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 글에서 듀이(J. Dewey)의 반성적 사고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만 묶은 것은?
2. '2009 개정교육과정'의 성격과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 '이러닝(e-learning)'의 교육공학적 방법이 교육 분야에 공헌한 것으로 보기 가장 어려운 것은?
4. 「초ㆍ중등교육법 시행령」(2011.1.17 개정)의 고등학교 구분에서 특성화 고등학교에 해당하는 것은?
5. “교육의 결과는 평등해야 한다.”는 평등론적 교육사회학의 입장으로 인하여 나타날 수 있는 교육의 직접적인 변화라고 보기 어려운 것은?
6. 다음 글과 가장 적합한 콜버그(L. Kohlberg)의 도덕성 발달 단계는?
7. 에릭슨(E. Erikson)의 사회심리적 발달이론에서 볼 때, 다음과 같이 지도한 결과로 형성되는 것과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
8. 표집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 다음 글을 가장 잘 설명하는 교육사회학 이론은?
10. 다음 글이 설명하고 있는 것과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
11. 다음 글에서 설명하고 있는 교육조직은?
12. 다음 글은 교육행정을 정의하는 관점 중 어느 것에 근거한 것인가?
13. 캠벨(R. Campbell)의 교육정책 수립 단계 중에서 다음 글에 해당하는 것은?
14. 드리븐(R. Dreeben)이 주장하는 현대사회에서 요구되는 핵심적인 네 가지 규범 중 다음 글에 해당하는 것은?
15. 평생학습도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6. 데이브(R. Dave)와 스캐거(R. Skager)가 제시한 평생교육의 개념적 특징 중 다음 글과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
17. 소피스트들과 이소크라테스(Isocrates)의 교육 방식과 철학에 대한 비교로 옳지 않은 것은?
18. 와이너(B. Weiner)의 귀인이론에서 (가)에 들어갈 귀인요소는?
19. 피들러(F. Fiedler)의 상황적응 지도성이론을 학교 상황에 적용했을 때 상황 호의성 변수가 아닌 것은?
20. 고려시대 국자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