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국어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1-06-0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국어
(2021-06-05 기출문제)

목록

1. <보기>의 밑줄 친 말 중에서 맞춤법에 맞게 쓰인 것을 옳게 짝지은 것은?

  1. ㉠, ㉤
  2. ㉡, ㉥
  3. ㉢, ㉦
  4. ㉣, ㉧
(정답률: 47%)
  • ㉡은 "무엇이든지"라는 뜻의 "뭐든지"를 줄인 말인데, "뭐"와 "든지" 사이에 띄어쓰기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뭐든지"가 맞는 표기입니다. ㉥은 "어디든지"라는 뜻의 "어디"와 "든지"가 합쳐진 말인데, "어디"와 "든지" 사이에 띄어쓰기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어디든지"가 맞는 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밑줄 친 부분의 시제가 나머지 세 문장과 다른 것은?

  1. 세월이 많이 흐르긴 흘렀네, 너도 많이 늙었다.
  2. 너는 네 아버지 어릴 때를 꼭 닮았어.
  3. 그 사람은 작년에 부쩍 늙었어.
  4. 고생해서 그런지 많이 말랐네.
(정답률: 65%)
  • "그 사람은 작년에 부쩍 늙었어."는 과거 시제이고, 나머지 세 문장은 현재 시제이다.

    "그 사람은 작년에 부쩍 늙었어."는 작년에 일어난 일이므로 과거 시제이다. 나머지 세 문장은 현재 상황을 나타내므로 현재 시제이다.

    간단명료한 설명: "그 사람은 작년에 늙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어문 규범에 맞는 표기로만 이루어진 것은?

  1. 아버님께서는 동생의 철없는 행동을 들으시고는 대노(大怒)하셨다.
  2. 차림새만 봐서는 여자인지 남자인지 갈음이 되지 않는다.
  3. 새로 산 목거리가 옷과 잘 어울린다.
  4. 욜로 가면 지름길이 나온다.
(정답률: 31%)
  • "욜로 가면 지름길이 나온다."가 어문 규범에 맞는 표기로만 이루어진 것은 이유가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도 모두 어문 규범에 맞는 표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고사성어의 쓰임이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肝膽相照하던 벗이 떠나 마음이 쓸쓸하다.
  2. 두메 속에 사는 토박이 상놈들이 조 의정 집의 위력을 막을 수는 그야말로 螳螂拒轍이었다.
  3. 우리의 거사는 騎虎之勢의 형국이니 목적을 달성할 때까지 버티어야 한다.
  4. 부부의 연을 맺어 百年河淸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정답률: 32%)
  • 두메 속에 사는 토박이 상놈들이 조 의정 집의 위력을 막을 수는 그야말로 螳螂拒轍이었다.

    고사성어인 "螳螂拒轍(당랑거처)"는 강한 자가 약한 자를 막으려고 하는 모습을 비유한 것입니다. 하지만 이 문장에서는 토박이들이 상류층의 권력을 막으려는 모습을 비유하고 있어서 쓰임이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한글의 창제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중성자는 발음 기관의 상형을 통해 만들어졌다.
  2. 같은 조음 위치에 속하는 자음자들은 형태상 유사성을 지닌다.
  3. 중성자는 기본자를 조합하여 초출자와 재출자를 만들었다.
  4. 종성자는 따로 만들지 않았다.
(정답률: 41%)
  • "중성자는 발음 기관의 상형을 통해 만들어졌다."가 가장 옳지 않은 것이며, 이유는 중성자는 발음 기관의 상형이 아닌, 언어학적인 이론에 따라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중성자는 자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자음은 발음 기관의 상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보기>의 시에 대한 이해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기쁨으로 슬픔을 이겨내자는 주제를 전달하고 있다.
  2. 대결과 갈등이 아닌 화합과 조화를 통한 해결을 추구한다.
  3. 겉으로 보기에는 모순된 말이지만, 그 속에 진리를 담아 표현하였다.
  4. 현실 비판적이고 교훈적인 성격의 시이다.
(정답률: 62%)
  • 이 시는 "기쁨으로 슬픔을 이겨내자는 주제를 전달하고 있다."는 주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이 시는 대결과 갈등이 아닌 화합과 조화를 통한 해결을 추구한다는 주장을 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보기>의 외래어 표기가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ㄹ
  2. ㄴ, ㅁ, ㅂ
  3. ㄱ, ㄴ, ㄷ, ㅂ
  4. ㄴ, ㄷ, ㄹ, ㅁ
(정답률: 43%)
  •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ㄴ, ㅁ, ㅂ은 모음 앞에 올 때 'm', 자음 앞에 올 때 'n'으로 표기합니다. 따라서, "캐릭터", "컴퓨터", "프린터"는 각각 'karakteo', 'keompyuteo', 'peurinteo'로 발음되므로, ㄴ, ㅁ, ㅂ이 옳은 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보기>에서 중의성이 발생한 원인이 같은 것을 옳게 짝지은 것은?

  1. ㄱ, ㄴ
  2. ㄴ, ㄹ
  3. ㄷ, ㅁ
  4. ㄹ, ㅂ
(정답률: 77%)
  • 보기에서 중의성이 발생한 원인은 "ㄴ"과 "ㄹ"이 비슷하게 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ㄴ"과 "ㄹ"이 같은 것으로 짝지어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보기>의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은 예상보다 빠르게 닥쳐온 불행을 의미한다.
  2. ㉡은 친동기 관계라는 것을 의미한다.
  3. ㉢은 다른 향가 작품에서는 찾기 어려운 생생한 표현이다.
  4. ㉣은 불교적 세계관을 보여준다.
(정답률: 71%)
  • ㉢은 다른 향가 작품에서는 찾기 어려운 생생한 표현이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는 보기에서 주어진 정보와 일치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밑줄 친 단어의 사용이 옳지 않은 것은?

  1. 예산을 대충 걷잡아서 말하지 말고 잘 뽑아 보시오.
  2. 돌아가신 어머니의 모습이 방불하게 눈앞에 떠오른다.
  3. 정작 일을 서둘고 보니 당초의 예상과는 딴판으로 돈이 잘 걷히지 않았다.
  4. 여러분과 여러분 가정에 행운이 가득하기를 기원하는 것으로 치사를 갈음합니다.
(정답률: 49%)
  • "치사를 갈음합니다."는 틀린 표현입니다. "치사"는 죽음을 의미하는 말이기 때문에, 적절한 표현은 "치안"이나 "건강" 등 긍정적인 의미를 가진 단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여러분과 여러분 가정에 행운이 가득하기를 기원하는 것으로 치사를 갈음합니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보기>에서 ㈎, ㈏에 해당하는 예로 가장 옳은 것은?

  1. ㈎ (신을) 신기다, ㈏ 여덟도
  2. ㈎ (나이가) 젊지, ㈏ 핥다
  3. ㈎ (신을) 신기다, ㈏ 핥다
  4. ㈎ (나이가) 젊지, ㈏ 여덟도
(정답률: 63%)
  • ㈎은 "신을" 뜻하는 한자이고, ㈏은 "핥다" 뜻하는 한자입니다. 따라서, "㈎ (신을) 신기다, ㈏ 핥다"는 문맥상 맞지 않는 조합이며, "㈎ (나이가) 젊지, ㈏ 핥다"가 옳은 조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밑줄 친 의미가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1. 연이 바람을 타고 하늘로 올라간다.
  2. 부동산 경기를 타고 건축 붐이 일었다.
  3. 착한 일을 한 덕분에 방송을 타게 됐다.
  4. 그녀는 아버지의 음악적 소질을 타고 태어났다.
(정답률: 60%)
  • 정답은 "그녀는 아버지의 음악적 소질을 타고 태어났다."입니다. 나머지 셋은 모두 "타고"가 움직임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되었지만, 이 문장에서의 "타고"는 물려받은 소질이나 성질을 뜻하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즉, 그녀는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음악적 소질을 가지고 태어났다는 뜻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밑줄 친 부분의 문장 성분이 관형어가 아닌 것은?

  1. 아기가 옷을 입었다.
  2. 군인인 형이 휴가를 나왔다.
  3. 친구가 나에게 선물을 주었다.
  4. 소녀는 시골의 풍경을 좋아한다.
(정답률: 77%)
  • 정답: 나에게

    설명: 나에게는 전치사에 의해 나타나는 부사적 용법으로, 관형어가 아닙니다. 나머지 문장들은 모두 형용사나 명사를 수식하는 관형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밑줄 친 단어의 표기가 옳은 것은?

  1. 이 책은 머릿말부터 마음에 들었다.
  2. 복도에서 윗층에 사는 노부부를 만났다.
  3. 햇님이 방긋 웃는 듯하다.
  4. 북엇국으로 든든하게 아침을 먹었다.
(정답률: 55%)
  • 옳은 표기는 "북어국"입니다. 북어국은 북어를 사용하여 만든 국이며, 북어는 "북"과 "어"로 이루어진 단어입니다. 따라서 "북어국"이 옳은 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띄어쓰기가 옳지 않은 것은?

  1. 너야말로 칭찬받을 만하다.
  2. 그 사실을 말할 수밖에 없었다.
  3. 힘깨나 쓴다고 자랑하지 마라.
  4. 밥은 커녕 빵도 못 먹었다.
(정답률: 48%)
  • 정답: "밥은 커녕 빵도 못먹었다."

    이유: "밥은 커녕"은 "밥은 물론이고"라는 뜻으로, "빵도 못 먹었다"는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 두 구절 사이에는 띄어쓰기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의미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겨레’는 근대국어에서 ‘친족’을 뜻하였는데 오늘날에는 ‘민족’을 뜻하여 의미가 확대되었다.
  2. ‘얼굴’은 중세국어에서 ‘형체’를 뜻하였는데 오늘날에는 ‘안면’을 뜻하여 의미가 축소되었다.
  3. ‘어리다’는 중세국어에서 ‘어리석다’를 뜻하였는데 오늘날에는 ‘나이가 적다’를 뜻하여 의미가 상승하였다.
  4. ‘계집’은 중세국어에서 ‘여자’를 뜻하였는데 오늘날에는 ‘여자를 낮잡아 이르는 말’로 의미가 하락하였다.
(정답률: 62%)
  • "‘어리다’는 중세국어에서 ‘어리석다’를 뜻하였는데 오늘날에는 ‘나이가 적다’를 뜻하여 의미가 상승하였다." 이 설명은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밑줄 친 한자어를 쉬운 표현으로 바꾼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일부인을 찍은 접수증을 발급한다.
    → 날짜 도장을 찍은 접수증을 발급한다.
  2. 굴삭기에는 굴삭 시건장치를 갖춰야 한다.
    → 굴삭기에는 굴삭 멈춤장치를 갖춰야 한다.
  3. 소작농에게 농지를 불하하였다.
    → 소작농에게 농지를 매각하였다.
  4. 공무상 지득한 사실을 누설하였다.
    → 공무상 알게 된 사실을 누설하였다.
(정답률: 48%)
  • "일부인을 찍은 접수증을 발급한다. → 날짜 도장을 찍은 접수증을 발급한다."가 적절하지 않은 것입니다. "일부인"은 "일반인"을 뜻하는 말로, 이를 "날짜 도장"으로 바꾸면 원래 의도와 다른 뜻으로 해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보기>의 작품과 형식이 다른 것은?

  1. 「면앙정가」
  2. 「오우가」
  3. 「훈민가」
  4. 「도산십이곡」
(정답률: 19%)
  • 정답은 "「면앙정가」"입니다. 이유는 다른 작품들이 모두 국가나 노래 형식에 해당하는 반면, "「면앙정가」"는 소설의 제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보기>의 ㉠, ㉡에 들어갈 접속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은 조건, 이유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는 ‘순접’ 기능을 한다.
  2. ㉡은 대등한 자격으로 이어지는 ‘요약’ 기능을 한다.
  3. ㉠은 반대, 대립되는 내용을 나타내는 ‘역접’ 기능을 한다.
  4. ㉡은 다른 내용을 도입하는 ‘전환’ 기능을 한다.
(정답률: 49%)
  • ㉠은 "하지만"이나 "그러나"와 같이 반대되는 내용을 나타내는 연결어로, 역접의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그는 돈이 많지만 행복하지 않다"와 같이 돈이 많은 것과 행복하지 않은 것이 반대되는 내용이다. 따라서 "하지만"이나 "그러나"와 같은 접속어를 사용하여 이를 나타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보기>에서 ㈎~㈑를 문맥에 맞게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 → ㈐ → ㈑ → ㈎
  2. ㈏ → ㈐ → ㈎ → ㈑
  3. ㈑ → ㈎ → ㈐ → ㈏
  4. ㈑ → ㈎ → ㈏ → ㈐
(정답률: 70%)
  • 보기에서는 먼저 물건을 구매하고, 그 다음에 결제를 진행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에서는 물건을 선택하고, ㈎에서는 구매를 진행하고, ㈐에서는 결제를 선택하고, ㈏에서는 결제를 완료하는 순서로 나열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 → ㈎ → ㈐ →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