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국어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0-06-1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국어
(2020-06-13 기출문제)

목록

1. <보기>에서 음의 첨가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ㄱ, ㄹ
  3. ㄴ, ㄷ
  4. ㄴ, ㄹ
(정답률: 69%)
  • 음의 첨가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것은 곧 전하가 전달되지 않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전하가 전달되는 경로가 끊어지거나 전하가 전달되는데 필요한 에너지가 충분하지 않아야 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음의 첨가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것은 전하가 전달되는 경로가 끊어지거나 전하가 전달되는데 필요한 에너지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입니다. 이를 고려해보면 "ㄱ, ㄹ"이 음의 첨가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표준 발음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풀꽃아[ 풀꼬다]
  2. 옷 한 벌[오탄벌]
  3. 넓둥글다[넙뚱글다]
  4. 늙습니다[늑씀니다]
(정답률: 71%)
  • 정답은 "풀꽃아[ 풀꼬다]"입니다. "풀꽃아"는 경상도 방언으로 "풀꼬다"라고 발음합니다. 하지만 표준 발음은 "풀꽃아[풀꼰아]"입니다. 따라서 "풀꽃아[ 풀꼬다]"가 가장 옳지 않은 발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보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향가 발생 이전의 고대시가이다.
  2. 환기, 명령, 가정의 어법을 지닌 주술적 노래이다.
  3. 음악, 시가, 무용이 모두 어우러진 종합 예술의 성격을 띠고 있다.
  4. 고조선 곽리자고의 아내 여옥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순수 서정시가이다.
(정답률: 65%)
  • "고조선 곽리자고의 아내 여옥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순수 서정시가이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는 옛날 시인인 여옥이 지은 시라는 것이 전해진 것이며, 이 시가 서정시인지 아닌지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밑줄 친 단위성 의존 명사의 수량이 적은 것부터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고등어 한 < 양말 한 < 바늘 한 < 북어 한
  2. 고등어 한 < 양말 한 < 북어 한 < 바늘 한
  3. 고등어 한 < 북어 한 < 양말 한 < 바늘 한
  4. 고등어 한 < 바늘 한 < 양말 한 < 북어 한
(정답률: 54%)
  • 단위성 의존 명사란 양을 나타내는 명사로, 수량을 나타내는 단위와 함께 쓰인다. 따라서 수량이 적은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하면 "고등어 한 손 < 양말 한 타 < 북어 한 쾌 < 바늘 한 쌈"이 된다. 이유는 "손"은 고등어 한 마리를 잡을 때 사용하는 단위이므로 수량이 가장 적다. "타"는 양말 한 켤레를 실을 때 사용하는 단위이며, "쾌"는 북어 한 마리를 뜯어낼 때 사용하는 단위이다. "쌈"은 바늘 한 개를 꽂을 때 사용하는 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보기>에 제시된 소설의 시대적 배경을 시간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ㄱ→ㄷ→ㄹ→ㄴ
  2. ㄱ→ㄹ→ㄷ→ㄴ
  3. ㄹ→ㄱ→ㄴ→ㄷ
  4. ㄹ→ㄴ→ㄱ→ㄷ
(정답률: 42%)
  • 정답은 "ㄹ→ㄱ→ㄴ→ㄷ"입니다.

    해당 소설의 시대적 배경은 일제강점기와 그 이후의 한국 전쟁 시기입니다. 따라서, 시간순으로 나열하면 "ㄹ→ㄱ→ㄴ→ㄷ"가 됩니다.

    ㄹ: 일제강점기 (1910년대-1945년)
    ㄱ: 광복 이후 (1945년-1950년)
    ㄴ: 한국 전쟁 (1950년-1953년)
    ㄷ: 한국 전쟁 이후 (1953년 이후)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보기>에서 설명한 문학 갈래에 해당하는 작품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한림별곡」
  2. 「월인천강지곡」
  3. 「상춘곡」
  4. 「도산십이곡」
(정답률: 37%)
  • "도산십이곡"은 조선시대 문학 중 하나로, 도산 안창호가 쓴 시집이다. 이 시집은 도산 안창호의 삶과 사상, 그리고 그가 겪은 사회적인 문제들을 담고 있으며, 그의 개인적인 경험과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도산십이곡"은 개인적인 경험과 감정을 중시하는 '자아성찰' 문학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보기>의 밑줄 친 부분과 문맥적 의미가 가장 가까운 것은?

  1. 그녀의 성격은 더할 수 없이 좋다.
  2. 서울 간 길에 한 번 뵈올 땐 혈색이 좋으셨는데?
  3. 다음 주 토요일은 결혼식을 하기에는 매우 좋은 날이다.
  4. 대화를 하는 그의 말투는 기분이 상쾌할 정도로 좋았다.
(정답률: 80%)
  • 서울 간 길에 한 번 뵈올 땐 혈색이 좋으셨는데?의 밑줄 친 부분과 문맥적 의미가 가장 가까운 것은 "건강하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보기>의 밑줄 친 ㉠~㉣ 중 나머지 셋과 성격이 다른 하나는?

(정답률: 78%)
  • 보기에서 ㉠, ㉢, ㉣은 모두 한자 숫자로 이루어져 있지만, ㉡은 한글 숫자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나머지 셋과 성격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밑줄 친 부분의 맞춤법이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남에게 존경 받는 사람이 돼라는 아버지의 유언
  2. 존경 받는 사람이 되었다.
  3. 남에게 존경 받는 사람이 돼라.
  4. 존경 받는 사람이 되고 있다.
(정답률: 73%)
  • "남에게 존경 받는 사람이 돼라는"이 옳지 않은 맞춤법입니다. "돼라"는 반말체이며, 존경을 받는 사람이 되라는 유언을 전하는 것에 적절하지 않습니다. 올바른 표현은 "존경 받는 사람이 되었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보기>의 주된 설명 방식이 사용된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교사의 자기계발, 학부모의 응원, 교육 당국의 지원 등이 어우러져야 좋은 교육이 가능해진다. 이는 신선한 재료, 적절한 조리법, 요리사의 정성이 합쳐져 맛있는 음식이 만들어지는 것과 같다.
  2. 의미를 지닌 부호를 체계적으로 배열한 것을 기호라고 한다. 수학, 신호등, 언어 등이 모두 여기에 속한다. 꿀이 있음을 알리는 벌들의 춤사위도 기호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3. 바이러스는 세균에 비해 크기가 작으며 핵과 이를 둘러싼 단백질이 전부여서 세포라고 할 수 없다. 먹이가 있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라도 증식할 수 있는 세균과 달리, 바이러스는 살아있는 생명체를 숙주로 삼아야만 번식을 할 수 있다.
  4. 나물로 즐겨 먹는 고사리는 꽃도 피지 않고 씨앗도 만들지 않는다. 고사리는 홀씨라고도 하는 포자로 번식한다. 고사리와 고비 등을 양치식물이라 하는데 생김새가 양(羊)의 이빨과 비슷하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다.
(정답률: 53%)
  • 바이러스의 특징을 설명하는 보기에서는 바이러스와 세균의 크기와 구성, 증식 방식의 차이를 비교하여 바이러스가 생명체를 숙주로 삼아야만 번식할 수 있다는 점을 간략하게 설명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보기>에서 설명한 소설의 시점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일인칭 주인공 시점
  2. 일인칭 관찰자 시점
  3. 전지적 작가 시점
  4. 작가 관찰자 시점
(정답률: 73%)
  • 보기에서는 "나는 그녀를 보고 있었다"라는 문장이 사용되어 있으며, 이는 일인칭 관찰자 시점을 나타냅니다. 일인칭 관찰자 시점은 이야기를 주인공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시점으로, 주인공이 직접 일어나는 일을 관찰하고 느끼며 이야기를 전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조선 시대 대표적 문사(文士) 송강 정철이 창작한 가사가 아닌 것은?

  1. 「속미인곡」
  2. 「면앙정가」
  3. 「관동별곡」
  4. 「사미인곡」
(정답률: 70%)
  • 송강 정철은 "속미인곡", "관동별곡", "사미인곡"을 창작하였지만, "면앙정가"는 그가 창작한 것이 아니라, 조선 후기 문인인 이이(李珥)가 창작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보기>의 ㉠~㉢에 들어갈 알맞은 낱말끼리 짝지은 것은?

  1. ㉠ 葛藤, ㉡ 現象, ㉢ 本質
  2. ㉠ 葛藤, ㉡ 假象, ㉢ 根本
  3. ㉠ 矛盾, ㉡ 現象, ㉢ 本質
  4. ㉠ 矛盾, ㉡ 假象, ㉢ 根本
(정답률: 48%)
  • 보기에서 ㉠은 "모순"을, ㉡은 "현상"을, ㉢은 "본질"을 나타내는데, 이는 사물이나 현상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개념들이기 때문입니다. 모순은 어떤 것이 서로 상반되는 두 가지 속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을 때 발생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질적인 원인을 파악해야 합니다. 현상은 우리가 바로 눈으로 볼 수 있는 것들을 말하며,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뒤에 숨겨진 본질을 파악해야 합니다. 따라서 ㉠은 ㉢의 원인이 되는 것이며, ㉡은 ㉢의 결과물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밑줄 친 부분의 문장 성분이 나머지 셋과 다른 하나는?

  1. 이 물건은 시장에서 사 왔다.
  2. 고마운 마음에서 드리는 말씀입니다.
  3. 이에서 어찌 더 나쁠 수가 있겠어요?
  4. 정부에서 실시한 조사 결과가 발표되었다.
(정답률: 44%)
  • "정부에서 실시한 조사 결과가 발표되었다."는 주어(subject)가 "정부"이고 동사(verb)가 "실시하다"인 문장이다. 나머지 셋은 모두 부사절(adverbial clause)을 포함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보기>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표준어 규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어원에서 멀어진 형태로 굳어져서 널리 쓰이는 것은, 그것을 표준어로 삼는다.
  2. 어원적으로 원형에 더 가까운 형태가 아직 쓰이고 있는 경우에는, 그것을 표준어로 삼는다.
  3. 모음의 발음 변화를 인정하여, 발음이 바뀌어 굳어진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4. 비슷한 발음의 몇 형태가 쓰일 경우, 그 의미에 아무런 차이가 없고, 그중 하나가 더 널리 쓰이면, 그 한 형태만을 표준어로 삼는다.
(정답률: 42%)
  • "어원에서 멀어진 형태로 굳어져서 널리 쓰이는 것은, 그것을 표준어로 삼는다."가 가장 옳은 것입니다. 이는 언어의 사용자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형태가 표준어로 인정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언어의 발전과 함께 사용 빈도가 높아지고 굳어져서 어원에서 멀어진 형태가 표준어로 삼겨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보기>의 ㉠에 들어갈 접속 부사로 가장 옳은 것은?

  1. 그런데
  2. 그리고
  3. 따라서
  4. 하지만
(정답률: 66%)
  • 주어진 문장에서 이전 문장에서 언급한 내용과 결과를 연결하여 설명하는 접속 부사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따라서"가 가장 적절한 접속 부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보기>에서 설명한 시의 표현방법이 적용된 시구로 가장 옳은 것은?

  1.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같이/ 풀 아래 웃음 짓는 샘물같이-김영랑,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같이」
  2.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김춘수, 「꽃」
  3. 산은 나무를 기르는 법으로 /벼랑에 오르지 못하는 법으로/ 사람을 다스린다-김광섭, 「산」
  4. 나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김소월, 「진달래꽃」
(정답률: 78%)
  • "나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김소월, 「진달래꽃」"이 가장 옳은 것이다. 이 시는 "나보기가"라는 주어를 중심으로 "역겨워", "가실 때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라는 술어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주어 + 술어"의 전형적인 시의 구성 방법이다. 또한, 이 시는 "진달래꽃"이라는 제목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시 전체의 분위기와 내용을 잘 나타내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유사한 의미로 사용할 수 있는 사자성어가 연결된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경국지색(傾國之色)-경중미인(鏡中美人)
  2. 지록위마(指鹿爲馬)-지란지화(芝蘭之化)
  3. 목불식정(目不識丁)-목불인견(目不忍見)
  4. 폐의파관(敝衣破冠) -폐포파립(敝袍破笠)
(정답률: 32%)
  • "폐의파관(敝衣破冠) -폐포파립(敝袍破笠)"이 유사한 의미로 사용할 수 있는 사자성어가 연결된 것입니다. 둘 다 옷이 낡아서 참상한 상태를 나타내며, 지위나 명성 등이 무너진 상태를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밑줄 친 서술어의 자릿수가 다른 하나는?

  1. 그림이 실물과 같다.
  2. 나는 학생이 아니다.
  3. 지호가 종을 울렸다.
  4. 길이 매우 넓다.
(정답률: 56%)
  • "길이 매우 넓다"는 수량적인 속성을 나타내는 서술어이기 때문에 다른 서술어와는 자릿수가 다릅니다. 다른 서술어는 주로 질적인 속성을 나타내는데, 이는 길이와는 다른 성질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보기> 중 「외래어 표기법」에 맞지 않는 단어의 개수는?

  1. 1개
  2. 2개
  3. 3개
  4. 4개
(정답률: 44%)
  • 보기에서 "컴퓨터"와 "키보드"는 모두 외래어 표기법에 맞게 표기되어 있지만, "마우스"는 "mouse"의 발음과 다르게 "마우스"로 표기되어 있어 외래어 표기법에 맞지 않는 단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