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물리II)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6-12)

수능(물리II)
(2014-06-12 기출문제)

목록

1. 그림은 컬링 스톤이 점 P, Q를 지나는 곡선 경로를 따라 운동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P에서 Q까지 컬링 스톤의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P에서 Q까지의 거리는 일정하지 않다.
    - "ㄴ": 컬링 스톤은 경로 상에서 속도가 일정하지 않으며, 특히 경로의 곡률이 큰 부분에서는 속도가 느려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은 주기가 같은 파동 A, B의 어느 순간의 변위를 나타낸 것이다.

B가 A의 2배인 물리량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ㄴ, ㄷ"이다. 이유는 B가 A의 2배이므로 주기는 A보다 반으로 짧아지고 진폭은 A보다 2배 커진다. 따라서 주기는 1/2, 진폭은 2배인 파동을 보이는 것이다. 이에 해당하는 보기는 "ㄴ,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과 같이 동일한 실린더 안에 분자 수가 각각 N, 2N인 이상 기체가 절대 온도 T0인 평형 상태에 있다. 실린더 바닥면과 피스톤 사이의 거리는 각각 h, h'이다.

h'/h는? (단,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의 마찰은 무시한다.)

  1. 4/3
  2. 3/2
  3. 2
  4. 5/2
  5. 4
(정답률: 알수없음)
  • 이상 기체의 상태방정식인 PV=nRT를 이용하면, 동일한 온도와 부피에서 분자 수가 2배인 기체는 압력이 2배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 바닥면과 피스톤 사이의 압력은 N과 2N에 대해 각각 P와 2P가 된다. 이때, 피스톤 위쪽에 있는 기체의 부피는 h'이고 압력은 P이며, 피스톤 아래쪽에 있는 기체의 부피는 h이고 압력은 2P이다. 이 두 기체는 평형 상태에 있으므로, 압력과 부피의 곱이 일정하다는 보일의 법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Ph = k, 2Ph' = k

    여기서 k는 일정한 상수이다. 이 두 식을 나누면,

    h'/h = 2

    따라서, h'/h는 2이다. 따라서 정답은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은 원점에서 같은 거리만큼 떨어져 y축에 고정되어 있는 전하 A, B로 구성된 전기 쌍극자를 나타낸 것이다. 점 a, b는 각각 y축, x축에 있는 점이고, a에서 전기장 방향은 +y방향이다.

A의 전하 종류와 b에서 전기장 방향은? (순서대로 A의 전하종류, 전기장 방향)

  1. 양(+), +y
  2. 양(+), -y
  3. 양(+), +x
  4. 음(-), +y
  5. 음(-), -y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양(+), -y"이다.

    전기 쌍극자는 전하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위치한 것을 말한다. A와 B의 전하가 반대 방향이므로 A는 양전하이다.

    점 a에서 전기장 방향은 A에서 B로 향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y 방향이다.

    점 b에서 전기장 방향은 B에서 A로 향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y 방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은 xy평면에서 등가속도 운동을 하는 질량 1kg인 물체의 위치를 1초 간격으로 나타낸 것이다.

물체에 작용하는 알짜힘의 크기는? [3점]

  1. 2N
  2. √5N
  3. 4N
  4. 2√5N
  5. 9N
(정답률: 알수없음)
  • 등가속도 운동에서 알짜힘은 F = ma 로 구할 수 있다. 이때, 가속도 a는 등가속도 운동에서는 일정하므로, 알짜힘의 크기는 그냥 질량과 가속도를 곱한 것과 같다.

    따라서, 물체에 작용하는 알짜힘의 크기는

    F = ma = 1kg × 2m/s² = 2N

    이다.

    정답이 "√5N" 인 이유는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은 단진동을 하는 질량 1kg인 물체의 변위와 속도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모두 옳은 것은 "ㄱ, ㄴ"이다.

    - "ㄱ" : 그림에서 물체의 변위와 속도가 서로 90도 차이를 가지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단진동에서 변위와 속도가 서로 직교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 "ㄴ" : 그림에서 물체의 속도가 최대일 때 변위는 0이 되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단진동에서 속도가 최대일 때 물체가 균형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 "ㄷ" : 그림에서 물체의 가속도가 최대일 때 속도는 0이 되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단진동에서 가장 큰 가속도를 가질 때 물체가 균형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은 일정량의 이상 기체의 상태가 A→B→C를 따라 변할 때 압력과 절대 온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기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보기 "ㄱ": 기체의 압력이 A→B→C 과정에서 감소하고, 절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는 등압 변화를 나타내며, 이러한 과정에서 기체의 부피가 증가한다.
    - 보기 "ㄴ": 기체의 압력이 A→B→C 과정에서 증가하고, 절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는 등온 변화를 나타내며, 이러한 과정에서 기체의 부피가 감소한다.
    - 보기 "ㄷ": 기체의 압력과 절대 온도가 모두 증가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는 등온 등압 변화를 나타내며, 이러한 과정에서 기체의 부피가 감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 (가)는 전기장 영역에서 음(-)전하를 띤 입자가 오른쪽으로 직선 운동을 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나)는 (가)의 전기장 영역에서 위치 x에 따른 전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입자는 전기장에서 일정한 가속도로 운동하며, 전위가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이동한다.
    - (ㄴ) 전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갈수록 전기장이 강해지므로, 입자는 전기장에서 서서히 감속하며, 전위가 낮은 쪽으로 이동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은 전압 V인 전원 장치와 전기 용량이 2C, 3C인 축전기 A, B로 구성된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스위치를 a에 연결하여 A를 충전시킨 후, 스위치를 b에 연결하였다.

B가 충전되었을 때, A 양단의 전위치는?

  1. 2/5 V
  2. 3/5 V
  3. 2/3 V
  4. 5/6 V
  5. V
(정답률: 알수없음)
  • B가 충전되면 A와 B의 전기 용량이 모두 2C+3C=5C가 되고, 전하량은 Q=CV=5C×V=5V가 된다. 이때 A와 B의 전위차는 Vb-Va=Q/Cb-Q/Ca=5V/3C-5V/2C=-5V/6이다. 따라서 Va=Vb+5V/6=0+5V/6=5/6V이므로, A 양단의 전위치는 5/6V이다. 따라서 정답은 "5/6 V"가 되어야 한다. 주어진 보기에서 "2/5 V"는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림과 같이 극판의 간격이 d, 면적이 S로 같은 평행판 축전기 A와 B를 전압 V인 전원 장치에 연결하였다. B의 두 극판 사이에는 두께 d/2, 면적 S, 유전상수 2인 유전체가 채워져 있다.

A와 B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가 각각 UA와 UB일 때 UA : UB는? (단, A의 극판 사이의 공간과 B의 유전체 이외의 공간은 진공이며, 진공의 유전 상수는 1이다.) [3점]

  1. 1 : 1
  2. 2 : 3
  3. 3 : 2
  4. 3 : 4
  5. 4 : 3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 (가)와 (나)는 전기 용량이 C, 2C인 축전기를 전압 V인 전원 장치에 연결하여 충전시킨 후, 스위치를 자체 유도 계수가 각각 L, 2L인 코일에 연결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가)의 축전기에 저장된 전하량을 스위치를 코일에 연결한 순간부터 시간 t0후 처음으로 0이 되었다.

(가)와 (나)의 코일에 저장된 에너지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가)의 축전기에 저장된 전하량이 0이 되기 위해서는 축전기에 저장된 전하량이 (나)의 코일을 통해 전달되어 완전히 소진되어야 한다. 따라서 (나)의 코일에 저장된 에너지가 (가)의 축전기에 저장된 전하량과 같아지면 축전기에 저장된 전하량이 0이 된다. 이때 (나)의 코일에 저장된 에너지는 1/2LI^2이므로, 시간에 따른 (나)의 코일에 저장된 에너지 그래프는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를 띈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은 매질 A에서 같은 입사각으로 입사한 파장이 같은 세 빛 p, q, r가 매질 B와 매질 C를 통과하여 매질 D를 지나는 경로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B와 C를 통과하는 빛의 경로는 표시하지 않았고, 빛 s는 p, q, r 중 하나이다. A와 C의 굴절률은 n1, B와 D의 굴절률은 n2이며, 각 경계면은 서로 평행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ㄴ. 빛 p, q, r은 모두 같은 입사각으로 입사하므로, 매질 D에서의 굴절각은 모두 같다. 따라서, 빛 s도 같은 입사각으로 입사하더라도, 매질 D에서의 굴절각은 항상 일정하다.
    - ㄷ. 빛 s가 매질 D에서 직각으로 굴절하므로, 매질 D에서의 굴절각은 90도이다. 따라서, 빛 s가 매질 C에서 굴절할 때, 입사각과 굴절각의 합이 90도가 되어야 한다. 이는 스니엘의 법칙에 따라, 매질 C와 매질 D의 경계면이 수직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ㄱ. 빛 p, q, r은 모두 같은 입사각으로 입사하므로, 매질 D에서의 굴절각은 모두 같다. 따라서, 빛 s가 매질 C에서 굴절할 때, 입사각과 굴절각의 합이 일정하다. 이는 스니엘의 법칙에 따라, 매질 C와 매질 D의 경계면이 평행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ㄴ. 이미 ㄴ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빛 p, q, r는 모두 같은 입사각으로 입사하므로, 매질 D에서의 굴절각은 모두 같다. 따라서, 빛 s도 같은 입사각으로 입사하더라도, 매질 D에서의 굴절각은 항상 일정하다.
    - ㄷ. 이미 ㄷ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빛 s가 매질 D에서 직각으로 굴절하므로, 매질 D에서의 굴절각은 90도이다. 따라서, 빛 s가 매질 C에서 굴절할 때, 입사각과 굴절각의 합이 90도가 되어야 한다. 이는 스니엘의 법칙에 따라, 매질 C와 매질 D의 경계면이 수직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 (가)는 단면적과 길이가 같은 물체 A, B를 접촉시켜 양 끝을 각각 100℃와 0℃의 열원에 연결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단위 시간 동안 A와 B를 통해 이동하는 열량은 Q0으로 일정하며, A와 B의 접촉 부분의 온도는 60℃이다. 그림 (나)는 (가)의 A와 B를 100℃와 52℃의 열원에 각각 연결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단위 시간 동안 A와 B를 통해 이동하는 열량의 합은 Q1로 일정하다.

Q1은? (단, 열의 전달은 전도에 의해서만 이루어지고, 외부와의 열출입은 없으며, A와 B의 열팽창은 무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열의 전달은 전도에 의해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A와 B 사이의 열전달은 A와 B의 온도차에 비례한다. 따라서 A와 B의 온도차가 작아지면 열전달량도 작아지게 된다. 그림 (가)에서는 A와 B의 온도차가 100℃로 크기 때문에 Q0이 일정하게 유지되었지만, 그림 (나)에서는 온도차가 48℃로 작아졌기 때문에 Q1도 Q0보다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은 파장 λ인 단색광이 이중슬릿을 통과하여 스크린에 간섭 무늬를 만드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스크린 상의 점 O는 두 슬릿 S1과 S2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고, 점 P에는 O로부터 두 번째 어두운 무늬가 생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빛의 파장이 짧을수록 간섭 무늬의 간격이 넓어진다. (ㄱ)
    - 두 슬릿에서 나온 빛이 서로 상쇄되어 어두운 무늬가 생긴다. (ㄴ)
    - 두 슬릿 사이의 거리가 좁을수록 간섭 무늬의 간격이 넓어진다. (ㄷ)

    따라서, "ㄱ, ㄴ"이 모두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은 영희가 도플러 효과에 대해 정리한 내용이다.

(가)와 (나)에 들어갈 것으로 옳은 것은? (순서대로 가, 나)

(정답률: 알수없음)
  • 가) 빛의 파장이 짧아지면 주파수가 높아지므로 소리의 높낮이와 비슷한 개념으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에는 ""가 들어간다.

    나) 도플러 효과는 소리의 주파수가 변화하는 현상으로, 이는 소리의 발생원과 청취자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발생한다. 따라서 (나)에는 ""가 들어간다.

    ""이 정답인 이유는, 도플러 효과에서 소리의 주파수가 변화하는 것은 청취자와 소리의 발생원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 때, 청취자와 소리의 발생원이 서로 멀어질수록 소리의 주파수는 낮아지고, 가까워질수록 높아진다. 따라서 청취자와 소리의 발생원이 서로 멀어질수록 소리의 높낮이가 낮아지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 (가)와 같이 고정된 직사각형 도선의 일부가 시간에 따라 변하는 균일한 자기장 영역에 놓여 있다. 저항의 저항값은 0.01Ω이고 자기장 방향은 도선이 이루는 면에 수직으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그림 (나)는 자기장의 세기 B1, B2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저항에 흐르는 전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t=0일 때,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저항에 흐르는 전류는 0이다.
    - ㄴ. 자기장의 세기가 변하면 전류가 유도되어 저항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B1과 B2가 변할 때 저항에 흐르는 전류도 변한다.
    - ㄷ. 자기장의 방향이 변하지 않으므로 전류의 방향도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류의 방향은 그림과 같이 항상 시계방향이다.
    - ㄱ, ㄷ. 전류의 방향은 항상 시계방향이므로, B1과 B2가 모두 시계방향으로 변할 때 저항에 흐르는 전류는 최대가 된다. 반대로, B1과 B2가 모두 반시계방향으로 변할 때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 ㄱ, ㄴ, ㄷ. B1과 B2가 변할 때 저항에 흐르는 전류는 변하므로, 전류의 크기와 방향이 모두 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 (가)와 (나)는 xy평면에서 등속도 운동을 하던 물체 A와 B의 탄성 충돌 1초 전과 t0 후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A, B는 원점에서 충돌하며, 질량은 각각 mA와 mB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물체의 크기는 무시한다.)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ㄱ. 물체 A와 B는 탄성 충돌을 하기 때문에 운동 에너지가 보존되며, 충돌 전과 후의 운동량 벡터의 합은 일정하다. 따라서, 충돌 후 물체 A와 B의 운동량 벡터는 각각 (mA+mB)v와 (mA-mB)v/2이다.

    ㄴ. 충돌 후 물체 A와 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며, 충돌 후의 속도는 충돌 전의 속도와 반대 방향이다. 따라서, 물체 A와 B의 속도 벡터는 충돌 후에 각각 -v/2와 v/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림과 같이 높이 15m인 지점에서 공 A가 수평 방향에 대해 30°의 방향으로 속력 20m/s로 던져진다. A가 최고점에 도달하는 순간, 최고점 연직 아래에 정지해 있던 공 B가 수평 방향에 대해 30°의 방향으로 속력 v로 던져진다. A와 B는 포물선 운동을 하여 수평면 상의 점 P에 동시에 도달한다.

v는? (단, 중력 가속도는 10m/s2이고, 공의 크기는 무시한다.)

  1. 10m/s
  2. 10√3m/s
  3. 18m/s
  4. 20m/s
  5. 15√3m/s
(정답률: 알수없음)
  • 공 A의 최고점 도달 시간을 구해보자. 수직 방향으로의 초기 속도는 10m/s이다. 최고점에 도달할 때, 수직 방향으로의 속도는 0이므로, 최고점 도달 시간 t는 다음과 같다.

    v = u + at
    0 = 10 - 10t
    t = 1초

    따라서, 공 A는 1초 후 최고점에 도달한다. 이 때, 최고점의 높이는 15m이다.

    공 B는 공 A가 최고점에 도달하는 동안에만 비행하므로, 공 A의 비행 시간인 1초 동안 비행하면 된다. 수평 방향으로의 초기 속도는 vcos30° = v/2이다. 수직 방향으로의 초기 속도는 vsin30° = 5v/2이다. 따라서, 공 B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는 다음과 같다.

    d = vt = (v/2) × 1 = v/2

    공 A와 공 B가 동시에 도달하는 점 P까지의 수평 거리는 공 A와 공 B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의 합과 같다. 따라서,

    dP = dA + dB = 20 + v/2

    점 P에서 공 A와 공 B는 같은 높이에 있으므로, 공 B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는 15m이다. 따라서, 공 B의 초기 속도는 다음과 같다.

    v0 = √(2gh) = √(2×10×15) = 10√3

    따라서, v는 20m/s가 된다. 이유는 공 A와 공 B가 동시에 도달하는 점 P까지의 수평 거리가 20m이고, 공 B의 초기 속도가 10√3m/s이므로, 공 B가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2초이다. 따라서, 공 A와 공 B는 동시에 도달할 수 있으며, 그 때의 속도는 공 A의 초기 속도와 같은 20m/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그림과 같이 xy평면에서 질량이 같고 전하량이 각각 +q, -q인 입자 A, B가 0초일때 전기장 영역에 각각 속력 2v, v로 입사하였다. A, B는 전기장 영역에서 등가속도 직선 운동을 한 후, A는 자기장 영역에서 반지름 d인 원궤도를 따라 운동하여 시간 tA일 때 속력 v로 나왔고, B는 x축으로부터 거리 d인 점에서 자기장 영역에 입사한 후 원궤도를 따라 운동하여 시간 tB일 때 나왔다.

tB는? [3점]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은 xy평면에서 전류가 흐르는 무한히 가늘고 긴 직선 도선 P, Q, R와 점 a, b, c를 나타낸 것이다. P에는 +y방향으로 세기가 I0인 전류가 흐르고, Q, R에는 세기가 각각 IQ, IR인 전류가 흐른다. a에서의 자기장은 b에서의 자기장과 세기는 같고 방향이 반대이며 b와 c에서 자기장은 세기와 방향이 모두 같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a에서의 자기장은 b에서의 자기장과 세기는 같고 방향이 반대이다.
    → a와 b 사이에는 동일한 전류가 흐르고, 오른쪽으로 향하는 자기장을 만들어내므로 a에서의 자기장은 b에서의 자기장과 세기는 같고 방향이 반대이다.

    - ㄴ. Q와 R에서의 자기장은 P에서의 자기장과 같은 방향을 가진다.
    → 오른쪽으로 향하는 전류가 흐르는 P, Q, R에 의해 xy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자기장이 만들어지며, Q와 R에서의 자기장은 P에서의 자기장과 같은 방향을 가진다.

    - ㄷ. c에서의 자기장은 a와 b에서의 자기장의 합과 같은 방향을 가진다.
    → c에서의 자기장은 a와 b에서의 자기장이 만들어내는 자기장의 합과 같은 방향을 가진다. a와 b에서의 자기장은 서로 반대 방향이므로, c에서의 자기장은 Q와 R에서의 자기장보다는 약하게 오른쪽으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ㄷ"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