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6-1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적측량
(2019-06-15 기출문제)

목록

1. <보기>에서 설명하는 지적삼각망구성에 해당하는 것은?

  1. 삼각쇄
  2. 사각망
  3. 삽입망
  4. 삼각망
(정답률: 52%)
  • 보기에서 설명하는 지적삼각망구성은 삼각망입니다. 이는 세 개의 노드가 삼각형 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구성으로, 각 노드가 서로 연결되어 있어 데이터 전송이 빠르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집니다. 또한, 한 노드의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노드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경위의측량으로 세부측량을 한 경우 실측거리가 100m일 때 경계점 간 실측거리와 경계점 좌표로 계산한 거리의 교차는 몇 cm 이내여야 하는가?

  1. 3cm 이내
  2. 10cm 이내
  3. 13cm 이내
  4. 15cm 이내
(정답률: 74%)
  • 경위의 측량으로 세부측량을 한 경우, 경계점 간 실측거리와 경계점 좌표로 계산한 거리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는 측정 도구의 정확도와 측정자의 기술 수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실측거리와 계산한 거리의 차이"입니다. 이 차이가 작을수록 측정의 정확도가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실측거리가 100m일 때, 13cm 이내의 오차는 약 0.13%의 정확도를 의미합니다. 이는 대부분의 측량 작업에서 허용되는 오차 범위 내에 해당하며, 따라서 정답은 "13cm 이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지적삼각보조점성과표 및 지적도근점성과표에 기록·관리해야 할 사항끼리 묶은 것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좌표, 직각좌표계 원점명
  2. 도선등급, 도선명
  3. 번호, 위치 약도
  4. 자오선수차, 표고
(정답률: 79%)
  • 자오선수차와 표고는 지적삼각보조점성과표와 관련된 사항이 아니라 지적도근점성과표와 관련된 사항입니다. 따라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자오선수차, 표고"입니다.

    - 자오선수차: 지적도근점성과표에서는 도선과 실제 지형과의 차이를 나타내는 자오선수차를 기록합니다.
    - 표고: 지적도근점성과표에서는 지형의 고저를 나타내는 표고를 기록합니다.

    반면에 지적삼각보조점성과표에서는 좌표, 직각좌표계 원점명, 도선등급, 도선명, 번호, 위치 약도 등의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지적업무처리규정」상 전자평판측량을 이용한 지적측량 결과도의 작성 시 측정점의 표시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측량자는 검은색 짧은 십자선(+), 검사자는 삼각형 (△)으로 표시한다.
  2. 측량자는 검은색 삼각형(△), 검사자는 짧은 십자선 (+)으로 표시한다.
  3. 측량자는 붉은색 짧은 십자선(+), 검사자는 삼각형 (△)으로 표시한다.
  4. 측량자는 붉은색 삼각형(△), 검사자는 짧은 십자선 (+)으로 표시한다.
(정답률: 73%)
  • 측량자와 검사자가 서로 다른 기호를 사용하여 표시함으로써, 측량자와 검사자의 업무 분리와 결과물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붉은색과 검은색 중 붉은색을 선택한 이유는 측량자와 검사자가 구분하기 쉽고, 측량 결과도에서 측정점의 위치를 더욱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GNSS에 의한 지적측량규정」상 GNSS 관측에 따른 기선해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기선해석의 방법은 세션별로 실시하되 단일기선해석방법에 의한다.
  2. 2주파 이상의 관측데이터를 이용하여 처리할 경우에는 전리층 보정을 한다.
  3. 기선해석시에 사용되는 단위는 미터단위로 하고 계산은 소수점이하 셋째자리까지 한다.
  4. 고정밀 자료처리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경우에는 초신속 또는 신속궤도력을 이용할 수 없다.
(정답률: 79%)
  • 고정밀 자료처리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경우에는 초신속 또는 신속궤도력을 이용할 수 없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고정밀 자료처리 소프트웨어는 초신속 또는 신속궤도력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기선해석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지적측량에 사용되는 구소삼각점측량지역의 직각좌표계 원점이 아닌 것은?

  1. 나주원점
  2. 망산원점
  3. 현창원점
  4. 금산원점
(정답률: 85%)
  • 지적측량에서 사용되는 구소삼각점측량지역은 대한민국을 41개의 지역으로 나눈 것으로, 각 지역마다 직각좌표계 원점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나주원점"은 전라남도 나주시에 위치한 지점으로, 해당 지역의 지적측량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나주원점"이 직각좌표계 원점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광파기측량방법에 따른 지적삼각점의 연직각 관측에 의해 2개의 기지점에서 소구점의 표고를 계산할 때 그 평균치를 표고로 하기 위한 교차의 최대 허용범위는? (단, 2개의 기지점에서 소구점까지의 거리는 각각 1km, 2km이다.)

  1. 0.10m 이하
  2. 0.20m 이하
  3. 0.35m 이하
  4. 0.40m 이하
(정답률: 82%)
  • 광파기측량방법은 지표면과 광파의 진행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으로 측정한 거리는 대기의 온도, 압력, 습도 등에 따라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광파기측량방법으로 측정한 거리는 보정이 필요하다.

    이 문제에서는 지적삼각점의 연직각 관측을 통해 소구점의 표고를 계산하고, 이를 두 기지점에서 측정한 거리와 함께 이용하여 소구점의 위치를 계산한다. 이때, 두 기지점에서 측정한 거리에 대한 보정값이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두 기지점에서 계산한 소구점의 표고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교차의 최대 허용범위는 이러한 오차를 고려하여 설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광파기측량방법으로 측정한 거리의 보정값은 0.1m 이하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를 고려하여 교차의 최대 허용범위를 0.20m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측량자의 부주의한 눈금 읽기, 야장 기입 오류 등으로 발생하는 오차는?

  1. 과대오차
  2. 정오차
  3. 우연오차
  4. 부정오차
(정답률: 95%)
  • 측량자의 부주의한 눈금 읽기, 야장 기입 오류 등으로 발생하는 오차는 실제 값보다 큰 값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과대오차라고 합니다. 즉, 측정값이 실제보다 크게 나타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경위의측량방법에 의해 지적삼각점을 관측· 계산할 때의 기준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관측은 20초독(秒讀) 이상의 경위의를 사용할 것
  2. 수평각 관측은 3대회의 방향관측법에 따를 것
  3. 수평각의 측각공차(測角公差)는 1방향각 40초 이내일 것
  4. 수평각의 측각공차(測角公差)는 삼각형 내각관측 합과 180도와의 차가 ±40초 이내일 것
(정답률: 74%)
  • 수평각 관측은 3대회의 방향관측법에 따를 것이 가장 옳은 기준이다. 이는 삼각측량에서 삼각형의 내각을 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로, 삼각형의 한 변을 기준으로 다른 두 변의 방향을 관측하여 내각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 수평각을 정확하게 측정해야 하며, 3대회의 방향관측법은 수평각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 기준을 따르면 보다 정확한 지적삼각점을 관측하고 계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지적재조사측량에서 지적기준점 및 경계점을 측량하는 경우 측량방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정지측량
  2. 다중기준국실시간이동측량
  3. 지적평판측량
  4. 토털스테이션측량
(정답률: 84%)
  • 지적평판측량은 지적재조사를 위해 필요한 지적기준점 및 경계점을 측량하는 방법이 아니라, 지적평면도를 작성하기 위해 지적도면상의 지적평판을 측량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지적재조사에서 지적기준점 및 경계점을 측량하는 방법으로는 옳지 않습니다. 정답은 "지적평판측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지적업무처리규정」상 지적삼각점측량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표고계산부
  2. 좌표전환계산부
  3. 교회점계산부
  4. 평면거리계산부
(정답률: 77%)
  • 「지적업무처리규정」상 지적삼각점측량부는 지적도 작성을 위한 측량 및 삼각점 위치 산정 등을 담당하는 부서이며, 이 중에서 교회점계산부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교회점계산부는 지적도 작성과는 관련이 없으며, 교회점 위치 산정을 위한 계산을 담당하는 부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경계점좌표등록부를 갖춰 두는 지역에서 지적도근점 량을 1등도선으로 측정한 5개의 측선거리가 각각 100m, 150m, 70m, 120m, 160m일 때, 연결오차의 허용범위는?

  1. 5√6cm 이하
  2. 7.5√6cm 이하
  3. 10√6cm 이하
  4. 15√6cm 이하
(정답률: 78%)
  • 연결오차의 허용범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1. 측선거리의 합을 구합니다.

    100m + 150m + 70m + 120m + 160m = 600m

    2. 측정된 총 길이와 실제 길이의 차이를 구합니다.

    실제 길이 = 600m
    측정된 길이 = 600m + 연결오차

    3. 연결오차를 구하기 위해 실제 길이와 측정된 길이의 차이를 구합니다.

    연결오차 = 측정된 길이 - 실제 길이

    4. 연결오차의 허용범위를 구하기 위해 다음 식을 이용합니다.

    허용범위 = 5√(측선거리의 합)

    허용범위 = 5√(100² + 150² + 70² + 120² + 160²)
    허용범위 = 5√(10000 + 22500 + 4900 + 14400 + 25600)
    허용범위 = 5√(77400)
    허용범위 ≈ 5√(76000)
    허용범위 ≈ 5√(16 × 4750)
    허용범위 ≈ 5 × 4√(4750)
    허용범위 ≈ 20√(4750)
    허용범위 ≈ 20 × 10.93
    허용범위 ≈ 218.6

    따라서, 연결오차의 허용범위는 "5√6cm 이하"입니다. 이는 측선거리의 합이 600m일 때, 연결오차가 218.6cm 이하일 때 허용되는 범위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지적업무처리규정」에서 현지측량방법 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지적기준점이 없는 지역에서 전자평판측량을 실시할 때에는 보존이 용이한 고정물을 선점하여 보조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설치된 보조점은 후속측량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2. 이미 작성되어 있는 지적측량파일을 이용하여 측량할 경우에는 기존 파일에서 지상경계선과 도상경계가 잘 부합되는 기지점과 신청토지 주변을 추가로 실측하여 성과를 결정하여야 한다.
  3. 세부측량성과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지점은 지적기준점이어야 한다. 다만, 도면의 기지점이 정확하고 보존이 양호하여 기지점을 이용하여도 측량에 지장이 없다고 인정되는 축척 1200분의 1 이하의 지역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4. 현형법(現形法)으로 지적측량의 성과를 결정하려면 경계점은 반드시 지적공부 등록당시의 축척으로 하며, 기지점을 기준으로 지상경계선과 도상경계선의 부합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정답률: 72%)
  • "세부측량성과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지점은 지적기준점이어야 한다. 다만, 도면의 기지점이 정확하고 보존이 양호하여 기지점을 이용하여도 측량에 지장이 없다고 인정되는 축척 1200분의 1 이하의 지역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가 가장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축척 1200분의 1 이하의 지역에서도 기지점을 이용하여 측량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기지점의 정확성과 보존 상태를 더욱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평판측량방법으로 세부측량을 할 경우 측량결과도에 작성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측량대상 토지의 경계선· 지번 및 지목
  2. 측량기하적 및 도상에서 측정한 거리·방위각
  3. 신규등록 또는 등록전환하려는 경계선 및 분할경계선
  4. 측량대상 토지의 점유현황선
(정답률: 79%)
  • 측량결과도에 작성해야 할 사항 중에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측량기하적 및 도상에서 측정한 거리·방위각"입니다. 이는 오히려 측량결과도에 작성해야 할 가장 중요한 사항 중 하나입니다. 측량기하적 및 도상에서 측정한 거리와 방위각은 측량 결과를 정확하게 나타내는 중요한 정보이기 때문에 반드시 기록되어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측량결과도에 작성해야 할 사항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전자면적측정기에 의해 축척 1/M지적도 상에서 어떤 필지의 면적을 도상에서 2회 측정한 결과 각각 a, b을 얻었다고 할 때, 그 평균치를 측정면적으로 할 수 있는 교차의 허용면적을 구하는 식으로 가장 옳은 것은?

(정답률: 87%)
  • 평균치는 (a+b)/2이다. 측정면적은 전자면적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면적을 의미하므로, 평균치에 1/M을 곱해줘야 한다. 따라서, 교차의 허용면적은 (a+b)/2 × 1/M = (a+b)/(2M)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지적재조사업무규정」에서 경계가 확정되었을 때 지상 경계점등록부 작성을 일부 생략할 수 있는 경우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단, 지적측량수행자는 지적소관청과 협의를 거치고, 지상경계점등록부 미작성조서를 지적소관청에 제출한 경우에 한함)

  1. 해당 필지의 주위에 고정물이나 영구적 시설물이 없는 경우
  2. 경계점과 고정물 간 거리가 먼 경우(30미터 이상)
  3. 경사가 심한 경우(30° 이상)
  4. 농작물, 건물, 수목 등으로 인하여 경계점표지를 설치하지 못한 경우
(정답률: 41%)
  • 해당 필지의 주위에 고정물이나 영구적 시설물이 없는 경우는 경계를 확인하기에 가장 쉬운 경우이기 때문입니다. 고정물이나 시설물이 없으면 경계를 확인하기 위해 이동할 필요가 없으며, 경계를 확인하기 위한 장애물이 없기 때문에 경계를 확인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경계점등록부 작성을 생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에서 측선 의 방위각 α=15°, β=45°, =50m 라고 할 때 필지의 한 경계점 P의 (x, y) 좌표로 가장 옳은 것은? [단, A점의 (x, y) 좌표는 (50.00m, 100.00m)이고, √3=1.73으로 계산할 것]

  1. (75m, 143.25m)
  2. (93.25m, 125m)
  3. (143.25m, 75m)
  4. (125m, 93.25m)
(정답률: 67%)
  • 우선 삼각형 ABC에서 AB와 BC의 길이를 구해보면 AB = 50m, BC = 50√3m 이다. 이를 이용하여 삼각형 ABC의 각도를 구해보면 각 A는 75°, 각 B는 45°, 각 C는 60°이다.

    이제 필지의 한 경계점 P의 좌표를 구하기 위해 삼각형 ABC에서 선분 AP와 BP의 길이를 구해보자. 우선 선분 AP의 길이는 각 A의 대각선인 삼각형 ABC에서 삼각형 ACP를 빼면 구할 수 있다. 이때 삼각형 ACP의 밑변은 BC이고, 높이는 AB의 길이를 sin(75°)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AP = BC - AB*sin(75°)/sin(60°) = 50√3 - 50*sin(75°)/√3 = 93.25m 이다.

    선분 BP의 길이도 마찬가지로 구할 수 있다. 이때 삼각형 BCP의 밑변은 BC이고, 높이는 AB의 길이를 sin(45°)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BP = BC - AB*sin(45°)/sin(60°) = 50√3 - 50/√3 = 125m 이다.

    따라서 경계점 P의 좌표는 (93.25m, 125m)이 된다. 하지만 이 좌표는 측선 의 방위각이 β=45°일 때의 좌표이므로, 이를 α=15°일 때의 좌표로 변환해야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선분 AP와 BP의 기울기를 구해보자. AP의 기울기는 tan(75°-15°) = tan(60°) = √3 이고, BP의 기울기는 tan(45°-15°) = tan(30°) = 1/√3 이다. 따라서 각각의 직선 방정식은 y = √3x + b1, y = (1/√3)x + b2 형태가 된다.

    이제 이 두 직선이 만나는 점을 구하면 된다. 이를 위해 두 직선의 y절편 b1, b2를 구해보자. b1은 점 A를 지나므로 y = √3x + b1에서 x=50, y=100을 대입하여 b1 = 100 - 50√3 이다. b2는 점 B를 지나므로 y = (1/√3)x + b2에서 x=0, y=50을 대입하여 b2 = 50/√3 이다.

    따라서 두 직선의 교점인 경계점 P의 좌표는 y = √3x + 100 - 50√3 = (3-√3)x + 100, y = (1/√3)x + 50/√3 형태가 된다. 이를 연립하여 x와 y를 구하면 (75m, 143.25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75m, 143.2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GNSS에 의한 지적측량규정」상 지적위성측량 작업 착수 전에 고려하여야 할 사항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ㄴ, ㄹ
  2. ㄱ, ㄴ, ㄷ
  3. ㄱ, ㄷ, ㄹ
  4. ㄱ, ㄴ, ㄷ, ㄹ
(정답률: 76%)
  • 정답은 "ㄱ, ㄴ, ㄷ, ㄹ" 입니다.

    ㄱ. 작업 대상 지적도의 정확도와 작업 범위를 파악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ㄴ. 작업 대상 지적도의 위치와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측량 계획을 수립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ㄷ. 작업 대상 지적도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GNSS 측량 방법을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ㄹ. 작업 대상 지적도의 특성과 측량 결과에 따라 보정 작업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지적재조사측량규정」의 용어의 정의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지적위성측량”이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측량기를 사용하여 실시하는 지적측량을 말한다.
  2. “다중기준국실시간이동측량(Network-RTK)”이란 3점 이상의 위성기준점을 이용하여 산출한 보정정보와 이동국이 수신한 GNSS 반송파 위상 신호를 실시간기선해석을 통해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는 측량을 말한다.
  3. “단일기준국실시간이동측량(Single-RTK)”이란 기지점(통합기준점 및 지적기준점)에 설치한 GNSS 측량기로부터 수신된 보정정보와 이동국이 수신한 GNSS 반송파 위상 신호를 실시간 기선해석을 통해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는 측량을 말한다.
  4. “라이넥스(RINEX)”란 2대 이상의 고정된 측량기 사이의 3차원 기선벡터(△X, △Y, △Z)를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79%)
  • “라이넥스(RINEX)”란 2대 이상의 고정된 측량기 사이의 3차원 기선벡터(△X, △Y, △Z)를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 이 정의는 옳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라이넥스(RINEX)는 측량기에서 수집한 측량 데이터를 표준화된 형식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파일 형식을 말한다. 이 파일은 다른 측량기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측량 데이터를 분석하고 처리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다. 따라서 라이넥스(RINEX) 파일은 측량 데이터의 교환과 공유를 용이하게 하며, 다양한 측량 분석 및 처리 소프트웨어에서 활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지적확정측량규정」상 확정측량 검사성과의 연결교차 허용기준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지적삼각점:±20cm 이내
  2. 지적삼각보조점:±25cm 이내
  3. 지적도근점(도선을 달리하여 검사) :±10cm 이내
  4. 경계점:±10cm 이내
(정답률: 90%)
  • 지적도근점은 지적도를 작성할 때 사용하는 측량점이며, 도선을 달리하여 검사하기 때문에 다른 측량점들보다 더욱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검사성과의 연결교차 허용기준에서도 다른 측량점들보다 더 작은 오차 범위인 ±10cm 이내로 설정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