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물리I)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4-13)

수능(물리I)
(2010-04-13 기출문제)

목록

1. 그림은 동일 직선상에서 철수와 영희가 운동하는 것을, 그래프는 철수와 영희의 위치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철수와 영희의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철수와 영희가 같은 방향으로 운동하고 있으며, "ㄷ"는 철수와 영희가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고 있기 때문에 옳은 설명이다. 그래프에서 철수와 영희의 위치가 서로 가까워지는 것은 반대 방향으로 운동할 때이고, 멀어지는 것은 같은 방향으로 운동할 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과 같이 마찰이 없는 수평면에 질량이 같은 직육면체 나무도막 A, B, C를 쌓아 놓은 후, 수평 방향의 일정한 힘 F 를 B에 계속 작용 시키고 있다. A, B, C는 서로 미끄러지지 않고 등가속도 운동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것은 ?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A, B, C는 서로 미끄러지지 않고 등가속도 운동한다.
    - 질량이 같은 나무도막이므로 F의 작용으로 인한 가속도는 A, B, C에서 모두 같다.
    - 따라서, A, B, C의 가속도는 F를 받는 질량의 합인 3m으로 나눈 값인 F/3m이다.
    - B에 작용하는 힘은 F이므로, B의 운동방향 가속도는 F/3m이다.
    - B와 C 사이에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B와 C는 서로 같은 가속도로 운동한다.
    - 따라서, B와 C 사이의 마찰력은 없고, B와 C의 무게 중심은 중앙에 위치한다.
    - B와 C 사이의 접점에서는 B와 C의 무게 중심이 모두 지나가므로, B와 C 사이의 접점에서는 마찰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 따라서, B와 C 사이의 접점에서는 B와 C의 무게 중심이 지나가는 수직선 방향으로만 작용하는 마찰력이 작용한다.
    - 이 때, B와 C 사이의 마찰력은 B와 C의 무게 중심이 지나가는 수직선 방향으로만 작용하는 마찰력의 합과 같다.
    - 따라서, B와 C 사이의 마찰력은 (B와 C의 무게 중심이 지나가는 수직선 방향으로만 작용하는 마찰력의 합)/2 이다.
    - B와 C 사이의 마찰력은 B와 C의 무게 중심이 지나가는 수직선 방향으로만 작용하는 마찰력의 합이므로, A와 B 사이의 마찰력보다 작다.
    - 따라서, 옳은 설명은 "ㄱ, ㄴ"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과 같이 출발선에 정지해 있던 자동차가 40m를 직선 운동하여 4초일 때 도착선에 도달하였다. 그래프는 출발선부터 도착선까지 이 자동차의 가속도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3초일 때, 자동차의 가속도 크기는?

  1. 6m/s2
  2. 7m/s2
  3. 8m/s2
  4. 10m/s2
  5. 12m/s2
(정답률: 알수없음)
  • 가속도는 기울기를 나타내므로, 그래프에서 3초일 때의 기울기를 구하면 된다. 그래프에서 3초일 때의 기울기는 약 8m/s2 이므로, 정답은 "8m/s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과 같이 수평면에서 전동기가 질량 2kg인 물체를 수평 방향으로 크기가 10N인 힘으로 계속 당겼더니, 물체는 마찰이 없는 면을 지나 마찰이 있는 면에서 운동하고 있다. 그래프는 물체의 속도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것은? (단, 공기 저항과 물체의 크기는 무시한다.) [3점]

  1. ㄱ, ㄴ
  2.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 ㄴ" 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ㄱ. 전동기가 물체를 일정한 힘으로 당기고 있기 때문에, 물체의 가속도는 일정하다. 따라서 그래프에서는 직선으로 나타난다.

    ㄴ. 물체가 마찰이 있는 면에서 운동하고 있기 때문에, 초기에는 물체의 가속도가 전동기가 가하는 힘과 마찰력의 합에 의해 결정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물체의 속도가 증가하면서 마찰력이 증가하게 되고, 결국에는 전동기가 가하는 힘과 마찰력이 균형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그래프에서는 처음에는 가속도가 감소하다가 일정해지고, 이후에는 속도가 등속으로 증가하는 구간이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은 단면적이 같은 원통형 금속막대 A, B, C가 전압이 일정한 전원장치에 연결된 것을, 표는 A, B, C의 비저항과 길이를 나타낸 것이다.

A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 V일 때, C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은? (단, 온도에 따른 저항 변화는 무시한다.)

  1. 1/4 V
  2. 2/3 V
  3. V
  4. 2V
  5. 4V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과 같이 수평면에서 용수철상수가 k인 용수철에 물체를 접촉시켜 L 만큼 압축시켰다가 가만히 놓았더니, 물체가 마찰이 없는 면을 지나 마찰이 있는 면에서 거리 S 만큼 이동한 후 정지하였다. 물체와 마찰이 있는 면 사이의 운동마찰계수는 μ이다.

물체의 질량은? (단, 중력가속도는 g이고, 용수철의 질량, 공기 저항,물체의 크기는 무시한다.) [3점]

(정답률: 알수없음)
  • 물체가 마찰이 없는 면을 지날 때는 운동에너지 보존 법칙에 따라 운동에너지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용수철에 압축된 용수철상수의 역학적 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변환되어 물체는 속도를 가지고 이동한다. 이후 물체는 마찰이 있는 면에서 멈추게 되는데, 이때 마찰력이 일어나며 물체의 운동에너지는 마찰력이 한 일에 의해 소멸된다. 따라서, 마찰력이 한 일은 용수철상수의 역학적 에너지와 같다. 마찰력이 한 일은 마찰력의 크기와 이동 거리에 비례하므로, 마찰력의 크기는 μmg이고 이동 거리는 S이다. 따라서, 마찰력이 한 일은 μmgS이다. 용수철상수의 역학적 에너지는 1/2kL^2이므로, 마찰력이 한 일과 용수철상수의 역학적 에너지가 같으므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μmgS = 1/2kL^2

    따라서, 물체의 질량 m은 다음과 같다.

    m = (1/2kL^2)/(μgS)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과 같이 전류가 화살표 방향으로 흐르는 정사각형 도선이 xy평면에 고정되어 있고, 이 도선의 일부는 xy평면에 수직하게 들어가는 균일한 자기장 영역에 있다.

도선에 작용하는 자기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ㄴ"이다. 도선에 작용하는 자기력은 오른쪽 손법칙에 따라 도선의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작용하며, 이 경우에는 도선의 위쪽 부분에서는 자기장이 도선을 향하고 아래쪽 부분에서는 자기장이 도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도선의 위쪽 부분에는 자기력이 아래쪽으로 작용하고 아래쪽 부분에는 자기력이 위쪽으로 작용하므로, 도선은 자기장 영역에서 위쪽으로 힘을 받아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보기에서 "ㄴ"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은A, B위치에서 거울로 입사한 레이저 빛이 각각 점P, Q에서 반사되어 C점에 도달할 때까지의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A, B, C, P, Q는 동일 평면상에 있다.)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보기 "ㄱ": 레이저 빛은 A에서 입사하고, P에서 반사하여 C에 도달한다. 이는 입사각과 반사각이 같은 경우인 "입사각과 반사각이 같으면 레이저 빛은 원래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되돌아간다"는 거울 반사 법칙에 따른 것이다.
    - 보기 "ㄷ": 레이저 빛은 B에서 입사하고, Q에서 반사하여 C에 도달한다. 이 역시 입사각과 반사각이 같은 경우인 거울 반사 법칙에 따른 것이다.
    - 보기 "ㄱ, ㄴ": 레이저 빛은 A에서 입사하고, P에서 반사하여 B로 이동한 후, B에서 입사하고, Q에서 반사하여 C에 도달한다. 이는 "입사각과 반사각이 서로 대칭인 경우, 레이저 빛은 대칭축에 대해 대칭되어 반사된다"는 거울 대칭 법칙에 따른 것이다.
    - 보기 "ㄴ, ㄷ": 이 경우는 존재하지 않는다. 레이저 빛이 B에서 입사하고, Q에서 반사하여 C에 도달하는 경우, 이는 입사각과 반사각이 서로 대칭인 경우인데, 이 경우 A에서 입사한 빛이 P에서 반사하여 B로 이동한 후, B에서 입사하고, Q에서 반사하여 C에 도달할 수 없다. 따라서 보기 "ㄴ, ㄷ"는 옳지 않다.
    - 보기 "ㄱ, ㄴ, ㄷ": 이 경우는 보기 "ㄱ, ㄴ"과 보기 "ㄷ"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이다. 레이저 빛은 A에서 입사하고, P에서 반사하여 B로 이동한 후, B에서 입사하고, Q에서 반사하여 C에 도달한다. 이는 거울 반사 법칙과 거울 대칭 법칙에 모두 따른 것이다. 따라서 보기 "ㄱ, ㄴ, ㄷ"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은 저항값이 6Ω, R인 저항과 가변저항을 전압이 일정한 전원 장치에 연결한 것을, 표는 가변저항의 저항값에 따른 p점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가변저항의 저항값이 작아질수록 p점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커진다. (ㄴ)
    - 전압이 일정하므로, 저항값이 작은 가변저항일수록 전류의 세기가 커지므로, 그림에서 p1보다 p2에서의 전류가 더 크다. (ㄱ)
    - 따라서, 가변저항의 저항값이 작아질수록 p점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커지는 것을 그래프와 함께 설명할 수 있다. (ㄱ, ㄴ)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림과 같이 저항이 연결된 ㄷ자형 도선의 일부가 종이면에 수직으로 들어가는 균일한 자기장 영역에 놓여 있다. 이 도선에 접촉해 있는 도체 막대를 일정한 속력으로 +x 방향으로 운동시킨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온도에 따른 저항 변화는 무시한다.)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중 "ㄱ, ㄴ"이 옳다.

    운동하는 도체 막대는 자기장에 의해 전기력을 받아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는 도선을 따라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도선에는 자기장에 수직인 방향으로 로렌츠 힘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도선이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도선에는 전자기력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는 로렌츠 힘과는 수직인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도선에는 전자기력에 의해 일정한 크기의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는 자기장을 만들어내게 된다. 이 자기장은 도선과 수직인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며, 도체 막대가 이동하는 방향과는 수직인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도체 막대가 이동하는 방향과는 상관없이 도선에는 일정한 크기의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는 자기장을 만들어내게 된다. 이에 따라, 보기 중 "ㄱ, ㄴ"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 (가)는 물체 A가 4m/s의 속력으로 p점을 통과하는 순간 q점에서 B를 가만히 놓은 것을, (나)는 수평면에서 (가)의 A, B가 충돌하여 한 덩어리가 되어 운동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A, B의 질량은 서로 같고, p와 q의 높이는 같다.

충돌 직전 B의 속력이 3m/s일 때, 충돌 직후 한 덩어리가 된 물체의 속력은? (단, 공기 저항, 물체의 크기, 모든 마찰은 무시한다.)[3점]

  1. 1m/s
  2. 2m/s
  3. 3m/s
  4. 5m/s
  5. 7m/s
(정답률: 알수없음)
  • 운동량 보존 법칙에 따라, 충돌 전과 후의 운동량은 일정합니다. 따라서, A와 B의 운동량의 합은 충돌 전과 후에도 동일합니다. 충돌 전에는 A의 운동량은 $m_Av_A$이고, B의 운동량은 0입니다. 충돌 후에는 A와 B가 한 덩어리가 되어 운동량은 $(m_A+m_B)v'$이고, 여기서 $v'$는 한 덩어리의 속력입니다. 따라서, $m_Av_A = (m_A+m_B)v'$이고, $v'=frac{m_A}{m_A+m_B}v_A=frac{1}{2}v_A$입니다. 따라서, A의 충돌 전 운동량은 $m_Av_A=2m$이고, 충돌 후 운동량은 $(m_A+m_B)v' = 2m$입니다. 따라서, 한 덩어리가 된 물체의 속력은 $v'=frac{2m}{m_A+m_B}=1m/s$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m/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과 같이 저항값이 2Ω, 6Ω, 12Ω인 저항과 스위치를 전압이 일정한 전원장치에 연결하였다. 스위치가 열려 있을 때, 6Ω인 저항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24W이다.

스위치가 닫혀 있을 때, 6Ω인 저항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단, 온도에 따른 저항 변화는 무시한다.) [3점]

  1. 6W
  2. 12W
  3. 24W
  4. 36W
  5. 54W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은 반지름 r인 원형 도선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기장에 대해 대화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옳게 말한 사람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철수
  2. 민수
  3. 철수, 민수
  4. 철수, 영희
  5. 민수, 영희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철수, 민수"

    자기장의 방향은 오른손 법칙에 따라 결정된다. 즉, 오른손을 주먹 쥐고 전류가 흐르는 도선을 둘러싼 방향으로 엄지손가락을 향하게 하면, 나머지 손가락들이 갖는 방향이 자기장의 방향이 된다. 그림에서 전류의 방향은 시계방향이므로, 엄지손가락을 도선을 둘러싸는 방향으로 향하게 하면, 나머지 손가락들이 도선 안쪽으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도선 안쪽에서는 자기장이 시계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도선 안쪽에서는 전류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자기장이 생성되므로, 도선 바깥쪽에서는 전류와 같은 방향으로 자기장이 생성된다. 따라서, "철수, 민수"가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은 전류, 전압, 저항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다.

이에 대해 옳게 말한 사람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철수
  2. 영희
  3. 민수
  4. 영희, 민수
  5. 철수, 영희, 민수
(정답률: 알수없음)
  • 전류는 전압과 저항에 비례한다는 오므로,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면 저항이 증가하면 전류는 감소한다. 이 실험에서는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저항이 증가하면 전류가 감소하므로, 이를 옳게 설명한 사람은 "영희, 민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과 같이 공기에서 매질Ⅰ로 입사한 단색광이 p점에서 일부는 반사하고 일부는 굴절된다. 이때 굴절된 단색광은 q점에서 전반사 한다. 각 θi는 각 θr보다 크고, 매질Ⅰ, 매질Ⅱ의 굴절률은 각각 n1, n2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ㄴ"이다. 이는 매질Ⅰ에서 매질Ⅱ로 굴절할 때, 굴절각이 큰 각도로 굴절되어 전반사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이 경우, 굴절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sinθ1/sinθ2 = n2/n1

    여기서, θ2는 90도를 넘을 수 없으므로, n2/n1이 1보다 크면 전반사가 일어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과 같이 마찰이 없는 수평면에 놓여 있는 물체 A에 물체 B, C를 도르래를 통해 실로 연결하여 가만히 놓았더니, A, B, C는 같은 크기의 가속도로 운동한다. A, B, C의 질량은 각각 m, m, 3m이다.

B에 작용하는 합력의 크기는? (단, 중력가속도는 g이고, 공기 저항, 물체의 크기, 실의 질량, 모든 마찰은 무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A, B, C는 같은 크기의 가속도로 운동하므로, B와 C에 작용하는 합력의 크기는 같다. 따라서 B와 C에 작용하는 합력의 크기는 (m+3m)g = 4mg이다. 이때, B와 C에 작용하는 합력은 도르래를 통해 A에도 작용하므로, A에 작용하는 합력의 크기도 4mg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은 마찰이 없는 수평면의 동일 직선상에서 질량이 같은 물체 A, B가 서로 같은 방향으로 운동하는 것을, 그래프는 A에 대한 B의 속도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충돌 전 A는 6m/s의 일정한 속력으로 운동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공기 저항과 물체의 크기는 무시한다.)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ㄱ, ㄷ"이다.

    - "ㄱ" : A와 B는 충돌 전에 같은 방향으로 운동하고 있으므로, B의 속도는 처음에는 A의 속도와 같이 6m/s로 일정하게 증가한다. 그러나 A와 B가 충돌하면서 A의 운동량이 B로 전달되어 A의 속도가 감소하고, 그에 따라 B의 속도도 감소한다. 따라서 그래프에서 B의 속도는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다.
    - "ㄷ" : 충돌 후에 A와 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충돌 후에 B의 속도는 점점 증가하면서 음수값을 가지게 된다. 이는 그래프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림은 진폭, 파장, 주기가 같은 파동 A, B가 연속적으로 발생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어느 순간의 모습을, 그래프는 p의 위치에서 중첩된 파의 변위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 그림과 그래프에서 파동 A와 B의 진폭, 파장, 주기가 같으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서로 상쇄되어 중간에 아무런 변화가 없는 상태이다.
    - "ㄷ" : 그림과 그래프에서 파동 A와 B가 중첩되어 만들어지는 파동의 진폭은 두 파동의 진폭의 차이와 같으며, 파동의 주기는 두 파동의 주기의 최소공배수와 같다. 따라서, 그림과 그래프에서 파동 A와 B가 중첩되어 만들어지는 파동은 진폭이 0이 되는 지점이 있고, 주기가 더 길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ㄱ, ㄴ" : 그림에서 파동 A와 B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중간에 아무런 변화가 없는 상태이다. 그러나, 그래프에서는 파동 A와 B가 중첩되어 만들어지는 파동의 진폭이 0이 되는 지점이 있고, 주기가 더 길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ㄱ"과 "ㄴ" 모두 옳은 설명이지만, 두 가지 모두를 포함하는 "ㄱ, ㄴ"이 더 정확한 설명이다.
    -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그림 (가)는 공기에서 동일한 경로를 따라 입사시킨 단색광 A, B가 유리에서 굴절하여 진행하는 경로를, (나)는 단색광A가 이중 슬릿을 통과하여 간격이 ⊿x인 간섭무늬를 만든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중 슬릿의 S1, S2로부터 p점까지 경로차는 0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ㄱ"이다. 이는 그림 (가)에서 단색광 A, B가 유리에서 굴절하여 진행하는 경로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그림 (나)에서 이중 슬릿을 통과한 단색광 A는 간섭무늬를 만들어내게 된다. 반면에 단색광 B는 이미 경로가 다르기 때문에 간섭하지 않고 그대로 직진하게 된다. 따라서 간섭무늬를 만드는 것은 단색광 A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과 같이 세슘판에 단색광을 비추었더니 광전자가 방출되었다. 그래프는 이 단색광의 세기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보기 "ㄴ": 그래프에서 볼 때, 광전자의 방출이 시작된 시간부터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는 광전자의 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초기에는 세슘판의 표면에 있는 전자들이 광자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이를 이용해 이탈하는 과정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정 시간 이후에는 세슘판 내부에 있는 전자들이 광자의 에너지를 이용해 이탈하게 되어 광전자의 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 보기 "ㄱ": 그래프에서 볼 때, 광전자의 방출이 시작된 시간부터 시간이 지날수록 광전자의 수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초기에는 세슘판의 표면에 있는 전자들이 광자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이를 이용해 이탈하는 과정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세슘판 내부에 있는 전자들이 이탈하여 광전자의 수가 감소하는 것이다.
    - 따라서, 보기 "ㄱ, ㄴ"이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