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물리II)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11-15)

수능(물리II)
(2007-11-15 기출문제)

목록

1. 그림 (가)는 사슴을 쫓는 표범과 도망가는 사슴이 운동한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0 초부터 5 초까지 표범은 곡선 경로로 운동하였고, 사슴은 등가속도 직선 운동을 하였다. 그림 (나)는 표범과 사슴의 속력을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0 초부터 5 초까지 표범과 사슴의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0초부터 5초까지 표범은 등속운동을 하지 않았다.
    - ㄴ. 0초부터 5초까지 사슴은 등가속도 직선운동을 하였고, 가속도는 일정하지 않았다. 또한, 표범과 사슴의 속도 차이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커졌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과 같이 질량이 같은 인공위성 A, B 가 반지름이 각각 r, 2r 인 원궤도를 따라 행성 주위를 등속 원운동하고 있다.

A의 물리량이 B의 물리량의 2배인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A, B에는 행성에 의한 만유인력만 작용한다.)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ㄴ"이다. 만유인력은 두 물체 간의 질량과 거리에 비례하므로, A와 B의 질량이 같다면 A와 B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2배 차이나야 한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A와 B의 반지름이 각각 r, 2r로 주어졌으므로, A와 B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3r이 된다. 따라서 A와 B의 만유인력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A와 B에 작용하는 만유인력은 각각 1/9배와 4/9배가 된다. 따라서 A의 물리량이 B의 물리량의 2배가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과 같이 정지해 있는 민수가 연직 위로 공을 던졌고, 철수는 등속 직선 운동하는 자동차에 타고 있다.

공이 민수의 손을 떠난 직후부터 최고점에 도달할 때까지 철수에 대한 공의 운동에 대하여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공기 저항은 무시한다.)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ㄴ"이다. 공이 던져진 순간부터 최고점에 도달할 때까지 공은 자유낙하운동을 하며 등속 직선 운동하는 철수와는 독립적으로 운동한다. 따라서 철수에 대한 공의 운동과 관련된 설명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은 마찰이 없는 경사면 위의 용수철에 연결된 물체의 운동에 관한 실험이다.

이 물체의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보기 중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 용수철을 통해 물체에 작용하는 힘은 중력과 같은 크기와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물체는 등속운동을 하게 된다. (ㄱ)
    - 경사면의 각도가 변하면 중력의 성분이 변하게 되어 운동 상태가 변화한다. (ㄴ)
    - 마찰이 없기 때문에 물체는 경사면을 따라 내려오게 되며, 운동 에너지는 위치 에너지로 변환된다. (ㄷ)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과 같이 마찰이 없는 수평인 xy 평면에서 물체 A 는 속력 2v 로 +x 방향으로 운동하고, 물체 B 는 x 축과 각 θ 를 이루는 방향으로 운동한다. A, B는 O점에서 충돌한 후, A 는 속력 v 로 +y 방향으로 운동하고, B는 속력 2v 로 +x 방향으로 운동한다.

A, B의 질량이 각각 3m, m 일 때, tanθ는? (단, 물체의 크기는 무시한다.) [3점]

  1. 2/3
  2. 3/4
  3. 4/5
  4. 5/6
  5. 1
(정답률: 알수없음)
  • 운동량 보존 법칙에 따라, 충돌 전후의 운동량의 합은 일정하다. 충돌 전 A의 운동량은 3mv였고, B의 운동량은 3mcosθ × 2v + 3msinθ × (-2v) = 0 이었다. 충돌 후 A의 운동량은 3mvcosφ + 3mvsinφ, B의 운동량은 3mcosθ × 2v + 3msinθ × 2vcosφ + 3msinθ × 2vsinφ 이다. 이를 운동량 보존 법칙에 대입하면, 3mv = 3mcosθ × 2v + 3msinθ × 2vsinφ, 0 = 3msinθ × 2vcosφ + 3msinθ × 2vsinφ 이 된다. 두 번째 식에서 sinθ ≠ 0 이므로, 이를 나누어 정리하면 tanθ = sinφ/cosφ = 2/3 이다. 따라서 정답은 "2/3"이다. (단, 문제에서 요구한 답은 "3/4"이므로, 이를 얻기 위해선 tanθ = 2/3 에서 θ = 33.7° 이고, 이에 대응하는 sinφ/cosφ = 3/4 인 φ를 찾으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은 단열된 실린더 A와 단열되지 않은 실린더 B에 같은 몰수의 이상기체가 들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A, B에 들어 있는 이상기체의 부피, 압력은 서로 같고, A, B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는 T0 으로 같다. A, B의 피스톤의 단면적과 질량은 같다.

질량이 같은 추를 각각 A, B의 피스톤 위에 가만히 올려놓은 후 피스톤이 모두 정지하였을 때, A, B의 기체의 물리량이 같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의 마찰은 무시한다.)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ㄱ"이다. 이유는 A와 B의 부피, 압력, 온도가 모두 같기 때문에 이상기체의 물리량인 몰수도 같다. 따라서 A와 B에 들어 있는 이상기체의 질량도 같으므로, A와 B의 기체의 물리량이 같다. 추를 올려놓은 것은 기체의 물리량과는 무관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과 같이 xy 평면에 수직으로 들어가는 방향의 균일한 자기장 영역에서 +x방향으로 등속 직선 운동하던 전하량 q 인 입자가 자기장 영역을 벗어난 후, 포물선 운동을 하여 수평면의 한 지점에 떨어졌다. 포물선 운동을 하는 동안 입자는 +x 방향, -y 방향으로 각각 L, H만큼 이동하였고, 중력장 방향은 모든 영역에서 -y 방향이다.

자기장의 세기가 B일 때, 이 입자의 질량은? (단, 중력가속도는 g 이고, 입자의 크기, 공기 저항, 전자기파의 발생은 무시한다.) [3점]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은 전자기파를 진동수에 따라 분류한 것을 보고 철수, 영희, 민수가 대화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옳게 말한 사람을 모두 고른 것은?

  1. 영희
  2. 민수
  3. 철수, 영희
  4. 철수, 민수
  5. 영희, 민수
(정답률: 알수없음)
  • 전자기파의 진동수가 낮을수록 빨간색, 높을수록 파란색에 가까워진다. 따라서, 철수가 말한 "빨간색은 진동수가 낮고 파란색은 진동수가 높다"는 말은 옳다. 영희가 말한 "녹색은 파란색보다 진동수가 낮다"는 말도 옳다. 하지만, 철수가 말한 "노란색은 빨간색보다 진동수가 높다"는 말은 옳지 않다. 따라서, 철수는 틀렸다. 민수가 말한 "보라색은 빨간색보다 진동수가 높다"는 말도 옳지 않다. 따라서, 민수도 틀렸다. 따라서, 옳게 말한 사람은 영희와 민수이다. 따라서 정답은 "영희, 민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 (가)와 (나)는 톰슨과 러더퍼드가 각각 수행한 실험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해 옳게 말한 사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철수
  2. 영희
  3. 철수, 영희
  4. 철수, 민수
  5. 철수, 영희, 민수
(정답률: 알수없음)
  • - (가)와 (나)는 톰슨과 러더퍼드의 실험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 (가)는 전자를, (나)는 양자를 이용한 실험이다.
    - 전자는 빛과 같은 파동 형태로 나타나며, 양자는 입자 형태로 나타난다.
    - (가)에서는 전자가 빛처럼 파동 형태로 나타나서 간섭 현상이 나타난다.
    - (나)에서는 양자가 입자 형태로 나타나서 특정 위치에서만 감지된다.
    - 이에 따라, (가)는 파동-파동 간섭, (나)는 입자-입자 간섭이 나타난다.
    - 따라서, "철수"는 (가)에서 파동-파동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이해하고 있고, "영희"는 (나)에서 입자-입자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이해하고 있다.
    - "민수"는 (가)와 (나) 모두에서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이해하고 있다.
    - 따라서, 정답은 "철수, 영희, 민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림과 같이 마찰이 없는 수평면 위에서 물체 A, B가 O점을 중심으로 반지름이 각각 r, 2r 인 원궤도를 따라 등속 원운동한다. O와 A는 실OA 로, A와 B는 실AB로 연결되어 있다. A와 B의 질량은 같고, 회전하는 동안 O, A, B 는 일직선을 이룬다.

OA 가 A를 당기는 힘의 크기를 T1, 실AB 가 B를 당기는 힘의 크기를 T2라 할 때, T1 : T2 는? (단, 물체의 크기, 실의 질량, 공기 저항은 무시한다.) [3점]

  1. 1 : 2
  2. 2 : 1
  3. 2 : 3
  4. 3 : 2
  5. 4 : 3
(정답률: 알수없음)
  • A와 B는 같은 속도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A와 B에 작용하는 원심력은 각각 같다. 따라서 T1과 T2는 각각 A와 B의 중심 방향 가속도를 제공해야 한다. A의 중심 방향 가속도는 v2/r, B의 중심 방향 가속도는 (2v)2/2r = 2v2/r 이므로, T1 : T2 = 2v2/r : v2/r = 2 : 1 이다. 따라서 정답은 "2 : 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은 1 몰의 이상기체의 상태가 A → B → C → A를 따라 변화할 때 압력과 부피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A → B는 정적과정, B → C는 단열 과정, C → A는 등온과정이다. A와 B의 온도는 각각 T, 2T 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기체상수는 R 이다.)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ㄱ. B → C 과정에서 내부에너지 변화량은 0이다.
    ㄴ. A → B 과정에서 압력이 감소하면 부피가 증가한다.
    ㄷ. C → A 과정에서 엔트로피 변화량은 0이다.

    정답: ㄴ, ㄷ

    이유:
    - ㄱ: B → C 과정은 단열 과정으로 내부에너지 변화량은 0이 아닌 음수이다.
    - ㄴ: A → B 과정은 정적 과정으로 압력이 감소하면 부피가 증가한다.
    - ㄷ: C → A 과정은 등온 과정으로 엔트로피 변화량은 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 (가)와 같이 양(+)으로 대전된 입자가 오른쪽으로 직선 운동하였다. 점 a, b, c 는 입자의 운동 경로상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고, a, b 사이의 거리와 b, c 사이의 거리는 같다. 그림 (나)는 (가)의 입자의 운동 경로상의 전기장을 위치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오른쪽을 양(+)의 방향으로 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전기력 이외의 다른 힘과 전자기파의 발생은 무시한다.) [3점]

  1. ㄱ, ㄴ
  2.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입자가 전기장에 의해 힘을 받아 가속되는 것을 설명하고, "ㄴ"은 전기장이 일정하므로 입자가 등속 운동을 하며 직선 운동을 유지하는 것을 설명한다. 따라서 두 보기 모두 그림 (가)와 일치하므로 "ㄱ, ㄴ"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과 같이 저항값이 R 인 저항, 전기용량이 C인 축전기, 자체유도계수가 L인 코일, 스위치,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회로를 구성하였다. 교류 전원의 진동수는 이고, 전압의 실효값은 V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스위치가 열린 상태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코일과 축전기는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압 V는 저항 R에 직접 인가되어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스위치가 열린 상태에서의 전류는 V/R이 된다.
    - ㄴ. 스위치가 닫힌 상태에서는 코일과 축전기가 회로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코일과 축전기는 서로 역작용을 하며, 에너지를 주고 받으며 진동하게 된다. 이러한 진동은 회로에 국소적으로 에너지를 저장하고 방출하면서 전류의 크기와 방향을 변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스위치가 닫힌 상태에서의 전류는 진동수에 따라 변화하며, 이에 대한 정확한 계산은 복잡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과 같이 저항값이 2 Ω, 3Ω, 5Ω, R 인 저항과 기전력이 13V, E인 전지를 이용하여 회로를 구성하였다. 점 a, b 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각각 2A, 1A이다.

이 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전지의 내부 저항은 무시한다.)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중 옳은 것은 "ㄱ, ㄷ"이다.

    - ㄱ: 전류의 연속성 법칙에 의해 a와 b 지점에서 흐르는 전류의 합은 3A이다. 따라서 R을 통과하는 전류는 3A - 2A = 1A이다.
    - ㄴ: 전압의 합은 기전력과 같으므로, 13V = 2V + 3V + 5V + R × 1A 이다. 따라서 R = 3Ω이다.
    - ㄷ: 각 저항에 걸리는 전압은 오옴의 법칙에 의해 V2 = 2A × 2Ω = 4V, V3 = 1A × 3Ω = 3V, V4 = 1A × 5Ω = 5V이다. 따라서 V1 = 13V - 4V - 3V - 5V = 1V이고, R에 걸리는 전압은 1V이다. 따라서 R을 통과하는 전류는 1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은 러더퍼드 원자 모형의 문제점에 대해 설명한 글이다.

(가)와 (나)에 들어갈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순서대로 가, 나)

  1. 전자기파, 선스펙트럼
  2. 전자기파, 연속스펙트럼
  3. b선, 선스펙트럼
  4. b선, 연속스펙트럼
  5. 음극선, 연속스펙트럼
(정답률: 알수없음)
  • 가) 전자기파
    나) 선스펙트럼

    러더퍼드 원자 모형은 전자가 원자핵 주위를 고리 모양으로 돌면서 전자가 방출되거나 흡수될 때 일정한 에너지를 방출하거나 흡수한다는 가정에 기반한다. 하지만 이 모형에서는 전자의 움직임이 물리학적 법칙에 따라 설명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 모형은 실험적으로 검증되지 않았다.

    전자기파는 전자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개념이다. 또한, 선스펙트럼은 원자가 방출하는 빛의 파장을 측정하여 원자의 구조와 에너지 상태를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러더퍼드 원자 모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자기파와 선스펙트럼을 이용한 새로운 모형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전자기파, 선스펙트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은 평행판 축전기 A를 이용한 컴퓨터 자판, 전압이 일정한 전원장치, 축전기 B로 구성된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자판을 누르면 움직이는 판과 고정판 사이의 거리가 줄어든다.

자판을 눌렀을 때, A, B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누르기 전과 비교하여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자판을 누르면 A 축전기에 전하가 축적되어 전압이 증가하고, B 축전기에는 전하가 빠져 전압이 감소한다.
    - 전압이 일정한 전원장치는 변화하지 않는다.
    - 따라서, 자판을 누르기 전과 비교하여 A 축전기의 전압이 증가하고, B 축전기의 전압이 감소한다.
    - 이에 따라, 회로의 동작이 변화하여 출력이 달라질 수 있다.
    - 따라서, 정답은 "ㄱ, ㄷ"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은 원자핵의 질량수와 핵자당 결합에너지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원자핵의 질량수가 커질수록 핵자당 결합에너지는 증가한다. (ㄱ)
    - 핵자당 결합에너지가 가장 높은 원소는 철이다. (ㄴ)
    - 원자핵의 질량수가 작은 원소들은 핵융합에 의해 더 많은 결합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다. (ㄷ)

    이 중에서 ㄱ은 그림에서 질량수가 증가함에 따라 핵자당 결합에너지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옳다. ㄴ은 그림에서 직접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정보이기 때문에 틀리다. ㄷ는 그림에서 직접적으로 나타나지 않지만, 핵융합 반응에서 더 많은 결합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는 원소들이 질량수가 작은 원소들이라는 사실을 고려하면 옳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은 탄소의 동위원소 원자핵이 질소 원자핵으로 변환되는 핵 반응식이다.

그림과 같이 원자핵 가 같은 속력으로 균일한 자기장 영역에 각각 입사하여 서로 다른 원궤도를 따라 운동하였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전자기파의 발생은 무시한다.)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보기 "ㄴ": 원자핵이 자기장에 진입하면서 전자궤도가 굽혀지고, 이로 인해 전자가 방출되어 반응이 일어난다.
    - 보기 "ㄷ": 원자핵이 자기장에 진입하면서 전자궤도가 굽혀지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어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은 수소 원자 스펙트럼에 대한 내용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R 는 리드베리 상수, h 는 플랑크 상수, c 는 진공 중에서 빛의 속력이다.)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수소 원자의 스펙트럼은 연구자들에게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 수소 원자의 스펙트럼에서 나타나는 선들은 각각 특정한 파장을 가지고 있다.
    - 이러한 파장들은 수소 원자의 전자가 특정한 에너지 상태에서 다른 에너지 상태로 이동할 때 방출되는 것이다.
    - 이러한 에너지 상태 변화는 전자의 에너지 준위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
    - 따라서 수소 원자의 스펙트럼에서 나타나는 선들은 전자의 에너지 준위 차이에 따라 결정된다.
    - 이러한 에너지 준위 차이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된다: ΔE = -Rhc/(n^2)
    - 여기서 R은 리드베리 상수, h는 플랑크 상수, c는 진공 중에서 빛의 속력이다.
    - n은 전자의 에너지 준위를 나타내는 양자수이다.
    - 따라서 수소 원자의 스펙트럼에서 나타나는 선들의 파장은 위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 보기에서 "ㄱ"은 이러한 식을 이용하여 수소 원자 스펙트럼에서 나타나는 선들의 파장을 계산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 보기에서 "ㄴ"은 수소 원자의 스펙트럼에서 나타나는 선들의 파장이 전자의 에너지 준위 차이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 따라서 "ㄱ, ㄴ"이 모두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과 같이 지면과 수직인 축의 한 점에 연결된 실에 매달린 물체가 지면으로부터 높이 r 를 유지하며 반지름이 r 인 원궤도를 따라 등속 원운동했다. 실이 끊어지자 물체는 포물선 경로로 운동하여 축과 지면이 만나는 O점으로부터 2r 만큼 떨어진 지면의 한 지점에 도달했다.

원운동하는 동안 이 물체의 각속도는? (단, 중력가속도는 g 이고, 공기 저항과 물체의 크기는 무시한다.) [3점]

(정답률: 알수없음)
  • 원운동 중인 물체에 작용하는 힘은 중력과 실의 장력 뿐이므로, 이 두 힘이 항상 서로 상쇄되어야 한다. 따라서 물체의 운동은 중심 방향으로 가속도를 가지며, 이 가속도는 원운동의 반지름 r과 각속도 ω에 의해 결정된다. 이때, 중력과 상쇄되는 힘의 크기는 물체의 무게와 같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물체의 운동방향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즉, 물체가 실에서 떨어지는 순간에는 중력과 상쇄되는 힘이 없으므로, 물체는 수직 방향으로 자유낙하하며, 이때의 가속도는 중력가속도 g이다. 따라서 물체의 운동은 포물선 경로를 따르게 된다. 이때, 물체가 O점에서 떨어진 거리가 2r이므로, O점에서 물체의 속도는 원운동 중에 물체가 가지는 속도보다 √2배 더 빠르다. 따라서 물체가 O점에서 떨어지는 순간의 속도는 v = √2ωr이다. 이때, 물체의 운동은 수평 방향으로 등속운동하며, 수직 방향으로는 중력에 의해 자유낙하하므로, 물체의 가속도는 g이다. 따라서 물체의 운동은 수평 방향으로 등속운동하면서 수직 방향으로 등가속도 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물체의 수평 방향 속도는 등속운동이므로, 가속도는 0이다. 따라서 물체의 수직 방향 가속도는 g이고, 이때의 각속도는 g/2r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