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자동차구조원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1-06-0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자동차구조원리
(2021-06-05 기출문제)

목록

1. CVVT시스템의 주요 부품으로 ECU의 제어에 따라 CVVT로 공급되는 오일의 통로를 제어하여 밸브 개폐시기를 조절하는 것은?

  1. OCV(Oil Control Valve)
  2. SCV(Swirl Control Valve)
  3. OTS(Oil Temperature Sensor)
  4. OHV(Over Head Valve)
(정답률: 80%)
  • CVVT 시스템에서 오일의 유동을 제어하여 밸브 개폐시기를 조절하는 주요 부품은 OCV(Oil Control Valve)입니다. OCV는 ECU의 제어에 따라 CVVT로 공급되는 오일의 유동을 제어하여 밸브 개폐시기를 조절합니다. 따라서 OCV는 CVVT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 중 하나입니다. SCV(Swirl Control Valve)는 연료-공기 혼합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부품이며, OTS(Oil Temperature Sensor)는 오일의 온도를 측정하여 ECU에 전달하는 부품입니다. OHV(Over Head Valve)는 엔진의 밸브 구조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쿨롱의 법칙(Coulomb’s Law)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전기력과 자기력에 관한 법칙이다.
  2. 2개의 자극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거리의 제곱에 비례하고 두 자극의 곱에는 반비례한다.
  3. 2개의 대전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고 대전체가 가지고 있는 전하량의 곱에는 비례한다.
  4. 두 자극의 거리가 가까우면 자극의 세기는 강해지고 거리가 멀면 자극의 세기는 약해진다.
(정답률: 56%)
  • 쿨롱의 법칙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2개의 대전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고 대전체가 가지고 있는 전하량의 곱에는 비례한다."입니다. 실제로는 대전체가 아닌 자극 사이에 작용하는 법칙이기 때문입니다.

    2개의 자극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거리의 제곱에 비례하고 두 자극의 곱에는 반비례하는 이유는 전하가 서로 가까이 있을수록 전자의 밀도가 높아져서 전자들끼리 서로 밀집하게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자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전하가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 전자의 밀도가 낮아져서 상호작용이 약해지게 됩니다. 또한 두 전하의 크기가 클수록 상호작용이 강해지게 되고, 작을수록 상호작용이 약해지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거리의 제곱에 비례하고 두 자극의 곱에는 반비례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차축식 현가방식과 비교하였을 때 독립식 현가방식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스프링 아래질량의 경감으로 차륜의 접지성이 향상된다.
  2. 전륜에서 좌우륜의 독립작용, 스티어링 링크의 간섭 감소 등에 의해 시미발생이 어렵다.
  3. 일반적으로 차륜의 위치결정과 현가스프링이 분리되어 시미의 위험이 적으므로 유연한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승차감이 향상된다.
  4. 차륜의 상하진동에 의한 얼라이먼트 변화가 적으며 타이어의 마모가 적다.
(정답률: 47%)
  • 독립식 현가방식의 장점 중 "차륜의 상하진동에 의한 얼라이먼트 변화가 적으며 타이어의 마모가 적다."는 차축식 현가방식과도 공통적인 장점이므로, 이는 독립식 현가방식의 특징이 아니라 일반적인 현가방식의 장점이다. 따라서 정답은 "없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하이브리드 모터 시동 금지 조건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고전압 배터리 온도가 약 -10℃ 이하인 경우
  2. 고전압 배터리 온도가 약 45℃ 이상인 경우
  3. ECU/MCU/BMS/HCU의 고장이 감지된 경우
  4.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량이 35% 이하인 경우
(정답률: 73%)
  •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량이 35% 이하인 경우는 하이브리드 모터 시동 금지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충전량이 35% 이하인 경우에도 모터를 구동할 충분한 전력이 충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조건은 모터를 구동하는 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자동변속기에 사용되는 유성기어에서 캐리어를 고정하고, 선기어를 회전시킬 때 링기어가 하는 동작은?

  1. 정회전 감속
  2. 정회전 증속
  3. 역회전 감속
  4. 역회전 증속
(정답률: 66%)
  • 링기어는 유성기어와 선기어 사이에 위치하며, 유성기어와 함께 회전하면서 선기어의 회전 방향을 바꿔줍니다. 이때 링기어의 회전 방향이 선기어와 반대 방향이면 역회전 감속이 일어나게 됩니다. 즉, 선기어의 회전 속도가 줄어들면서 역회전으로 바뀌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역회전 감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디젤 엔진의 연소 과정 중 <보기> B-C에 해당하는 구간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화염 전파기간(급격 연소기간)
  2. 직접 연소기간(제어 연소기간)
  3. 착화 지연기간(연소 준비기간)
  4. 후 연소기간
(정답률: 66%)
  • 화염 전파기간(급격 연소기간)은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어 화염이 발생하고, 화염이 빠르게 확산되는 구간입니다. 이 구간에서는 연소가 가장 강하게 일어나며, 엔진의 출력이 가장 높아집니다. 따라서 B-C 구간은 화염 전파기간(급격 연소기간)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자동차 연소실의 구비조건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엔진출력을 높일 수 있는 구조일 것
  2. 압축 초 행정에서 강한 와류를 일으키도록 할 것
  3. 가열되기 쉬운 돌출부가 없을 것
  4. 노킹을 일으키지 않는 형상일 것
(정답률: 80%)
  • "압축 초 행정에서 강한 와류를 일으키도록 할 것"은 옳은 조건입니다. 이는 연소 공기와 연료를 빠르게 혼합시켜 연소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 조건이 가장 옳지 않은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자동차 배터리(battery)와 관련된 용어가 아닌 것은?

  1. RC(Reserve Capacity)
  2. CCA(Cold Cranking Ampere)
  3. AGM(Absorbent Glass Mat)
  4. PWM(Pulse Width Modulation)
(정답률: 54%)
  • PWM(Pulse Width Modulation)은 자동차 배터리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전기 제어 기술입니다. PWM은 전기 신호를 제어하여 디지털 신호를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주로 전자기기나 로봇 등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자동차 타이어에서 자동차 휠의 림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공기압을 유지토록 하는 부분은?

  1. 트레드(tread)
  2. 브레이커(breaker)
  3. 카커스(carcass)
  4. 비드(bead)
(정답률: 60%)
  • 비드는 타이어의 내부 구조물 중 하나로, 타이어와 휠의 림을 연결하는 부분입니다. 비드는 강철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타이어의 공기압을 유지하고 타이어가 휠에 고정되도록 합니다. 따라서 비드가 없으면 타이어가 휠에서 떨어질 수 있으므로, 비드는 매우 중요한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캠축에서 캠의 구성 중 밸브가 열려서 닫힐 때까지의 거리를 뜻하는 용어는?

  1. 로브(lobe)
  2. 양정(lift)
  3. 노즈(nose)
  4. 플랭크(flank)
(정답률: 52%)
  • 로브(lobe)는 캠의 구성 중 밸브가 열려서 닫힐 때까지의 거리를 뜻하는 용어입니다. 캠은 회전하는 축에 따라서 밸브를 열고 닫는 역할을 하는데, 이때 캠의 형태에 따라 밸브가 열리는 거리와 시간이 결정됩니다. 로브는 캠의 형태 중 밸브가 열리는 부분을 뜻하며, 이 부분이 길수록 밸브가 더 많이 열리게 됩니다. 따라서 로브가 크면 엔진의 성능이 좋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보기>는 「도로교통법 시행령」의 출석지시불이행자의 처리에 대한 내용이다.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3일
  2. 7일
  3. 10일
  4. 15일
(정답률: 57%)
  • 출석지시불이행자는 출석지시를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이에 응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도로교통법」상 위반 사례 중 과태료 금액이 가장 높은 것은?

  1. 제한속도보다 20km/h를 초과하여 위반한 승용자동차
  2. 고속도로에서 갓길로 통행하여 법을 위반한 승용자동차
  3. 창유리의 가시광선 투과율 기준을 위반한 차의 운전자에 부과하는 과태료
  4. 교차로에서 우회전 통행방법을 위반한 승용자동차
(정답률: 66%)
  • "고속도로에서 갓길로 통행하여 법을 위반한 승용자동차"가 가장 높은 과태료 금액을 부과받는 이유는, 고속도로에서 갓길로 통행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행동이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교통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에 따라 법에서는 이를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위반한 경우, 가장 높은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도로교통법 시행령」상 자동차운전학원의 교육생 1명에 대한 교육시간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학과교육의 경우에는 1일 8시간을 초과하지 아니할 것
  2. 학과교육의 경우에는 1일 9시간을 초과하지 아니할 것
  3. 기능교육 및 도로주행교육의 경우에는 1일 4시간을 초과하지 아니할 것
  4. 기능교육 및 도로주행교육의 경우에는 1일 6시간을 초과하지 아니할 것
(정답률: 62%)
  • 정답은 "기능교육 및 도로주행교육의 경우에는 1일 4시간을 초과하지 아니할 것"입니다. 이유는 교육생들이 긴 시간 동안 운전에 집중하다가 피로해지면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교육생의 안전을 위해 교육시간을 4시간으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도로교통법 시행령」에서 규정한 긴급자동차가 아닌 것은?

  1. 혈액 공급차량
  2. 국내외 요인에 대한 경호업무 수행에 공무로 사용되는 자동차
  3. 전파감시업무에 사용되는 자동차
  4. 경찰용 자동차 중 범죄수사 업무 수행에 사용되는 자동차
(정답률: 42%)
  • 혈액 공급차량은 도로교통법 시행령에서 규정한 긴급자동차가 아닙니다. 이는 혈액 공급차량이 응급상황에서 직접 환자를 구조하거나 이송하는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대신 혈액 공급차량은 혈액을 수급하는 의료기관과 혈액원 사이에서 혈액을 운송하는 역할을 하며, 이는 긴급성이 높지 않은 업무입니다. 따라서 혈액 공급차량은 긴급자동차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보기>는 「도로교통법 시행규칙」제15조(차로의 설치)에 대한 내용이다. ㈎와 ㈏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 2, ㈏ 175
  2. ㈎ 3, ㈏ 275
  3. ㈎ 4, ㈏ 375
  4. ㈎ 5, ㈏ 475
(정답률: 61%)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차로의 폭과 차선의 개수에 따른 표시 요령이다. ㈎에서는 차로 폭이 3.5m 이상인 경우에는 차선을 2개 이상으로 나누어야 한다는 내용이다. ㈏에서는 차로 폭이 3.5m 이상이면서 차선이 3개 이상인 경우에는 중앙선을 표시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따라서 정답은 "㈎ 3, ㈏ 27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보기>는 「도로교통법」상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정의이다. ㈎와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 시속 20킬로미터 이상, ㈏ 30킬로그램 이하
  2. ㈎ 시속 25킬로미터 이상, ㈏ 30킬로그램 미만
  3. ㈎ 시속 20킬로미터 이상, ㈏ 35킬로그램 이하
  4. ㈎ 시속 25킬로미터 이상, ㈏ 35킬로그램 미만
(정답률: 68%)
  • ㈎의 경우 시속 25킬로미터 이상으로 설정된 이유는, 이동속도가 빠를수록 보행자나 자전거 등 다른 교통수단과의 충돌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동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는 보행자나 자전거와의 충돌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규제가 필요합니다. ㈏의 경우 30킬로그램 미만으로 설정된 이유는, 무게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는 보행자나 자전거와의 충돌 시 상대방에게 큰 피해를 입힐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무게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는 규제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도로교통법」상 승차 또는 적재의 방법과 제한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차 또는 노면전차의 운전자는 운전 중 타고 있는 사람 또는 타고 내리는 사람이 떨어지지 아니하도록 하기 위하여 문을 정확히 여닫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2. 모든 차의 운전자는 운전 중 실은 화물이 떨어지지 아니하도록 덮개를 씌우거나 묶는 등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3. 모든 차의 운전자는 영유아나 동물을 안고 운전 장치를 조작하거나 운전석 주위에 물건을 싣는 등 안전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는 상태로 운전하여서는 아니 된다.
  4. 모든 차의 운전자는 승차 인원, 적재중량 및 적재용량에 관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운행상의 안전기준을 넘어서 승차시키거나 적재한 상태로 운전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출발지를 관할하는 시장의 허가를 받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정답률: 75%)
  • 모든 차의 운전자는 승차 인원, 적재중량 및 적재용량에 관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운행상의 안전기준을 넘어서 승차시키거나 적재한 상태로 운전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출발지를 관할하는 시장의 허가를 받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이것은 모든 차량이 안전하게 운행되기 위한 규정으로, 운전자는 승차 인원, 적재중량 및 적재용량에 대한 제한을 준수해야 합니다. 다만, 출발지를 관할하는 시장의 허가를 받은 경우에는 이러한 제한을 넘어서 운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도로교통법 시행규칙」상 신호등의 성능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등화의 밝기는 낮에 150미터 앞쪽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할 것
  2. 등화의 빛의 발산각도는 사방으로 각각 45도 이상으로 할 것
  3. 보행자에게 남은 시간을 알려주는 장치를 설치할 것
  4. 태양광선이나 주위의 다른 빛에 의하여 그 표시가 방해받지 아니하도록 할 것
(정답률: 67%)
  • "보행자에게 남은 시간을 알려주는 장치를 설치할 것"이 가장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신호등이 아닌 보행신호등에 해당하는 내용입니다. 신호등은 차량의 운전자에게 신호를 제공하는 것이 주된 역할이므로 보행자에게 남은 시간을 알려주는 기능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도로교통법」상 차량 운행 시 통행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차(긴급자동차는 제외한다)의 운전자는 뒤에서 따라오는 차보다 느린 속도로 가려는 경우에는 도로의 우측 가장자리로 피하여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 다만, 통행 구분이 설치된 도로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2. 모든 차의 운전자는 다른 차를 앞지르려면 앞차의 좌측으로 통행하여야 한다.
  3. 비탈진 좁은 도로에서 긴급자동차 외의 자동차가 서로 마주보고 진행하는 경우에는 내려가는 자동차가 우측 가장자리로 피하여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
  4. 모든 차의 운전자는 앞차의 좌측에 다른 차가 앞차와 나란히 가고 있는 경우 앞지르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정답률: 65%)
  • 정답: "모든 차의 운전자는 앞차의 좌측에 다른 차가 앞차와 나란히 가고 있는 경우 앞지르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해설: 도로교통법에 따르면, 모든 차의 운전자는 뒤에서 따라오는 차보다 느린 속도로 가려는 경우에는 우측 가장자리로 피하여 진로를 양보해야 합니다. 다만, 통행 구분이 설치된 도로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않습니다. 또한, 비탈진 좁은 도로에서 긴급자동차 외의 자동차가 서로 마주보고 진행하는 경우에는 내려가는 자동차가 우측 가장자리로 피하여 진로를 양보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도로교통법 시행규칙」상 자동차의 운전자는 밤에 고장이나 그 밖의 사유로 고속도로에서 자동차를 운행할 수 없게 되었을 때에 식별할 수 있는 적색의 섬광 신호 ㆍ 전기제등 또는 불꽃신호 표지를 설치하여야 한다. 해당 표지를 설치해야 하는 지점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사방 700미터 지점
  2. 사방 500미터 지점
  3. 사방 300미터 지점
  4. 사방 100미터 지점
(정답률: 60%)
  • 운전자가 고속도로에서 자동차를 운행할 수 없게 되었을 때, 다른 차량들이 운전자의 차량을 미리 인지할 수 있도록 적색의 섬광 신호, 전기제등 또는 불꽃신호 표지를 설치해야 합니다. 이때, 해당 표지를 설치해야 하는 지점은 사방 500미터 지점입니다. 이유는 고속도로에서는 차량들이 빠르게 이동하기 때문에, 충분한 거리에서 운전자의 차량을 인지할 수 있도록 사방 500미터 지점에 표지를 설치해야 합니다. 사방 700미터 지점은 너무 멀어서 인지하기 어렵고, 사방 100미터 지점은 너무 가까워서 늦게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사방 500미터 지점이 가장 적절한 설치 지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