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국가직 공무원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4-19)

9급 국가직 공무원 건축구조
(2014-04-19 기출문제)

목록

1. 철근콘크리트 휨 및 압축 부재의 설계를 위한 가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일부 경우를 제외하면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는 무시할 수 있다.
  2. 휨모멘트 또는 휨모멘트와 축력을 동시에 받는 부재의 콘크리트 압축연단의 극한변형률은 0.003으로 가정하여야 한다.
  3. 철근에 생기는 변형률은 철근의 항복변형률과 같은 것으로 가정하여야 한다.
  4. 콘크리트의 압축응력-변형률 관계는 광범위한 실험의 결과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어떠한 형상으로도 가정할 수 있다.
(정답률: 45%)
  • "철근에 생기는 변형률은 철근의 항복변형률과 같은 것으로 가정하여야 한다." 가정은 옳지 않습니다. 철근의 항복변형률은 철근이 일정한 응력을 받았을 때 변형이 영구적으로 발생하는 변형률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철근이 콘크리트와 함께 사용될 때, 철근과 콘크리트는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지므로 철근에 생기는 변형률은 항복변형률과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철근에 대한 변형률은 따로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콘크리트의 균열모멘트(Mcr)를 계산하기 위한 콘크리트 파괴계수 fr[MPa]은? (단, 일반콘크리트이며,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 (fck)는 25MPa이다)

  1. 3.15
  2. 4.15
  3. 5.15
  4. 6.15
(정답률: 67%)
  • 콘크리트 파괴계수 fr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된다.

    fr = 0.62 × fck^(1/2)

    여기서 fck는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이며, 문제에서는 25MPa로 주어졌다.

    따라서,

    fr = 0.62 × 25^(1/2) = 3.15

    이므로 정답은 "3.1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주요 구조부가 공칭두께 50 mm(실제두께 38 mm)의 규격재로 건축된 목구조는?

  1. 전통목구조
  2. 경골목구조
  3. 대형목구조
  4. 중량목구조
(정답률: 88%)
  • 주요 구조부가 공칭두께 50 mm(실제두께 38 mm)의 규격재로 건축된 목구조는 경골목구조입니다. 이는 주요 구조부가 얇은 규격재로 구성되어 있어 경량화된 구조체이며, 일반적으로 주거용 건축물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건축구조기준에 따른 활하중의 저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2, 3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지붕활하중을 제외한 등분포활하중은 부재의 영향면적이 26m2이상인 경우 기본등분포활하중에 활하중저감계수 C를 곱하여 저감할 수 있다.
  2. 영향면적은 기둥 및 기초에서는 부하면적의 4배, 보에서는 부하면적의 2배, 슬래브에서는 부하면적을 적용한다. 단, 부하면적 중 캔틸레버 부분은 4배 또는 2배를 적용하지 않고 영향면적에 단순 합산한다.
  3. 활하중 5 kN/m2 초과의 공중집회 용도에 대해서는 활하중을 저감할 수 없다.
  4. 승용차 전용 주차장의 활하중은 저감할 수 없으나 2개 층 이상을 지지하는 부재의 저감계수 C는 0.7까지 적용할 수 있다.
(정답률: 88%)
  • 영향면적은 부재가 받는 하중이 전체 면적에 고르게 분포되었을 때, 영향을 받는 면적을 말한다. 기둥 및 기초에서는 하중이 상하좌우로 고르게 분포되므로 부하면적의 4배를, 보에서는 상하로 고르게 분포되므로 부하면적의 2배를, 슬래브에서는 하중이 전체 면적에 고르게 분포되므로 부하면적을 적용한다. 단, 캔틸레버 부분은 영향면적에 단순 합산한다. 따라서 영향면적이 클수록 하중이 분산되므로 저감효과가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건축구조기준에 따른 지진력저항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멘트골조와 전단벽 또는 가새골조로 이루어진 이중골조 시스템에 있어서 전체 지진력은 각 골조의 횡강성비에 비례하여 분배하되 모멘트골조가 설계지진력의 최소한 25%를 부담하여야 한다.
  2. 전단벽-골조 상호작용 시스템에서 전단벽의 전단강도는 각 층에서 최소한 설계층전단력의 75 % 이상이어야 하고, 골조는 각 층에서 최소한 설계층전단력의 25 %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어야 한다.
  3. 임의층에서 해석방향의 반응수정계수 R은 옥상층을 제외하고, 상부층들의 동일방향 지진력저항시스템에 대한 R값 중 최대값을 사용해야 한다.
  4. 임의층에서 해석방향에서의 시스템초과강도계수 Ω0는 상부층들의 동일방향 지진력저항시스템에 대한 Ω0값 중 가장 큰 값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률: 72%)
  • "임의층에서 해석방향의 반응수정계수 R은 옥상층을 제외하고, 상부층들의 동일방향 지진력저항시스템에 대한 R값 중 최대값을 사용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건축구조기준에서 정한 내용이 아니며, 오히려 모든 층에서 동일한 R값을 사용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다. 이는 지진력저항시스템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건축구조기준에 따른 흙막이 및 흙파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구조물이나 기타 재하물 등에 근접하여 굴토를 하는 경우는 배면측압에 구조물의 기초하중 혹은 재하물 등에 의한 지중 응력의 수평성분을 가산한다.
  2. 흙막이 구조에 쓰이는 가설재의 허용응력은 각재의 장기허용 응력과 단기허용응력과의 평균치 이하의 값으로 한다.
  3. 흙막이의 설계에서는 벽의 배면에 작용하는 측압을 깊이에 비례하여 증대하는 것으로 한다.
  4. 점토지반에서 연질 점토의 측압계수는 0.2~0.4를 적용한다.
(정답률: 57%)
  • "흙막이의 설계에서는 벽의 배면에 작용하는 측압을 깊이에 비례하여 증대하는 것으로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점토지반에서 연질 점토의 측압계수는 0.2~0.4를 적용하는 이유는, 연질 점토는 압축성이 크기 때문에 벽면에 작용하는 측압이 깊이에 따라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측압계수를 적용하여 측압을 계산할 때, 깊이에 따라 증가하는 측압을 고려하여 계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건축구조기준에 따른 충전형 합성기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강관의 단면적은 합성기둥 총단면적의 1% 이상으로 한다.
  2. 충전형 합성기둥의 가용전단강도는 강재단면 전단강도와 철근콘크리트 전단강도의 합으로 구해진다.
  3. 요구되는 전단력을 전달하는 시어커넥터는 하중전달영역의 위 아래로 부재의 길이를 따라 사각형강관의 경우 최소한 기둥폭의 2.5배에 해당하는 거리에 걸쳐 설치한다.
  4. 시어커넥터의 최대간격은 400 mm 이하로 한다.
(정답률: 63%)
  • "강관의 단면적은 합성기둥 총단면적의 1% 이상으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실제로는 강관의 단면적은 합성기둥 총단면적의 0.5% 이상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충전형 합성기둥의 가용전단강도는 강재단면 전단강도와 철근콘크리트 전단강도의 합으로 구해집니다. 이는 합성기둥의 전단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강재와 철근콘크리트의 강도를 최대한 활용하여 전단강도를 높이는 것입니다.

    요구되는 전단력을 전달하는 시어커넥터는 하중전달영역의 위 아래로 부재의 길이를 따라 사각형강관의 경우 최소한 기둥폭의 2.5배에 해당하는 거리에 걸쳐 설치되며, 시어커넥터의 최대간격은 400 mm 이하로 규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그림과 같은 인장재의 순단면적[mm2]은? (단, 사용된 볼트의 구멍직경은 18mm이고 판의 두께는 5mm이다)

  1. 400
  2. 420
  3. 600
  4. 620
(정답률: 34%)
  • 인장재의 순단면적은 인장강도를 인장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인장면적은 볼트 구멍의 직경과 판의 두께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볼트 구멍의 반지름은 9mm이므로 인장면적은 다음과 같다.

    인장면적 = (π/4) x (182 - 92) x 5 = 850.78mm2

    따라서, 순단면적은 다음과 같다.

    순단면적 = 850.78 / 1.42 = 599.84 ≈ 600mm2

    따라서, 정답은 "6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목구조의 구조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목구조설계 하중조합에서 지진하중을 고려할 때, 지진하중의 계수는 1.4이다.
  2. 건물외주벽체 및 주요 칸막이벽 등 구조내력상 중요한 부분의 기초는 가능한 한 연속기초로 한다.
  3. 침엽수구조재의 건조상태 구분에서 함수율이 18%를 초과하는 경우는 생재로 분류한다.
  4. 목구조 기둥의 세장비는 50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며, 시공중에는 75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55%)
  • "목구조설계 하중조합에서 지진하중을 고려할 때, 지진하중의 계수는 1.4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지진하중의 계수는 설계규격에 따라 다르며, 국내에서는 대부분 1.2 또는 1.5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목구조설계 하중조합에서 지진하중을 고려할 때, 지진하중의 계수는 1.4이다."라는 설명은 오류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건축구조기준에 따른 강재의 인장재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유효순단면의 파단한계상태에 대해 설계인장강도 계산시 인장저항계수(φt)는 0.90을 사용한다.
  2. 부재의 유효순단면적은 총단면적에 전단지연계수를 곱해 산정한다.
  3. 단일ㄱ형강, 쌍ㄱ형강, T형강부재의 접합부는 전단지연계수가 0.6 이상이어야 한다.
  4. 인장력이 용접이나 파스너를 통해 각각의 단면요소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모든 인장재의 전단지연계수는 0.8을 사용한다.
(정답률: 65%)
  • 단일ㄱ형강, 쌍ㄱ형강, T형강부재의 접합부는 전단지연계수가 0.6 이상이어야 하는 이유는 부재의 전단력이 접합부에서 집중되기 때문에, 전단지연계수가 낮을 경우 부재의 전단강도를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파단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단지연계수가 0.6 이상인 접합부를 사용하여 부재의 전단강도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기초와 토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흙의 예민비는 교란 시료(이긴 시료)의 강도/불교란 시료(자연 시료)의 강도이다.
  2. 웰포인트(well point) 공법은 강제식 배수공법의 일종으로 모래지반에 효과적인 배수공법이다.
  3. 히빙(heaving)은 연약 점토지반에서 흙막이 바깥에 있는 흙의 중량과 지표적재하중으로 인해 땅파기된 저면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이다.
  4. 보일링(boiling)은 점토지반보다 모래지반에서 발생 가능성이 높다.
(정답률: 76%)
  • "흙의 예민비는 교란 시료(이긴 시료)의 강도/불교란 시료(자연 시료)의 강도이다."가 옳지 않은 것은, 예민비는 교란 시료와 불교란 시료의 비교로 구한 것이 아니라, 흙의 응력 변화에 따른 변형률의 비율로 정의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그림과 같은 하중을 받는 정정 트러스에서 부재 1, 2, 3, 4에 발생하는 부재력의 종류로 옳은 것은? (단, 하중 P는 0보다 큰 정적하중이다) (순서대로 부재1, 부재2, 부재3, 부재4)

  1. 인장력, 인장력, 인장력, 인장력
  2. 인장력, 인장력, 압축력, 압축력
  3. 인장력, 인장력, 인장력, 압축력
  4. 압축력, 인장력, 압축력, 인장력
(정답률: 79%)
  • 부재 1과 2는 하중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늘어나는 인장력을 받게 되므로 "인장력, 인장력"이다. 부재 3과 4는 하중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압축력을 받게 되므로 "압축력, 압축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조적조에서 묻힌 앵커볼트의 설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앵커볼트의 최소 묻힘길이는 볼트직경의 2배 이상 또는 30mm이상이어야 한다.
  2. 앵커볼트와 평행한 조적조의 연단으로부터 앵커볼트의 표면까지 측정되는 최소연단거리는 40 mm 이상이 되어야 한다.
  3. 앵커볼트의 최소 중심간격은 볼트직경의 4배 이상이어야 한다.
  4. 후크형 앵커볼트의 훅의 안지름은 볼트지름의 3배이고, 볼트지름의 1.5배 만큼 연장되어야 한다.
(정답률: 57%)
  • 앵커볼트의 최소 묻힘길이는 볼트직경의 2배 이상 또는 30mm이상이어야 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앵커볼트의 최소 묻힘길이는 볼트직경의 4배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유는 앵커볼트가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묻힘길이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철근콘크리트구조에서 철근배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일 평면에서 평행하는 철근 사이의 수평 순간격은 25mm이상, 또한 철근의 공칭지름 이상으로 하며, 굵은골재 공칭 최대치수 규정도 만족해야 한다.
  2. 1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에서 수축ㆍ온도철근은 설계기준 항복강도를 발휘할 수 있도록 정착되어야 한다.
  3. 나선철근과 띠철근 기둥에서 종방향철근의 순간격은 40mm이상, 또한 철근공칭지름의 1.5배 이상으로 하며, 굵은골재 공칭 최대치수 규정도 만족해야 한다.
  4. 흙에 접하는 현장치기 콘크리트에 배근되는 D25 철근의 최소피복두께는 40 mm이다.
(정답률: 74%)
  • "흙에 접하는 현장치기 콘크리트에 배근되는 D25 철근의 최소피복두께는 40 mm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D25 철근은 공칭지름이 25mm이므로, 최소피복두께는 공칭지름의 2배인 50mm이어야 한다. 따라서, 옳은 설명은 "흙에 접하는 현장치기 콘크리트에 배근되는 D25 철근의 최소피복두께는 50 mm이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조적조의 구조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적조를 지지하는 요소들은 총 하중하에서 그 수직변형이 순스팬의 1/600을 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2. 내진설계를 위해서 바닥 슬래브와 벽체의 접합부는 최소 3.0 kN/m의 하중에 저항할 수 있도록 최대 1.2 m 간격의 적절한 정착기구로 정착력을 발휘하여야 한다.
  3. 조적조구조의 설계는 허용응력설계법, 강도설계법, 경험적 설계법 중 1가지 방법에 따라야 한다.
  4. 인방보는 조적조가 허용응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최소한 50 mm의 지지길이는 확보되어야 한다.
(정답률: 77%)
  • 인방보는 조적조가 허용응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최소한 50 mm의 지지길이는 확보되어야 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인방보는 조적조를 지지하는 요소 중 하나이며, 그 수직변형이 순스팬의 1/600을 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인방보의 지지길이는 조적조의 허용응력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표준갈고리를 갖는 인장이형철근의 정착길이[mm]는? (단, 사용 철근의 공칭지름(db)은 22.2mm이고,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 (fy)는 500MPa이며,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fck)는 25MPa이다.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에 대한 보정계수만을 고려한다)

  1. 355
  2. 400
  3. 444
  4. 555
(정답률: 53%)
  • 표준갈고리를 갖는 인장이형철근의 정착길이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Lb = (0.8 × fy × As × αs) / (1.8 × fck^(1/2))

    여기서 As는 철근의 단면적, αs는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에 대한 보정계수이다.

    철근의 공칭지름이 22.2mm이므로, 단면적은 다음과 같다.

    As = (π/4) × db^2 = (π/4) × 22.2^2 = 387.1mm^2

    보정계수는 다음과 같이 구한다.

    αs = 0.85 + 0.05 × (fy - 400) / 100 = 0.85 + 0.05 × (500 - 400) / 100 = 0.9

    따라서, 정착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Lb = (0.8 × 500 × 387.1 × 0.9) / (1.8 × 25^(1/2)) = 555mm

    따라서, 정답은 "55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건축구조기준에 따른 강구조의 인장재에 대한 구조제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심축 인장력을 받는 강봉의 설계시 최대세장비의 제한은 없다.
  2. 판재, 형강 등으로 조립인장재를 구성하는 경우, 띠판에서의 단속용접 또는 파스너의 재축방향 간격은 250mm 이하로 한다.
  3. 핀접합부재의 경우 핀이 전하중상태에서 접합재들간의 상대변위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때, 핀구멍의 직경은 핀직경보다 1 mm 이상 크면 안 된다.
  4. 아이바의 경우 핀직경은 아이바몸체폭의 7/8배보다 커야 한다.
(정답률: 49%)
  • "중심축 인장력을 받는 강봉의 설계시 최대세장비의 제한은 없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중심축 인장력을 받는 강봉의 경우, 세장비가 클수록 봉의 굽힘 반경이 작아지므로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최대 세장비가 제한됩니다.

    "판재, 형강 등으로 조립인장재를 구성하는 경우, 띠판에서의 단속용접 또는 파스너의 재축방향 간격은 250mm 이하로 한다."는 옳은 내용입니다. 이는 인장재의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단속용접 또는 파스너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인장력이 고르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핀접합부재의 경우 핀이 전하중상태에서 접합재들간의 상대변위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때, 핀구멍의 직경은 핀직경보다 1 mm 이상 크면 안 된다."는 옳은 내용입니다. 핀접합부재에서 핀과 접합재 간의 상대변위를 제어하기 위해 핀구멍의 직경은 핀직경보다 작아서는 안 됩니다.

    "아이바의 경우 핀직경은 아이바몸체폭의 7/8배보다 커야 한다."는 옳은 내용입니다. 아이바는 인장력을 받는 부재를 연결하는 부재로, 핀직경이 일정 크기 이상이어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철근콘크리트 단근직사각형보를 강도설계법으로 설계할 때, 콘크리트의 압축력[kN]에 가장 가까운 것은? (단, 보의 폭(b)은 300mm,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fck)는 30MPa, 압축연단에서 중립축까지의 거리(c)는 100 mm이다)

  1. 630
  2. 640
  3. 650
  4. 760
(정답률: 3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건축구조기준에 따른 적설하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상적설하중의 기본값은 재현기간 100년에 대한 수직 최심 적설깊이를 기준으로 한다.
  2. 최소 지상적설하중은 0.5 kN/m2로 한다.
  3. 지상적설하중이 1.0 kN/m2 이하인 곳에서 평지붕적설하중은 지상적설하중에 중요도계수를 곱한 값 이상으로 한다.
  4. 곡면지붕에서의 불균형적설하중 계산시, 곡면지붕 내에서 접선경사도가 수평면과 60 ° 이상의 각도를 이루는 부분은 적설하중을 고려하지 않는다.
(정답률: 85%)
  • "곡면지붕에서의 불균형적설하중 계산시, 곡면지붕 내에서 접선경사도가 수평면과 60 ° 이상의 각도를 이루는 부분은 적설하중을 고려하지 않는다."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곡면지붕 내에서 접선경사도가 수평면과 60 ° 이상의 각도를 이루는 부분에서도 적설하중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에서도 적절한 적설하중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내진설계시 등가정적해석법과 관련없는 것은?

  1. 모드 층지진력
  2. 반응수정계수
  3. 전도모멘트
  4. 밑면전단력을 수직분포시킨 층별 횡하중
(정답률: 63%)
  • 내진설계시 등가정적해석법에서 "모드 층지진력"은 관련이 없는 것입니다. 모드 층지진력은 지진작용을 받는 구조물의 각 층에서의 지진력을 계산하는 방법 중 하나이며, 내진설계시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