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국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3-13)

수능(국사)
(2009-03-13 기출문제)

목록

1. 전시 유물을 보고 당시의 사회 모습을 옳게 설명한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ㄱ, ㄴ" 입니다.

    이유는 전시 유물을 보고 당시의 사회 모습을 옳게 설명하기 위해서는 먼저 유물의 시대와 역사적 배경을 파악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유물이 사용되었던 시대의 사회 모습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ㄱ, ㄴ"은 유물의 시대와 역사적 배경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당시의 사회 모습을 옳게 설명할 수 있는 것들입니다.

    반면에 "ㄱ, ㄷ", "ㄴ, ㄷ", "ㄴ, ㄹ", "ㄷ, ㄹ"은 유물과 관련이 없거나, 유물의 시대와 역사적 배경을 고려하지 않은 설명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자료의 상황이 발생하게 된 직접적인 배경으로 옳은 것은? [3점]

  1. 고구려군이 신라에 주둔하였다.
  2. 백제가 마한 세력을 정복하였다.
  3. 신라가 창녕에 순수비를 세웠다.
  4. 고구려가 평양으로 도읍을 옮겼다.
  5. 신라가 한강 유역을 독차지하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신라가 한강 유역을 독차지하였다. - 이미지에서 보이는 지역이 한강 유역이며, 신라가 이 지역을 점령하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자료의 정책을 시행한 배경으로 옳은 것은? [3점]

  1. 방군수포와 대립이 성행하였다.
  2. 요역 동원이 무거워져 농민들이 고통받았다.
  3. 환곡이 고리대화하여 백성들의 부담이 늘었다.
  4. 서리가 공물을 대신 내고 그 대가를 많이 챙겼다.
  5. 관리가 풍흉의 기준을 임의로 정하는 폐단이 심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서리가 공물을 대신 내고 그 대가를 많이 챙겼다.의 이유는 "환곡이 고리대화하여 백성들의 부담이 늘었다."입니다. 환곡은 세금을 거둔 관리들에게서 공물을 받아 백성들에게 부과하는 역할을 했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공물을 대신 내고 대가를 챙기는 서리와 같은 인물들이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관리들의 부당한 세금 징수와 백성들의 고통을 더욱 심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자료의 밑줄 친 ‘이들’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여진 정벌을 위해 편성되었다.
  2. 최씨 무신 정권의 군사적 기반이었다.
  3. 거란의 침입을 물리치는 데 동원되었다.
  4. 군인전을 받지 못해 정변에 가담하였다.
  5. 홍건적과 왜구를 격퇴하는 데 공을 세웠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들은 홍건적과 왜구를 격퇴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최씨 무신 정권의 군사적 기반이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자료의 (가)~(라)에 대한 옳은 설명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가) 2009년 1월 1일부터 2009년 3월 31일까지의 기간 중에는 2월 28일이 포함되어 있음
    - 2009년은 윤년이므로 2월 29일도 포함됨. 따라서 옳지 않음.

    나) 2009년 1월 1일부터 2009년 3월 31일까지의 기간 중에는 3월 31일이 포함되어 있음
    - 문장 그대로 옳음.

    다) 2009년 1월 1일부터 2009년 3월 31일까지의 기간 중에는 2월이 포함되어 있음
    - 문장 그대로 옳음.

    라) 2009년 1월 1일부터 2009년 3월 31일까지의 기간 중에는 1월이 포함되어 있지 않음
    - 문장 그대로 옳음.

    따라서 정답은 "ㄱ, ㄷ"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자료의 (가)에 대한 옳은 설명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가운데 빨간색 선은 y=x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기울기가 1인 직선입니다. 따라서 y값과 x값이 같은 점들은 이 직선 위에 위치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가)에서는 y=x 그래프와 교차하는 점들을 찾아야 합니다. 이 점들은 (ㄴ)과 (ㄷ)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ㄴ, ㄷ"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의 (가) 인물이 주장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가) 인물이 주장한 내용은 "나는 이번에도 시험에 떨어질 거야"이다. 이는 부정적인 자기망상으로, 실제로는 시험에 합격할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과소평가하고 있다. 따라서 옳은 보기는 "ㄷ, ㄹ"이다. "ㄷ"는 자기망상이 부정적인 것이라는 것을 나타내고, "ㄹ"은 실제로는 합격할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과소평가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자료는 수업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가)~(다) 시기 에서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3점]

  1. (가) : 발해의 유민이 지배층으로 편입되었다.
  2. (가) : 22담로에 왕족을 파견하였다.
  3. (나) : 불교가 전래되었다.
  4. (나) : 중국 남조와 교류하였다.
  5. (다) : 일본에 칠지도를 전하였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나) : 중국 남조와 교류하였다. 이유는 이미지에 보이는 대로, 발해가 중국 남조와 교류하며 상호작용을 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자료와 관련하여 당시 이루어진 사실로 옳은 것은? [3점]

  1. 곤여만국전도를 들여왔다.
  2. 전국 지도인 팔도도를 만들었다.
  3. 대동여지도의 오류를 수정하였다.
  4.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를 제작하였다.
  5. 100리척을 사용하여 지도를 제작하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 존재하던 대동여지도의 오류를 수정하고, 100리척을 사용하여 전국 지도인 팔도도를 만들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자료의 밑줄 친 인물이 속한 계층의 경제 생활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1. 국가로부터 정전을 지급받았다.
  2. 왕궁, 성을 만들 때 부역 동원되었다.
  3. 식읍 주민의 노동력을 징발하였다.
  4. 재산 정도에 따라 포를 납부하였다.
  5. 자기 소유의 토지를 가질 수 없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당 인물은 식읍 주민의 노동력을 징발하여 경제적 이익을 얻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선생님의 질문에 대해 적절하게 발표한 학생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1. 갑, 을
  2. 갑, 병
  3. 을, 병
  4. 을, 정
  5. 병, 정
(정답률: 알수없음)
  • 선생님의 질문에 대해 적절하게 발표한 학생은 "갑과 을은 관계에서 갑이 더 우위에 있는 존재이고, 을은 갑에게 종속되어 있는 존재이기 때문에 '갑, 을'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밑줄 친 활동을 한 사람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1. 보부상단을 조직하여 활동하였다.
  2. 도성 주변에서 물품을 교역하였다.
  3. 통공 정책으로 활동이 위축되었다.
  4. 공가를 받아 관청에 필요한 물품을 납부하였다.
  5. 육의전을 개설하여 특정 상품을 독점 판매하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조선시대 상인들의 활동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보부상단은 상인들의 조직으로, 도성 주변에서 물품을 교역하는 것은 상인들의 주요 활동 중 하나였습니다. 따라서 "도성 주변에서 물품을 교역하였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자료의 (가)에 소속된 사람들의 일상 업무로 옳은 것은?

  1. 제사에 쓸 소를 도살하였다.
  2. 나루터에서 사람들을 실어 날랐다.
  3. 세곡을 운반하는 조운선을 수리하였다.
  4. 봉수대에 올라 불과 연기로 신호를 보냈다.
  5. 출장 가는 관리에게 제공할 말을 관리하였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에 소속된 사람들은 전통적인 농업과 축산업을 수행하는 사람들이므로 "제사에 쓸 소를 도살하였다."와 "나루터에서 사람들을 실어 날랐다."와 같은 일상 업무는 해당되지 않는다. "세곡을 운반하는 조운선을 수리하였다."와 "봉수대에 올라 불과 연기로 신호를 보냈다."는 다른 직종에서 수행하는 일이므로 출장 가는 관리에게 제공할 말을 관리하는 것이 해당 직종에서 수행하는 일상 업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자료의 향촌 조직이 운영된 결과에 대한 옳은 설명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ㄷ, ㄹ"입니다.

    향촌 조직은 3개의 부서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이 중 "ㄷ" 부서는 고객 서비스와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고, "ㄹ" 부서는 대출과 관련된 업무를 담당합니다. 따라서 이 두 부서가 운영이 잘 되면 고객 서비스와 대출 업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자료와 관련된 지역을 지도에서 옳게 고른 것은?

  1. (가)
  2. (나)
  3. (다)
  4. (라)
  5. (마)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라)"이다.

    이유는 지도에서 "한강 유역"이라고 표시된 지역이 있고, 이 지역은 한강과 그 주변 지역을 포함하는 지역이다. 따라서 "한강 유역"은 한강과 관련된 지역을 나타내는 옳은 표기이다.

    "(가)"는 "한라산"으로, 이는 제주도의 산 이름이지만, 지도에서는 제주도가 아닌 본토 지역이므로 틀린 표기이다.

    "(나)"는 "남해안"으로, 이는 지도에서 표시된 지역이 아니므로 틀린 표기이다.

    "(다)"는 "경인도"로, 이는 지도에서 표시된 지역이 아니므로 틀린 표기이다.

    "(마)"는 "한라산"으로, 이는 이미 "(가)"에서 설명했듯이 제주도의 산 이름이므로 틀린 표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밑줄 친 내용의 결과와 관련된 사실로 옳은 것은? [3점]

  1. 과거제가 도입되었다.
  2. 사학 12도가 융성하였다.
  3. 소학과 주자가례가 보급되었다.
  4. 전문 강좌인 7재가 설치되었다.
  5. 국자학, 태학, 사문학의 유학부를 두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소학과 주자가례이기 때문에, 이것이 보급되었다는 것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자료의 행정 기관에 대한 학생들의 발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신라의 집사부에 해당돼.
  2. 발해의 중정대와 유사한 기능을 하였어.
  3. 고려 식목도감의 기능을 계승하였어.
  4. 조선 시대에 호적과 양전의 업무를 맡아보았어.
  5. 대한 제국 시기에 전환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어.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조선 시대에 호적과 양전의 업무를 맡아보았어." 이다. 이유는 이미지에 나와있는 "호적전전사"라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이 기관은 조선 시대에 호적과 양전의 업무를 담당하는 기관으로 역할이 변경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자료를 바탕으로 당시의 상황을 적절하게 추론한 것은?

  1. 서경 길지설이 널리 퍼졌다.
  2. 선종의 전래로 9산 선문이 성립되었다.
  3. 정감록 같은 비기와 도참설이 유행하였다.
  4. 도교가 전래되어 신선 사상과 결합하였다.
  5. 풍수지리설이 도입되어 지방 세력에 수용되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감록 같은 비기와 도참설이 유행하였다."라는 문장은 당시에 비기와 도참설이 유행하고 있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정감록이라는 책에서 소개된 비기와 도참설이 유행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가)에 들어갈 신문 기사의 소재로 적절한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 ㄴ"이 적절한 이유는 이미지 속 인물들이 경찰과 함께 있는 모습으로, 범죄나 사건과 관련된 기사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ㄱ, ㄷ"는 경제나 기업 관련 기사, "ㄴ, ㄷ"는 정치나 외교 관련 기사, "ㄴ, ㄹ"은 사회나 문화 관련 기사, "ㄷ, ㄹ"은 스포츠나 엔터테인먼트 관련 기사일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은 어느 관리의 가상 일기이다. 이 관리의 활동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ㄹ
  5.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일기 내용을 보면 관리는 주민들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소방시설 점검"과 "도로 정비"는 주민들의 생명과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활동이므로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ㄴ,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