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국어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2-2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국어
(2019-02-23 기출문제)

목록

1. 음운의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소리의 강약이나 고저 등은 분절되지 않으므로 음운이라고 할 수 없다.
  2. 음운은 의미를 구별해 주는 최소의 단위이므로 최소대립쌍을 통해 한 언어의 음운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3. 음운은 몇 개의 변이음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실제로 들리는 소리가 다른 경우에도 하나의 음운으로 인정할수 있다.
  4. 음운은 실제적인 소리라기보다는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기호라고 보아야 한다.
(정답률: 52%)
  • 음운은 실제적인 소리라기보다는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기호라고 보아야 한다는 설명이 가장 옳지 않다. 음운은 실제적인 소리의 단위이며, 언어학적으로 분석 가능한 최소의 단위이다. 따라서 소리의 강약이나 고저 등이 분절되지 않아도 음운으로 인정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문장 중 어법에 가장 맞는 것은?

  1. 금융 당국은 내년 금리가 올해보다 더 오를 것으로 내다보면서 대출 이자율이 2% 이상 오를 것으로 예측하였다.
  2. 작성 내용의 정정 또는 신청인의 서명이 없는 서류는 무효입니다.
  3. 12월 중에 한-중 정상회담이 다시 한 번 열릴 것으로 보여집니다.
  4. 그의 목표는 세계 최고의 축구 선수가 되는 것이었고, 그래서 단 하루도 연습을 쉬지 않았다.
(정답률: 45%)
  • 금융 당국은 내년에 금리가 더 오를 것으로 예상하고, 이에 따라 대출 이자율도 2% 이상 오를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 문장은 주어와 동사가 명확하게 나누어져 있고, 문장 구조도 명확하게 구성되어 있어 어법에 가장 맞는 문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속담과 한자성어의 뜻이 가장 비슷한 것은?

  1. 이 없으면 잇몸으로 산다-순망치한(脣亡齒寒)
  2. 개똥도 약에 쓰려면 없다-하로동선(夏爐冬扇)
  3. 우물 안의 개구리-하충의빙(夏蟲疑氷)
  4. 굽은 나무가 선산을 지킨다-설중송백(雪中松柏)
(정답률: 41%)
  • 속담 "우물 안의 개구리"와 한자성어 "하충의빙"의 뜻이 가장 비슷한 이유는 둘 다 좁은 시야와 경험으로 인해 현재의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오해하거나 잘못 판단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우물 안의 개구리"는 우물 안에서만 살아보는 개구리가 세상의 다양한 경험과 지식을 알지 못하고 좁은 시야로 살아가는 것을 비유한 것이고, "하충의빙"은 여름에는 벌레가 살아있지만 겨울에는 얼어 죽는 것을 비유하여, 현재의 상황에 맞지 않는 행동이나 판단을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보기>는 복수 표준어에 대한 설명이다. 이에 따른 표기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가는허리 / 잔허리
  2. 고깃간 / 정육간
  3. 관계없다 / 상관없다
  4. 기세부리다 / 기세피우다
(정답률: 55%)
  • "고깃간 / 정육간"은 복수 표준어 중에서도 표준어로서 인정받고 있기 때문에 옳은 표기이다. 다른 보기들은 표준어와 비표준어, 또는 표준어와 표준어의 차이 등으로 인해 옳고 그름이 구분되는 경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보기>의 로마자 표기가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ㄷ, ㄹ
(정답률: 67%)
  • 이미지에서 보이는 글자들은 한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로마자로 표기할 때는 국제 표기법인 표준 로마자 표기법을 따릅니다. 이 표기법에서는 한글 자음과 모음의 발음을 가장 정확하게 표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미지에서 보이는 "ㄴ"과 "ㄹ"은 로마자로 각각 "n"과 "r"로 표기됩니다. 이는 한글 "ㄴ"과 "ㄹ"의 발음과 가장 유사한 로마자 표기법이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ㄱ"과 "ㄷ"은 로마자로 각각 "g"와 "d"로 표기됩니다. 이는 한글 "ㄱ"과 "ㄷ"의 발음과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표준 로마자 표기법에서는 이러한 표기법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ㄴ, 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보기>의 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황조가와 더불어 현존하는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서사시다.
  2. 한시와 함께 번역한 시가가 따로 전한다.
  3. ‘물’의 상징적 의미를 따라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4. 몇 번을 죽어도 충성의 마음이 변치 않음을 노래하고 있다.
(정답률: 46%)
  • 해당 시에서는 물이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시 전개가 물의 상징적 의미를 따라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보기>의 두 시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은 귀뚜라미를 뜻한다.
  2. ㈎, ㈏ 모두 임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하고 있다.
  3. ㉡은 울음소리가 돌아갈 귀(歸), 촉나라 촉(蜀), ‘귀촉 귀촉’으로 들려 귀촉도라고도 한다.
  4. ㈎, ㈏의 작가는 모두 미상이다.
(정답률: 58%)
  • ㈎, ㈏ 모두 임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하고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는 가을에 대한 노래이고, ㈏는 봄에 대한 노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밑줄 친 단어의 형태가 옳지 않은 것은?

  1. 멀리서 보기와 달리 산이 가팔라서 여러 번 쉬었다.
  2. 예산이 100만 원 이상 모잘라서 구입을 포기해야 했다.
  3. 영혼을 불살라서 이룬 깨달음이니 더욱 소중하다.
  4. 말이며 행동이 모두 올발라서 흠잡을 데 없는 사람이다.
(정답률: 62%)
  • "모잘라서"가 옳지 않은 형태입니다. 올바른 형태는 "모자라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한자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장(延長)’, ‘하산(下山)’은 ‘서술어+부사어’의 구조이다.
  2. ‘인간(人間)’, ‘한국인(韓國人)’의 ‘인’은 모두 어근이다.
  3. ‘우정(友情)’, ‘대문(大門)’의 구성 성분은 비자립적 어근과 단어이다.
  4. ‘시시각각(時時刻刻)’, ‘명명백백(明明白白)’은 고유어의 반복합성어 구성 방식과 다르다.
(정답률: 37%)
  • "‘시시각각(時時刻刻)’, ‘명명백백(明明白白)’은 고유어의 반복합성어 구성 방식과 다르다."가 옳지 않습니다.

    ‘시시각각(時時刻刻)’, ‘명명백백(明明白白)’은 고유어의 반복합성어 구성 방식에 따라 만들어진 단어입니다. 이러한 단어들은 한자어의 구성 방식과는 다르지만, 고유어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띄어쓰기가 가장 옳은 것은?

  1. 열 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의 속은 모른다.
  2. 데칸 고원은 인도 중부와 남부에 위치한 고원이다.
  3. 못 본 사이에 키가 전봇대 만큼 자랐구나!
  4. 이번 행사에서는 쓸모 있는 주머니만들기를 하였다.
(정답률: 50%)
  • "열 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의 속은 모른다."가 가장 옳은 띄어쓰기입니다. 이유는 "열 길"과 "물속"이 각각 명사이기 때문에 띄어쓰기가 필요하고, "한 길"과 "사람의 속"도 각각 명사이기 때문에 띄어쓰기가 필요합니다.

    최대한 간단명료하게 설명하면, 이 문장은 "물속에서는 여러 길을 알아도 사람의 마음속은 알 수 없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형태소의 개수가 가장 많은 것은?

  1. 떠내려갔다
  2. 따라 버렸다
  3. 빌어먹었다
  4. 여쭈어봤다
(정답률: 71%)
  • 정답은 "떠내려갔다"입니다. 이유는 "떠내려갔다"는 '떠나', '내려', '가'의 세 개의 형태소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각각 '따라', '버리', '었', '빌어먹', '었', '여쭈어', '보', '았' 등의 형태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불규칙 활용을 하는 용언이 아닌 것은?

  1. 묻다(問)
  2. 덥다(暑)
  3. 낫다(愈)
  4. 놀다(遊)
(정답률: 66%)
  • 놀다(遊)는 규칙 활용 동사이기 때문입니다. 불규칙 활용 동사는 어간이나 어미가 변하는데, 놀다(遊)는 어간과 어미가 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놀다(遊)는 불규칙 활용 동사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보기>의 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시인은 사육신의 한 명이다.
  2. 중의법을 사용하고 있다.
  3. 중국의 고사를 인용하고 있다.
  4. 단종의 죽음에 대한 복수를 다짐하고 있다.
(정답률: 61%)
  • "중의법을 사용하고 있다."는 시에 대한 설명과 관련이 없으므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시인은 사육신의 한 명으로, 중국의 고사를 인용하며, 단종의 죽음에 대한 복수를 다짐하고 있다는 내용은 시에 나타난 주요한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보기>의 시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임금에 대한 그리움을 함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2. 청각적 이미지를 활용하고 있다.
  3. 대구법을 사용하고 있다.
  4. 후렴구를 제외하면 전형적인 3장 6구의 시조 형식을 갖추고 있다.
(정답률: 52%)
  • 보기에서 "대구법을 사용하고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대구법은 한 시조의 첫머리와 끝머리의 단어가 같은 것을 말하는데, 이 시조는 대구법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시조의 내용에서는 "봄바람이 부는데 임금이 없어서 그리움이 느껴진다"는 내용이 담겨 있어 "임금에 대한 그리움을 함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는 설명이 옳습니다. 또한, 시조는 청각적 이미지를 활용하고 있으며, 후렴구를 제외하면 전형적인 3장 6구의 시조 형식을 갖추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보기>와 가장 관련이 없는 고사성어는?

  1. 招搖過市
  2. 不識泰山
  3. 麥秀之嘆
(정답률: 23%)
  • ""은 그림이고, 나머지 세 가지 고사성어는 모두 중요한 사람이나 사물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가장한 사람을 속이는 것과 관련이 있지만, "麥秀之嘆"은 농사꾼이 자신의 농사가 잘 안되어 한숨을 쉬는 것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다른 세 가지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어휘의 뜻풀이가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가멸차다: 재산이나 자원 따위가 매우 많고 풍족하다
  2. 상고 대: 나무나 풀에 내려 눈처럼 된 서리
  3. 안다미로: 다른 사람이 믿을 수 있도록 성실하게
  4. 톺아보다: 샅샅이 훑어 가며 살피다
(정답률: 36%)
  • 안다미로는 다른 사람이 믿을 수 있도록 성실하게 하는 것을 뜻하는데, 다른 보기들은 가멸차다는 재산이나 자원이 많은 것을, 상고 대는 나무나 풀에 내려 눈처럼 된 서리를, 톺아보다는 샅샅이 살피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안다미로가 가장 옳지 않은 뜻풀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보기>는 「훈민정음언해」의 한 부분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보기>는 한 문장이다.
  2. 밑줄 친 ‘시러’는 한자 ‘載’에 해당한다.
  3. 밑줄 친 ‘내’는 세종대왕이 자신을 가리키는 표현이다.
  4. ‘ㅏ’와 ‘ · ’는 발음이 같지만 단어들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했다.
(정답률: 69%)
  • 이 보기는 "훈민정음언해"의 일부분이며, 문장에서 "내"라는 단어가 나오는데 이는 세종대왕이 자신을 가리키는 표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보기>의 밑줄 친 시어 가운데 내적 연관성이 가장 적은 것은?

  1. 차고 슬픈 것
  2. 새까만 밤
  3. 물먹은 별
(정답률: 50%)
  • 내적 연관성이 가장 적은 것은 "늬"입니다. 다른 단어들은 모두 어두운, 슬픈, 혹은 밤과 관련된 단어이지만 "늬"는 그 어떤 연관성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새까만 밤"이 아닌 "늬"입니다. "새까만 밤"은 어두운 밤과 관련된 단어이기 때문에 다른 단어들과 내적 연관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보기>의 지문은 설명문의 일종이다. 두괄식 설명문으로 구성하고자 할 때 논리적 전개에 가장 부합하게 배열한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69%)
  • 보기의 지문은 물리학에서의 운동에 대한 설명이다. 따라서 논리적 전개를 위해서는 물리학에서의 운동에 대한 개념을 먼저 설명하고, 그 다음으로 운동의 종류와 각각의 특징을 설명하는 것이 가장 부합한다. 따라서 "㉡-㉠-㉢-㉣" 순서가 가장 적절하다. 먼저 개념적인 설명을 하고, 그 다음으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는 것이 논리적인 전개에 가장 부합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보기>의 설명에 활용된 방식과 가장 가까운 것은?

  1. 시는 서정시, 서사시, 극시로 나뉜다.
  2. 소는 식욕의 즐거움조차 냉대할 수 있는 지상 최대의 권태자다.
  3. 언어는 사고를 반영한다는 말이 있는데, 그 예로 무지개 색깔을 가리키는 7가지 단어에 의지하여 무지개 색깔도 7가지라 판단한다는 것을 들 수 있다.
  4. 곤충의 머리에는 겹눈과 홑눈, 더듬이 따위의 감각기관과 입이 있고, 가슴에는 2쌍의 날개와 3쌍의 다리가 있으며, 배에는 끝에 생식기와 꼬리털이 있다.
(정답률: 67%)
  • "언어는 사고를 반영한다는 말이 있는데, 그 예로 무지개 색깔을 가리키는 7가지 단어에 의지하여 무지개 색깔도 7가지라 판단한다는 것을 들 수 있다."는 언어가 인간의 사고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설명하는 것으로, "시는 서정시, 서사시, 극시로 나뉜다."와 같이 분류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설명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