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국가직 공무원 교육학개론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4-08)

9급 국가직 공무원 교육학개론
(2017-04-08 기출문제)

목록

1. 구성주의 학습이론에 기반한 교사의 교수기술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지식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구조화된 문제와 반복학습을 강조한다.
  2. 학생 스스로 사고과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도록 촉진한다.
  3. 협동학습을 통해 학생이 생각을 능동적으로 발전시키도록 돕는다.
  4. 실제 환경에서 직면하게 되는 문제를 학습과제로 제시하여 학습한 내용과 실제 세계를 연결하도록 한다.
(정답률: 89%)
  • "지식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구조화된 문제와 반복학습을 강조한다."는 구성주의 학습이론에서 강조하는 학습 방법 중 하나인 정보처리 모델에 기반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정보처리 모델은 입력, 처리, 출력, 피드백의 과정을 거쳐 정보를 습득하고 기억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따라서 구조화된 문제와 반복학습을 통해 정보를 구성하고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에서 설명하는 개념은?

  1. 교수매체
  2. 시청각매체
  3. 실물매체
  4. 디지털매체
(정답률: 96%)
  • 이 개념은 "교수매체" 입니다. 이유는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교수님의 강의를 듣는 학생들이 있는 것으로 보아, 교육과정에서 사용되는 매체로 추측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피아제(J. Piaget)는 인지발달이론에서 “인간은 적응을 위해 새로운 경험과 도식을 서로 조정한다”라고 하였다. 다음의 예와 피아제가 제시한 적응의 유형이 옳게 짝지어진 것은? (순서대로 가, 나)

  1. 탈중심화, 중심화
  2. 조절, 동화
  3. 중심화, 탈중심화
  4. 동화, 조절
(정답률: 93%)
  • 답: "조절, 동화"

    이유: 적응의 유형 중 하나인 "조절"은 새로운 경험과 도식을 기존의 지식과 조화롭게 조절하여 새로운 상황에 대처하는 것을 말하며, 이는 그림에서 보이는 아이가 새로운 도구를 사용하면서 기존의 지식과 조화롭게 조절하는 것과 일치한다. 또한, "동화"는 새로운 경험과 도식을 기존의 지식에 맞추어 변형시키는 것을 말하며, 이는 그림에서 보이는 아이가 새로운 도구를 사용하면서 기존의 지식을 변형시키는 것과 일치한다. 따라서 정답은 "조절, 동화"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교육사상가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크허스트(H. Parkhurst)는 달톤플랜(Dalton plan)에서 학생과 교사가 계약을 맺는 계약학습을 제시하였다.
  2. 아들러(M. J. Adler)는 파이데이아 제안서(Paideia proposal)에서 학생들이 동일한 교육목표를 가지는 교육과정을 주장하였다.
  3. 허친스(R. M. Hutchins)는 듀이(J. Dewey)와 함께 진보주의교육협회를 설립하고 진보주의 교육운동을 전개하였다.
  4. 킬패트릭(W. H. Kilpatrick)은 학생이 자신의 학습을 계획하고 활동을 수행하는 프로젝트 학습법(project method)을 제시하였다.
(정답률: 78%)
  • 허친스(R. M. Hutchins)는 듀이(J. Dewey)와 함께 진보주의교육협회를 설립하고 진보주의 교육운동을 전개하였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허친스는 진보주의 교육운동에 반대하고, 대신에 고전주의 교육을 주장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교실생활의 군집성, 상찬, 권력구조 등이 학생들의 행동과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면서,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을 제시한 인물은?

  1. 잭슨(P. Jackson)
  2. 보빗(F. Bobbitt)
  3. 프레리(P. Freire)
  4. 위긴스(G. Wiggins)
(정답률: 71%)
  • 잭슨은 교실 내 군집성, 상찬, 권력구조 등이 학생들의 행동과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면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학생들의 경험과 관찰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했습니다. 이러한 개념을 잠재적 교육과정이라고 부르며, 이를 통해 학생들이 보다 참여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했습니다. 따라서 잭슨은 이러한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초ㆍ중등교육법」상 우리나라 국ㆍ공립 초등학교ㆍ중학교ㆍ고등학교 및 특수학교의 학교회계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학교회계의 회계연도는 매년 3월 1일에 시작하여 다음 해 2월 말일에 끝난다.
  2. 학교운영위원회 심의를 거쳐 학부모가 부담하는 경비는 학교회계의 세입으로 한다.
  3. 학교의 장은 회계연도마다 학교회계 세입세출예산안을 편성하여 학교운영위원회에 제출하여야 한다.
  4. 지방자치단체의 교육비특별회계의 전입금은 학교회계의 세입 항목이 아니다.
(정답률: 92%)
  • 정답은 "학교운영위원회 심의를 거쳐 학부모가 부담하는 경비는 학교회계의 세입으로 한다."입니다.

    지방자치단체의 교육비특별회계의 전입금은 학교회계의 세입 항목이 아닌 이유는, 교육비특별회계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교육기관에 대한 지원금 등을 관리하는 회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회계에서 학교회계로 전입되는 금액은 학교운영비 등의 지출에 대한 지원금 등이며, 이는 학교회계의 세입 항목으로 처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로저스(C. Rogers)의 인간중심 상담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인간에게는 선천적으로 자아실현의 경향이 있다고 본다.
  2. 내면의 경험을 자각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금-여기보다 과거에 더 주목한다.
  3. 상담자가 갖추어야 할 중요한 태도로 진솔성,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공감적 이해를 제안하였다.
  4. 외적으로 부여된 가치의 조건화가 주관적인 경험을 왜곡하고 부정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고 본다.
(정답률: 88%)
  • "내면의 경험을 자각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금-여기보다 과거에 더 주목한다."는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로저스는 현재의 경험에 집중하고, 과거의 경험을 중요시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감정과 경험을 인식하고 수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합니다. 따라서 "지금-여기"에 더 주목하는 것이 로저스의 상담 이론의 핵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령상 교육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ㄹ
  4. ㄱ, ㄴ, ㄷ, ㄹ
(정답률: 67%)
  • - ㄱ: 교육감은 지방교육자치법상 지방교육행정의 최고 책임자로서 교육행정을 총괄하고, 교육재정을 관리하며, 교육정책을 수립하고 이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 ㄴ: 교육감은 지방교육자치법상 교육감의 임기는 4년으로 하며, 재임 중에는 중임할 수 없다.
    - ㄹ: 교육감은 지방교육자치법상 교육감의 선거는 지방선거와 동시에 실시되며, 선거구는 지역구제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스키너(B. F. Skinner)의 행동주의 학습과 반두라(A. Bandura)의 사회인지학습의 공통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강화와 처벌의 개념을 받아들인다.
  2. 학습의 요인으로 경험의 중요성을 인정한다.
  3. 신념과 기대가 행동의 변화를 가져온다고 본다.
  4. 행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피드백이 중요하다고 본다.
(정답률: 70%)
  • 신념과 기대가 행동의 변화를 가져온다고 본다는 것은 스키너와 반두라 모두가 인간의 행동은 외부 환경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내부적인 인지적 요인이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개인의 신념과 기대는 행동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며, 이를 고려하여 학습을 설계하고 적용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우리나라 의무교육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방자치단체는 국립 또는 사립의 초등학교ㆍ중학교 또는 특수학교에 일부 의무교육대상자에 대한 교육을 위탁할 수 있다.
  2.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의무교육대상자의 교육을 위탁받은 사립학교의 설립자ㆍ경영자는 의무교육을 받는 사람으로부터 수업료와 학교운영지원비를 받을 수 있다.
  3. 모든 국민은 그 보호하는 자녀에게 6년의 초등교육과 3년의 중등교육을 받게 할 의무를 진다.
  4. 취학아동명부의 작성을 담당하는 읍ㆍ면ㆍ동의 장은 입학연기신청서를 제출받은 경우 입학연기대상자를 취학아동명부에서 제외하고, 입학연기대상자 명단을 교육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정답률: 78%)
  •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의무교육대상자의 교육을 위탁받은 사립학교의 설립자ㆍ경영자는 의무교육을 받는 사람으로부터 수업료와 학교운영지원비를 받을 수 있다."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사립학교의 설립자ㆍ경영자는 교육을 위탁받은 경우에도 의무교육을 받는 사람으로부터 수업료와 학교운영지원비를 받을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의 내용을 모두 포함하는 교육과정개발 이론은?

  1. 타일러(R. Tyler)의 이론
  2. 아이스너(E. Eisner)의 이론
  3. 타바(H. Taba)의 이론
  4. 워커(D. Walker)의 이론
(정답률: 82%)
  • 워커(D. Walker)의 이론은 교육과정개발의 4단계 중 "평가" 단계를 강조하며, 학습자의 피드백을 수집하고 이를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합니다. 이론의 이름인 "리액션 폼(Raction Form)"은 이러한 평가와 피드백 과정을 강조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저서는?

  1. 「아학편(兒學編)」
  2. 「성학집요(聖學輯要)」
  3. 「격몽요결(擊蒙要訣)」
  4. 「학교모범(學校模範)」
(정답률: 87%)
  • 위 그림은 한자의 구성과 의미를 설명하는 그림입니다. 따라서, 어린이들이 한자를 배울 때 도움이 되는 교재인 「아학편(兒學編)」이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에서 설명하는 개념은?

  1. 비계(scaffolding)
  2. 근접발달영역(ZPD)
  3. 내면화(internalization)
  4. 메타인지(metacognition)
(정답률: 94%)
  • 위 그림은 레벨이 높은 선생님과 낮은 수준의 학생이 함께 문제를 해결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때 선생님은 학생의 능력 수준에 맞게 도움을 주면서 학생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데, 이러한 상황을 근접발달영역(ZPD)이라고 합니다. 즉, 학생이 현재 가지고 있는 능력과 잠재력 사이의 차이를 최대한 좁히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위해 선생님은 비계(scaffolding)를 제공하며, 학생은 이를 통해 내면화(internalization)를 이루고 메타인지(metacognition)를 발전시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우리나라 평생교육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국가무형문화재의 보유자로 인정된 사람과 그 전수교육을 받은 사람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람은 그에 상당하는 학점을 인정받을 수 있다.
  2. 헌법은 “국가가 평생교육을 진흥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3. 평생교육사는 평생교육의 기획ㆍ진행ㆍ분석ㆍ평가 및 교수업무를 수행한다.
  4. 대표적인 평생교육제도인 독학학위제, 학점은행제, 평생학습계좌제, 내일배움카드제는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서 운영하고 있다.
(정답률: 89%)
  • 정답은 "국가무형문화재의 보유자로 인정된 사람과 그 전수교육을 받은 사람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람은 그에 상당하는 학점을 인정받을 수 있다."입니다. 이는 평생교육제도와는 관련이 없는 내용입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평생교육제도와 관련된 내용입니다. 대표적인 평생교육제도인 독학학위제, 학점은행제, 평생학습계좌제, 내일배움카드제는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교육기본법」에 명시된 교원에 관한 규정이 아닌 것은?

  1. 교원은 법률로 정하는 바에 따라 다른 공직에 취임할 수 있다.
  2. 교원은 특정한 정당이나 정파를 지지하거나 반대하기 위하여 학생을 지도하거나 선동하여서는 아니 된다.
  3. 교사는 전문성을 바탕으로 학생을 교육한다.
  4. 교원은 교원의 경제적ㆍ사회적 지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각 지방자치단체와 중앙에 교원단체를 조직할 수 있다.
(정답률: 65%)
  • 정답: "교원은 법률로 정하는 바에 따라 다른 공직에 취임할 수 있다."

    해설: "교사는 전문성을 바탕으로 학생을 교육한다."는 교원의 역할과 관련된 규정이며, 나머지 보기들은 교원의 제한과 권리에 관한 규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학교교육에 대한 다음 주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부르디외(P. Bourdieu)
  2. 구조기능주의
  3. 재생산이론
  4. 보울스(S. Bowls)와 진티스(H. Gintis)
(정답률: 76%)
  • 주장 1: 부르디외(P. Bourdieu)의 교육 이론은 학생들의 사회적 배경이 학업 성취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강조한다.
    주장 2: 구조기능주의는 교육이 사회적 질서를 유지하고 경제적 생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주장한다.
    주장 3: 재생산이론은 교육이 사회적 계층 구조를 재생산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주장 4: 보울스(S. Bowls)와 진티스(H. Gintis)는 교육이 사회적 계층 구조를 유지하고 경제적 생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주장한다.

    정답: 부르디외(P. Bourdieu)

    구조기능주의는 교육이 사회적 질서를 유지하고 경제적 생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강조하는 이론이다. 반면에 부르디외는 학생들의 사회적 배경이 학업 성취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강조하는 이론이므로 가장 거리가 먼 주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교육 평등에 관한 관점 중 교육결과의 평등을 위한 정책에 해당하는 것은?

  1. 취학을 가로막는 경제적, 지리적, 사회적 제반 장애를 제거해 주는 취학 보장 대책
  2. 저소득층의 취학 전 어린이들을 위한 보상교육(compensatory education)
  3. 한국의 고교평준화 정책
  4. 초ㆍ중등교육의 의무무상화
(정답률: 77%)
  • 저소득층의 취학 전 어린이들을 위한 보상교육은 경제적인 이유로 교육을 받지 못하는 어린이들에게 교육 기회를 제공하여 교육결과의 평등을 이루기 위한 정책입니다. 이를 통해 경제적, 지리적, 사회적 제반 장애를 극복하고 모든 어린이들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서양교육사에서 나타난 사실로 옳은 것은?

  1. 고대 그리스의 스파르타에서는 신체와 영혼의 균형을 교육의 목적으로 추구하여 교육과정에서 읽기, 쓰기, 문학, 철학의 비중이 컸다.
  2. 고대 로마시대에는 초기부터 공립학교 중심의 공교육체제가 확립되어 유행하였다.
  3. 17세기 감각적 실학주의는 감각을 통한 지각, 관찰학습, 실물학습을 중시하였다.
  4. 산업혁명기 벨(A. Bell)과 랭커스터(J. Lancaster)의 조교법(monitorial system)은 소규모 토론식 수업방법이었다.
(정답률: 90%)
  • 17세기 감각적 실학주의는 감각을 통한 지각, 관찰학습, 실물학습을 중시하였다. 이는 경험을 통한 학습을 강조하며, 이론보다는 경험을 중시하는 교육 철학이었다. 이는 인간의 감각을 통해 세상을 이해하고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며, 이후 교육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표준화 검사 도구를 활용할 때 유의할 점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검사 실시 목적에 적합한 내용의 검사를 선택한다.
  2. 검사의 타당도, 신뢰도, 객관도, 실용도를 고려하여 검사를 선택한다.
  3. 상황에 맞춰 검사의 실시ㆍ채점ㆍ결과의 해석을 융통성 있게 변경한다.
  4. 검사를 사용하는 사람이 검사에 대한 객관적인 식견이 있어야 한다.
(정답률: 92%)
  • 정답: "검사를 사용하는 사람이 검사에 대한 객관적인 식견이 있어야 한다."

    해설: 표준화 검사 도구를 활용할 때 유의할 점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검사를 사용하는 사람이 검사에 대한 객관적인 식견이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검사를 실시하고 채점하며 결과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검사 사용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될 수 있기 때문에, 검사 사용자는 검사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와 지식을 갖추어야 합니다. 따라서, 상황에 맞춰 검사의 실시, 채점, 결과 해석을 융통성 있게 변경하는 것은 검사 사용자의 주관적인 판단을 최소화하고 검사의 타당도, 신뢰도, 객관도, 실용도를 고려하여 검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2015 개정 국가교육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추구하는 인간상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역량으로 자기관리, 지식정보처리, 창의적 사고, 심미적 감성, 의사소통, 공동체 역량을 제시하였다.
  2. 고등학교 공통과목으로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을 신설하였다.
  3. 초등학교에 '안전한 생활'을 신설하였다.
  4. 초등학교 1~2학년의 학습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총수업시간 수를 감축하였다.
(정답률: 72%)
  • 초등학교 1~2학년의 학습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총수업시간 수를 감축하였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는 2018년 개정 국가교육과정에서 이루어졌습니다. 2015년 개정 국가교육과정에서는 추구하는 인간상, 고등학교 공통과목, 초등학교 '안전한 생활' 등이 신설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