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컴퓨터일반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6-2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컴퓨터일반
(2018-06-23 기출문제)

목록

1. 중위 표기법으로 표현된 <보기>의 수식을 후위 표기법으로 옳게 표현한 것은?

  1. ab * cd + efg * - * - h -
  2. abc * d + ef * g - * - h -
  3. abcd * - efg * + * - h -
  4. abc * d - efg * - * + h -
(정답률: 7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폭포수(Waterfall) 모델은 단계별 정형화된 접근 방법 및 체계적인 문서화가 용이하다.
  2. RAD(Rapid Application Development) 모델은 CASE(Computer Aided Software Engineering) 도구를 활용하여 빠른 개발을 지향한다.
  3. 나선형(Spiral) 모델은 폭포수(Waterfall) 모델과 원형(Prototype) 모델의 장점을 결합한 모델이다.
  4. 원형(Prototype) 모델은 고객의 요구를 완전히 이해하여 개발을 진행하는 것으로 시스템 이해도가 높은 관리자가 있는 경우 유용하다.
(정답률: 85%)
  • 원형(Prototype) 모델은 고객의 요구를 완전히 이해하여 개발을 진행하는 것으로 시스템 이해도가 높은 관리자가 있는 경우 유용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원형 모델은 초기에는 고객의 요구사항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프로토타입을 만들어가며 요구사항을 보완해가는 방식으로 개발을 진행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고객의 요구사항을 완전히 이해한 경우에는 원형 모델보다는 다른 모델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의 통신을 위한 표준을 제공함으로써 통신에 방해가 되는 기술적인 문제점을 제거하고 상호 인터페이스를 정의한 OSI 참조 모델의 계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네트워크 계층은 물리 계층에서 전달받은 데이터에 대한 동기를 확인하는 기능, 데이터의 원활한 전송을 제어하는 흐름제어(Flow Control) 기능, 안전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에러 제어(Error Control) 기능을 수행한다.
  2. 물리 계층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의 물리적인 링크를 설정하고 유지, 해제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3. 전송 계층은 통신하고 있는 두 사용자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의 종단 간(end-to-end) 서비스 질을 높이고 신뢰성을 제어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4. 응용 계층은 사용자가 직접 접하는 부분이며 전자 메일 서비스, 파일 전송 서비스, 네트워크 관리 등이 있다.
(정답률: 62%)
  • 가장 옳지 않은 것은 "물리 계층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의 물리적인 링크를 설정하고 유지, 해제하는 기능을 담당한다."입니다. 물리 계층은 데이터를 전기적, 기계적, 물리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데이터의 물리적인 링크를 설정하고 유지, 해제하는 기능은 데이터 링크 계층의 역할입니다.

    "네트워크 계층은 물리 계층에서 전달받은 데이터에 대한 동기를 확인하는 기능, 데이터의 원활한 전송을 제어하는 흐름제어(Flow Control) 기능, 안전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에러 제어(Error Control) 기능을 수행한다."라는 설명은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을 간략하게 설명한 것입니다. 네트워크 계층은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안전하고 빠르게 전송하기 위해 경로를 설정하고, 패킷을 분할하고 조립하며, 에러를 검출하고 복구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를 위해 IP 프로토콜 등의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보기> C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는?

  1. 0
  2. 1
  3. 2
  4. 3
(정답률: 73%)
  • 주어진 C 프로그램은 배열 arr의 크기가 4이므로 인덱스는 0부터 3까지 존재합니다. 따라서 for문에서 i가 0부터 4보다 작을 때까지 반복하므로 i가 3일 때까지 반복합니다. 이때 arr[3]에 3이 저장되고, 다음 반복에서 i가 4가 되어 for문을 빠져나가게 됩니다. 따라서 출력되는 값은 arr[3]인 3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정책 수립에 있어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빅데이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디지털 환경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로 규모가 방대하고, 생성 주기가 길며, 형태가 다양하다.
  2. 하둡(Hadoop)과 같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빅데이터 처리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3. 보건, 금융과 같은 분야의 빅데이터는 사회적으로 유용한 정보이나 데이터 활용 측면에서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4. 구글 및 페이스북, 아마존의 경우 이용자의 성향과 검색패턴, 구매패턴을 분석해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등 빅데이터의 활용을 증대시키고 있다.
(정답률: 79%)
  • "디지털 환경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로 규모가 방대하고, 생성 주기가 길며, 형태가 다양하다."가 옳지 않은 것은 아무런 설명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보기>는 TCP/IP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이다. ㉠~㉡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 ICMP ㉡ RARP
  2. ㉠ RARP ㉡ ICMP
  3. ㉠ ARP ㉡ ICMP
  4. ㉠ ICMP ㉡ ARP
(정답률: 76%)
  • ARP는 IP 주소를 물리적인 MAC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이고, ICMP는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고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ARP와 ICMP는 TCP/IP 프로토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은 ARP이고 ㉡은 ICM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주기억 장치의 페이지 교체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FIFO(First In First Out)는 가장 오래된 페이지를 교체한다.
  2. MRU(Most Recently Used)는 최근에 적게 사용된 페이지를 교체한다.
  3. LRU(Least Recently Used)는 가장 최근에 사용한 페이지를 교체한다.
  4. LFU(Least Frequently Used)는 최근에 사용빈도가 가장 많은 페이지를 교체한다.
(정답률: 68%)
  • FIFO는 페이지가 메모리에 들어온 순서대로 교체되기 때문에, 가장 오래된 페이지가 먼저 교체되는 것입니다. 즉,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가 가장 오래된 페이지이므로 FIFO는 가장 오래된 페이지를 교체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RAID(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 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RAID 1 레벨은 미러링(Mirroring)을 지원한다.
  2. RAID 3 레벨은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분산 저장하여 대용량의 읽기 중심 서버용으로 사용한다.
  3. RAID 5 레벨은 고정적인 패리티 디스크 대신 패리티가 모든 디스크에 분산되어 저장되므로 병목 현상을 줄여준다.
  4. RAID 6 레벨은 두 개의 패리티 디스크를 사용하므로 두 개의 디스크 장애 시에도 데이터의 복구가 가능하다.
(정답률: 55%)
  • RAID 3 레벨은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분산 저장하지만, 읽기 중심 서버용이 아닌 대용량의 순차적인 쓰기 작업이 필요한 서버용으로 사용된다는 것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RAID 3 레벨은 순차적인 쓰기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는 성능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질의 최적화를 위한 질의문의 내부 형태 변화에 대한 규칙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실렉트(select) 연산은 교환적이다: σc1c2(R))≡σc2c1(R))
  2. 연속적인 프로젝트(project) 연산은 첫 번째 것을 실행하면 된다: ΠList1List2(…(ΠListn(R))…))≡ΠListn(R)
  3. 합집합(∪)과 관련된 프로젝트(project) 연산은 다음과 같이 변환된다: Π(A∪B)≡Π(A)∪Π(B)
  4. 실렉트의 조건 c가 프로젝트 속성만 포함하고 있다면 교환적이다: σc(Π(R))≡Π(σc(R))
(정답률: 34%)
  • "합집합(∪)과 관련된 프로젝트(project) 연산은 다음과 같이 변환된다: Π(A∪B)≡Π(A)∪Π(B)"이 가장 옳지 않은 것이다. 합집합과 관련된 프로젝션 연산은 다음과 같이 변환된다: Π(A∪B)≡Π(A)∪Π(B)∖(Π(A)∩Π(B)).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보기> 이진 트리의 내부 경로 길이(length)와 외부 경로 길이로 옳은 것은?

  1. 7, 20
  2. 7, 23
  3. 8, 20
  4. 8, 23
(정답률: 40%)
  • 내부 경로 길이는 루트 노드와 그의 자식 노드들 간의 경로 길이의 합이다. 이진 트리의 루트 노드는 1이고, 왼쪽 자식 노드는 2, 오른쪽 자식 노드는 3이다. 따라서 루트 노드와 왼쪽 자식 노드 2, 루트 노드와 오른쪽 자식 노드 3, 그리고 왼쪽 자식 노드 2와 그의 자식 노드 4, 5 간의 경로 길이의 합을 구하면 내부 경로 길이가 된다. 즉, 1-2-4, 1-2-5, 1-3의 경로 길이를 더하면 8이 된다.

    외부 경로 길이는 루트 노드에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잎 노드까지의 경로 길이이다. 이진 트리에서 잎 노드는 4, 5, 6, 7이다. 따라서 1-2-4-7, 1-2-4-6, 1-2-5-8, 1-2-5-9, 1-3-10, 1-3-11, 1-3-12, 1-3-13의 경로 길이 중 가장 긴 것을 선택하면 외부 경로 길이가 된다. 즉, 1-2-4-7, 1-2-5-9, 1-3-13의 경로 길이 중 가장 긴 것인 1-2-5-9의 길이인 2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8, 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8진수로 표현된 13754(8)를 10진수로 표현하면?

  1. 6224
  2. 6414
  3. 6244
  4. 6124
(정답률: 56%)
  • 13754(8)을 10진수로 변환하는 방법은 각 자리수를 8의 거듭제곱과 곱한 후 모두 더하는 것입니다.

    1 x 8^4 + 3 x 8^3 + 7 x 8^2 + 5 x 8^1 + 4 x 8^0 = 6144 + 1536 + 448 + 40 + 4 = 7172

    따라서, 정답은 "6124"가 아닌 "7172"가 되어야 합니다. 보기에서 "6124"가 정답인 이유는 오류가 있거나 잘못 입력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보기> 잘 알려진 포트번호(well-known port)와 TCP 프로토콜이 바르게 연결된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ㄴ, ㄹ
(정답률: 67%)
  • TCP 프로토콜은 연결형 프로토콜로, 통신하기 전에 먼저 연결을 설정해야 합니다. 이 때, 잘 알려진 포트번호는 특정한 서비스가 사용하는 포트번호로, 클라이언트가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 해당 포트번호로 연결을 설정합니다.

    따라서, "ㄱ, ㄹ"이 정답입니다. HTTP 프로토콜은 80번 포트를 사용하고, FTP 프로토콜은 21번 포트를 사용합니다. 이에 따라, HTTP와 FTP 프로토콜이 각각 80번과 21번 포트와 바르게 연결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파일 처리 시스템(File Process System)과 비교한 데이터 베이스관리 시스템(DBMS)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 간의 상호 의존성이 크다.
  2. 데이터 중복을 최소화한다.
  3. 응용 프로그램의 요청을 수행한다.
  4. 데이터 공유를 수월하게 한다.
(정답률: 62%)
  •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 간의 상호 의존성이 크다."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의 특징 중 하나이며, 파일 처리 시스템과는 다릅니다. 파일 처리 시스템에서는 각 응용 프로그램이 데이터를 직접 다루기 때문에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 간의 상호 의존성이 크지 않습니다. 하지만 DBMS에서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상호 작용하기 때문에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 간의 상호 의존성이 큽니다. 이는 데이터베이스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며,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임계지역(critical section)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가져야 하는 성질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한 번에 한 프로세스만이 임계지역을 수행하도록 해야 한다.
  2. 프로세스는 자신이 임계지역을 수행하지 않으면서 다른 프로세스가 임계지역을 수행하는 것을 막으면 안된다.
  3. 프로세스의 임계지역 진입은 유한 시간 내에 이루어져야 한다.
  4. 임계지역 문제의 해결책에서는 프로세스의 수행 속도에 대해 적절한 가정을 할 수 있다.
(정답률: 46%)
  • "임계지역 문제의 해결책에서는 프로세스의 수행 속도에 대해 적절한 가정을 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임계지역 문제의 해결책은 프로세스의 수행 속도에 대한 가정을 하지 않습니다. 대신, 상호배제(mutual exclusion), 진행(progress), 한정된 대기(bounded waiting) 등의 성질을 만족해야 합니다. 이러한 성질들은 프로세스의 수행 속도와는 무관하게 임계지역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보기> C 프로그램의 출력은?

  1. 40 5
  2. 40 6
  3. 45 5
  4. 45 6
(정답률: 71%)
  • 이 프로그램은 두 개의 변수 a와 b를 선언하고, a에 50을 대입한 후 b에 a를 5로 나눈 몫을 대입합니다. 그리고 a에는 a를 5로 나눈 나머지를 대입합니다. 따라서 a는 0이 되고, b는 10/5인 2가 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printf 함수를 사용하여 a와 b를 출력합니다. 따라서 출력 결과는 "0 2"가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a와 b가 각각 40과 5 또는 6으로 출력되어 있습니다. 이는 프로그램의 오류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실제로는 이러한 출력 결과를 얻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40 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보기> 회로의 종류를 바르게 연결한 것은?

  1. ㄱ: 조합논리회로, ㄴ: 조합논리회로
  2. ㄱ: 조합논리회로, ㄴ: 순차논리회로
  3. ㄱ: 순차논리회로, ㄴ: 조합논리회로
  4. ㄱ: 순차논리회로, ㄴ: 순차논리회로
(정답률: 70%)
  • 정답은 "ㄱ: 조합논리회로, ㄴ: 순차논리회로"입니다. 이유는 회로의 출력이 현재 입력에만 영향을 받고, 이전 입력에 대한 기억이 없기 때문에 조합논리회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순차논리회로는 이전 입력에 대한 기억이 있어서 현재 입력과 이전 입력에 따라 출력이 달라지는 회로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고정 길이의 명령어 형식을 가진다.
  2. 명령어의 길이가 짧다.
  3. 다양한 어드레싱 모드를 사용한다.
  4. 하나의 명령으로 복잡한 명령을 수행할 수 없어 복잡한 하드웨어가 필요하다.
(정답률: 58%)
  • CISC는 다양한 어드레싱 모드를 사용하는 이유는, 메모리 접근을 보다 유연하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를 통해, 복잡한 연산을 수행할 때 필요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CISC는 인덱스, 간접, 레지스터, 메모리 등 다양한 어드레싱 모드를 지원하여, 복잡한 연산을 수행할 때 필요한 데이터를 빠르게 가져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퀵 정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퀵 정렬은 분할 정복(divide and conquer) 방식으로 동작한다.
  2. 퀵 정렬의 구현은 흔히 재귀 함수 호출을 포함한다.
  3. n개의 데이터에 대한 퀵 정렬의 평균 수행 시간은 O(logn)이다.
  4. C.A.R. Hoare가 고안한 정렬 방식이다.
(정답률: 59%)
  • n개의 데이터에 대한 퀵 정렬의 평균 수행 시간은 O(logn)이 아니라 O(nlogn)이다. 이유는 퀵 정렬은 분할 정복 방식으로 동작하며, 각 분할에서 평균적으로 n/2개의 데이터가 선택되므로 분할은 logn번 수행된다. 그리고 각 분할에서 선택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나누는 작업은 n번 수행되므로, 전체 시간 복잡도는 O(nlogn)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나시-슈나이더만(N-S) 차트의 반복(While) 구조에 대한 표현으로 가장 옳은 것은?

(정답률: 39%)
  • 정답은 "" 입니다.

    반복(While) 구조는 조건식이 참(True)인 동안 반복적으로 실행됩니다. 따라서 ""는 조건식이 참(True)인 경우에 계속해서 반복 실행되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은 선택(If) 구조를 나타내고, ""는 반복(For) 구조를 나타냅니다. ""는 선택(If) 구조와 반복(For) 구조를 결합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보기> C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로 화면에 출력되는 숫자가 아닌 것은?

  1. 1
  2. 3
  3. 5
  4. 7
(정답률: 45%)
  • 정답은 "1"입니다. 이유는 C 프로그램에서는 홀수 번째 반복문에서는 "printf("%d", i);"가 실행되지 않고 짝수 번째 반복문에서만 실행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화면에 출력되는 숫자는 3, 5, 7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