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국어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2-06-18)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국어
(2022-06-18 기출문제)

목록

1. <보기>의 빈칸에 들어칼 단어로 가장 옳은 것은?

  1. 경제(經濟)
  2. 번식(繁殖)
  3. 국방(國防)
  4. 교육(敎育)
(정답률: 알수없음)
  • 그림에서는 동물들이 번식하는 모습이 나타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식(繁殖)"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보기>의 밑줄 친 ㉠과 ㉡의 사례로 옳지 않게 짝지은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옳지 않게 짝지은 것은 ㉠과 ㉡이다.

    ㉠은 "통장의 비밀번호는 타인에게 알려주지 않는다"는 내용으로, 이는 보안과 관련된 중요한 내용이다. 따라서 이는 "중요한 내용"에 해당한다.

    반면에 ㉡은 "통장의 잔액은 언제나 확인한다"는 내용으로, 이는 중요한 내용은 아니지만 일상적으로 지켜야 할 내용이다. 따라서 이는 "일반적인 내용"에 해당한다.

    따라서, ㉠와 ㉡는 서로 다른 유형의 내용이므로 옳지 않게 짝지은 것이다.

    정답이 "③"인 이유는 해당 보기에서 모든 내용이 "중요한 내용"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보기>의 밑줄 친 부분의 사례로 옳지 않은 것은?

  1. 꼼꼼히
  2. 당당히
  3. 섭섭히
  4. 정확히
(정답률: 알수없음)
  • 섭섭히가 옳지 않은 것이다. "섭섭히"는 부정적인 감정을 나타내는 형용사이기 때문에, 이것이 옳은 단어인지 아닌지는 문맥에 따라 다르다. 하지만, 다른 보기들은 모두 명확하게 어떤 상태나 행동을 나타내는 형용사이기 때문에, 문맥에 상관없이 옳은 것이다. "정확히"는 정확한 상태나 행동을 나타내는 형용사이기 때문에, 문제에서 요구하는 답변과 일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보기>의 ㉠~㉣에 들어갈 사자성어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 - 자가당착
  2. ㉡ - 상전벽해
  3. ㉢ - 만시지탄
  4. ㉣ - 오리무중
(정답률: 알수없음)
  • 해당 이미지는 사자가 자신의 모습을 강렬하게 비추는 호수를 보고 자가당착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 - 자가당착이 가장 적절한 사자성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보기>의 작품에 대한 감상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반어적 어조로 현실을 풍자하였다.
  2. 명령과 반복의 기법을 통하여 주제를 분명하게 드러내었다.
  3. 우리 민족이 처한 현실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표현하였다.
  4. 민족의 통일에 대한 염원을 담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위의 작품에서는 "반어적 어조로 현실을 풍자하였다."라는 감상은 옳지 않습니다. 이 작품은 주로 명령과 반복의 기법을 사용하여 주제를 분명하게 드러내고, 우리 민족이 처한 현실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표현하며, 민족의 통일에 대한 염원을 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띄어쓰기가 가장 옳은 문장은?

  1. 예전에 가 본데가 어디쯤인지 모르겠다.
  2. 사람을 돕는데에 애 어른이 어디 있겠습니까?
  3. 이 그릇은 귀한 거라 손님을 대접하는데나 쓴다.
  4. 저분이 그럴 분이 아니신데 큰 실수를 하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저분이 그럴 분이 아니신데 큰 실수를 하셨다.

    이유: "그럴 분이 아니신데"는 "그럴 분이 아니시다면서"라는 뜻으로, "아니신데"는 "아니시다면서"와 같은 표현입니다. 따라서 "그럴 분이 아니신데"는 "그럴 분이 아니시다면서"와 같은 뜻으로, "아니시다면서 큰 실수를 하셨다"라는 의미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보기>의 설명에 해당하는 속담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서 발 막대 거칠 것 없다
  2. 무른 땅에 말뚝 박기
  3. 금강산 그늘이 관동 팔십 리
  4. 우물에 가 숭늉 찾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금강산 그늘이 관동 팔십 리"는 먼 곳에서도 그 가치가 유명하다는 뜻으로, 금강산의 그늘이 떨어지는 곳인 관동 지방에서도 그 가치가 알려져 있다는 의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음운규칙 중 동화의 예로 옳지 않은 것은?

  1. 권력(權力) → [궐력]
  2. 래일(來日) → [내일]
  3. 돕는다 → [돔는다]
  4. 미닫이 → [미다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래일(來日) → [내일]"입니다. 이는 단순히 발음의 변화가 아니라 다른 단어로 대체되었기 때문입니다. "래일"은 "내일"과 다른 의미를 가지는 단어이기 때문에 이는 음운규칙이 아닌 단어 대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보기>의 ㉠~㉣ 중 조사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것은?

  1. ㉠ - 기픈
  2. ㉡ - 므른
  3. ㉢ - ᄀᆞᄆᆞ래
  4. ㉣ - 내히
(정답률: 알수없음)
  • ㉠ - 기픈은 조사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유일한 것이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은"이나 "-이"와 같은 조사를 포함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표준 발음법에 따라 옳지 않은 것은?

  1. 금융[금늉/그뮹]
  2. 샛길[새ː낄/샏ː낄]
  3. 나뭇잎[나묻닙/나문닙]
  4. 이죽이죽[이중니죽/이주기죽]
(정답률: 알수없음)
  • 나뭇잎[나묻닙/나문닙]이 옳지 않은 것은 "ㅂ"과 "ㄴ" 사이에 올바른 발음 규칙이 적용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ㅂ"과 "ㄴ"은 모음 앞에서 각각 "ㅁ"과 "ㄴ"으로 발음되어야 하지만, 이 경우에는 "ㅂ"과 "ㄴ"이 모두 자음으로 취급되어 "나묻닙" 또는 "나문닙"으로 발음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보기>의 작품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1936년에 발표한 작가 이상의 대표작이다.
  2. ( ) 안에 들어갈 공통 단어는 '날개'이다.
  3. 모더니즘 계열의 소설이다.
  4. 결혼을 앞둔 남녀관계를 다루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 ) 안에 들어갈 공통 단어는 '날개'이다."는 작품 설명과 관련이 없으므로 옳지 않은 것이다. 정답은 "결혼을 앞둔 남녀관계를 다루고 있다." 이유는 작품의 내용이 결혼을 앞둔 남녀의 사랑과 이별을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외래어 표기법의 기본 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외래어는 국어의 현용 24자모만으로 적는다.
  2. 외래어의 1음운은 원칙적으로 1기호로 적는다.
  3. 받침에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만을 적는다.
  4.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받침에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만을 적는 것은 옳지 않은 원칙이다. 외래어의 발음에 따라 받침이 있는 경우에는 받침을 적어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스포츠'는 '스포츠'로 적는 것이 아니라 '스포츠'로 적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보기>의 ㉠~㉣ 중 이 글의 주제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 인터넷 뱅킹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

    이 글의 주제는 인터넷 뱅킹 서비스에 대한 설명이므로, ㉠가 가장 적절한 주제문이 됩니다. ㉡는 인터넷 뱅킹의 장단점을 비교하는 내용이고, ㉢는 인터넷 뱅킹의 보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은 인터넷 뱅킹의 역사와 발전 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보기> 작품의 전체 맥락을 고려할 때 ㉠에 들어갈 구절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숲은 푸르다
  2. 숲은 출렁거린다
  3. 바다는 조용하다
  4. 바다는 깊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작품의 전체 맥락을 고려할 때, "숲은 출렁거린다"가 가장 적절하다. 이는 작품에서 자연의 움직임과 변화를 나타내며, 숲이 살아있고 활기찬 모습을 보여준다는 의미이다. "숲은 푸르다"는 숲의 색상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작품의 전체 맥락과는 관련이 적다. "바다는 조용하다"와 "바다는 깊다"는 바다의 특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숲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밑줄 친 단어의 성격이 다른 것은?

  1. 갖은 양념
  2. 이런 사람
  3. 외딴
(정답률: 알수없음)
  • "이런 사람"은 다른 단어들과 달리 주관적인 평가나 감정을 나타내는 형용사이다. 즉, 이 단어는 그 사람에 대한 긍정적인 또는 부정적인 평가를 내포하고 있다. 반면, 다른 단어들은 객관적인 속성을 나타내는 형용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보기>를 원은 독자가 가질 수 있는 의문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물'의 'ㄹ'이 '지개'의 'ㅈ' 앞에서 탈락한 것이라면, 탈락의 조건은 무엇일까?
  2. '지개'가 '지게'에서 온 말이라면, 'ㅔ'와 'ㅐ'의 차이는 어떻게 설명할까?
  3. '무지개'가 '물'과 '지게'가 합쳐져 변화한 말이라면, 변화한 때는 언제일까?
  4. '무지개가 뜨다', '무지개가 걸리다'는 표현은 적절한 표현일까?
(정답률: 알수없음)
  • "'지개'가 '지게'에서 온 말이라면, 'ㅔ'와 'ㅐ'의 차이는 어떻게 설명할까?"가 가장 적절하지 않은 의문입니다. 이유는 이미 '지게'와 '지개'의 차이를 설명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표준어 규정에 맞지 않는 단어로만 짝지은 것은?

  1. 숫양 - 숫기와
  2. 숫병아리 - 숫당나귀
  3. 수퇘지 - 숫은행나무
  4. 수캉아지 - 수탉
(정답률: 알수없음)
  • "숫병아리 - 숫당나귀"는 표준어 규정에 맞지 않는 단어로, "숫"과 "아리"는 각각 수컷과 새끼를 뜻하는 말이지만, "숫당나귀"는 수컷 당나귀를 뜻하는 말이므로 서로 관련이 없는 단어끼리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보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시어머니와 며느리의 대화로 작품이 전개되고 있다.
  2. 동일한 시어의 반복을 통해 리듬감을 형성하고 있다.
  3. 인간의 범상한 욕구를 조명하여 희극적 묘미를 드러내고 있다.
  4. 아랫사람의 잘못으로 인해 인물들의 갈등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동일한 시어의 반복을 통해 리듬감을 형성하고 있다." 이다. 이유는 시어의 반복은 작품의 전개나 인물 갈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밑줄 친 '당신' 중에서 인칭이 다른 것은?

  1. 할아버지께서는 생전에 당신의 장서를 소중히 다루셨다.
  2. 당신에게 좋은 남편이 되도록 노력하겠소.
  3. 당신의 희생을 잊지 않겠습니다.
  4. 이 일을 한 사람이 당신입니까?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 일을 한 사람이 당신입니까?"이다. 이유는 나머지 문장들에서 '당신'은 2인칭 인칭대명사로 사용되었지만, "이 일을 한 사람이 당신입니까?"에서는 '당신'이 3인칭 대명사로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보기>의 (가)와 (나)의 공통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것은?

  1. 자연 속에서 한가롭게 지내는 삶을 표현하였다.
  2. 배를 타고 낚시를 즐기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3. 동일한 문학 장르의 정형시 작품들이다.
  4. 임금의 은혜를 생각하는 마음이 표현되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연 속에서 한가롭게 지내는 삶을 표현하였다.", "배를 타고 낚시를 즐기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동일한 문학 장르의 정형시 작품들이다."는 모두 보기의 (가)와 (나)의 공통점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옳지 않다. 따라서, "임금의 은혜를 생각하는 마음이 표현되어 있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