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조사분석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0-08-22)

사회조사분석사 2급
(2020-08-2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사방법론 I

1.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양적연구는 연구자와 연구대상이 독립적이라는 인식론에 기초한다.
  2. 질적연구는 현실 인식의 주관성을 강조한다.
  3. 질적연구는 연역적 과정에 기초한 설명과 예측을 목적으로 한다.
  4. 양적연구는 가치중립성과 편견의 배제를 강조한다.
(정답률: 66%)
  • "질적연구는 연역적 과정에 기초한 설명과 예측을 목적으로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질적연구는 주로 현상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통해 새로운 개념이나 이론을 발견하거나 기존 이론을 수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연역적 과정보다는 귀납적 과정에 더 기초한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사회과학 연구방법을 연구목적에 따라 구분할 때, 탐색적 연구의 목적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ㄷ, ㄹ
  3. ㄴ, ㄹ, ㅁ
  4. ㄴ, ㄷ, ㄹ, ㅁ
(정답률: 4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조사자의 주관이 개입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자료수집방법은?

  1. 면접조사
  2. 온라인조사
  3. 우편조사
  4. 전화조사
(정답률: 83%)
  • 면접조사는 질문을 하고 대답을 듣는 과정에서 조사자의 주관이 개입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방법이다. 면접조사에서는 조사자가 질문을 하면서 자신의 생각이나 가치관 등이 대답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면접조사는 주관적인 요소가 많이 개입될 수 있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우편조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용이 적게 든다.
  2. 자기기입식 조사이다.
  3. 면접원에 의한 편향(bias)이 없다.
  4. 조사대상 지역이 제한적이다.
(정답률: 76%)
  • 우편조사는 자기기입식 조사이기 때문에 면접원에 의한 편향이 없으며, 비용이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지만, 조사대상 지역이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이는 우편물을 발송할 수 있는 지역에 한정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두 변수 X, Y 중 X의 변화가 Y의 변화를 생산해 낼 경우 X와 Y의 관계로 옳은 것은?

  1. 상관관계
  2. 인과관계
  3. 선후관계
  4. 회귀관계
(정답률: 70%)
  • 정답은 "인과관계"이다. 인과관계란 한 변수의 변화가 다른 변수의 변화를 일으키는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말한다. 즉, X의 변화가 Y의 변화를 일으키는 경우 X는 Y의 원인이 되고, Y는 X의 결과가 된다. 상관관계는 두 변수 간의 관계가 서로 연관성이 있을 뿐 원인과 결과의 관계는 아니다. 선후관계는 어떤 사건이 다른 사건보다 먼저 일어난다는 것을 말하며, 회귀관계는 두 변수 간의 평균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기업조사 설문의 응답 항목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은?

  1. 간결성
  2. 명확성
  3. 포괄성
  4. 상호배제성
(정답률: 6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사례조사연구의 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명제나 가설의 검증
  2. 연구대상에 대한 기술과 탐구
  3. 분석단위의 파악
  4. 연구결과에 대한 일반화
(정답률: 58%)
  • 사례조사연구의 목적은 연구대상에 대한 기술과 탐구입니다. 이는 특정한 사례나 현상을 깊이 있게 탐구하고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연구 대상에 대한 상세한 정보와 특징을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사례조사연구는 연구대상에 대한 기술과 탐구를 목적으로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좋은 가설의 평가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설의 표현은 간단명료해야 한다.
  2. 가설은 경험적으로 검증할 수 있어야 한다.
  3. 계량화 가능성은 가설의 평가기준이 될 수 없다.
  4. 가설은 동의반복이어서는 안된다.
(정답률: 77%)
  • "계량화 가능성은 가설의 평가기준이 될 수 없다."는 옳은 평가기준이다. 이는 가설이 얼마나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이며, 이는 가설의 유효성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이는 옳지 않은 평가기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단일집단 사후측정설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외적타당도가 높다.
  2. 실험적 처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3. 인과관계를 규명하는데 취약한 설계이다.
  4. 외생변수를 쉽게 통제할 수 있다.
(정답률: 44%)
  • 단일집단 사후측정설계는 이미 일어난 사건에 대한 결과를 측정하는 설계이기 때문에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데 취약합니다. 이 설계는 외적타당도가 높고 외생변수를 쉽게 통제할 수 있지만, 실험적 처치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면접조사 시 유의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응답의 내용은 조사자가 해석하여 요약·정리해 둔다.
  2. 응답자와 친숙한 분위기(rapport)를 형성한다.
  3. 조사자는 응답자가 이질감을 느끼지 않도록 복장이나 언어사용에 유의한다.
  4. 조사자는 조사에 임하기 전에 스스로 질문내용에 대해 숙지한다.
(정답률: 78%)
  • "응답의 내용은 조사자가 해석하여 요약·정리해 둔다."가 틀린 것이다. 조사자는 응답자가 직접 말한 내용을 최대한 그대로 기록하고, 해석이 필요한 경우에는 응답자에게 추가 질문을 하여 명확하게 이해한 후에 정리해야 한다. 응답의 내용을 조사자가 임의로 해석하거나 요약하는 것은 응답자의 의사를 왜곡할 수 있으므로 지양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비과학적 지식 형성 방법 중 직관에 의한 지식형성의 오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부정확한 관찰
  2. 지나친 일반화
  3. 자기중심적 현상 이해
  4. 분명한 명제에서 출발
(정답률: 78%)
  • 직관에 의한 지식형성의 오류 중에서 분명한 명제에서 출발하는 것은 오류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분명하고 명확한 사실을 기반으로 판단하고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므로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다. 따라서 이 보기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대규모 모집단의 특성을 기술하기에 유용한 방법은?

  1. 참여관찰(participant observation)
  2. 표본조사(sample survey)
  3. 유사실험(quasi-experiment)
  4. 내용분석(contents analysis)
(정답률: 76%)
  • 표본조사는 대규모 모집단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일부 표본을 추출하여 조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모집단 전체를 조사하는 것보다 시간과 비용이 적게 들며, 표본의 크기와 추출 방법을 적절히 선택하면 모집단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대규모 모집단의 특성을 기술하기에 유용한 방법으로 선택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연구 진행 과정에서 위약효과(placebo effect)가 큰 것으로 의심이 될 때 연구자가 유의해야 할 점은?

  1. 연구대상자 수를 줄여야 한다.
  2. 사전조사와 본조사의 간격을 줄여야 한다.
  3.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지 말아야 한다.
  4. 연구대상자에게 피험자임을 인식시켜야 한다.
(정답률: 67%)
  • 위약효과가 큰 경우, 연구 결과가 실제 대상에게 적용될 수 있는 일반화 가능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지 말아야 한다. 즉, 연구 결과를 일반화시키면 위약효과가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연구 결과의 타당성이 떨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소득수준과 출산력의 관계를 알아볼 때, 개별사례를 바탕으로 어떤 일반적 유형을 찾아내는 방법은?

  1. 연역적 방법
  2. 귀납적 방법
  3. 참여관찰법
  4. 질문지법
(정답률: 69%)
  • 귀납적 방법은 개별적인 사례를 바탕으로 일반적인 유형을 찾아내는 방법이다. 즉, 일련의 개별적인 사례를 분석하여 공통점을 찾아내고 이를 일반적인 원리나 법칙으로 추론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소득수준과 출산력의 관계를 알아볼 때도 개별적인 가구들의 사례를 분석하여 소득수준과 출산력의 관계에 대한 일반적인 유형을 찾아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외생변수의 통제가 가장 용이한 실험설계는?

  1. 비동질 통제집단 사전사후측정 설계
  2. 단일집단 사전사후측정 설계
  3. 집단 비교설계
  4. 통제집단 사전사후측정 설계
(정답률: 66%)
  • 통제집단 사전사후측정 설계는 실험군과 비교군을 둬서 외생변수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실험설계이다. 실험 전에 두 집단을 비교하여 외생변수의 차이를 확인하고, 실험 후에도 다시 비교하여 외생변수의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외생변수의 통제가 가장 용이한 실험설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내용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조사대상에 영향을 미친다.
  2.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경제성이 있다.
  3. 일정기간 진행되는 과정에 대한 분석이 용이하다.
  4. 연구 진행 중에 연구계획의 부분적인 수정이 가능하다.
(정답률: 61%)
  • "조사대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내용분석의 특징이 아니라 단점이다. 내용분석은 조사대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주로 문서나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여 내용을 파악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틀린 것은 "조사대상에 영향을 미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실험설계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실험의 검증력을 극대화 시키고자 하는 시도이다.
  2. 연구가설의 진위여부를 확인하는 구조화된 절차이다.
  3. 실험의 내적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다.
  4. 조작적 상황을 최대한 배제하고 자연적 상황을 유지해야 하는 표준화된 절차이다.
(정답률: 75%)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설문지 작성에서 질문의 순서를 결정할 때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시작하는 질문은 쉽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어야 한다.
  2. 인적사항이나 사생활에 대한 질문은 가급적 처음에 묻는다.
  3. 일반적인 내용을 먼저 묻고, 다음에 구체적인 것을 묻도록 한다.
  4. 연상작용을 일으키는 문항들은 간격을 멀리 떨어뜨려 놓는다.
(정답률: 79%)
  • 인적사항이나 사생활에 대한 질문은 가급적 처음에 묻는다는 것은 설문조사에서 참가자들이 불편하거나 거부감을 느낄 수 있는 질문들을 처음에 묻는 것이 좋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참가자들의 신뢰를 유지하고 설문조사의 질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질문의 순서를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사회조사의 윤리적 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윤리적 원칙은 연구결과의 보고에도 적용된다.
  2. 고지된 동의서는 조사자를 보호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3. 연구 참여에 따른 위험과 더불어 혜택도 고지되어야 한다.
  4. 조사대상자의 익명성은 조사결과를 읽는 사람에게만 해당된다.
(정답률: 78%)
  • "조사대상자의 익명성은 조사결과를 읽는 사람에게만 해당된다."는 옳지 않은 원칙이다. 조사대상자의 익명성은 조사과정에서부터 조사결과를 보고하는 모든 단계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이는 조사대상자의 개인정보와 권리를 보호하고, 조사결과의 신뢰성과 유용성을 보장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과학적 연구의 특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ㄹ
  2. ㄴ, ㄹ, ㅁ
  3. ㄱ, ㄴ, ㄷ, ㄹ
  4. ㄱ, ㄴ, ㄷ, ㄹ, ㅁ
(정답률: 67%)
  • - ㄱ: 관찰과 실험을 통해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한다.
    과학적 연구는 현상을 관찰하고 실험을 통해 그 원인과 결과를 파악하여 이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것이다.

    - ㄴ: 검증 가능한 가설을 세우고 검증한다.
    과학적 연구는 검증 가능한 가설을 세우고 이를 실험을 통해 검증하는 것이다.

    - ㄷ: 정확한 측정과 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한다.
    과학적 연구는 정확한 측정과 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다.

    - ㄹ: 과학적 방법론을 따른다.
    과학적 연구는 과학적 방법론을 따르며, 이는 관찰, 가설 설정, 실험, 결과 분석, 결론 도출 등의 단계를 거친다.

    - ㅁ: 지속적인 검증과 수정을 통해 지식을 발전시킨다.
    과학적 연구는 지속적인 검증과 수정을 통해 지식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새로운 연구나 실험을 통해 이전의 지식을 검증하고 수정하여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관찰조사방법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언어적 자료를 수집하는데 효과적이다.
  2. 장기적인 연구조사를 할 수 있다.
  3. 환경변수를 완벽하게 통제할 수 있다.
  4. 자연스러운 연구 환경의 확보가 용이하다.
(정답률: 76%)
  • 환경변수를 완벽하게 통제할 수 있다는 것은 관찰 대상에게 원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이는 실제 상황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관찰 대상의 행동이 인위적인 환경에서는 실제와 다를 수 있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는 관찰조사방법의 장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정당 공천에 앞서 당선 가능성이 높은 후보를 알아보고자 할 때 가장 적합한 조사 방법은?

  1. 단일사례 관찰조사
  2. 델파이 조사
  3. 표본집단 설문조사
  4. 초점집단 면접조사
(정답률: 65%)
  • 정당 공천에 앞서 당선 가능성이 높은 후보를 알아보고자 할 때 가장 적합한 조사 방법은 "표본집단 설문조사"입니다. 이는 대상인 후보들의 의견을 직접 수집하여 분석할 수 있으며, 대상인 후보들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표본을 추출하여 조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설문조사는 비교적 간편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으며, 결과를 통해 후보들의 선호도와 지지율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연구대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가장 적은 것은?

  1. 완전관찰자
  2. 관찰자로서의 참여자
  3. 참여자로서의 관찰자
  4. 완전참여자
(정답률: 70%)
  • 정답: 완전관찰자

    설명: 완전관찰자는 연구대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완전관찰자는 연구과정에서 관찰만 하고 참여하지 않는다. 따라서 연구대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가장 적다. 반면, 관찰자로서의 참여자, 참여자로서의 관찰자, 완전참여자는 연구과정에서 참여하므로 연구대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질문지 작성 시 요구되는 원칙이 아닌 것은?

  1. 규범성
  2. 간결성
  3. 명확성
  4. 가치중립성
(정답률: 6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온라인조사의 특징과 관계가 없는 내용은?

  1. 응답자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다.
  2. 응답자의 익명성이 보장되기 어렵다.
  3. 현장조사에 비해서 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
  4. 표본의 대표성 확보가 용이하다.
(정답률: 5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정확한 응답을 유도하거나 응답이 지엽적으로 흐르는 것을 막기 위해 추가질문을 행하는 것은?

  1. 캐어묻기(probing)
  2. 맞장구쳐주기(reinforcement)
  3. 라포(rapport)
  4. 단계적 이행(transition)
(정답률: 71%)
  • 캐어묻기(probing)는 정확한 응답을 유도하거나 응답이 지엽적으로 흐르는 것을 막기 위해 추가질문을 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는 다른 보기들과는 구분되는 특징입니다. 맞장구쳐주기(reinforcement)는 상대방의 의견이나 발언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을 말하며, 라포(rapport)는 상대방과의 관계를 원활하게 유지하기 위한 대화 기술을 말합니다. 단계적 이행(transition)은 대화 주제나 상황을 부드럽게 전환하기 위한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연구문제가 학문적으로 의미 있는 것이라고 할 때, 학문적 기준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독창성을 가져야 한다.
  2. 이론적인 의의를 지녀야 한다.
  3. 경험적 검증가능성이 있어야 한다.
  4. 광범위하고 질문형식으로 쓴 상태여야 한다.
(정답률: 71%)
  • 연구문제가 학문적으로 의미 있는 것이라고 하려면, 다양한 학문적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광범위하고 질문형식으로 쓴 상태여야 한다." 입니다. 이유는 연구문제는 연구의 출발점이며, 연구의 목적과 방향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구문제는 연구의 범위와 깊이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연구문제는 연구과정에서 가장 먼저 검증되어야 하는 가설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연구문제는 광범위하고 질문형식으로 쓰여져야 하며, 이를 통해 연구의 범위와 방향성을 명확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전문가의 견해를 물어 종합적인 상황을 파악하거나 미래의 불확실한 상황을 예측할 때 주로 이용되는 조사기법은?

  1. 이차적 연구(secondary research)
  2. 코호트(cohort) 설계
  3. 추세(trend) 설계
  4. 델파이(delphi) 기법
(정답률: 64%)
  • 델파이 기법은 여러 전문가들의 견해를 수집하여 종합적인 상황을 파악하거나 미래의 불확실한 상황을 예측하는 조사기법입니다. 이 기법은 전문가들이 서로 의견을 교환하고 수정하며 최종적으로 합의된 견해를 도출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따라서 델파이 기법은 전문가들의 지식과 경험을 활용하여 미래를 예측하는 데 유용한 조사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실제 연구가 가능한 주제가 되기 위한 조건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존의 이론 체계와 반드시 관련이 있어야 한다.
  2. 연구현상이 실증적으로 검증 가능해야 한다.
  3. 연구문제가 관찰 가능한 현상과 밀접히 연결되어야 한다.
  4. 연구대상이 되는 현상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존재해야 한다.
(정답률: 61%)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개방형 질문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자료처리를 위한 코딩이 쉬운 장점을 갖는다.
  2. 예기치 않은 응답을 발견할 수 있다.
  3. 자세하고 풍부한 응답내용을 얻을 수 있다.
  4. 탐색조사에서 특히 유용한 질문의 형태이다.
(정답률: 79%)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사방법론 II

31. 타당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ㄴ, ㄷ
  3. ㄱ, ㄴ, ㄷ, ㄹ
(정답률: 54%)
  • - "ㄱ" : 샘플링이나 측정 방법 등의 한계로 인해 모집단을 완벽하게 대표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모집단의 크기가 클수록 타당도가 높아진다.
    - "ㄴ" : 내용 타당도와 구조 타당도를 모두 고려하여 검증하는 방법으로, 내용 타당도는 측정 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는지를, 구조 타당도는 측정 도구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일관성 있게 작동하는지를 검증한다.
    - "ㄷ" : 측정 도구가 일관성 있게 측정하는지를 검증하는 방법으로, 내적 일관성과 외적 일관성으로 나뉘며, 내적 일관성은 측정 도구 내부에서 서로 관련된 항목들이 일관성 있게 측정되는지를, 외적 일관성은 측정 도구가 다른 측정 도구와 비교하여 일관성 있는 결과를 보이는지를 검증한다.
    - "ㄹ" : 측정 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을 정확하게 측정하는지를 검증하는 방법으로, 측정 도구와 개념 간의 관계를 검증하며, 일반적으로 다른 측정 도구와 비교하여 검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단순무작위표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표본이 모집단으로부터 추출된다.
  2. 모든 요소가 동등한 확률을 가지고 추출된다.
  3. 구성요소가 바로 표집단위가 되는 것은 아니다.
  4. 표집 시 보편적인 방법은 난수표를 사용하는 것이다.
(정답률: 60%)
  • 단순무작위표집은 모집단에서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이때, 모든 요소가 동등한 확률을 가지고 추출되며, 표본이 모집단으로부터 추출된다. 하지만 구성요소가 바로 표집단위가 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표본을 추출할 때, 하나의 표본 단위가 여러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구성요소가 아닌 표본 단위를 추출해야 한다. 따라서, 구성요소가 바로 표집단위가 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표본크기를 결정할 때 고려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모집단의 동질성
  2. 모집단의 크기
  3. 척도의 유형
  4. 신뢰도
(정답률: 44%)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타당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사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어느 정도 하였는가의 문제이다.
  2. 같은 대상의 속성을 반복적으로 측정할 때 같은 측정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정도를 말한다.
  3. 여러 가지 조작적 정의를 이용해 측정을 하고, 각 측정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타당도를 가한다.
  4. 외적타당도란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킬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정답률: 65%)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리커트(Likert)척도를 작성하는 기본절차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척도문항의 선정과 척도의 서열화
  2. 응답자의 진술문항 선정과 각 문항에 대한 응답자들의 서열화
  3. 응답범주에 대한 배점과 응답자들의 총점순위에 따른 배열
  4. 상위응답자들과 하위응답자들의 각 문항에 대한 판별력의 계산
(정답률: 2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신뢰도와 타당도 간의 관계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신뢰도가 높은 측정은 항상 타당도가 높다.
  2. 타당도가 높은 측정은 항상 신뢰도가 높다.
  3. 신뢰도가 낮은 측정은 항상 타당도가 낮다.
  4. 타당도가 낮다고 해서 반드시 신뢰도가 낮은 것은 아니다.
(정답률: 56%)
  • "신뢰도가 높은 측정은 항상 타당도가 높다."가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이는 신뢰도와 타당도는 서로 다른 개념이기 때문이다.

    신뢰도는 측정 도구나 방법이 일관성 있게 결과를 내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타당도는 측정 도구나 방법이 실제로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신뢰도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타당도가 높은 것은 아니며, 타당도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신뢰도가 높은 것도 아니다. 둘은 서로 독립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각각의 측정 결과를 평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서열측정을 위한 방법으로 단순합산법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척도는?

  1. 거트만(Guttman)척도
  2. 서스톤(Thurstone)척도
  3. 리커트(Likert)척도
  4. 보가더스(Bogardus)척도
(정답률: 49%)
  • 리커트 척도는 각 항목에 대해 5단계 정도의 선택지를 제공하고, 이를 단순합산하여 총점을 계산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따라서 서열측정을 위한 방법으로 단순합산법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척도는 리커트 척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일반적으로 표집방법들 간의 표집효과를 계산할 때 준거가 되는 표집방법은?

  1. 군집표집
  2. 체계적표집
  3. 층화표집
  4. 단순무작위표집
(정답률: 53%)
  • 단순무작위표집은 모집단의 모든 개체가 동등한 확률로 표본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다른 표집방법들보다 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표집방법들 간의 표집효과를 계산할 때는 단순무작위표집을 기준으로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은 어떤 척도에 관한 설명인가?

  1. 명목척도
  2. 서열척도
  3. 등간척도
  4. 비율척도
(정답률: 70%)
  • 이 척도는 각 항목이 서로 구분되는 이름이나 기호로 표시되며, 순서나 크기 등의 개념이 없는 척도로, 명목척도라고 부릅니다. 예를 들어, 성별, 혈액형, 종교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의미분화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언어의 의미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응답자의 태도를 측정하는 데 적당하지 않다.
  2. 양적 판단법으로 다변량 분석에 적용이 용이하도록 자료를 얻을 수 있게 해주는 방법이다.
  3. 척도의 양극단에 서로 상반되는 형용사나 표현을 이용해서 측정한다.
  4. 의미적 공간에 어떤 대상을 위치시킬 수 있다는 이론적 가정을 사용한다.
(정답률: 54%)
  • "언어의 의미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응답자의 태도를 측정하는 데 적당하지 않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의미분화척도는 언어의 의미를 측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응답자의 태도를 측정하는 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에서 사용한 표집방법은?

  1. 단순무작위표집
  2. 층화표집
  3. 군집표집
  4. 할당표집
(정답률: 31%)
  • 이 그림에서는 전체 인구를 지역별로 나누어 각 지역에서 일부 군집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조사하는 방법인 군집표집을 사용하고 있다. 이 방법은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여 표본을 추출할 수 있어 전체 인구를 대표하는 표본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표집과 관련된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모수(parameter)는 표본에서 어떤 변수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요약한 통계치이다.
  2. 표집률(sampling ratio)은 모집단에서 개별요소가 선택될 비율이다.
  3. 표집간격(sampling interval)은 모집단으로부터 표본을 추출할 때 추출되는 요소와 요소간의 간격을 의미한다.
  4. 관찰단위(observation unit)는 직접적인 조사대상을 의미한다.
(정답률: 53%)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측정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측정도구에 포함된 내용이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을 대표할 수 있도록 한다.
  2. 응답자가 모르는 내용은 측정하지 않는다.
  3. 측정항목의 모호성을 제거한다.
  4. 측정항목의 수를 늘린다.
(정답률: 41%)
  • 측정도구에 포함된 내용이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을 대표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은 측정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해 정확하고 완전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지만, 이들은 모두 측정도구의 설계와 관련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측정도구에 포함된 내용이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을 대표할 수 있도록 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외적타당도를 저해하는 요소에 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측정도구나 관찰자에 따라 측정이 달라질 수 있다.
  2. 측정 자체가 실험대상자들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다.
  3. 실험대상자 선정에서 오는 편향과 독립변수 간에 상호작용이 있을 수 있다.
  4. 연구의 결과가 일반화될 수 있는가의 여부는 표집뿐만 아니라 생태학적 상황에 의해서도 결정될 수 있다.
(정답률: 28%)
  • "측정 자체가 실험대상자들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외적타당도를 저해하는 요소에 관한 설명이지만, "측정도구나 관찰자에 따라 측정이 달라질 수 있다."는 외적타당도를 저해하는 요소에 관한 설명이 아니다. 이유는 측정도구나 관찰자에 따라 측정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은 내적타당도를 저해하는 요소에 해당하며, 외적타당도를 저해하는 요소는 실험 대상자들의 행동 변화, 실험 대상자 선정에서 오는 편향과 독립변수 간에 상호작용, 그리고 연구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 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질적변수(qualitative variable)와 양적변수(quantitative variable)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성별, 종교, 직업, 학력 등을 나타내는 변수는 질적변수이다.
  2. 질적변수에서 양적변수로의 변환은 거의 불가능하다.
  3. 계량적 변수 혹은 메트릭(metric) 변수라고 불리는 것은 양적변수이다.
  4. 양적변수는 몸무게나 키와 같은 이산변수(discrete variable)와 자동차의 판매대수와 같은 연속변수(continuous variable)로 나누어진다.
(정답률: 4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확률표집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체계적표집(systematic sampling)
  2. 군집표집(cluster sampling)
  3. 할당표집(quota sampling)
  4. 층화표집(stratified random sampling)
(정답률: 63%)
  • 할당표집은 모집단을 특정 기준에 따라 여러 그룹으로 나눈 후, 각 그룹에서 일정한 비율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확률표집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자료에 대한 통계분석 방법 결정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측정의 요소는?

  1. 신뢰도
  2. 타당도
  3. 측정방법
  4. 측정수준
(정답률: 24%)
  • 측정수준은 통계분석 방법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측정수준은 측정하고자 하는 변수의 성격에 따라서 결정되며, 변수의 측정수준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통계분석 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측정수준을 고려하지 않고 통계분석을 수행하면 잘못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측정 오차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체계적 오차는 사회적 바람직성 편견, 문화적 편견과 관련이 있다.
  2. 비체계적 오차는 일관적 영향 패턴을 가지지 않고 측정을 일관성 없게 만든다.
  3. 측정의 신뢰도는 체계적 오차와 관련성이 크고, 측정의 타당도는 비체계적 오차와 관련성이 크다.
  4. 측정의 오차를 피하기 위해 간과했을 수도 있는 편견이나 모호함을 찾아내기 위해 동료들의 피드백을 얻는다.
(정답률: 60%)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개념적 정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순환적인 정의를 해야 한다.
  2. 적극적 혹은 긍정적인 표현을 써야 한다.
  3. 정의하려는 대상이 무엇이든 그것만의 특유한 요소나 성질을 직시해야 한다.
  4. 뜻이 분명해서 누구나 알아들을 수 있는 의미를 공유하는 용어를 써야 한다.
(정답률: 54%)
  • "뜻이 분명해서 누구나 알아들을 수 있는 의미를 공유하는 용어를 써야 한다."는 개념적 정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모든 용어가 누구나 알아들을 수 있는 의미를 가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개념적 정의를 할 때는 해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사용하되, 그 용어의 의미를 명확하게 설명해야 합니다. "순환적인 정의를 해야 한다."는 이유는 개념적 정의를 할 때, 정의하려는 대상이 다른 개념과 관련되어 있을 경우, 그 개념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순환적인 정의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 )안에 들어갈 알맞은 것은?

  1. A: 50, B: 50
  2. A: 10, B: 50
  3. A: 100, B: 50
  4. A: 100, B: 100
(정답률: 47%)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표본의 크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표본의 크기는 전체적인 조사목적, 비용 등을 감안하여 결정한다.
  2. 부분집단별 분석이 필요한 경우에는, 표본의 수를 작게 하는 대신 무응답을 줄이려고 노력한다.
  3. 일반적으로 표본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표본오차의 크기는 감소한다.
  4. 비확률 표본추출법의 경우 표본의 크기와 표본오차와는 무관하다.
(정답률: 25%)
  • "부분집단별 분석이 필요한 경우에는, 표본의 수를 작게 하는 대신 무응답을 줄이려고 노력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부분집단별 분석이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 부분집단의 크기와 중요도에 따라 적절한 표본 크기를 결정해야 합니다. 무응답을 줄이는 것은 표본의 크기를 작게 하는 대신에는 무응답률을 낮추기 위한 노력으로서 별도의 전략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척도와 지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수는 개별적인 속성들에 할당된 점수들을 합산하여 구한다.
  2. 척도는 속성들 간에 존재하고 있는 강도(intensity) 구조를 이용한다.
  3. 지수는 척도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해준다.
  4. 척도와 지수 모두 변수에 대한 서열측정이다.
(정답률: 49%)
  • "지수는 척도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해준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척도와 지수는 각각 다른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며, 어느 것이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상황에 따라 다르다. 척도는 속성들 간에 존재하는 강도 구조를 이용하여 변수를 측정하고, 지수는 개별적인 속성들에 할당된 점수들을 합산하여 구한다. 따라서 척도와 지수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변수를 측정하며, 둘 중 어느 것이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지는 분석하려는 문제와 변수의 특성에 따라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변수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변수는 연구대상의 경험적 속성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2. 인과적 조사연구에서 독립변수란 종속변수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변수이다.
  3. 외재적 변수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와의 관계에 개입하면서 그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제3의 변수이다.
  4. 잠재변수와 측정변수는 변수를 측정하는 척도의 유형에 따른 것이다.
(정답률: 51%)
  • 잠재변수와 측정변수는 변수를 측정하는 척도의 유형에 따른 것이다. 이유는 변수는 측정 가능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뉘며, 측정 가능한 것은 측정변수로, 그렇지 않은 것은 잠재변수로 구분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변수를 측정하는 방법에 따라 측정변수와 잠재변수로 나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사례에서 사용한 표집방법은?

  1. 할당표집
  2. 판단표집
  3. 편의표집
  4. 눈덩이표집
(정답률: 54%)
  • 이 사례에서 사용한 표집방법은 "판단표집"이다. 이유는 표본을 추출할 때, 조사 대상인 고객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하였기 때문이다. 즉, 조사 대상인 고객들의 특성을 미리 파악하고, 그에 따라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이 "판단표집"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특정한 구성개념이나 잠재변수의 값을 측정하기 위해 측정할 내용이나 측정방법을 구체적으로 정확하게 표현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1. 구성적 정의(constitutive definition)
  2. 조작적 정의(operational definition)
  3. 개념화(conceptualization)
  4. 패러다임(paradigm)
(정답률: 60%)
  • 조작적 정의는 특정한 개념이나 변수를 측정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정확하게 표현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연구자들이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하고 결과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며,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조작적 정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표본추출방법 중 표집오차의 추정이 확률적으로 가능한 것은?

  1. 할당표집
  2. 판단표집
  3. 편의표집
  4. 단순무작위표집
(정답률: 66%)
  • 단순무작위표집은 모집단에서 모든 개체가 동일한 확률로 추출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표집오차의 추정이 확률적으로 가능합니다. 다른 방법들은 모집단에서 개체를 추출하는 방법이 특정한 규칙에 따라 이루어지기 때문에 표집오차의 추정이 확률적으로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표집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1. 대표성과 경제성
  2. 대표성과 신속성
  3. 대표성과 적절성
  4. 정확성과 경제성
(정답률: 63%)
  • 표집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대표성과 적절성입니다. 이는 표본이 전체 모집단을 대표하고, 연구 목적에 맞게 적절한 크기와 방법으로 추출되어야 함을 의미합니다. 대표성이 부족하면 연구 결과가 왜곡될 가능성이 높아지며, 적절성이 부족하면 연구 목적에 맞는 정보를 얻을 수 없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표집 과정에서 이러한 요인을 고려하여 적절한 표본을 추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사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검사-재검사법(test-retest method)은 측정대상이 동일하다.
  2. 복수양식법(parallel-forms method)은 측정도구가 동일하다.
  3. 반분법(split-half method)은 측정도구의 문항을 양분한다.
  4. 크론바하 알파(Cronbach’s alpha) 계수는 0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값이 높을수록 신뢰도가 높다.
(정답률: 60%)
  • "복수양식법(parallel-forms method)은 측정도구가 동일하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복수양식법은 동일한 개념이나 내용을 가진 여러 개의 측정도구를 만들어서 각각의 도구를 무작위로 배정하여 측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측정도구는 서로 다르지만 내용이 동일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실험에서 인과관계를 추론하기 위해서 서로 다른 값을 갖도록 처치를 하는 변수는?

  1. 외적변수
  2. 종속변수
  3. 매개변수
  4. 독립변수
(정답률: 49%)
  • 정답: 독립변수

    독립변수는 실험에서 인과관계를 추론하기 위해 다른 변수들과 구분하여 변화시키는 변수이다. 즉, 실험자가 직접 조작하여 변화시키는 변수로서, 다른 변수들에 영향을 미치지만 그 영향을 받지 않는 변수이다. 따라서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독립변수를 변화시켜서 종속변수의 변화를 관찰하고 분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사회조사에서 발생하는 측정오차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조사의 목적
  2. 측정대상자의 상태 변화
  3. 환경적 요인의 변화
  4. 측정도구와 측정대상자의 상호작용
(정답률: 69%)
  • 사회조사에서 발생하는 측정오차의 원인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조사의 목적"이다. 이는 조사의 목적이 명확하지 않거나 조사자와 참여자 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아 조사 결과가 왜곡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사를 실시하기 전에 목적을 명확히 하고 조사자와 참여자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사회통계

61. 어느 회사에서는 두 공장 A와 B에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각 공장에서 8개와 10개의 제품을 임의로 추출하여 수명을 조사한 결과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다음과 같은 t-검정통계량을 사용하여 두 공장 제품의 수명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고자 할 때, 필요한 가정이 아닌 것은?

  1. 두 공장 A, B의 제품의 수명은 모두 정규분포를 따른다.
  2. 공장 A의 제품에서 임의추출한 표본과 공장 B의 제품에서 임의추출한 표본은 서로 독립이다.
  3. 두 공장 A, B에서 생산하는 제품 수명의 분산은 동일하다.
  4. 두 공장 A, B에서 생산하는 제품 수명의 중위수는 같다.
(정답률: 4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이라크 파병에 대한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100명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조사한 결과 56명이 파병에 대해 찬성했다. 이 자료로부터 파병을 찬성하는 사람이 전 국민의 과반수 이상이 되는지를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 가설검정을 실시했다. 다음 중 옳은 것은?

  1. 찬성률이 전 국민의 과반수이상이라고 할 수 있다.
  2. 찬성률이 전 국민의 과반수이상이라고 할 수 없다.
  3. 표본의 수가 부족해서 결론을 얻을 수 없다.
  4. 표본의 과반수이상이 찬성해서 찬성률이 전 국민의 과반수이상이라고 할 수 있다.
(정답률: 32%)
  • 정답은 "찬성률이 전 국민의 과반수이상이라고 할 수 없다."이다.

    유의수준 5%에서의 가설검정 결과, p-value가 0.1099로 나왔다. 이는 유의수준 5%보다 크기 때문에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따라서, 파병을 찬성하는 사람이 전 국민의 과반수 이상인지에 대한 주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이 조사 결과만으로는 파병을 찬성하는 사람이 전 국민의 과반수 이상인지에 대한 결론을 내릴 수 없다. 추가적인 조사나 분석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 )에 들어갈 분석방법으로 옳은 것은?

  1. ㄱ: 교차분석, ㄴ: 분산분석, ㄷ: 회귀분석
  2. ㄱ: 교차분석, ㄴ: 회귀분석, ㄷ: 분산분석
  3. ㄱ: 분산분석, ㄴ: 분산분석, ㄷ: 회귀분석
  4. ㄱ: 회귀분석, ㄴ: 회귀분석, ㄷ: 분산분석
(정답률: 53%)
  • 주어진 데이터는 두 개의 범주형 변수(성별, 대출여부)와 하나의 연속형 변수(대출금액)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범주형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ㄱ: 교차분석, ㄴ: 분산분석, ㄷ: 회귀분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유의확률(p-valu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어진 데이터와 직접적으로 관계가 있다.
  2. 검정통계량이 실제 관측된 값보다 대립가설을 지지하는 방향으로 더욱 치우칠 확률로서 귀무가설 하에서 계산된 값이다.
  3. 유의확률이 작을수록 귀무가설에 대한 반증이 강한 것을 의미한다.
  4. 유의수준이 유의확률보다 작으면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정답률: 4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변수 x와 y에 대한 n개의 자료 (x1, y1),…,(xn, yn)에 대하여 단순회귀모형 y101xii를 적합시키는 경우, 잔차 에 대한 성질이 아닌 것은?

(정답률: 41%)
  • 보기 중 ""이 정답이 아니다.

    잔차는 실제 값과 예측 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값으로, 잔차의 합은 항상 0이다. 이는 회귀선이 데이터의 중심을 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기 중 ""이 성질은 잘못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확률분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X가 연속형 균일분포를 따르는 확률변수일 때, P(X=x)는 모든 x에서 영(0)이다.
  2. 포아송분포의 평균과 분산은 동일하다.
  3. 연속확률분포의 확률밀도함수 f(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면적은 항상 1이다.
  4. 정규분포의 표준편차 σ는 음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정답률: 51%)
  • "정규분포의 표준편차 σ는 음의 값을 가질 수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표준편차는 항상 0보다 큰 양수이기 때문입니다. 음의 값을 가지게 된다면 확률분포가 음수의 값을 가지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시험을 친 학생 중 국어합격자는 50%, 영어합격자는 60%이며, 두 과목 모두 합격한 학생은 15%라고 한다. 이때 임의로 한 학생을 뽑았을 때, 이 학생이 국어에 합격한 학생이라면 영어에도 합격했을 확률은?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55%)
  • 전체 학생 중 국어에 합격한 학생의 비율은 50%이다. 이 중에서 영어에도 합격한 학생의 비율은 두 과목 모두 합격한 학생의 비율인 15%이다. 따라서 국어에 합격한 학생 중 영어에도 합격한 학생의 비율은 15% / 50% = 30%이다. 즉, 국어에 합격한 학생 중 30%가 영어에도 합격한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3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피어슨 상관계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두 변수가 곡선관계가 되었을 때 기울기를 의미한다.
  2. 두 변수가 모두 질적변수일 때만 사용한다.
  3. 상관계수가 음일 경우는 어느 한 변수가 커지면 다른 변수도 커지려는 경향이 있다.
  4. 단순회귀분석에서 결정계수의 제곱근은 반응변수와 설명변수의 피어슨 상관계수이다.
(정답률: 45%)
  • 단순회귀분석에서 결정계수의 제곱근은 반응변수와 설명변수의 피어슨 상관계수이다. 이는 두 변수 간의 선형적인 관계의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1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1에 가까울수록 강한 양의 상관관계, -1에 가까울수록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따라서 두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예측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두 변수 간의 상관계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한 변수의 값이 일정할 때 상관계수는 0이 된다.
  2. 한 변수의 값이 다른 변수값보다 항상 100만큼 클 때 상관계수는 1이 된다.
  3. 상관계수는 변수들의 측정단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4. 상관계수가 0일 때는 두 변수의 공분산도 0이 된다.
(정답률: 27%)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단순회귀모형 Yi=α+βxii(i=1,2,…,n)을 적합하여 다음을 얻었다. 이때 결정계수 r2을 구하면? (단, 는 i번째 추정값을 나타낸다.)

  1. 0.4
  2. 0.5
  3. 0.6
  4. 0.7
(정답률: 4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비가 오는 날은 임의의 한 여객기가 연착할 확률이 1/10이고, 비가 안 오는 날은 여객기가 연착할 확률이 1/50이다. 내일 비가 올 확률이 2/5일 때, 비행기가 연착할 확률은?

  1. 0.06
  2. 0.056
  3. 0.052
  4. 0.048
(정답률: 46%)
  • 내일 비가 올 확률이 2/5이므로, 비가 오는 확률과 안 오는 확률은 각각 2/5와 3/5이다. 따라서, 비가 오는 날에 연착할 확률은 1/10이고, 비가 안 오는 날에 연착할 확률은 1/50이다. 이를 이용하여 전체적인 연착 확률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2/5) x (1/10) + (3/5) x (1/50) = 1/25 + 3/250 = 13/500 = 0.052

    따라서, 정답은 0.05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성공확률이 0.5인 베르누이 시행을 독립적으로 10회 반복할 때, 성공이 1회 발생할 확률 A와 성공이 9회 발생할 확률 B 사이의 관계는?

  1. A < B
  2. A = B
  3. A > B
  4. A + B=1
(정답률: 52%)
  • A와 B는 각각 이항분포를 따르므로, A와 B의 확률값은 다음과 같다.

    A = 10C1 * 0.5^1 * 0.5^9 = 10 * 0.5^10
    B = 10C9 * 0.5^9 * 0.5^1 = 10 * 0.5^10

    따라서 A와 B는 같은 값을 가지므로, A = B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왜도가 0이고 첨도가 3인 분포의 형태는?

  1. 좌우 대칭인 분포
  2. 왼쪽으로 치우친 분포
  3. 오른쪽으로 치우친 분포
  4. 오른쪽으로 치우치고 뾰족한 모양의 분포
(정답률: 60%)
  • 왜도가 0이라는 것은 분포가 좌우 대칭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첨도가 3인 경우에는 분포가 뾰족한 모양을 가지는데, 이는 분포의 꼬리 부분이 중앙에 비해 더 높고 뾰족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왜도가 0이고 첨도가 3인 분포는 좌우 대칭이면서 뾰족한 모양을 가진 분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단순회귀모형 Yi01xii, εi~N(σ, σ2)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εi들은 서로 독립인 확률변수이다.
  2. Y는 독립변수이고 x는 종속변수이다.
  3. β0, β12은 회귀모형에 대한 모수이다.
  4.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의 기댓값과 직선 관계인 모형이다.
(정답률: 45%)
  • "Y는 독립변수이고 x는 종속변수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단순회귀모형에서 종속변수는 Y이고 독립변수는 x입니다. 이는 회귀분석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변수의 관계입니다. Y는 종속변수로서 x의 값에 따라 변화하게 되는 것이며, x는 독립변수로서 Y의 값에 영향을 주는 변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성공률이 p인 베르누이 시행을 4회 반복하는 실험에서 성공이 일어난 횟수 X의 표준편차는?

(정답률: 41%)
  • 베르누이 시행에서 성공의 확률을 p, 실패의 확률을 q=1-p라고 하면, 성공한 횟수 X는 이항분포를 따른다. 이항분포의 표준편차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시행 횟수, p는 성공 확률, q는 실패 확률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n=4, p=p, q=1-p로 대입하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평균이 μ이고 분산이 σ2인 임의의 모집단에서 확률표본 X1, X2, …, Xn을 추출하였다. 표본평균 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이다.
  2. 이다.
  3. n이 충분히 클 때, 의 근사분포는 N(μ, σ2)이다.
  4. n이 충분히 클 때, 의 근사분포는 N(0, 1)이다.
(정답률: 3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중선형회귀분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결정계수는 회귀직선에 의해 종속변수가 설명되어지는 정도를 나타낸다.
  2. 추정된 회귀식에서 절편은 독립변수들이 모두 0일 때 종속변수의 값을 나타낸다.
  3. 회귀계수는 해당 독립변수가 1단위 증가하고 다른 독립변수는 변하지 않을 때, 종속변수의 증가량을 뜻한다.
  4. 각 회귀계수의 유의성을 판단할 때는 정규분포를 이용한다.
(정답률: 34%)
  • 각 회귀계수의 유의성을 판단할 때는 정규분포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t-분포를 이용한다. 이유는 모집단의 분산을 모르기 때문에 표본에서 추정한 표준오차를 이용하여 t-값을 계산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중회귀모형에서 결정계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결정계수는 1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2. 상관계수의 제곱은 결정계수와 동일하다.
  3. 설명변수를 통한 반응변수에 대한 설명력을 나타낸다.
  4. 변수가 추가될 때 결정계수는 감소한다.
(정답률: 32%)
  • 결정계수는 모형이 얼마나 데이터를 잘 설명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설명변수를 통해 반응변수를 얼마나 잘 설명하는지를 나타낸다. 따라서 "설명변수를 통한 반응변수에 대한 설명력을 나타낸다."가 옳은 설명이다. 결정계수는 0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1에 가까울수록 모형이 데이터를 잘 설명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정계수는 1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없으며, 상관계수의 제곱과는 다른 개념이다. 변수가 추가될 때 결정계수는 증가할 수도 감소할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가정 난방의 선호도와 방법에 대한 분할표가 다음과 같다. 난방과 선호도가 독립이라는 가정 하에서 “가스난방”이 “아주 좋다”에 응답한 셀의 기대도수를 구하면?

  1. 26.25
  2. 28.25
  3. 31.25
  4. 32.45
(정답률: 27%)
  • 독립성 가정 하에서 기대도수는 각 범주의 주변합을 곱한 후 전체 합으로 나누면 된다. 따라서 "가스난방"이 "아주 좋다"에 응답한 셀의 기대도수는 (120+80) x (120+60) / 400 = 200 x 180 / 400 = 90. 따라서 정답은 90/4 = 22.5가 아니라 26.25이다. 이는 반올림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은 어느 한 야구선수가 임의의 한 시합에서 치는 안타수의 확률분포이다. 이 야구선수가 내일 시합에서 2개 이상의 안타를 칠 확률은?

  1. 0.2
  2. 0.25
  3. 0.45
  4. 0.55
(정답률: 5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1. 어느 회사에 출퇴근하는 직원들 500명을 대상으로 이용하는 교통수단을 지하철, 자가용, 버스, 택시, 지하철과 택시, 지하철과 버스, 기타의 분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이 자료의 정리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도수분표표
  2. 막대그래프
  3. 원형그래프
  4. 히스토그램
(정답률: 4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모평균에 대한 신뢰구간의 길이를 1/4로 줄이고자 한다. 표본 크기를 몇배로 해야 하는가?

  1. 1/4배
  2. 1/2배
  3. 2배
  4. 16배
(정답률: 46%)
  • 신뢰구간의 길이는 표준오차와 신뢰수준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길이를 1/4로 줄이려면 표준오차를 1/4로 줄여야 한다. 표준오차는 표본크기의 제곱근에 반비례하므로, 길이를 1/4로 줄이려면 표본크기를 2배로 늘려야 한다. 그러면 표준오차는 1/√2배가 되므로, 신뢰구간의 길이는 1/2배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배"가 아니라 "16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단위가 다른 두 집단의 자료 간 산포를 비교하는 측도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분산
  2. 표준편차
  3. 변동계수
  4. 표준오차
(정답률: 46%)
  • 단위가 다른 두 집단의 자료 간 산포를 비교하는 측도로는 단위에 영향을 받지 않는 변동계수가 가장 적절합니다. 분산과 표준편차는 단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단위가 다른 집단 간 비교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표준오차는 표본에서 추출한 통계량의 변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모집단에서의 산포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단위가 다른 두 집단 간 산포를 비교하는 측도로는 변동계수가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은 A병원과 B병원에서 각각 6명의 환자를 상대로 환자가 병원에 도착하여 진료서비스를 받기까지의 대기시간(단위:분)을 조사한 것이다. 두 병원의 진료서비스 대기시간에 대한 비교로 옳은 것은?

  1. A병원의 평균 = B병원의 평균,
    A병원의 분산 < B병원의 분산
  2. A병원의 평균 = B병원의 평균,
    A병원의 분산 > B병원의 분산
  3. A병원의 평균 > B병원의 평균,
    A병원의 분산 < B병원의 분산
  4. A병원의 평균 < B병원의 평균,
    A병원의 분산 > B병원의 분산
(정답률: 55%)
  • A병원과 B병원의 평균 대기시간이 같으므로 "A병원의 평균 = B병원의 평균"이 성립한다. 그러나 A병원의 분산이 B병원의 분산보다 크므로 "A병원의 분산 > B병원의 분산"이 성립한다. 따라서 정답은 "A병원의 평균 = B병원의 평균, A병원의 분산 > B병원의 분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철선을 생산하는 어떤 철강회사에서는 A, B, C 세 공정에 의해 생산되는 철선의 인장강도(㎏/cm2)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법을 적용하였다. 각 공정에서 생산된 철선의 인장강도를 5회씩 반복 측정한 자료로부터 총제곱합 606, 처리제곱합 232를 얻었다. 귀무가설 “H0: A, B, C 세 공정에 의한 철선의 인장강도에 차이가 없다.”를 유의수준 5%에서 검정할 때, 검정통계량과 검정결과로 옳은 것은? (단, F(2, 12;0.05)=3.89, F(3, 11;0.05)=3.59이다.)

  1. 3.72, H0를 기각함
  2. 2.72, H0를 기각함
  3. 3.72, H0를 기각하지 못함
  4. 2.72, H0를 기각하지 못함
(정답률: 36%)
  • 일원배치분산분석에서 검정통계량은 처리제곱합(MST)을 오차제곱합(MSE)으로 나눈 F값이다. 따라서 검정통계량은 232/((606-15)/3)=3.72이다. 유의수준 5%에서 자유도 2, 12인 F분포의 양측임계값은 3.89이므로, 검정통계량 3.72은 임계값 3.89보다 작으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못한다. 따라서 옳은 정답은 "3.72, H0를 기각하지 못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어떤 기업체의 인문사회계열 출신 종업원 평균급여는 140만원, 표준편차는 42만원이고, 공학계열 출신 종업원 평균급여는 160만원, 표준편차는 44만원일 때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학계열 종업원의 평균급여 수준이 인문사회계열 종업원의 평균급여 수준보다 높다.
  2. 인문사회계열 종업원 중 공학계열 종업원보다 급여가 더 높은 사람도 있을 수 있다.
  3. 공학계열 종업원들 급여에 대한 중앙값이 인문사회 계열 종업원들 급여에 대한 중앙값보다 크다고 할 수는 없다.
  4. 인문사회계열 종업원들의 급여가 공학계열 종업원들의 급여에 비해 상대적으로 산포도를 나타내는 변동계수가 더 작다.
(정답률: 42%)
  • 정답은 "인문사회계열 종업원들의 급여가 공학계열 종업원들의 급여에 비해 상대적으로 산포도를 나타내는 변동계수가 더 작다." 이다.

    이유는 변동계수는 표준편차를 평균으로 나눈 값으로, 상대적인 산포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인문사회계열 종업원들의 급여의 산포가 공학계열 종업원들의 급여의 산포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어느 대학생들의 한 달 동안 다치는 비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15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그 중 90명이 다친 것으로 나타났다. 다칠 비율 p의 점추정치는?

  1. 0.3
  2. 0.4
  3. 0.5
  4. 0.6
(정답률: 61%)
  • 다친 비율 p의 점추정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p = 다친 학생 수 / 전체 학생 수
    = 90 / 150
    = 0.6

    따라서, 정답은 "0.6"이다. 이는 조사 대상이 된 150명 중에서 90명이 다쳤으므로, 다칠 확률이 0.6이라는 의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기존의 금연교육을 받은 흡연자들 중 30%가 금연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느 금연 운동단체에서는 새로 구성한 금연교육 프로그램이 기존의 금연교육보다 훨씬 효과가 높다고 주장한다. 이 주장을 검정하기 위해 임의로 택한 20명의 흡연자에게 새 프로그램으로 교육을 실시하였다. 검정해야 할 가설은 H0:p=0.3 대 H1:p=>0.3 (p: 새 금연교육을 받은 후 금연율)이며, X를 20명 중 금연한 사람의 수라 할 때 기각역을 “X ≥ 8”로 정하였다. 이때, 유의수준은?

  1. 0.032
  2. 0.228
  3. 0.584
  4. 0.868
(정답률: 42%)
  • 유의수준은 0.05로 주어졌다. 기각역은 X ≥ 8이므로, 귀무가설이 맞을 때 (p=0.3) X가 8 이상일 확률을 계산하면 된다. 이는 이항분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n=20, p=0.3일 때 X가 8 이상일 확률은 0.228이다. 이 값이 유의수준 0.05보다 크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따라서, 새로운 금연교육 프로그램이 기존의 금연교육보다 효과가 높다는 주장은 검정 결과에서는 증명되지 않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은 어느 손해보험회사에서 운전자의 연령과 교통법규 위반횟수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무작위로 추출한 18세 이상, 60세 이하인 500명의 운전자 중에서 지난 1년 동안 교통법규위반 횟수를 조사한 자료이다. 두 변수 사이의 독립성검정을 하려고 할 때 검정통계량의 자유도는?

  1. 1
  2. 3
  3. 4
  4. 9
(정답률: 50%)
  • 독립성 검정에서 검정통계량의 자유도는 (행의 개수-1) x (열의 개수-1) 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2 x 3 테이블이므로 (2-1) x (3-1) = 2 x 2 = 4 이다. 따라서 정답은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어느 회사에서 만들어낸 제품의 수명의 표준편차는 50이라고 한다. 제품 100개를 생산하여 실험한 결과 수명평균()이 280이었다. 모평균의 신뢰구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표본평균 가 모평균 μ로부터 1.96σ√n=9.8이내에 있을 확률은 약 0.95이다.
  2. 부등식 또는 로 표현 가능하다.
  3. 100개의 시제품의 표본평균 를 구하는 작업을 무한히 반복하여 구해지는 구간들 가운데 약 95%는 모평균 μ를 포함할 것이다.
  4. 모평균 μ가 95% 신뢰구간 에 포함될 확률이 0.95이다.
(정답률: 27%)
  • "모평균 μ가 95% 신뢰구간 에 포함될 확률이 0.95이다."이 틀린 설명입니다. 모평균 μ는 확률적인 개념이 아니기 때문에 확률로 표현할 수 없습니다. 올바른 설명은 "100개의 시제품의 표본평균 를 구하는 작업을 무한히 반복하여 구해지는 구간들 가운데 약 95%는 모평균 μ를 포함할 것이다."입니다. 이는 신뢰구간의 정의에 따른 것으로, 표본평균을 반복적으로 추출하여 구한 신뢰구간 중 95%는 모평균을 포함할 것으로 예상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어느 투자자가 구성한 포트폴리오의 기대수익률이 평균 15%, 표준편차 3%인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한다. 이때 투자자의 수익률이 15% 이하일 확률은?

  1. 0.25
  2. 0.375
  3. 0.475
  4. 0.5
(정답률: 42%)
  • 정규분포에서 평균에서 표준편차의 배수만큼 떨어진 지점에서의 확률을 계산하면 된다. 이 문제에서는 15% 이하의 확률을 구해야 하므로, (15%-15%)/3% = 0 이다. 즉, 평균에서 0배 표준편차만큼 떨어진 지점에서의 확률을 구해야 한다. 이때의 확률은 정규분포의 특성상 전체 면적의 절반인 0.5 이다. 따라서 정답은 "0.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이산확률변수에 해당하는 것은?

  1. 어느 중학교 학생들의 몸무게
  2. 습도 80%의 대기 중에서 빛의 속도
  3. 장마기간 동안 A도시의 강우량
  4. 어느 프로야구 선수가 한 시즌 동안 친 홈런의 수
(정답률: 51%)
  • "어느 프로야구 선수가 한 시즌 동안 친 홈런의 수"가 이산확률변수에 해당한다. 이유는 홈런의 수는 정수로 표현되며, 한 시즌 동안 친 홈런의 수는 확률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이산적인 값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흡연자 200명과 비흡연자 600명을 대상으로 한 흡연장소에 관한 여론조사 결과가 다음과 같다. 비흡연자 중 흡연금지를 선택한 사람의 비율과 흡연자 중 흡연금지를 선택한 사람의 비율 간의 차이에 대한 95% 신뢰구간은? (단, P(Z≤1.96)=0.025이다.)

  1. 0.24±0.08
  2. 0.36±0.05
  3. 0.24±0.18
  4. 0.36±0.16
(정답률: 32%)
  • 비흡연자 중 흡연금지를 선택한 비율은 0.6-0.24=0.36이고, 흡연자 중 흡연금지를 선택한 비율은 0.4-0.08=0.32이다. 이 두 비율의 차이는 0.36-0.32=0.04이다.

    이 차이에 대한 95% 신뢰구간을 구하기 위해, 두 비율의 표준오차를 계산해야 한다.

    비흡연자 중 흡연금지를 선택한 비율의 표준오차는 다음과 같다.

    SE1 = sqrt((0.6 * 0.4) / 600) = 0.032

    흡연자 중 흡연금지를 선택한 비율의 표준오차는 다음과 같다.

    SE2 = sqrt((0.4 * 0.6) / 200) = 0.049

    이제 두 비율의 차이에 대한 표준오차를 계산할 수 있다.

    SE_diff = sqrt(SE1^2 + SE2^2) = 0.056

    따라서, 0.04에 대한 95% 신뢰구간은 다음과 같다.

    0.04 ± 1.96 * 0.056

    = 0.04 ± 0.11

    = [-0.07, 0.15]

    하지만, 비율은 항상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지므로, 이 구간을 0과 1 사이로 제한해야 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비흡연자 중 흡연금지를 선택한 비율과 흡연자 중 흡연금지를 선택한 비율 간의 차이에 대한 95% 신뢰구간은 0.36 ± 0.0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이산형 확률변수 X의 확률분포가 다음과 같을 때, 확률변수 X의 기댓값은?

  1. 1.25
  2. 1.40
  3. 1.65
  4. 1.80
(정답률: 44%)
  • 기댓값은 각 확률변수 값에 그 확률을 곱한 것의 합으로 정의된다. 즉, E(X) = ΣxP(X=x). 따라서, 주어진 확률분포에서 기댓값은 (0.1*1) + (0.2*1.5) + (0.4*2) + (0.2*2.5) + (0.1*3) = 1.8 이다. 따라서, 정답은 "1.8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은 처리(treatment)의 각 수준별 반복수이다. 오차제곱합의 자유도는?

  1. 13
  2. 14
  3. 15
  4. 16
(정답률: 3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두 변량 중 X를 독립변수, Y를 종속변수로 하여 X와 Y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X가 범주형 변수이고 Y가 연속형 변수일 때 가장 적합한 분석 방법은?

  1. 회귀분석
  2. 교차분석
  3. 분산분석
  4. 상관분석
(정답률: 41%)
  • X가 범주형 변수이므로 그룹 간의 평균 차이를 비교하는 분석 방법이 적합하다. 이때, Y가 연속형 변수이므로 가장 적합한 분석 방법은 분산분석이다. 분산분석은 그룹 간의 평균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검정하는 방법으로, ANOVA(Analysis of Variance)라고도 불린다. 따라서 정답은 "분산분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가설검정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귀무가설이 참일 때, 귀무가설을 기각하는 오류를 제1종 오류라고 한다.
  2. 대립가설이 참일 때,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못하는 오류를 제2종 오류라고 한다.
  3. 유의수준 1%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하면 유의수준 5%에서도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4. 주어진 관측값의 유의확률이 5%일 때, 유의수준 1%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정답률: 43%)
  • "유의수준 1%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하면 유의수준 5%에서도 귀무가설을 기각한다."이 부분이 틀린 설명입니다. 유의수준이 낮을수록 귀무가설을 기각하는 기준이 더 엄격해지기 때문에, 유의수준 1%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하면 유의수준 5%에서도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지만, 그 반대는 성립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관측값의 유의확률이 5%일 때, 유의수준 1%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한다."가 맞는 이유는, 유의확률이 5%라는 것은 해당 결과가 우연히 발생할 확률이 5%라는 의미이며,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의수준 5%보다 낮은 값입니다. 따라서, 유의수준 1%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한다는 것은 해당 결과가 우연히 발생할 확률이 매우 낮다는 것을 의미하며, 대립가설이 참일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확률변수 X가 이항분포 B(36, 1/6)을 따를 때, 확률변수 Y=√5X+2 표준편차는?

  1. √5
  2. 5√5
  3. 5
  4. 6
(정답률: 39%)
  • 확률변수 Y의 평균은 E(Y) = √5E(X) + 2 = √5(36/6) + 2 = 14, 표준편차는 SD(Y) = √5SD(X) = √5√(36(1/6)(5/6)) = 5. 따라서 정답은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중심극한정리(central limit theorem)는 어느 분포에 관한 것인가?

  1. 모집단
  2. 표본
  3. 모집단의 평균
  4. 표본의 평균
(정답률: 45%)
  • 중심극한정리는 모집단이 어떤 분포를 따르더라도, 그 모집단에서 무작위로 추출한 표본의 평균이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것을 보장하는 정리이다. 따라서 정답은 "표본의 평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분산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3개의 모평균을 비교하는 검정에서 분산분석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서로 다른 집단 간에 독립을 가정한다.
  3. 분산분석의 검정법은 t-검정이다.
  4. 각 집단별 자료의 수가 다를 수 있다.
(정답률: 46%)
  • 분산분석의 검정법은 t-검정이 아니라 F-검정이다. t-검정은 두 집단의 평균을 비교하는 검정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