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물리II)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9-06)

수능(물리II)
(2006-09-06 기출문제)

목록

1. 그림은 연직 위 방향으로 던진 물체의 위치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이 물체의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보기 ㄱ: 물체는 등속운동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없다. 가속도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 보기 ㄴ: 물체는 등가속도 운동을 하고 있다. 하지만 등속운동을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구간도 있기 때문에 부적절하다.
    - 보기 ㄷ: 물체는 위로 던져졌다가 다시 아래로 떨어지는 운동을 하고 있다. 이는 자유낙하운동으로, 가속도가 일정하게 작용하는 등가속도 운동의 특수한 경우이다. 따라서 옳은 설명이다.
    - 보기 ㄱ, ㄴ: 보기 ㄱ과 ㄴ 모두 부적절한 설명이므로 선택할 수 없다.
    - 보기 ㄴ, ㄷ: 물체는 등가속도 운동을 하고 있지만, 자유낙하운동이 아닌 등속운동을 하고 있다는 모순된 설명이므로 부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은 일정한 속력으로 원형 트랙을 달리는 자동차 A, B가 0초일 때 각각 P 지점과 Q 지점을 통과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10초일 때 A는 P에서 Q에, B는 Q에서 P에 각각 도달하였다.

0초부터 10초까지 A, B의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옳은 것은 "ㄴ" 뿐입니다.

    - "ㄱ" : A와 B의 속력은 같지 않습니다.
    - "ㄷ" : A와 B의 가속도는 같지 않습니다.
    - "ㄱ, ㄴ" : A와 B의 속력은 같지 않으며, 가속도도 같지 않습니다.
    - "ㄴ, ㄷ" : A와 B의 속력은 같지만, 가속도는 같지 않습니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은 질량이 같은 물체 A, B, C가 지면의 한 점에서 던져질 때 운동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A와 B의 최고점의 높이는 같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공기 저항은 무시한다.)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A, B, C의 초기 속도는 같다.
    - A와 B의 최고점의 높이는 같으므로, A와 B의 수직 방향 초기 속도는 같다.
    - C는 초기 속도 방향이 수직 방향이 아니므로, A와 B보다 최고점의 높이가 낮다.
    - A와 B는 수직 방향으로 던져졌으므로, 운동 중에는 수직 방향 가속도만 작용하며, 수평 방향으로는 등속 운동을 한다.
    - 따라서 A와 B의 운동 경로는 대칭이며, 최고점에서의 속도는 0이다.
    - C는 초기 속도 방향이 수직 방향이 아니므로, 운동 중에는 수평 방향 가속도와 수직 방향 가속도가 모두 작용한다.
    - 따라서 C의 운동 경로는 대칭이 아니며, 최고점에서의 속도는 0이 아니다.
    - 따라서 정답은 "ㄴ,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은 질량이 같은 물체 A, B가 벽면에 고정된 용수철에 매달려 마찰이 없는 수평면에서 단진동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평형위치에서 A, B의 속력은 각각 v, 2v이고 진폭은 모두 L 이며, 용수철상수는 각각 kA, kB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용수철의 질량과 공기 저항은 무시한다.) [3점]

  1. ㄱ, ㄴ
  2. ㄱ,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중 "ㄱ"은 A, B의 주기가 같다는 것이다. 이는 용수철의 상수와 질량이 같기 때문에 발생한다. "ㄷ"는 A, B의 진폭이 같다는 것이다. 이는 초기 조건에서 A, B의 속력이 다르지만 운동 방정식을 풀어보면 같은 진폭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ㄱ, ㄷ"가 모두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 (가)와 (나)는 행성 A, B를 중심으로 위성 a, b가 각각 등속 원운동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a, b의 궤도 반지름은 각각 2r , r이고, a와 b의 속력은 v로 같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옳은 것은 "ㄴ"뿐입니다.

    - "ㄱ" : 위성 a와 b의 궤도 반지름이 다르므로 옳지 않습니다.
    - "ㄷ" : 위성 a와 b의 속력이 같으므로 옳지 않습니다.
    - "ㄱ, ㄴ" : 위성 a와 b의 궤도 반지름은 다르지만, 속력이 같으므로 옳지 않습니다.
    - "ㄴ, ㄷ" : 위성 a와 b의 속력은 같지만, 궤도 반지름이 다르므로 옳지 않습니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은 마찰이 있는 수평한 원판에 놓인 물체 A, B가 미끄러지지 않고 원판과 함께 일정한 주기로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A, B는 원판의 중심에서 각각 2r , r만큼 떨어져 있고, 질량은 m, 2m 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물체의 크기는 무시한다.)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모두 옳은 것은 "ㄱ, ㄴ, ㄷ" 이다.

    - ㄱ : 물체 A, B는 원판과 함께 일정한 주기로 회전하므로, 중력과 마찰력이 작용하여 원심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물체 A, B는 중심 방향으로 가속도를 가지며, 이에 따라 원판 위에서 원운동을 한다.
    - ㄴ : 물체 A, B의 질량이 다르므로, 같은 각속도로 회전하는 원판 위에서는 물체 B가 더 큰 원심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물체 B는 물체 A보다 더 바깥쪽 경로를 따라 회전하게 된다.
    - ㄷ : 물체 A, B는 미끄러지지 않으므로, 원판과의 마찰력이 정지 마찰력인 μs를 넘지 않는다. 따라서 원판의 각속도가 일정할 때, 물체 A, B가 원판 위에서 미끄러지지 않으려면 μs가 충분히 커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은 마찰이 없는 수평면에서 질량이 같은 물체 A, B가 각각 속력 v로 벽면과 충돌하는 것을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A는 벽면에 수직으로 충돌한 후 v로 튕겨 나왔고, B는 벽면과 45°의 각으로 충돌한 후 v로 튕겨 나왔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 물체의 크기와 공기 저항은 무시한다.)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물체 A와 B의 운동량은 보존된다. (ㄱ)
    - 물체 A와 B의 운동 에너지는 보존되지 않는다. (ㄴ)
    - 물체 B는 충돌 각도가 45°이므로 수평 방향으로도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며 이동한다. (ㄷ)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ㄷ"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과 같이 저항값이 RA, RB인 니크롬선을 동일한 상자 A, B안에 각각 설치한 후, 같은 몰수의 이상기체를 넣고, 전압이 일정한 전원 장치에 연결하였다. 표는 가열하기 전과 일정 시간 동안 가열한 후 A, B 내부의 압력을 나타낸 것이다. A, B는 밀폐되었고 단열되었으며 변형되지 않는다. 가열 후 A, B의 이상기체의 내부에너지는 각각 UA, UB이다.

UA : UB와 RA : RB를 바르게 짝지은 것은? (단, 저항에서 발생한 열은 모두 이상기체에 흡수되고, 온도에 따른 저항의 변화는 무시한다.) (순서대로 UA : UB, RA : RB) [3점]

  1. 1:2 ,2:1
  2. 1:2, 7:6
  3. 6:7, 7:6
  4. 6:7, 2:1
  5. 7:6, 7:6
(정답률: 알수없음)
  • 가열 후 A, B 내부의 압력이 같으므로, 이상기체의 몰수와 내부에너지는 같다. 이에 따라 UA : UB = nRTA : nRTB 이다. 또한, 저항값이 클수록 발생하는 열이 많아지므로, RA : RB = 7 : 6 이다. 따라서 정답은 "6:7, 2: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은 희미해진 손전등의 전지의 내부 저항과 기전력, 단자 전압을 알아보기 위해 영미가 수행한 실험 과정이다.

이에 대해 옳게 말한 사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3점]

  1. 철수
  2. 영희
  3. 민수
  4. 철수, 민수
  5. 철수, 영희, 민수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민수"인 이유는 실험 결과에서 손전등의 전지 내부 저항과 기전력을 구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이 "전압-전류 그래프를 그려 기울기와 y절편을 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방법은 오므려진 전지에서도 적용 가능하며, 영미가 실험에서 사용한 방법이기 때문에 "영희"는 오답이다. 또한, "철수"와 "철수, 영희, 민수"는 전류 측정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오답이다. 따라서, 정답은 "민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림과 같이 음(-)전하 A, B가 균일한 전기장 영역의 전기장에 수직인 +x방향으로 입사하여 xy평면에서 점선을 따라 운동하였다. A, B의 질량은 각각 m, 2m 이고, 전하량은 -Q, -2Q 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A, B의 크기, A와 B 사이에 작용하는 힘, 중력, 전자기파 발새은 무시한다.)

  1. ㄴ, ㄷ
  2. ㄱ,ㄴ,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중 "ㄴ"과 "ㄷ"가 모두 옳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 "ㄴ": A와 B는 전기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운동하므로 전기장이 일으키는 힘은 운동 방향과 수직하다. 따라서 A와 B에 작용하는 전기력은 운동 방향으로 일어나는 일을 하지 않으므로 일을 하지 않는 경로를 따라 운동하면 일의 변화량은 0이다. 따라서 A와 B의 운동에 따른 운동에너지의 변화량은 0이다.
    - "ㄷ": A와 B는 전기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운동하므로 전기장이 일으키는 힘은 운동 방향과 수직하다. 따라서 A와 B에 작용하는 전기력은 운동 방향으로 일어나는 일을 하지 않으므로 일을 하지 않는 경로를 따라 운동하면 일의 변화량은 0이다. 따라서 A와 B의 운동에 따른 운동에너지의 변화량은 0이다. 따라서 A와 B의 운동은 등속운동이며, 등속운동을 하면서 서로 가까워지므로 A와 B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한다. 이 인력은 전하의 크기와 거리에 반비례하므로 B에 작용하는 인력이 A에 작용하는 인력보다 2배 크다. 따라서 B는 A쪽으로 가속하면서 A는 B쪽으로 가속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은 저항값이 R 인 저항, 전기용량이 C 인 축전기, 스위치, 자체 유도 계수가 L 인 코일, 진동수가 이고 전압의 실효값이 일정한 교류 전원으로 구성된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스위치를 A에 연결하였을 때와 B에 연결하였을 때, 점 p에 흐르는 전류의 실효값은 각각 IA, IB이고, 점 p와 점 q 사이의 전압의 실효값은 각각 VA, VB이다.

IA와 IB, VA와 VB를 비교하여 바르게 짝지은 것은? (순서대로 전류의 실효값, 전압의 실효값)

  1. IA < IB, VA < VB
  2. IA < IB, VA < VB
  3. IA = IB, VA = VB
  4. IA < IB, VA<VB
  5. IA < IB VA < VB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IA < IB, VA < VB"

    스위치를 A에 연결하면, 코일과 축전기가 직렬로 연결되어 공진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므로, 전류의 크기가 작아진다. 따라서 IA < IB이다.

    점 p와 점 q 사이의 전압은 코일과 축전기에 의해 결정되는데, 스위치를 A에 연결하면 코일과 축전기가 직렬로 연결되어 공진 주파수에서는 큰 전압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VA < V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과 같이 부피가 같은 정육면체 A, B의 내부에 질량이 m, 2m인 이상기체의 분자가 각각 N개씩 들어 있다. A, B의 내부 온도는 같다.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A와 B의 내부 온도가 같으므로, 부피가 같은 정육면체 내부의 기체의 온도는 동일하다. 따라서 A와 B 내부의 기체의 열역학적 에너지는 동일하다. 하지만 B 내부의 기체 분자의 질량이 2m로 더 무거우므로, B 내부의 기체 분자의 운동 에너지는 A 내부의 기체 분자의 운동 에너지보다 작을 것이다. 따라서 B 내부의 기체 분자의 평균속도는 A 내부의 기체 분자의 평균속도보다 작을 것이다.
    - ㄴ: A와 B의 부피가 같으므로, A와 B 내부의 기체 분자의 수는 동일하다. 하지만 B 내부의 기체 분자의 질량이 2m로 더 무거우므로, B 내부의 기체 분자의 평균속도는 A 내부의 기체 분자의 평균속도보다 작을 것이다. 따라서 B 내부의 기체 분자의 운동 에너지는 A 내부의 기체 분자의 운동 에너지보다 작을 것이다. 하지만 B 내부의 기체 분자의 수가 A 내부의 기체 분자의 수와 동일하므로, B 내부의 기체 분자의 총 운동 에너지는 A 내부의 기체 분자의 총 운동 에너지보다 크다. 따라서 B 내부의 기체 분자의 평균 운동 에너지는 A 내부의 기체 분자의 평균 운동 에너지보다 작을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은 저항값이 R0인 저항, 가변저항, 전기용량이 같은 축전기 C1과 C2, 전압이 일정한 전원 장치로 구성된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R0에서 2R0으로 증가시켰을 때,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가변저항의 저항값이 R 0, 2R0일 때 축전기는 완전히 충전되었다.)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가변저항의 저항값이 증가하면, 회로 전체의 저항값이 증가하게 된다.
    - 따라서, 전류값은 일정한 전압에 대해 감소하게 되고, 축전기에 저장되는 전하의 양도 감소하게 된다.
    - 이에 따라, 스위치를 누르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따라서 축전기에 저장되는 전하의 양도 증가하게 된다.
    - 따라서, 스위치를 누르는 시간이 길어지므로, 스위치를 누르는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은 종이면에 수직인 균일한 자기장 영역에 양(+)전하로 대전된 질량 m인 입자가 입사하여 자기장 영역을 통과한 후 균일한 전기장 영역을 통과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자기장 에 입사할 때의 속력은 v이고 전기장에서 빠져 나올 때의 속력은 2v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입자의 크기, 중력, 전자기파의 발생은 무시한다)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입자가 자기장 영역을 통과할 때 운동에너지는 보존된다. (ㄱ)
    - 입자가 전기장 영역을 통과할 때 운동에너지가 증가한다. (ㄴ)
    - 입자의 운동에너지 증가량은 전기장에서 일하는 일과 같다. (ㄷ)

    입자가 자기장 영역을 통과할 때는 자기력이 일을 하지 않으므로 운동에너지는 보존된다. 따라서 (ㄱ)은 옳다.

    입자가 전기장 영역을 통과할 때는 전기력이 일을 하여 입자의 운동에너지가 증가한다. 따라서 (ㄴ)도 옳다.

    입자의 운동에너지 증가량은 전기장에서 일하는 일과 같다는 것은 일-에너지 보존 법칙에서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ㄷ)도 옳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ㄷ"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과 같이 무한 직선 도선 A와 저항 R1, R2가 연결된 직사각형 모양의 도선 B를 수평한 xy평면에 고정시켰다. A에는 +y방향으로 일정한 전류 I 가 흐르고 R1, R2의 저항값은 같다. B 위에 금속 막대를 A와 나란히 놓고 위치 P에서 위치 Q까지 -x 방향으로 일정한 속력으로 잡아 당겼다.

금속 막대기 P에서 Q까지 움직이는 동안,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중 "ㄱ"은 금속 막대가 P에서 Q까지 이동하는 동안, 막대 내부의 전자들이 A에서 R1을 통해 B로 이동하면서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옳은 설명이다.

    "ㄷ"는 금속 막대가 P에서 Q까지 이동하는 동안, 막대와 B 사이에 인덕턴스가 발생하게 되어 전류의 방향이 바뀌게 되므로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은 우라늄의 핵분열, 수소의 핵융합, 쿼크에 대한 설명이다.

(가)와 (나)에 들어갈 입자의 쿼크 조합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순서대로 가, 나)

  1. uuu, ddd
  2. uud, uud
  3. uud, udd
  4. udd, uud
  5. udd, udd
(정답률: 알수없음)
  • - 가) 우라늄의 핵분열: 우라늄 핵이 중성자를 흡수하여 붕괴하면서 에너지와 중성자를 방출하는 과정이다. 이때 방출되는 중성자는 udd 조합을 가지고 있다.
    - 나) 수소의 핵융합: 수소 원자핵이 서로 충돌하여 핵융합이 일어나면서 에너지를 방출하는 과정이다. 이때 핵융합을 일으키는 수소 원자핵은 uud 조합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정답은 "udd, uu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은 수소 원자의 바닥 상태(n=1)에 있던 전자가 10.2eV의 빛을 흡수하여 첫 번째 들뜬 상태(n=2)로 전이한 것을 보어의 원자 모형에 따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모두 옳은 것은 "ㄴ"입니다. 이는 수소 원자의 전자가 바닥 상태에서 첫 번째 들뜬 상태로 전이할 때, 10.2eV의 에너지를 흡수하게 되는데, 이는 전자의 에너지 상승으로 인한 것입니다. 이후 전자는 다시 바닥 상태로 돌아가면서, 10.2eV의 에너지를 방출하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방출되는 에너지는 빛의 형태로 나타나며, 이를 스펙트럼으로 분석하면 수소 원자의 특정한 파장을 가지는 스펙트럼 라인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러한 스펙트럼 라인은 수소 원자의 구조와 에너지 상태를 파악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림은 전자의 비전하 측정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음극에서 방출되는 전자는 영역 A의 슬릿과 영역 B를 통과하여 스크린의 중앙에 도달한다.

이에 대해 옳게 말한 사람은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철수
  2. 철수, 영희
  3. 철수, 민수
  4. 영희, 민수
  5. 철수, 영희, 민수
(정답률: 알수없음)
  • 그림에서 전자는 음극에서 방출되어 영역 A의 슬릿과 영역 B를 통과하여 스크린의 중앙에 도달한다. 이때, 영역 A의 슬릿은 전자의 수평 운동을 제한하고, 영역 B의 슬릿은 전자의 수직 운동을 제한한다. 따라서, 전자가 스크린의 중앙에 도달하려면 영역 A와 영역 B를 모두 통과해야 한다. 이에 따라 "철수, 민수"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그림 (가)와 같이 실에 매달린 물체 A를 실험대 윗면으로부터 높이 h인 곳에서 가만히 놓아, 실험대 위의 끝 부분에 정지해 있는 물체 B와 정면 충돌시킨다. 그림 (나)는 충돌 후 A, B의 운동을 나타낸 것이다. A와 B의 질량은 같고, B의 수직 낙하 거리와 수평 이동 거리는 각각 h이다.

이 충돌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공기 저항, 물체와 실험대 윗면 사이의 마찰력, 물체의 크기는 무시하고 중력가속도는 g이다.) [3점]

  1. ㄱ, ㄴ
  2. ㄱ,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중 "ㄱ"은 충돌 전 A와 B의 운동 에너지의 합과 충돌 후 A와 B의 운동 에너지의 합이 일정하다는 보존 에너지의 법칙에 따른 것이다. 충돌 전 A의 운동 에너지는 mgh이고, B의 운동 에너지는 0이므로, 충돌 후 A와 B의 운동 에너지의 합은 mgh와 1/2mv^2이다. 이 값은 충돌 전과 같으므로 보존 에너지의 법칙이 성립한다.

    "ㄴ"은 충돌 시 A와 B의 운동량이 보존된다는 보존 운동량의 법칙에 따른 것이다. 충돌 전 A의 운동량은 0이고, B의 운동량은 mv이다. 충돌 후 A와 B의 운동량의 합은 0이므로, A의 운동량은 -mv이고, B의 운동량은 2mv이다. 이 값은 충돌 전과 같으므로 보존 운동량의 법칙이 성립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은 저항값이 R 인 세 개의 저항과 기전력이 각각 E1, E2인 두 개의 전지로 구성된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I1, I2, I3, I4, I5는 각 저항과 점 a, b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를 나타낸 것이다.

이 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전지의 내부 저항은 무시한다.)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I1 = I2 + I3 : a와 b 사이의 전류는 분기점에서 합쳐지므로, I1 = I2 + I3이 성립한다.
    - ㄴ. I4 = I5 : b와 c 사이의 전류는 저항이 없으므로, I4 = I5이 성립한다.
    - ㄷ. E1 = I1R + I2R, E2 = I3R + I4R + I5R : 각 전지의 전압은 해당 전지를 따라가면서 저항에서의 전압합과 같다. 따라서, E1 = I1R + I2R, E2 = I3R + I4R + I5R이 성립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