소화하여 측정 도구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예측가능성, 일관성, 시간에 구애받지 않음 등의 요소가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며, 신뢰도계수의 범위는 -1.00에서 +1.00 사이의 값을 갖는다. 그러나 같은 개념을 측정하는 유사한 척도를 적용하여 측정하여도 같은 결과를 가져와야 한다는 것은 올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측정 도구의 정확성과 관련된 문제이며, 신뢰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100명의 학생들이 오늘 어떤 검사를 받고 한 달 후에 동일한 검사를 다시 받았는데 두 번의 검사에서 각 학생의 점수는 동일했다. 이 경우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얼마인가?

  1. 0.00
  2. +1.00
  3. -1.00
  4. 주어진 정보로는 알 수 없다.
(정답률: 59%)
  •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같은 검사를 두 번 시행했을 때 얼마나 일관성이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모든 학생들이 두 번의 검사에서 동일한 점수를 받았으므로 일관성이 100%이다. 따라서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1.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거트만척도에 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척도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문항들의 단일차원성이 경험적으로 검증되도록 설계된 척도이다.
  2. 재생계수가 1일 경우에는 이상적인 거트만척도에 접근하여 완벽한 척도구성 가능성을 갖는다.
  3. 거트만척도는 단일차원적이고 누적적이다.
  4. 문항분석 시 제1사분위 이하 집단의 평균과 제3사분위 이상 집단의 평균 간의 차이가 클수록 판별력이 좋은 문항이다.
(정답률: 43%)
  • "재생계수가 1일 경우에는 이상적인 거트만척도에 접근하여 완벽한 척도구성 가능성을 갖는다."는 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재생계수가 1이라고 해서 반드시 완벽한 척도구성이 가능한 것은 아니며, 다른 요인들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총화평정척도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리커트 타입의 척도라고도 한다.
  2. 각 문항이 하나의 척도이며 전체 문항의 총점이 태도의 측정치로 본다.
  3.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될 가능성이 높다.
  4. 예비적 문항으로 응답 카테고리를 결정해 내적일관성 여부에 따라 최종척도를 구성한다.
(정답률: 41%)
  • "예비적 문항으로 응답 카테고리를 결정해 내적일관성 여부에 따라 최종척도를 구성한다."는 총화평정척도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입니다. 총화평정척도는 예비적 문항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될 가능성이 높은 이유는 각 문항이 하나의 척도로서 태도를 측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평가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척도의 구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비확률표집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편의표집
  2. 유의표집
  3. 할당표집
  4. 층화표집
(정답률: 72%)
  • 층화표집은 모집단을 비슷한 특성을 가진 층으로 나눈 후 각 층에서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모집단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표본을 추출하기 때문에 비확률표집이 아닌 확률표집의 일종이다. 따라서 정답은 "층화표집"이다.

    - 편의표집: 편리한 대상을 선택하여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하지 못하고 편향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 유의표집: 모집단에서 일부 특정한 대상을 선택하여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모집단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표본을 추출하기 때문에 비확률표집이다.
    - 할당표집: 모집단을 여러 집단으로 나눈 후 각 집단에서 일정 비율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모집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표본을 추출하기 때문에 확률표집의 일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인터넷을 활용한 사회조사의 가장 큰 문제점은 무엇인가?

  1. 자료입력의 오류
  2. 추정값의 편향
  3. 표본오차의 증가
  4. 분석기법 적용의 어려움
(정답률: 38%)
  • 인터넷을 활용한 사회조사에서는 일반적으로 특정 인구군이나 지역의 응답률이 낮아서 표본이 편향될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추정값의 편향을 초래하며, 이는 실제 인구의 특성을 왜곡하여 추정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터넷을 활용한 사회조사에서는 표본 추출과 응답률을 고려하여 적절한 보정을 해야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집락표집과 층화표집의 특징으로 올바른 것은?

  1. 집락표집과 층화표집 모두 내부적으로 동질적이다.
  2. 집락표집은 내부적으로 동질적이다.
  3. 층화표집은 내부적으로 이질적이다.
  4. 집락표집은 내부적으로 이질적이다.
(정답률: 66%)
  • 정답은 "층화표집은 내부적으로 이질적이다."이다.

    집락표집은 비슷한 특성을 가진 개체들을 그룹으로 묶어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내부적으로는 비교적 동질적이다. 즉, 같은 그룹 내에서는 비슷한 특성을 가진 개체들이 모여있기 때문에 그룹 간 차이가 크지 않다.

    반면에 층화표집은 모집단을 여러 층으로 나누고 각 층에서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내부적으로는 이질적이다. 층 간에는 차이가 크기 때문에 각 층에서 추출된 표본들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집락표집은 내부적으로 동질적이고 층화표집은 내부적으로 이질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지표가 가져야 할 요건으로 맞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1. 신뢰성
  2. 타당성
  3. 복잡성
  4. 체계성
(정답률: 65%)
  • 복잡성은 지표가 가져야 할 요건이 아닙니다. 지표는 가능한 한 간단하고 명확해야 하며, 복잡성은 이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표는 가능한 한 단순하고 직관적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층화표본추출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확률표본추출방법이다.
  2. 표본층 간은 동질적이고 표본층 내에서는 이질적이다.
  3. 층화한 모든 부분집단에서 표본을 추출한다.
  4. 모집단의 각 층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필요하다.
(정답률: 70%)
  • "표본층 간은 동질적이고 표본층 내에서는 이질적이다."가 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실제로는 "표본층 간은 이질적이고 표본층 내에서는 동질적이다."가 맞는 설명이다. 이는 층화표본추출 방법에서 각 층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각 층에서 추출된 표본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사회적 거리척도로서 집단 간 거리측정이 아니라 집단 내 구성원간의 거리를 측정하는데 유용한 방법은 무엇인가?

  1. 서스톤 척도(thurston scale)
  2. 거트만 척도(guttman scale)
  3. 소시오메트리(sociometry)
  4. 보가더스 척도(bogardus scale)
(정답률: 59%)
  • 소시오메트리는 집단 내 구성원간의 상호작용과 관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집단 내에서 각 구성원들의 인기도, 친밀도, 리더십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회적 거리척도로서 집단 내 구성원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데 유용합니다. 서스톤 척도는 태도 측정에, 거트만 척도는 질적 측정에, 보가더스 척도는 인종차별 태도 측정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표본추출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무엇인가?

  1. 대표성과 경제성
  2. 대표성과 신속성
  3. 대표성과 적절성
  4. 정확성과 경제성
(정답률: 53%)
  • 표본추출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대표성과 적절성입니다. 이는 전체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적절한 크기와 방법으로 표본을 추출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대표성이 부족하면 추출된 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하지 못하고 편향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절성이 부족하면 추출된 표본이 분석 목적에 맞지 않아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대표성과 적절성을 고려하여 표본을 추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타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ㄴ, ㄷ
  3. ㄱ, ㄴ, ㄷ, ㄹ
(정답률: 53%)
  • - "ㄱ" : 타당성이란 해당 연구나 조사가 목적에 맞게 제대로 이루어졌는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연구나 조사의 목적, 방법, 결과 등이 명확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 "ㄴ" : 타당성은 신뢰도와 함께 연구나 조사의 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신뢰도는 측정 도구나 방법이 일관성 있게 측정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반면, 타당성은 측정 대상이나 내용이 측정하려는 개념과 일치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 "ㄷ" : 타당성은 연구나 조사의 결과를 신뢰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타당성이 높은 연구나 조사는 그 결과가 신뢰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 "ㄹ" : 타당성은 연구나 조사의 결과를 활용하는 데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타당성이 높은 연구나 조사의 결과는 해당 분야에서 신뢰성이 높은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의사결정이나 정책 수립 등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사회조사에서는 어떤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단일지표보다 여러 개의 지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 이유로서 바르지 않은 것은?

  1.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2.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3. 내적일관성을 높이기 위해
  4. 측정도구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정답률: 42%)
  • 사회조사에서는 태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여러 개의 지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단일지표만 사용하면 해당 태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여러 개의 지표를 사용하여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으려고 합니다. 이를 통해 조사 결과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지수와 척도에 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지수와 척도 모두 변수의 합성측정이다.
  2. 척도와 지수 모두 변수에 대한 서열측정이다.
  3. 지수점수는 척도점수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한다.
  4. 척도는 동일한 변수의 속성들 가운데서 그 강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구별되는 응답 유형을 밝혀낸다.
(정답률: 44%)
  • "지수점수는 척도점수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한다."는 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지수점수는 척도점수를 기반으로 계산되는 것이기 때문에 척도점수와 같은 정보를 전달하며,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는 없다. 다만, 지수점수는 여러 개의 척도를 결합하여 하나의 지수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척도보다는 더 복잡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 )에 알맞은 것은 무엇인가?

  1. 서열측정>명목측정>비율측정>등간측정
  2. 명목측정>서열측정>등간측정>비율측정
  3. 등간측정>비율측정>서열측정>명목측정
  4. 비율측정>등간측정>서열측정>명목측정
(정답률: 73%)
  • 비율측정은 절대적인 수치를 가지며, 등간측정은 상대적인 수치를 가지기 때문에 비율측정이 더 정확하다. 서열측정은 순서를 매기는 것이므로 명목측정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비율측정>등간측정>서열측정>명목측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사회통계

61. 어느 지역에서 A후보의 지지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무작위로 추출한 100명에게 의견을 물어보았다. 이 중 50명이 A후보를 지지한다고 응답하였다. A후보 지지율에 대한 95% 신뢰구간을 소수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둘째자리까지 구하면?

  1. 0.40≤P≤0.60
  2. 0.45≤P≤0.55
  3. 0.42≤P≤0.58
  4. 0.41≤P≤0.59
(정답률: 36%)
  • 1. A후보 지지율의 95% 신뢰구간을 구하기 위해서는 우선 표본의 크기와 A후보를 지지하는 사람의 수를 이용하여 표본비율을 계산해야 한다. 여기서 표본비율은 50/100 = 0.5 이다.
    2. 표본비율을 이용하여 표준오차를 계산한다. 표준오차는 √(p(1-p)/n) 으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p는 표본비율, n은 표본의 크기이다. 따라서 표준오차는 √(0.5(1-0.5)/100) = 0.05 이다.
    3. 95% 신뢰구간의 양쪽 끝을 구하기 위해서는 표본비율에서 1.96(정규분포에서 95% 신뢰수준에 해당하는 z값)를 곱한 값을 표준오차로 나누어야 한다. 따라서 0.5 ± 1.96(0.05) = 0.40 ~ 0.60 이다.
    4. 따라서 A후보 지지율의 95% 신뢰구간은 0.40 ~ 0.60 이다.

    정답이 "0.40≤P≤0.60" 인 이유는 95% 신뢰구간이므로, 만약 같은 방법으로 여러 번 표본을 추출하여 95% 신뢰구간을 구한다면, 이 중 95%의 경우에는 실제 모집단의 지지율이 해당 구간에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이번 추출에서 구한 95% 신뢰구간이 0.40 ~ 0.60 이므로, 이 지역의 A후보 지지율이 0.40 이상 0.60 이하일 가능성이 95%라는 뜻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행변수가 M개의 범주를 갖고 열변수가 N개의 범주를 갖는 분할표에서 행변수와 열변수가 서로 독립인지를 검정하고자 한다. (i. j)셀의 관측도수를 Oij, 귀무가설 하에서의 기대도수의 추정치를 라 할 때, 이 검정을 위한 검정통계량은 무엇인가?

(정답률: 5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단일 모집단의 모분산의 검정에 사용되는 분포는 무엇인가?

  1. 정규분포
  2. 이항분호
  3. 카이제곱분포
  4. F- 분포
(정답률: 35%)
  • 단일 모집단의 모분산의 검정에서는 표본의 분산을 이용하여 모분산을 추정하고, 이를 통해 모분산과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검정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검정 통계량은 표본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계산되며, 이 계산에는 카이제곱분포가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카이제곱분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은 두 종류의 타이어 평균수명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각 30개의 표본을 추출하여 조사한 결과이다. (두 표본은 독립이고, 대표본임을 가정한다.) 두 타이어의 평균수명에 차이가 있는지를 유의수준 5%에서 검정한 결과는?

  1. 두 타이어의 평균수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다.
  2. 두 타이어의 평균수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3. 두 타이어의 평균수명이 완전히 일치한다.
  4. 주어진 정보만으로는 알 수 없다.
(정답률: 47%)
  • 두 표본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계산하여, 각각 4.9, 5.6, 0.5, 0.6이 나왔다. 이를 이용하여 등분산 가정하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면, t값은 -2.41이고, 유의확률은 0.0209이다. 따라서 유의수준 5%에서 귀무가설 "두 타이어의 평균수명에 차이가 없다."를 기각하고, 대립가설 "두 타이어의 평균수명에 차이가 있다."를 채택한다. 즉, 두 타이어의 평균수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자료들의 분포형태와 대푯값에 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오른쪽 꼬리가 긴 분포에서는 중앙값이 평균보다 크다.
  2. 왼쪽 꼬리가 긴 분포에서는 최빈값<평균<중앙값 순이다.
  3. 중앙값은 분포와 무관하게 최빈값보다 작다.
  4. 비대칭의 정도가 강한 경우에는 대푯값으로 평균보다 중앙값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정답률: 50%)
  • 비대칭의 정도가 강한 경우에는 극단값(outlier)의 영향을 받기 쉬우므로 평균이 대푯값으로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중앙값이 대푯값으로 더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비대칭의 정도가 강한 경우에는 대푯값으로 평균보다 중앙값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가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액화천연가스의 저장기지 후보지로 고려되고 있는 세 지역으로부터 90명을 조사하여 90명 중 후보지를 지지하는 사람 수가 각각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후보지에 대한 지지율이 동일한지를 검정하는 카이제곱 통계량 값과 자유도를 구하면?

(정답률: 55%)
  • 카이제곱 검정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을 설정해야 한다. 이 문제에서는 후보지에 대한 지지율이 동일하다는 귀무가설과 지지율이 동일하지 않다는 대립가설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후보지를 지지하는 사람 수를 토대로 기대도수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지역을 지지하는 사람이 30명이고 전체 응답자 수가 90명이므로 A지역에 대한 기대도수는 90 * (1/3) = 30이 된다.

    이제 실제 관측된 빈도와 기대도수를 비교하여 카이제곱 통계량을 계산할 수 있다. 계산 결과 카이제곱 통계량은 0.0이 되며, 자유도는 2이다.

    따라서 유의수준 0.05에서 카이제곱 분포의 임계값은 5.99이다. 계산된 카이제곱 통계량이 임계값보다 작으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즉, 후보지에 대한 지지율이 동일하다는 귀무가설을 채택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상관관계(correla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두 변수 간에 강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면 두 변수는 서로 독립적이라고 한다.
  2. 두 변수 간의 상관관계로부터 인과관계를 도출할 수 있다.
  3. 두 변수 간에 상관관계가 없다면 피어슨 상관계수의 값의 0이다.
  4. 피어슨 상관계수의 값은 항상 0이상 1이하이다.
(정답률: 42%)
  • 정답은 "두 변수 간에 상관관계가 없다면 피어슨 상관계수의 값의 0이다." 이다. 이유는 피어슨 상관계수는 두 변수 간의 선형적인 상관관계를 측정하는데, 만약 두 변수 간에 상관관계가 전혀 없다면 두 변수 간의 선형적인 관계가 없으므로 상관계수의 값은 0이 된다. 다만, 두 변수 간에 비선형적인 관계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상관계수가 0이라고 해서 두 변수 간에 아무런 관계가 없다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중회귀분석에서 회귀계수에 대한 검정과 결정계수가 아래와 같을 때의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결정계수 = 0.891)

  1. 설명변수는 Head와 Neck이다.
  2. 회귀계수 중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변수는 절편과 Neck이다.
  3. 위 중회귀모형은 자료 전체의 산포 중에서 약 89.1%를 설명하고 있다.
  4. 회귀방정식에서 다른 요인을 고정시키고 Neck이 한 단위 증가하면 반응값은 19.112가 증가한다.
(정답률: 35%)
  • "회귀계수 중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변수는 절편과 Neck이다." 이 설명이 바르지 않습니다. 절편은 회귀분석에서 항상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입니다. 따라서 올바른 설명은 "회귀계수 중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변수는 Neck이다." 입니다. Neck 변수의 p-value가 0.05보다 크기 때문에 Neck 변수는 반응변수에 대한 설명력이 낮아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창수는 공정한 동전 1개를 3회 던져, 나타나는 앞면의 횟수 당 10만원의 상금을 받는 게임을 하기로 하였다. 게임을 한 번 할 때마다 10만원을 내고 한다면, 이 게임을 한 번 할 때마다 얼마의 금액을 벌 것으로 기대되는가?

  1. 3만원
  2. 4만원
  3. 5만원
  4. 6만원
(정답률: 46%)
  • 동전을 던져 앞면이 나올 확률과 뒷면이 나올 확률은 각각 1/2이다. 따라서 3회 던져서 앞면이 나올 횟수는 0, 1, 2, 3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앞면이 나올 횟수가 0, 1, 2, 3일 확률은 각각 다음과 같다.

    - 앞면이 0회 나올 확률: (1/2) x (1/2) x (1/2) = 1/8
    - 앞면이 1회 나올 확률: (1/2) x (1/2) x (1/2) x 3 = 3/8
    - 앞면이 2회 나올 확률: (1/2) x (1/2) x (1/2) x 3 = 3/8
    - 앞면이 3회 나올 확률: (1/2) x (1/2) x (1/2) = 1/8

    따라서 창수가 한 번의 게임에서 얻을 수 있는 평균 상금은 다음과 같다.

    - 평균 상금 = (앞면이 0회 나올 확률 x 0) + (앞면이 1회 나올 확률 x 10만원) + (앞면이 2회 나올 확률 x 20만원) + (앞면이 3회 나올 확률 x 30만원)
    - 평균 상금 = (1/8 x 0) + (3/8 x 10만원) + (3/8 x 20만원) + (1/8 x 30만원)
    - 평균 상금 = 5만원

    따라서 이 게임을 한 번 할 때마다 창수가 얻을 수 있는 평균 상금은 5만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어떤 대학의 취업정보센터에서 취업률(%)를 높이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대학 내 취업교육을 이수한 횟수(열 : 없음, 1회, 2회 이상)에 대해 각각 8명씩 무작위로 뽑아 검정을 실시한 결과이다. 분석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다.
  2. 잔차 제곱합에 대한 자유도는 21이다.
  3. 요인에 대한 평균제곱은 0.8이다.
  4. F값은 2.4이다.
(정답률: 44%)
  • "요인에 대한 평균제곱은 0.8이다."라는 설명이 바르지 않다. 일원분산분석에서 요인에 대한 평균제곱은 처리간 제곱합(SSB)을 자유도(dfB)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그러나 위의 결과에서는 처리간 제곱합과 자유도가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요인에 대한 평균제곱을 계산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설명은 부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중앙값과 동일한 측도는 무엇인가?

  1. 최빈값
  2. 평균
  3. 제3사분위수
  4. 제2사분위수
(정답률: 43%)
  • 중앙값은 데이터를 크기순으로 정렬했을 때 가운데 위치한 값이다. 제2사분위수는 데이터를 크기순으로 정렬했을 때 중앙값과 동일한 위치에 있는 값으로, 전체 데이터를 4등분한 후 2번째 구간의 끝 값이다. 따라서 중앙값과 제2사분위수는 동일한 측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분산분석 결과표의 ( )에 알맞은 것은 무엇인가?

  1. A : 47.81, B : 7.62
  2. A : 45.64, B : 6.49
  3. A : 43.33, B : 5.16
  4. A : 41.07, B : 4.67
(정답률: 52%)
  • ( )에는 F값이 들어가야 한다.

    분산분석 결과표에서 F값은 Treatment와 Error의 분산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Treatment의 효과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는 지표이다.

    따라서, A와 B의 F값을 비교하여 Treatment의 효과가 더 큰 것을 선택하면 된다.

    이 경우, A의 F값은 2.22, B의 F값은 0.26으로 A가 Treatment의 효과가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A : 43.33, B : 5.16"이다.

    이는 Treatment의 효과가 있는 경우, A그룹과 B그룹의 평균값 차이가 43.33과 5.16정도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단순회구모형 을 적합하여 다음과 같은 분산분석표를 작성하였다. H0:β=0, H1β≠0에 대한 가설검정을 수행하면? (단, 자유도가 n1=1, n2=7인 F분포에서 유의수준 α=0.05인 경우 F(1,7;0.0 5)=5.59, 유의수준 α=0.01인 경우 F(1,7;0. 01)=12.25이다)

  1. 유의수준 =0.05와 α=0.01 모두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2. 유의수준 α=0.05와 α=0.01 모두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못한다.
  3. 유의수준 α=0.05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α=0.01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못한다.
  4. 유의수준 α=0.05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못하고, α=0.01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정답률: 42%)
  • 분산분석표에서 F값은 7.84이고, 유의확률은 0.024이다. 유의수준이 0.05일 때, F(1,7;0.05)=5.59이므로 유의확률이 0.05보다 작으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따라서 유의수준 α=0.05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유의수준이 0.01일 때, F(1,7;0.01)=12.25이므로 유의확률이 0.01보다 크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못한다. 따라서 유의수준 α=0.01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못한다. 이러한 결과는 유의수준이 낮아질수록 귀무가설을 기각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중회귀모형 에 대한 분산분석표가 다음과 같다. 위의 분산분석표를 이용하여 유의수준 0.05에서 모형에 대한 유의성검정을 할 때, 추론 결과로 가장 적합한 것은 무엇인가?

  1. 두 설명변수 x1과 x2 모두 반응변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2. 두 설명변수 x1과 x2 모두 반응변수에 영향을 준다.
  3. 두 설명변수 x1과 x2 중 적어도 하나는 반응변수에 영향을 준다.
  4. 두 설명변수 x1과 x2 중 하나만 반응변수에 영향을 준다.
(정답률: 44%)
  • 분산분석표에서 F값이 4.5이고 유의확률이 0.05보다 작으므로 모형에 대한 유의성 검정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설명변수는 반응변수에 영향을 준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두 설명변수 x1과 x2 중 적어도 하나는 반응변수에 영향을 준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오른쪽으로 꼬리가 길게 늘어진 형태의 분포에 대해 옳은 설명만을 짝지어진 것은?

  1. ㄱ, ㄷ
  2. ㄱ, ㄹ
  3. ㄴ, ㄷ
  4. ㄴ, ㄹ
(정답률: 50%)
  • 정답: "ㄱ, ㄷ"

    - 왼쪽으로 치우친 분포를 의미한다.
    - 분포의 중앙값(median)이 평균(mean)보다 작다.
    - 이상치(outlier)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이유:

    - "ㄱ"은 왼쪽으로 치우친 분포를 의미하고, "ㄷ"은 오른쪽으로 치우친 분포를 의미한다. 따라서, 주어진 분포가 왼쪽으로 치우친 형태이므로 "ㄱ"이 포함된다.
    - 중앙값은 데이터의 중심을 나타내는 값으로, 이상치의 영향을 덜 받는다. 따라서, 중앙값이 평균보다 작다는 것은 이상치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 이상치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이유는, 분포의 꼬리가 길게 늘어져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분포는 극단적인 값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이상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도수분표가 비대칭이고 극단치들이 있을 때 보다 적절한 중심성향 척도는 무엇인가?

  1. 산술평균
  2. 중위수
  3. 최빈수
  4. 조화평균
(정답률: 55%)
  • 도수분포가 비대칭이고 극단치가 있을 때는 산술평균이나 최빈수와 같은 평균적인 값보다는 중위수가 더 적절한 중심성향 척도가 된다. 이는 중위수가 극단치에 덜 민감하기 때문이다. 즉, 중위수는 데이터의 중간값을 나타내므로 극단치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전체적인 데이터의 분포를 잘 나타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어느 자동차 회사의 영업 담당자는 영업 전략의 효과를 검정하고자 한다. 영업사원 10명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새로운 영업 전략을 실시하기 전과 실시한 후의 영업성과(월판매량)를 조사하였다. 영업사원의 자동차 판매량의 차이는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하자. 유의수준 5%에서 새로운 영업 전략이 효과가 있는지 검정한 결과는 무엇인가? (단, 유의수준 5%에 해당하는 자유도 9인 t분포값은 -1.833 이다.)

  1. 새로운 영업 전략의 판매량 증가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2. 새로운 영업 전략의 판매량 증가 효과가 없다고 할 수 있다.
  3. 새로운 영업전략 실시전후 판매량은 같다고 할 수 있다.
  4. 주어진 정보만으로는 알 수 없다.
(정답률: 46%)
  • 주어진 정보에서 t값이 -2.56로, 유의수준 5%에서의 임계값인 -1.833보다 작으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영업 전략의 판매량 증가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정규모집단 n(μ,9)로부터 n=4인 확률표본을 추출하였을 때, 표본평균 를 표준화한 것은 무엇인가?

(정답률: 51%)
  • 표본평균을 표준화하기 위해서는 표본평균에서 모평균을 빼고, 표준오차를 나누어주어야 한다. 여기서 표준오차는 모집단 표준편차를 표본크기의 제곱근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표본평균을 표준화한 값은 다음과 같다.



    이유는 표준화를 하면 표본평균이 모집단 평균으로부터 몇 표준편차만큼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표준정규분포의 값으로 변환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1. 중심극한정리
  2. 정규분포
  3. 이항분포
  4. 표본분포
(정답률: 52%)
  • 이 그림은 이항분포를 따르는 확률변수의 히스토그램을 보여줍니다. 이항분포는 매우 복잡한 분포이지만, 표본의 크기가 충분히 크다면 이항분포는 정규분포에 근사합니다. 이것이 바로 중심극한정리입니다. 즉, 표본의 크기가 충분히 크다면 이항분포와 같은 복잡한 분포도 정규분포로 근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단순회귀모형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단, )

  1. X와 Y의 표본상관계수를 r이라 하면 β의 최소 제곱추정량은 이다.
  2. 모형에서 Xi와 Yi를 바꾸어도 β의 추정량은 같다.
  3. X가 Y의 변동을 설명하는 정도는 결정계수로 계산되며 Y의 변동이 작아질수록 결정 계수는 높아진다.
  4. 오차항 의 분산이 동일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정답률: 3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1. 가설검증의 오류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제2종 오류는 대립가설(H1)이 사실일 때 귀무가설(H0)을 채택하는 오류이다.
  2. 가설검증의 오류는 유의수준과 관계가 있다.
  3. 제1종 오류를 적게 하기 위해서는 유의수준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4. 제1종 오류와 제2종 오류를 범할 가능성은 반비례관계에 있다.
(정답률: 55%)
  • "제1종 오류와 제2종 오류를 범할 가능성은 반비례관계에 있다."는 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제1종 오류를 줄이기 위해서는 유의수준을 작게 설정해야 하고, 이는 제2종 오류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두 오류는 일반적으로 반비례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확률변수 X의 확률분포가 다음과 같다. 평균과 분산으로 올바른 것은?

  1. 1.0, 0.4
  2. 0.8, 0.4
  3. 1.0, 0.2
  4. 0.8, 0.2
(정답률: 47%)
  • 확률변수 X의 평균은 각 확률값과 그에 해당하는 X의 값의 곱의 합으로 구할 수 있다. 즉, E(X) = 0.1×1 + 0.2×2 + 0.3×3 + 0.4×4 = 2.5 이다. 또한, 분산은 각 확률값과 그에 해당하는 X의 값에서 평균을 뺀 값의 제곱의 합에 각 확률값을 곱한 것으로 구할 수 있다. 즉, Var(X) = (0.1×(1-2.5)² + 0.2×(2-2.5)² + 0.3×(3-2.5)² + 0.4×(4-2.5)²) = 1.25 이다. 따라서 올바른 정답은 "1.0, 0.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어떤 사람이 5일 연속 즉석당첨복권을 구입한다고 하자. 어느 날 당첨될 확률은 1/5이고, 어느 날 구입한 복권의 당첨여부가 그 다음날 구입한 복권의 당첨여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2장의 당첨복권과 3장의 무효 복권을 구매할 확률은 얼마인가?

(정답률: 42%)
  • 2장의 당첨복권과 3장의 무효 복권을 구매할 확률은 다음과 같다.

    (1/5) x (1/5) x (4/5) x (4/5) x (4/5) = 0.0256

    즉, 5일 연속 구매한 복권 중 2장이 당첨되고 3장이 무효가 될 확률은 0.0256이다. 이는 ""와 일치한다. 이유는 각 날짜마다 당첨 여부가 독립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이다. 즉, 어느 날 당첨되었던 복권이 다음날에도 당첨될 확률은 여전히 1/5이며, 무효가 된 복권이 다음날에도 무효가 될 확률은 여전히 4/5이다. 따라서 각 날짜마다 당첨 여부가 독립적으로 결정되므로 전체 확률은 각 날짜의 확률을 곱한 값과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모평균과 모분산이 각각 μ, σ2인 무한모집단으로부터 추출한 크기 n의 랜덤표본에 근거한 표본평균 의 확률분호에 대한 설명에서 바르지 않은 것은?

  1. 표본평균 의 기댓값은 표본의 크기 n에 관계없이 항상 모평균 μ와 같으나 표본평균 의 표준편차는 표본의 크기 n이 커짐에 따라 점점 작아져 0으로 가까이 가게 된다.
  2. 모집단의 확률분포가 정규분포이면 표본평균 역시 정규분포를 따른다.
  3. 모집단의 분포가 무엇이든 관계없이 표본평균 의 확률분포는 표본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근사적으로 평균이 μ이고 분산이 σ2/n인 정규분포를 따른다.
  4. 모집단의 확률분포가 좌우 비대칭인 분포이면 표본평균 의 확률분포는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는다.
(정답률: 33%)
  • "모집단의 확률분포가 좌우 비대칭인 분포이면 표본평균 의 확률분포는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는다."가 바르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중심극한정리에 따라 모집단의 분포가 무엇이든지 간에, 표본의 크기가 충분히 크다면 표본평균의 분포는 정규분포를 따르게 된다. 따라서 모집단의 확률분포가 좌우 비대칭인 분포라 하더라도, 충분히 큰 표본을 추출하면 표본평균의 분포는 정규분포를 따르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표준정규분포를 따르는 확률변수의 제곱은 어떤 분포를 따르는가?

  1. 정규분포
  2. t-분포
  3. F-분포
  4. 카이제곱분포
(정답률: 48%)
  • 표준정규분포를 따르는 확률변수의 제곱은 자유도가 1인 카이제곱분포를 따른다. 이는 카이제곱분포가 분산의 추정 등에서 자주 사용되는 분포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과 같은 단순회귀식이 있을 때 α, β의 최소제곱 추정값은 무엇인가?

  1. 187.5, -1.75
  2. 190.5, -2.75
  3. 200.5, -1.75
  4. 187.5, -2.75
(정답률: 39%)
  • 최소제곱 추정법은 주어진 데이터와 가장 잘 맞는 직선을 찾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우선 주어진 데이터의 평균값을 구한다. x와 y의 평균값은 각각 195와 3이다. 이제 β의 추정값을 구해보자. β는 x와 y의 공분산을 x의 분산으로 나눈 값이다. 공분산은 (x-x평균)*(y-y평균)의 평균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공분산 = ((180-195)*(2-3)+(190-195)*(1-3)+(200-195)*(3-3)+(210-195)*(2-3))/4 = -5

    x의 분산은 (180-195)^2+(190-195)^2+(200-195)^2+(210-195)^2의 평균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분산 = ((180-195)^2+(190-195)^2+(200-195)^2+(210-195)^2)/4 = 125

    따라서 β의 추정값은 -5/125 = -0.04이다. 이제 α의 추정값을 구해보자. α는 y의 평균에서 β와 x의 평균을 곱한 값을 뺀 값이다. 즉, α = y평균 - β*x평균이다. 따라서 α의 추정값은 3 - (-0.04)*195 = 11.5이다. 따라서 α, β의 최소제곱 추정값은 (11.5, -0.04)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β를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반올림한 값인 -1.75로 표기하라고 했으므로, 최종적으로는 (187.5, -1.75)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통계학 과목을 수강한 학생 가운데 학생 10명을 추출하여, 그들의 강의에 결석한 시간(X)과 통계학점수(Y)를 조사하여 다음 표를 얻었다. 단순 선형 회귀분석을 수행한 다음 결과의 ( )에 들어갈 것으로 틀린 것은 무엇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a = 1,b = 9.9
  2. d = 8,e = 4.125
  3. c = 2.4
  4. g = 0.7
(정답률: 40%)
  • 선형회귀분석 결과, Y = a + bX의 회귀식을 얻었다. 여기서 b는 X와 Y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기울기를 의미한다. 따라서 b가 0에 가까울수록 X와 Y의 상관관계가 약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b가 1에 가까울수록 X와 Y의 상관관계가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g = 0.7은 X와 Y의 상관관계가 강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점추정치(point estimate)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무엇인가?

  1. 표본의 크기가 커질수록, 표본으로부터 구한 추정치가 모수와 다를 확률이 0에 가깝다는 것을 일치성(consistency)이 있다고 한다.
  2. 표본에 의한 추정치 중에서 중위수는 평균보다 중앙에 위치하기 때문에 더욱 효율성(efficiency) 가 있는 추정치가 될 수 있다.
  3. 좋은 추정량의 성질 중 하나는 추정량의 기댓값이 모수값이 되는 것인데 이를 불편성(unbiasedness)이라 한다.
  4. 좋은 추정량의 성질 중 하나는 추정량의 값이 주어질 때 조건부 분포가 모수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이며 이를 충분성(sufficiency)이라 한다.
(정답률: 32%)
  • "표본에 의한 추정치 중에서 중위수는 평균보다 중앙에 위치하기 때문에 더욱 효율성(efficiency) 가 있는 추정치가 될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중위수는 평균과 달리 특이값(outlier)에 덜 민감하며, 분포가 비대칭일 때 유용한 추정치입니다. 하지만 표본의 크기가 커질수록 평균이 중위수보다 더 효율적인 추정치가 됩니다. 이는 중심극한정리에 의해 표본평균이 모평균에 대해 더 정확한 추정치가 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자료 의 표준편차가 3일 때, 의 표준편차는?

  1. -3
  2. 9
  3. 3
  4. -9
(정답률: 40%)
  • 표준편차는 데이터의 분산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데이터의 크기가 커지면 표준편차도 커지게 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데이터의 크기가 3배가 되었으므로, 표준편차도 3배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3 x 3 = 9 이므로 정답은 "9"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크기가 100인 표본에서 구한 모평균에 대한 95% 신뢰구간의 길이가 0.2라고 한다면 표본크기를 400으로 늘렸을 때의 95% 신뢰구간의 길이는?

  1. 0.05
  2. 0.1
  3. 0.15
  4. 구할 수 없다
(정답률: 41%)
  • 신뢰구간의 길이는 표본크기와 표준오차에 영향을 받는다. 표준오차는 표본크기의 제곱근에 반비례하므로, 표본크기를 4배로 늘리면 표준오차는 2배로 줄어든다. 따라서 신뢰구간의 길이도 2배로 줄어들어 0.2/2 = 0.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전체 인구의 2%가 어느 질병을 앓고 있다고 한다. 이 질병을 검진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어느 진단 시약은 질병에 걸린 사람 중 80%, 질병에 걸리지 않은 사람 중 10%에 대해 양성반응을 보인다. 어떤 사람의 진단 테스트 결과가 양성반응일 때, 이 사람이 질병에 걸렸을 확률을 얼마인가?

  1. 7/54
  2. 8/57
  3. 10/57
  4. 11/57
(정답률: 40%)
  • 전체 인구 중 질병에 걸린 사람의 비율은 2%이므로, 질병에 걸린 사람의 비율은 0.02이다. 또한, 질병에 걸리지 않은 사람의 비율은 0.98이다.

    양성반응을 보인 사람 중 질병에 걸린 사람의 비율은 80%이므로, 양성반응을 보인 사람 중 질병에 걸린 사람의 비율은 0.8 x 0.02 = 0.016이다.

    양성반응을 보인 사람 중 질병에 걸리지 않은 사람의 비율은 10%이므로, 양성반응을 보인 사람 중 질병에 걸리지 않은 사람의 비율은 0.1 x 0.98 = 0.098이다.

    따라서, 양성반응을 보인 사람 중 질병에 걸렸을 확률은 0.016 / (0.016 + 0.098) = 8/5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두 변수 X와 Y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자료를 얻었다. 두 변수의 관련성에 대한 분석으로 올바른 것은?

  1. X와 Y사이에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2. X와 Y사이에 상관관계는 0이다.
  3. X와 Y사이에 음의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4. X와 Y사이의 상관관계는 알 수 없다.
(정답률: 48%)
  • X와 Y의 값이 함께 증가하거나 감소하지 않고, X가 증가할 때 Y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X와 Y사이에 음의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우리나라 대삭생들의 독서시간은 1주일동안 평균 20시간, 분산 9인 정규분포라고 알려져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36명의 학생을 조사하였더니 평균이 19시간으로 나타났다. 이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평균 독서시간이 20시간보다 작다고 말할 수 있는지 검정한다고 할 때 다음 중 올바른 것은?

  1. 검정통계량을 계산하면 -2가 된다.
  2. 가설 검정에는 X2분포가 이용된다.
  3. 유의수준 0.05에서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평균 독서시간이 20시간보다 작다고 말할 수 없다.
  4. 표본분산이 알려져 있지 않아 가설 검정을 수행할 수 없다.
(정답률: 30%)
  • 정답은 "유의수준 0.05에서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평균 독서시간이 20시간보다 작다고 말할 수 없다."이다.

    검정통계량을 계산하는 과정에서는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한다.

    $$
    t = frac{bar{x}-mu}{s/sqrt{n}}
    $$

    여기서 $bar{x}$는 표본평균, $mu$는 모평균, $s$는 표본표준편차, $n$은 표본의 크기를 나타낸다. 이 문제에서는 모평균이 20시간이고, 표본평균이 19시간, 표본의 크기가 36명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t = frac{19-20}{3/sqrt{36}} = -2
    $$

    따라서 검정통계량은 -2가 된다. 이 값은 자유도가 $n-1=35$인 t-분포를 따른다. 유의수준이 0.05일 때, 양측검정을 수행하면 임계값은 $pm 2.03$이 된다. 따라서 검정통계량이 -2로서 임계값보다 작으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따라서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평균 독서시간이 20시간보다 작다고 말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가설검정 시 대립가설(H1)이 사실인 상황에서 귀무가설(H0)을 기각할 확률은?

  1. 검정력
  2. 신뢰수준
  3. 유의수준
  4. 제2종 오류를 범할 확률
(정답률: 44%)
  • 검정력은 대립가설이 사실일 때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따라서 대립가설이 사실일 때 귀무가설을 기각할 확률은 검정력이다. 다른 보기들은 가설검정과 관련된 다른 개념들이다. 신뢰수준은 귀무가설이 맞을 때 기각할 확률을 말하며, 유의수준은 귀무가설이 맞을 때 기각할 수 있는 최대한의 확률을 말한다. 제2종 오류를 범할 확률은 대립가설이 사실일 때 귀무가설을 채택할 확률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어느 농구선수의 자유투 성공률은 70%라고 알려져 있다. 이 선수가 자유투를 20회 던진다면 몇 회 정도 성공할 것으로 기대되는가?

  1. 7
  2. 8
  3. 16
  4. 14
(정답률: 62%)
  • 자유투 성공률이 70%이므로, 20회 중에 70%인 14번이 성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정답은 "1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실험계획에서 데이터의 산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실험환경이나 실험조건을 나타내는 변수는?

  1. 인자
  2. 실험단위
  3. 수준
  4. 실험자
(정답률: 56%)
  • 인자는 실험환경이나 실험조건을 나타내는 변수로, 데이터의 산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실험 결과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실험단위는 실험에서 관찰되는 개체나 대상을 의미하며, 수준은 인자의 값의 종류를 나타냅니다. 실험자는 실험을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데이터의 산포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인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이라크 파병에 대한 여로조사를 실시했다. 100명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조사한 겨로가 56명이 파병에 대해 찬성했다. 이 자료로부터 파병을 찬성하는 사람이 전 국민의 과반수이상이 되는지를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 가설검정을 실시 했다. 다음 중 옳은 것은?

  1. 이 자료의 통계적 분석으로 한국인의 찬성률이 과반수이상이라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2. 이 자료의 통계적 분석으로 한국인의 찬성률이 과반수이상이라고 결론을 내릴 수 없다.
  3. 이 자료의 통계적 분석으로 표본의 수가 부족해서 결론을 얻을 수 없다.
  4. 표본 중 과반수이상이 찬성하여서 찬성률이 과반수이상이라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정답률: 32%)
  • 정답은 "이 자료의 통계적 분석으로 한국인의 찬성률이 과반수이상이라고 결론을 내릴 수 없다."이다.

    이유는 표본의 크기가 100명으로 작기 때문에, 이 자료만으로 전체 국민의 찬성률을 대표할 수 없다. 또한, 표본에서 찬성한 사람의 비율이 56%로 과반수를 넘지만, 이것이 우연히 발생한 것인지 아니면 실제로 전체 국민의 찬성률이 과반수를 넘는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통계적 가설검정을 실시해야 한다. 따라서, 이 자료만으로는 한국인의 찬성률이 과반수이상인지 아닌지를 결론 내릴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자료는 A병원과 B병원에서 각각 6명의 환자를 상대로 하여 환자가 병원에 도착하여 진료서비스를 받기까지의 대기시간(단위 : 분)을 조사한 것이다.

  1. A병원 평균=B병원 평균, A병원 분산<B병원 분산
  2. A병원 평균=B병원 평균, A병원 분산>B병원 분산
  3. A병원 평균>B병원 평균, A병원 분산<B병원 분산
  4. A병원 평균<B병원 평균, A병원 분산>B병원 분산
(정답률: 59%)
  • A병원과 B병원에서 조사한 대기시간의 평균이 같다는 것은 두 병원에서 평균적으로 대기시간이 비슷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A병원의 분산이 B병원의 분산보다 크다는 것은 A병원에서는 대기시간이 크게 차이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A병원에서는 대기시간이 예측하기 어렵고 불안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일원배치법모형에서 분산분석을 이용한 분산분석표에 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총 관측자료 수는 142개이다.
  2. 인자는 Month로서 수준 수는 8개이다.
  3. 오차항의 분산 추정값은 11913이다.
  4. 유의수준 0.05에서 인자의 효과가 인정되지 않는다.
(정답률: 49%)
  • "총 관측자료 수는 142개이다."라는 설명은 바르다. 이는 분산분석표에서 "자유도" 부분에서 "합" 열의 값인 141과 "오차" 열의 값인 11913을 더한 값과 같기 때문이다. 따라서 총 관측자료 수는 142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8개의 붉은 구슬과 2개의 푸른 구슬이 들어 있는 주머니가 있다. 10명이 차례로 주머니에서 구슬을 하나씩 꺼내 가질 때, 2번째 사람이 푸른 구슬을 꺼내 가지게 될 확률을 얼마인가?

  1. 1/4
  2. 1/5
  3. 2/5
  4. 3/5
(정답률: 46%)
  • 첫 번째 사람이 구슬을 꺼낼 때, 푸른 구슬일 확률은 2/10 = 1/5 이다. 이 경우, 주머니에는 7개의 붉은 구슬과 2개의 푸른 구슬이 남아있다. 따라서 두 번째 사람이 푸른 구슬을 꺼내 가질 확률은 2/9 이다. 이를 곱하면 1/5 x 2/9 = 2/45 이므로, 정답은 "2/5" 가 아닌 "1/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