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물리II)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9-03)

수능(물리II)
(2009-09-03 기출문제)

목록

1. 그림과 같이 질량이 같은 물체 A, B를 마찰이 없는 미끄럼틀 위의 같은 높이에서 동시에 가만히 놓았다. A는 경사각이 일정한 면을 따라 직선 운동을 하고, B는 곡면을 따라 운동한다. 지면에 도달할 때까지의 이동 거리는 B가 A보다 크고, 걸린 시간은 서로 같다.

A, B가 내려오는 동안,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공기 저항과 물체의 크기는 무시한다.)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ㄱ"이다. 이유는 A와 B의 운동 방향이 다르기 때문이다. A는 경사면의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지만, B는 곡면을 따라 운동하므로 중력과 수직 방향이 아닌 방향으로의 운동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B는 A보다 더 멀리 이동하게 된다. 걸린 시간은 서로 같으므로, 이동 거리가 더 긴 B의 속도는 A보다 더 빠르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과 같이 수평면 위의 평행한 두 직선 도로에서 속력이 같은 자동차 A, B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등속 직선 운동을 하고 있고, 원숭이가 나무 위에서 B의속도와 같은 속도로 사과를 던진다.

사과가 떨어지는 동안,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공기 저항은 무시한다.)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중 옳은 것은 "ㄱ, ㄴ"이다.

    사과는 수평 방향으로 B와 같은 속도로 움직이기 때문에, A와 B 사이의 거리는 계속 유지된다. 따라서 사과가 떨어지는 위치는 A와 B의 중간 지점이다. 또한, A와 B의 속도가 같기 때문에 사과가 떨어지는 시간은 A와 B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시간과 같다. 따라서 사과가 떨어지는 동안 A와 B는 서로 멀어지는 속도로 이동하고 있으므로, 사과는 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떨어진다. 이에 따라 보기 중 "ㄱ, ㄴ"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은 질량 m인 추가 줄에 매달려 반지름 R 인 원궤도를 따라 등속 원운동을 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θ 는 줄이 연직선과 이루는 각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중력가속도는 g이다.)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은 정전기 유도에 관한 실험이다.

이 실험에 대해 옳게 말한 사람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철수
  2. 영희
  3. 철수, 민수
  4. 영희, 민수
  5. 철수, 영희, 민수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철수"인 이유는 실험 결과에서 철사에 붙은 먼지가 가장 많기 때문이다. 이는 철사가 다른 물체들보다 더 많은 정전기를 유도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은 물체 A, B가 동시에 던져지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A는 수평면과 60°의 각을 이루며 10√2 m/s의 속력으로, B는 수평면과 45°의 각을 이루며 10√3 m/s의 속력으로 던져진다.

A의 최고점에서 두 물체가 충돌할 때, 던져진 순간부터 충돌할 때까지 B의 변위의 수평 방향 성분의 크기는? (단, 중력가속도는 10 m/s2이고, 공기 저항과 물체의 크기는 무시한다.) [3점]

  1. 10√2 m
  2. 15 m
  3. 10√3 m
  4. 20 m
  5. 20√2 m
(정답률: 알수없음)
  • A와 B는 서로 다른 초기 속도와 각도로 던져졌지만, 중력의 영향을 받아 같은 수직 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A의 최고점에서 B와 충돌할 때까지 B는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로 운동하게 된다. 이 때, B의 수평 방향 성분의 속력은 초기 속력 10√3 m/s의 수평 방향 성분인 10 m/s이다. 따라서 충돌까지의 시간을 t라고 하면, B의 수평 방향 변위는 10t이다. A의 최고점에서 충돌까지의 시간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A의 최고점 도달 시간 t1 = (10√2)/g

    A와 B가 충돌하는 시간 t2 = 2t1 = 2(10√2)/g

    따라서 B의 수평 방향 변위는 10t2 = 20(10√2)/g = 20√2 m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B의 수평 방향 성분의 크기이므로, 이를 45° 각도로 분해하여 계산해야 한다.

    B의 수평 방향 성분의 크기 = 20√2 cos 45° = 20 m

    따라서 정답은 "20 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과 같이 물체 A 가 일정한 속력 v1 로 y 축 방향과 θ의 각을 이루며 마찰이 없는 책상 끝에 걸쳐 있는 물체 B 를 향해 입사한다. 질량이 같은 A와 B가 탄성충돌을 한 후, A는 일정한 속력 v2 로 +y방향으로 진행하며, B는 xz 평면상에서 포물선 운동을 한다. 지면으로부터 책상의 높이는 h 이다.

충돌 순간부터 B가 지면에 닿을 때까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중력가속도는 g 이고, 0°< θ < 90° 이며, A와 B의 크기는 무시한다.)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중 옳은 것은 "ㄱ, ㄴ"이다.

    - ㄱ. 충돌 순간 A와 B의 운동량은 보존된다.
    - ㄴ. B가 지면에 닿을 때까지의 시간은 2h/g 이다.

    ① 충돌 순간 A와 B의 운동량은 보존된다.
    - 탄성충돌에서는 운동량이 보존된다. 따라서 충돌 전후의 운동량을 계산하여 비교해보면, A와 B의 운동량이 보존됨을 알 수 있다.

    ② B가 지면에 닿을 때까지의 시간은 2h/g 이다.
    - B가 지면에 닿을 때까지의 시간은 자유낙하운동에서 구할 수 있다. B가 지면에 닿을 때까지의 거리는 h이므로, t = √(2h/g)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은 행성을 중심으로 위성 A, B 가 반지름이 각각 r, 4r 인 원궤도를 따라 서로 다른 속력으로 등속 원운동을 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A, B의 질량은 각각 m, 4m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A와 B의 상호 작용은 무시한다.)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ㄴ"이다. 이유는 A와 B의 질량이 다르기 때문에 등속 원운동을 하더라도 속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A와 B는 서로 다른 중심력을 받게 되고, 이는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지는 원궤도에서 등속 원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중심력이 일정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보기에서 "ㄴ"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은 수평면에서 용수철상수가 서로 다른 용수철 A, B에 질량이 같은 추를 각각 연결하여 같은 길이만큼 당겼다 놓았을 때 단진동을 하는 추의 변위와 운동량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ㄴ, ㄷ"이다.

    - "ㄱ"은 틀린 설명이다. 그림에서 추의 변위와 운동량은 서로 반비례 관계이다.
    - "ㄴ"은 옳은 설명이다. 그림에서 추의 변위와 운동량은 서로 반비례 관계이다.
    - "ㄱ, ㄷ"는 틀린 설명이다. 그림에서 용수철상수가 큰 용수철 A의 경우, 추의 변위가 작아지면 운동량이 작아지는 것이 아니라, 추의 변위가 작아지면 운동량이 커지는 것이다. 따라서, 추의 변위와 운동량은 반비례 관계이다.
    - "ㄴ, ㄷ"는 옳은 설명이다. 그림에서 추의 변위와 운동량은 서로 반비례 관계이다. 또한, 추의 운동 방향이 바뀔 때마다 운동량의 크기는 변하지 않고, 방향만 반대가 된다. 따라서, 추의 운동량은 일정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과 같이 전하가 충전된 축전기에 연결된 저항이 이상기체가 들어있는 실린더 안에 놓여 있다. 이상기체의 온도와 부피는 각각 T1, V1 이다. 스위치를 닫았더니 이상기체의 부피가 V2 인 상태로 피스톤이 정지하였다. 이때 이상기체의 온도는 T2 이다. 이 과정에서 실린더와 피스톤을 통한 외부와의 열 출입은 없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대기압은 일정하고,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의 마찰과 전자기파의 발생은 무시한다.)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ㄴ"이다. 이유는 충전된 축전기의 전하가 피스톤을 통해 이상기체에 전달되어 일어나는 등압 변화 과정에서, 이상기체의 온도와 부피는 비례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T1 × V1 = T2 × V2 이므로, 이상기체의 온도와 부피의 변화를 통해 초기 온도 T1과 최종 부피 V2가 주어졌을 때 최종 온도 T2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ㄴ"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림 (가)는 피스톤에 의해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 실린더의 왼쪽에는 이상기체가 있고, 오른쪽에는 벽에 고정된 용수철이 피스톤과 연결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용수철은 늘어나거나 줄어들지 않은 상태이다. 그림 (나)는 (가)에서 핀이 제거된 피스톤이 오른쪽으로 움직이다가 정지한 순간, 피스톤을 다시 핀으로 고정시킨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 과정에서 실린더와 피스톤을 통한 열 출입은 없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의 마찰은 무시하고, (가) → (나)의 과정 동안 이상기체는 매 순간 평형 상태에 있다.)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ㄱ, ㄴ"이다.

    이유는 (가)에서 (나)로 피스톤이 이동하면서 부피가 변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상기체 내부의 압력과 온도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상기체의 상태방정식인 PV=nRT에서 P와 V가 일정하므로, 온도도 일정하다. 이에 따라 (가)와 (나) 사이에서는 열이 출입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이 이동하면서 일어난 일은 일종의 등압과정이다. 이는 PV=nRT에서 P가 일정하므로 V가 변하면 n 또는 T가 변화하게 된다. 그러나 이상기체 내부의 n은 변하지 않았으므로, 피스톤의 이동으로 인해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부피가 변화한 것이다. 따라서 (가)와 (나) 사이에서는 일정한 압력과 일정한 온도에서 등압과정이 일어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보기에서 "ㄱ, ㄴ"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은 5 개의 저항, 기전력이 E 인 전지, 전기용량이 3㎌ 인 축전기로 구성된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점 P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3A이다.

이 축전기에 저장된 에너지는? (단, 전지의 내부 저항은 무시한다.) [3점]

  1. 2.4 × 10-5 J
  2. 3.6 × 10-5 J
  3. 4.8 × 10-5 J
  4. 6.0 × 10-5 J
  5. 7.2 × 10-5 J
(정답률: 알수없음)
  • 축전기에 저장된 에너지는 1/2CV2 이다. 여기서 C는 축전기의 전기용량, V는 축전기에 저장된 전하의 전위차이다. 이 문제에서는 C=3㎌, V=5V 이므로, 1/2×3×10-6×52=2.4×10-5 J 이다. 따라서 정답은 "2.4 × 10-5 J"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은 저항값이 R 인 저항, 전기 용량이 C 인 축전기, 자체유도계수가 각각 L, 2L 인 두 코일, 스위치 S, 교류 전원으로 구성된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교류 전원의 진동수는 이고, 전압의 실효값은 일정하다.

이 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스위치 S가 닫히면, 축전기 C가 방전되면서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때 코일 L, 2L에 자기장이 생기면서 에너지가 저장된다. 그리고 스위치 S가 열리면, 코일 L, 2L에 저장된 에너지가 방전되면서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때 축전기 C가 충전되면서 전압이 상승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회로에는 일정한 주기와 진폭을 가진 교류가 발생하게 된다.
    - ㄷ. 회로에는 코일 L, 2L이 있기 때문에, 전류가 흐르는 동안에는 자기장이 생기면서 에너지가 저장되고, 전류가 흐르지 않는 동안에는 저장된 에너지가 방전되면서 전압이 상승한다. 이러한 과정에서는 에너지가 주기적으로 저장되고 방출되기 때문에, 회로에는 일정한 주기와 진폭을 가진 교류가 발생하게 된다.
    - ㄴ. 회로에는 코일 L, 2L이 있기 때문에, 전류가 흐르는 동안에는 자기장이 생기면서 에너지가 저장되고, 전류가 흐르지 않는 동안에는 저장된 에너지가 방전되면서 전압이 상승한다. 이러한 과정에서는 에너지가 주기적으로 저장되고 방출되기 때문에, 회로에는 일정한 주기와 진폭을 가진 교류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코일 L, 2L이 서로 다른 자기장을 가지기 때문에, 회로에는 상호작용하는 두 개의 교류가 발생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 (가)는 러더퍼드의 a입자 산란 실험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그림 (나)는 형광 스크린에 감지된 입자수를 산란각 q 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해 옳게 말한 사람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철수
  2. 영희
  3. 철수, 민수
  4. 영희, 민수
  5. 철수, 영희, 민수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철수"이다. 그림 (가)는 러더퍼드의 a입자 산란 실험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그림 (나)는 형광 스크린에 감지된 입자수를 산란각 q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그림 (나)에서 산란각 q가 작을수록 입자수가 많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산란각이 작을수록 입자가 더 많이 산란되어 형광 스크린에 도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산란각이 작을수록 입자의 산란이 더 많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철수"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은 대전되지 않고 질량이 m인 물체가 마찰이 없는 책상 위의 한쪽 끝에 놓인 전하량 q, 질량 M인 물체를 향해 속력 v 로 등속 직선 운동을 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책상의 오른쪽 공간에는 균일한 자기장 B 가 xy평면에 수직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걸려 있다. 중력장의 방향은 -y 방향이다.

두 물체가 충돌한 후 한 덩어리가 되어 책상을 떠나 등속 직선 운동을 할 때, q 는? (단, 중력가속도는 g 이고, 공기 저항은 무시한다.) [3점]

(정답률: 알수없음)
  • 운동량 보존 법칙에 따라, 두 물체가 충돌하기 전과 후의 운동량의 합은 일정하다. 충돌하기 전에는 q 물체의 운동량은 0이고, M 물체의 운동량은 Mv 였다. 충돌한 후에는 두 물체가 한 덩어리가 되어 등속 직선 운동을 하므로, 운동량은 (m+M)v 가 된다. 따라서, 운동량 보존 법칙에 의해 Mv = (m+M)v 이므로, q = (m+M)v/g 이다. 이때, 자기장이 존재하므로 물체에 전하량 q가 있으면 로렌츠 힘에 의해 운동량이 바뀌게 된다. 로렌츠 힘은 F = qvB 이므로, 이에 따른 운동량 변화량은 Δp = FΔt = qvBΔt 이다. 충돌 시간이 매우 짧기 때문에, Δt는 매우 작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운동량 변화량 Δp는 매우 작아서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q = (m+M)v/g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은 전자기파를 진동수에 따라 분류한 것이다.

전자기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빛의 속력은 3×10⁸ m/s이다.)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ㄴ"은 전자기파의 진동수가 높아질수록 파장이 짧아지고, 주파수가 높아지며, 에너지가 증가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ㄷ"는 전자기파의 속력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파장과 주파수는 반비례 관계에 있으며, 진폭과 에너지는 직접 비례 관계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ㄴ, ㄷ"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은 원자를 구성하는 입자들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ㄴ, ㄷ
  2.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ㄴ"은 전자를 나타내고, "ㄷ"는 중성자를 나타낸다. 이는 그림에서도 확인할 수 있으며, 원자를 구성하는 입자들 중 전자와 중성자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ㄴ,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은 폴로늄() 핵붕괴와 중수소() 핵융합 과정의 핵 반응식이다.

그림은 입자 (가)와 (나)가 균일한 자기장과 전기장이 함께 걸려 있는 영역에서 +x방향으로 등속 직선 운동을 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자기장은 xy평면에 수직으로 들어간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중력에 의한 효과는 무시한다.)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ㄱ"이다. 폴로늄 핵붕괴와 중수소 핵융합은 모두 핵반응이다. 그림에서 입자 (가)는 양전하를 가진 양성자이고, 입자 (나)는 중성 입자인 중성자이다. 자기장과 전기장이 함께 걸려 있는 영역에서 등속 직선 운동을 하고 있으므로 입자 (가)와 (나)는 서로 충돌하지 않는다. 따라서, 핵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림은 보어의 수소 원자 모형에서 정상 상태에 있는 질량 m인 전자가 원자핵을 중심으로 반지름이 r 인 원운동을 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양자수 n=1인 상태에서 전자의 궤도 반지름은 a0, 전기력에 의한 위치 에너지는 -E0 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원자핵이 전자에 작용하는 전기력의 크기가 0 인 지점에서 위치 에너지는 0 이다.)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어의 수소 원자 모형에서 전자는 원운동을 하며, 이는 전자의 위치 에너지와 운동 에너지를 결정한다. 전자의 궤도 반지름은 양자수 n에 따라 결정되며, n이 작을수록 궤도 반지름이 작아지고 위치 에너지가 상승한다. 따라서, 보기에서 "ㄱ"은 옳다.

    또한, 전자의 위치 에너지는 전기력에 의해 결정되며, 전기력은 전자와 원자핵 사이의 인력이다. 전기력은 전자와 원자핵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달라지며, 거리가 가까울수록 전기력이 강해진다. 따라서, 전자의 위치 에너지는 궤도 반지름이 작을수록 상승한다. 이에 따라, 보기에서 "ㄷ"도 옳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그림은 수소 원자의 선스펙트럼 일부를 진동수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Δf 는 발머 계열과 라이먼 계열에서 각각 가장 작은 진동수 사이의 차이다. 발머 계열에서 가장 큰 진동수는 f0이고, 라이먼 계열에서 가장 큰 진동수는 f1 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플랑크 상수는 h 이다.)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 발머 계열에서 가장 작은 진동수와 라이먼 계열에서 가장 작은 진동수 사이의 차이인 Δf는 에너지 준위의 차이에 해당한다. 따라서 Δf가 작을수록 에너지 준위의 차이가 작아지므로, 발머 계열에서 가까운 준위끼리, 라이먼 계열에서 가까운 준위끼리 선이 모여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ㄱ"이 옳다.
    - 플랑크 상수 h는 진동수와 에너지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상수이다. 따라서 진동수가 증가할수록 에너지도 증가하게 된다. 그림에서 발머 계열과 라이먼 계열에서 선이 이동하는 방향을 보면, 진동수가 증가할수록 에너지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에 따라 "ㄴ"이 옳다.
    - 그림에서 발머 계열과 라이먼 계열에서 선이 만나는 지점이 있는데, 이 지점은 발머 계열에서 가장 큰 진동수인 f0과 라이먼 계열에서 가장 작은 진동수인 f1이 일치하는 지점이다. 따라서 이 지점에서는 발머 계열과 라이먼 계열의 선이 모여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ㄷ"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은 저항값이 같은 6 개의 저항과 전압이 일정한 전원 장치로 구성된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점 a, b, c 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를 각각 Ia, Ib, Ic 라 할 때, Ia : Ib : Ic는?

  1. 2 : 1 : 3
  2. 3 : 1 : 4
  3. 4 : 1 : 6
  4. 5 : 1 : 7
  5. 6 : 1 : 8
(정답률: 알수없음)
  • 각각의 전압이 일정하므로, 전압이 같은 점 a, b, c 사이의 저항은 직렬 저항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a에서 b로 가는 전류는 a에서 c로 가는 전류의 2배, b에서 c로 가는 전류는 a에서 c로 가는 전류의 3배이다. 이를 이용하여 Ia : Ib : Ic를 구하면, Ia : Ib : Ic = 5 : 1 : 7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