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보건지도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3-24)

산업보건지도사
(2018-03-2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산업안전보건법령

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로를 금지시켜야 하는 사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정신분열증에 걸린 사람
  2. 감압증에 걸린 사람
  3. 폐 질환이 있는 사람으로서 근로에 의하여 병세가 악화될 우려가 있는 사람
  4. 심장 질환이 있는 사람으로서 근로에 의하여 병세가 악화될 우려가 있는 사람
  5. 신장 질환이 있는 사람으로서 근로에 의하여 병세가 악화될 우려가 있는 사람
(정답률: 알수없음)
  • 감압증은 고도의 압력 환경에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근로에 의하여 병세가 악화될 우려가 있는 질환이다. 따라서,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로를 금지시켜야 하는 사람에 해당한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근로에 의하여 병세가 악화될 우려가 있는 질환이므로,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로를 금지시켜야 하는 사람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장의 산업재해 발생건수 등 공표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들어갈 내용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ㄱ: 1년, ㄴ: 1회
  2. ㄱ: 2년, ㄴ: 2회
  3. ㄱ: 3년, ㄴ: 2회
  4. ㄱ: 5년, ㄴ: 3회
  5. ㄱ: 5년, ㄴ: 5회
(정답률: 알수없음)
  • 1. 사업장은 매년 산업재해 발생건수 등을 공표하여야 한다.
    2. 산업재해 발생건수 등의 공표는 3년에 2회 이상 하여야 한다.

    정답이 "ㄱ: 3년, ㄴ: 2회" 인 이유는,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장은 매년 산업재해 발생건수 등을 공표하여야 하지만, 이를 3년에 2회 이상 하여야 한다는 규정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3년에 2회 이상 공표하는 것이 법적으로 요구되는 최소한의 기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일반석면조사'를 해야 하는 경우 그 조사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해당 건축물이나 설비에 석면이 함유되어 있는지 여부
  2. 해당 건축물이나 설비 중 석면이 함유된 자재의 종류
  3. 해당 건축물이나 설비 중 석면이 함유된 자재의 위치
  4. 해당 건축물이나 설비 중 석면이 함유된 자재의 면적
  5. 해당 건축물이나 설비에 함유된 석면의 종류 및 함유량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석면조사는 건축물이나 설비에 석면이 함유되어 있는지 여부, 석면이 함유된 자재의 종류, 위치, 면적 등을 조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해당 건축물이나 설비에 함유된 석면의 종류 및 함유량은 일반석면조사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甲은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산업안전지도사로서 활동을 하려고 한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甲은 고용노동부장관이 시행하는 산업안전지도사 시험에 합격하여야만 산업안전지도사의 자격을 가질 수 있다.
  2. 甲은 산업안전지도사로서 그 직무를 시작하기 전에 광역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등록을 하여야 한다.
  3. 甲이 파산선고를 받은 경우라면 복권되더라도 산업안전지도사로서 등록할 수 없다.
  4. 甲은 3년마다 산업안전지도사 등록을 갱신하여야 한다.
  5. 甲이 산업안전지도사의 직무를 조직적ㆍ전문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법인을 설립하려고 하는 경우에는「상법」중 주식회사에 관한 규정을 적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甲은 고용노동부장관이 시행하는 산업안전지도사 시험에 합격하여야만 산업안전지도사의 자격을 가질 수 있다." 이유는 산업안전지도사는 고용노동부장관이 시행하는 시험에 합격한 자에게만 산업안전지도사 자격증이 발급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관리전문기관 지정의 취소 또는 과징금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고용노동부장관은 안전관리전문기관이 업무정지 기간 중에 업무를 수행한 경우에는 그 지정을 취소하거나 6개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그 업무의 정지를 명할 수 있다.
  2. 고용노동부장관은 안전관리전문기관이 위탁받은 안전관리 업무에 차질이 생기게 한 경우에는 그 지정을 취소하거나 6개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그 업무의 정지를 명할 수 있다.
  3. 과징금은 분할하여 납부할 수 있다.
  4. 안전관리전문기관의 지정이 취소된 자는 3년 이내에는 안전관리전문기관으로 지정받을 수 없다.
  5. 고용노동부장관은 위반행위의 동기, 내용 및 횟수 등을 고려하여 과징금 부과금액의 2분의 1 범위에서 과징금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늘리는 경우 과징금 부과금액의 총액은 1억원을 넘을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용노동부장관은 안전관리전문기관이 위탁받은 안전관리 업무에 차질이 생기게 한 경우에는 그 지정을 취소하거나 6개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그 업무의 정지를 명할 수 있다. 이는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관리전문기관의 업무 수행에 대한 책임을 강조하고 있으며, 안전관리전문기관의 업무 수행이 적절하지 않을 경우 취소나 정지를 통해 적극적인 대응을 취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통로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업주는 계단 및 승강구 바닥을 구멍이 있는 재료로 만드는 경우 렌치나 그 밖의 공구 등이 낙하할 위험이 없는 구조로 하여야 한다.
  2. 사업주는 급유용ㆍ보수용ㆍ비상용 계단 및 나선형 계단을 설치하는 경우 그 폭을 1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3. 사업주는 높이가 3미터를 초과하는 계단에 높이 3미터 이내마다 너비 1.2미터 이상의 계단참을 설치하여야 한다.
  4. 사업주는 갱내에 설치한 통로 또는 사다리식 통로에 권상장치(卷上裝置)가 설치된 경우 권상장치와 근로자의 접촉에 의한 위험이 있는 장소에 판자벽이나 그 밖에 위험 방지를 위한 격벽(隔壁)을 설치하여야 한다.
  5. 사업주는 높이 1미터 이상인 계단의 개방된 측면에 안전난간을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업주는 급유용ㆍ보수용ㆍ비상용 계단 및 나선형 계단을 설치하는 경우 그 폭을 1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따르면 급유용ㆍ보수용ㆍ비상용 계단 및 나선형 계단의 폭은 최소 0.8미터 이상이어야 하며, 이는 1미터보다 작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정부의 책무 또는 사업주 등의 의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업주는 안전ㆍ보건의식을 북돋우기 위하여 산업안전ㆍ보건 강조기간의 설정 및 그 시행과 관련된 시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2. 정부는 산업재해에 관한 조사 및 통계의 유지ㆍ관리를 성실히 이행할 책무를 진다.
  3. 사업주는 해당 사업장의 안전ㆍ보건에 관한 정보를 근로자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4. 근로자는 사업주 또는 근로감독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등 관계자가 실시하는 산업재해 방지에 관한 조치에 따라야 한다.
  5. 원재료 등을 제조ㆍ수입하는 자는 그 원재료 등을 제조ㆍ수입할 때 산업안전보건법령으로 정하는 기준을 지켜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옳지 않은 설명은 "사업주는 안전ㆍ보건의식을 북돋우기 위하여 산업안전ㆍ보건 강조기간의 설정 및 그 시행과 관련된 시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이다. 이는 정부의 책무나 의무가 아니라 사업주의 의무이다.

    사업주는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하며, 이를 위해 산업안전보건법령에서는 다양한 의무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이 중에서도 사업주는 해당 사업장의 안전ㆍ보건에 관한 정보를 근로자에게 제공하고, 근로자는 산업재해 방지에 관한 조치에 따라야 한다는 의무가 있다. 또한, 원재료 등을 제조ㆍ수입하는 자는 산업안전보건법령으로 정하는 기준을 지켜야 한다는 의무도 있다.

    반면에 정부는 산업재해에 관한 조사 및 통계의 유지ㆍ관리를 성실히 이행할 책무를 진다. 이는 산업재해 예방 및 대응을 위한 정책 수립과 실행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유해인자인 벤젠의 노출농도의 허용기준을 옳게 연결한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유해인자인 벤젠의 노출농도의 허용기준은 1ppm(부피비)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②"인 이유는 벤젠 노출농도가 1ppm 이하인 경우에는 안전하다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건강진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업주가 실시하여야 하는 근로자 건강진단에는 일반건강진단, 특수건강진단, 배치전건강진단, 수시건강진단 및 임시건강진단이 있다.
  2. 건강진단기관이 건강진단을 실시한 때에는 그 결과를 근로자 및 사업주에게 통보하고 고용노동부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3. 사업주는 근로자대표가 요구할 때에는 해당 근로자 본인의 동의 없이도 그 근로자의 건강진단결과를 공개할 수 있다.
  4. 사업주는 특수건강진단, 배치전건강진단 및 수시건강진단을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이 지정하는 의료기관에서 실시하여야 한다.
  5. 사업주가「항공법」에 따른 신체검사를 실시하여 그 건강진단을 받은 근로자는 일반건강진단을 실시한 것으로 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업주는 근로자대표가 요구할 때에는 해당 근로자 본인의 동의 없이도 그 근로자의 건강진단결과를 공개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법령에 위배되므로 근로자의 동의 없이 건강진단결과를 공개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산업안전지도사와 산업보건지도사의 업무범위에 공통적으로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ㄴ, ㄷ
  3. ㄱ, ㄴ, ㄷ, ㄹ
  4. ㄱ, ㄴ, ㄷ, ㄹ, ㅁ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ㄱ, ㄴ" 입니다.

    산업안전지도사와 산업보건지도사는 모두 산업현장에서 안전과 보건에 관련된 업무를 수행합니다. 따라서, 산업안전보건법령상에서 그들의 업무범위에 공통적으로 해당하는 것은 "ㄱ, ㄴ" 입니다.

    - "ㄱ" : 산업현장에서 안전관리 및 안전교육 등 안전과 관련된 업무
    - "ㄴ" : 산업현장에서 작업환경관리 및 직업질환 예방 등 보건과 관련된 업무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건설 일용근로자가 건설업 기초안전ㆍ보건교육을 이수하여야 하는 경우 그 교육 시간은?

  1. 1시간
  2. 2시간
  3. 3시간
  4. 4시간
  5. 5시간
(정답률: 알수없음)
  • 건설 일용근로자가 건설업 기초안전ㆍ보건교육을 이수해야 하는 시간은 4시간입니다. 이는 건설업 기초안전ㆍ보건교육의 내용이 매우 중요하고, 일용근로자들이 안전하게 일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할애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교육은 일용근로자들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법적 의무이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유해ㆍ위험설비에 해당하는 것은?

  1. 원자력 설비
  2. 군사시설
  3. 차량 등의 운송설비
  4. 「도시가스사업법」에 따른 가스공급시설
  5. 화약 및 불꽃제품 제조업 사업장의 보유설비
(정답률: 알수없음)
  • 산업안전보건법령에서 유해ㆍ위험설비란, 작업자의 생명, 신체, 재산 등을 위협하는 위험이 있는 설비를 말합니다. 따라서, 원자력 설비, 군사시설, 차량 등의 운송설비, 「도시가스사업법」에 따른 가스공급시설은 모두 유해ㆍ위험설비에 해당합니다. 또한, 화약 및 불꽃제품 제조업 사업장의 보유설비도 유해ㆍ위험설비에 해당합니다. 이는 화약 및 불꽃제품 제조과정에서 폭발, 화재 등의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동일 사업장내에서 공정의 일부분을 도급하는 경우, 고용노동부장관의 인가를 받으면 그 작업만을 분리하여 도급(하도급을 포함한다)을 줄 수 있는 작업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ㅁ
  4. ㄷ, ㄹ,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률: 알수없음)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동일 사업장내에서 공정의 일부분을 도급하는 경우, 고용노동부장관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따라서 인가를 받은 작업만을 분리하여 도급(하도급을 포함한다)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보기에서 인가를 받을 수 있는 작업들을 모두 고른 것이 정답이다.

    - "ㄱ, ㄴ": 인가를 받을 수 있는 작업들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 "ㄱ, ㄹ": 인가를 받을 수 있는 작업들이 모두 포함되어 있지 않다.
    - "ㄴ, ㄷ, ㅁ": 인가를 받을 수 있는 작업들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 "ㄷ, ㄹ, ㅁ": 인가를 받을 수 있는 작업들이 모두 포함되어 있지 않다.
    - "ㄱ, ㄴ, ㄷ, ㄹ, ㅁ": 인가를 받을 수 있는 작업들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제조 또는 사용허가를 받아야 하는 유해물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디클로로벤지딘과 그 염
  2. 오로토-톨리딘과 그 염
  3. 디아니시딘과 그 염
  4. 비소 및 그 무기화합물
  5. 베타-나프틸아민과 그 염
(정답률: 알수없음)
  • 베타-나프틸아민과 그 염은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제조 또는 사용허가를 받아야 하는 유해물질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유는 해당 물질이 위험물질로 분류되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유해·위험방지계획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산업재해발생률 등을 고려하여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건설업체의 경우는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자격을 갖춘 자의 의견을 생략하고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작성한 후 이를 스스로 심사하여야 한다.
  2. 유해·위험방지계획서는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3.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제출한 사업주는 고용노동부장관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4. 고용노동부장관은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심사한 후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공사계획을 변경할 것을 명령할 수는 있으나, 공사중지명령을 내릴 수는 없다.
  5. 깊이 10미터 이상인 굴착공사를 착공하려는 사업주는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용노동부장관은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심사한 후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공사계획을 변경할 것을 명령할 수는 있으나, 공사중지명령을 내릴 수는 없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고용노동부장관은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심사한 후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 공사중지명령을 내릴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ㆍ보건표지의 부착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제2조에 따른 외국인근로자를 채용한 사업주는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바에 따라 외국어로 된 안전ㆍ보건표지와 작업안전수칙을 부착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2. 안전ㆍ보건표지의 표시를 명백히 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그 안전ㆍ보건표지의 주위에 표시사항을 글자로 덧붙여 적을 수 있다.
  3. 안전ㆍ보건표지 속의 그림 또는 부호의 크기는 안전ㆍ보건표지의 크기와 비례하여야 하며, 안전ㆍ보건표지 전체 규격의 30퍼센트 이상이 되어야 한다.
  4. 안전ㆍ보건표지의 성질상 설치하거나 부착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해당 물체에 직접 도장(塗裝)할 수 있다.
  5. 안전모 착용 지시표지의 경우 바탕은 노란색, 관련 그림은 검은색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안전모 착용 지시표지의 경우 바탕은 노란색, 관련 그림은 검은색으로 한다는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이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안전표지의 색상 규격 중 하나로, 노란색은 주의를, 검은색은 금지를 나타내는 색상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총괄책임자의 직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산업안전보건법」제41조의2에 따른 위험성평가의 실시에 관한 사항
  2. 안전인증대상 기계ㆍ기구등과 자율안전확인대상 기계ㆍ기구등의 사용 여부 확인
  3. 근로자의 건강장해의 원인 조사와 재발 방지를 위한 의학적 조치
  4. 「산업안전보건법」제29조제2항에 따른 도급사업 시의 안전ㆍ보건 조치
  5. 「산업안전보건법」제30조에 따른 수급인의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집행 감독 및 그 사용에 관한 수급인 간의 협의ㆍ조정
(정답률: 알수없음)
  • 안전보건총괄책임자의 직무 중에서 "근로자의 건강장해의 원인 조사와 재발 방지를 위한 의학적 조치"는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의료 전문가가 수행하는 업무이기 때문이다. 안전보건총괄책임자는 위험성평가, 안전인증대상 기계ㆍ기구등과 자율안전확인대상 기계ㆍ기구등의 사용 여부 확인, 도급사업 시의 안전ㆍ보건 조치, 수급인의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집행 감독 및 그 사용에 관한 수급인 간의 협의ㆍ조정 등을 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석면의 제조ㆍ사용 작업, 해체ㆍ제거작업 및 유지ㆍ관리 등의 조치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업주는 분말 상태의 석면을 혼합하거나 용기에 넣거나 꺼내는 작업, 절단ㆍ천공 또는 연마하는 작업 등 석면분진이 흩날리는 작업에 근로자를 종사하도록 하는 경우에 석면의 부스러기 등을 넣어두기 위하여 해당 장소에 뚜껑이 있는 용기를 갖추어 두어야 한다.
  2. 사업주는 석면으로 인한 직업성 질병의 발생 원인, 재발 방지 방법 등을 석면을 취급하는 근로자에게 알려야 한다.
  3. 사업주는 석면에 오염된 장비, 보호구 또는 작업복 등을 처리하는 경우에 압축공기를 불어서 석면오염을 제거해야 한다.
  4. 사업주는 석면해체ㆍ제거작업에서 발생된 석면을 함유한 잔재물은 습식으로 청소하거나 고성능필터가 장착된 진공청소기를 사용하여 청소하는 등 석면분진이 흩날리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5. 사업주는 석면해체ㆍ제거작업장과 연결되거나 인접한 장소에 탈의실ㆍ샤워실 및 작업복 갱의실 등의 위생설비를 설치하고 필요한 용품 및 용구를 갖추어 두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업주는 석면에 오염된 장비, 보호구 또는 작업복 등을 처리하는 경우에 압축공기를 불어서 석면오염을 제거해야 한다. - 옳은 설명입니다.

    석면은 호흡기에 침투하여 심각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물질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석면을 다루는 작업에서는 근로자의 안전을 위해 다양한 조치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석면오염을 제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이를 위해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석면오염을 제거하면, 석면분진이 흩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업주는 석면에 오염된 장비, 보호구 또는 작업복 등을 처리할 때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석면오염을 제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작업 중 근로자가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장소임에도 불구하고 사업주가 그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하지 않아 근로자가 사망한 경우, 사업주에게 과해지는 벌칙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
  2.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4. 3년 이상의 징역 또는 10억원 이하의 과징금
  5. 1년 이상의 징역 또는 5억원 이하의 과징금
(정답률: 알수없음)
  • 근로자가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사업주가 필요한 조치를 취하지 않아 근로자가 사망한 경우, 사업주에게 부과되는 벌칙은 "산업안전보건법 제63조 제1항"에 따라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입니다. 이는 근로자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사업주의 의무를 강조하고, 이를 위반한 경우에는 엄격한 처벌을 부과하여 사업주의 책임을 강제로 인식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책임자(이하 “관리책임자”라 한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정하는 근로자의 위험 또는 건강장해의 방지에 관한 사항은 관리책임자의 업무에 해당한다.
  2. 사업주는 관리책임자에게 그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권한을 주어야 한다.
  3. 사업지원 서비스업의 경우에는 상시 근로자 50명 이상인 경우에 관리책임자를 두어야 한다.
  4. 관리책임자는 해당 사업에서 그 사업을 실질적으로 총괄관리하는 사람이어야 한다.
  5. 건설업의 경우에는 공사금액 20억원 이상인 경우에 관리책임자를 두어야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업지원 서비스업의 경우에는 상시 근로자 50명 이상인 경우에 관리책임자를 두어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사업지원 서비스업의 경우에는 상시 근로자 30명 이상인 경우에 관리책임자를 두어야 합니다. 이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조(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정해진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도급인인 사업주가 작업장의 안전ㆍ보건관리조치를 위하여 2일에 1회 이상 작업장을 순회점검하여야 하는 사업에 해당하는 것은?

  1. 음악 및 기타 오디오물 출판업
  2. 사회복지 서비스업
  3. 금융 및 보험업
  4.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5. 정보서비스업
(정답률: 알수없음)
  • "음악 및 기타 오디오물 출판업"은 작업장에서 생산하는 제품이나 서비스가 직접적으로 인적 노동을 필요로 하지 않는 산업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작업장 내 안전ㆍ보건관리조치가 필요한 경우도 있겠지만, 작업장을 순회점검하는 의무는 없습니다. 반면에 "사회복지 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정보서비스업" 등은 작업장 내 인적 노동이 필요하므로, 작업장 내 안전ㆍ보건관리조치가 더욱 중요해지며, 도급인인 사업주가 작업장을 순회점검하는 의무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고용노동부장관의 확인을 받은 경우로서 화학물질의 유해성·위험성 조사에서 제외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ㄹ
  2. ㄴ, ㄷ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고용노동부장관의 확인을 받은 경우에만 유해성·위험성 조사에서 제외될 수 있으므로, "ㄱ"은 고용노동부장관의 확인을 받지 않은 경우이므로 제외됩니다. 또한, "ㄹ"은 유해성·위험성이 이미 확인된 화학물질이므로 제외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ㄴ, ㄷ, 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규정의 작성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여야 할 사업의 사업주는 안전보건관리규정을 변경할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그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60일 이내에 안전보건관리규정을 변경하여야 한다.
  2. 농업의 경우 상시 근로자 100명 이상을 사용하는 사업장에는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여야 한다.
  3. 사업주가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는 경우에는 소방ㆍ가스ㆍ전기ㆍ교통분야 등의 다른 법령에서 정하는 안전관리에 관한 규정과 통합하여 작성할 수 없다.
  4. 사업주는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거나 변경할 때에는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심의ㆍ의결을 거쳐야 하며, 산업안전보건위원회가 설치되어 있지 아니한 사업장의 경우에는 근로자대표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5. 해당 사업장에 적용되는 단체협약 및 취업규칙은 안전보건관리규정에 반할 수 없으며, 단체협약 또는 취업규칙 중 안전보건관리규정에 반하는 부분에 관하여는 안전보건관리규정으로 정한 기준에 따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거나 변경할 때에는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심의ㆍ의결을 거쳐야 하며, 산업안전보건위원회가 설치되어 있지 아니한 사업장의 경우에는 근로자대표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이는 안전보건관리규정의 적용 범위와 변경 시기, 절차 등을 명확히 하기 위한 규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노사협의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노사협의체의 회의는 근로자위원 및 사용자위원 각 과반수의 출석으로 시작하고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2. 노사협의체의 위원장은 직권으로 노사협의체에 공사금액이 20억원 미만인 도급 또는 하도급 사업의 사업주 및 근로자대표를 위원으로 위촉할 수 있다.
  3. 노사협의체의 위원장은 위원 중에서 호선(互選)한다. 이 경우 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 중 각 1명을 공동위원장으로 선출할 수 있다.
  4. 노사협의체의 위원장은 노사협의체에서 심의ㆍ의결된 내용 등 회의 결과와 중재 결정된 내용 등을 사내방송이나 사내보, 게시 또는 자체 정례조회, 그 밖의 적절한 방법으로 근로자에게 신속히 알려야 한다.
  5. 노사협의체의 회의는 정기회의와 임시회의로 구분하되, 정기회의는 2개월마다 노사협의체의 위원장이 소집하며, 임시회의는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 소집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노사협의체의 위원장은 직권으로 노사협의체에 공사금액이 20억원 미만인 도급 또는 하도급 사업의 사업주 및 근로자대표를 위원으로 위촉할 수 있다. - 이는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노사협의체는 근로자와 사용자가 함께 참여하여 안전보건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고 협의하는 기구이다. 회의는 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 각 과반수의 출석으로 시작하고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위원장은 위원 중에서 호선(互選)하며, 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 중 각 1명을 공동위원장으로 선출할 수 있다. 회의는 정기회의와 임시회의로 구분하되, 정기회의는 2개월마다 노사협의체의 위원장이 소집하며, 임시회의는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 소집한다. 노사협의체에서 심의ㆍ의결된 내용 등 회의 결과와 중재 결정된 내용 등은 사내방송이나 사내보, 게시 또는 자체 정례조회, 그 밖의 적절한 방법으로 근로자에게 신속히 알려져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해ㆍ위험기계등을 사용하는 사업주와 소유자가 다른 경우에는 유해ㆍ위험기계등을 사용하는 사업주가 안전검사를 받아야 한다.
  2. 이삿짐운반용 리프트의 최초 안전검사는「자동차관리법」제8조에 따른 신규등록 이후 3년 이내에 실시하여야 한다.
  3. 안전검사 신청을 받은 안전검사기관은 30일 이내에 해당 기계ㆍ기구 및 설비별로 안전검사를 하여야 한다.
  4. 안전검사에 합격한 유해ㆍ위험기계등을 사용하는 사업주는 그 유해ㆍ위험 기계등이 안전검사에 합격한 것임을 나타내는 표시를 하여야 한다.
  5. 안전검사를 받아야 하는 자가 자율검사프로그램을 정하고 고용노동부장관의 인정을 받아 그에 따라 유해ㆍ위험기계등의 안전에 관한 성능검사를 하면 안전검사를 받은 것으로 보며, 이 경우 자율검사프로그램의 유효기간은 2년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해ㆍ위험기계등을 사용하는 사업주와 소유자가 다른 경우에는 유해ㆍ위험기계등을 사용하는 사업주가 안전검사를 받아야 한다." 이것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사업주와 소유자가 다른 경우에는 소유자가 안전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이는 산업안전보건법 제30조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소유자가 안전검사를 받지 않으면, 사업주는 해당 기계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산업보건일반

26. 활성탄관으로 채취한 벤젠을 1 mL 이황화탄소로 추출하여 정량한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벤젠 양(㎍)은?

  1. 9.9
  2. 10
  3. 99
  4. 100
  5. 파과현상 때문에 시료로 쓰지 못함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그림에서 이황화탄소 추출액의 흡광도는 0.1이다. 벤젠의 흡광계수는 1cm당 155이므로, 1mL의 추출액에는 155 × 0.1 = 15.5㎍의 벤젠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활성탄관으로 채취한 벤젠을 이황화탄소로 추출하는 과정에서 일부의 벤젠이 손실될 수 있으므로, 실제 벤젠 양은 15.5㎍보다는 적을 것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근접한 값인 "10"을 선택하는 것이 타당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유해인자 노출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노출기준 초과여부로 건강영향을 진단할 수 있다.
  2. 모든 근로자의 건강영향을 진단하기 위한 법적기준이다.
  3. 개인 시료(personal sample) 측정 결과로 호흡기, 피부, 소화기 등 종합적인 인체 노출수준을 추정할 수 있다.
  4. 동물실험에 근거해서 설정된 노출기준은 역학조사보다 불확실성이 낮아 신뢰성이 높다.
  5. 생물학적 노출기준(BEI)이 설정된 화학물질 수가 적은 이유는 건강영향을 추정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가 드물기 때문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생물학적 노출기준(BEI)이 설정된 화학물질 수가 적은 이유는 건강영향을 추정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가 드물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생물학적 유해인자가 주로 발생되는 공정 또는 작업이 아닌 것은?

  1. 사료 저장
  2. 농작업
  3. 제빵
  4. 주물
  5. 수용성 금속가공
(정답률: 알수없음)
  • 주물은 생물학적 유해인자가 발생하지 않는다. 주물은 금속을 녹여 주형에 부어 만드는 공정으로, 주로 열과 화학물질에 노출되는 작업이지만 생물학적 유해인자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주물은 주어진 보기 중에서 생물학적 유해인자가 발생하지 않는 작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국내외 산업위생 역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중세 노동자 사고와 질병은 의학적 인과관계에 의해서 규명되었다.
  2. 산업혁명 초창기 어린이 장시간 노동은 일반적이었다.
  3. 1963년 산업안전보건법에 이어 1981년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이 제정되었다.
  4. 2015년 메탄올 시각 손상이 발생한 공정은 도장(painting)이었다.
  5. 우리나라 반도체 공장 직업병 문제는 화학물질 급성 중독 사례로 시작되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산업혁명 초창기 어린이 장시간 노동은 일반적이었다. 이유는 당시에는 노동력이 부족하였고, 어린이들도 가족의 일원으로서 일을 하면서 가족의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노동에 참여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당시에는 노동자 보호법이 없었기 때문에 어린이들도 노동에 참여할 수 있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유해인자 측정결과 자료에 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은?

  1. 근로자가 노출되는 유해인자 측정 자료는 일반적으로 정규분포(normal distribution)를 나타낸다.
  2. 기하표준편차(GSD) 값이 클수록 유해인자 노출특성은 유사한 것으로 평가한다.
  3. 동일 자료에 대한 기하평균(GM) 값은 산술평균(AM) 값보다 크다.
  4. 정규분포하지 않은 자료를 대수로 변환했을 때 정규분포하면 대수 정규분포한다고 평가한다.
  5. 기하표준편차(GSD) 단위는 ppm 또는 ㎍/m3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규분포하지 않은 자료를 대수로 변환했을 때 정규분포하면 대수 정규분포한다고 평가한다." 이것이 옳은 이유는 대수 변환을 통해 비대칭적인 분포를 대칭적인 분포로 변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분석의 편의성을 높이고, 통계적 추론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작업장 환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HVACs(공조시설)에서 공급하는 공기량은 국소배기장치 후드로 들어가는 공기량의 0.5배로 설계해야 한다.
  2. 국소배기장치에서 실외로 배기된 공기속도는 반송속도의 50 %를 유지해야 한다.
  3. 먼지가 발생되는 공정에서 국소배기 공기정화장치는 송풍기 뒤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4. 1면이 개방된 포위식 후드에서 소요 풍량(Q)은 1면이 완전히 닫혔을 때를 가정하고 설계하는 것이 좋다.
  5. 외부식 원형후드에서 등속도 면적은 제어거리와 후드 면적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외부식 원형후드에서 등속도 면적은 제어거리와 후드 면적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 외부식 원형후드는 환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흡기구로, 공기를 효율적으로 흡입하고 배출하기 위해 등속도 면적을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일반적으로 알려진 내분비계 교란물질(endocrine disruptors)이 아닌 것은?

  1. DDT
  2. Diethylstilbestrol(DES)
  3. 프탈레이트
  4. 다이옥신
  5. 메틸에틸케톤(MEK)
(정답률: 알수없음)
  • 메틸에틸케톤(MEK)은 내분비계에 영향을 미치는 화학물질이 아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내분비계 교란물질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은 자동차 산업 노동자를 대상으로 수행한 역학연구에서 얻은 SMR(표준화사망비) 값과 95 % 신뢰구간이다. 건강근로자 영향(healthy worker effect)을 의심할 수 있는 결과는?

  1. 0.6(0.4-0.8)
  2. 1.1(0.9-1.5)
  3. 1.2(0.9-1.9)
  4. 1.5(1.2-1.9)
  5. 3.0(1.5-9.2)
(정답률: 알수없음)
  • 건강근로자 영향을 의심할 수 있는 결과는 "0.6(0.4-0.8)"이다. 이는 SMR 값이 1보다 작으며, 95% 신뢰구간이 1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자동차 산업 노동자들이 일반인과 비교하여 사망률이 낮은 것을 의미한다. 이는 건강한 노동자들이 자동차 산업에서 일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른 SMR 값들은 1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건강근로자 영향을 의심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중간대사산물(metabolite)이 암을 일으키는 물질은?

  1. 다핵방향족탄화수소화합물(PAHs)
  2. 비소
  3. 석면
  4. 베릴륨
  5. 라돈
(정답률: 알수없음)
  • 다핵방향족탄화수소화합물(PAHs)은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화합물로, 대기 중에 존재하며 일부는 식물이나 동물 조직에 흡수됩니다. 이러한 PAHs는 대부분 중간대사산물로 분해되어 배출되지만, 일부는 유전자 변이를 일으키거나 암을 유발할 수 있는 독성 물질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AHs는 암을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물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중금속별로 노출될 수 있는 공정을 연결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크롬 - 도금
  2. 납 - PVC 압출 혼합
  3. 유기수은 - 형광등 제조
  4. 비소 - 반도체 이온주입
  5. 카드뮴 - 축전지 제조
(정답률: 알수없음)
  • 유기수은은 형광등 제조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형광등 제조에는 주로 수은증기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건강영향을 일으킬 수 있는 직접적인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아닌 것은?

  1. 책임감이 높은 일의 연속
  2. 상사 및 동료와의 갈등
  3. 불규칙한 작업형태
  4. 영양부족
  5. 열악한 작업환경
(정답률: 알수없음)
  • 영양부족은 직무스트레스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요인이기 때문에 건강영향을 일으킬 수 있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아니다. 다른 보기들은 책임감, 갈등, 불규칙한 작업형태, 열악한 작업환경 등 직무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밀폐공간에서 안전한 작업을 위한 일반적인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냉각탑 내부를 교체할 때 불활성 기체를 주입하는 배관 장치는 잠근다.
  2. 출입 전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한다.
  3. 작업하는 동안 감시인을 밀폐공간 밖에 배치한다.
  4. 불활성기체가 고농도일 경우 방독마스크를 착용한다.
  5.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기 곤란한 경우 공기호흡기 또는 송기마스크를 착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불활성기체가 고농도일 경우 방독마스크를 착용한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불활성기체는 산소를 대체하여 호흡을 방해하므로 방독마스크를 착용하면 오히려 위험합니다. 대신 공기호흡기나 송기마스크를 착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질병의 업무관련 역학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담당한 공정과 직무 등 원인인자를 파악한다.
  2. 개인 기호 및 과거 질환 여부는 고려하지 않는다.
  3. 질병 원인 유해인자에 대한 연구결과를 고찰한다.
  4. 국내외 유사한 질병 사례를 조사한다.
  5. 동료 근로자를 대상으로 과거 작업 상황을 조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개인 기호 및 과거 질환 여부는 고려하지 않는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개인 기호나 과거 질환 여부는 질병의 발생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므로 역학조사에서 고려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화학물질에 대한 노출수준을 추정하는 데 활용될 수 없는 것은?

  1. 하루 평균 화학물질 취급 빈도(frequency)
  2. 하루 평균 화학물질 취급 시간
  3. 하루 평균 화학물질 취급량
  4. 화학물질 제거 환기 효율
  5. 화학물질의 독성(toxicity)
(정답률: 알수없음)
  • 화학물질의 독성은 화학물질이 인체에 미치는 유해한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노출수준을 추정하는 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화학물질의 독성은 주어진 보기 중에서 제외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산업현장에서 일반재해가 발생했을 때 조치 순서로 옳은 것은?

  1. 재해발생 → 긴급처리 → 재해조사 → 원인분석 → 대책수립 → 평가
  2. 재해발생 → 재해조사 → 긴급처리 → 원인분석 → 대책수립 → 평가
  3. 재해발생 → 긴급처리 → 원인분석 → 재해조사 → 대책수립 → 평가
  4. 재해발생 → 원인분석 → 재해조사 → 긴급처리 → 대책수립 → 평가
  5. 재해발생 → 긴급처리 → 원인분석 → 대책수립 → 재해조사 → 평가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일반재해가 발생하면 먼저 긴급처리를 해야 합니다. 이후에는 재해조사를 통해 상황을 파악하고, 원인분석을 통해 재발 방지 대책을 수립합니다. 마지막으로 대책의 효과를 평가합니다. 따라서, "재해발생 → 긴급처리 → 재해조사 → 원인분석 → 대책수립 → 평가"가 옳은 조치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미국 NIOSH의 중량물 들기 최대 허용기준(Maximum Permissible Limit; MPL)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MPL을 초과하면 대부분의 근로자에게 근육 및 골격장애를 유발한다.
  2. 5번 요추와 1번 천추(L5/S1)에 미치는 압력이 6,400 N의 부하에 해당된다.
  3. 감시기준(Action Limit)의 5배에 해당된다.
  4. 작업강도, 즉 에너지 소비량은 5.0 kcal/min을 초과한다.
  5. 남자의 25 %, 여자의 1 %가 작업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MPL을 초과하면 대부분의 근로자에게 근육 및 골격장애를 유발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MPL은 중량물 들기 작업에서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최대 허용 무게를 의미하며, MPL을 초과하면 근로자의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다. 따라서 "MPL을 초과하면 일부 근로자에게 근육 및 골격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가 맞는 설명이다.

    감시기준(Action Limit)의 5배에 해당된다는 것은, 중량물 들기 작업에서 근로자가 노출될 수 있는 최대 허용 무게를 나타내는 감시기준(Action Limit)보다 MPL이 5배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MPL은 감시기준(Action Limit)보다 더 엄격한 기준이며, MPL을 초과하면 근로자의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주요 국가에서 설정한 노출기준 용어로 옳지 않은 것은?

  1. 미국(OSHA) - PEL
  2. 미국(NIOSH) - REL
  3. 미국(ACGIH) - WEEL
  4. 영국(HSE) - WEL
  5. 독일 - MAK
(정답률: 알수없음)
  • 미국(ACGIH) - WEEL은 옳지 않은 용어이다. WEEL은 미국 직장 안전 및 건강 연구소(AIHA)에서 개발한 노출기준 용어로, ACGIH와는 별개의 조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청각의 등감곡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상적인 청력을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음의 크기(loudness)를 실험한 결과에 근거한다.
  2. 동일한 크기를 듣기 위해서 고주파에서는 저주파보다 물리적으로 더 높은 음압 수준을 필요로 한다.
  3. 1,000 Hz에서 40 dB은 100 Hz에서 약 50 dB과 비슷한 크기로 느껴진다.
  4. 고주파 음압 수준에 노출되면 주로 직업성 소음성 난청이 발생한다.
  5. 1,000 Hz에서 음압 수준을 기준으로 등감곡선을 나타내는 단위를 'phon'이라고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동일한 크기를 듣기 위해서 고주파에서는 저주파보다 물리적으로 더 높은 음압 수준을 필요로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오히려 반대이다. 고주파에서는 저주파보다 더 낮은 음압 수준으로도 동일한 크기를 들을 수 있다. 이는 청각의 등감곡선이 고주파에서는 민감하고, 저주파에서는 둔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가축 분뇨 정화조를 청소하는 동안 착용해야 할 호흡 보호구는?

  1. 방진마스크
  2. 면마스크
  3. 송기마스크
  4. 반면형 방독마스크
  5. 전면형 방독마스크
(정답률: 알수없음)
  • 가축 분뇨 정화조를 청소하는 동안은 송기와 같은 먼지나 유해 물질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 기능이 있는 마스크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송기마스크"가 가장 적합한 선택입니다. 반면에 "면마스크"는 먼지나 유해 물질을 차단하지 못하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반면형 방독마스크"와 "전면형 방독마스크"는 가축 분뇨 정화조를 청소하는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필요하지 않은 고급 보호구이므로 선택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방사선 유효선량(effective dose)의 단위는?

  1. 시버트(Sv)
  2. 라드(rad)
  3. 그레이(Gy)
  4. 렌트겐(R)
  5. 베크렐(Bq)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 유효선량의 단위는 시버트(Sv)이다. 이는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단위로, 방사선에 노출된 인체의 조직에 흡수된 에너지와 방사선의 종류에 따라 계산된다. 다른 보기인 라드(rad)는 방사선에 노출된 물질의 흡수선량을 나타내는 단위이고, 그레이(Gy)는 방사선에 의해 흡수된 에너지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렌트겐(R)은 방사선의 강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베크렐(Bq)은 방사성 동위원소의 붕괴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호흡기 상기도 점막을 주로 자극하는 물질이 아닌 것은?

  1. 암모니아
  2. 이산화질소
  3. 염화수소
  4. 아황산가스
  5. 불화수소
(정답률: 알수없음)
  • 이산화질소는 호흡기 상기도 점막을 자극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이산화질소는 무색, 무취이며, 대기 중에서 매우 안정적인 기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산화질소는 주로 산업용으로 사용되며, 호흡기 상기도 점막을 자극하는 다른 가스들과는 달리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동물실험 결과에 근거해서 설정된 노출기준들의 한계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무관찰작용량(No Observed Effect Level)을 알아내는 것이 어렵다.
  2. 다양한 화학물질의 노출상황에 따른 독성을 알아내기 어렵다.
  3. 동물과 사람의 종(species) 차이에 따른 독성의 불확실성이 있다.
  4. 수십 년 동안 낮은 농도의 화학물질 노출에 따른 건강영향을 알아내기 어렵다.
  5. 기저질환을 갖고 있는 질환자들의 건강영향을 규명하기 어렵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무관찰작용량(No Observed Effect Level)을 알아내는 것이 어렵다."는 옳은 설명이 아닙니다. 무관찰작용량은 동물실험에서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최고 노출농도를 말하며, 이를 기반으로 인간의 노출에 대한 안전한 노출기준을 설정합니다. 따라서 무관찰작용량을 알아내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동물실험에서도 이를 파악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동물실험 결과에 근거한 노출기준의 한계점을 설명한 것으로, 이들은 모두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양압(positive pressure)을 유지해야 하는 공정 또는 장소는?

  1. 감염환자 병실
  2. 석면해체 실내작업
  3. 전자부품 제조 공장
  4. 실험실 흄 후드 안
  5. 생물안전(biosafety) 실험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자부품 제조 공장에서는 미세한 입자나 먼지가 제품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양압을 유지하여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제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근로자의 만성질병과 직무 또는 업무 연관성을 규명하기 어려운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1. 과거 담당했던 직무 기록의 미흡
  2. 과거 일했던 공정이 존재하지 않음
  3. 과거 유해인자 노출수준 추정의 어려움
  4. 과거 작업 상황 조사의 어려움
  5. 만성 질병 분류(classification)의 어려움
(정답률: 알수없음)
  • 만성 질병 분류는 질병의 발생 원인이 명확하지 않거나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규명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직무 또는 업무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보와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고압환경에서 2차성 압력현상과 이로 인한 건강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압환경에서 대기 가스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2. 흉곽이 잔기량보다 적은 용량까지 압축되면 폐 압박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3. 질소 마취에 의해 작업력의 저하와 다행증이 발생할 수 있다.
  4. 산소 중독 증세가 나타날 수 있다.
  5. 이산화탄소 분압의 증가로 관절 장해가 발생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압환경에서 대기 가스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질소 마취에 의해 작업력의 저하와 다행증이 발생할 수 있다.", "산소 중독 증세가 나타날 수 있다.", "이산화탄소 분압의 증가로 관절 장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모두 고압환경에서 나타날 수 있는 건강영향이지만, "흉곽이 잔기량보다 적은 용량까지 압축되면 폐 압박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폐가 압축되어 호흡이 어려워지는 직접적인 건강영향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고압환경에서 호흡기계에 큰 영향을 미치는 문제이며, 호흡기계 질환을 가진 사람들은 특히 조심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기업진단 · 지도

51. 해크만(J. Hackman)과 올드햄(G. Oldham)이 제시한 직무특성모델(job characteristic model)에서 5가지 핵심직무차원(core job dimensions)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기술다양성(skill variety)
  2. 성장욕구(growth need)
  3. 과업정체성(task identity)
  4. 자율성(autonomy)
  5. 피드백(feedback)
(정답률: 알수없음)
  • 성장욕구는 직무특성모델에서 핵심직무차원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직무특성모델에서 강조하는 핵심직무차원들이 직무 자체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즉, 직무의 기술다양성, 과업정체성, 자율성, 피드백 등이 직무 자체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이러한 특성들이 직무 수행에 대한 동기부여와 만족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반면에 성장욕구는 개인의 성격, 가치관, 목표 등과 관련된 개인적인 요인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이기 때문에 직무특성모델에서는 핵심직무차원으로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직무급(job-based pay)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ㄷ, ㄹ, ㅁ
  3. ㄱ, ㄴ, ㄹ, ㅁ
  4. ㄱ, ㄷ, ㄹ,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직무급은 직무의 내용과 책임에 따라 결정되는 보수제도이다." : 직무급은 해당 직무의 내용과 책임에 따라 결정되는 보수제도이다.
    - "ㄷ. 직무급은 개인의 능력과 성과와는 무관하게 결정된다." : 직무급은 개인의 능력과 성과와는 무관하게 결정되는 보수제도이다.
    - "ㄹ. 직무급은 조직 내에서 유사한 직무를 수행하는 직원들에게 동일하게 적용된다." : 직무급은 조직 내에서 유사한 직무를 수행하는 직원들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는 보수제도이다.
    - "ㅁ. 직무급은 직원의 성과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락하지 않는다." : 직무급은 직원의 성과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락하지 않는 보수제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홍길동이 A회사에 입사한 후 3년이 지났다. 홍길동이 그 동안 있었던 승진자들을 살펴보니 모두 뛰어난 업적을 보인 사람들이었다. 이에 홍길동은 자신도 뛰어난 성과를 보여 승진하겠다는 결심을 하고 지속적으로 열심히 노력하였다. 이 경우 홍길동과 관련된 학습이론은?

  1. 사회적 학습(social learning)
  2. 조직적 학습(organizational learning)
  3. 고전적 조건화(classical conditioning)
  4. 작동적 조건화(operant conditioning)
  5. 액션 러닝(action learning)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사회적 학습(social learning)

    설명: 홍길동이 승진자들의 모범을 따라 열심히 노력하는 것은 사회적 학습이다. 사회적 학습은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함으로써 학습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조직 내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관찰하고 다른 사람들의 성과를 따라가는 것과 관련이 있다. 조직적 학습은 조직 전체가 학습하는 것을 말하며, 고전적 조건화와 작동적 조건화는 개인의 행동을 바꾸는 데 초점을 둔 학습 이론이다. 액션 러닝은 문제 해결을 위해 경험을 통해 학습하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허즈버그(F. Herzberg)가 제시한 2요인 이론(two factor theory)에서 동기부여요인(motivators)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성취(achievement)
  2. 임금(wage)
  3. 책임(responsibility)
  4. 성장(growth)
  5. 인정(recognition)
(정답률: 알수없음)
  • 허즈버그의 2요인 이론에서 동기부여요인은 성취, 책임, 성장, 인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들은 직무 자체에 대한 만족감과 관련이 있으며, 직무 수행에 대한 자기만족감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에 임금은 보상 요인으로 분류되며, 직무 자체에 대한 만족감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임금(wag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사업부제 조직구조(divisional structur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각 사업부는 사업영역에 대해 독자적인 권한과 책임을 보유하고 있어 독립적인 이익센터(profit center)로서 기능할 수 있다.
  2. 각 사업부들이 경영상의 책임단위가 됨으로써 본사의 최고경영층은 일상적인 업무로부터 벗어나 전사적인 차원의 문제에 집중할 수 있다.
  3. 각 사업부 간에 기능의 중복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4. 각 사업부마다 시장특성에 적합한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하고 판매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시장세분화에 따른 제품차별화가 용이하다.
  5. 각 사업부의 이해관계를 중시하는 사업부 이기주의로 인하여 사업부 간의 협조가 원활하지 못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각 사업부 간에 기능의 중복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사업부제 조직구조에서는 각 사업부가 독립적인 이익센터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각 사업부가 서로 다른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하고 판매하기 때문에 기능의 중복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시장세분화에 따른 제품차별화가 용이하다는 장점과 함께 발생하는 단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6시그마 경영은 모토로라(Motorola)사에서 혁신적인 품질개선의 목적으로 시작된 기업경영전략이다. 6시그마 경영과 과거의 품질경영을 비교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과거의 품질경영 방식은 전체 최적화였으나 6시그마 경영은 부분 최적화라고 할 수 있다.
  2. 과거의 품질경영 계획대상은 공장 내 모든 프로세스였으나 6시그마 경영은 문제점이 발생한 곳 중심이라고 할 수 있다.
  3. 과거의 품질경영 교육은 체계적이고 의무적이었으나 6시그마 경영은 자발적 참여를 중시한다.
  4. 과거의 품질경영 관리단계는 DMAIC를 사용하였으나 6시그마 경영은 PDCA cycle을 사용한다.
  5. 과거의 품질경영 방침결정은 하의상달 방식이었으나 6시그마 경영은 상의하달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과거의 품질경영 방침결정은 하의상달 방식이었으나 6시그마 경영은 상의하달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다. 6시그마 경영은 상위 경영진이 전략적 방향성을 결정하고 하위 조직에서는 이를 실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비해 과거의 품질경영 방식은 하위 조직에서 문제를 발견하고 상위 조직에 보고하여 해결 방안을 결정하는 하의상달 방식이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ABC 재고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재 및 재고자산의 차별 관리방법이며, A등급, B등급, C등급으로 구분된다.
  2. 품목의 중요도를 결정하고, 품목의 상대적 중요도에 따라 통제를 달리하는 재고관리시스템이다.
  3. 파레토 분석(Pareto Analysis) 결과에 따라 품목을 등급으로 나누어 분류한다.
  4. 일반적으로 A등급에 속하는 품목의 수가 C등급에 속하는 품목의 수보다많다.
  5. 각 등급별 재고 통제수준은 A등급은 엄격하게, B등급은 중간 정도로, C등급은 느슨하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A등급에 속하는 품목의 수가 C등급에 속하는 품목의 수보다 많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는 파레토 분석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파레토 분석은 특정 품목이 전체 재고 중 얼마나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지를 분석하여 등급을 결정하는데, 이 결과에 따라 A, B, C 등급의 품목 수는 달라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수요예측을 위한 시계열 분석에서 변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추세변동(trend variation): 자료의 추이가 점진적, 장기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는 변동
  2. 계절변동(seasonal variation): 월, 계절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하는 변동
  3. 위치변동(locational variation): 지역의 차이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하는 변동
  4. 순환변동(cyclical variation): 경기순환과 같은 요인으로 인한 변동
  5. 불규칙변동(irregular variation): 돌발사건, 전쟁 등으로 인한 변동
(정답률: 알수없음)
  • 위치변동은 지역의 차이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하는 변동으로, 시계열 데이터의 변동 원인이 아니라 지리적인 요인에 의한 변동이다. 따라서 수요예측을 위한 시계열 분석에서는 위치변동을 고려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설비배치계획의 일반적 단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구성계획(construct plan)
  2. 세부배치계획(detailed layout plan)
  3. 전반배치(general overall layout)
  4. 설치(installation)
  5. 위치(location)결정
(정답률: 알수없음)
  • 구성계획은 설비배치계획의 일반적인 단계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설비배치계획의 초기 단계로, 설비배치의 목적과 범위를 정의하고, 필요한 자원과 예산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구성계획은 설비배치계획의 기본적인 계획 수립 단계 중 하나이다. 반면에, 세부배치계획, 전반배치, 위치 결정, 설치는 설비배치계획의 다른 단계들이다. 세부배치계획은 설비의 구체적인 배치 위치와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이며, 전반배치는 설비의 전체적인 배치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위치 결정은 설비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이며, 설치는 설비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심리평가에서 평가센터(assessment cente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신규채용을 위하여 입사 지원자들을 평가하거나 또는 승진 결정 등을 위하여 현재 종업원들을 평가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2. 관리 직무에 요구되는 단일 수행차원에 대해 피평가자들을 평가한다.
  3. 기본적인 평가방식은 집단 내 다른 사람들의 수행과 비교하여 개인의 수행을 평가하는 것이다.
  4. 평가도구로는 구두발표, 서류함 기법, 역할수행 등이 있다.
  5. 다수의 평가자들이 피평가자들을 평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관리 직무에 요구되는 단일 수행차원에 대해 피평가자들을 평가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평가센터에서는 다양한 역량과 능력을 평가하며, 단일 수행차원에 대해서만 평가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목표설정 이론(goal setting theory)에서 종업원의 직무수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들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ㄹ
  2. ㄴ, ㄷ
  3. ㄱ, ㄴ,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목표설정 이론에서는 목표의 명확성, 도전성, 피드백, 역량 등이 종업원의 직무수행을 향상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ㄱ, 목표의 명확성", "ㄴ, 도전성과 역량", "ㄷ, 피드백"이 모두 포함된 "ㄱ, ㄴ, ㄷ, ㄹ"이 정답입니다. "ㄱ, 목표의 명확성"은 목표가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정되어야 종업원이 목표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ㄴ, 도전성과 역량"은 목표가 적당한 난이도를 가지고 있어야 종업원이 노력을 기울이며 성취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종업원의 역량과 목표의 난이도가 적절하게 맞아야 성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ㄷ, 피드백"은 목표에 대한 성과를 측정하고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종업원이 목표에 대한 집중도를 높이고 개선할 부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인사선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올바른 합격자(true positive)란 검사에서 합격점을 받아서 채용되었지만 채용된 후에는 불만족스러운 직무수행을 나타내는 사람이다.
  2. 잘못된 합격자(false positive)란 검사에서 불합격점을 받아서 떨어뜨렸지만 채용하였다면 만족스러운 직무수행을 나타냈을 사람이다.
  3. 올바른 불합격자(true negative)란 검사에서 불합격점을 받아서 떨어뜨렸고 채용하였더라도 불만족스러운 직무수행을 나타냈을 사람이다.
  4. 잘못된 불합격자(false negative)란 검사에서 합격점을 받아서 채용되었고 채용된 후에도 만족스러운 직무수행을 나타내는 사람이다.
  5. 인사선발 과정의 궁극적인 목적은 올바른 합격자와 잘못된 불합격자를 최대한 늘리고 올바른 불합격자와 잘못된 합격자를 줄이는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올바른 불합격자(true negative)란 검사에서 불합격점을 받아서 떨어뜨렸고 채용하였더라도 불만족스러운 직무수행을 나타냈을 사람이다. 이는 검사에서 불합격으로 판단한 사람이 실제로도 적합하지 않은 사람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인사선발 과정에서는 올바른 합격자와 올바른 불합격자를 최대한 늘리고, 잘못된 합격자와 잘못된 불합격자를 최대한 줄이는 것이 목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심리평가에서 타당도와 신뢰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구성타당도(construct validity)는 검사문항들이 검사용도에 적절한지에 대하여 검사를 받는 사람들이 느끼는 정도다.
  2.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는 검사의 문항들이 측정해야 할 내용들을 충분히 반영한 정도다.
  3. 검사-재검사 신뢰도(test-retest reliability)는 검사를 반복해서 실시했을 때 얻어지는 검사 점수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정도다.
  4. 평가자 간 신뢰도(inter-rater reliability)는 두 명 이상의 평가자들로부터의 평가가 일치하는 정도다.
  5. 내적 일치 신뢰도(internal-consistency reliability)는 검사 내 문항들 간의 동질성을 나타내는 정도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구성타당도(construct validity)는 검사문항들이 검사용도에 적절한지에 대하여 검사를 받는 사람들이 느끼는 정도가 아니라, 검사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이나 특성과 관련이 있는지를 측정하는 것이다. 구성타당도는 검사문항들이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이나 특성과 관련이 있는지를 측정하는 것이므로, 검사를 받는 사람들의 느낌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인사평가 시기가 되자 홍길동 부장은 매우 우수한 성과를 보인 이순신 사원을 평가하고, 다음 차례로 이몽룡 사원을 평가하였다. 이 때 이몽룡 사원은 평균적인 성과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평균 이하의 평가를 받았다. 홍길동 부장의 평가에서 발생한 오류는?

  1. 후광 오류
  2. 관대화 오류
  3. 중앙집중화 오류
  4. 대비 오류
  5. 엄격화 오류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대비 오류"이다. 대비 오류란, 두 개 이상의 개체를 비교할 때, 그 중 하나의 개체가 다른 개체들과 비교되어 평가될 때 발생하는 오류이다. 이 경우, 이순신 사원의 우수한 성과에 대한 평가와 이몽룡 사원의 성과에 대한 평가를 비교하여 이몽룡 사원이 평균 이하의 평가를 받게 되었다. 이는 이몽룡 사원의 성과가 평균적이기 때문에, 이순신 사원과 비교하여 평가되어야 하는데 그렇게 되지 않았기 때문에 대비 오류가 발생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인간정보처리(human information processing)이론에서 정보량과 관련된 설명이다.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1. 인간정보처리이론에서 사용하는 정보 측정단위는 비트(bit)다.
  2. 힉-하이만 법칙(Hick-Hyman law)은 선택반응시간과 자극 정보량 사이의 선형함수 관계로 나타난다.
  3. 자극-반응 실험에서 인간에게 입력되는 정보량(자극 정보량)과 출력되는 정보량(반응 정보량)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4. 정보란 불확실성을 감소시켜 주는 지식이나 소식을 의미한다.
  5. 자극-반응 실험에서 전달된(transmitted) 정보량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소음(noise) 정보량과 손실(loss) 정보량도 고려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극-반응 실험에서 인간에게 입력되는 정보량(자극 정보량)과 출력되는 정보량(반응 정보량)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인간정보처리이론에서는 자극-반응 실험에서 입력되는 정보량과 출력되는 정보량이 다를 수 있다고 가정한다. 이는 인간의 정보처리 능력이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입력된 정보가 많을수록 반응 시간이 더 오래 걸릴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하인리히(H. Heinrich)의 연쇄성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쇄성 이론은 도미노 이론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2.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은 연쇄적으로 발생하는 사고원인들 중에서 어떤 원인을 제거하여 연쇄적인 반응을 막는 것이다.
  3. 연쇄성 이론에 의하면 5개의 도미노가 있다.
  4. 사고 발생의 직접적인 원인은 불안전한 행동과 불안전한 상태다.
  5. 연쇄성 이론에서 첫 번째 도미노는 개인적 결함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연쇄성 이론에서 첫 번째 도미노는 개인적 결함이 아니라 "사고 발생의 직접적인 원인은 불안전한 행동과 불안전한 상태다."입니다. 연쇄성 이론에서는 개인적 결함은 두 번째 도미노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작업장의 적절한 조명수준을 결정하려고 한다. 다음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ㄴ, ㄷ
  3. ㄱ, ㄷ, ㅁ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ㅁ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작업장에서 필요한 최소한의 조명 수준을 충족시키기 때문에 선택 가능하다.
    - ㄴ: 작업장에서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충분한 조명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선택 가능하다.
    - ㄷ: 작업장에서의 작업 효율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조명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선택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소리와 소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인간의 가청주파수 영역은 20,000 Hz∼30,000 Hz다.
  2. 인간이 지각한(perceived) 음의 크기는 음의 세기(dB)와 항상 정비례한다.
  3. 강력한 소음에 노출된 직후에 발생하는 일시적 청력손실은 휴식을 취하더라도 회복되지 않는다.
  4. 우리나라 소음노출기준은 소음강도 90 dB(A)에 8시간 노출될 때를 허용기준선으로 정하고 있다.
  5. 소음노출지수가 100 % 이상이어야 소음으로부터 안전한 작업장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 소음노출기준은 소음강도 90 dB(A)에 8시간 노출될 때를 허용기준선으로 정하고 있다." 이것은 인간의 청각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준으로, 90 dB(A) 이상의 소음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청력손상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업장 등에서는 이 기준을 준수하여 소음을 관리해야 한다. 다른 보기들은 인간 청각과 관련된 사실들이지만, 이 문제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지는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일반적으로 재해가 발생하였을 때 재해조사를 실시하게 된다. 재해조사를 할 때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재해발생 현장의 사실을 수집한다.
  2. 사람과 기계설비 양면의 재해요인을 모두 도출한다.
  3. 2차 재해의 예방을 위해 보호구를 착용한다.
  4. 목격자의 증언을 배제하고 주관적으로 조사에 임한다.
  5. 조사는 신속하게 실시하고, 피재 설비를 정지시켜 2차 재해의 방지를 도모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목격자의 증언을 배제하고 주관적으로 조사에 임한다."는 옳지 않은 보기이다. 이는 재해조사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인 사실 수집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목격자의 증언을 배제하고 주관적으로 조사를 진행한다는 것은 신뢰성 있는 조사를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목격자의 증언을 포함하여 가능한 모든 증거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조사를 실시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전기설비기술기준상 대지전압이 220 V일 경우 저압 절연전선의 절연저항값은 최소 몇 MΩ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0.1
  2. 0.2
  3. 0.3
  4. 0.4
  5. 0.5
(정답률: 알수없음)
  • 저압 전기설비에서는 대지전압이 220V 이하이므로, 저압 절연전선의 절연저항값은 최소 0.2MΩ 이상으로 설정해야 안전하다. 이는 전기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기술기준으로, 전기기기나 전선 등의 절연체가 파손되어 전기가 누설될 경우에도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0.2MΩ 이상의 절연저항값을 유지해야 안전한 전기설비를 구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위험성평가에 사용되는 용어의 설명이다. 제시된 내용과 일치하는 용어에 해당하는 것은?

  1. 위험성
  2. 위험성 추정
  3. 위험성 결정
  4. 유해ㆍ위험요인 파악
  5. 위험성 감소대책 수립 및 실행
(정답률: 알수없음)
  • 위험성 평가에서는 먼저 유해ㆍ위험요인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위험성을 추정합니다. 이후 위험성 결정을 통해 실제 위험성을 판단하고, 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고 실행합니다. 따라서, 위험성 결정은 위험성 평가의 중요한 단계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K사는 세계 곳곳에 생산 공장을 두고 있는 글로벌 기업이다. 각 생산공장에 적용 가능한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조사하고자 한다. 국내ㆍ외에 존재하는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관련 규격명과 제정한 국가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ISRS (International Safety Rating System) - 노르웨이
  2. KOSHA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18001 - 한국
  3. HS(G)65 (Successfu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 영국
  4. VPP (Voluntary Protection Program) - 미국
  5. Work Safe Plan - 독일
(정답률: 알수없음)
  • Work Safe Plan은 독일에서 제정된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규격명이 아니라,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규격명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ABE형 안전모의 성능 시험항목에 해당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ㄴ, ㄹ, ㅂ
  3. ㄱ, ㄴ, ㄹ, ㅁ
  4. ㄱ, ㄹ, ㅁ, ㅂ
  5. ㄴ, ㄷ, ㄹ, ㅁ
(정답률: 알수없음)
  • ABE형 안전모의 성능 시험항목은 충격흡수성, 내구성, 안전성, 편안성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ㄱ, ㄴ, ㄹ, ㅁ"은 충격흡수성, 내구성, 안전성, 편안성 모두에 해당하는 항목들입니다. 따라서 이들이 정답으로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위험성평가의 방법과 절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시근로자 수 20명 미만 사업장(총 공사금액 20억원 미만의 건설공사)의 경우 위험성평가 절차 중 위험성 추정을 생략할 수 있다.
  2. 위험성평가를 수행한 기록물은 3년 이상 보존하고, 최초평가 기록은 영구보존하는 것을 권장한다.
  3. 위험성평가는 사업장의 작업ㆍ공정에 대하여 지속적ㆍ정기적으로 실시하고, 공정ㆍ설비 변경 등 새로운 위험이 발생할 경우에도 실시한다.
  4. 위험성평가는 최초평가, 특별평가, 수시평가로 나누며, 최초평가는 위험성 평가를 사업장에 도입하여 처음 실시하는 것이다.
  5. 정상작업뿐 아니라 비정상작업의 경우(계획적 비정상작업, 예측 가능한 긴급 작업)에도 위험성평가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위험성평가는 최초평가, 특별평가, 수시평가로 나누며, 최초평가는 위험성 평가를 사업장에 도입하여 처음 실시하는 것이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안전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안전벨트: 운전자 및 승객이 사고 발생 시 안전하게 차체 내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장치. 사고 시 몸이 앞으로 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 에어백: 차량 충돌 시 운전자와 승객의 안전을 위해 공기를 채워 충격을 완화시키는 장치.
    - ABS: 급정거나 급정지 시 바퀴 블록이 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의 제어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 전자제어 안정성 제어(ESC): 차량의 방향을 제어하여 슬립 등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는 장치.
    - 블랙박스: 차량 운행 중 발생하는 사고나 상황을 녹화하여 사고 원인을 파악하고 책임을 추적할 수 있는 장치.

    따라서, 정답은 "ㄱ, ㄷ" 이다. 안전벨트와 에어백은 사고 발생 시 몸의 충격을 완화하여 부상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ㄱ" 이지만, 나머지 안전장치들은 모두 차량 운전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거나 사고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ㄷ"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